KR20070062108A - 편광시스템, 그를 이용한 uv조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시스템, 그를 이용한 uv조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108A
KR20070062108A KR1020050121847A KR20050121847A KR20070062108A KR 20070062108 A KR20070062108 A KR 20070062108A KR 1020050121847 A KR1020050121847 A KR 1020050121847A KR 20050121847 A KR20050121847 A KR 20050121847A KR 20070062108 A KR20070062108 A KR 20070062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d light
liquid crystal
glan
polarizer
pola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2108A/ko
Publication of KR20070062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light irradiation, e.g. linearly polarised light photo-polymeri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사되는 비편광을 수직편광 및 수평편광으로 분리하여 방출하는 글랜-포컬트 편광자(Glan-Foucault Polarizer);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로부터 방출되는 수직편광 및 수평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의 진행방향을 나머지 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미러; 및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어느 하나의 편광의 편광방향을 나머지 편광의 편광방향과 일치시키는 광학 활성 매질(Optical Active Mediu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광시스템, 그를 이용한 UV조사장치 및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글랜-포컬트 편광자, 미러, 및 광학 활성 매질을 조합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비용이 절감되면서 입사되는 비편광의 손실 없이 수직편광 또는 수평편광을 얻을 수 있다.
편광, UV조사

Description

편광시스템, 그를 이용한 UV조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A polarizing system, an UV irradi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UV조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랜-포컬트 편광자(Glan-Foucault Polarizer)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활성 매질(Optical Active Medium)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조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조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글랜-포컬트 편광자 200 : 미러
300 : 광학 활성 매질 400 : UV램프
410 : 램프 하우징 500 : 제1평면경
600 : 광학렌즈 700 : 제2평면경
800 : 콜리메이터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한 UV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화면의 두께가 수 센치미터(cm)에 불과한 초박형의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 중에서 액정표시소자는 동작 전압이 낮아 소비 전력이 적고 휴대용으로 쓰일 수 있는 등의 이점으로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우주선, 항공기 등에 이르기까지 응용분야가 넓고 다양하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소자는 서로 대향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그리고 상기 양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압인가에 의해 상기 액정층의 배향방향이 변경되고 그에 따라 빛의 투과도가 조절됨으로써 화상이 재현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부기판에는 스위칭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계형성을 위한 전극으로 작용하는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기판에는 컬러구현을 위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필터층과 전계형성을 위한 전극으로 작용하는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액정층이 양 기판 사이에서 임의로 배열되어 있으면 액정층의 일 관된 분자배열을 얻기가 어려우므로, 상기 양 기판에는 액정층의 초기 배향을 위해서 소정 방향으로 정렬된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향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러빙배향법과 광배향법이 있다.
상기 러빙배향법은 기판 상에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 고분자를 도포한 후, 러빙포가 감겨진 러빙롤을 회전시켜 상기 유기 고분자에 기계적 마찰을 통해 미세홈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고분자를 일정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러빙배향법은 마찰강도에 따라 미세홈의 형태가 달라져 액정층을 균일하게 정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러빙시 마찰에 의해 먼지나 정전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광배향법은 기판 상에 광반응기를 갖는 유기 고분자를 도포한 후, 소정방향으로 편광된 UV를 조사함으로써 유기 고분자가 UV에 의해 반응하여 일정방향으로 정렬하는 방법이다.
상기 광배향법은 기계적 마찰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러빙배향법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광배향법의 경우 유기 고분자에 편광된 UV를 조사하기 위해서 소정의 UV조사장치가 요구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UV조사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UV조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UV조사장치는 UV를 방출하는 UV램프(10), 및 상기 UV램프 하부에 위치하는 편광시스템(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편광시스템(30)은 소정의 각을 갖도록 산 모양으로 형성된 석영기판(33)과 상기 석영기판(33)을 지지하는 홀더(36)로 구성된다.
상기 UV램프(10)에서 비편광의 UV가 방출되면 상기 편광시스템(30)의 석영기판(33)에 소정의 각으로 입사된다. 입사된 UV의 일부는 반사되어 상기 홀더(36)에 의해 흡수되고, 나머지 일부는 석영기판(33)을 투과하여 편광된 후 하부의 기판(40)상에 형성된 배향막(50)에 조사되게 된다.
여기서, 배향막(50)에 조사되는 편광의 편광도는 상기 석영기판(33)의 적층수를 조절함으로써 변경된다.
도면에는 석영기판(33)을 한 층만 적층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석영기판은 두 층 이상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선편광(편광도가 1인 경우)을 얻기 위해서는 일정수 이상의 석영기판을 적층하고, 부분편광(편광도가 1 미만인 경우)을 얻기 위해서는 한층 또는 소수층의 석영기판을 적층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UV조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편광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석영기판의 적층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석영기판의 적층수를 증가시킬 경우 그 만큼 광의 손실이 증가되어 효율이 떨어진다.
둘째, 석영기판은 가격이 고가이므로, 석영기판의 적층수를 증가시킬 경우 그만큼 제조비용이 상승되어 경제성 면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광의 손실을 줄이면서 경제성 면에서도 유리한 편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광의 손실을 줄이면서 경제성 면에서 유리한 편광 시스템이 적용된 UV조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상기 편광 시스템을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입사되는 비편광을 수직편광 및 수평편광으로 분리하여 방출하는 글랜-포컬트 편광자(Glan-Foucault Polarizer);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로부터 방출되는 수직편광 및 수평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의 진행방향을 나머지 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미러; 및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어느 하나의 편광의 편광방향을 나머지 편광의 편광방향과 일치시키는 광학 활성 매질(Optical Active Mediu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광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글랜-포컬트 편광자, 미러, 및 광학 활성 매질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종래 석영을 적층한 것에 비하여 제조비용도 감소되면서 입사되는 비편광의 손실 없이 수직편광 또는 수평편광을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는,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수직편광 및 수평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을 방출하고,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나머지 편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미러는,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에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방출되는 편광의 진행방향을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미러는,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에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방출되는 편광의 진행방향을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UV램프; 및 상기 UV램프로부터 출사되는 UV를 편광시키는 편광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UV조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편광시스템은 전술한 글랜-포컬트 편광자(Glan-Foucault Polarizer), 미러, 및 광학 활성 매질(Optical Active Medium)로 이루어진 편광시스템이 적용된다.
상기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배향막을 도포하는 공정; 상기 도포된 배향막에 편광된 UV를 조사하는 공정; 및 상기 양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편광된 UV를 조사하는 공정은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편광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랜-포컬트 편광자(Glan-Foucault Polarizer)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활성 매질(Optical Active Medium)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시스템(101)은 글랜-포컬트 편광자(Glan-Foucault Polarizer)(100), 미러(200), 및 광학 활성 매질(Optical Active Medium)(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100)는,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프리즘(100a, 100b)이 소정의 공기층(110)을 두고 배열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그 재료로는 방해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100)는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는 수직편광(↕)을 방출하고,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는 수평편광(↔)을 방출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두 개의 프리즘(100a, 200b)의 배열 등을 변경함으로써,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수평편광(↔)을 방출하고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수직편광(↕)을 방출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러(200)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100)에서 방출되는 수평편광(↔)을 반사시켜, 상기 수평편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100)에서 방출되는 수직편광(↕)의 진행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즉, 상기 미러(200)는,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100)에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방출되는 수평편광(↔)면에 위치하여, 상기 수평편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100)에서 방출되는 수직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광학 활성 매질(Optical Active Medium)(300)은 편광성분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수평편광(↔)이 상기 광학 활성 매질(300)을 통과하면 수직편광(↕)이 방출되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직편광(↕)이 상기 광학 활성 매질(300)을 통과하면 수평편광(↔)이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광학 활성 매질(300)은 염소산 나트륨염(sodium chloride), 황화수은(cinnabar), 수크로오스(sugar), 또는 석영(quartz)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활성 매질(300)을 적용함으로써,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미러(200)에서 반사되는 수평편광(↔)이 상기 광학 활성 매질(300)을 통과한 후 수직편광(↕)이 되어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시스템은 글랜-포컬트 편광자(100), 미러(200), 및 광학 활성 매질(300)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입사되는 비편광의 손실 없이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수직편광(↕)만을 방출할 수 있으며, 종래 석영을 적층한 것에 비하여 제조비용도 감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따른 편광시스템은 미러(200)의 위치를 글랜-포컬트 편광자(100)에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방출되는 수직편광(↕)면에 위치시킨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에 따른 편광시스템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다른 편광시스템은 미러(200)를 글랜-포컬트 편광자(100)에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방출되는 수직편광(↕)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미러(200)에 의해 수직편광(↕)의 진행방향이 글랜-포컬트 편광자(100)에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방출되는 수평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입사되는 비편광의 손실 없이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수평편광(↕)만을 방출하게 된다.
2. UV조사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조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조사장치는 UV램프(400), 램프 하우징(410), 제1평면경(500), 광학렌즈(600), 제2평면경(700), 콜리메이터(collimator)(800), 및 편광시스템(10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UV램프(400)는 광원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고압 수은 램프가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램프 하우징(410)은 상기 UV램프(400)를 둘러싸고 있어 UV램프(400)에서 조사되는 UV를 반사시켜 제1평면경(500)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평면경(500) 및 제2평면경(700)은 UV를 반사시켜 UV의 경로를 변경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광학렌즈(600)는 제1평면경(500)으로부터 입사되는 UV의 집광 또는 산란광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록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800)는 UV를 평행광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편광시스템(101)은 UV를 편광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글랜-포컬트 편광자(Glan-Foucault Polarizer)(100), 미러(200), 및 광학 활성 매질(Optical Active Medium)(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광시스템이 적용된다. 상기 편광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UV조사장치의 작용을 보면, 상기 UV램프(400)에서 조사되고 또한 상기 램프 하우징(410)에서 반사되는 UV는 제1평면경(500)에서 반사되어 경로가 수정되고, 광학렌즈(600)에서 집광 또는 산란광을 막아준 후 다시 제2평면경(700)에서 반사되어 경로가 수정되고, 콜리메이터(800)에서 평행광으로 변경되어 편광시스템(101)으로 입사된다.
편광시스템(101)으로 입사된 UV는 글랜-포컬트 편광자(Glan-Foucault Polarizer)(100), 미러(200), 및 광학 활성 매질(Optical Active Medium)(300)을 거쳐 소정의 방향으로 편광되어, 결국 편광된 UV가 기판(900)에 조사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조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따른 UV조사장치는 편광시스템(101)이 콜리메이터(800) 후방에 위치된 것이 아니라, 광학렌즈(600)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6에 따른 UV조사장치와 동일하다.
도 7에 따른 UV조사장치는 광학렌즈(600) 전방 또는 후방에 편광시스템(101)이 위치하기 때문에 도 6에 따른 UV조사장치에 비하여, 편광시스템(101)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시스템(101)이 적용된 UV조사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UV조사장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3.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 흐름도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우선,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을 준비한다(10s).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은 액정표시소자의 구동모드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 준비된다.
즉, TN(Twisted Nematic)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하부기판 상에는 서로 종횡으로 교차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점에 형성되어 스위칭소자로 작용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화소영역 내에 형성되어 전계 형성을 위한 일 전극으로 작용하는 화소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기판 상에는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층, 색구현을 위한 컬러필터층, 및 전계 형성을 위한 일 전극으로 작용하는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IPS(In Plane Switching)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하부기판 상에는 서로 종횡으로 교차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점에 형성되어 스위칭소자로 작용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화소영역 내에 형성되어 전계 형성을 위한 전극쌍으로 작용하여 수평전계를 형성하는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기판 상에는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층, 및 색구현을 위한 컬러필터층이 형성된다.
그 후,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에 배향막을 도포한다(20s).
상기 배향막을 도포하는 공정은 롤 인쇄법 또는 잉크젯법 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배향막에 편광된 UV를 조사하여 상기 배향막의 배향방향을 일정하게 정렬한다(30s).
상기 UV조사공정은 전술한 편광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편광시스템을 적절히 선택하여 수평편광(↔) 또는 수직편광(↕)을 조사한다.
그 후, 상기 양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한다(40s).
상기 액정층 형성방법으로는 진공주입법 또는 액정적하법이 있다.
상기 진공주입법은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주입구 있는 씨일재를 형성하고, 상기 양 기판을 합착한 후, 상기 씨일재의 주입구를 통해 합착기판 내에 액정을 주입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정적하법은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주입구 없는 씨일재를 형성하고,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액정을 적하하고, 상기 양 기판을 합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 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변경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글랜-포컬트 편광자, 미러, 및 광학 활성 매질을 조합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비용이 절감되면서 입사되는 비편광의 손실 없이 수직편광 또는 수평편광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4)

  1. 입사되는 비편광을 수직편광 및 수평편광으로 분리하여 방출하는 글랜-포컬트 편광자(Glan-Foucault Polarizer);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로부터 방출되는 수직편광 및 수평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의 진행방향을 나머지 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미러; 및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어느 하나의 편광의 편광방향을 나머지 편광의 편광방향과 일치시키는 광학 활성 매질(Optical Active Mediu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광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프리즘이 소정의 공기층을 두고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는 방해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활성 매질은 염소산 나트륨염(sodium chloride), 황화수은(cinnabar), 수크로오스(sugar) 및 석영(quartz)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는,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수직편광 및 수평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을 방출하고,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나머지 편광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에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방출되는 편광의 진행방향을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글랜-포컬트 편광자에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방출되는 편광의 진행방향을 입사되는 비편광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시스템.
  8. UV램프; 및
    상기 UV램프로부터 출사되는 UV를 편광시키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UV조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V조사장치는 램프 하우징, 제1평면경, 광학렌즈, 제2평면경, 및 콜리메이터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조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시스템은 상기 콜리메이터 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조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시스템은 상기 광학렌즈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조사장치.
  12.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배향막을 도포하는 공정;
    상기 도포된 배향막에 편광된 UV를 조사하는 공정; 및
    상기 양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편광된 UV를 조사하는 공정은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주입구 없는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액정을 적하하는 공정; 및
    상기 양 기판을 합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주입구 있는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을 합착하는 공정; 및
    상기 씨일재의 주입구를 통해 합착기판 내에 액정을 주입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50121847A 2005-12-12 2005-12-12 편광시스템, 그를 이용한 uv조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62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847A KR20070062108A (ko) 2005-12-12 2005-12-12 편광시스템, 그를 이용한 uv조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847A KR20070062108A (ko) 2005-12-12 2005-12-12 편광시스템, 그를 이용한 uv조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108A true KR20070062108A (ko) 2007-06-15

Family

ID=3835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847A KR20070062108A (ko) 2005-12-12 2005-12-12 편광시스템, 그를 이용한 uv조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21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32B1 (ko) * 2003-10-22 2009-04-01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연료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고체 고분자형 연료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32B1 (ko) * 2003-10-22 2009-04-01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연료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고체 고분자형 연료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6402B2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4752911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エッジライト方式のバックライトに用いる光変調素子の製造方法
JP5467389B2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5954097B2 (ja) 表示装置
JP6035866B2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08000211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4216220B2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KR20060022895A (ko) 배향막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JPH11202336A (ja) 光の照射方法及びその装置、高分子配向膜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106681058B (zh) 光配向设备
KR20030040209A (ko) 액정 프로젝터의 콘트라스트비 개선방법
TWI777794B (zh) 可切換濾光片及其用途
KR20070062108A (ko) 편광시스템, 그를 이용한 uv조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US20100165248A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3195608A (ja) 平面表示に切り替え可能な立体表示装置
KR20050067801A (ko)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배향장치
KR101221213B1 (ko) 광 조사 장치
KR101096697B1 (ko) 편광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uv조사장치
JP2000314888A (ja) 液晶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KR20030039401A (ko) 광배향을 이용한 엘코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조방법
JP2001318373A (ja) 液晶表示装置
JP4066771B2 (ja) 液晶表示装置
TWI262336B (en) Manufacturing method of LCD apparatus and device thereof
JP2020112729A (ja) 液晶表示装置
KR20040057268A (ko) 배향용 광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배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