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447A -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및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및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447A
KR20070061447A KR1020060124749A KR20060124749A KR20070061447A KR 20070061447 A KR20070061447 A KR 20070061447A KR 1020060124749 A KR1020060124749 A KR 1020060124749A KR 20060124749 A KR20060124749 A KR 20060124749A KR 20070061447 A KR20070061447 A KR 20070061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remote control
terminal
detached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1984B1 (ko
Inventor
손강민
이범렬
양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6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2Setup operations, e.g. calibration, key configuration or button assig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63F13/23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infrared or pico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및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조종장치의 탈착을 감지하고, 원격 조종장치의 탈착이 감지되면 동시에 단말기 아이디와 패드 아이디를 통신모듈을 통해 탈착된 원격 조종장치로 전송하는 게임 단말기와 전송된 단말기 아이디와 패드 아이디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말기 아이디와 패드 아이디를 이용하여 게임 단말기와 통신을 시도하는 원격 조종장치로 구성되어 특정 휴대용 게임 단말기와 원격 조종기 사이에서만 게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휴대용 게임기, 원격 조종장치, 탈착

Description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및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SYSTEM FOR REMOTLY CONTROLLING MOBILE GAME HAEDWARE FOR TWIN PLAY,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REMOTE CONTROLLER AND MOBILE GAME HEADWAR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조종 장치 탈착시 초기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 통신 이후 원격조종장치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 통신 이후 휴대용 게임 단말기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게임 단말기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프로세서부 130 : 통신모듈
140 : 탈착 감지모듈 200 : 원격 조종 장치
210 : 통신 모듈 220 : 제어부
230 : 입력부 240 : 전력 공급부
본 발명은 휴대용 게임 단말기와 원격 조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게임 단말기에 부착된 원격 조종장치가 탈착되는 순간에 다른 게임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및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게임이란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오락적 요소를 제공하는 기술로 게임의 기본 요소는 경쟁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게임기는 1 인 이상의 사용자를 위하여 추가 조종기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게임기의 경우 개인에 특화된 부분이 강조되기 때문에 1인 플레이만을 기준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2인 이상의 플레이를 위해서는 동일한 수의 게임기와 게임 타이틀그리고 게임 타이틀에서 무선플레이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
또한, 2인 플레이가 지원되는 경우에도 무선 통신 등의 특성상 동일한 회사의 동일한 기종의 휴대 게임 단말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경우에는 상호 게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점에서 복수의 휴대 게임 단말기와 원격 조종장치 사이에 간섭이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휴대 게임 단말기와 원격 조종장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 장치로 부착되어 있는 조종장치가 탈착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함고 동시에 탈착된 원격 조종장치만 휴대 게임 단말기의 게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특정 아이디를 부여하는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및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계속적으로 휴대 게임기와 원격 조종 장치의 연결 상태를 체크하는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은 원격 조종장치의 탈착을 감지하고, 상기 원격 조종장치의 탈착이 감지되면 동시에 단말기 아이디와 패드 아이디를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탈착된 원격 조종장치로 전송하는 게임 단말기와 상기 전송된 단말기 아이디와 패드 아이디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단말기 아이디와 패드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단말기와 통신을 시도하는 원격 조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패드 아이디는 상기 탈착된 원격 조종장치의 오른쪽, 왼쪽에 관한 방 향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드 아이디는 입출력 데이터의 인코딩/디코딩의 키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은 게임단말기로부터 패드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1 단계, 상기 패드의 탈착이 감지되면, 상기 탈착된 패드의 탈착된 방향을 감지하는 2 단계, 상기 패드의 탈착된 방향이 감지되면, 상기 게임단말기의 아이디와 상기 탈착된 패드의 아이디를 상기 탈착된 패드에 전송하는 3 단계, 상기 전송된 게임단말기의 아이디와 탈착된 패드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탈착 패드가 상기 게임단말기로 통신을 시도하는 4단계, 상기 탈착 패드와 상기 게임단말기 사이에 통신이 되면, 상기 게임 단말기 및 상기 패드에 탈착 콘트롤 모드를 작동하는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4 단계에서 통신 시도에 의해 통신이 실패한 경우에 배터리 레벨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탈착 콘트롤 모드가 작동하면 상기 게임 단말과 상기 패드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및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용 게임기(혹은, "휴대용 게임 단말기"라고도 한다. 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프로세서부(120), 통시모듈(130) 그리고 탈착 감지 모듈(14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휴대용 게임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이벤트 정보 혹은 게임 과정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게임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게임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0)는 휴대용 게임기에서 이루어지는 게임 과정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에 의해 특정 원격 제어장치에 한해서 통신을 하기 위해 탈착 여부에 따라서 단말 아이디와 패드 아이디를 통시 모듈(130)을 통해 전송하고, 또한 통신 모듈(130)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게임 플레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탈착 감지 모듈(140)은 휴대용 게임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원격 제어장치(200)가 사용자에 의해 탈착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한다. 탈착 감지 모듈(140)은 스위치에 의해 탈착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탈착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탈착 감지 모듈(140)에 의해 감지된 탈착 감지 신호는 프로세서부(120)에 전달되고, 프로세서부(120)는 탈착과 동시에 탈착된 원격 조절 장치(200)에 단말 아이디(ID)와 패드 아이디를 전송한다. 단말 아이디(ID)와 패드 아이디의 전송은 탈착 버튼이 눌러짐과 동시에 내부의 유선 통신망의 접점 등을 통하여 원격 조종장치 의 ID가 전송될 수 있다.
단말 아이디는 휴대용 게임 단말에 관한 정보이고, 패드 아이디는 원격 조절 장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은 물론 원격 조절 장치의 왼쪽(Left) 혹은 오른쪽(Right) 방향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만일 오른쪽 원격 조절 장치(200)가 탈착되는 경우에는 단말 아이디와 Right 패드 아이디를 전송한다.
원격 조절 장치(200)는 2인 플레이를 위해 휴대 게임 단말기에 왼쪽, 오른쪽 양쪽으로 부착되어 있다. 2개의 원격 조절 장치는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하나의 원격조절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원격 조절 장치(200)는 통신 모듈(210), 제어부(220), 입력부(230) 그리고 전력 공급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210)은 휴대 게임기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원격 조절 장치(200)가 휴대 게임 단말기(100)에서 탈착되는 순간 프로세서부(120)에 의해 전송되는 단말 아이디(ID)와 패드 아이디를 수신한다.
통신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단말 아이디(ID)와 패드 아이디는 제어부(220)에 전달되고, 입출력 데이터의 encoding/decoding의 키로 사용된다.
고유한 단말 아이디(ID)와 패드 아이디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므로 동일한 기종의 타 기기와의 혼선을 막을 수 있다.
입력부(230)는 휴대 게임 단말기(100)와의 통신이나 게임 플레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전력 공급부(240)는 원격 조절 장치(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원격 조절장치(200)의 통신 불능의 원인으로 배터리라 부족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220)는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배터리를 체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조종 장치의 탈착시 초기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격 조종 장치(200)가 휴대 게임 단말기(100)에 부착되어 있는 결합모드 상태(S110)에서 원격 조종 장치(200)가 탈착된다. 결합모드 상태의 경우 하드웨어의 데이터 핀으로 구성되어 있는 I/O BUS를 통하여 원격 조종 장치(이하, "패드"라고도 한다. 200)의 입력 데이터를 게임 단말기 본체에서 처리한다. 다만, 해당부분의 처리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원격 조종 장치(200)가 탈착되면 휴대용 게임기(100)의 탈착감지모듈(140)은 탈착여부를 감지한다.(S120) 패드의 탈착은 휴대용 게임기(100) 하드웨어의 스위치를 통하여 쉽게 인식할 수 있다.
패드의 탈착 여부를 인지하면서, 탈착된 패드의 방향을 감지한다.(S130) 휴대용 게임 단말기(100) 본체에서 패드의 탈착 여부와 함께 탈착된 패드가 왼쪽 패드인지, 오른쪽 패드인지도 각각에 설치된 스위치를 이용해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탈착되는 패드의 방향에 따라 휴대용 게임 단말기(100)에서 전송하는 ID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탈착 패드의 방향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탈착이 인지되면 휴대용 게임기(100) 본체에서는 자신의 고유 단말기 ID에 사용자 정의 혹은 팩토리 세팅된 LEFT_ID 혹은 RIGHT_ID를 결합한 ID 정보를 탈착된 패드에 전달한다. 다만, 해당 휴대 게임 단말기(100)에 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용 게임 단말기의 초기화가 이루어지는 순간에 해당 ID를 미리 패드에 저장시켜 놓을 수도 있다.
탈착된 패드(200)는 휴대용 게임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단말기 ID와 LEFT_ID/RIGHT_ID를 이용하여 휴대용 게임 단말기(100)와 통신을 시도한다.(S141) (이하 설명에서 LEFT와 RIGHT 각각에서 패드가 탈착된 이후의 과정은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탈착된 패드는 탈착 순간에 단말기 ID와 (LEFT_ID/RIGHT_ID)를 이용하여 주변에 있는 게임 단말기 본체와 통신을 시도한다. 이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통신은 유/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고, 또한 무선 통신의 경우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비추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유한 ID를 이용한 통신의 시도는 동일한 기종의 타 기기와의 혼선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패드 ID는 추후 사용자 입출력 데이터의 인코딩/디코딩의 키로 사용되기도 한다.
통신이 시도되면 휴대용 게임 단말기(100)는 단말기 ID와 (LEFT_ID/RIGHT_ID)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 여부를 체크한다.(S142)
단말기 ID와 (LEFT_ID/RIGHT_ID)의 일치에 의해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LEFT_ID/RIGHT_ID 콘트롤러 등록 성공 이벤트를 발생한다.(S145) 패드와 휴대용 게임 단말기(이하, "본체"라고도 한다.)가 성공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를 본체의 이벤트 규 또는 장치 관리자에 등록하고, 추후 패드 탈착시 데이터 송수 신을 위한 모듈을 가동시킨다. 또한 등록 완료된 이후에는 동일한 ID로 새로운 접속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통신을 허용하기 않는다.
통신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는 패드 내부의 배터리 레벨이 양호한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패드 내부의 배터리 레벨이 양호한 경우에는 계속하여 통신을 시도한다.(S143) 게임 단말기 본체에서는 사용자 혹은 팩토리 세팅된 타임아웃 시간 동안 패드와의 통신이 성공할 때까지 대기하며 4번의 통신 시도 과정을 반복한다.
패드의 배터리 레벨이 일정 수준 이하이거나, 휴대용 게임 단말기의 타임아웃 시간이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체의 이벤트 큐 또는 장치 관리자에 해당 패드의 등록 실패 이벤트를 등록하고 해당 패드의 사용 불가를 처리한다.(S144) 따라서, 추후 특정 스위치 혹은 함수에 의하여 실패 이벤트가 취소되기 전까지는 재등록이 불가능하다. 사용자는 이 경우에 패드를 본체에 재접속하지 않으면 해당 패드를 이용하여 게임을 할 수 없다.
탈착에 의한 통신 시도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는 패드 및 게임 단말기 본체는 탈착 콘트롤 모드로 동작을 수행한다.(S160)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 통신 이후 원격조종장치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격조종장치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법은 패드 탈착 후 패드에서 탈착 콘트롤 모드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프로세스가 진행된다.(S200)
패드에 탈착 콘트롤 모드가 설정되면 패드는 휴대용 게임 단말기로부터 데이 터를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기를 이용하여 전송받는다.(S210)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의 패드 ID가 현재 수신한 패드의 패드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220) 본체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정 간격으로 현재 패드 ID를 갖는 시그널을 본체로부터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패드 ID가 일치하는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았다면 TIMEOUT 동안 일정 시간 간격만큼 기다리게 된다.
패드 ID가 일치하는 경우에 수신된 데이터가 EVENT_DATA인지, 아니면 접속 유지용 PING인지를 결정한다.(S230)
수신된 데이터가 EVENT_DATA인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패드 ID를 이용하여 디코딩하고,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S240) 이때, 서버에서 전송되는 EVENT_DATA는 진동이나 비프음 혹은 패드에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기 위한 값이 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가 PING 이거나 EVENT_DATA를 처리한 후에는 사용자의 입력 여부를 결정한다.(S250)
사용자의 입력이 패드를 통해 들어오는 경우 패드 ID를 이용하여 해당 입력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패드가 게임 단말기 본체로 전송할 PING 간격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아직 PING 간격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사용자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S260)
게임 단말기 본체로 전송한 PING 간격에 도달한 경우에는 패드 ID를 이용하여 미리 정의한 PING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패드에서 PING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유 는 사용자의 입력이 장시간 없는 경우 게임 단말기 내부에서 해당 패드에 문제가 생긴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패드를 사용불가로 처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S280)
패드 ID로 인코딩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나 PING 데이터를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게임 단말기 본체에 전송한다.(S290)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 통신 이후 휴대용 게임 단말기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초기 통신 이후 휴대용 게임 단말기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법은 패드가 탈착된 경우에 게임 단말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한 프로세스의 진행과정을 나타낸다.(S400)
현재 이벤트 큐 혹은 장치관리자에 등록된 패드 ID에 부합하는 패드 ID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S410)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 수신된 데이터의 패드 ID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디코딩한다.(S411)
데이터가 디코딩되면 데이터(사용자 입력 패드 데이터)를 프로그램에 전달한다.(S411)
게임 진행상 휴대용 게임 단말기에서 패드로 전달할 정보(진동, BEEP 이벤트 혹은 디스플레이 정보 등)가 발생하는지를 결정한다.(S420)
패드로 전달할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에 전송되는 패드 ID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인코딩한다.(S421)
패드로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패드와의 접속 유지를 위해 PING 간격 도달 여부를 결정한다.(S430)
PING 간격이 도달하는 경우에는 전송할 패드의 패드 ID를 이용하여 PING 데이터를 인코딩한다.(S431)
패드 ID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코딩 하거나(S421) 혹은 PING 데이터를 인코딩한 경우에 해당 데이터를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한다.
PING 간격이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특정 패드로부터의 데이터나 PING 데이터의 송신이 미리 정의한 TIMEOUT 여부를 결정하고(S440), 만약 TIMEOUT 되었다면 해당 패드에 대하여 콘트롤로 등록 실패 이벤트를 발생한다.(S441)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및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은 휴대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조종장치가 탈착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고 동시에 탈착된 원격 조종장치만 휴대 게임 단말기의 게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특정 아이디를 부여하여 복수의 휴대 게임 단말기와 원격 조종장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은 실시간으로 휴대 게임기와 원격 조종 장치의 연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원격 조종장치의 탈착을 감지하고, 상기 원격 조종장치의 탈착이 감지되면 동시에 단말기 아이디와 패드 아이디를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탈착된 원격 조종장치로 전송하는 게임 단말기;
    상기 전송된 단말기 아이디와 패드 아이디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단말기 아이디와 패드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단말기와 통신을 시도하는 원격 조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아이디는 상기 탈착된 원격 조종장치의 오른쪽, 왼쪽에 관한 방향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아이디는 입출력 데이터의 인코딩/디코딩의 키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인 플레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4. 게임단말기로부터 패드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1 단계;
    상기 패드의 탈착이 감지되면, 상기 탈착된 패드의 탈착된 방향을 감지하는 2 단계;
    상기 패드의 탈착된 방향이 감지되면, 상기 게임단말기의 아이디와 상기 탈착된 패드의 아이디를 상기 탈착된 패드에 전송하는 3 단계;
    상기 전송된 게임단말기의 아이디와 탈착된 패드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탈착 패드가 상기 게임단말기로 통신을 시도하는 4단계;
    상기 탈착 패드와 상기 게임단말기 사이에 통신이 되면, 상기 게임 단말기 및 상기 패드에 탈착 콘트롤 모드를 작동하는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 통신 시도에 의해 통신이 실패한 경우에 배터리 레벨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콘트롤 모드가 작동하면 상기 게임 단말과 상기 패드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조종의 연동 방법.
KR1020060124749A 2005-12-08 2006-12-08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및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 KR100881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834 2005-12-08
KR20050119834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447A true KR20070061447A (ko) 2007-06-13
KR100881984B1 KR100881984B1 (ko) 2009-02-04

Family

ID=3835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749A KR100881984B1 (ko) 2005-12-08 2006-12-08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및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9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38B1 (ko) * 2010-07-19 2012-01-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컨트롤 유닛 및 그의 구동 방법
CN114124150A (zh) * 2021-12-13 2022-03-01 上海布鲁可积木科技有限公司 基于积木遥控的跳频通信方法、系统、介质以及积木玩具
KR20230123240A (ko) * 2022-02-16 2023-08-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제공 장치와 연동되는 메타버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6388U (ja) * 1992-04-24 1993-11-22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テレビゲーム装置
JPH05337250A (ja) * 1992-06-11 1993-12-21 Sekisui Chem Co Ltd ワイヤレスコントローラ
JP3217218B2 (ja) * 1994-10-25 2001-10-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ワイヤレスコントローラ
US20050221896A1 (en) 2004-03-31 2005-10-06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game controller with fast connect to a hos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38B1 (ko) * 2010-07-19 2012-01-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컨트롤 유닛 및 그의 구동 방법
CN114124150A (zh) * 2021-12-13 2022-03-01 上海布鲁可积木科技有限公司 基于积木遥控的跳频通信方法、系统、介质以及积木玩具
KR20230123240A (ko) * 2022-02-16 2023-08-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제공 장치와 연동되는 메타버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1984B1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711B1 (ko) 무선 장치를 콘솔 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한 시스템
US8073923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US950491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game system
CN1676185B (zh) 游戏系统及其中的主机与游戏控制器的绑定方法
EP3838357B1 (en) Center device
US68721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4350484B (zh) 基于消息的电子设备识别
US20070168860A1 (en) Communication system,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communication program usable for the same, and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CN101632270A (zh) 使用物理存在性配对无线设备的方法和系统
KR20070050057A (ko)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보안 페어링
JP2005288161A (ja) ホストへの迅速な接続を備える無線ゲームコントローラ
KR100881984B1 (ko) 휴대용 게임기의 원격 조종시스템 및 휴대용 게임기와 원격 조종장치의 연동 방법
JP2007125118A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6802733B2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ステータス管理方法
JP3564449B2 (ja) 携帯型端末装置、携帯型通信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528313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013843B2 (ja) ゲーム機器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2996399B1 (ja) ゲーム装置
CN216456849U (zh) 一种操作盘控制装置和麻将机
EP1222949A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3247400A (ja) 無線設定装置、無線設定方法、及び無線設定プログラム
JP3344480B2 (ja) ゲーム装置及び当該ゲーム装置を複数用いたゲーム制御方法
JP2007325659A (ja) ゲームシステム
JP2002101478A (ja) 通信開始通知機能を備えた赤外線制御装置
JP2022121242A (ja) 携帯端末更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