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014A -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014A
KR20070061014A KR1020060030509A KR20060030509A KR20070061014A KR 20070061014 A KR20070061014 A KR 20070061014A KR 1020060030509 A KR1020060030509 A KR 1020060030509A KR 20060030509 A KR20060030509 A KR 20060030509A KR 20070061014 A KR20070061014 A KR 20070061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vapor deposition
chemical vapor
reaction chamber
enhanced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082B1 (ko
Inventor
정우석
유용구
백문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6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by irradiation, e.g. photolysis, radiolysis, particle radiation
    • C23C16/487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by irradiation, e.g. photolysis, radiolysis,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n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5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using electric discharges
    • C23C16/513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using electric discharges using plasma j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PECVD) 및 이를 이용한 나노 입자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는 소정 용적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반응 챔버, 상기 반응 챔버에 장착되며 플라즈마를 발생하도록 하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상기 반응 챔버 내로 반응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 유입구와 상기 반응 챔버에 장착되어 전자를 방출하는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상기 필라멘트는 상기 상, 하부 전극에 의해 걸리는 전기장 영역 외에 장착되어 별도의 전원이 인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필라멘트에 의해 플라즈마를 용이하게 발생하여 나노 입자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PECVD, 필라멘트, 나노 입자, 탄소 나노 튜브

Description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nano-structured particles}
도 1은 종래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PECV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의 필라멘트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리콘 나노 입자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PECVD) 및 이를 이용한 나노 입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 나노 튜브(CNT)는 1991년 처음 발견된 이래로 미래를 바꿀 10대 신기술의 하나로 선택될 만큼의 파급력을 보유하고 있다. 소재분야의 만병통치약으로 일컫기도 하지만, 현재 1g에 500불 정도의 고가여서 아직은 실용적인 단계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관련 응용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은 문제도 있다.
일반적으로 CNT 제조 방법은 전기 방전식, 레이저 증착식, 열화학 기상 증착식, 플라즈마 기상 반응 증착법 등 5~6가지가 있다. 상기 전기 방전식은 양극/음극 탄소봉의 거리를 띄운 상태에서 전기적인 방전으로 CNT를 얻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전기 방전식은 산업상 양산에는 부적합하다. 상기 레이저 증착식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탄소를 기화시킴으로써 CNT를 얻는 방법으로 품질은 우수하나, 생산성이 극히 낮다. 상기 열화학 기상 증착식은 600℃~1000℃의 고온로에 기체를 흘려주어 CNT를 자연생성시켜주는 방법으로 초기에 메탈 시드(seed)가 다량 필요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나, 품질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플라즈마 기상 반응 증착법은 열화학 기상 증착식과 유사하나, 400℃~500℃의 낮은 온도에서도 CNT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기체 유입구(10)에 의해 챔버로 반응 기체가 유입된다. 상기 상부 전극(7)에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하부 전극(8)은 접지되어 상기 전극들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된 반응 기체들이 상기 전기장 영역에 유입되어 플라즈마 영역(5)을 생성한다. 상기 하부 전극(8)은 접지됨으로써 기판 홀더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8)상에 기판(3)이 놓이고, 상기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기판상에 CNT(6)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반응 후의 기체는 출구(4)를 통과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나노 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 입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PECVD)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노 입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나노 입자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PECVD)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는 소정 용적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반응 챔버와 상기 반응 챔버에 장착되며 플라즈마를 발생하도록 하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반응 챔버 내로 반응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 유입구와 상기 반응 챔버에 장착되어 전자를 방출하는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필라멘트는 상기 상, 하부 전극에 의해 걸리는 전기장 영역 외에 장착되어 별도의 전원이 인가된다. 이는 상기 상, 하부 전극에 의해 걸리는 전기장에 의해 상기 필라멘트에 원하지 않는 전원이 인가되어 스파이크가 발생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필라멘트는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전자 방출이 탁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텅스텐 계열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토리아 또는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를 덮는 쿼츠(quarts)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라멘트와 상기 반응 기체가 반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는 복수의 금속선들이 서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상기 금속선들이 수직으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온에서도 상기 금속선들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는 상기 필라멘트에 인가될 수 있는 제1 전원과 상기 상, 하부 전극에 인가되는 제2 전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에만 상기 제2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하부 전극은 접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전극은 기판이 놓이는 기판 홀더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는 상기 기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기판 홀더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판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가스 유입구를 통해 반응 챔버로 반응 기체를 유입하고 상기 반응 챔버에서 제1 전원이 인가된 필라멘트에 의해 전자를 방출한다. 상기와 같은 전자 방출량에 따라 나노 입자의 크기는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유입된 반응 기체와 상기 방출된 전자가 제2 전원이 인가된 상, 하부 전극 사이로 유입되어 플라즈마를 형성한다. 상기 필라멘트에 의해 방출된 전자들은 상기 반응 기체를 여기 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플라즈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나노 입자를 증착한다.
상기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효과적으로 나노 입자를 증착하기 위해 상기 기판을 200℃ 내지 600℃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판을 상기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는 전자를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텅스텐 계열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토리아, 탄소나노튜브 등으로 코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는 상기 반응 기체와 반응하지 않고 전자를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필라멘트와 상기 반응 기체와의 반응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해 상기 필라멘트에 쿼츠 튜브로 봉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필라멘트가 상기 반응 기체와의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아르곤, 헬륨, 질소와 같은 비활성 기체를 상기 필라멘트에 유입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 제조 방법에 의해 각각 적합한 반응 기체 및 전원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실리콘 나노 입자, 및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 등을 제조할 수 있 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저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어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정 용적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반응 챔버가 구비된다. 상기 반응 챔버는 기능에 따라 2개의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2 영역들 중 일 영역의 상기 반응 챔버에는 기체 유입구(10)와 필라멘트(20)가 장착된다. 반응 기체는 상기 기체 유입구(10)에 의해 상기 반응 챔버로 유입된다. 상기 필라멘트(20)는 제1 전원(100)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필라멘트(20)로부터 전자가 방출된다. 상기 필라멘트(20) 표면과 반응 기체와의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필라멘트(20) 주변에 아르곤, 헬륨, 또는 질소 등의 비활성 기체를 흘려줄 수 있다.
상기 2 영역들 중 나머지 영역의 상기 반응 챔버에는 상부 전극(70)과 하부 전극(80)이 장착된다. 상기 상, 하부 전극들(70, 80)에 각각 전압이 걸릴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전극(70)에 제2 전원(110), 예를 들어 고주파 전원이 인 가되고 하부 전극(80)은 접지 전압이 인가된다. 접지된 상기 하부 전극(80)은 하부 전극(80) 상에 기판(30)이 놓여져 기판 홀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80) 아래에는 가열 장치(9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전극(80) 상에 놓이는 기판(30)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온도는 200℃ 내지 600℃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기체와 전자는 상기 제2 전원(110)에 의해 상, 하부 전극들(70, 80)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 영역으로 유입되어 플라즈마(50)를 형성한다. 상기 플라즈마(50)에 의해 기판(30)에 나노 입자(60)가 증착된다.
상기 필라멘트(20)는 상기 상, 하부 전극들(70, 80)에 의해 걸리는 전기장 영역 외의 반응 챔버에 장착되어 별도의 전원이 인가된다. 즉, 상기 필라멘트(20)는 상기 제2 전원(110)에 의한 전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2 전원(110)에 의한 전기장에 의해 원하지 않는 전류가 흘러 스파이크가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라멘트(20)는 상기 기체 유입구(10)와 상기 상, 하부 전극들(70, 8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20)는 상기 상, 하부 전극(70, 80) 사이의 전기장 영역과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cm 정도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 유입구(10)와 대향 되도록 상기 반응 챔버에 기체 배출구(40)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기체 배출구(40)에 의해 나노 입자(60)가 형성된 후 남은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의 필라멘트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필라멘트는 복수의 금속선들이 서로 수평으로 배열된 필라멘트(20) 또는 수직으로 배열된 필라멘트(25)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배열된 필라멘트(25)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에서도 휘어지지 않는 등, 구조적으로 더 안정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는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전자 방출이 탁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텅스텐 계열의 금속, 토리아 또는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는 쿼츠(quarts) 튜브에 의해 봉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라멘트와 반응 기체의 반응을 방지하여,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전자를 더욱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리콘 나노 입자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2의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의 기체 유입구(도 2의 10)를 통해 SiH4 : HCl: H2 = 1:1:98 비율로 혼합한 기체를 흘렸다. 상기 기체는 필라멘트(20)를 통과하여 상, 하부 전극들(70,80) 사이로 유입되었다. 상기 필라멘트(20)를 통과한 기체는 상기 필라멘트(20)로부터 방출된 전자에 의해 여기 상태로 되어 상, 하부 전극(70, 80)으로 유입됨으로써 용이하게 플라즈마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20)는 1800℃ ~ 2200℃ 온도로 조정되었으며, 상기 상, 하부 전극들(70, 80)에는 RF 전원이 인가되었다.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리콘 나노 입자를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실리콘 나노 입자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증착 조건에 따라, 즉 과포화도에 따라 또는 필라멘트(20)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필라멘트(2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량에 따라 실리콘 나노 입자 크기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과포화도가 높거나 필라멘트 온도가 높을 때 도 4의 실리콘 나노 입자(200)는 3~4nm 크기의 입자가 생성되었고, 과포화도가 낮거나 필라멘트 온도가 낮을 때 도 5의 실리콘 나노 입자(250)는 10nm 크기의 입자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상기 필라멘트(20)에 의해 발생된 전자에 의해 플라즈마를 용이하게 생성하고, 따라서 실리콘 나노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라멘트(20)의 온도를 높일수록 상기 필라멘트(2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량이 증가하여 더욱더 작은 크기의 실리콘 나노 입자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필라멘트는 상, 하부 전극에 의한 전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단독으로 별개의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를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가 안전하게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한, 상기 필라멘트에 의해 방출된 전자는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로 유입된 기체를 여기시켜 용이하게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나노 입자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따라서 나노 입자를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촉매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제조된 나노 입자에 함유된 불순물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불순물 제거의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의 필라멘트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나노 입자를 획득할 수 있어 나노 입자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4)

  1. 소정 용적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반응 챔버,
    상기 반응 챔버에 장착되며 플라즈마를 발생하도록 하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상기 반응 챔버 내로 반응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 유입구, 및
    상기 반응 챔버에 장착되어 전자를 방출하는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PECVD).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상기 상, 하부 전극에 의해 걸리는 전기장 영역 외의 상기 반응 챔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에 인가되는 제1 전원과 상기 상, 하부 전극에 인가되는 제2 전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텅스텐 계열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토리아, 또는 탄소나노튜브로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복수의 금속선들이 서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를 덮는 쿼츠(quarts)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에 기판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10. 가스 유입구를 통해 반응 챔버로 반응 기체를 유입하는 단계,
    제1 전원이 인가된 필라멘트에 의해 전자를 방출하는 단계,
    상기 유입된 반응 기체와 상기 방출된 전자가 제2 전원이 인가된 상, 하부 전극 사이로 유입되어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200℃ 내지 600℃ 온도를 갖도록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비활성 기체를 상기 필라멘트로 유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기체는 아르곤, 헬륨, 및 질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탄소나노튜브, 실리콘 나노 입자, 및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KR1020060030509A 2005-12-08 2006-04-04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KR100779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168 2005-12-08
KR20050120168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014A true KR20070061014A (ko) 2007-06-13
KR100779082B1 KR100779082B1 (ko) 2007-11-27

Family

ID=3835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509A KR100779082B1 (ko) 2005-12-08 2006-04-04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8169B2 (en) 2012-12-20 2018-07-31 Samsung Display Co., Ltd. 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1038A (ja) 1985-04-26 1986-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cvd装置
JPH01270320A (ja) * 1988-04-22 1989-10-27 Seiko Epson Corp 絶縁薄膜堆積装置
JPH0645254A (ja) * 1992-03-13 1994-02-18 Limes:Kk アモルファスシリコン膜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8169B2 (en) 2012-12-20 2018-07-31 Samsung Display Co., Ltd. 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0944082B2 (en) 2012-12-20 2021-03-09 Samsung Display Co., Ltd. Vapor deposi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082B1 (ko) 200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409B1 (ko) 탄소 나노튜브 성장을 위한 장치 및 프로세스
US78246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 single-wall carbon nanotube array
Vizireanu et al. Plasma techniques for nanostructured carbon materials synthesis. A case study: carbon nanowall growth by low pressure expanding RF plasma
JP2001176431A (ja) 電界放出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42356B1 (ko) 플라스마 cvd를 이용한 탄소 막 생성 방법과 탄소 막
Liu et al. Advances of microwave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in fabrication of carbon nanotubes: a review
JP5420835B2 (ja) プラズマ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成膜方法
JP2006111517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作製装置および作製方法
JP2005307352A (ja) 炭素膜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68845B1 (ko) 탄소나노튜브 제조방법
JP5042482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集合体の製造方法
KR100779082B1 (ko) 플라즈마 강화 화학적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JP2006306704A (ja) 炭素膜の製造方法および炭素膜
KR100372334B1 (ko)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방법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합성 방법
JP3783057B2 (ja) 電界電子放出特性を利する自己造形的表面形状を有するsp3結合性窒化ホウ素薄膜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Cojocaru et al. Synthesi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by combining hot-wire and dc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KR100773151B1 (ko) 탄소나노계 물질을 이용한 전계방출램프용의 음극선제조방법
US20110056433A1 (en) Device for forming diamond film
US20050147765A1 (en) Method for producing particles with diamond structure
US7947243B2 (en) Boron nitride thin-film emitt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 emitting method using boron nitride thin-film emitter
KR20010039636A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백색 광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28895A (ko) 혼합 공급형 탄소나노튜브 형성장치
JP2006305554A (ja) 触媒の形成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炭素膜の製造方法
JP4608692B2 (ja) 大気中電子放出特性を有する電子放出素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素子を使用した電子放出方法
KR100360281B1 (ko) 다이아몬드 기상 합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