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478A - 차량용 스피드 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피드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478A
KR20070059478A KR1020050118359A KR20050118359A KR20070059478A KR 20070059478 A KR20070059478 A KR 20070059478A KR 1020050118359 A KR1020050118359 A KR 1020050118359A KR 20050118359 A KR20050118359 A KR 20050118359A KR 20070059478 A KR20070059478 A KR 20070059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ensor
sensor
cylindrical member
sensor rod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9478A/ko
Publication of KR2007005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12Recording devices
    • G01P1/122Speed rec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6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amplitude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65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amplitude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by using dynamo-electro tachometers or electric generat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4Indicat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eng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변속기의 출력부에 장착되어 타겟 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스피드 센서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체부와 하측부분이 변속기 내부로 삽입 관통되는 센서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봉의 길이가 너트의 조임과 이완 조작에 따라 가변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결합하여 타겟 기어의 반경에 따라 상기 센서봉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에어 갭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체부. 센서봉. 센싱소자

Description

차량용 스피드 센서{A SPEED SENSOR FOR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센서의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스피드 센서의 측면도.
본 발명은 차량용 스피드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봉의 길이 조절이 가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에어 갭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속도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차량용 스피드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있어서의 스피드 센서는 변속기의 출력속도를 검출하여 전자제어유닛으로 입력하는 역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변속기 내부의 타겟기어에 근접된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스피드 센서의 센싱소자가 내장된 센서봉 하단과 타겟기어와의 사이 간극을 일명 "에어 갭" 이라고 칭하고 있으며, 이 에어 갭은 매유 중요한 설계인자로서 센싱 소자의 종류 및 성능과 타겟기어의 형성과 사양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에어 갭은 0.8 ∼ 2 mm 정도의 범위를 가지며 이 범위 이상이 되면 센서 출력(보통 펄스)이 제대로 나오지 않게 되는 바, 최적의 에어 갭 선정이 이루어져야만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 스피드 센서의 장착 상태를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이 본체부(100) 하측으로 내부에 센싱소자(102)가 내장된 센서봉(104)이 일체로 형성되어 변속기 케이스(106)에 형성된 설치공(108)에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이에따라 변속기 내부 타겟기어(110)의 회전상태를 센서봉(104)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센싱소자(102)가 검출하여 미도시한 전자제어유닛으로 보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스피드 센서에 있어서는 센서봉이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 그 길이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출력 기어비에 따른 타겟기어의 반경 또는 잇수등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기어비에 따라 타겟기어의 반경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에어 갭을 정확히 하기 위하여는 스피드 센서의 센서봉 길이를 가변시켜야만 하는데 종래에는 센서봉의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타겟기어의 반경이 작은 경우에는 센서봉이 긴 센서를 사용하고, 반경이 큰 경우에는 짧은 센서봉을 갖는 스피드 센서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봉의 길이 조절이 가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에어 갭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속도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차량용 스피드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속기의 출력부에 장착되어 타겟 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스피드 센서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체부와 하측부분이 변속기 내부로 삽입 관통되는 센서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봉의 길이가 너트의 조임과 이완 조작에 따라 가변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설되는 환턱을 보유하는 원통부재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환턱에 대응하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이의 요입홈 하측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부재의 외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너트와; 내부 하단에 센싱소자가 내장되고, 중간부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원통부재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에 체결되는 센서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스피드 센서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센서의 구성도로서, 부호 2는 스피드 센서 전체를 지칭한다.
상기 스피드 센서(2)는 본체부(4)와 센서봉(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봉(6)의 하단 내부에는 센싱소자(8)가 내장된다.
이러한 스피드 센서(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의 하면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통부재(10)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이의 원통부재(10)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설되는 환턱(12)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의 원통부재(10)의 외주측에는 상기 환턱(12)에 대응하는 요입홈(14)를 갖는 너트(16)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센서봉(6)은 외경이 상기 원통부재(10)의 내경부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의 중간부에는 상기 너트(16)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숫나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센서봉(6)의 상단부터 상기 원통부재(10)에 삽입시킨 후 너트(16)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너트(16)의 암나사부와 센서봉(6)의 숫나사부(18)가 상호 보완작용을 하면서 센서봉(6)을 본체부(4) 방향으로 이동되어 길이가 짧아지게 되며, 상기와는 반대로 너트(16)를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센서봉(6)이 하향 인출되면서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스피드 센서(2)를 변속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변속기 케이스(20)의 외측부에 상기 너트(16)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22)를 확보하여야 하며, 상기 공간부(22)의 중앙부에는 상기 센서봉(6)이 삽입 관통되는 고정공(24)이 형성된다.
이에따라 도 1과 같은 상태로 변속기 케이스(20)에 장착되어 사용되어지는데, 변속비에 따라 타겟 기어(26)의 반경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센서봉(6)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에어 갭(AG)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제척으로는 타겟 기어(26)의 반경이 작을 때에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너트(16)를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센서봉(6)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에어 갭(AG)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타겟 기어(26)의 반경이 클 때에는 상기 너트(16)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센서봉(6)이 본체부(4)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에어 갭(AG)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드 센서를 구성하는 센서봉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타겟 기어 반경의 증감에 따라 센서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바, 타겟 기어와의 에어 갭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변속기 사양에 관계없이 센서봉의 길이 조절로 에어 갭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바, 전차종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차종에 따라 별도로 스피드 센서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변속기의 출력부에 장착되어 타겟 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스피드 센서에 있어서,
    변속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 관통되는 센서봉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봉은 너트의 조임과 이완 조작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본체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센서봉은 중간부에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본체부의 하측으로 돌설된 원통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숫나사부가 상기 원통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너트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4. 변속기의 출력부에 장착되어 타겟 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스피드 센서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설되는 환턱을 보유하는 원통부재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환턱에 대응하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이의 요입홈 하측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부재의 외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너트와;
    내부 하단에 센싱소자가 내장되고, 중간부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원통부재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에 체결되는 센서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 센서.
KR1020050118359A 2005-12-06 2005-12-06 차량용 스피드 센서 KR20070059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359A KR20070059478A (ko) 2005-12-06 2005-12-06 차량용 스피드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359A KR20070059478A (ko) 2005-12-06 2005-12-06 차량용 스피드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478A true KR20070059478A (ko) 2007-06-12

Family

ID=3835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359A KR20070059478A (ko) 2005-12-06 2005-12-06 차량용 스피드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94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832B1 (ko) * 2008-05-28 2010-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KR101282463B1 (ko) * 2011-10-24 2013-07-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832B1 (ko) * 2008-05-28 2010-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KR101282463B1 (ko) * 2011-10-24 2013-07-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6191B2 (en) Vehicle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US20200002992A1 (en) Actuator and vehicle door opening/closing actuator
JP4116557B2 (ja) 調節可能なハウジングのための保持装置
US7671262B1 (en) Adjusting mechanism of an instrument pedal
JP4805617B2 (ja)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
US11560912B2 (en) Tolerance compensation device
US7730798B2 (en) Sensor mounted in threaded rod with multipart sleeve for linear adjustment
US7438457B2 (en) Input shaft for a lamp adjuster
JP2019090258A (ja) ドアチェック装置
KR20070059478A (ko) 차량용 스피드 센서
CN109964052A (zh) 调节螺栓
US6450674B2 (en) Headlamp adjuster configured to prevent over-travel of an adjuster output shaft
CN218864985U (zh) 能够适应不同安装尺寸的拉杆式直线位移传感器
JPH1151011A (ja) 流体圧シリンダにおける位置検出センサ取付具
IT9068042A1 (it) Proiettore per veicoli.
US6206333B1 (en) Motor mount for vehicular seat apparatus
US9127726B2 (en) Rotary damper
JP5305647B2 (ja) 車輪の動作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電子ユニット
JPH07332339A (ja) 締結部の回り止め構造
JP2004162680A (ja) 電動式スロットルボデー
CN218496273U (zh) 无极调节长度的弹性温度探头
JP4296906B2 (ja) 人感センサユニット
CN110939645B (zh) 螺母紧固件
JP2022135411A (ja) 車両用インナーミラーの取付構造
JP2000103215A (ja) 自動車用懸架装置のストラットサスペ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