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463B1 -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463B1
KR101282463B1 KR1020110109003A KR20110109003A KR101282463B1 KR 101282463 B1 KR101282463 B1 KR 101282463B1 KR 1020110109003 A KR1020110109003 A KR 1020110109003A KR 20110109003 A KR20110109003 A KR 20110109003A KR 101282463 B1 KR101282463 B1 KR 101282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ensor
target wheel
gap
unit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780A (ko
Inventor
이준기
김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10109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4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21/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G01P21/02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f speedometers
    • G01P21/025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f speedometers for measuring speed of fluids; for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4Testing the effec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12Recording devices
    • G01P1/122Speed rec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는, 측정대상인 타겟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타겟휠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스피드센서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타겟휠과 상기 스피드센서 사이의 갭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드센서와 측정대상인 타겟휠과의 갭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종래보다 용이하고 신뢰성있는 시험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testing device f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peed sensor}
본 발명은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드센서와 측정대상인 타겟휠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종래보다 용이하고 신뢰성있는 시험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휠 스피드 센서(Wheel Speed Sensor, 이하 스피드센서라 함.)는 드라이브 샤프트에 결합된 차륜부위로 설치되어져, 자동차의 바퀴(타겟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해서 자동차의 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자동차의 차속은 각종 자동차 내부 제어의 입력값으로 쓰이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측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차속 측정을 담당하는 스피드센서의 성능특성이 정확한지, 스피드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정보가 신뢰성있는 데이터값인지 검증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제 자동차에 부착되기 전에 스피드센서의 성능특성 시험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스피드센서의 성능특성 시험은 규격화된 시험 규격에 따라 스피드센서의 전기적 성능 시험을 수행하며, 스피드센서가 측정대상이 되는 타겟휠과의 갭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스피드센서가 타겟휠과 이루는 간격에 따라 측정되는 전압값이나 주기가 달라지고 그에 따라 스피드센서의 출력값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스피드센서의 전기적 성능 시험을 실시할 때에는 타겟휠에 스피드센서를 측정자가 수동으로 타겟휠의 간격을 조절하고 있고, 스피드센서의 샘플이 바뀔때마다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신뢰성있는 시험 데이터값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측정자가 타겟휠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킨 채 성능특성 시험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험 자체가 용이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피드센서와 측정대상인 타겟휠과의 갭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종래보다 용이하게 성능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신뢰성있는 시험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는, 측정대상인 타겟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타겟휠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스피드센서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타겟휠과 상기 스피드센서 사이의 갭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부의 노이즈를 차폐하는 차폐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겟휠과 상기 스피드센서 사이의 갭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휠과 상기 스피드센서 사이의 갭을 조절하도록 상기 승하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겟휠과 상기 스피드센서 사이의 갭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값과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승하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승하강몸체; 및 상기 승하강몸체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승하강몸체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스피드센서와 측정대상인 타겟휠과의 갭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종래보다 용이하게 성능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신뢰성있는 시험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의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의 제어 블록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은 스피드센서의 전기적 성능 시험을 실시할 때에는 타겟휠에 스피드센서를 측정자가 수동으로 타겟휠의 간격을 조절하여 성능특성 시험을 수행하는데 있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신뢰성있는 시험 데이터값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피드센서와 타겟휠 사이의 갭을 조절하여 신뢰성있는 데이터값을 얻을 수 있는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가 제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의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S) 성능특성 시험장치는, 측정대상인 타겟휠(101)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00)와, 타겟휠(101)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스피드센서(S)를 고정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에 연결되어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부(110)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120)와, 구동부(100)와 상기 고정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부(100)의 노이즈를 차폐하는 차폐벽부(130)와, 이들 각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판부(50)를 포함한다.
구동부(100)는, 타겟휠(101)과, 타겟휠(101)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03)와, 타겟휠(101)과 구동모터(103)를 상호 연결시키는 구동축(102)을 포함한다.
타겟휠(101)은 실제 스피드센서(S)의 성능시험을 위해 측정의 대상이 되는 대상 휠을 말한다. 타겟휠(101)은 구동축(102)을 통해 구동모터(103)와 연결된다.
고정부(110)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승하강부(120)와 연결되는 제1 고정몸체(111)와, 제1 고정몸체(111)와 연결되는 제2 고정몸체(112)를 포함한다.
제1 고정몸체(111)는 승하강부(120)의 승하강몸체(121)와 연결된다. 승하강부(120)의 승하강몸체(121)가 승하강 함에 따라 제1 고정몸체(111)도 일체로 승하강된다.
제2 고정몸체(112)는 제1 고정몸체(111)로부터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 연장되어, 타겟휠(101)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고정몸체(112)의 단부 영역에는 스피드센서(S)를 고정시키는 고정지그(1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지그(11)는 스피드센서(S)를 수용하는 일종의 플레이트로 제작되고, 제2 고정몸체(112)의 삽입공(113)에 스피드센서(S)가 걸림 결합하여 스피드센서(S)를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스피드센서(S)와 고정부(110)간의 결합과 착탈이 용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피드센서(S)의 착탈을 쉽게 하면서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이면 다른 변형 실시예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지그(11)는 생략된 채 스피드센서(S)를 제2 고정몸체(112)의 삽입공(113)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승하강부(120)는 스피드센서(S)의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승하강부(120)는, 고정부(110)를 지지하는 승하강몸체(121)와, 승하강몸체(121)에 인접 배치되어 승하강몸체(121)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22)를 포함한다.
승하강몸체(121)는 고정부(110)의 제1 고정몸체(111)와 고정나사(124)를 이용하여 볼트 결합된다. 이와 달리, 제1 고정몸체(111)와 승하강몸체(121)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122)는 승하강몸체(121)에 연결된 실린더로드(123)에 연결되며, 지지판부(50)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액추에이터(122)는 2개의 실린더로 마련되며, 실린더의 구동 방식은 공압식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승하강부(120)를 통해,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감지부(140)를 통해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이 측정되고, 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간격이 아닌 경우, 액추에이터(122)를 동작시켜 승하강부(120)의 승하강몸체(121)를 승하강시키고 이에 연결된 고정부(110)가 승하강되어 최종적으로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차폐벽부(130)는, 구동부(100)와 고정부(110) 사이 혹은 구동부(100)와 스피드센서(S)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부(100)의 노이즈를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차폐벽부(130)는 구동모터(103)와 타겟휠(101)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차폐판(13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하강부(120)의 액추에이터(122)를 좌우에서 감싸는 한쌍의 차폐판(130)을 마련하여 구동부(100)의 전기적 노이즈가 스피드센서(S) 쪽으로 진행하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의 차폐판이 생략되고 구동모터에 별도의 접지라인이 마련되어 구동모터의 전기적 노이즈가 접지라인으로 배출되도록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센서(S) 성능특성 시험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드센서(S)를 타겟휠(101) 사이의 갭(G)을 조절하는 제어부(160)와, 측정자가 갭(G)을 입력하는 입력부(150)와,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감지하는 감지부(140)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작업자가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150)로부터 입력된 갭(G)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60)로 출력되고, 제어부(160)는 액추에이터(122)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입력부(150)는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입력수단(키패드 등)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140)는,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감지하여 갭(G)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감지부(140)는 제1 고정몸체(111)의 단부 영역에 마련되어 타겟휠(101)의 수직 상방에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구분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타겟휠(101)로부터 단부측으로 일정 간격 이동되어 도시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감지부(140)는 타겟휠(101)의 거리감지센서이다. 이러한 거리감지센서는 수광부 및 발광부를 갖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제어부(160)는 거리감지센서(140)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이 설정된 범위일 경우에 승하강부(120)를 동작시키고 정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조절하도록 승하강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50)의 입력값과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승하강부(120)를 제어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들을 갖는 스피드센서(S) 성능특성 시험장치를 통하여 스피드센서 성능특성(S)의 시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부(110)에 성능특성을 시험할 스피드센서(S)를 결합한다. 제어부(160)에는 타겟휠(101)의 속도 및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거리감지센서가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160)로 출력시키고,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갭(G)과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한 경우 승하강부(120)를 구동시켜 갭(G)을 조절한다.
다음으로, 감지부(140)를 통해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이를 제어부(160)에 출력시키고,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갭(G)과 일치된 경우 승하강부(120)에 대한 구동 신호를 중단한다.
이때, 입력부(150)를 통해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승하강부(120)를 구동시켜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조절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타겟휠(101)을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스피드센서(S)의 성능특성 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피드센서(S) 성능특성 시험장치의 동작을 통해, 스피드센서(S)와 측정대상인 타겟휠(101)과의 갭(G)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종래보다 용이하고 신뢰성있는 시험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타겟휠(101)과 스피드센서(S) 사이의 갭(G)을 작업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시켜 제어부(160)가 승하강부(120)를 구동시켜 갭(G)을 조절할 수 있어 스피드센서(S)의 성능특성 시험을 수행하는데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구동부 101 : 타겟휠
102 : 구동축 103 : 구동모터
110 : 고정부 111 : 제1 고정몸체
112 : 제2 고정몸체 113 : 삽입공
120 : 승하강부 121 : 승하강몸체
122 : 액추에이터 123 : 실린더로드
130 : 차폐벽부 140 : 감지부, 거리감지센서
140 : 감지부 150 : 입력부
160 : 제어부

Claims (6)

  1. 측정대상인 타겟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타겟휠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스피드센서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타겟휠과 상기 스피드센서 사이의 갭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휠과 상기 스피드센서 사이의 갭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휠과 상기 스피드센서 사이의 갭을 조절하도록 상기 승하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부의 노이즈를 차폐하는 차폐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겟휠과 상기 스피드센서 사이의 갭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값과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승하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5. 측정대상인 타겟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타겟휠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스피드센서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타겟휠과 상기 스피드센서 사이의 갭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승하강몸체; 및
    상기 승하강몸체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승하강몸체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KR1020110109003A 2011-10-24 2011-10-24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KR101282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003A KR101282463B1 (ko) 2011-10-24 2011-10-24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003A KR101282463B1 (ko) 2011-10-24 2011-10-24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780A KR20130044780A (ko) 2013-05-03
KR101282463B1 true KR101282463B1 (ko) 2013-07-04

Family

ID=4865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003A KR101282463B1 (ko) 2011-10-24 2011-10-24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4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11B1 (ko) * 2013-12-26 2014-06-27 주식회사 리얼게인 센서 성능 검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95737B1 (ko) 2013-09-13 2015-02-25 주식회사 혁신전공사 철도차량 검지 시뮬레이션 장치
KR20200017933A (ko) 2018-08-10 2020-02-19 허기욱 Rpm 측정센서 테스트장치
KR102179282B1 (ko) * 2019-07-10 2020-11-17 공항철도 주식회사 열차속도감지부의 테스트 시스템
KR102557622B1 (ko) 2022-03-24 2023-07-21 (주) 엔텍코아 자기변형 선형 변위 변환기의 특성 시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188B1 (ko) * 2014-10-02 2016-07-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회전체용 측정센서 검사장치
CN104407174B (zh) * 2014-12-02 2017-06-0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转速传感器测试试验台
CN106896240A (zh) * 2015-12-17 2017-06-27 大陆汽车电子(长春)有限公司 一种汽车速度传感器测试实验台及其测试方法
CN105527460B (zh) * 2016-01-25 2018-09-25 宁波中车时代传感技术有限公司 速度传感器测试装置及其测量方法
CN105842482B (zh) * 2016-03-31 2019-12-20 中国航空动力机械研究所 传感器输出测试平台
CN106769124A (zh) * 2016-11-11 2017-05-31 北京唯迈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时间调制传递函数的测量系统及方法
CN108490220A (zh) * 2018-03-30 2018-09-04 中车永济电机有限公司 速度传感器模拟试验装置
CN113419083B (zh) * 2021-06-23 2024-01-26 浙江创博汽车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轮速传感器的检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478A (ko) * 2005-12-06 2007-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피드 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478A (ko) * 2005-12-06 2007-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피드 센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37B1 (ko) 2013-09-13 2015-02-25 주식회사 혁신전공사 철도차량 검지 시뮬레이션 장치
KR101399211B1 (ko) * 2013-12-26 2014-06-27 주식회사 리얼게인 센서 성능 검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17933A (ko) 2018-08-10 2020-02-19 허기욱 Rpm 측정센서 테스트장치
KR102179282B1 (ko) * 2019-07-10 2020-11-17 공항철도 주식회사 열차속도감지부의 테스트 시스템
KR102557622B1 (ko) 2022-03-24 2023-07-21 (주) 엔텍코아 자기변형 선형 변위 변환기의 특성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780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463B1 (ko)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CN104785452B (zh) 一种轴承高度检测装置
KR102062197B1 (ko) 음향 포트 폐색을 이용한 장치 검사
KR100916915B1 (ko) 유압실린더 검사장치
CN104567779B (zh) 一种差速器左、右轴承垫片测选系统
CN104865053A (zh) 一种汽车板簧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KR101671712B1 (ko)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TWI572547B (zh) 自動裝卸鋼捲的天車裝置及裝卸方法
CN103954260A (zh) 汽车散热器检测装置
KR101227097B1 (ko) 타이어의 트레드 강도 및 비드이탈 시험장치
CN207730186U (zh) 一种线盘的检验装置
KR101637188B1 (ko) 회전체용 측정센서 검사장치
CN107806851A (zh) 一种线盘的检验装置及方法
CN103776408A (zh) 产品厚度自动快速定位检测治具
KR101729421B1 (ko) 타이어 마모상태 검사장치
CN106168458A (zh) 一种检测t形孔同轴度的装置
KR101956172B1 (ko) 탐촉자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레일탐상기
EP2803965A2 (en) Improved testbench for land vehicles
CN204439053U (zh) 金刚石刀头参数自动测量装置
CN107976310A (zh) 一种制动器试验工装
CN204064689U (zh) 单滚筒在整车状态下测量轮胎滚动阻力的装置
CN209432320U (zh) 电机扭矩自动检测机
KR20110041777A (ko) 서보모터를 이용한 토양강도 측정장치
CN210269125U (zh) 汽车侧防护强度检测试验台
CN104729449A (zh) 金刚石刀头参数自动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