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512A - 개선된 파일럿 밸브 마운팅 구조물을 가지는 리버싱 밸브조립체 - Google Patents

개선된 파일럿 밸브 마운팅 구조물을 가지는 리버싱 밸브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512A
KR20070058512A KR1020077006404A KR20077006404A KR20070058512A KR 20070058512 A KR20070058512 A KR 20070058512A KR 1020077006404 A KR1020077006404 A KR 1020077006404A KR 20077006404 A KR20077006404 A KR 20077006404A KR 20070058512 A KR20070058512 A KR 2007005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anel
valve assembly
hole
revers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렌스 비. 홀
잭 에이. 모레노
Original Assignee
란코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델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란코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델라웨어 filed Critical 란코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델라웨어
Publication of KR2007005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8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68Sliding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39Four port rever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파일럿 밸브 조립체는 제 1 및 제 2의 평행한 레그 패널들 사이에서 연장된 앵커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한다. 4대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은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의 원위 단부들을 연결하는 탑 레그 패널을 가지는 것을 도시된다. 축 라인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구멍은 제 2 레그 패널을 통과하고 제 1 레그 패널을 통과하도록 배열된다. 중앙 보어를 가진 솔레노이드 코일은 중앙 보어가 축 라인에 대해 정렬되도록 레그 패널들 사이에 배열된다. 파일럿 밸브 바디의 단부가 다양한 방법으로 제 2 레그 패널에 인접하고 이에 고정되도록 파일럿 밸브 바디는 제 1 구멍을 통해 중앙 보어로 삽입된다. 마운팅 브래킷은 단일의 통합된 블랭크로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파일럿 밸브 마운팅 구조물을 가지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REVERSING VALVE ASSEMBLY WITH IMPROVED PILOT VALVE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리버싱 밸브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 리버싱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작동식 파일럿 밸브를 가진 리버싱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버싱 밸브 조립체는 유체 흐름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상기 시스템에서 유체는 다양한 대안의 루프 또는 서킷에서 흐르도록 안내된다. 예를 들어 열펌프들은 2가지의 다른 모드에서 작동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세분화된 냉각 시스템이다. 냉각 모드로 알려진 제 1 모드에서 열 형태의 에너지는 내측 환경으로부터 제거되어 외부 환경으로 전달된다. 가열 모드로 알려진 제 2 모드에서 열 에너지는 내측 환경으로 전달된다. 열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열 펌프 시스템은 각각의 환경내에 위치된 열전달 코일을 포함하는 밀폐된 서킷 시스템을 통하여 유체 냉각제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이용한다. 추가적으로, 냉각제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압축기는 열역학적 에너지를 시스템으로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가열 모드와 냉각 모드 사이에서 열펌프 시스템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시스 템은 냉각제의 흐름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버싱 밸브 조립체는 열전달 코일 및 압축기와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포트를 가진 리버싱 밸브 바디를 포함한다. 리버싱 밸브 바디는 2가지의 다른 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 이동식 밸브 부재를 둘러싸며, 밸브 부재는 포트의 다른 그룹핑(grouping)들 사이에서 냉각제 흐름을 안내한다. 밸브 부재는 리버싱 밸브 바디로 공급되는 구동 압력의 변화에 따라 이동된다. 시스템으로부터 배출된 유체 냉각제는 구동 압력을 위한 소스(source)로서 이용된다.
구동 압력의 변화, 즉 밸브 부재의 모션을 제어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리버싱 밸브 조립체는 리버싱 밸브 바디에 부착된 파일럿 밸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파일럿 밸브 조립체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장치이며, 냉각제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열펌프 시스템 및 리버싱 밸브 바디와 유체 연통된다. 리버싱 밸브 바디에 제공된 구동 압력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파일럿 밸브 조립체는 왕복 운동 가능한 플런저를 가지는 신장된 파일럿 밸브 바디를 포함한다. 플런저의 다양한 위치로 인해 파일럿 밸브 조립체는 구동 압력의 공급을 리버싱 밸브 바디로 전환시킨다. 플런저의 위치는 파일럿 밸브 바디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구동시킴으로써 가변될 수 있다.
파일럿 밸브 조립체를 리버싱 밸브 바디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종종 마운팅 브래킷은 리버싱 밸브 바디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파일럿 밸브 바디는 마운팅 브래킷으로부터 연장되고 이에 수용될 수 있다. 파일럿 밸브 바디를 마운팅 브래킷에 고정하기 위하여 종종 파일럿 밸브 바디는 리테이너 클립(retainer clip)을 이용하여 마운팅 브래킷에 수용되거나 제 위치에 고정된다. 파일럿 밸브 바디의 클림핑 고정(crimping)은 교체 및 수리를 위해 리버싱 밸브로부터 파일럿 밸브 바디를 측면으로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복잡하다. 게다가 솔레노이드 코일은 그 외의 다른 패스너를 이용하여 마운팅 프레임에 개별적으로 장착되어 져야 하는 개별적인 솔레노이드 코일 프레임이 제공된다. 종래의 부착 방법은 개별적인 마운팅 브래킷과 코일 프레임들의 이용이 요구된다. 대안으로 솔레노이드 코일 프레임은 캔틸레버식으로 파일럿 밸브 바디의 연장된 부분 위에 장착된다. 솔레노이드 코일의 캔틸레버식 장착에 따라 파일럿 밸브 조립체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를 설치하고 취급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참고 문헌으로 구성되고, 란코 인토포레이티드로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712,582호는 솔레노이드 코일 프레임과 파일럿 밸브 바디를 개별적으로 장착시키는데 발생되는 문제점이 기술된다. 미국 특허 제 4,712,58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앵커 패널을 리버싱 밸브 바디로 장착하고 그 뒤 밸브의 일부분이 앵커 패널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파일럿 밸브 바디가 앵커 패널을 통해 삽입된다. 그 뒤 솔레노이드 코일은 앵커 패널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파일럿 밸브 바디의 돌출된 부분 위로 삽입된다. 리테이너 패널은 앵커 패널과 리테이너 패널 사이의 솔레노이드 코일을 둘러싸기 위하여 파일럿 밸브 바디의 돌출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부착 장치에 따라 상당한 장점이 제공되는 반면, 앵커 패널과 탈착식 리테이너 패널을 이용함에 따라 2개의 개별적인 부분을 제조할 필요성이 야기되며 이로 인해 리버싱 밸브 조립체의 비용이 증가된다. 추가적으로 다수의 부품들을 이용함으로 인해 리버싱 밸브 조립체의 조립이 복잡해지며, 추가 비용이 증가된다. 리테이너 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하여 나사산 너트는 파일럿 밸브 바디의 돌출 부분 위에 체결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코일은 앵커 패널과 리테이너 패널 사이에 클램프 고정된다. 조립을 하는 동안 솔레노이드 코일의 손상과 너트가 과도하게 조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발명은 파일럿 밸브 조립체를 부착시키기 위한 개선된 마운팅 구조물을 가진 리버싱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리버싱 밸브 조립체는 리버싱 밸브 바디에 부착된 앵커 패널, 앵커 패널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레그 패널 및 제 1 레그 패널에 평행하고 앵커 패널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레그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한다. 제 1 구멍은 제 1 레그 패널을 통과하도록 배열되며 바람직하게 제 2 구멍을 제 2 레그 패널을 통과하도록 배열된다.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은 공통의 축 라인에 대해 서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몇몇 형태에 있어서, 마운팅 브래킷의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들은 탑 패널(top panel)에 의해 결합된 각각의 원위 단부(distal end)를 형성한다. 제 1 레그 패널은 솔레노이드 코일 상에 압축 고정하중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2 레그 패널을 향해 내부를 향하여 만곡된다. 또한 제 1 레그 패널은 탑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상부 부분과 앵커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하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구멍을 통해 분리될 수 있다(sever).
파일럿 밸브 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제공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중앙 보어를 포함하며, 중앙 보어가 축 라인에 대해 제 1 및 제 2 구멍과 정렬되도록 제 1 레그 패널과 제 2 레그 패널 사이의 3개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으로 삽입된다. 파이럿 밸브 조립체는 제 1 단부와 마주보는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신장된 파일럿 밸브 바디를 포함한다. 파일럿 밸브 바디는 중앙 보어와 슬라이딩 피트(sliding fit) 상태로 연결되도록 크기가 형성된다. 제 1 단부에 인접한 파일럿 밸브 바디는 리버싱 밸브 바디 및 냉각제 시스템과 연통되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포트가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솔레노이드와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는 파일럿 밸브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하여, 파일럿 밸브 바디는 제 1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고, 중앙 보어에 수용되며, 이에 따라 파일럿 밸브 바디는 축 라인에 대해 정렬된다. 상기 파일럿 밸브 바디가 완전히 삽입될 때, 파일럿 밸브 바디의 제 2 단부는 제 2 레그 패널에 대해 인접하는 반면 제 1 단부는 제 1 레그 패널로부터 연장되어 포트들이 방해받지 않는다. 조립된 파일럿 밸브 조립체, 솔레노이드 코일 및 마운팅 브래킷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2 단부는 예를 들어 제 2 구멍을 통과하도록 삽입된 나사산 패스너를 이용하여 제 2 레그 패널에 고정된다. 제 2 단부를 제 2 레그 패널로 고정시킴에 따라 솔렌이드 코일은 마운팅 브래킷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방법으로 부품들을 서로 고정시킴에 따라 솔레노이드 코일은 2개의 평행한 레그 패널들 사이에서 압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점에 있어서, 마운팅 브래킷은 파일럿 밸브 조립체와 솔레노이드 코일을 리버싱 밸브로 동시에 장착시킨다. 그 외의 다른 장점에 따르면, 3개의 패널들을 포함하는 마운팅 브래킷은 일체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 외의 장점에 따르면, 파일럿 밸브 바디를 마운팅 브래킷으로 고정함에 따라 동시에 솔레노이드 코일이 마운팅 브래킷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특징과 그 외의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부품들을 도시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은 파일럿 밸브 조립체와 리버싱 밸브를 포함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의 정면도.
도 2는 라인 2-2를 따라 절단한 도 1의 리버싱 밸브 조립체의 측면도.
도 3은 라인 3-3를 따라 절단한 도 1의 리버싱 밸브 조립체의 측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라인 4-4를 따라 절단한 커버 플레이트, 마운팅 브래킷 및 솔레노이드 코일을 포함하는 파일럿 밸브 조립체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4의 원 A에 대한 실시예의 상세도이며, 여기서 파일럿 밸브 조립체는 마운팅 브래킷으로 말뚝고정된다(stake).
도 6은 도 4의 원 A에 대한 대안의 실시예의 상세도이며, 여기서 파일럿 밸 브 조립체는 마운팅 브래킷으로 리벳 체결된다.
도 7은 도 4의 원 A에 대한 대안의 실시예의 상세도이며, 여기서 파일럿 밸브 조립체는 리테이닝 클립을 이용하여 마운팅 브래킷으로 수용된다.
도 8은 도 4의 원 A에 대한 대안의 실시예의 상세도이며, 여기서 파일럿 밸브 조립체는 마운팅 브래킷으로 용접된다.
도 9는 도 4에 대응하는 상세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4개의 측면을 가진 브래킷의 투시도.
본 발명은 특정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 기술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개조물을 포함한다.
도면에 관하여 언급하면,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며, 도 1 내지 도 3에는 열펌프(thermal pump)와 같은 냉각기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리버싱 밸브 조립체(reversing valve assembly, 100)의 실례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열펌프 시스템은 내측 환경에 위치된 내측 열교환기, 외측 환경에 위치된 외측 열교환기 및 시스템을 통하여 냉각제를 펌핑하고 가압하기 위한 압축기를 포함한다. 열펌프 시스템들은 내측 열교환기에 의해 내측 환경으로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가열 모드와 내측 환경으로부터 열에너지가 제거되는 냉각 모드에서 작동 가능하다. 가 열 모드와 냉각 모드 간의 전환을 위하여 리버싱 밸브 조립체(100)는 열펌프 시스템 내에서 상호연결되며, 시스템을 통하여 유체 냉각제 흐름을 선택적으로 방향설정할 수 있다.
리버싱 밸브 조립체(100)는 열펌프 시스템을 통해 냉각제를 선택적으로 방향설정하기 위한 리버싱 밸브(102)를 포함한다. 리버싱 밸브(102)는 관형의 신장된 리버싱 밸브 바디(110)를 포함하고, 상기 리버싱 밸브 바디로부터 적어도 4개의 흐름 튜브(112, 114, 116, 118)가 연장된다. 흐름 튜브들은 리버싱 밸브(102)와 열펌프 시스템의 다른 부품들 사이에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을 형성하기 위하여 냉각제 흐름 라인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흐름 튜브(112)는 압축기의 고압 배출부와 연통되는 반면 제 2 흐름 튜브(114)는 압축기의 저압 유입부와 연통된다. 제 3 및 제 4 흐름 튜브들은 열교환기와 연통된다. 다양한 흐름 튜브들 사이에 냉각제 흐름을 안내하기 위하여 리버싱 밸브 부재 바디(110)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밸브 부재가 제공된다. 리버싱 밸브 바디(110) 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의 위치에 따라 열펌프 시스템을 통과하는 냉각제의 흐름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시스템이 가열 모드 또는 냉각 모드에서 작동될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밸브 부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리버싱 밸브 조립체는 리버싱 밸브(102)에 장착된 파일럿 밸브 조립체(pilot valve assembly, 104)를 포함한다. 파일럿 밸브 조립체(104)는 열펌프 시스템 내에서 흐르는 가압된 냉각제를 이용하며, 밸브 부재를 물리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냉각제 압력을 구동 압력으로 전환시킨다. 이를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일럿 밸브 조립체(104)는 압축기 배출부로부터 고압의 냉각제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피펫(pipette, 130)에 의해 제 1 흐름 튜브(112)에 연통되고, 압축기 유입부로부터 저압의 냉각제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피펫(132)에 의해 제 2 흐름 튜브(114)에 연통된다. 이러한 압력은 리버싱 밸브 바디 내에서 차압을 형성하기 위하여 파일럿 밸브 조립체(104)에 의해 피펫(134, 136)을 통해 리버싱 밸브 바디(110)의 마주보는 단부들에 연통된다. 파일럿 밸브 조립체(104)의 선택적인 구동에 따라 마주보는 단부들로 제공되는 압력은 역으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차압이 역전환되며, 밸브 부재는 리버싱 밸브 바디(110) 내부에서 재 위치설정된다.
도 4에 관하여 언급하면, 파일럿 밸브 조립체(104)는 파일럿 밸브 부품(142)들을 둘러싸는 신장된 파일럿 밸브 바디(140)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밸브 부품은 배출된 시스템 압력을 리버싱 밸브 바디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일럿 밸브 바디(104)는 밸브 단부(144)로 일컫는 제 1 단부와 고정 단부(146)로 일컫는 마주보는 제 2 단부 사이에서 축 라인(106)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이며 관형인 구조물이다. 플런저(plunger, 148)가 축 라인(106)과 정렬되고 파일럿 밸브 바디(140) 내에서 미끄럼 가능하도록 수용됨에 따라 파일럿 밸브 부품(142)들은 이들이 이동될 수 있는 밸브 단부(144)를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밸브 단부(144)와 인접하고 파일럿 밸브 바디(140)로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포트(150)는 리버싱 밸브와 연통되는 피펫과 연결된다. 단부 캡(152)은 파일럿 밸브 바디(140)의 고정 단부(146)를 둘러싸고 이에 위치된다. 제 1 위치에서 플런저(148)를 편향시키기 위하여 파일럿 밸브 바디 내에서는 단부 캡(152)과 플런저 사이에서 연장되는 나선형 스프링(154)이 제공된다.
파일럿 밸브 조립체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코일(160)이 제공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전압이 공급될 때 전자기 효과를 형성하도록 감겨지는 전도성 와이어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감겨지는 와이어는 플라스틱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로 캡슐화처리되고, 제 1 코일면(162), 마주보는 제 2 코일면(164) 및 이들 사이에 배열된 중앙 보어(166)를 가진 원통형 드럼과 같은 형태로 형태가 형성된다. 파일럿 밸브 조립체(104)가 솔레노이드 코일(160)로 조립될 때, 파일럿 밸브 바디(140)는 밸브 단부(144)가 제 1 코일면(162)을 초과하여 돌출되고 솔레노이드 코일이 고정 단부(146)를 둘러싸도록 중앙 보어(166)로 수용된다. 바람직하게 파일럿 밸브 바디(140)와 중앙 보어(166)는 서로 슬라이딩 피트(sliding fit) 상태로 연결되도록 크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 시, 중앙 보어(166)는 축 라인(106)을 따라 파일럿 밸브 바디(140)와 동축을 형성한다.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코일(160)에 전압이 공급될 때, 플런저(148)는 고정 단부(146)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끌어당겨 지며, 이에 따라 나선형 스프링(154)은 단부 캡(152)에 대해 압축된다. 솔레노이드 코일(160)을 전력원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2개의 리드 와이어(lead wire, 168)가 제공된다.
파일럿 밸브와 솔레노이드 코일을 리버싱 밸브로 장착시키기 위하여 마운팅 브래킷(170)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마운팅 브래킷은 적어도 3개의 측면을 가지며, 철금속 또는 그 외의 유사한 자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마운팅 브래킷의 중간 측면은 앵커 패널(anchor panel, 172)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레그 패널(174)은 앵커 패널(172)의 변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반면 제 2 레그 패널(176)은 앵커 패널의 마주보는 변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2개의 레그 패널(174, 176)들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앵커 패널(172)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제 1 구멍(180)은 제 1 레그 패널(174)을 통과하도록 배열되는 반면 바람직하게 제 2 구멍(182)은 제 2 레그 패널(176)을 통과하도록 배열된다. 제 1 및 제 2 구멍(180, 182)은 서로 정렬되도록 레그 패널내에 배치되어 축 라인(axis line, 106)을 형성한다. 따라서 앵커 패널(172)은 축 라인(106) 하부에서 오프셋 설정되며,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174, 176)은 축 라인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멍(180, 182)들은 원형의 형태를 가지며, 제 2 구멍의 직경은 제 1 구멍의 직경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제 1 구멍(180)의 직경은 파일럿 밸브 바디(140)와 슬라이딩 피트(sliding fit)를 형성하도록 치수가 형성된다.
마운팅 브래킷(170)은 엥커 패널(172)에 영구적으로 고정된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174, 176)을 포함하는 단일의 일체 부분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패널들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패널들과 구멍을 포함하는 마운팅 브래킷은 스탬핑(stamping) 및 밴딩 작업(bending operation)을 통해 재료의 일반적인 블랭크(common blank)로부터 제조된다. 마운팅 브래킷을 단일의 부분으로 제조함에 따라 재료 및 제조의 비용이 절약된다.
도 1 내지 도 3에 관하여 언급하면, 마운팅 브래킷(170)을 리버싱 밸브(102)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앵커 패널(172)은 리버싱 밸브 바디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된 레그 패널(174, 176)을 이용하여 리버싱 밸브 바디(110)의 대략 중간 지점에 연 결된다. 이를 위해 용접, 납땜 및 접착성 본딩과 같은 다양한 결합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코일(160)과 마운팅 브래킷(170)을 서로 조립하기 위하여 중앙 보어(166)가 제 1 구멍(180)과 제 2 구멍(182)에 대해 정렬되도록 솔레노이드 코일(160)을 제 1 레그 패널(174)과 제 2 레그 패널(176) 사이에 배치시킨다. 따라서 중앙 보어(166)는 축 라인(166)에 대해 정렬된다. 제 1 레그 패널(174)과 제 2 레그 패널(176) 사이의 앵커 패널(172)의 치수는 제 1 코일면(162)과 제 2 코일면(166) 사이의 솔레노이드 코일(160)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174, 176)은 제 1 코일면(160)과 제 2 코일면(164)에 대해 각각 접촉하여야 한다. 레그 패널(174, 176)을 솔레노이드 코일(160)과 접촉시킴에 따라 솔레노이드 코일과 마운팅 브래킷(170) 사이에 우수한 자성 결합이 보장된다.
한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 코일(160) 상에 압축 고정 하중(compressive holding force)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174, 176)은 이들이 앵커 패널(172)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서로를 향해 약간 수렴된다. 평행하지만 다소 수렴된 레그 패널(174, 176)들은 제 1 및 제 2 코일면(162, 166)에 대해 편향되는 스프링으로서 기능을 한다. 솔레노이드 코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하는 동안 가해진 압축 하중은 솔레노이드 코일을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여야 한다. 압축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레그 패널들을 수렴시키는 그 외의 장점은 리버싱 밸브의 작동이 중지되는 동안 레그 패널들 사이에 솔레노이드 코 일의 래틀링(rattling)에 있다. 압축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레그 패널들을 수렴시키는 그 외의 추가적인 장점은 솔레노이드 코일과 마운팅 브래킷 사이에 자성 결합이 추가적으로 개선되는 데 있다.
파일럿 밸브 조립체(104)를 마운팅 브래킷(170)과 솔레노이드 코일(160)로 추가하기 위하여, 파일럿 밸브 바디(140)의 일부분이 제 1 구멍(180)을 통해 중앙 보어(166)로 삽입된다. 파일럿 밸브 바디(140), 제 1 구멍(180) 및 중앙 보어(166) 사이에 슬라이딩 피트가 형성됨에 따라 원통형 파일럿 밸브 바디는 축 라인(106)에 대해 정렬된다.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파일럿 밸브 바디(140)의 제 2 단부(146)는 상대적으로 작은 제 2 구멍(182)에 인접한 제 2 레그 패널(176)에 대해 인접한다. 추가적으로 파일럿 밸브 바디(140)의 제 1 단부(144)는 제 1 레그 패널(174)로부터 제 1 구멍(180)을 통해 연장되고, 이에 따라 포트(150)들은 접근 가능하다.
파일럿 밸브 조립체(104)를 마운팅 브래킷(170)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제 2 단부(146)는 제 2 구멍(182)을 통해 제 2 레그 패널(176)에 고정된다. 기술된 바와 같이, 파일럿 밸브 바디(140)가 중앙 보어(166)를 통해 이동함으로 인해 제 2 단부(146)는 제 2 레그 패널(176)에 고정되어 솔레노이드 코일(160)이 마운팅 브래킷(170)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제 2 단부(146)가 제 2 레그 패널(176)에 직접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솔레노이드 코일은 제 1 레그 패널과 제 2 레그 패널 사이에서 압축 하에 배치되지 않아 초과 압축으로부터 솔레노이드 코일의 가능한 손상이 방지된다. 파일럿 밸브 바디는 다수의 고정 방법에 의해 제 2 레그 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따라서 예를 들어 파일럿 밸브 바디(140)의 단부 캡(152)은 제 2 단부(146)로부터 배열된 나사산 홀(190)을 가질 수 있다. 제 2 단부(146)가 제 2 레그 패널(176)에 인접하게 배열될 때, 나사산 패스너(192)의 상보적인 크기의 나사산 생크(threaded shank, 194)는 제 2 구멍(182)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나사산 홀(190)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레그 패널(176)은 나사산 패스너의 헤드 부분(192)과 제 2 단부(146) 사이에 클램프 고정된다. 나사산 패스터(192)를 이용하는 주요 장점은 나사산 패스너들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단부(146)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코일을 제거하고 교체하기 위하여 제 2 레그 패널(176)로부터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단부(146)는 다양한 방법에 따라 제 2 레그 패널(176)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따라서, 파일럿 밸브 바디(140)는 제 1 단부와 상반된 방향으로 제 2 단부(146)로부터 연장되는 마운팅 돌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마운팅 돌출부(200)는 원통형의 형태이며 축 라인(106)에 대해 정렬된다. 추가적으로 마운팅 돌출부(200)는 제 2 단부(146)가 제 2 레그 패널(176)에 대해 인접하게 배열될 때 제 2 구멍(182)을 통해 돌출되고 이와 미끄럼 끼워맞춤되도록 크기가 형성된다. 마운팅 돌출부(200)의 돌출된 부분은 축 라인(106)을 둘러싸는 얇은 원통형 고정 벽(200)으로서 형성된다. 제 2 단부(146)와 제 2 레그 패널(176)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고정 벽(200)은 제 2 레그 패널로 말뚝 고정된다(stake). 특히 고정 벽(202)은 제 2 구멍(182) 둘레 영역에서 제 2 레그 패널(176)에 인접하 게 포개지도록 물리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제 2 레그 패널(176)은 고정 벽(202)과 제 2 표면(146) 사이에 클램프 고정된다.
도 6에 따르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단부(146)는 제 2 레그 패널(176)에 대해 리벳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단부(146)가 제 2 레그 패널에 인접하게 배열될 때 마운팅 돌출부(210)는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제 2 구멍(182)를 통해 돌출되고 제 2 레그 패널(176)의 최외측 표면(212)을 초과하여 돌출된다. 스테이킹(staking)과 유사한 공정에서, 마운팅 돌출부(210)는 제 2 레그 패널(176)의 최외측 표면(212)에 인접한 숄더(214)로 평평해지도록 물리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제 2 레그 패널(176)은 숄더(214)와 제 2 표면(146) 사이에 클램프 고정된다.
도 7에 따르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단부(146)는 리테이닝 클립(222)을 이용하여 제 2 레그 패널(176)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운팅 돌출부(2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 2 레그 패널(176)의 최외측 표면(224)을 초과하여 제 2 구멍(182)을 통해 돌출된다. 리테이닝 클립(222)은 제 2 레그 패널(176)의 최외측 표면(224)에 인접하도록 돌출된 마운팅 돌출부(220) 주위에 배열된다. 따라서 제 2 레그 패널(176)은 리테이닝 클랩(222)과 제 2 단부(146) 사이에 클램프 고정된다. 리테이닝 클립을 이용함에 따른 장점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닝 클립들이 마운팅 돌출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데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단부(146)는 파일럿 밸브 바디와 솔레노이드 코일을 제거하고 교체하기 위하여 제 2 레그 패널(176)로부터 고정되지 않는다(unsecured). 바람직하게 리테이닝 클립(222)의 배치와 클램핑 기능을 돕기 위하여 마운팅 돌출부는 적절히 위치된 원주 요홈(226)을 포함한다.
도 8에 따르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단부(146)는 제 2 레그 패널(176)에 용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운팅 돌출부(230)는 제 2 구멍(182)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며, 제 2 레그 패널(176)의 최외측 표면(232)에 대해 공면을 형성하도록 돌출된다. 그 뒤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 사이에 공지된 공정에 따라, 필러 재료(filler material)가 제공되고 제 2 레그 패널(176)과 마운팅 돌출부(230) 사이의 접합점(junction)에서 비드(bead, 234)로 용융된다. 가스 버닝 프레임 또는 전기 아크가 필러 재료를 용융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비드(234)가 냉각될 때, 상기 비드는 제 2 레그 패널(176)과 마운팅 돌출부(230) 사이에 강성의 연결부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제 2 단부를 고정한다. 대안으로 마운팅 돌출부(200)와 제 2 레그 패널(176)은 필러 재료 없이 서로 직접적으로 용접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레그 패널은 제 2 구멍을 포함하지 않으며, 밸브 바디의 제 2 단부는 예를 들어 접착성 본딩에 의해 제 2 레그 패널로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밸브 조립체(240)의 형태인 본 발명의 실례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기 밸브 조립체(240)는 도 4에 도시된 3개의 측면을 가지는 마운팅 브래킷(170) 대신에 4개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242)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104)와 동일하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242)은 앵커 패널(244), 제 1 레그 패널(246), 제 2 레그 패널(248) 및 탑 패널(top pannel, 254)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246, 248)은 앵커 패널(244)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각각의 원위 단부(250, 252) 또는 코너를 형성한다. 제 2 레그 패널(248)은 제 1 레그 패널(246)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톱 패널(254)은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246, 248)의 원위 단부(250, 252)들을 연결시킨다.
제 1 레그 패널(24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 1 구멍(180)에 대응하는 제 1 구멍(256)을 포함하며, 축 라인(106)이 도 4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연장되는 것과 동일하게 마운팅 브래킷(242)을 통해 연장되는 축 라인(258)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코일(160)과 밸브 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4개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242)으로 설치될 수 있다. 4개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242)의 제 2 레그 패널(248)은 축 라인(258)에 대해 배열되고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 2 구멍(182)에 대응하는 제 2 구멍(2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일럿 밸브의 제 2 단부(146)를 제 2 레그 패널(248)로 고정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8에 대해 상기 기술된 부착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242)의 제 1 레그 패널(246)은 앵커 패널(244)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레그 패널(246)의 하부 부분(264)과 톱 패널(254)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레그 패널(246)의 상부 부분(262)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구멍(256)을 통해 측면 대 측면으로 제공된다. 또한 제 1 레그 패널(246)은 제 2 레그 패널(248)을 향해 다소 내부를 향해 구부러져 상부 및 하부 부분(262, 264)은 솔레노이드 코일(160) 상에 압축 고정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측면 대 측면으로부터 제공된 4개의 측면을 가진 브래킷(242)의 4개의 측면들 중 한 측면을 가짐에 따라 마운팅 브래킷(242)은 시트 금속의 연속적인 블랭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럿 밸브 조립체와 솔레노이드 코일을 흐름 리버싱 밸브로 장착시키기 위한 신규한 마운팅 구조물을 제공한다. 마운팅 구조물은 단일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적어도 3개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한다.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은 마운팅 브래킷의 2개의 마주보는 측면들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평행 레그 패널을 통하도록 배열된다. 파일럿 밸브 조립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 코일은 솔레노이드 코일의 중앙 보어가 공통 축 라인에 대한 구멍과 정렬되도록 마주보는 레그 패널들 사이에 배치된다. 파일럿 밸브 조립체는 중앙 보어 내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크기가 형성된 신장된 밸브 바디를 포함한다. 서로 조립될 때, 파일럿 밸브 바디의 단부는 마주보는 레그 패널의 한 패널에 대해 인접하는 반면 파일럿 밸브 바디의 일부분은 그 외 다른 레그 패널의 각각의 구멍으로 통해 연장된다. 파일럿 밸브, 솔레노이드 코일 및 마운팅 브래킷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운팅 브래킷의 레그 패널과 인접하는 파일럿 밸브의 단부부는 이에 고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공고, 특허 출원서 및 특허를 포함하는 모든 참조문헌들은 각각의 참조문헌의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기술된 범위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특히 하기 청구항들에 따르는) “한(a)”, "한(an)", “ 그(the)” 및 이와 유사한 대상물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명세서에서 명확하기 지시되고 또는 부인되지 않는 한, 단수형 및 복수형을 가리키는 용어들이다. “포함하는(comprising)", "가지는", "포함하는(including)" 및 ”수용하는" 등의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공개된 용어로서 즉 “포함하는, 그렇지만 제한되지 않는”의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사상들의 범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각각의 개별적인 사상을 기술하는 속기 방법으로서가 아니며, 각각의 개별적인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모든 방법들은 문맥에서 명확히 부인되고 지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임의의 및 모든 예제들과 실례의 단어(예를 들어 “~와 같은”)들은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할 뿐, 달리 주장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 상에서 한계를 기술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어떠한 용어들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필수적인 임의의 비청구 요소들을 지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발명가들에게 최적으로 공지되어 기술된다. 상기 다양한 선호적인 실시예들은 상기 기술 사항들을 읽음으로써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해 질 것이다. 발명가들은 당업자들이 상기 다양성들을 적절히 수용하고 구체적으로 기술된 사항들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하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해 근거법이 허용하는 바에 따라 모든 개조사항들 및 균등사항들을 포함하며, 상기 사항들의 주요 주제들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항들 내에서 기술된다. 더욱이 상기 기술된 다양한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들도 문맥에 의해 명확히 부인되고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기술된다.

Claims (42)

  1. 리버싱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리버싱 밸브 조립체는
    -냉각 시스템에서 유체 흐름을 역전환시키기 위한 리버싱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버싱 밸브는 구동 압력의 변화에 대응하여 구동되며,
    -리버싱 밸브에 부착된 앵커 패널, 앵커 패널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레그 패널 및 앵커 패널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레그 패널을 포함하는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은 제 1 및 제 2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은 축 라인에 대해 정렬되며,
    -중앙 보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중앙 보어가 축 라인에 대해 정렬되도록 제 1 레그 패널과 제 2 레그 패널 사이에 수용되며 및
    -구동 압력을 리버싱 밸브로 공급하기 위한 파일럿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밸브는 제 1 단부와 마주보는 제 2 단부를 가진 신장된 밸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밸브 바디는 제 1 단부가 제 1 구멍으로부터 연장되고 제 2 단부가 제 2 레그 패널에 고정되고 이에 인접하도록 축 라인을 따라 연장되고 중앙 보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나사산 패스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제 2 단부는 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나사산 홀을 포함하고, 나사산 패스너는 제 2 단부를 제 2 레그 로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산 홀 내에 수용되고 제 2 구멍으로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는 마운팅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돌출부는 제 2 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마운팅 돌출부는 제 2 단부를 제 2 레그로 고정하기 위하여 제 2 레그에 인접하게 말뚝 고정된 고정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마운팅 돌출부는 제 2 단부를 제 2 레그로 고정하기 위하여 제 2 레그에 인접한 숄더로 리벳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6. 제 3 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클립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닝 클립은 제 2 단부를 제 2 레그로 고정하기 위하여 마운팅 돌출부 주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클립은 제 2 레그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8. 제 6 항에 있어서, 마운팅 돌출부는 리테이닝 클립을 수용하기 위한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부는 제 2 구멍에서 미끄럼 끼워맞춤 상태로 연장되는 마운팅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돌출부와 제 2 레그는 접합점에서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마운팅 돌출부와 제 2 레그는 필러 재료의 비드를 이용하여 접합점에서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레그는 솔레노이드 코일 상에 압축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다소 수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마운팅 브래킷은 시트 금속의 연속적인 블랭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멍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제 1 구멍의 직경은 제 2 구멍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마운팅 브래킷의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들은 각각의 원의 단부를 형성하고, 마운팅 브래킷은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들의 원위 단부들을 연결시키는 탑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레그 패널은 솔레노이드 코일 상에 압축 고정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제 2 레그 패널을 향해 내부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레그 패널은 앵커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하부 부분과 탑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상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구멍을 통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마운팅 브래킷은 시트 금속의 연속적인 블랭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18.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레그 패널은 앵커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하부 부분과 탑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상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구멍을 통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 1 레그 패널의 하나 이상의 상부 부분 및/또는 하부 부분은 솔레노이드 코일 상에 압축 고정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제 2 레그 패널을 향하여 내부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마운팅 브래킷은 시트 금속의 연속적인 블랭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조립체.
  21.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solenoid operated valve assembly)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는
    -앵커 패널, 앵커 패널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레그 패널 및 제 1 레그 패널에 대해 평행하고 앵커 패널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레그 패널을 포함하는 3개 이상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며, 제 1 레그는 제 1 구멍을 포함하고, 제 1 구멍은 축 라인을 형성하며,
    -중앙 보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중앙 보어가 축 라인에 대해 정렬되도록 제 1 및 제 2 레그 사이에 배열되며 및
    -제 1 단부와 마주보는 제 2 단부를 가지는 신장된 밸브 바디를 포함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바디는 제 1 단부가 제 1 구멍으로부터 연장되고 제 2 단부가 제 2 레그에 고정되고 이에 인접하도록 중앙 보어 내에 수용되고 축 라인에 대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제 2 레그는 제 2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멍은 축 라인에 대해 정렬되고 제 1 구멍에 대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나사산 패스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제 2 단부는 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나사산 홀을 포함하고, 나사산 패스너는 제 2 단부를 제 2 레그로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산 홀 내에 수용되고 제 2 구멍으로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
  24. 제 21 항에 있어서, 마운팅 브래킷은 시트 금속의 연속적인 블랭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
  25. 제 21 항에 있어서, 마운팅 브래킷의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들은 각각의 원의 단부를 형성하고, 마운팅 브래킷은 제 1 및 제 2 레그 패널들의 원위 단부들을 연결시키는 탑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제 1 레그 패널은 솔레노이드 코일 상에 압축 고정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제 2 레그 패널을 향해 내부를 향하여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제 1 레그 패널은 앵커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하부 부분과 탑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상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구멍을 통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마운팅 브래킷은 시트 금속의 연속적인 블랭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제 1 레그 패널은 앵커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하부 부분과 탑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상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구멍을 통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제 1 레그 패널의 하나 이상의 상부 부분 및/또는 하부 부분은 솔레노이드 코일 상에 압축 고정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제 2 레그 패널을 향하여 내부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마운팅 브래킷은 시트 금속의 연속적인 블랭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조립체.
  32.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앵커 패널, 원위 단부를 형성하며 앵커 패널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레그 패널, 원위 단부를 형성하며 제 1 레그 패널에 대해 평행하고 앵커 패널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레그 패널 및 제 1 레그 패널과 제 2 레그 패널의 원위 단부들을 연결시키는 탑 패널을 포함하는 4개의 측면을 가진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고, 제 1 레그는 축 라인을 형성하는 제 1 구멍을 포함하며,
    -중앙 보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중앙 보어가 축 라인에 대해 정렬되도록 제 1 및 제 2 레그 사이에 배열되며 및
    -제 1 단부와 마주보는 제 2 단부를 가지는 신장된 밸브 바디를 포함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바디는 제 1 단부가 제 1 구멍으로부터 연장되고 제 2 단부가 제 2 레그에 고정되고 이에 인접하도록 중앙 보어 내에 수용되고 축 라인에 대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제 1 레그 패널은 솔레노이드 코일 상에 압축 고정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제 2 레그 패널을 향해 내부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34. 제 33 항에 있어서, 제 1 레그 패널은 앵커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하부 부분과 탑 패널로부터 연장된 제 1 패널의 상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구멍을 통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마운팅 브래킷은 시트 금속의 연속적인 블랭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나사산 패스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제 2 단부는 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나사산 홀을 포함하고, 나사산 패스너는 제 2 단부를 제 2 레그로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산 홀 내에 수용되고 제 2 구멍으로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는 마운팅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돌출부는 제 2 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38. 제 37 항에 있어서, 마운팅 돌출부는 제 2 단부를 제 2 레그로 고정하기 위하여 제 2 레그에 인접하게 말뚝 고정된 고정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39. 제 37 항에 있어서, 마운팅 돌출부는 제 2 단부를 제 2 레그로 고정하기 위하여 제 2 레그에 인접한 숄더로 리벳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40. 제 37 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클립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닝 클립은 제 2 단부를 제 2 레그로 고정하기 위하여 마운팅 돌출부 주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마운팅 돌출부는 리테이닝 클립을 수용하기 위한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42. 제 35 항에 있어서, 제 2 단부는 제 2 구멍에서 미끄럼 끼워맞춤 상태로 연장되는 마운팅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돌출부와 제 2 레그는 접합점에서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KR1020077006404A 2004-08-23 2005-08-17 개선된 파일럿 밸브 마운팅 구조물을 가지는 리버싱 밸브조립체 KR20070058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24,178 2004-08-23
US10/924,178 US20060037652A1 (en) 2004-08-23 2004-08-23 Reversing valve assembly with improved pilot valve mount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512A true KR20070058512A (ko) 2007-06-08

Family

ID=3590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404A KR20070058512A (ko) 2004-08-23 2005-08-17 개선된 파일럿 밸브 마운팅 구조물을 가지는 리버싱 밸브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37652A1 (ko)
JP (1) JP2008510947A (ko)
KR (1) KR20070058512A (ko)
CN (1) CN101076686B (ko)
CA (1) CA2577768A1 (ko)
WO (1) WO2006023552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971B1 (ko) * 2010-07-15 2012-05-0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공압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1142972B1 (ko) * 2010-07-15 2012-05-0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공압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1306344B1 (ko) * 2011-09-19 2013-09-09 이종천 파일럿 밸브, 리버싱 밸브 및 파일럿 밸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9907B2 (ja) 2003-09-17 2012-11-07 ジヤンセン・フアーマシユーチカ・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縮合複素環式化合物
US7598255B2 (en) 2005-08-04 2009-10-06 Janssen Pharmaceutica Nv Pyrimidine compounds as serotonin receptor modulators
JP4639254B2 (ja) * 2008-11-05 2011-02-23 株式会社鷺宮製作所 流路切換弁
CN103307313B (zh) * 2012-03-09 2016-08-10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一种四通换向阀及其导阀、导阀的加工方法
CN103174867A (zh) * 2013-03-28 2013-06-26 无锡隆盛科技股份有限公司 断油电磁阀导电端盖
CN107388663B (zh) * 2017-08-03 2019-03-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热泵系统的控制方法及热泵系统
US10916887B2 (en) * 2019-05-08 2021-02-09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Plug connector having a housing module with two housings interlocked by deformed tongue having two legs
DK3736474T3 (da) 2019-05-09 2022-03-14 Carrier Corp Solenoidventillås
JP2024007772A (ja) * 2022-07-06 2024-01-19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切換弁及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135A (en) * 1876-08-15 Improvement in expansible gates for sewers
US144671A (en) * 1873-11-18 Improvement in mangles
US93056A (en) * 1869-07-27 Improvement in cutter-heads
US2627544A (en) * 1947-09-05 1953-02-03 Admiral Corp Solenoid
US2940722A (en) * 1955-12-09 1960-06-14 Jackes Evans Mfg Company Amplifying member and chamber construction for pilot-operated valves
US3295079A (en) * 1964-12-03 1966-12-27 Honeywell Inc Solenoid actuator assembly having a unitary spring clip for the plunger
US3366288A (en) * 1965-10-11 1968-01-30 Ponsell Floor Machine Co Inc Dispenser having a motor operated valve assembly
US3565111A (en) * 1969-02-20 1971-02-23 Swan A Pearson Solenoid-actuated pilot valve
US3523676A (en) * 1969-02-26 1970-08-11 Monsanto Co Pulsed solenoid control valve
US3670768A (en) * 1970-06-08 1972-06-20 Dynak Inc Fluid flow control device
US3947788A (en) * 1974-09-03 1976-03-30 Spencer C. Schantz Solenoid
US4172582A (en) * 1977-04-21 1979-10-30 Rexnord Inc. Reverse differential holding valve
US4543983A (en) * 1978-12-22 1985-10-01 Pauliukonis Richard S O-ring solenoid water valves
JPS6127137Y2 (ko) * 1981-01-08 1986-08-13
JPS586065U (ja) * 1981-07-03 1983-01-14 松下冷機株式会社 電磁弁
JPS586066U (ja) * 1981-07-03 1983-01-14 松下冷機株式会社 電磁弁
JPS5978609U (ja) * 1982-11-17 1984-05-28 エスエムシ−株式会社 ソレノイド
JPS5994674U (ja) * 1982-12-16 1984-06-27 シ−ケ−デイコントロ−ルズ株式会社 電磁弁のコイル固定構造
US4500067A (en) * 1983-02-07 1985-02-19 Eaton Corporation Pilot operated low flow valve
DE3314722C1 (de) * 1983-04-22 1984-06-20 Danfoss A/S, Nordborg Magnetventil fuer Kaelteanlagen
AU569173B2 (en) * 1984-09-20 1988-01-21 Ranco Inc. Refrigerant reversing valve pilot valve mounting
JP2731305B2 (ja) * 1991-10-02 1998-03-25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電磁弁及び電磁弁の製造方法
JP2575791Y2 (ja) * 1992-10-19 1998-07-02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パイロット電磁弁
US5299592A (en) * 1993-01-08 1994-04-05 Eaton Corporation High pressure relief system
DE4309739C2 (de) * 1993-03-25 1998-07-02 Freudenberg Carl Fa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Ventil
US5824044A (en) * 1994-05-12 1998-10-20 Endovascular Technologies, Inc. Bifurcated multicapsule intraluminal grafting system
CN2292196Y (zh) * 1997-01-07 1998-09-23 浙江三花集团公司 家用空调用四通换向阀端盖与锥塞的密封结构
JP4250837B2 (ja) * 1999-11-22 2009-04-0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
US6599296B1 (en) * 2001-07-27 2003-07-29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atcheting handle for intraluminal catheter systems
US6684901B1 (en) * 2001-08-23 2004-02-03 Deltrol Controls Modular liquid dispensing valve
AU2002314569A1 (en) * 2002-02-27 2003-09-09 Yun-Boon Lee Four-way reversing valve
JP2005113991A (ja) * 2003-10-06 2005-04-28 Ranco Japan Ltd 電磁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971B1 (ko) * 2010-07-15 2012-05-0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공압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1142972B1 (ko) * 2010-07-15 2012-05-0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공압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1306344B1 (ko) * 2011-09-19 2013-09-09 이종천 파일럿 밸브, 리버싱 밸브 및 파일럿 밸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37652A1 (en) 2006-02-23
WO2006023552A2 (en) 2006-03-02
JP2008510947A (ja) 2008-04-10
CN101076686A (zh) 2007-11-21
CA2577768A1 (en) 2006-03-02
CN101076686B (zh) 2010-06-23
WO2006023552A3 (en) 200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8512A (ko) 개선된 파일럿 밸브 마운팅 구조물을 가지는 리버싱 밸브조립체
KR20070061828A (ko) 개선된 파일럿 밸브 마운팅 구조물을 가지는 리버싱 밸브조립체
EP0745773B1 (en) Vibrating compressor
EP1580495B1 (en) Electric heater
KR920009601B1 (ko) 냉매 리버싱 밸브 조립체
JP4059773B2 (ja) リニアモータおよび前記モータを含むリニアコンプレッサ
CN108808159B (zh) 冷却系统、用于冷却系统的流体收集器以及用于制造流体收集器的方法
CN101140035A (zh) 四通电磁阀
US6033189A (en) Control valve
US20220205551A1 (en) Fluid management system
JP4866859B2 (ja) 磁気パルスポンプ/圧縮機システム
CN109973682B (zh) 电磁换向阀及具有其的制冷系统
CN1321283C (zh) 电动阀
JP6976553B2 (ja) 流路切換弁
US20220243827A1 (en) Fluid management system
JPH08219308A (ja) 四方弁
KR102058114B1 (ko) 전자식 팽창밸브
CN114667424B (zh) 动力元件以及使用了该动力元件的膨胀阀
CN114667422B (zh) 动力元件以及使用了该动力元件的膨胀阀
CN219865375U (zh) 一种可调节气体抽速的低温泵
CN112756209B (zh) 一种带加热装置的撞针阀
JPH0719667A (ja) 空気調和機
KR20060014135A (ko) 실링 구조를 갖는 전자식 팽창밸브
WO2024004343A1 (ja) 電磁駆動弁および当該電磁駆動弁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JP2003336755A (ja) 三方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