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774A - 이중챔버 앰풀 - Google Patents

이중챔버 앰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774A
KR20070057774A KR1020077001847A KR20077001847A KR20070057774A KR 20070057774 A KR20070057774 A KR 20070057774A KR 1020077001847 A KR1020077001847 A KR 1020077001847A KR 20077001847 A KR20077001847 A KR 20077001847A KR 20070057774 A KR20070057774 A KR 20070057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tering chamber
medium
discharge
contain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691B1 (ko
Inventor
베른트 한센
Original Assignee
베른트 한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른트 한센 filed Critical 베른트 한센
Publication of KR20070057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65D1/095Ampoule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할 매체를 안에 담고 있는 정량챔버(10)를 포함하는 탄성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정량챔버(10)의 한 단부는 배출구(18)를 가지고, 대향한 단부는 접속부(20)를 거쳐 압축성 용기부(22)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압축성 용기부 안에는 특히 추진 매체가 담겨있다. 용기부(22)를 압축하면, 추진 매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할 매체를 정량챔버(10) 밖으로 배출구(18)를 통해 추진한다. 모든 응용분야에서 증가된 기능적 신뢰성은 정량챔버(10)와 용기부(22) 사이의 접속부(20)가 병목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보장되는데, 상기 병목은 용기의 공간적 자세에 관계없이 배출할 매체를 정량챔버(10)로부터 추진 매체를 담고있는 용기부(22)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세관 효과를 발생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앰풀, 이중챔버, 정량챔버, 접속부, 추진 매체, 모세관.

Description

이중챔버 앰풀{Double-chamber ampoule}
본 발명은 배출 매체를 안에 담고 있는 정량챔버를 갖는 탄성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정량챔버의 한 단부는 배출구를 가지고, 대향한 단부는 접속부를 거쳐 압축성 용기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압축성 용기부 안에는 특히 추진 매체가 담겨있고, 용기부를 압축하면, 추진 매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 매체를 정량챔버 밖으로 배출구를 통해 추진하는 용기(receptacle)에 관한 것이다.
독일 DE-PS 32 44 403호는 물질 매체(material medium)가 안에 담겨 있는 튜브형 정량챔버를 갖는 탄성 플라스틱 재료의 일반적인 용기를 공개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는 물질 매체가 용기의 위치에 관계없이 정량챔버내에 유지되어 있도록 제조되고, 기체성 매체를 담고 있는 압축성 용기부는 정량챔버보다 큰 체적을 가지며, 상기 용기부가 압축될 때 정량챔버내의 물질 매체는 용기에 부착될 수 있는 배출구를 통해 정량챔버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공지된 용기 솔루션(solution)은 주위온도에서 연고와 같은 점조도(consistency)를 가진 물질 매체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점조도는 용기가 제조되는 동안에 반드시 정량챔버에 부가된다. 주위온도에서 연고와 같은 물질 매체의 점조도는, 정량챔버의 자유단을 향해 원추형이 될 수 있는 튜브형 정 량챔버로부터 물질 매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해한다. 공지된 용기부에서는, 용기가 압축될 때 정량챔버 안에 담긴 물질 매체가 스스로 용기내에 어떤 잔류물도 남기지 않고 정량챔버로부터 실질적으로 빠져나가도록 추진매체로서 기체성 매체만이 사용된다. 공지된 솔루션은, 정량챔버내의 배출 매체가 연고와 같은 점조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점도를 가지기 때문에 정량챔버로부터 나온 배출 매체는 접속부로서의 확장부를 거쳐 용기부로 들어가고 거기서 추진매체와 혼합되며, 이런 관점에서 용기 솔루션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든다는 점에서 제한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독일 DE 44 20 594 C2호에 따라, 유동성 물질의 계량 배출을 위한 플라스틱 용기가 제안되어 있는데, 배출구가 한 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챔버가 다른 개방단부에 연결되어 용기 내부를 향해서만 개방되어 있고, 챔버 체적은 수동 변형에 의해 감소될 수 있으며, 챔버가 용기와 원피스(one piece)로 제조되고, 용기가 실린더처럼 제조되고, 실린더 내부가 실린더에서 길이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분리 피스톤에 의해 챔버 내부와 분리되어 있고, 챔버 내에 저장되어 있는 공기가 손으로 변위될 때 분리 피스톤을 용기 배출구를 향해 가압한다. 공지된 솔루션에서 정량챔버내의 배출 매체와 용기부내의 추진매체와의 물질 분리는 상기 분리 피스톤에 의해 실시되며, 따라서 혼합이 부주의로 발생하지 않으며; 이것은 용기 솔루션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공지된 용기 솔루션에 의해서는 매우 묽은 액체 배출 매체라도 배출할 수 있지만, 공지된 솔루션이 분리 피스톤때문에 제조비가 많이 들고 축방향 특히 배출방향에서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큰 공학적 노력을 하지 않고도 묽은 액체 점조도를 가지며 및/또는 에어로졸의 형태로 배출 매체를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용기를 발명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체적으로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량챔버와 용기부 사이의 접속부는, 용기의 3차원 위치에 관계없이, 배출 매체가 추진매체에 의해 정량챔버로부터 용기부 안으로 과다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세관 작용이 형성되도록 디자인되어 있는 수축부(constriction)로서 형성되고, 분리 피스톤 구성이 없을지라도 배출 매체가 추진 매체에 의해 정량챔버로부터 용기부로 부주의하게 흐르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용기의 3차원 형태에 개의치 않고, 각각의 경우에 작동 신뢰성이 보장되고, 이러한 용기를 제조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으로 기술에 숙련된 자들은 자신이 에어로졸 등의 종류를 이러한 방법으로 배출 매체로서 분사할 수 있다는 것에 놀라고 있다. 후자의 물질은 약학 분야에서 점차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데, 그것은 이러한 방법으로 성분을 신속히 빨아올리기 위해 분사 가능한 활성 성분을 코 점막과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이러한 방법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며; 이것은 다른 방식의 흡수에서는 보장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청구하는 바와 같은 용기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수축부는 모세관 튜브로부터 형성된다. 더구나 취약한 수축부가 지지기구(support device)에 의해 보강되도록 하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기구는 수축부가 부주의로 손상되거나 압축될 수 없도록 보장하고 있는데; 부주의한 압축은 그 작동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이 청구하는 바와 같은 용기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지지기구는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수축부 및 정량챔버 모두를 둘러싸는 적어도 2개의 가로대 모양의 지지암(supprot arm)을 가진다. 양호하게도 2개의 지지암은 분리용 평면을 따라 연장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면과 겹치며, 이 평면을 따라 용기 반쪽의 일부분들이 지탱되어 있다. 용기 전체의 상술한 보강에 부가하여, 이것은 또한 용기 내부의 살균이 장시간에 걸쳐 보장되도록 외부에 대해 용기 내용물의 밀봉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이 청구하는 바와 같은 용기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정량챔버에서부터 멀어지는 측면에 있는 용기부의 연장부에서 2개의 지지암은 코딩(coding)을 구비하는 태브(tab)로 전환된다. 나타난 코딩에 의해 용기의 내용물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청구하는 바와 같은 용기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정량챔버는 배출구를 향하여 적어도 증가하며 원추형으로 테이퍼진다(taper). 선택된 원추형 테이퍼의 정도에 따라, 용기가 압축될 때 이러한 방법으로 저장된 매체의 속도 증가가 달성되며; 이것이 생산성에 이득이 된다. 배출시에 특히 강화된 분사작용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청구하는 바와 같은 용기의 유익한 다른 실시예는 다른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이 청구하는 바와 같은 용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은 개략도이며 실제 크기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청구하는 바와 같은 용기의 입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 따라 그룹으로 묶을 수 있는 여러 개의 독립된 용기의 도면.
도면에 도시된 용기는, 블로우(blow) 성형기계에 의해 단독으로(도 1 및 도 2 참조) 또는 다른 용기(도 3 참조)와 함께 제조, 충전 및 살균 밀봉될 수 있는 투명한 탄성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서 구성된다. 용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서 트위스트 폐쇄부(twist closure: 12)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튜브형 정량챔버(10)를 가지며, 상기 트위스트 폐쇄부는 정량챔버(10)의 하단부에 있는 배출구(18)를 개방시키기 위해 트위스트 폐쇄부(12)를 돌리기 위한 핸들(16)과 목 모양의 절취부(necked scoring: 14)를 가진다. 정량챔버(10) 안에는 배출 매체가 있는데, 예를 들어 안 연고와 같이 연고형 점조도를 갖는 배출 매체이며; 양호하게도 이 배출 매체는 아무쪼록 에어로졸의 형태로서, 분사 공정에서의 용기에서 정량챔버(10)로부터 배출구(18)를 통해 배출될 수 있을 정도로 낮은 점도로 구성되어 있 다. 정량챔버(10)의 튜브형 구조는 이러한 방법으로 콧구멍과 같은 신체 구멍으로 용이하게 주입되도록 한다.
정량챔버(10)의 대향한 단부는 접속부(20)를 거쳐 압축성 용기부(22)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용기부 안에는 예를 들어 공기와 같이 특히 기체성 추진매체가 담겨 있다. 용기부(22)가 예로서 손으로 압축될 때, 이 추진제는 밖으로 향해 외부면에 도포하는 과정에 정량챔버(10)로부터 배출구(18)를 통해 배출 매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킨다. 정량챔버(10)와 용기부(22) 사이의 접속부(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수축부는 용기의 3차원 위치에 관계없이 배출 매체가 추진매체에 의해 정량챔버(10)로부터 용기부(22)로 과다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세관 작용이 형성되도록 제조되어 있다. 유사하게 추진 매체는 용기부(22)를 압축하지 않으면 정량챔버(10)의 방향으로 접속부(20)를 통해 부주의로 빠져나갈 수는 없다. 특히 수축부는 정량챔버(10)와 용기부(22) 사이의 이행(transition) 구역에서 목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모세관 튜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용기의 분리용 평면(24)을 따라가는 모세관 튜브의 축방향 연장부는 어떤 경우에도 배출 매체를 위한 자유로운 통과 횡단면 보다 더 작다.
더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약한 수축부는 지지기구(26)에 의해 보강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구(26)는 2개의 브릿지형(bridge-like) 지지암(28,30)을 가지며, 상기 지지암은 용기부(22)와 접속부(20) 뿐만 아니라 적어도 정량챔버(10)의 하부 1/3을 둘러싸고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지암(28,30)은 도시된 분리용 평면(24)을 따라 연장하고, 또한 상술한 구조내에서 평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고 있으므로, 평면을 따라가는 지점에서 용기 반쪽의 일부분이 제조 공학적으로 서로 지탱되어 있으며, 지지기구(26)를 거쳐 추가의 밀봉이 달성된다. 도 1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보아 하단부가 되는 지지기구의 단부에서, 2개의 지지암(28,30)은 원추형 진입 구역을 거쳐 정량챔버(10)로 가는 원피스(one piece)의 이행부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를 바라보는 방향에서 위로 향하는 용기부(22)의 연장부에서, 2개의 지지암(28,30)은 평평한 정사각형 태브(32)로서 끝난다. 용기의 취급을 개선한 것에 더하여, 태브(32)는 또한 용기 및 그 내용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이런 방법에서 쓸 수 있는 상태로 코딩(34)이 부착될 수 있게 한다. 태브(32)의 높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구(26)를 갖는 분리용 평면(24)에 걸쳐 단부쪽의 잉여 단부(end-side excess end)와 함께 돌출하도록 선택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태브(32)는 다른 절취된 지역(36)을 경유하여 용기부(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튜브형으로 제조되는 정량챔버(10)와 수축부 형태의 접속부(20)와는 대조적으로, 용기부(22)는 실질적으로 입방형으로 제조디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서 용기부(22)가 손으로 예를 들어 엄지와 검지로 압축될 수 있게 하는 2개의 접촉면(38)을 가진다. 더구나, 접촉면(38)은 다음에 분리용 평면(24)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한다. 특히, 접촉면(38)은 정량챔버(10)의 상단 위로 양방향으로 뚜렷하게 돌출한다. 또한, 용기부(22) 대 정량챔버(10)의 체적 비율은 배출구(18)를 통해 매체의 완전한 배출이 보장될 수 있도록 이런 방법에서 쓸 수 있는 상태로 대략 2:1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서 여러 개의 용기가 나란히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블로우 성형기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런 방법으로 제조된 용기들은 인접한 표면을 통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양호하게 일주일 공급량으로 그룹으로 묶은 용기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재료를 포장할 때 비용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청구한 바와 같은 용기 솔루션에 의해 상술한 매체 배출을 위한 가능한 응용이 환자들에게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1)

  1. 배출 매체를 안에 담고 있는 정량챔버(10)를 갖는 탄성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용기로서, 정량챔버(10)의 한 단부는 배출구(18)를 가지고, 대향한 단부는 접속부(20)를 거쳐 압축성 용기부(22)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압축성 용기부 안에는 특히 기체성 추진 매체가 담겨있고, 용기부(22)를 압축하면, 추진 매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 매체를 정량챔버(10) 밖으로 배출구(18)를 통해 추진하는 용기에 있어서,
    정량챔버(10)와 용기부(22) 사이의 접속부(20)는 용기의 3차원 위치에 관계없이 배출 매체가 추진 매체에 의해 정량챔버(10)로부터 용기부(22)로 과다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세관 작용이 발생되는 수축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수축부는 모세관 튜브로서 형성되는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취약한 수축부는 지지기구(26)에 의해 보강되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지지기구(26)는 용기부(22)의 적어도 일부분과 수축부 및 정량챔버(10)를 모두 둘러싸는 적어도 2개의 브릿지형 지지암(28,30)을 구비하는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지지암(28,30)은 격리용 평면(24)을 따라 연장하고, 이 평면을 따라 용기 반쪽의 부분들이 서로 지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면을 겹치는 용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정량챔버(10)에서부터 멀어지는 측면에 있는 용기부(22)의 연장부에서 2개의 지지암(28,30)은 코딩(34)을 구비하는 태브(32)로 전환되는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챔버(10) 및 수축부는 튜브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용기부(22)는 실질적으로 입방형으로 제조되는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입방형 용기부(22)는 정량챔버(10)의 상단을 지나 적어도 일방향으로 돌출하는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부(22)의 체적 대 정량챔버(10)의 체적 비율은 적어도 2:1인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구(18)는 배출 매체의 배출 전에 트위스트 폐쇄부(12)를 통해 폐쇄되는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량챔버(10)는 배출구(18)를 향하여 적어도 증가하며 테이퍼지는 용기.
KR1020077001847A 2004-09-21 2005-07-26 이중챔버 앰풀 KR101182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6536A DE102004046536A1 (de) 2004-09-21 2004-09-21 Behälter
DE102004046536.3 2004-09-21
PCT/EP2005/008093 WO2006032320A1 (de) 2004-09-21 2005-07-26 Doppelkammerampu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774A true KR20070057774A (ko) 2007-06-07
KR101182691B1 KR101182691B1 (ko) 2012-09-17

Family

ID=3499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847A KR101182691B1 (ko) 2004-09-21 2005-07-26 이중챔버 앰풀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551053B2 (ko)
EP (1) EP1799557B1 (ko)
JP (1) JP4922171B2 (ko)
KR (1) KR101182691B1 (ko)
CN (1) CN101001784B (ko)
AT (1) ATE515446T1 (ko)
AU (1) AU2005287690B2 (ko)
BR (1) BRPI0515481B1 (ko)
CA (1) CA2573402C (ko)
DE (1) DE102004046536A1 (ko)
DK (1) DK1799557T3 (ko)
ES (1) ES2365718T3 (ko)
HK (1) HK1105140A1 (ko)
MX (1) MX2007003346A (ko)
PL (1) PL1799557T3 (ko)
PT (1) PT1799557E (ko)
WO (1) WO2006032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8619A1 (de) 2005-08-16 2007-02-22 Pari GmbH Spezialisten für effektive Inhalation Inhalationstherapievorrichtung mit einer Ampulle für die Bevorratung eines zu vernebelnden Medikaments
DE102005050403A1 (de) * 2005-10-19 2007-05-03 Bayer Cropscience Ag Tuben- oder flaschenartiger Behälter
DE202007018914U1 (de) 2007-02-27 2009-09-17 Hansen, Bernd Behälter, insbesondere hermetisch verschlossene Ampulle
DE102007056462B4 (de) * 2007-11-23 2011-10-27 Pari Pharma Gmbh Einwegampulle für eine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Aerosolen
WO2011077147A1 (en) * 2009-12-22 2011-06-30 Special Products Limited Containers
FR2967136B1 (fr) * 2010-11-08 2013-11-01 Unither Dev Procede de fabrication de fioles marquees, chaine de fabrication de fioles marquees et fioles marquees
FR2974755B1 (fr) * 2011-05-04 2014-03-21 Unither Pharmaceuticals Procede de marquage d'un contenant unidose de faible volume, contenant ainsi marque
US20130018329A1 (en) * 2011-07-14 2013-01-17 Mehta Ketan C Portable ampoule with a specialized tip and sealer
DE102015007690A1 (de) 2015-06-11 2016-12-15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füllten und geschlossenen Behälters sowi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nd ein danach hergestellter Behälter
BR102015020878B1 (pt) * 2015-08-28 2019-08-27 F B M Ind Farmaceutica Ltda formulação farmacêutica nasal de testosterona e “kit” em forma de cartela de dispositivos nasais unitários para aplicação de monodose de testosterona.
CA2999419A1 (en) * 2015-09-24 2017-03-30 Mystic Pharmaceuticals, Inc. Devices and systems for air assisted dry powder administration
TW201733558A (zh) 2016-01-06 2017-10-01 賽諾菲阿凡提斯德意志有限公司 藥劑容器及其製造方法
EP3471685B1 (en) * 2016-06-15 2020-10-21 Robert T. Chang Single-use vials for administering eye drops
CN111615409A (zh) 2017-11-17 2020-09-01 科斯卡家族有限公司 用于流体输送歧管的系统和方法
USD992110S1 (en) 2021-08-10 2023-07-11 Koska Family Limited Sealed fluid container
CN115158898B (zh) * 2022-09-05 2022-11-22 烟台凯博机械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针剂瓶用贮存运输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7469A (en) * 1954-04-06 1955-05-03 Ophthalmos Inc Sterile sealed dropper unit for ophthalmological solutions
JPS4417993Y1 (ko) * 1967-04-25 1969-08-04
BE791126A (fr) * 1971-11-11 1973-05-09 Merck Patent Gmbh Recipients pour medicaments et destines a un seul usage
US3993223A (en) * 1974-07-25 1976-11-23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Dispensing container
BE868443A (fr) * 1978-06-26 1978-12-27 Staar Dev Cy S A Systeme de conditionnement/distributeur pour doses uniques
DE8112834U1 (de) * 1981-04-30 1982-10-14 Hansen, Gerhard, 7166 Sulzbach-Laufen "mit einer dosierkammer versehener behaelter"
DE3244403A1 (de) 1982-12-01 1984-06-07 Hansen, Gerhard, 7166 Sulzbach-Laufen Behaelter aus einem elastischen kunststoff
DK479189D0 (da) * 1989-01-06 1989-09-28 Hans Gernot Schenk Inhalator
US5207654A (en) * 1990-06-11 1993-05-04 Spacelabs Medical, Inc. Storage device with positive displacement dispenser by means of egress through a pierced septum
US5215221A (en) * 1992-05-07 1993-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unit dose dispenser for powdered medicants
DE4420594C2 (de) * 1994-06-14 1997-04-24 Bernd Hansen Behältnis für fließfähige, insbesondere pasteuse Stoffe
GB9414236D0 (en) * 1994-07-14 1994-08-31 V A R I S P A Aerosol metering valves
US5582330A (en) * 1994-12-28 1996-12-10 Allergan, Inc. Specific volume dispenser
FR2750678B1 (fr) * 1996-07-05 1998-10-30 Valois Dispositif de distribution biphasique d'une dose unique
JPH11292154A (ja) * 1998-04-06 1999-10-26 Senju Pharmaceut Co Ltd 複数材料混合用容器
DE19937442A1 (de) * 1999-08-07 2001-02-08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strömungsfähige Medien, insbesondere zurZerstäubung von Flüssigkeiten
DE10049392A1 (de) * 1999-10-14 2001-04-19 Becton Dickinson Co Flüssigkeits-Ausgabevorrichtung
DE20019365U1 (de) * 2000-11-15 2001-01-18 Mann Gerhard Chem Pharm Fab Eindosis-Kunststoffbehältnis zur Aufnahme von einem flüssigen oder gelartigen pharmazeutischen Präparat
JP3611818B2 (ja) * 2001-12-25 2005-01-19 才司 上村 ニードルレス・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
US6786369B2 (en) * 2002-03-26 2004-09-07 Valois Sas Fluid dispenser
CN2612375Y (zh) * 2003-05-13 2004-04-21 山东正大福瑞达制药有限公司 一种单剂量一次性塑料药瓶
DE102005016100B3 (de) * 2005-04-08 2006-10-26 Altana Pharma Ag Vorrichtung zur Dosierung und Trockenvernebelung
CH699723B1 (de) * 2005-04-25 2010-04-30 Tecpharma Licensing Ag Vorrichtung zur Verabreichung eines fluiden Produk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799557T3 (da) 2011-09-26
KR101182691B1 (ko) 2012-09-17
PT1799557E (pt) 2011-07-25
PL1799557T3 (pl) 2011-11-30
JP2008513303A (ja) 2008-05-01
WO2006032320A1 (de) 2006-03-30
CN101001784A (zh) 2007-07-18
BRPI0515481A (pt) 2008-07-22
DE102004046536A1 (de) 2006-03-30
CA2573402C (en) 2012-07-03
JP4922171B2 (ja) 2012-04-25
EP1799557A1 (de) 2007-06-27
BRPI0515481B1 (pt) 2017-02-07
AU2005287690A1 (en) 2006-03-30
US8551053B2 (en) 2013-10-08
HK1105140A1 (en) 2008-02-01
ATE515446T1 (de) 2011-07-15
CA2573402A1 (en) 2006-03-30
MX2007003346A (es) 2007-06-05
ES2365718T3 (es) 2011-10-10
EP1799557B1 (de) 2011-07-06
AU2005287690B2 (en) 2011-08-11
US20080275404A1 (en) 2008-11-06
CN101001784B (zh)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691B1 (ko) 이중챔버 앰풀
RU2251403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олненная пипетка одноразового применения (варианты)
US5836922A (en) Container for delivery of flowable material
US5927884A (en) Disposable perfume stick
CA1307776C (en) Dosage package
FI91932B (fi) Kaksikammioinen sekoitusannostelulaite
US3341083A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with bellows
US7641078B2 (en) Device forming packaging for viscous products, which can be fully emptied by means of manual pumping
DE69427992D1 (de) Ophthalmologische verpackung und abgabevorrichtung
JP2011512306A (ja) 空気ポンプ式作動具及びそれを有する容器
KR101323374B1 (ko) 식용기름병
US20070246381A1 (en) Telescoping ampoule device
RU24446U1 (ru) Емкость для жидкости
KR200209523Y1 (ko)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EP2786942B1 (en) Single dose fluid dispenser package
US4413754A (en) Dispenser of small quantities of liquids
CN114728739B (zh) 气溶胶分配阀系统和包括气溶胶分配阀系统的容器
US2782784A (en) Solution applicator tube
JP2005230167A (ja) 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
US20060110208A1 (en) Compressible container with sealing means
CN217091427U (zh) 压合式的塑性容器
KR950010152Y1 (ko) 샴푸의 리필제품과 그 수납용기
CN209500276U (zh) 一种可徒手折断的安瓶
RU54783U1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олненная пипетка одноразового применения дл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200170742Y1 (ko) 내용물 유출이 간편한 튜브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