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773A - 납골 안치단 - Google Patents

납골 안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773A
KR20070056773A KR1020050115836A KR20050115836A KR20070056773A KR 20070056773 A KR20070056773 A KR 20070056773A KR 1020050115836 A KR1020050115836 A KR 1020050115836A KR 20050115836 A KR20050115836 A KR 20050115836A KR 20070056773 A KR20070056773 A KR 20070056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input unit
lamp
lighting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168B1 (ko
Inventor
배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본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본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본향
Priority to KR102005011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1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된 유골이 담긴 납골함을 안치시켜 보관하는 납골 안치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일반 수납장 형태의 좌대(1) 위에 다수의 수평재(22)와 수직재(24)가 격자형상으로 조립되어 다수의 수납공간이 분리 구획된 안치대(2)가 얹혀진 구성의 납골 안치단에 있어서, 상기 안치대(2)는 미닫이식으로 개방되는 투명한 도어(20)에 의하여 전면이 폐쇄되어 그 내부를 볼 수 있으며, 상기 안치대(2) 각각의 수납공간(25)에는 조명램프(4)가 설치되어 좌대(1) 상에 구비되는 입력부(3)의 스위칭 신호와 이 신호와 연계되는 제어부(5)의 동작으로서 각 수납공간(25)이 개별적으로 점등되고, 좌대(1)에는 상기 입력부(3)와 전기적인 연결을 갖으며 메모리(6)와 연계된 스피커(7)가 내장되어 입력부(3)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메모리(6)에 기억되어 있던 찬송가 또는 불경과 같은 음성데이타가 스피커(7)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안치대를 커버하고 있는 도어가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그 내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고인과의 단절감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해당 납골함이 수납된 수납공간을 조명램프로서 선택적으로 밝힐 수 있어서 추모시 산만한 분위기를 없애고 추모객들의 주위를 집중시켜 정숙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납골 안치단{A chanel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 안치단의 외형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납공간을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 안치단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좌대 2...안치대
3...입력부 4...조명램프
5...제어부 6...메모리
7...스피커
20...도어 22...수평재
24...수직재 25...수납공간
R...납골함
본 발명은 화장된 유골이 담긴 납골함을 안치시켜 보관하는 납골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다수의 수납공간을 갖으며 그 내부가 투영되는 안치대가 좌대 위에 얹혀진 구성으로 미관이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매우 미려하며, 각각의 수납공간에는 LED램프와 같은 조명기구가 마련되어 입력부의 명령과 연계된 제어부의 동작으로서 점등이 제어되어 추모시 주위를 집중시키며, 상기 조명기구의 점등과 함께 스피커를 통해 불경 또는 찬송가가 흘러나와 추모시 숙연한 분위기를 연출함과 동시에 납골함에 안치된 망자 및 그 유족들에게 종교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납골 안치단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와 같은 유교문화권에서는 조상의 시신을 훼손할 수 없다는 효(孝) 사상과 풍수지리설 등으로 시신의 화장보다는 매장을 선호하고, 과시적 성향에 근거하여 망자의 묘를 화려하게 보다 넓게 꾸미려는 경향이 있어 한정된 국토의 면적에 묘지의 면적이 날로 증가함으로 묘지의 절대적인 부족 및 그에 따른 국토 이용면적의 감소가 문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와 같이 인구밀도가 높고 국토면적이 좁은 나라에서는 묘지 부족현상의 심화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에서는 매장보다 화장을 권고하고 있으며, 이에 장묘법의 개정과 국민의식의 변화에 기인하여 화장문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문화(火葬)에는 화장을 통해 얻어진 골분을 산이나 강 등의 적당한 장소에 뿌려 망자의 혼을 달래는 형태(산골이라 함)이거나, 납골함(또는 "유골 보관함"이라 함)이라 불리우는 용기체에 골분을 담아 사찰이나 납골당 등에 보관 및 관리하여 유족들이 주기적으로 찾아뵙고 제(祭)의식을 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데, 산골의 경우에는 공해문제 및 주변사람들로 하여금 혐오감을 야기할 수도 있고 고인과의 단절감이 생기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를 지양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요즈음 후자인 납골함을 이용한 납골당 또는 사찰 등에 안치 보관하는 화장문화가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정부에서도 이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납골당은, 일정크기로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독립적으로 구획된 안치대를 연속하게 인접 배치시켜 안치단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대의 수납공간에 유골이 안치보관된 각각의 납골함을 안치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공공 납골당은 단순히 여러칸의 수납공간이 구획된 안치단을 설치하여 그 하나의 수납공간에다 개인 소장형식으로 망자를 모시는 형태로 비교적 저렴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납골당에 구비되는 상기 안치단은 단순히 석재 또는 금속재를 격자형태로 조립하여 단순히 안치단 내부에 여러개의 수납공간이 구획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납골함을 안치시켜 보관하는것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는 한편, 비투명 재질의 석재 또는 금속재로서 그 수납공간이 밀폐되어 있어서 고인과의 단절감이 유발되며, 그 구조역시 너무 단순하고 획일화되어 있어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 하고 추모객에게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없어서 다양화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 키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내부를 볼 수 있게끔 투명의 유리재질로 도어를 제작하여 외관이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매우 미려함은 물론 그 내부에 수납된 납골함을 살필 수 있어 고인과의 단절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각각의 수납공간에는 입력부의 명령과 연계된 제어부의 동작으로서 점등이 제어되는 조명램프를 마련하여 추모시 주위를 집중시키며, 상기 조명기구의 점등과 함께 스피커를 통해 불경 또는 찬송가와 같은 음성데이타가 출력되어 추모시 숙연한 분위기를 연출함과 동시에 납골함에 안치된 망자 및 그 유족들에게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여 다양화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납골 안치단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인 납골 안치단은, 일반 수납장 형태의 좌대 위에 다수의 수직재와 수평재가 격자형상으로 조립되어 다수의 수납공간이 분리 형성된 안치대가 얹혀진 구성의 납골함 안치단에 있어서, 상기 안치대는 미닫이식으로 개방되는 투명한 도어에 의하여 전면이 개방 또는 폐쇄되어 그 내부를 볼 수 있으며, 상기 안치대 각각의 수납공간에는 조명램프가 설치되어 좌대 상에 구비되는 입력부의 스위칭 신호와 이 신호와 연계되는 제어부의 동작으로서 각 수납공간이 개별적으로 점등되고, 안치대 양측부에는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인 연결을 갖으며 메모리와 연계된 스피커가 장착되어 입력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찬송가 또는 불경이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인 납골 안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납공간을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 안치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납골 안치단은, 좌대(1)와, 이 좌대(1) 위에 얹혀지며 다수의 납골함 수납공간(25)이 분리 구획된 안치대(2)와, 좌대 상에 구비되는 입력부(3)와, 이 입력부(3)의 스위칭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5)와, 입력부(3)의 입력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6)에 저장된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대(1)는 미닫이식 도어에 의해 그 내부가 개방되는 일반 수납장 형태로서 이러한 좌대(1) 위에는 다수의 수납공간(25)이 분리 구획된 안치대(2)가 얹혀져 하나의 안치단을 이룬다.
상기 안치대(2)는 다수의 수평재(22)와 수직재(24)가 격자형상으로 조립되어 그 내부에 납골함을 안치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공간(25)이 분리 구획되는 한편, 수납공간(25) 전면은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된 미닫이식 도어(20)에 의해 커버되어 도어(20)를 닫았을 때 그 내부를 볼 수 있게끔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안치대(2) 각각의 수납공간(25)에는 이 수납공간을 밝힐 수 있는 조명램프(4)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조명램프(4)는 좌대 상에 구비되는 입력부(3)의 스위칭 신호와 이 신호와 연계되는 제어부(5)의 동작으로서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점등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명램프(4)는 휘도가 탁월하며 수명이 긴 공지된 LED램프를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인 바, 이러한 조명램프(4)는 납골함이 안치되는 각각의 수납공간 천정에 해당하는 수평재(22) 저면에 설치하되, 상기 수평재는 도 2에서와 같이 수평재(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멍을 뚫고 이곳에 제어부(5)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C)을 끼워넣어 전선(C)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좋을 것이다.
스피커(7)는 입력부(3)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동작하여 메모리(6)에 음성신호 형태로 기억되어 있는 찬송가 또는 불경 등의 음성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토록 상기 입력부(3)와 연계된 제어부(5) 및 메모리(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7)는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좌대(1) 측부에 내장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상기 안치대(2) 양측부에 외장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미도시).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전술한 입력부(3)는 상기 각 수납공간(25)에 설치된 조명램프(4) 및 스피커(7)의 동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곳으로, 조명램프(4)가 설치된 각각 수납공간(25)을 개별적으로 점등시키기 위해 해당 수납공간의 번호가 표 시된 번호 선택 버튼(30)과, 각 수납공간의 조명램프를 동시에 점등할 수 있는 전체 선택 버튼(32)과, 스피커(7)를 통해 흘러나오는 음향을 제어하는 음향 선택 버튼(34) 및, 상기 조명램프의 점등 상태 및 음향과 관련한 스피커의 구동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입력부(3)는 도 3에서와 같이 제어부(5)와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번호 선택 버튼(30)을 눌러 점등코자 할 해당 수납공간(25)의 번호를 선택하면 제어부(5)가 이를 감지하여 해당 수납공간의 조명램프(4)에 전기신호를 입력하여 점등되도록 하고, 음성 선택 버튼(34)이 선택되면 제어부가 이를 감지한 후 메모리(6)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이러한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타가 스피커(7)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해당 수납공간(25)의 점멸 여부 및 음성데이타 송출여부는 디스플레이패널(3)을 통해 외부로 보여지게 된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입력부(3) 조작을 통해 선택된 해당 수납공간내 조명램프(4)가 점등되어 추모객의 주위를 집중시키며, 입력부(3)에 구비된 음성 선택 버튼(34)의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스피커(7)를 통해 불경 또는 찬송가가 흘러나오게하여 추모시 숙연한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 안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치대(2)의 독립된 각 수납공간(25)에 망자의 유골이 담겨진 납골함(R)을 수납시키는 형태로 안치시킨 후 도어(20)를 닫아 그 내부에 수납된 납골함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에 적용된 안치단의 상기 도어(20)는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그 내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고인과의 단절감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추모자와 연관된 고인의 납골함이 수납된 수납공간(25)만을 조명램프(4)로서 선택적으로 밝힐 수 있어서 추모시 산만한 분위기를 없애고 추모객들의 주위를 집중시켜 정숙하고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추모가 이루어 질 수 있게끔 분위기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명램프(4)의 점등과 함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음성데이타(불경 또는 찬송가)가 스피커(7)를 통해 흘러나와 더욱 숙연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고인 및 추모객에게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 조명램프의 점등 및 음성데이타 출력과 관련하여 앞서 도시된 첨부도면 도 1내지 도 3을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추모시 추모자와 연관된 고인의 납골함이 수납된 수납공간만을 조명램프로서 선택적으로 밝히기 위해 좌대(1)에 마련된 입력부(3)의 번호 선택 버튼(30)을 눌러 점등코자 할 해당 수납공간 번호를 선택하면, 제어부(5)가 이를 감지하여 해당 수납공간(25)의 조명램프(4)에 전기신호를 입력하고, 해당 수납공간(25)내 조명램프(4)는 점등되어 그 주변의 수납공간에 비해 밝게 비춰져 돋보이게 된다. 따라서 추모시 추모객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이로 인하여 정숙하고 엄숙한 분위기가 연출된 다.
상기와 같이 조명램프(4)가 점등된 상태에서 음성 선택 버튼(34)이 선택되면 제어부(5)가 이를 감지하여 메모리(6)에 전기신호를 인가하고, 이러한 메모리(6)는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해 이에 저장되어 있던 불경 또는 찬송가와 같은 음성데이타를 스피커(7)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흘러나오는 불경 또는 찬송가에 의하여 더욱 숙연한 분위기가 연출된다.
물론, 해당 조명램프(4)와 스피커(7)를 통한 음성데이타를 출력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즉, 상기 음성데이타의 출력은 조명램프의 점등과 상관없이 이루어져 조명램프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출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램프(4)는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해당 수납공간만이 점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니 아니하며 각기 독립적으로 구획된 수납공간 전체의 각 조명램프가 동시에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추모객들이 집중되는 민족명절 또는 석가탄신일, 백중일 등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안치단의 조명램프를 모두 점등한 상태에서 각 수납공간에 안치된 고인에 대한 추모식을 동시에 거행할 수 있어서 추모에 따른 혼잡을 예방할 수 있으며, 납골함에 안치된 고인들에게는 동시에 불을 밝힘으로써 특별한 날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해당 수납공간(25)의 조명램프(4) 점멸 여부 및 음성데이타 송출여부는 디스플레이패널(36)을 통해 외부로 보여져 사용자는 현재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입력부(3) 조작을 통해 선택된 해당 수납공간(25)내 조명램프(4)가 점등하여 추모시 추모객의 주위를 집중시켜 엄숙하고도 정숙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입력부(3)에 구비된 음성 선택 버튼(34)의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스피커(7)를 통해 불경 또는 찬송가가 흘러나오므로 숙연한 분위기 또한 연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납골 안치단에 의하면, 안치대를 커버하고 있는 도어가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그 내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고인과의 단절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추모자와 연관된 고인의 납골함이 수납된 수납공간만을 조명램프로서 선택적으로 밝힐 수 있어서 추모시 산만한 분위기를 없애고 추모객들의 주위를 집중시켜 정숙하고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추모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음성데이타(불경 또는 찬송가)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므로, 추모시 더욱 숙연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고인 및 추모객에게 종교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 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일반 수납장 형태의 좌대(1) 위에 다수의 수직재(22)와 수평재(24)가 격자형상으로 조립되어 다수의 수납공간(25)이 분리 구획된 안치대(2)가 얹혀진 구성의 납골 안치단에 있어서,
    상기 안치대(2)는 미닫이식으로 개방되는 투명한 도어(20)에 의하여 전면이 폐쇄되어 그 내부를 볼 수 있으며,
    상기 안치대(2) 각각의 수납공간(25)에는 조명램프(4)가 설치되어 좌대(1) 상에 구비되는 입력부(3)의 스위칭 신호와 이 신호와 연계되는 제어부의 동작으로서 각 수납공간(25)이 개별적으로 점등되고,
    좌대(1)에는 상기 입력부(3)와 전기적인 연결을 갖으며 메모리(6)와 연계된 스피커(7)가 내장되어 입력부(3)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메모리(6)에 기억되어 있던 음성데이타가 스피커(7)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안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램프(4)는 납골함(R)이 안치되는 각각의 수납공간(25) 천정에 해당하는 수평재(22)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평재(22)는 이 수평재(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멍(H)을 뚫고 이곳에 제어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C)을 끼워넣어 전선(C)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안치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3)는,
    조명램프(4)가 설치된 각각 수납공간을 개별적으로 점등시키기 위해 해당 수납공간의 번호가 표시된 번호 선택 버튼(30)과,
    각 수납공간의 조명램프를 동시에 점등할 수 있는 전체 선택 버튼(32)과,
    스피커(7)를 통해 흘러나오는 음향을 제어하는 음향 선택 버튼(34) 및,
    상기 조명램프의 점등 상태 및 음향과 관련한 스피커의 구동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안치단.
KR1020050115836A 2005-11-30 2005-11-30 납골 안치단 KR100744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836A KR100744168B1 (ko) 2005-11-30 2005-11-30 납골 안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836A KR100744168B1 (ko) 2005-11-30 2005-11-30 납골 안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773A true KR20070056773A (ko) 2007-06-04
KR100744168B1 KR100744168B1 (ko) 2007-08-01

Family

ID=3835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836A KR100744168B1 (ko) 2005-11-30 2005-11-30 납골 안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1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770B1 (ko) * 2018-11-12 2020-04-28 이갑봉 고인의 업적정보 표시장치
CN114482686A (zh) * 2022-03-14 2022-05-13 江西钰石实业有限公司 一种带有香烛台的多功能骨灰盒存放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96Y1 (ko) 2003-06-11 2003-09-06 김필혁 납골함 안치대
KR100556576B1 (ko) * 2003-09-16 2006-03-07 배재열 집단 납골 안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770B1 (ko) * 2018-11-12 2020-04-28 이갑봉 고인의 업적정보 표시장치
CN114482686A (zh) * 2022-03-14 2022-05-13 江西钰石实业有限公司 一种带有香烛台的多功能骨灰盒存放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168B1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33488A1 (en) Electronic flame
US6681534B2 (en) Pyramid mausoleum and columbarium system and method
US8419140B2 (en) Chambered cremation URN memorial with attached or integrated electronic imaging device
US7665881B2 (en) Night light and speaking obituary
US3990198A (en) System for sepulchral urn (post cremation) burial
KR100744168B1 (ko) 납골 안치단
KR100931638B1 (ko) 공간활용성이 확대된 납골함
KR100936146B1 (ko) 추모타워 시스템
KR20110123486A (ko) 전자 비석
KR200411752Y1 (ko)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200411753Y1 (ko)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JP7431313B1 (ja) 倉庫型コンテナを使用する骨壺安置保管装置
KR100931639B1 (ko) 디자인 납골함
KR200393985Y1 (ko) 납골당의 안치실 조명장치
JP3226721U (ja) 上置型仏壇
JP2011212090A (ja) 仏壇
JPH0678895U (ja) 快適起床環境装置
KR200411759Y1 (ko)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CN212841211U (zh) 一种具有电量显示功能的投光灯
JP3246460U (ja) 照度センサ付き照明機能付き花筒
KR100704029B1 (ko)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20080000622U (ko) 스피커를 구비한 다기능 향로
KR100936147B1 (ko) 납골함 제조용 이동 차량
JP2006265843A (ja) 墓碑
KR200297931Y1 (ko) 조립식 어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