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759Y1 -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 Google Patents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759Y1
KR200411759Y1 KR2020060000261U KR20060000261U KR200411759Y1 KR 200411759 Y1 KR200411759 Y1 KR 200411759Y1 KR 2020060000261 U KR2020060000261 U KR 2020060000261U KR 20060000261 U KR20060000261 U KR 20060000261U KR 200411759 Y1 KR200411759 Y1 KR 200411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que
storage space
settlement
deceased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열
Original Assignee
배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열 filed Critical 배재열
Priority to KR2020060000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7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인의 위(位)를 모시는 위패(位牌)를 이용하여 안치단에 보관된 납골함을 분실 또는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다수의 수직재와 수평재의 결합으로 수많은 수납공간을 형성한 안치단의 각 수납공간 수평재 선단 중앙에 장착홈이 요입형성되고, 이러한 장착홈에는 그 중앙에 위패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시건장치가 설치되어, 위패가 직립상태로 그 동작이 구속된 상태에서는 수납공간의 개구부를 막는 바리케이드(barricade) 기능을 함으로써 수납공간내에 보관된 납골함의 도난 및 분실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안치단, 납골함, 위패, 시건장치

Description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The locking installation which uses the memorial table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위패의 사시도.
도 4,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납골함 안치단 2...장착홈
3...시건장치 4...위패
30...걸쇠 32...플랜지
40...본신(本身) 42...받침
44...걸쇠홈 H...힌지
본 고안은 고인의 위(位)를 모시는 위패(位牌)를 이용하여 안치단에 보관된 납골함을 분실 또는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와 같은 유교문화권에서는 조상의 시신을 훼손할 수 없다는 효(孝) 사상과 풍수지리설 등으로 시신의 화장보다는 매장을 선호하고, 과시적 성향에 근거하여 망자의 묘를 화려하게 보다 넓게 꾸미려는 경향이 있어 한정된 국토의 면적에 묘지의 면적이 날로 증가함으로 묘지의 절대적인 부족 및 그에 따른 국토 이용면적의 감소가 문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와 같이 인구밀도가 높고 국토면적이 좁은 나라에서는 묘지 부족현상의 심화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에서는 매장보다 화장을 권고하고 있으며, 이에 장묘법의 개정과 국민의식의 변화에 기인하여 화장문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문화(火葬)에는 화장을 통해 얻어진 골분을 산이나 강 등의 적당한 장소에 뿌려 망자의 혼을 달래는 형태(산골이라 함)이거나, 납골함(또는 "유골 보관함"이라 함)이라 불리우는 용기체에 골분을 담아 사찰이나 납골당 등에 보관 및 관리하여 유족들이 주기적으로 찾아뵙고 제(祭)의식을 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데, 산골의 경우에는 공해문제 및 주변사람들로 하여금 혐오감을 야기할 수도 있고 고인과의 단절감이 생기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를 지양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요즈음 후자인 납골함을 이용한 납골당 또는 사찰 등에 안치 보관하는 화장문화가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정부에서도 이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납골당은, 일정크기로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독립적으로 구획된 안치대를 연속하게 인접 배치시켜 안치단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대의 수납공간에 유골이 안치보관된 각각의 납골함을 안치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공공 납골당은 단순히 여러칸의 수납공간이 구획된 안치단을 설치하여 그 하나의 수납공간에다 개인 소장형식으로 망자를 모시는 형태로 비교적 저렴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납골당에 구비되는 상기 안치단은 단순히 석재 또는 금속재를 격자형태로 조립하여 비투명 재질의 석재 또는 금속재로서 그 수납공간이 밀폐하고 있어서 고인과의 단절감이 유발되며, 그 구조역시 너무 단순하고 획일적이어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 하여 장식성이 떨어지는 등 최근 다양화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목판 또는 석판을 이용해 수납공간을 형성한 안치단 전면부에 그 내부를 볼 수 있게끔 투명의 유리재질 도어를 설치한 안치단이 제작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안치단은 단순히 그 내부를 살필 수 있도록 된 구조로서 통유리 형태의 한 쌍의 여닫이식 도어만으로 그 수납공간내에 안치된 납골함을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모든 납골함이 분실 및 도난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안치단에서는 여러 수납공간을 구분짓기 위해 각각의 수납공간에 고안의 위(位)를 모시는 위패(位牌)를 단순 거치시키고는 있으나 이러한 위패는 일반적으로 목판을 이용한 제품으로 그 디자인이 너무 획일화되어 있 어 장식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고인의 약력을 기록하는 것 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시건장치를 구비한 위패를 안치단의 각 수납공간 개구부 전방에 설치하되, 상기 위패는 시건장치의 가동여부에 따라 전방으로 젖혀져 수납공간 개구부를 완전 개방하거나 직립상태를 유지하여 수납공간 개구부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건장치에 의해 위패가 잠금해재된 상태에서는 수납공간 개구부가 완전 개방되어 납골함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한 반면, 시건장치에 의해 위패가 잠금된 상태에서는 위패가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수납공간 개구부를 막는 바리케이드 역할을 하여 분실 및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고인의 유골이 보관된 각 수납공간상의 납골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위패 받침부에 램프를 내설하여 위패 아래에서부터 은은한 조명이 비추도록 함으로써 안치단에 위패를 거치시켰을 때 기능성을 물론 장식성을 함께 충족시킬 수 있어, 실용적인 동시에 심미감을 높일 수 있으며, 조명에 의해 추모시 추모객들의 주위를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 본 고안은, 다수의 수직재 와 수평재가 격자형상으로 조립되어 납골함을 안치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공간이 분리 구획된 납골 안치단에 있어서, 안치단의 각 수납공간 개구부 전방의 상기 수평재 중앙부에 형성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한편, 중앙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키의 구동에 따라 그 축방향으로 인출되는 걸쇠가 내설되고, 측면과 후면에는 상기 장착홈의 내벽면을 일부를 감싸면서 장착 고정될 수 있게 플랜지가 연장 형성된 시건장치와; 상기 시건장치의 중앙의 공간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직립시에는 상기 시건장치로부터 인출되는 걸쇠에 의해 잠금되어 수납공간의 개구부를 막는 위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가 제공된다.
이 때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위패는, 고인의 이름과 생존기간 등 약력이 기재되는 본신과, 상기 본신 하부에서 이를 받치면서 동시에 시건장치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상기 시건장치로부터 인출되는 걸쇠가 삽입될 수 있게 측면 일측에는 걸쇠홈이 요입 형성된 받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패를 이루는 본신과 받침은 목재 또는 투명의 아크릴, 크리스탈, 석영 등을 재질로 함이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 위패의 받침에는 본신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램프를 더 설치하여 진열시 장식효과가 발현되도록 함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에는 탈취를 위한 방향제를 더 설치하여 안치공간내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에는 고인의 육성, 불경 또는 찬송가와 같은 음성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를 내장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음성데이타가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토록 함으로써 추모시 숙연한 분위기를 연출함 동시에 가신이에 대한 추억을 되살릴 수 있게 함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패의 받침 바닥면과 착설홈 바닥면에는 자석을 각각 설치하여 자석의 인력에 의해 위패가 착설홈 상에 안전하게 부착될 수 있게 구성함이 좋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위패의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안치단(1)의 각 수납공간 개구부측 수평재(14) 선단 중앙에 형성되는 장착홈(2)과, 상기 장착홈(2)에 설치되며 걸쇠(30)가 내장된 시건장치(3)와, 상기 시건장치(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직립상태에서는 상기 걸쇠(30)에 의해 잠금/고정되어 수납공간 개구부를 막는 위패(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시건장치(3)는 위패(4)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에는 키홀에 키를 꽂은 상태에서 키를 가동시켰을 때 상기 공간부로 인출되는 걸쇠(30) 예컨대, 다각 또는 원형단면을 갖는 봉형상의 로드를 포함한다. 시건장치(3)의 측면과 후면에는 상기 장착홈(3)의 내벽면 일부를 감싸면서 장착 고정될 수 있게 플랜지(32)가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플랜지(32)에는 다수의 볼팅공이 천공되어 있어서 상기 플랜지(32)를 통해 시건장치(3)를 장착홈(2) 상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볼트(B)를 체결하여 주면 수평재(14) 전방에 시건장치(3)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건장치(30)의 중앙의 공간에는 힌지(H)를 매개로 위패(4)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위패(4)는 평소 시건장치(3)내에서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시건장치(3)로부터 인출되는 걸쇠(30)에 의해 잠금되어 수납공간의 개구부를 막는다. 이와는 달리, 잠금상태가 해재되었을 경우에는 힌지(H)를 지점을 전방으로 젖혀져 수납공간의 개구부를 개방함으로써 수납공간으로 납골함을 안치시키거나 인출을 가능케 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위패(4)는 돌아가신이의 위(位)를 모시기 위한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고인의 이름과 생존기간 등 약력이 기재되는 본신(本身; 40)과, 본신(40) 하부에 설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받침(42)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42)의 일측벽면에는 상기한 걸쇠(30)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걸쇠홈(44)이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42)은 상기 시건장치(3)의 중앙부 공간에 힌지로서 결합되어 직립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완전히 젖혀질 수 있는 각도 범위(90°)내에서 회동된다. 특히, 상기 위패(4) 직립상태에서 받침(42)의 상기 걸쇠홈(44)으로는 시건장치(3) 일측으로부터 인출된 걸쇠(30)가 삽입되어 위패(4)의 직립상태를 유지시켜준다. 이에 따라, 위패(4)가 직립된 상태에서 받침(42)이 걸쇠(30)에 의해 그 회동이 제한되면 상기 위패(4)는 수납공간 개구부를 막아주는 바리케이드(barricade)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패의 본신(40)과 받침(42)은 서로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받침(42) 상부면에는 체결브래킷(420)이 형성되고 이 체결브래킷(420)에는 상기 본신(40)이 볼트(B)로서 고정되어 받침(42)으로부터 본신(40)을 분리해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신(40)이 파손되거나 수납공간에 안치되는 납골함의 주인이 바뀌었을 때 본신(40)만을 간단히 교체하면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신(40)을 중앙부에 착설홈(401)이 요입형성된 몸체(400)와, 상기 착설홈(401)에 착탈되며 고인의 이름과 생존기간 등 약력이 기재되는 명패(402)로 분리 구성하여 상기 몸체(400)로부터 명패(402)를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상기와 같이 납골함의 주인이 바뀌었을 때 본신(40)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나아가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위패(4)의 받침(42)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본신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램프(46)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램프(46)는 상기와 같이 본신(40)이 몸체(400)와 명패(402)로 분리된 상태에서 몸체(400)의 착설홈(401) 하단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램프 점등에 따른 빛의 조사에 의해 위패가 더욱 돋보일 수 있으며 추모시 추모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다.
상기한 위패(4)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목재 이외에도 투명 아크릴, 크리스탈, 석영, 유리와 같이 투명재질을 선택함이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이 투명한 재질 로 위패를 형성할 경우에는 본신에 고인의 이름과 생존기간등의 약력 기재 시 문자 등을 음각으로 성형하여 은은한 빛이 본신을 투과하면서 음각으로 문자가 성형된 부분에서 산란을 일으켜 이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도광판과 같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위패 받침(42)의 소정위치에는 수납공간내에 발생될 수 있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방향제(47)가 설치된다. 물론, 이러한 방향제는 소모성 제품이므로 받침에 인출 뚜껑을 두어 교환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방향제의 분출은 공지된 타이머에 의한 자동분출식 또는 사용자가 푸시버튼을 눌렀을 때 선택적으로 분출되도록 된 것과 같은 수동타입 중 어느 것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위패(4)의 받침(42)에는 추모시 숙연한 분위기를 연출함 동시에 가신이에 대한 추억을 되살릴 수 있게 고인의 육성, 불경 또는 찬송가와 같은 음성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48)가 설치된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48)는 PCB(미도시)를 매개로 스피커(49)와 연결되어 이 메모리 카드(48)에 저장된 음성데이타가 스피커(49)를 통해 외부로 출력토록 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48)는 완전 내장형이 아닌 삽탈식 카드형 메모리 카드로 하여 유족이 원할 때 언제든지 그 음성테이타를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위패 받침(42)에는 경보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보장치는 직립상태에 있는 위패가 걸쇠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누군가 위패에 임의의 외력을 가했을 때 경보음이 울릴 수 있게 함이 좋을 것이다. 그리하면, 납골함의 도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건장치(3)의 걸쇠(30)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면 위패(4)는 힌지(H)를 지점으로 회동하여 도 4와 같이 전방으로 젖혀진다. 이렇게 되면 수납공간(15)의 개구부가 완전 개방되어 고인의 유골이 저장된 납골함을 안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납공간 소정위치에 납골함을 안치시킨 후에는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위패(4)에 외력을 가해 위패(4)가 직립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건장치(3) 일측에 구비된 키홀에 키(K)를 꽂고 돌리면, 키의 가동에 따라 걸쇠(30)가 인출(키의 가동과 연계된 걸쇠의 인출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잠금장치의 구성에 불과하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되어 위패 받침(42)의 걸쇠홈(44)에 삽입됨으로써 회동가능한 상태에 있던 위패(4)를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동상태에 있던 위패(4)가 직립상태에서 그 회동이 구속되면, 위패(4)가 수납공간(15)의 개구부를 막는 바리케이드 역할을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패 뒤 수납공간(15)에 안치된 납골함(8)의 도난 및 분실의 위험으로부터 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위패(4)는 납골함 안치를 위한 개별 수납공간 개구부 측에서 걸쇠(30)에 의해 직립상태로 고정되어 개구부를 막는 바리케이 드(barricade) 역할을 하므로, 고인의 위(位)를 모시는 역할외에도 시건장치로서 기능적 역할도 함께 구비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위패 받침(42)에는 조명수단인 램프(46)가 내설되어 스위치 온했을 때 본신(40) 측으로 은은하게 빛이 발산된다. 이로써,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위패를 돋보이게 하여 추모시 추모객들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으며 진열시에는 미려한 장식효과 또한 기대된다. 이 때, 위패를 크리스탈 또는 석영과 같이 투명재질로 하면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이 위패를 투과하면서 도광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더욱 아름다운 전시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본신에 고인의 이름과 생존기간등의 약력을 기재할 때 음각으로 성형하면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이 위패를 투과하면서 음각의 문자부분에서 산란을 일으켜 문자가 더욱 돋보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패 받침(42)에는 고인의 육성, 불경 또는 찬송가와 같은 음성데이타가 저장된 삽탈형 메모리 카드(48)가 구비되어 있어, 메모리 카드(48)와 연계된 스위치의 조작으로 추모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언제든 고인의 육성을 들을 수 있어 가신이를 다시 한번 회상할 수 있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으며, 불경 또는 찬송가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엄숙하면서도 숙연한 추모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위패의 받침(42)에는 방향제(47)가 내설되어 있어, 안치공간내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여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에 의하면, 안치단의 각 수납공간 개구부측에 위패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막는 바리케이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위패가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는 수납공간으로부터 고인의 유골이 담긴 납골함을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으며, 위패를 직립상태로 세워 걸쇠로 구속시킨 상태에서는 고인의 위(位)를 모시는 기능외에도 개구부를 막는 바이케이드 기능을 하여 분실 및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각 수납공간 내부에 안치된 납골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위패 받침부의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은은한 조명에 의해 위패가 돋보임으로써, 안치단에 위패를 거치시켰을 때 위와 같은 시건장치로서의 기능성 뿐 아니라 장식성을 함께 충족시킬 수 있어, 실용적인 동시에 심미감을 높일 수 있으며, 조명에 의해 추모시 추모객들의 주위를 집중시킬 수 있어 엄숙한 추모분위기 연출에 일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8)

  1. 다수의 수직재(12)와 수평재(14)가 격자형상으로 조립되어 납골함을 안치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공간(15)이 분리 구획된 납골 안치단에 있어서,
    안치단의 각 수납공간 개구부 전방의 상기 수평재(14) 중앙부에 형성되는 장착홈(2)과;
    상기 장착홈(2)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한편, 중앙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키의 구동에 따라 그 축방향으로 인출되는 걸쇠()가 내설되고, 측면과 후면에는 상기 장착홈의 내벽면을 일부를 감싸면서 장착 고정될 수 있게 플랜지(32)가 연장 형성된 시건장치(3)와;
    상기 시건장치(3)의 중앙의 공간에 힌지(H)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직립상태에서는 상기 시건장치(3)로부터 인출되는 걸쇠에 의해 잠금되어 수납공간의 개구부를 막는 위패(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패(40)는
    고인의 이름과 생존기간 등 약력이 기재되는 본신(40)과;
    상기 본신 하부에서 이를 받치면서 동시에 시건장치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 며, 상기 시건장치로부터 인출되는 걸쇠가 삽입될 수 있게 측면 일측에는 걸쇠홈(44)이 요입 형성된 받침(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42) 상부면에는 체결브래킷(420)이 더 형성되어 이 체결브래킷에 상기 본신(40)이 볼트(B)로서 고정되어 받침(42)으로부터 본신(40)을 분리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신(40)은 중앙부에 착설홈(401)이 요입형성된 몸체(400)와, 상기 착설홈(401)에 착탈되며 고인의 이름과 생존기간 등 약력이 기재되는 명패(402)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400)로부터 명패(402)를 분리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패(4)를 이루는 본신(40)과 받침(42)은, 목재 또는 투명의 아크릴, 크리스탈, 석영, 유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패(4)의 받침(42)에는 본신(40)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램프(4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42)에는 안치공간내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탈취를 위한 방향제(47)가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42)에는 고인의 육성, 불경 또는 찬송가와 같은 음성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48)가 삽탈식으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2020060000261U 2006-01-04 2006-01-04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200411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261U KR200411759Y1 (ko) 2006-01-04 2006-01-04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261U KR200411759Y1 (ko) 2006-01-04 2006-01-04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678A Division KR100704029B1 (ko) 2005-12-30 2005-12-30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759Y1 true KR200411759Y1 (ko) 2006-03-16

Family

ID=4176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261U KR200411759Y1 (ko) 2006-01-04 2006-01-04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7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8973A (en) Monuments, markers and columbariums with improved display indicia
US7703185B2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7406754B2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7191499B2 (en) Memorial urn
US20080010792A1 (en) Memory container and method of memorializing a life
US20140182096A1 (en) Hanging Memorial
EP0248894A1 (en) Storage and display system
US20080244994A1 (en) Monument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0411759Y1 (ko)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100704029B1 (ko)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200411752Y1 (ko)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US20200115918A1 (en) Memorial stone display system
KR100729904B1 (ko) 납골함보관냉동고
KR200411753Y1 (ko)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JP3226721U (ja) 上置型仏壇
KR200223612Y1 (ko) 가족용 납골단
JP4064847B2 (ja) 墓の灯火用石碑
JP3154558U (ja) 供養家具
JP2021101869A (ja) 墓碑兼用仏壇
JP3157102U (ja) 墓石
JP3062981U (ja) 室内装飾用簡易小型仏壇
WO2021038947A1 (ja) 祭壇
JP2520978Y2 (ja) 遺骨箱
JP2000000158A (ja) 仏 壇
JP3881556B2 (ja) 墓の灯火用石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