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753Y1 -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 Google Patents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753Y1
KR200411753Y1 KR2020050037187U KR20050037187U KR200411753Y1 KR 200411753 Y1 KR200411753 Y1 KR 200411753Y1 KR 2020050037187 U KR2020050037187 U KR 2020050037187U KR 20050037187 U KR20050037187 U KR 20050037187U KR 200411753 Y1 KR200411753 Y1 KR 200411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ddha
statue
seat
pedestal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7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열
Original Assignee
배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열 filed Critical 배재열
Priority to KR2020050037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7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정종교의 상징물인 불상(佛像)을 이용하여 안치단에 보관된 납골함을 분실 또는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수직재와 수평재의 결합으로 수많은 수납공간을 형성한 안치단의 각 수납공간 개구부측 수평재 선단 중앙에 각각 착설홈을 요입형성하고, 이러한 착설홈에는 특정종교의 상징물인 불상을 탈착가능하게 설치하되, 착설홈 측벽면에는 인출 가능한 걸쇠를 설치하여, 불상이 착설홈 상에 착설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되는 걸쇠에 의해 잠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불상을 통해 종교적 의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각 수납공간 내에 안치된 납골함의 도난 및 분실을 예방하는 시건장치 역할을 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불상을 안치단에 탈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치단에 불상이 착설된 상태에서는 수납공간의 개구부측을 막는 시건장치로 활용되므로 분실 및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각 수납공간 내부에 안치된 납골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안치단, 납골함, 불상, 걸쇠, 시건

Description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The locking installation which uses the Buddhist imageLay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불상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납골함 안치단 2...불상
3...착설홈 4...걸쇠
12...수직재 14...수평재
20...불상부 22...좌대
23...위패 24...걸쇠홈
25...램프 27...메모리 카드
28...스피커
본 고안은 특정종교의 상징물인 불상(佛像)을 이용하여 안치단에 보관된 납골함을 분실 또는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불상을 안치단에 탈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상을 안치단에 착설시킨 상태에서는 불상을 시건장치로 활용할 수 있어 수납공간 내부에 안치된 납골함의 분실 및 도난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불상에는 은은한 조명이 비추도록하여 진열시 장식성을 함께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와 같은 유교문화권에서는 조상의 시신을 훼손할 수 없다는 효(孝) 사상과 풍수지리설 등으로 시신의 화장보다는 매장을 선호하고, 과시적 성향에 근거하여 망자의 묘를 화려하게 보다 넓게 꾸미려는 경향이 있어 한정된 국토의 면적에 묘지의 면적이 날로 증가함으로 묘지의 절대적인 부족 및 그에 따른 국토 이용면적의 감소가 문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와 같이 인구밀도가 높고 국토면적이 좁은 나라에서는 묘지 부족현상의 심화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에서는 매장보다 화장을 권고하고 있으며, 이에 장묘법의 개정과 국민의식의 변화에 기인하여 화장문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문화(火葬)에는 화장을 통해 얻어진 골분을 산이나 강 등의 적당한 장소에 뿌려 망자의 혼을 달래는 형태(산골이라 함)이거나, 납골함(또는 "유골 보관함"이라 함)이라 불리우는 용기체에 골분을 담아 사찰이나 납골당 등에 보관 및 관리하여 유족들이 주기적으로 찾아뵙고 제(祭)의식을 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데, 산골의 경우에는 공해문제 및 주변사람들로 하여금 혐오감을 야기할 수도 있고 고인과의 단절감이 생기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를 지양(止揚)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요즈음 후자인 납골함을 이용한 납골당 또는 사찰 등에 안치 보관하는 화장문화가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정부에서도 이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보편적으로 납골당은, 일정크기로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독립적으로 구획된 안치대를 연속하게 인접 배치시켜 안치단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대의 수납공간에 유골이 안치보관된 각각의 납골함을 안치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공공 납골당은 단순히 여러칸의 수납공간이 구획된 안치단을 설치하여 그 하나의 수납공간에다 개인 소장형식으로 망자를 모시는 형태로 비교적 저렴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납골당에 구비되는 상기 안치단은 단순히 석재 또는 금속재를 격자형태로 조립하여 비투명 재질의 석재 또는 금속재로서 그 수납공간이 밀폐하고 있어서 고인과의 단절감이 유발되며, 그 구조역시 너무 단순하고 획일적이어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 하여 장식성이 떨어지는 등 최근 다양화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목판 또는 석판을 이용해 수 납공간을 형성한 안치단 전면부에 그 내부를 볼 수 있게끔 투명의 유리재질 도어를 설치한 안치단이 제작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안치단은 단순히 그 내부를 살필 수 있도록 된 구조로서 통유리 형태의 한 쌍의 여닫이식 도어만으로 그 수납공간내에 안치된 납골함을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모든 납골함이 분실 및 도난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불상을 안치단에 탈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상을 안치단에 착설시킨 상태에서는 불상을 시건장치로 활용할 수 있어 해당 수납공간에 안치된 납골함의 분실 및 도난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불상에는 은은한 조명이 비추도록하여 진열시 장식성을 충족시킬 수 있고 아울러, 고인 또는 유족에게 종교적인 의미도 함께 부여할 수 있는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 본 고안은, 수직재(22)와 수평재(24)가 격자형상으로 조립되어 다수의 수납공간(25)이 분리 구획되고, 여닫이식으로 개방되는 투명한 유리재질의 도어(20)에 의해 그 내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납골 안치단에 있어서, 좌대 위에 부처님 형상의 불상부가 얹혀진 공지된 불상 형상을 취하며, 상기 좌대와 불상부는 서로 분리/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 지는 한편, 상기 좌대 전면(煎面)에는 고인의 이름과 생존기간 등 약력이 기재된 위패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면에는 소정 깊이로 걸쇠홈이 형성된 불상; 상기 불상의 좌대 밑면부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게 좌대 바닥면 넓이와 대응되는 넓이로 각 수납공간의 개구부측 수평재 선단 중앙에 요입 형성되는 착설홈; 상기 착설홈 측부의 수평재에 설치되어 키의 구동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좌대에 형성된 걸쇠홈 걸려 불상을 착설홈 상에 고정시키는 걸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좌대에는 본신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램프를 더 설치하여 진열시 장식효과가 발현되도록 함이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 좌대에는 고인의 육성, 불경 또는 찬송가와 같은 음성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를 내장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음성데이타가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토록 함으로써 추모시 숙연한 분위기를 연출함 동시에 가신이에 대한 추억을 되살릴 수 있게 함이 좋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불상의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는, 수직재(12)와 수평재(14)의 결합으로 수많은 수납공간을 형성한 안치단(1)의 각 수납공간(15) 개구부측 수평재(14) 선단 중앙에 각각 착설홈(3)을 요입형성하고, 이러한 착설홈(3)에는 특정종교의 상징물인 불상(2)을 탈착가능하게 설치하되, 착설홈(3) 측벽면에는 키(key)의 구동에 따라 인출되는 걸쇠(4)를 설치하여, 불상(2)이 착설홈(3) 상에 착설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되는 걸쇠(4)에 의해 잠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불상(2)이 종교적 의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각 수납공간 내에 안치된 납골함의 도난 및 분실을 예방하는 시건장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안치단에 형성된 다수 수납공간(15)의 개구부측 수평재(14) 선단 중앙에는 불상(2)의 좌대(22)가 안착될 착설홈(3)이 요입형성되며, 착설홈(3)의 일측벽면 수평재(14)내에는 키(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상기 착설홈(3) 측벽면으로부터 착설홈 중앙부로 인출되는 걸쇠(4)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착설홈(3)은 불상(2)의 좌대(22) 바닥 넓이와 대응되는 넓이를 지니면서 소정깊이로 함몰되어 불상(2)이 이곳에 놓여졌을 때 안전한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걸쇠(4)는 키홈에 키(미도시)를 꽂은 상태에서의 키의 구동에 따라 상기 착설홈 측벽면으로부터 착설홈 중앙부로 인출되어 상기 불상(2)을 착설홈(3) 상에 잠금/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불상(2)은 도 3에서와 같이 좌대(22) 위에 부처님 형상의 불상부(20)가 얹혀진 공지된 불상 형상을 취하며, 상기 좌대(22)와 불상부(20)는 서로 분리/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대(22) 전면(煎面)에는 고인의 이름과 생존기간 등 약력이 기재된 위패(23)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좌대(22) 측면에는 상기한 걸쇠(4)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걸쇠홈(24)이 소 정 깊이로 요입 형성된다. 따라서, 착설홈(3) 상에 불상(2)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키를 돌려 걸쇠(4)가 인출되면, 인출된 걸쇠(4)가 상기 좌대의 걸쇠홈(24)에 삽입되어 불상을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착설홈(3)상에 고정된 상기 불상(2)은 각 수납공간(15)의 개구부를 막는 바리케이드(barricade)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불상(2)의 좌대(22)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진열시 장식효과가 일층 향상될 수 있게 불상부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램프(25)가 설치되며, 불상의 양쪽 눈썹 사이에 난 흰 터럭을 상징하는 백호(白毫)형성 부위에 역시 램프(25)가 설치된다. 따라서, 램프 점등에 따른 빛의 조사에 의해 진열시 불상이 일층 돋보이게 되고, 불교를 숭배하는 고인 및 유족에게는 더욱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불상의 좌대(22)에는 추모시 숙연한 분위기를 연출함 동시에 가신이에 대한 추억을 되살릴 수 있게 고인의 육성, 불경 또는 찬송가와 같은 음성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27)가 설치된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27)는 좌대(22)에 내장되는 PCB(미도시)를 매개로 스피커(28)와 연결되어 이 메모리 카드(27)에 저장된 음성데이타가 스피커(28)를 통해 외부로 출력토록 되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메모리 카드(27)는 완전 내장형이 아닌 삽탈식 카드형 메모리 카드로 하여 유족이 원할 때 언제든지 그 음성테이타를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함이 좋을 것이다.
다음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4와 같이 안치단의 개별 수납공간 (15)내에 고인의 유골이 저장된 납골함(5)을 넣고 수납공간의 개구부측 착설홈(3) 상에 불상(2)을 착설시킨 상태에서 걸쇠(4)로 고정하면, 불상(2)이 각 수납공간(15)의 개구부를 막는 바리케이드(barricade) 역할을 하여 위패(2) 뒤 공간부에 안치된 납골함(5)의 도난 및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불상(2)은 납골함 안치를 위한 개별 수납공간(15) 개구부 측에서 걸쇠(4)에 의해 고정되어 개구부를 막는 바리케이드 역할을 하므로, 종교적 상징물로서의 역할외에도 시건장치로서 기능적 역할도 함께 구비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한 착설홈(3) 상에 불상(2)을 착설시킬 경우에 불상(2)이 착설홈 상에서 항상 정위치에 착설될 수 있도록 불상의 좌대(22) 바박면과 착설홈(3)에는 각각 자석(미도시)을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서 본 고안은, 상기 불상 좌대(22)에 조명수단인 램프(22)가 내설되어 본신 측으로 은은하게 빛을 조사하므로 불상 돋보이며 추모시 추모객들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고 진열시에는 미려한 장식효과 또한 기대된다.
더 나아가서 본 고안은, 고인의 육성, 불경 또는 찬송가와 같은 음성데이타가 저장된 삽탈형 메모리 카드(27)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메모리 카드와 연계된 스위치의 조작으로 추모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언제든 고인의 육성을 들을 수 있어 가신이를 다시 한번 회상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으며, 불경 또는 찬송가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추모의 분위기를 더욱 숙연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불상을 안치단에 탈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치단에 불상이 착설된 상태에서는 수납공간의 개구부측을 막는 바리케이드(barricade) 역할을 하므로 분실 및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각 수납공간 내부에 안치된 납골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불상 좌대의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은은한 조명에 의해 위패가 돋보임으로써, 안치단에 불상을 거치시켰을 때 위와 같은 시건장치로서의 기능성 뿐 아니라 장식성을 함께 충족시킬 수 있어, 실용적인 동시에 심미감을 높일 수 있으며, 조명에 의해 추모시 추모객들의 주위를 집중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발현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수직재(12)와 수평재(14)가 격자형상으로 조립되어 다수의 수납공간(15)이 분리 구획된 납골 안치단(1)에 있어서,
    좌대(22) 위에 부처님 형상의 불상부(20)가 얹혀진 공지된 불상 형상을 취하며, 상기 좌대(22)와 불상부(20)는 서로 분리/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좌대(22) 전면(煎面)에는 고인의 이름과 생존기간 등 약력이 기재된 위패(23)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면에는 소정 깊이로 걸쇠홈(24)이 형성된 불상(2);
    상기 불상(2)의 좌대(22) 밑면부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게 상기 좌대(22) 바닥면 넓이와 대응되는 넓이로 각 수납공간의 개구부측 수평재(14) 선단 중앙에 요입 형성되는 착설홈(3);
    상기 착설홈(3) 측부의 수평재(14)에 설치되어 키의 구동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좌대(22)에 형성된 걸쇠홈(24) 걸려 상기 불상(2)을 착설홈(3) 상에 고정시키는 걸쇠(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22)에는 불상부(20)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램프(25)가 설 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22)에는 고인의 육성, 불경 또는 찬송가와 같은 음성데이타가 저장된 메로리 카드(27)가 삽탈식으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기한 불상(2)이 착설홈(3) 상에 안전하게 부착될 수 있게 상기 불상 좌대(22)의 바닥면과 착설홈(3) 바닥면에는 자석을 각각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2020050037187U 2005-12-30 2005-12-30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200411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187U KR200411753Y1 (ko) 2005-12-30 2005-12-30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187U KR200411753Y1 (ko) 2005-12-30 2005-12-30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753Y1 true KR200411753Y1 (ko) 2006-03-16

Family

ID=4176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187U KR200411753Y1 (ko) 2005-12-30 2005-12-30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7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160B1 (ko) * 2023-09-15 2024-03-06 이진걸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160B1 (ko) * 2023-09-15 2024-03-06 이진걸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2014A (en) Columbarium with movable element
EP0248894A1 (en) Storage and display system
US7406754B2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3990198A (en) System for sepulchral urn (post cremation) burial
KR200411753Y1 (ko)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US20080244994A1 (en) Monument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Butterfield Social structure and the typology of funerary monuments in early Renaissance Florence
KR200411752Y1 (ko)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Moore Bronze and iron age sites in upper Myanmar: Chindwin, Samon and Pyu
KR200411759Y1 (ko)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100704029B1 (ko)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JP3207277U (ja) 位牌載置用台座
KR200223612Y1 (ko) 가족용 납골단
Mytum Death, Burial and Commemoration: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on Urban Cemeteries
JP2520978Y2 (ja) 遺骨箱
KR20070056773A (ko) 납골 안치단
JP3225590U (ja) 納骨壇
JP3226137U (ja) 自動納骨施設用の複合コンテナ装置
Sloane Memory and Landscape
JP3154558U (ja) 供養家具
KR200245087Y1 (ko) 매장묘와 납골당 혼합묘지
JP2021101869A (ja) 墓碑兼用仏壇
JP2001115686A (ja) 立体式墓地
Blair ‘Introductory Remarks’, in Biographic and Descriptive Sketches of Glasgow Necropolis (1857)
CN203106726U (zh) 多用途祭祀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