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146B1 - 추모타워 시스템 - Google Patents

추모타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146B1
KR100936146B1 KR1020090050645A KR20090050645A KR100936146B1 KR 100936146 B1 KR100936146 B1 KR 100936146B1 KR 1020090050645 A KR1020090050645 A KR 1020090050645A KR 20090050645 A KR20090050645 A KR 20090050645A KR 100936146 B1 KR100936146 B1 KR 100936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memorial
light source
desig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환
Original Assignee
(주)두손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손모아 filed Critical (주)두손모아
Priority to KR102009005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함이 누적 적층되는 추모타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골체가 수납되는 납골셀 형태로 구성할 경우 조합된 납골셀에 의하여 종교성향의 미술작품이나 조형물, 모자이크로 구성될 수 있어 인테리어의 일부를 이루는 형태로 추모타워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어 접근성이 용이한 사찰이나 성당, 기타 종교시설에 추모조형물을 건축할 경우 보다 자주 추모할 수 있고 혐오감을 불식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장례문화의 제공이 가능한 추모타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모타워 시스템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며, 연속된 층상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납골셀; 상기 각 납골셀에 수용되는 납골체; 및 상기 각 납골셀 전면에 구비된 디자인패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자인패널은 서로 다른 도안을 이루어 함께 작품을 형성하여 인테리어화된 추모타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납골, 추모, 타워, 인테리어, 디자인, 디스플레이, 발광, 회전, 공간활용, 영정, 납골셀, 기일, 현출

Description

추모타워 시스템{MEMORIAL TOWER SYSTEM}
본 발명은 납골함이 누적 적층되는 추모타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골체가 수납되는 납골셀 형태로 구성할 경우 조합된 납골셀에 의하여 종교성향 등의 미술작품이나 조형물, 모자이크로 구성될 수 있어 인테리어의 일부를 이루는 형태로 추모타워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어 접근성이 용이한 사찰이나 성당, 기타 종교시설에 추모조형물을 건축할 경우 보다 자주 추모할 수 있고 혐오감을 불식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장례문화의 제공이 가능한 추모타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납골당이나 봉안당은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주거지역과 떨어진 지역에 건축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는 매장형태의 장례문화에 대한 인식이 급변하여 화장에 대한 반발감이 짧은 기간에 획기적으로 줄어든 것에 비하여 새로운 추모 시설은 강렬한 민원 저항에 직면하여 건설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향과 맞물려 수요 공급의 큰 불균형을 일으키고 있다.
또 기존 봉안당 등의 시설은 격자형으로 보관함이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너무 획일적이고 균일화 되어 있으므로 혐오감을 해소할 길이 없었다.
종래 납골함 제조 기술은 디자인화 되어 인테리어 개념을 형성하기 보다는 유골 부패(실직적으로는 유골이 부패되는 것 보다는 외기 및 습기 유입으로 유기물에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것) 방지를 위한 밀봉 기술 위주로 발전하였는데,
예를 들어 이상열의 특허공개 제2003-0025097호(2003년03월28일) [가스를 봉입한 납골함 및 그 보관방법]이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납골함의 커버에 가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가스주입부재 및 가스배출부재를 설치하여서 납골함의 본체에 유골을 보관한 후 커버를 덮어주어서 시일링발사체를 사용하여서 본체와 커버 사이에 시일링부재를 발사하여서 시일링하도록 하고, 커버의 가스주입부재를 통하여서 가스주입기구로부터 공급되는 보존가스를 공급하여서 납골함의 본체 내부에 보관된 유골을 효율적으로 보관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 김명기의 특허등록 제0696970호(2007년03월13일) [납골처리방법]이 있는데,
상기 특허는 시신을 화장하여 납골함에 보관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신을 화장한 유골을 진공파우치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파우치에 생석회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생석회가 투입된 후 상기 진공파우치내의 공기를 진공배출하고 질소 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단계 후에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파우치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유골을 납골함에 투입하기 전에 진공처리를 하여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단순히 악취발생 및 부패 방지를 위한 것에 불과하여 화장 납골 추모 문화의 혐오감 개선을 위한 저변 확대 및 새로운 주거지역 또는 종교시설 내 추모타워 도입을 통한 새로운 장례문화 구축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
나아가 종래 새로운 장례문화를 위한 추모시설과 관련하여 박영일의 특허공개 제2001-0064660호(2001년07월11일) [사이버 영상 시스템 및 전자동 수납 시스템이 설치된 납골당]이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자동으로 유골함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전자동 수납 시스템을 도입하고, 인출된 유골함을 제례 참배단에 거치시킨 후 제사를 지내고자 할 경우 고인 및 가족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사이버 영상 시스템을 도입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에서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해주는 사이버 영상 시스템 및 전자동 수납 시스템이 설치된 납골당을 제공하고자,
유골함을 자동으로 수납 및 인출하는 전자동 수납 시스템과, 상기 전자동 수납 시스템에 의해 인출된 유골함을 거치시키고 제사를 모실 수 있도록 별도로 설치된 제례참배단과, 상기 제례참배단에 고인 및 가족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사이버 영상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색다른 제사 의식을 치를 수 있어 전체적으로 납골당의 분위기가 아늑하고 편안하여 한국의 장묘 문화에 대한 편견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기존 납골당 등의 장례문화를 그대로 답습한 것이어서 주거지 주변이나 자주 찾아갈 수 있는 사찰이나 성당 등의 종교시설에 병설하는 용도로는 부적합하고, 추모시설을 새로운 문화시설이나 종교시설화 하는 것과는 무관하다.
또 김정기의 특허공개 제2000-0054796호(2000년09월05일) [묘소에 비치된 고인의 디지털 자료 열람 장치와 그 방법]이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고인이 생전에 자신의 자서전, 회고록, 글, 비디오영상, 음성 등이 담긴 자료를 디지털화된 기록으로 남김으로서 후세에 귀감이 되고, 역사적인 자료가 될 수 있는 납골당내에 비치된 고인의 디지털 자료 열람장치와 그 방법으로,
기존 추모시설을 대체한다는 개념 보다는 고인의 자료는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검색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개념에 불과한 것이다.
주식회사 이엔아이테크놀로지의 특허공개 제2001-0074209호(2001년08월04일) [납골당을 겸한 입체영상 추모관, 입체영상 추모시스템 및그 제공 방법]이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종래의 납골당식 장묘 공간이 지니는 한계나 단순한 인터넷 상의 사이버 장례식장이 지니는 제약을 극복하고자 납골당이 혐오시설이라는 인식 에서 탈피하여 산자와 죽은 자가 만나고 주민들이 쉽게 접근, 공유할 수 있는 종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된 납골당을 겸한 입체영상 추모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정에서, 소극장식 시연장 또는 인터넷 공간상에서 고인의 생전 모습을 입체영상으로 재현하면서 추모할 수 있는 가상현실 입체영상 추모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나,
보수적인 장례 추모 문화의 특성상 온라인상의 추모 시스템 구현은 필연적으로 현실 공간인 오프라인 상의 납골당 등의 추모시설과 연계하여 구축될 수 밖에 없는데,
종속정인 온라인 추모 시스템을 넘어 오프라인상의 추모 문화의 변경을 도모하는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이어 (주)코아정보시스템의 특허공개 제2006-0082940호(2006년07월20일) [납골당의 입체영상 추모관 및 그 추모관 운영방법]이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납골당 내에 입체영상 추모공간을 두거나 또는 가상공간 추모관을 두어, 입체영상 및 입체음향을 통해서 고인의 생전의 모습을 재현해 줌으로써, 후손들이 고인의 생전모습, 극락왕생 하는 모습을 보면서 제사의례 및 추모할 수가 있고, 또한 납골당식 장묘 공간이 지니는 한계나 단순한 인터넷상의 사이버 장례식장이 지니는 제약이 극복됨으로써, 납골당이 혐오시설이라는 인식에서 탈피되고, 인근 주민들이 쉽게 접근하여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 공간의 유족과 고인간의 가상통신을 통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고인을 추 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한 것이나,
상기 특허공개 제2001-0074209호와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다음으로 성래경의 특허등록 제0860339호((24) 등록일자 2008년09월19일) [수목장 운영자를 위한 영상 추모관 운영방법 및 시스템]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회원이나 가족 또는 친지 가족 등의 수목장을 한 고인에게 <7> 추모를 하기 위하여 추모식, 추모를 위한 방문을 하여 고인의 유지를 기리거나 고인과의 인연을 회상하기 위하여 수목장 운영자가 설치한 영상 추모관을 방문하여 추모를 하고자 하는 경우, 추모객이 원하는 시간과 일시에 추모객이 추모를 하는 추모관에 설치된 스크린, LCD 등의 표시장치에서 영상이 상영되게 할 수 있는 수목장 운영자를 위한 영상 추모관 운영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나,
오프라인 상의 장묘방식이 납골당에서 수목장으로 바뀐 형태일 뿐, 법적 공식 장묘문화로 승인받지 못하고 있는 문제나 주거환경과 거리가 멀 수밖에 없는 장소적 제약을 고려하면 여전이 오프라인 상의 장래문화를 대체하는 데는 여전히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박천규의 실용신안등록 제0198552호(2000년07월24일) [납골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유골을 매장식 분묘형태로 안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매장문화에 보다 접근할 수 있고 전자식 표시 및 음성재생을 통해 고인의 영정과 음 성 등 생전의 모습 등을 생생히 기릴 수 있는 납골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납골장치는 납골함을 흙으로 매장하여 안치하는 분묘형 안치구와, 이 안치구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수납보관함을 포함하며, 수납보관함에 문이 설치되고 그 문에는 고인의 영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표시판과 스피커등을 설치하여 된다, 개시된 납골장치에서는 납골함이 실질적인 매장식으로 안치되므로 기존 매장문화와의 거리감이 좁혀지며, 또한 봉분이 있는 매장식 분묘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한편, 고인 생전의 모습이나 약력 및 육성을 통해 고인을 되새겨 볼 수 있어 유족들이 추모의 정을 나누기에 적합한 분위기를 조성하므로, 납골방식의 장례를 유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 것이나,
매장이나 납골안치, 수목장 그 어느 것이 갖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한편, 종래 납골함과 관련하여 정동영 등의 실용신안등록 제0254893호(2001년11월08일) [납골당용 영정 및 유골함을 보관시킨 회전장치]에는 조문객들이 원하고자 하는 선조의 영정과 유골함을 납골당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찾아내어 안치시킨 뒤 차례를 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시 회전판의 상부에 안착된 복수개의 유골함 중 본인이 찾고자 하는 유골함을 회전판을 이용하여 가볍게 회전시켜 인출 후 편리하게 차례를 지낼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원형으로 배열된 각층의 유골함 내부 공간은 무의미한 것이어서 공간 활용성 제고나 현재의 추모 경향과는 무관한다.
또 세진장묘개발주식회사의 실용신안등록 제0344317호(2004년02월27일) [유골함 보관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각각에 유골함이 안치되는 단위부재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제작 및 시공이 편리하고 취급이 간편하며 다양한 형태의 납골묘를 조성할 수 있는 유골함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나,
실용신안등록 제0254893호의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안고 있다.
한편, 최용호 등의 실용신안등록 제0332750호(2003년10월30일) [영상표시 기능이 구비된 납골함]이 있는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추석 및 한식 등과 같은 명절 때에는 많은 유족들이 몰려 영상 제례실을 이용할 때까지 많은 시간을 대기해야 되고, 또한 제례를 지내는 동안에도 주변에서 순서를 기다리는 다른 유족들로 인한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제례를 지내는데 많은 방해를 받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골함을 보관함은 물론 고인의 영정, 생전의 모습 및 육성을 직접 시청하면서 제례를 지낼 수 있는 영상 표시기능이 구비된 납골함을 제공하며,
또 납골함 본체 내의 표시부를 회전시킬 수 있어 고인의 영정, 생전의 모습 및 육성을 직접 시청하면서 제례를 지낼 수 있는 개념에 관한 것이다.
그럼에도 상기 등록실용신안 역시 납골함 자체의 내부 수용공간 활용성이나 납골함이 누적 적층된 추모시설의 공간활용성과는 무관하고, 혐오감을 불식시킬 수 있는 미감의 제공과도 무관하다.
나아가 차량에 도입한 장례 관련 설비와 관련해서는 조동섭의 특허등록 제0419297호(2004년02월05일) [이동식 화장장치] 및 조남상의 특허등록 제0832521호(2008년05월20일) [이동식 화장장치] 등과 같이 화장 설비에 국한된 것인데,
실재 차량에 화장 설비를 도입하는 것은 기술적인 난이도 문제를 떠나서 악취 문제나 심리적인 거부감 문제 등과 관련하여 현실성이 떨어진다.
오히려 화장 후 화장장과 떨어진 봉안 시설(사찰이나 추모공원, 기타 종교시설 등)에 유골을 안치함에 있어 납골함에 투입 안치하는 작업과 관련된 시설이 구비된 이동형 차량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납골당이나 봉안당에 대한 혐오감을 줄이기 위하여 납골함을 누적 적층하여 추모타워를 구성할 경우 종교성향의 미술작품이나 조형물, 모자이크로 구성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인테리어의 일부를 이루도록 함은 물론,
개별 납골함 내부도 구획하여 납골, 유품, 영정사진, 고인의 약력, 생전 영상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의 고인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모로 공간활용성을 획기적으로 늘린 납골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납골함의 회전을 위한 모터의 동력전달과 각 구획 수용부의 발광 현출을 위한 광원의 배열을 현실화시켜 보다 컴팩트하고 작동에 문제가 없도록 한 납골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모타워 시스템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며, 연속된 층상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납골셀;
상기 각 납골셀에 수용되는 납골체; 및
상기 각 납골셀 전면에 구비된 디자인패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자인패널은 서로 다른 도안을 이루어 함께 작품을 형성하여 인테리어화된 추모타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추모타워 시스템은 상기 각 디자인패널에 구비된 광원; 및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각 납골체의 해당 고인 정보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각 광원 제어를 위한 명령부; 및 타이머;를 포함하고, 기일(忌日)의 경우 상기 광원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납골체는 납골셀에 횡방향으로 안치되고,
특정 납골셀을 현출시킬 경우 주변 납골셀의 광원이 함께 발광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해당 광원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러한 추모타워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납골함(여기서 '납골함'은 각종 유골을 담는 용기, 기타 다이아몬드 또는 유골 활용 성형물을 포함하는 '납골체'(내장체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함)에 포함되는 개념이다)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체;
상기 베이스 상부에 위치하고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 구획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 내부 또는 외부에 배열되는 디자인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확대된 납골함은 상기 회전체의 구동을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광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투과도 가변 패널이고,
또 상기 회전체는 격벽을 갖고, 상기 수용부는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모타워 시스템은 기존 납골당이나 봉안당에 대한 혐오감을 줄이기 위하여 납골함이 누적 적층되어 추모타워를 구성할 경우 종교성향의 미술작품이나 조형물, 모자이크로 구성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예술작품이나 종교구조물에 가깝게 구성하여 혐오감을 불식시키고 보다 생활 밀접성을 갖는 장례문화를 창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은 개별 납골함 내부를 구획하여 납골, 유품, 영정사진, 고인의 약력, 생전 영상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의 고인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성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고, 또 납골함의 회전을 위한 모터의 동력전달과 각 구획 수용부의 발광 현출을 위한 광원의 배열을 현실화시켜 보다 컴팩트하고 작동에 문제가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개략적인 정면도와 관련된 도 1과, 제어 관련 블록도인 도 2를 참고하여 추모타워(T)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모타워(T) 시스템은 프레임(T2)과,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층상구조의 납골셀(T1), 그리고 상기 납골셀 전면에 구비된 디자인패널(D), 그리고 상기 디자인패널에 구비된 광원(L)(도 2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T2)과 납골셀(T1)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연속되고 층사구조를 이루는 육각형 납골셀로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납골셀이 집합된 납골타워(T)는 마치 벌집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납골체는 납골셀에 횡방향으로 투입 안치되는 형태이며, 납골셀이나 납골체의 형상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 육각 기타 다각형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자인패널(D)은 납골셀을 구성하는 외곽틀에 고정되어 납골셀을 덮는 형태(하나의 납골셀 마다 하나 구비되거나 여러 인접 납골셀을 한꺼번에 덮는
(개개의 납골셀을 완벽하게 덮거나, 도 1과 같이 일부 외곽 납골셀은 완전히 덮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덮는 형태도 가능)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는 도 5에서와 같이 납골체 자체에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또 상기 디자인패널(D)은 단순한 투시창의 기능을 할 수 도 있으나,
이러한 디자인패널은 서로 다른 도안을 이루어 함께 작품을 형성하여 인테리어화된 추모타워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최후의 만찬, 불화 등의 종교성향의 미술작품이나 조형물이나 모자이크, 기타 구상화나 추상화 형태를 이루는 개별 디자인패널(D)이 되도록 서로 다른 도안을 구비(단순한 도색 등의 방식을 이용한 고정된 도안이나, LCD 등을 활용하여 변화 가능한 도안으로 구성할 수 있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육각형 납골셀(T1)의 형상에 맞게 상기 디자인패널(D) 역시 육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각종 표시장치가 대부분 사각형이므로 건축비용을 고려하면 사각형의 디자인패널(D)을 도입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시스템적으로 개별 납골셀(T1)만을 특정하게 현출시킬 수 있도록 개개의 납골셀(T1)에 대한 좌표를 디자인패널과 연동시켜 기일 등의 경우 해당 고인의 납골셀(T1)만이 발광 등의 방식으로 현출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러한 디자인패널(D)은 앞서 언급한 전기 ON-OFF에 따라 빛을 투과 또는 차단하고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투과도 가변 패널(또는 소위 하프(half) 글래스 또는 매직 글래스)로 구성할 수 있으며,
최근 각광 받는 LED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이 경우 각 디자인패널(D)의 현출(결국은 납골셀(T1)의 현출)을 위한 광원은 별도의 광원(특히 LED 광원)이거나 공지의 평판표시장치와 관련된 백라이트일 수 있다.
또 해당 납골셀(T1)의 전면(추모객, 관람객, 신자, 불자 등이 추모하거나 자주 지나다니는 면)에는 디자인패널(D)을 도입하고,
그 후면에는 납골체(A)(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납골체'는 납골함이나 기타 유골을 담는 용기, 기타 다이아몬드 또는 유골 활용 성형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때에도 발광 현출 방식이나 RFID 등의 도입으로 보다 쉽게 해당 고인의 납골체를 찾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광원(L) 또는 디자인패널(D), 또는 이들 모두의 콘트롤을 위한 제어부(C)는 자체 컨트롤패널이나 관리실의 중앙 컴퓨터, 네트워크 연결 PC 등과 연동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타 공지의 가상공간 추모시스템과 연동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C)는 각 납골체(A)의 해당 고인 정보 등을 저장한 저장부(C1), 상기 각 광원(L)이나 디자인패널(D) 제어를 위한 명령부(C2), 타이머(C3)를 포함하고, 타이머(C3)와 저장부(C1)에 저장된 값이 일치하는 기일(忌日)의 경우 상기 광원(L)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특정 납골셀을 현출시킬 경우 주변 납골셀의 광원(L)(결국은 해당 디자인패널(D))이 함께 발광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해당 광원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예를 들어 현출, 특히 추모 대상 납골셀이 황색으로 현출되는 경우 주변 셀은 녹색으로 현출되거나
추모대상 납골셀 해당부위는 디자인패널(D)에 연꽃 수술로 현출되는 경우 주변은 연꽃잎으로 보조 현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도 2에 구성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C)는 외부입력부(C4)를 통하여 현출 대상 납골체의 자동 기일 지정 기능을 해제하거나 기일과 상관없이 가족이 신청하는 경우 현출시키도록 할 수 있고,
초파일이나 한식, 명절 등에는 전체 추모타워(T)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형상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고, 전체 추모타워(T)의 디자인패널(D)이 함께 고인의 관련 영상이나 추모글을 보여주고, 또 스피커(SP)를 통하여 음악이나, 고인음성, 영상 관 련 녹음 재생이 구현될 수 있다.
또 복수 고인의 기일인 경우(또는 기일과 추모 신청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시간차를 두고 번갈아 가면서 해당 납골셀 부분을 현출시키거나, 해당 셀의 좌표 간격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혼동가능성 기준 거리(저장부(C1)에 저장)를 넘는 간격에 있을 경우 동시 현출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나아가 수 미터에서 몇 십 미터의 폭과 높이를 가질 수 있는 추모타워(T)의 크기와 낮은 해상도를 고려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D1)(도 2 괄호 내 참조부호임)를 도입하고 이 디스플레이(가능한 대형인 모니터 또는 스크린)에서 추모타워의 디자인패널(D) 집합체의 영상과 같거나 다른 영상을 보여줄 수 있고, 이때 스피커(SP)의 음향은 둘 중 하나의 영상과 관련된 것이거나 무관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추모타워(T)에 구현되는 미술작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의 만찬이거나 불화(지장보살)일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모 방식은 별도의 중앙 디스플레이(D1)를 통하여 영정사진이나 기타 고인 관련 영상자료 등을 재생하고, 추모타워(T)의 디자인패널(D)에서는 추모 문구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각종 콘트롤은 외부 입력부(C4)를 포함하는 제어부(C)를 통하여 조작할 수 있다.
아울러 단순히 도 1과 같이, 납골셀(T1)에 내장된 성형 타입 납골체(A)가 아니라 도 6 및 도 7과 관련된 납골함(B)을 도입하는 경우
제어부(C)는 회전체(20)를 위한 모터(40)나 서포트(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33)(이러한 디슬플레이를 구비한 납골함(B)이 추모타워를 구성하는 경우 도 1의 추모타워 개념에서는 '디자인패널'에 해당하는 것이다)를 제어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예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확대된 납골함(B)을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인 도 6(편의상 상부패널(29) 및 캡(35) 생략)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B)은 크게 베이스(10), 상기 베이스 상부에 위치한 회전체(20), 상기 베이스 상부에 위치하고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 구획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서포트(30), 그리고 상기 회전체의 구동을 위한 모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상기 회전체는 수동으로 선회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모터는필요하지 않다.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는 십자 형태로 제어 및 전원선 노출 방지 및 정리를 위한 와이어가이드(13)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모터(40) 하우징의 장착 결합을 위한 슬리브(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는 또 골격 역할을 하도록 서포트(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서포트의 도시 형상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서포트(30)는 특히 일면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에는 관찰창 기능이나 다양한 표시효과를 위한 디자인 디스플레이(33)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데, 디스플레이의 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네 측면을 가져 납골함이 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설계 변형을 통하여 외형이 육각기둥 등의 다양한 다각 기둥이나 심지어는 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서는 서포트(30) 외부에 디자인 디스플레이(33)가 구비된 형태이나, 서포트의 측면 개구는 단순히 윈도우(투명창)만이 구비되고, 디자인 납골함(또는 납골체) 또는 인테리어 추모타워를 위하여 본질적인 디스플레이는 서포트 내측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나아가 회전체와 연계되어 선회하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시 서포트의 내부 모서리에는 네 리브(31)가 돌출되어 있어 보강살 기능을 하며, 또 그 상하면에는 베이스(10) 및 캡(35)이 결합될 수 있는 고정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35) 상면에도 역시 십자 형태로 제어 및 전원선 노출 방지 및 정리를 위한 와이어가이드(3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30) 내부에 구획 형성된 수용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도입될 수 있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회전체(20)가 격벽(21)을 갖고 상기 수용부는 격벽에 의하여 구획 형성되어, 결국 수용부는 서포트 내부 중 특히 회전체 내부에 도입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10) 상부 특히 상기 서포 트(30) 내측에는 회전체(20)가 배열되는데, 상기 회전체(20)의 핵심은 격벽(21) 및 이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의 수용부(S)에 해당하는데,
필요에 따라 격벽(21) 사이의 공간에는 별도의 분할체(27)(도면에서는 2개 도입(편의상 도 7에서는 1개 생략))가 도입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수용부(S)는 실질적으로 상기 분할체(27) 내면에 해당한다.
또 상기 격벽(21)에는 필요에 따라 반사체(21a)가 구비되어 광원(50)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33) 쪽 휘도를 높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분할체(27)에는 단순유골 또는 유골을 가압 성형한 성형체, 별도의 유골 저장 소형용기, 유품(F1) 등과 같은 내장체(F)가 저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33) 쪽으로는 영정사진 등이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격벽(21)은 중앙 실린더(23)에 연결되어 지지되는데, 상기 실린더는 상기 모터(40)의 하우징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또 보다 내구성 있는 회전체(20) 구현을 위하여 상기 격벽(21)의 회전(결국은 수용부(S)의 회전)은 중계체(25)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계체(25)는 하부패널(25A) 및 상기 하부패널 상부에 돌출되고 평면상에서 관찰하였을 때 사분원(四分圓) 중 이격된 두 분원에 해당하는 벽체패널(25B)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패널(25B)에는 추모글, 안내글, 기타 영상, 하기의 추모타워(T)와 관련된 모자이크 형상 구현을 위한 개별 색상이 도입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일정 형상이 현상된 필름(P)이 도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 상기 하부패널(25A) 중앙에서 약간 돌출된 돌기에는 네 결합슬롯(2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결합슬롯(25a)에는 상기 격벽(21)이 결합된다.
나아가 상기 중계체(25) 상부에는 상부패널(29)이 배열되며, 상기 상부패널의 중앙에는 와이어 인입을 위한 중공(29b)이 형성되어 있고, 또 하면에는 결합돌기(2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9a)는 모터(40)의 동력을 감속기(41)를 거쳐 전달받는 결합체(43)와 치합된다(그 외 다양한 결합 방식 구현 가능).
결국 모터(40)의 동력은 감속기(41)를 거쳐 결합체(43)를 통하여 결합돌기(29a)를 갖는 상부패널(29)에 전달되고, 상기 상부패널은 중계체(25)와 격벽(21)을 선회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격벽 사이의 수용부(S) 또는 분할체(27)가 선회하게 된다.
한편, 광원(50)은 상기 모터(40)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23)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체(51)를 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고정체(51)에는 투광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원(50)은 소형, 경량, 적은 발열, 반영구성, 고속응답특성, 펄스동작 가능특성, 전류에 의한 광출력 제어 특성을 갖는 LED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서는 고정형으로 구성된 고정체(51)에 하나의 상기 투광부(51a)가 디스플레이(33)를 향하여 배열되는 것을 고려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각 수용부(S)(도면에서는 4개) 모두를 발광시키도록 광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에는 광원이 구비'되어 있다는 것은 광원이 본질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조사하는 용도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33)는 필요에 따라 액정과 고분자를 배합하여 전기 ON-OFF에 따라 빛을 투과 또는 차단하고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투과도 가변 패널(또는 소위 하프(half) 글래스 또는 매직 글래스)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주식회사 디디텍의 특허등록 제0318868호(2001년12월13일) [액정표시장치용 고분자 조합 액정], 김호강의 특허등록 제0264038호(2000년05월24일) [투명거울], 김종승의 특허공개 제2005-0105055호(2005년11월03일) [거울과 영상 표시 기기가 결합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 김택천 등의 실용신안등록 제0256635호(2001년11월26일) [투과도 가변창을 구비한 냉장고], 주식회사 윈스텍의 실용신안등록 제0296222호(2002년11월12일) [거울 겸용 이미지 디스플레이장치] 등이 있고,
상업적으로는 경기 화성에 위치한 디엠디社(www.dmdisplay.com)에서 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33)를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투과도 가변 패널로 구성할 경우 납골함 내부의 내장체(F) 관찰이 가능함은 물론 후술하는 추모타워(T)와 관련하여 최후의 만찬, 불화 등의 종교작품, 기타 구상화나 추상화 형태로 개개 의 디자인패널을 구성하기에 용이하다.
물론 납골함(B) 내의 유골 성형체, 유품(F1), 영정사진, 추모글 등의 내장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33)가 투명하게 되어 단순히 관찰창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공간활용성이 확대된 납골함(B)은 내부를 격벽(21)을 통하여 구획할 경우, 각 수용부(S)에 하나는 유골 또는 기타 내장체(F) 보관(본질적인 납골함 용도), 다른 것에는 영정사진, 다른 것에는 추모글, 또 기타 영상 현출, 전체 추모타워 구성의 일부분 기능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 도 8에 도시된 변형 납골함(B)은 회전체(20)의 구획 수용부가 반분된 원통형을 이루고, 도시된 형태에서 디스플레이(33)쪽은 내장체(F)나 기타 납골체, 유품 등을 관찰할 수 있는 투명 벽체(125A)로 구성되고, 그 배면에는 고인 관련 영정이나 기타 영상이 사진 기타 현상필름이 배열된 벽체(125B)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터에 의한 회전체(20)의 회전은 360도 또는 180도 선회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벽체(125B)에는 역시 일정 형상이 현상된 필름(P)을 비롯하여, 추모글, 안내글, 기타 영상이나 도안이 도입될 수 있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벽체(125A)(125B)만이 선회되고 내장체(F)는 회전되지 않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기타 관련 사항은 도 6 및 7과 관련하여 기술한 상기 내용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며, 역시 캡이 생략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납골함(B)은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골함이 층상구조로 적층되고 노출면(B3)(도 13 참조)(이러한 디슬플레이를 구비한 납골함(B)이 추모타워를 구성하는 경우 도 1의 추모타워 개념에서는 '디자인패널'에 해당하는 것이다)이 함께 작품을 형성하여 인테리어화된 추모타워(T)를 구성함에 있어서,
납골함(B)의 외부 일면 또는 다면에는 추모타워의 전체 작품 일부를 구성하는 도안이 형성되어 있다. 도안의 예로는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최후의 만찬이거나 불화(지장보살)일 수 있다.
또 상기 납골함(B)에는 어느 한 면만이 아니라 각 면(예를 들어 육면체인 경우 육면 모두 또는 측면인 4면)에 서로 다른 도안을 형성하고 노출면의 선택에 따라 각기 다른 작품(작품이란 종교작품, 기타 구상화나 추상화를 포함하는 개념)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으며,
납골함(B)의 외형은 다면체 뿐 아니라 구(球)체 또는 반구체, 타원구체 등이 모두 가능하다.
구체 또는 반구체 등인 납골함의 경우 납골함의 크기 및 배경색의 선택에 따라 얼마든지 추모타워(T) 작품 구성이 가능하다.
또 납골함의 제조에 있어 도 9의 육면체 또는 도 10의 육각기둥 타입 납골함(B) 제조 공정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장된 유골(Fa)을 1차로 한지 등의 종이나 삼베 등의 천,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내부용기(B2)에 투입하고, 다시 예를 들어 도자기 소재(도자기 자체에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어 질소나 헬륨 가스 등을 충진하는 경우 누설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도자기의 경우 특수 유약을 바르고, 나아가 이중 용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의 외함체(B1)에 투입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1차로 내부용기(B2) 또는 내부용기를 생략하고 외함체(B1)에 안치되는 유골(Fa)은 압축성형(다이아몬드화까지는 아니어도)이나 과정을 거쳐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고(별다른 접착 성분 없이 성형이 가능)(필요에 따라 은분이나 금분, 옥가루 등을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보관성이나 유골함 안치가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기본적으로 성형체(F)(편의상 내장체(F)와 참조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나, 보호범위와 관련하여 정밀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를 안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 상기 내부용기(B2)는 포장 용이성을 위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별도의 커버(B2a)를 갖고, 커버는 접착 테이프(B2b)에 의하여 상호 부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함체(B1)는 밀봉성과 외관 미감 향상을 위하여 베이스(B1A)
(각각 원기둥형 및 사각기둥형 성형체(F)에 맞게 끼움 안착부(미지시됨)를 갖고, 이 끼움 안착부에는 가스 확산구(B1c)가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에 내부용기의 상면 전부를 감싸는 상부체(B1B)를 덮고, 그 접면에는 접 착제나 액상 실리콘 등을 도포하여 보다 완벽한 밀폐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베이스(B1A)와 상부체(B1B)의 접면에는 밀착성 향상을 위하여 상호 맞물리거나 엇물리는 하나 또는 복수의 요철 구조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납골함(B)에는 부패 방지를 위하여 질소 또는 헬륨, 또는 기타 불활성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함체를 이루는 베이스(B1A)의 저면에는 질소충진노즐(B1a)이 형성되어 있고, 또 질소 가스 주입시 용기(B1) 내부의 공기 배출을 위한 배기노즐(B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질소 충진 완료 후 각 노즐(B1a)(B1b)은 각각 폐쇄된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평면도이나 가공실 내부가 보이는 투시도 개념으로 도시함)에는 화장 후 화장장과 떨어진 봉안 시설(사찰이나 추모공원, 기타 종교시설 등)에 유골을 안치함에 있어 납골함에 투입 안치하는 작업을 쉽게 진행하기 위한 이동차량(M)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동 차량(M)은 일반 트럭을 개조한 특장차에 해당하며 운전석(M1) 뒤 적재함(M2) 내에 가공실(60)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가공실(60)에는 차례로 테이블 형태로 구성된 압축성형부(61), 포장부(62), 밀봉부(63), 검사부(64)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압축성형부(61)는 유골(Fa)을 압축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성형틀과 프레스로 구성되며, 프레스는 기어 모터(geared motor)에 의하여 가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구체 사항 미도시).
다음으로 상기 포장부(62)는 도 9와 같은 형태의 내외 용기(B2)(B1)를 이용한 포장을 위하여 각각 내외 용기 포장부(62a)(62b)로 구성되며, 각 포장부를 구성하는 테이블 하부에는 납골함을 위한 용기나 각종 재료를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각 테이블 상부에는 부엌 씽크대와 같은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이는 다른 테이블의 상하부에도 대동소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스, 특히 질소가스 공급을 위한 가스통(63A) 부근에는 밀봉부(6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통(63A)은 플렉서블 배관과 연결되고, 배관 단부에는 밸브를 구비한 노즐이 구비되어 있고, 이 노즐이 외함체(B1) 베이스(B1A)의 질소충진 노즐(B1a)에 연결되며,
외함체 베이스의 배기 노즐(B1b)에는 필요에 따라 배기용 배관이 연결되며, 또 이 배기용 배관에는 압력계를 도입하고, 질소 가스 충진 완료는 육안으로 압력계를 확인하거나 또는 센서를 도입하고 부저음 등으로 자동 확인하게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구체 사항 미도시).
이어 적절한 접착제 등을 공급하는 씰링머신이나 노즐(B1a)(B1b) 자체의 폐쇄를 통하여 노즐을 밀봉 폐쇄한다.
이후 검사부(64)에서 질소 가스의 누설 문제(자동 또는 수동 방식)나 납골함(B) 외관 상태를 검사하고,
일반 보자기나 종교색을 갖는 덮개, 태극기 등의 기(旗)로 납골함(B)을 최종 포장하여 배출한다.
나아가 상기 차량(M)의 적재함(M2)에는 입구(66A)와 출구(66B)가 형성되어 있고, 입구에는 계단(66S)(사람 출입)이 구비되며, 또 출구에도 납골함(B) 배출을 위한 계단이나 경사로를 도입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적재함은 측벽(67)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 개방감을 높일 수 있며, 천장에는 도어(69)가 구비되어 있어 환기를 돕도록 되어 있다(환기는 별도의 환기팬에 의하여 구현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상기 가공실(60) 내부에는 중앙작업대(65)가 구비되어 있어 유골(Fa)의 전처리나 납골함의 후처리 등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차량(M) 적재함(M2)이 측벽에는 표시부(68)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표시부는 단순 관찰창으로 구현되거나 고인 관련 영상이나 납골함 제작과정의 실시간 시청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고,
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골함 제조과정에 대한 유족 및 추모객의 관찰을 위하여 전기 ON-OFF에 따라 빛을 투과 또는 차단하고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투과도 가변 패널(또는 소위 하프(half) 글래스 또는 매직 글래스)(전술한 바 있다)로 구성하여 유족의 선택에 따라 관찰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투과도 가변 패널, 디자인패널의 집합에서의 영상구현, 납 골체의 수납 및 인출 구조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납골함 및 추모타워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모타워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개념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모타워 시스템의 디자인패널에 구현되는 미술작품을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모타워 시스템을 이용한 추모 방식에 대한 예시 사시도.
도 5는 회전형 납골함이 적용된 추모타워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에 대한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8은 변형된 회전형 납골함에 대한 개략적인 결합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납골함의 제조공정 관련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제조를 위한 이동 차량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3은 디자인 납골함이 적용된 추모타워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납골함 F: 내장체(성형체)
10: 베이스 11: 슬리브
20: 회전체 21: 격벽
23: 실린더 25: 중계체
27: 분할체 29: 상부패널
30: 서포트 31: 리브
33: 디스플레이 35: 캡
40: 머터 50: 광원
T: 추모타워 A: 납골체
T1: 납골셀 T2: 프레임
D: 디자인패널 L: 광원
C: 제어부
B1: 외함체 B2: 내부용기
B3: 노출면 M: 이동차량
60: 성형실 61: 압축성형부
62: 포장부 63: 밀봉부
64: 검사부 65: 중앙작업대
67: 측벽 68: 표시부
69: 천정도어

Claims (5)

  1. 프레임(T2);
    상기 프레임(T2)에 의하여 지지되며, 연속된 층상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납골셀(T1);
    상기 각 납골셀(T1)에 수용되는 납골체(A); 및
    상기 각 납골셀 전면에 구비된 디자인패널(D);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자인패널(D)은 서로 다른 도안을 이루어 함께 작품을 형성하여 인테리어화된 추모타워를 구성하고,
    상기 납골체(A)는 납골함(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납골함(B)은 베이스(10), 상기 베이스 상부에 위치한 회전체(20), 상기 베이스 상부에 위치하고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 구획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서포트(30), 그리고 상기 회전체의 구동을 위한 모터(40)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30)에는 상기 도안 형성을 위하여 디자인패널(D) 역할을 하는 디자인 디스플레이(33)가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33)는 투과도 가변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20)는 격벽(21)을 갖고,
    상기 격벽(21) 사이의 공간에는 별도의 분할체(27)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30) 내부에 구획 형성된 수용부(S)는 상기 분할체(27) 내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타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디자인패널(D)에 구비된 광원(L); 및
    상기 광원(L)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정 납골셀을 현출시킬 경우 주변 납골셀의 광원이 함께 발광되도록 상기 제어부은 해당 광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타워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21)에는 반사체(21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타워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하면에는 십자 형태로 제어 및 전원선 노출 방지 및 정리를 위한 와이어가이드(13)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모터(40) 하우징의 장착 결합을 위한 슬리브(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30)의 내부 모서리에는 네 리브(31)가 돌출되어 있어 보강살 기능을 하며, 그 상하면에는 베이스(10) 및 캡(35)이 결합될 수 있는 고정공(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35) 상면에는 역시 십자 형태로 제어 및 전원선 노출 방지 및 정리를 위한 와이어가이드(35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타워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디자인패널(D)에 구비된 광원(L); 및
    상기 광원(L)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각 납골체의 해당 고인 정보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각 광원 제어를 위한 명령부; 및
    타이머;를 포함하고,
    기일(忌日)의 경우 상기 광원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타워 시스템.
KR1020090050645A 2009-06-08 2009-06-08 추모타워 시스템 KR100936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45A KR100936146B1 (ko) 2009-06-08 2009-06-08 추모타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45A KR100936146B1 (ko) 2009-06-08 2009-06-08 추모타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146B1 true KR100936146B1 (ko) 2010-01-12

Family

ID=4180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645A KR100936146B1 (ko) 2009-06-08 2009-06-08 추모타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1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52B1 (ko) 2012-12-17 2014-04-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기구 수납대 및 이를 위한 치과 교정기구의 선반시스템
KR101395571B1 (ko) * 2014-02-24 2014-05-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기구의 선반시스템
KR20180083040A (ko) * 2017-01-12 2018-07-20 미강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봉안함 및 그 작동 방법
CN115059341A (zh) * 2022-07-30 2022-09-16 江西广泉钢艺集团有限公司 一种存储式骨灰盒存放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649A (ko) * 1998-12-14 2000-03-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방법8
KR200332750Y1 (ko) * 2003-08-04 2003-11-07 최용호 영상표시 기능이 구비된 납골함
KR100582846B1 (ko) * 2005-10-17 2006-05-23 주식회사 석정산업 조립식 납골함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649A (ko) * 1998-12-14 2000-03-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방법8
KR200332750Y1 (ko) * 2003-08-04 2003-11-07 최용호 영상표시 기능이 구비된 납골함
KR100582846B1 (ko) * 2005-10-17 2006-05-23 주식회사 석정산업 조립식 납골함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52B1 (ko) 2012-12-17 2014-04-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기구 수납대 및 이를 위한 치과 교정기구의 선반시스템
KR101395571B1 (ko) * 2014-02-24 2014-05-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기구의 선반시스템
KR20180083040A (ko) * 2017-01-12 2018-07-20 미강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봉안함 및 그 작동 방법
CN115059341A (zh) * 2022-07-30 2022-09-16 江西广泉钢艺集团有限公司 一种存储式骨灰盒存放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638B1 (ko) 공간활용성이 확대된 납골함
US5740637A (en) Cremation niche
KR100936146B1 (ko) 추모타워 시스템
US6520606B1 (en) Urn display system
US20210275377A1 (en) Flower Vase Cremation Urn (Vase Urn)
US20110161254A1 (en) Multi-Use Park for the Living and the Dead
KR100931639B1 (ko) 디자인 납골함
KR100936147B1 (ko) 납골함 제조용 이동 차량
US10954688B2 (en) Interment system including desiccation vessel for securely and portably retaining decedent remains, and building structure for housing same
KR101503648B1 (ko) 안치공간을 개인단 또는 부부단으로 변형 사용할 수 있는 봉안함 안치단
CN103422710A (zh) 社会化公墓
KR20100038180A (ko) 밀봉 유골함에 의한 유골 자체를 예치하는 추모 제단에서의 종교 의식에 의한 추모 방법
JP7431313B1 (ja) 倉庫型コンテナを使用する骨壺安置保管装置
US20190264462A1 (en) Memorial suite and a multi-floor building structure for housing same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CN113982362A (zh) 安葬方法和基于该方法的公墓
EP3907352B1 (en) Interment system including a desiccation vessel for securely and portably retaining decedent remains
KR102166138B1 (ko)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옥외 봉안함 안치 및 애장품 전시시설물
KR200198552Y1 (ko) 납골장치
JP3154472U (ja) 墓地構造
JP5382842B2 (ja) カロートおよびカロートを備えた墓
JPH11241527A (ja) 永代納骨用集合型墓石、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永代供養方法
KR20160004740A (ko) 토장 장례 문화원 및 그 건축 구조물
JP3146763U (ja) 御供盛籠用載架器台
JP2022003193A (ja) お墓、厨子、並びにお墓の共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