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434A -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434A
KR20070056434A KR1020050115057A KR20050115057A KR20070056434A KR 20070056434 A KR20070056434 A KR 20070056434A KR 1020050115057 A KR1020050115057 A KR 1020050115057A KR 20050115057 A KR20050115057 A KR 20050115057A KR 20070056434 A KR20070056434 A KR 20070056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teroatom
porous carbon
carbon
medium porou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350B1 (ko
Inventor
박찬호
주상훈
장혁
김지만
이형익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350B1/ko
Priority to CN2006100998494A priority patent/CN1974381B/zh
Priority to US11/443,167 priority patent/US8043595B2/en
Priority to JP2006155410A priority patent/JP4979276B2/ja
Publication of KR2007005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18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6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35/64Pore diameter
    • B01J35/6472-50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18Addition of a binding agent or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among others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e.g. forming of pores; protective layer, desintegrat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75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083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B01J29/03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not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 B01J29/0308Mesoporous materials not having base exchange properties, e.g. Si-MCM-41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론 (B), 인(P)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가 포함하며 중형 기공을 갖고 있는 헤테로 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중형 다공성 탄소는 보론 및 인과 같은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여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지 않은 중형 다공성 탄소에 비하여 면저항 특성이 개선되어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이러한 중형 다공성 탄소는 연료전지용 전극의 도전 재료로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전극의 촉매 담체로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촉매 담체를 함유한 담지 촉매를 이용하면 효율 등의 성능이 개선된 연료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Mesoporous carbon including heteroato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형 다공성 탄소의 형성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형 다공성 탄소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중형 다공성 탄소의 면저항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중형 다공성 탄소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7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중형 다공성 탄소의 면저항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7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중형 다공성 탄소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헤테로 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테로원자가 함유되어 있어 면저항이 감소된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촉매 담체로서 이용한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용 전극에 함유되어 전기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는 매우 중요하므로 이들 촉매의 활성을 높이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촉매의 활성은 촉매의 반응 표면적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므로 촉매의 입자 직경을 줄여 반응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전극에 균일하게 분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촉매 담체도 넓은 표면적을 가져야 하므로 이에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전지용 촉매 담체는 다공성에서 도출되는 넓은 표면적뿐만 아니라 전자 흐름의 통로 역할을 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촉매 담체로서 활성탄, 탄소블랙으로 알려져 있는 비결정질 미세다공성 탄소 분말, 구조 규칙성 탄소 분자체 물질 등이 널리 사용된다 (한국공개 특허 2001-0001127).
그런데 이러한 비결정질 미세다공성 탄소 분말은 미세 기공들의 상호 연결이 미흡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종래의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서 비결정질 미세다공성 탄소 분말을 담체로 사용한 담지 촉매는 금속 입자 자체를 촉매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반응성이 훨씬 저하된다.
그러나 금속 입자 자체를 촉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량의 촉매를 사용하게 되어 전극 제조단가가 상승되므로 직접 연료전지의 단가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촉매 반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담지 촉매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면저항 특성이 개선된 중형 다공성 탄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중형 다공성 탄소를 포함하는 담지 촉매 및 이를 채용하여 효율이 향상된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보론 (B) 및 인(P)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가 포함하며 중형 기공을 갖고 있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를 제공한다.
상기 헤테로원자의 함량은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a) 탄소 전구체, 헤테로원자 함유 화합물, 산 및 용매를 혼합하여 탄소 전구체 혼합물을 얻는 단계;
(b) 중형 다공성 실리카 (ordered mesoporous silica, OMS)에 상기 탄소 전구체 혼합물을 함침하는 단계;
(c) 상기 결과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d) 상기 결과물을 탄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결과물로부터 중형 다공성 실리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및 상기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에 담지된 금속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담지 촉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중 적어도 하나가, 상술한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및 상기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에 담지된 금속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담지 촉매를 함유하는 연료전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보론(B), 인(P)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여 면저항이 감소된 중형 다공성 탄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형 다공성 탄소의 형성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먼저 구조화된 중형 다공성 실리카(ordered mesoporous silica: OMS) 주형물질(template)에 탄소 전구체 및 헤테로원자 함유 화합물을 도입하고, 이를 열처리 및 탄화 처리를 실시하여 OMS-탄소 복합체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구조화된 중형 다공성 실리카(OMS)는 기공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2도 이하의 XRD 피크가 나타나는 특성의 중형 다공성 실리카를 말한다.
이어서, 상기 OMS-탄소 복합체로부터 구조화된 중형 다공성 실리카를 제거하 여 헤테로원자가 함유되어 있고 구조화된 중형 다공성 탄소(OMC)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형 다공성 탄소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 보기로 한다.
탄소 전구체, 헤테로원자 함유 화합물, 산 및 용매를 혼합하여 탄소 전구체 혼합물을 얻는다.
상기 헤테로원자 함유 화합물로는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며, 구체적인 예로서, H3BO3, H3PO4, HBO2, H2B4O7, B10H14, Na2B4O7, NaBO3ㅇH2O, NaBO2 수화물, BPO4 수화물, H3PO2, NaPO3, Na3PO4, NaH2PO2 수화물, Na5P3O10, Na2HP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헤테로원자 함유 화합물의 함량은 탄소 전구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헤테로원자 함유 화합물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된 헤테로원자의 효과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면 중형 다공성 탄소의 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탄소 전구체로는 수크로오스(Sucrose)를 포함하는 탄수화물(carbohydrates)류, 퍼퓨릴알콜 (furfuryl alcohol), 다이비닐벤젠 (divinylbenzene), 페놀-포름알데히드(phenol-formaldehyde), 레소시놀- 포름알데히드 (resorcinol-formaldehyde), 방향족 화합물 예를 들면 페난트렌 (phenanthrene), 안트라센 (Anthracene), 벤젠 (benz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이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황산, 질산, 인산, 파라톨루엔 황산 등이 있다.
상기 용매로는 탄소 전구체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서, 물,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프로필알콜, 부탄올,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N-메틸-2-피롤리돈,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테트라부틸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m-크레졸, 톨루엔, 에틸렌글리콜, 감마 부티로락톤,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 전구체 혼합물에서 탄소 전구체의 함량은 탄소 전구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탄소 전구체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중형 다공성 탄소가 잘 형성되지 않고, 탄소 전구체의 함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용매에 잘 용해되지않아 제조하기가 어렵고 입자간 응집이 심해져서 그 표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탄소 전구체 혼합물에서 산의 함량은 탄소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탄소 전구체 혼합물에서 산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중형 다공성 탄소체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미미해지고, 반대로 산의 함량이 40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중형 다공성 실리카의 외부에서도 탄소 물질의 생성을 촉진하여 구조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소 전구체 혼합물에서 용매의 함량은 탄소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5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전구체 혼합물에서 용매의 함량이 100 중량부 미만이면 전구체를 충분히 용해하지 못하고, 용매의 함 량이 5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입자간 응집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전구체 혼합물을 중형 다공성 실리카에 함침시키고, 이를 건조, 열처리 및 탄화 처리하여 OMS-탄소 복합체를 형성한다.
상기 중형 다공성 실리카로는 일차원 기공들이 미세 세공(micropore) 등으로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분자체 물질로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삼차원 연결 구조를 갖는 분자체 물질로서 입방 구조를 갖는 MCM-48, 다른 입방 구조를 갖는 SBA-1, 육방 구조를 갖는 SBA-15, 기공이 불규칙하게 삼차원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KIT-1, MSU-1 등이 바람직하고, 그 외에도 일차원 기공들이 미세 세공으로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중형 다공성 분자체 물질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분자체 물질들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구체 혼합물에 함침시키는 중형 다공성 실리카의 함량은 상기 탄소 전구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형 다공성 실리카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상대적으로 전구체 혼합물의 양이 너무 많아서 함침 후 입자간 응집현상이 심해져서 표면적이 감소하게 되고, 상기 중형 다공성 실리카의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상대적인 전구체 함량이 적어서 실리카 기공 내부에 탄소 구조를 충분히 형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함침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온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침 이후에 필요에 따라 함침된 혼합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 때 건 조시키는 온도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온이 바람직하고, 신속한 건조를 위해 감압 분위기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상술한 열처리는 5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열처리 온도가 50℃보다 낮으면 중형 다공성 탄소 조직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만일 상기 열처리 온도가 250℃ 보다 높으면 생성되는 중형 다공성 탄소의 균일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열처리는 제 1 차 열처리 및 제 2 차 열처리의 2단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 차 열처리는 약 50 내지 약 150℃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제 2 차 열처리는 약 150 내지 약 2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를 통해 중형 다공성 탄소의 조직이 형성되고, 또한 액체 용매 등이 완전히 제거된다.
열처리된 결과물은 바로 탄화시킬 수도 있지만, 이상의 과정을 2회 내지 10 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에서 열처리한 결과물에 상기에서 제조한 전구체 혼합물을 함침시킨다. 그런 후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처리를 수행한다. 이상의 반복과정을 더 반복할 수도 있고 다음의 탄화단계로 넘어갈 수도 있다. 반복시키지 않고 바로 탄화시키는 경우 중형 다공성 실리카 기공 내부에 탄소 구조를 완전히 형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10회를 초과하여 반복시키면 반복에 따른 효과가 포화되기 때문에 불필요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열처리한 결과물을 탄화(carbonization)시켜서 탄소로 구조화 시킨다. 즉, 주형 역할을 하는 상기 중형 다공성 실리카 내에 함침된 탄소 전구체는 탄화 과정에 의해 흑연화되면서 구조화된다. 상기 탄화는, 상기 열처리 결과 물을 전기로 등과 같은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700 내지 1500℃의 온도로 열처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탄화 온도가 700℃ 보다 낮은 경우에는 완전한 흑연화가 일어나지 않아서 구조화가 불완전할 수 있고, 상기 탄화 온도가 1500℃를 초과하는 경우는 탄소의 열적 분해가 일어나거나 주형 역할을 하는 실리카의 구조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탄화는 비산화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산화 분위기는 진공 분위기, 질소 분위기 및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 후, 상술한 과정에 따라 얻은 OMS-탄소 복합체로부터 중형 다공성 실리카를 선택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중형 다공성 실리카를 제거한다.
상기 중형 다공성 실리카를 선택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는, 예를 들면, 불산(HF) 수용액 또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불산 수용액의 농도는 5 내지 47중량%이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는 5 내지 30중량%이다.
상기 중형 다공성 실리카는 알칼리 용융 또는 탄산염 융해 등에 의하여 가용성인 규산염이 되고, 불산(HF)과 반응하여 침식되기 쉬운 SiF4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형 다공성 실리카를 제거됨으로써, 중형 다공성 탄소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은 중형 다공성 탄소는 기공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특성을 갖고 있는 구조화된 중형 다공성 탄소(ordered mesoporous carbon)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중형 다공성 탄소에 있어서, 헤테로원자의 함량은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이다. 만약 헤테로원자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헤테로원자의 첨가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구조화된 중형 다공성 탄소가 형성되지 않아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중형 다공성 탄소에 있어서, 미세기공(micropore)만을 갖고 있는 종래의 비정형질 미세 다공성 탄소 분말과는 달리 미세 세공뿐만 아니라 중간 세공(mesopore)를 적정 비율로 보유한다. 여기에서 IUPAC의 정의에 의하면, 미세 세공은 일반적으로 약 2n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세공을 의미하고, 중간 세공이라 함은 2 내지 50nm의 직경을 갖는 세공을 의미한다.
상기 중형 다공성 탄소에서 중형 기공의 평균 직경이 2 내지 10nm이고, 비표면적이 300 내지 2000m2/g이고, 면저항이 20 내지 60mΩ/cm2 이다. 본 발명의 중형 다공성 탄소의 면저항은 4 포인트 프로브(4-point probe) 방식에 따라 150.8±3.0 kgf/cm2의 압력 조건에서 측정한 것으로서, 기존의 중형 다공성 탄소에 비하여 면저항이 매우 감소된 것이다.
본 발명의 중형 다공성 복합체에서 상기 중형 기공의 평균 직경이 2 nm 미만 이면 공급되는 연료 물질의 확산이 원할 하지 못하여 촉매의 활성에 제한이 가해지고, 중형 기공의 평균 직경이 10nm를 초과하면 촉매 제조시 촉매 입자가 커지는 경향이 있어 촉매의 효율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중형 다공성 탄소 복합체의 비표면적이 300 m2/g 미만이면 담지되는 금속 입자의 분산도가 높이기 어렵고, 2000m2/g를 초과하면 미세 기공이 지나치게 많이 존재하여 연료의 확산 특성이 저하되어 촉매의 효율이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중형 다공성 탄소는 세공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므로 X-선 회절 분석에서 CuK-알파 특성 X-선 파장 1.541Å에 대한 브래그 2θ각의 주 피크가 적어도 0.5도에서 1.5도에서 나타난다. 추가적으로 상대적으로 세기가 약한 한 개 내지 두 개 이상의 피크가 1.5도에서 3도 사이에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피크들의 위치를 가지고 구조 분석을 하면 중형 다공성 탄소의 구조 (스페이스 그룹)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중형 다공성 탄소는 촉매 담체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촉매 담체를 채용한 담지 촉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담지 촉매는, 상술한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와, 상기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에 분산되어 담지되어 있는 금속 촉매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촉매 입자는 상기 중형 다공성 탄소의 표면과 기공 내에 분산되어 분포한다.
본 발명의 담지 촉매에 사용할 수 있는 금속촉매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구체적인 예로서는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아연(Zn),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셀레늄(Se), 주석(Sn), 백금(Pt), 루테늄(Ru), 팔라듐(Pd), 텅스텐(W), 이리듐(Ir), 오스뮴(Os), 로듐(Rh), 니오븀(Nb), 탄탈륨(Ta), 납(Pb), 비스무트(Bi),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적절한 촉매 금속은, 본 발명의 담지 촉매를 적용시키고자 하는 구체적인 반응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금속은 단일 금속 또는 2 이상의 금속의 합금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담지 촉매가 PAFC, PEMFC 등과 같은 연료전지의 캐소드 또는 애노드의 촉매층에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촉매 금속으로서 일반적으로 백금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담지촉매가 DMFC의 애노드의 촉매층에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촉매금속으로서 일반적으로 백금-루테늄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백금-루테늄의 원자비는 전형적으로 약 0.5:1 내지 약 2:1 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담지촉매가 DMFC의 캐소드의 촉매층에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촉매 금속으로서 일반적으로 백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촉매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너무 작으면 촉매 반응을 촉진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너무 크면 전체 촉매입자의 반응 표면적이 감소하여 활성이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금속 촉매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 는 약 1 nm 내지 약 5 nm 정도로 할 수 있다.
상기 담지 촉매 중의 금속 촉매 입자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연료전지에의 적용이 불가능해질 수 있고, 너무 크면 경제적으로도 불리하고 촉매 입자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담지 촉매 중의 금속 촉매 입자의 함량은, 상기 담지 촉매의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8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담지 촉매를 제조하기 위하여, 공지된 다양한 담지 촉매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담지 촉매는, 담체에 촉매금속전구체 용액을 함침시킨 후, 상기 촉매 금속 전구체를 환원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각종 문헌에 상세히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는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는데, 이 때, 상기 캐소드 및 애노드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술한 본 발명의 담지 촉매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 PAFC, PEMFC 또는 DMFC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가 각종 문헌에 상세히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의 제조
수크로오스 1.25 g과 황산 0.14g과 H3BO3 0.104g을 물 4 mL에 완전히 용해시켜 균일한 탄소 전구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탄소 전구체 혼합물의 총중량중 60중량부를 OMS의 일종인 SBA-15 1g에 함침시켰다. 상기와 같이 함침시킨 SBA-15를 100도 오븐에서 6시간 건조시킨 후 160도 오븐에서 6시간 더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결과물에 나머지량의 전구체 혼합물을 함침시킨 후, 상기와 동일하게 건조시켰다.
건조된 상기 시료를 상온까지 냉각시켰다가 이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가열하약 900℃에서 탄화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탄화처리된 결과물을 HF, 물 및 에탄올의 혼합 용액에 넣고 교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SBA-15를 제거하여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H3BO3 0.208g 대신 H3BO3 0.208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H3BO3 0.208g 대신 H3BO3 0.052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 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H3BO3 0.208g 대신 H3PO4 0.329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H3BO3 0.208g 대신 H3PO4 0.165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H3BO3 0.208g 대신 H3PO4 0.082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H3BO3 0.208g 대신 H3PO4 0.041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탄소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H3BO3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탄화처리를 실시하여 중형 다공성 탄소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중형 다공성 탄소의 면저항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면저항 특성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면저항은 4포인트 프루브(4-point probe)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중형 다공성 탄소를 면저항 측정기(창민테크, CMT series)에 50 mg 넣고, 압력을 150.8 kgf/cm2로 가하면서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상기 면저항 측정기는 피측정 물질을 수용하는 챔버의 바닥에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1쌍의 전극과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1쌍의 전극(따라서, 전극은 총 4개)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 1-3의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는 비교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면저항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첨가된 보론의 양에 따라서 비례적으로 면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중형 다공성 탄소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로부터,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주 피크들이 모두 0.9도에서 얻어진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보론의 양에 따라서 뒤에 나오는 낮은 세기의 피크들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메인 구조는 비슷하지만 먼 거리 (long range)의 규칙성은 감소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 4-7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중형 다공성 탄소의 면저항을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여 첨가된 헤테로원자가 인(P)인 경우에는 보론보다 면저항 감소효과는 작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실시예 6에서 가장 낮은 면 저항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적절한 범위의 인을 첨가하여야지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4-7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중형 다공성 탄소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으로부터,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주 피크들이 모두 0.9도에서 얻어진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인의 양에 따라서 뒤에 나오는 낮은 세기의 peak들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메인 구조는 비슷하지만 먼 거리 (long range)의 규칙성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있어서 표면적, 기공 부피, 기공 직경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표면적(m2/g) 기공 부피(cm3/g) 기공 직경 (nm)
실시예 1 963 1.08 4.6
비교예 1 1337 1.6 4.0
상기 표 1로부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얻어진 시료들은 보론이 들어감에 따라 약간 감소된 표면적을 나타냈지만 여전이 촉매 담지에는 문제가 없을 정도로 상당히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기공 직경은 약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 기공 부피는 비교예보다 약간 작아졌는데 이것은 실시예에서 결정성이 증가하면서 미세세공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중형 다공성 탄소 담체라는 기준으로 생각하면 이러한 물성을 가진 중형 다공성 탄소 담체는 연료전지의 촉매 담체나 전극 재료 자체로 이용될 수 있었다.
실시예 2: 담지 촉매 및 연료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얻은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0.5 g을 비닐 백에 넣은 후, H2PtCl6 1.9232 g을 1.5 ml의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상기 중형 다공성 탄소가 들어 있는 비닐 백에 넣고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을 공기 중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에, 도가니에 옮긴 후 60℃의 건조기 내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질소가 흐르는 전기로 속에 상기 도가니를 넣고 질소를 10분간 흘린 후, 흐르는 가스를 수소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온도를 상온에서 200℃까지 승온하여 2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에 담지된 백금염을 환원시켰다. 가스를 다시 질소로 전환한 후에 온도를 250℃까지 5℃/분의 속도로 승온시킨 후 5시간 동안 유지하고 나서 상온까지 서서히 냉각시킨 후 백금의 담지 농도가 60 중량%인 담지 촉매를 얻었다.
상기 담지 촉매를, 이소프로필알콜에 나피온 115(듀폰사 제조)를 분산시킨 용액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제조한 후 스프레이 공정을 통해 탄소 전극 상에 코팅하였으며, 촉매의 코팅 농도는 백금함량 기준으로 3 mg/cm2이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극 성형체를 롤링 머신에 통과시켜 촉매층과 탄소종이 사이의 접착력이 증대되도록 하여 캐소드를 제조하였다.
한편, 애노드 전극으로는 상용 PtRu 블랙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애노드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담지 촉매 및 연료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대신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결과물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백금을 담지시켜 담지촉매 및 연료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각각 제조된 단위전지에 대하여 2M 메탄올과 과량의 공기를 흘려주면서 50℃에서 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연료전지가 비교예 2의 연료전지에 비하여 효율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라 중형 다공성 탄소는 보론 및 인과 같은 헤테로원자를 함유하여 헤테로원자를 함유하지 않은 중형 다공성 탄소에 비하여 면저항 특성이 개선되어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이러한 중형 다공성 탄소는 연료전지용 전극의 도전 재료로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전극의 촉매 담체로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촉매 담체를 함유한 담지 촉매를 이용하면 효율 등의 성능이 개선된 연료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4)

  1. 보론(B) 및 인(P)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가 포함하며 중형 기공을 갖고 있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원자의 함량은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3. 제1항에 있어서, 중형 기공의 평균 직경이 2 내지 10nm이고,
    비표면적이 300 내지 2000m2/g이고, 면저항이 150.8±3.0 kgf/cm2에서 20 내지 60mΩ/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4. 제8항에 있어서, CuK-알파 특성 X-선 파장 1.541Å에 대한 브래그 2θ각의 주 피크가 적어도 0.5도에서 1.5도에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5. (a) 탄소 전구체, 헤테로원자 함유 화합물, 산 및 용매를 혼합하여 탄소 전구체 혼합물을 얻는 단계;
    (b) 중형 다공성 실리카 (ordered mesoporous silica, OMS)에 상기 탄소 전구체 혼합물을 함침하는 단계;
    (c) 상기 결과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d) 상기 결과물을 탄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결과물로부터 중형 다공성 실리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원자 함유 화합물은 H3BO3, H3PO4, HBO2, H2B4O7, B10H14, Na2B4O7, NaBO3ㅇH2O, NaBO2 수화물, BPO4 수화물, H3PO2, NaPO3, Na3PO4, NaH2PO2 수화물, Na5P3O10, Na2HP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원자 함유 화합물의 함량은 탄소 전구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전구체가
    탄수화물(carbohydrates)류, 퍼퓨릴알콜 (furfuryl alcohol), 다이비닐벤젠 (divinylbenzene), 페놀-포름알데히드(phenol-formaldehyde), 레소시놀- 포름알데 히드 (resorcinol-formaldehyde), 페난트렌 (phenanthrene), 안트라센 (Anthracene), 벤젠(Benze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으로는 황산, 질산, 인산 및 파라톨루엔 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로는 물,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프로필알콜, 부탄올,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N-메틸-2-피롤리돈,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테트라부틸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m-크레졸, 톨루엔, 에틸렌글리콜, 감마 부티로락톤,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의 함량은 상기 탄소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0 중량부이고,
    상기 용매의 함량은 탄소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5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의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및 상기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에 담지된 금속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담지 촉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촉매 입자의 함량은 상기 담지 촉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8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촉매.
  14.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중 적어도 하나가,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의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및 상기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에 담지된 금속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담지 촉매를 함유하는 연료전지.
KR1020050115057A 2005-11-29 2005-11-29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연료전지 KR10075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057A KR100751350B1 (ko) 2005-11-29 2005-11-29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연료전지
CN2006100998494A CN1974381B (zh) 2005-11-29 2006-05-31 包含杂原子的中孔碳、其制造方法及使用该中孔碳的燃料电池
US11/443,167 US8043595B2 (en) 2005-11-29 2006-05-31 Mesoporous carbon including heteroato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uel cell using the mesoporous carbon
JP2006155410A JP4979276B2 (ja) 2005-11-29 2006-06-02 ヘテロ原子含有のメソ多孔性炭素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057A KR100751350B1 (ko) 2005-11-29 2005-11-29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연료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434A true KR20070056434A (ko) 2007-06-04
KR100751350B1 KR100751350B1 (ko) 2007-08-22

Family

ID=3808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057A KR100751350B1 (ko) 2005-11-29 2005-11-29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연료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43595B2 (ko)
JP (1) JP4979276B2 (ko)
KR (1) KR100751350B1 (ko)
CN (1) CN19743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045B1 (ko) * 2008-03-20 2014-06-18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조포러스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730B1 (ko) * 2005-11-21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WO2007143404A2 (en) * 2006-06-07 2007-1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aking mesoporous carbon with tunable pore size
US7867941B2 (en) * 2006-12-29 2011-01-11 Samsung Sdi Co., Ltd. Sulfur-containing mesoporous carbo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uel cell using the mesoporous carbon
JP5152276B2 (ja) * 2007-04-04 2013-02-27 ソニー株式会社 多孔質炭素材料、吸着剤、充填剤、マスク、吸着シート及び担持体
JP5152275B2 (ja) * 2007-04-04 2013-02-27 ソニー株式会社 多孔質炭素材料、吸着剤、充填剤、マスク、吸着シート及び担持体
JP5533912B2 (ja) * 2007-04-04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618308B2 (ja) 2007-04-04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多孔質炭素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着剤、マスク、吸着シート及び担持体
CN101388291B (zh) * 2008-10-31 2012-10-31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含硼多孔碳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US8791043B2 (en) 2008-12-31 2014-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dered mesoporous carbon composite catalys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KR101084208B1 (ko) 2009-10-13 2011-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JP5467909B2 (ja) * 2010-03-26 2014-04-09 日本碍子株式会社 炭素膜の製造方法
CN102000598B (zh) * 2010-10-29 2012-12-19 北京工业大学 Co2氧化低碳烷烃脱氢制烯烃催化剂的制备方法及应用
FR2967669B1 (fr) * 2010-11-23 2012-11-30 Hutchinson Nouveau materiau carbone poreux monolithique modifie au soufr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es utilisations pour le stockage et la restitution d'energie
JP5688321B2 (ja) * 2011-04-13 2015-03-25 東洋炭素株式会社 多孔質炭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288155A1 (en) * 2012-04-30 2013-10-31 Samsung Sdi Co., Ltd. Support for electrode cataly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de catalyst and fuel cell
CN102689902B (zh) * 2012-06-01 2014-05-21 浙江工业大学 一种双介孔孔隙、高(100)晶面碳化钨材料的制备方法
EP2990116B1 (en) 2013-04-25 2018-06-06 Nissan Motor Co., Ltd Catalyst, electrode catalyst layer using said catalyst,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WO2014175097A1 (ja) * 2013-04-25 2014-10-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触媒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触媒を用いる電極触媒層
CN103560255B (zh) * 2013-10-23 2015-10-07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锌空气电池用氧还原催化剂的载体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691454B (zh) * 2013-12-24 2016-10-05 天津大学 一种介孔碳基固体酸催化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US10367218B2 (en) 2014-10-29 2019-07-30 Nissan Motor Co., Ltd. Electrode catalyst layer for fuel cel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using the catalyst layer
CN104475074B (zh) * 2014-10-29 2016-10-12 东南大学 硼掺杂中空碳球的制备及在直接甲醇燃料电池阴极中的应用
CN109292752A (zh) * 2018-11-30 2019-02-01 安徽工业大学 一种磷掺杂功能化的介孔碳材料的制备方法
CN114300665B (zh) * 2021-12-30 2024-04-09 华南师范大学 一种铌基金属氧化物介孔碳球复合材料及包含其的钠离子电池负极材料
CN115487847A (zh) * 2022-09-23 2022-12-20 中国科学院青岛生物能源与过程研究所 一种多级有序孔结构可调的杂原子掺杂碳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786966B (zh) * 2023-02-08 2023-05-05 华电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pem电解水装置的阴极析氢催化剂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8942A (en) * 1985-07-17 1990-07-03 International Fuel Cells Carbon graphite component for an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king the component
US6248691B1 (en) * 1998-02-10 2001-06-19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mesoporous carbon
KR100307692B1 (ko) 1999-06-02 2001-09-24 윤덕용 구조 규칙성 탄소 분자체 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JP3353068B2 (ja) 2000-08-14 2002-12-0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炭素骨格の一部がホウ素及び窒素で置換されたヘテロフラーレンの製造方法
JP2002255531A (ja) 2000-12-26 2002-09-11 Mitsubishi Chemicals Corp 炭素質多孔材および廃熱利用装置
WO2002081372A2 (en) 2001-04-06 2002-10-17 Carnegie Mellon University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anostructured materials
KR100420787B1 (ko) * 2001-04-30 2004-03-02 한국과학기술원 탄소 분자체 및 그의 제조 방법
JP4204272B2 (ja) 2002-08-02 2009-0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極触媒及び燃料電池
JP2004079244A (ja) 2002-08-12 2004-03-11 Toshiba Corp 燃料電池用触媒及び燃料電池
KR100489284B1 (ko) * 2002-11-13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나노 다공성 탄소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나노 다공성 탄소
KR100474854B1 (ko) 2003-02-13 2005-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탄소 분자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5135671A (ja) * 2003-10-29 2005-05-26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電極
KR20050068090A (ko) * 2003-12-29 2005-07-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실리카 구를 이용한 다공성 탄소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045B1 (ko) * 2008-03-20 2014-06-18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조포러스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4381A (zh) 2007-06-06
JP2007149636A (ja) 2007-06-14
US20070122334A1 (en) 2007-05-31
CN1974381B (zh) 2012-03-28
JP4979276B2 (ja) 2012-07-18
US8043595B2 (en) 2011-10-25
KR100751350B1 (ko)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350B1 (ko) 헤테로원자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연료전지
KR100708730B1 (ko)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0741078B1 (ko)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0612896B1 (ko) 중형 다공성 탄소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13475B1 (ko) 중형 다공성 탄소 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전지
KR100669750B1 (ko) 탄소 나노 튜브가 포함된 중형 다공성 탄소 복합체
KR101473319B1 (ko) 복합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료전지
KR101408041B1 (ko) 황 함유 중형 다공성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JP4431027B2 (ja) メソポーラスカーボンモレキュラーシーブ及びこれを使用した担持触媒
KR100866311B1 (ko) 질소 풍부한 나노다공성 그라파이트 탄소 질화물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408045B1 (ko) 메조포러스 탄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1389514B1 (ko) 구조규칙성 중형다공성 탄소-탄소 나노튜브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668358B1 (ko) 중형다공성 실리카 분자체의 제조 방법
KR20140080339A (ko) 촉매 담체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