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159A -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159A
KR20070056159A KR1020077009320A KR20077009320A KR20070056159A KR 20070056159 A KR20070056159 A KR 20070056159A KR 1020077009320 A KR1020077009320 A KR 1020077009320A KR 20077009320 A KR20077009320 A KR 20077009320A KR 20070056159 A KR20070056159 A KR 2007005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distribution
dimensional
dimension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123B1 (ko
Inventor
도루 하야시
고지 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네트디멘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네트디멘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네트디멘션
Publication of KR2007005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배급 서버는 3차원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기억하는 속성정보 마스터 기억장치, 고정부분(골격)의 컨텐츠를 기억하는 골격 마스터 기억장치,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파라미터 마스터 기억장치, 속성정보를 등록하여 관리를 행하는 속성정보 관리수단, 컨텐츠 골격을 등록하는 골격 등록수단, 컨텐츠 파라미터를 등록하는 파라미터 등록수단, 골격 마스터 기억장치 및 파라미터 마스터 기억장치를 참조하여 3차원 컨텐츠를 작성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수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컨텐츠의 데이터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정보 배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정보 배급, 통신 네트워크, 3차원 컨텐츠, 서버, 단말기, 골격, 마스터

Description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정보 배급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정보 배급 서버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정보제공 서버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로부터 정보 배급 서버에 컨텐츠를 송신하고 등록하는 경우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정보제공 서버가 설정한 컨텐츠 파라미터를 정보 배급 서버에 송신하고 등록하는 경우의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정보 배급 서버가 고객 단말기에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의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3차원 컨텐츠에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3차원 컨텐츠에서의 일례를 도시한 도 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정보 배급 서버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제1 고객 단말기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모델의 스킨(skin) 부분과 본(bone) 부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작성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의 스크립트의 예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의 스크립트의 예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의 컨텐츠의 예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의 컨텐츠의 예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의 컨텐츠의 예이다.
도 29는 종래 기술에서의 컨텐츠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종래 기술에서의 컨텐츠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3차원 컨텐츠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인터넷 등의 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사용자는 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취득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는 그 정보의 실시간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품질을 유지하면서 정보의 크기를 작게 취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a)자택에서 컴퓨터를 통하여, 온라인경매로 상품을 낙찰한다
(b)편의점 등의 출입문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통신단말기를 통하여 티켓의 예약 정보나 아르바이트 정보를 취득한다
(c)휴대전화를 통하여 현지의 가까운 가게의 매출 정보나 세일시간(time sale) 정보를 취득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화면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정보를 취득한다.
도 29는 사용자가 온라인경매를 통해 목적으로 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화면 P101에서 「Enter」를 클릭하면 화면 P102에 링크되어 「카테고리를 선택해 주세요」라고 표시된다. 사용자는 P102에서 「컴퓨 터」 또는「생활」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컴퓨터」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클릭한 경우, 화면 P103에 링크되어 컴퓨터의 상세 카테고리인 「하드웨어」 또는「소프트웨어」 등의 카테고리가 표시된다. 또, 화면 P102에서 「생활」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클릭한 경우, 화면 P104에 링크되어 생활의 상세 카테고리인 「숙박권」 또는「인테리어」 등의 카테고리가 표시된다. 화면 P103 및 화면 P104에 나타낸 카테고리를 클릭하여 실제의 경매의 출품 일람을 참조할 수 있다.
또, 도 30은 사용자가 티켓의 좌석 정보를 참조하는 경우에 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30에서는 좌석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사용자는 이 평면도를 참조하여 자기가 보고 싶은 좌석 위치의 선택을 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정보의 제공 방법에서는 한번에 취득할 수 있는 정보에 한계가 있어, 사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 여러 개의 화면을 표시시킬 필요가 있다.
또, 종래의 정보의 제공 방법은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사용자가 흥미를 가지기 쉬운 인터페이스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키는 인터페이스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2차원 컨텐츠의 정보제공 방법이 아니고, 3차원 컨텐츠의 정보제공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3차원 컨텐츠에서는 그 데이터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자는 데이터를 취급하는 것이 곤 란한 것이 실상이다. 예를 들면, 데이터의 변경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3차원 컨텐츠의 제작자에게 다시 수정 의뢰를 행하여야 한다. 또, 3차원 컨텐츠의 데이터 사이즈가 크고, 네트워크의 인프라 환경이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3차원 컨텐츠를 이용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다. 이러한 3차원 컨텐츠의 유효성은 주지(周知)임에도 불구하고, 3차원 컨텐츠를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통신회선을 서로 접속하여 구축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배급하는 정보 배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관한 정보 배급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어 정보를 제시하는 3차원 컨텐츠를 배급하는 정보 배급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고객 단말기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3차원 컨텐츠는 평면상에 가상적인 3차원 공간을 형성하고, 3차원 공간 내에 정보를 제시하는 오브젝트가 배치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을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정보 배급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정보 배급 시스템은, 정보 배급 서버(1), 컨텐츠 작성 단말기(2), 게이트웨이 서버(3), 제1 정보제공 서버(4a), 제2 정보제공 서버(4b), …, 제1 고객 단말기(5a), 제2 고객 단말기(5b), 제3 고객 단말기(5c), …, 통신회선(6)에 의해 구성 된다.
정보 배급 서버(1)는,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컨텐츠 작성 단말기(2)는 3차원 컨텐츠를 작성하여, 그 정보를 정보 배급 서버(1)에 송신하는 단말기이다. 게이트웨이 서버(3)는, 정보 배급 서버(1) 및 컨텐츠 작성 단말기(2)가 통신회선(6)에 접속하기 위한 중개를 행하는 서버이다.
여기에서, 3차원 컨텐츠란 평면상에 가상적인 3차원 공간을 형성하고, 3차원 공간 내에 정보를 제시하는 오브젝트가 배치된 것이며, 오브젝트는 그 배치위치와 제시하는 정보의 내용이 대응되어 있다. 또, 오브젝트는 다면체이며,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정보가 표시되어, 다면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정보의 표시를 행한다. 또한, 일정 방향으로 배치된 오브젝트의 정보는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계층적으로 표현된다.
정보 배급 서버(1), 컨텐츠 작성 단말기(2), 게이트웨이 서버(3)는 LAN 등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정보제공 서버(4a), 제2 정보제공 서버(4b)…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 3차원 컨텐츠의 제공을 정보 배급 서버(1)에 의뢰하고 변경의 지시 등을 행하는 서버이다. 제1 고객 단말기(5a), 제2 고객 단말기(5b), 제3 고객 단말기(5c)…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PDA 등의 통신회선(6)에 접속 가능한 정보단말기이다. 이들 단말기는 정보 배급 서버(1)에 접속하고, 3차원 컨텐츠가 제공된다. 제1 고객 단말기(5a), 제2 고객 단말기(5b), 제3 고객 단말기(5c)…는 제공된 3차원 컨텐츠에 대하여 조작을 행하고 정보 제공을 행한다. 통신회선(6)은 인터넷, PC통신, 패킷통신 등의 네트워크이다. 게이트웨이 서버(3), 제1 정보제공 서버(4a), 제2 정보제공 서버(4b), …, 제1 고객 단말기(5a), 제2 고객 단말기(5b), 제3 고객 단말기(5c), …는 프로바이더(provider)의 액세스포인트, 게이트웨이 서버 등을 중개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회선(6)에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정보 배급 서버(1)의 기능 블럭도이다. 정보 배급 서버(1)는 입력장치(11), 출력장치(12), 일시기억장치(13), 통신제어장치(14), 중앙처리 제어장치(15), 속성정보 마스터 기억장치(16), 골격 마스터 기억장치(17), 파라미터 마스터 기억장치(18)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력장치(11)는 키보드, 마우스 등에 의해, 출력장치(12)는 액정 모니터, CRT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의 인쇄장치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일시기억장치(13)는 ROM 및 RAM이 조립되어 있다. ROM은 중앙처리 제어장치(15)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등으로 기능하고, RAM은 중앙처리 제어장치(15)에서의 프로그램 실행 처리 중에 이용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거나, 작업영역으로서 이용되는 데이터 메모리 등으로 기능한다. 통신제어장치(14)는 LAN이나 게이트웨이 서버(3) 등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되는 것이다.
속성정보 마스터 기억장치(16)는 제1 정보제공 서버(4a), 제2 정보제공 서버(4b)… 등으로부터 의뢰된 3차원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기억한다. 골격 마스터 기억장치(17)는 3차원 컨텐츠 중, 고정부분(골격)의 컨텐츠를 기억하고, 파라미터 마스터 기억장치(18)는 정보제공 서버가 지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중앙처리 제어장치(15)는 속성정보 관리수단(15a), 골격 등록수단(15b), 파라미터 등록수단(15c), 컨텐츠 제공수단(15d)을 가진다.
속성정보 관리수단(15a)은 정보 배급 서버(1)가 제공하는 3차원 컨텐츠에 대해, 의뢰처, 컨텐츠 골격과 컨텐츠 파라미터의 관련성 등의 속성정보를 속성정보 마스터 기억장치(16)에 등록하고 관리를 행하는 수단이다.
골격 등록수단(15b)은 컨텐츠 작성 단말기(2)로부터 취득한 컨텐츠 골격을 골격 마스터 기억장치(17)에 등록하는 수단이고, 파라미터 등록수단(15c)은 컨텐츠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마스터 기억장치(18)에 등록하는 수단이다.
컨텐츠 제공수단(15d)은 골격 마스터 기억장치(17) 및 파라미터 마스터 기억장치(18)를 참조하여, 3차원 컨텐츠를 작성하고 제공하는 수단이다. 컨텐츠 제공수단(15d)은 3차원 컨텐츠의 참조 의뢰에 따라서, 컨텐츠 골격과 컨텐츠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링크시켜 제공할 수도 있고, 미리 컴파일한 것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컨텐츠 작성 단말기(2)의 기능 블럭도이다. 컨텐츠 작성 단말기(2)는 입력장치(21), 출력장치(22), 일시기억장치(23), 통신제어장치(24), 중앙처리 제어장치(25), 속성정보 기억장치(26), 골격정보 기억장치(27), 파라미터정보 기억장치(18)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력장치(21)는 키보드, 마우스 등에 의해 구성되며, 출력장치(22)는 액정 모니터, CRT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의 인쇄장치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일시기억장치(23)는 ROM 및 RAM이 조립되어 있다. ROM은 중앙처리 제어장치(25)에 있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등으로 기능하고, RAM은 중앙처리 제어장치(25)에서의 프로그램 실행 처리 중에 이용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거나, 작업영역으로서 이용되는 데이터 메모리 등으로 기능한다. 통신제어장치(24)는 LAN이나 게이트웨이 서버(3) 등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되는 것이다.
속성정보 기억장치(26)는 작성되어 있는 3차원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기억한다. 골격정보 기억장치(27)는 3차원 컨텐츠 중, 고정부분(골격)의 컨텐츠를 기억하고, 컨텐츠 파라미터 기억장치(28)는 외부에서 지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중앙처리 제어장치(25)는 컨텐츠 골격 작성수단(25a), 파라미터 정보관리수단(25f), 속성정보 관리수단(25g), 컨텐츠 송신수단(25h)을 가진다.
컨텐츠 골격 작성수단(25a)은 3차원 컨텐츠 중, 고정부분인 컨텐츠 골격을 작성하고 골격정보 기억장치(27)에 등록하는 수단이다.
컨텐츠 골격 작성수단(25a)은 컨텐츠 작성수단(25b), 3차원 컨텐츠 작성수단(25c), 모델 프로퍼티(model property) 설정수단(25d), 사운드 제어수단(25e)을 구비하고 있다. 컨텐츠 작성수단(25b)은 각종 컨텐츠를 작성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텍스트 폰트, 비트 맵, 2차원 비트 맵, 3차원 렌더링, 동화상 등을 작성하고, 표시 또는 재생한다. 3차원 컨텐츠 작성수단(25c)은 3차원 컨텐츠를 작성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삼각형을 기초로 한 폴리곤 모델(polygon model)의 작성, 그라우드 쉐이딩(Gouraud shading), 계층화된 모델의 애니메이션 작성, 각종 재질 및 텍스처 설정, 모델 내에서의 재질·텍스처의 설정의 그룹화, 모델 내에서의 스킨(skin)·본(bone) 설정의 그룹화, 카메라 설정(카메라선택, 초점거리, 프론트·리어 거리, 포그 설정), 라이트 설정(환경광, 평행광, 점광원, 스폿광, 각도·거리 설정), 재질 트랙에 의한 각종 파라미터의 애니메이션 작성,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플 뷰포트(multiple viewport) 작성, 텍스처의 빌보드 작성, 배경 비트 맵의 작성, 대상과 비대칭을 지정한 그림자의 작성, 투과텍스처·밉맵(MIPMAP: Multum In Parvo Mapping)·안티알리아싱(Anti-Aliasing) 등의 설정, 모델의 그룹화에 의한 스키닝(skinning), 빌보드텍스처 작성, 렌더드(rendered) 텍스처 작성, 렌더(render) 텍스트 텍스처 표시, 텍스처 체인지 등을 행한다.
모델 프로퍼티 설정수단(25d)은 모델의 속성을 설정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화면표시 설정, 재질 설정(모델의 색, 하이라이트의 강도와 색, 빛을 내는 색, 반투명도, 가산모드, 감산모드), 비트 맵 텍스처 설정, 무비 텍스처 설정, 알파 텍스처 설정, 텍스처 매핑 형식 설정, 텍스처 매핑 좌표 설정, 멀티텍스처 설정 등을 행한다.
사운드 제어수단(25e)은 음원의 재생, MIDI 데이터의 재생, MP3의 재생, 재생개시, 재생정지, 리피트(repeat) 설정 등을 행한다. 파라미터 정보관리수단(25f)은 3차원 컨텐츠 중,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수단으로, 파라미터 정보 기억장치(28)에 등록을 행한다. 또한, 제1 정보제공 서버(4a), 제2 정보제공 서버(4b)가 설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에 대해, 그 포맷을 제시한다. 속성정보 관리수단(25g)은 컨텐츠에 대한 속성정보를 속성정보 기억장치(26)에 등 록하고 관리하는 수단이다. 컨텐츠 송신수단(25h)은 작성된 컨텐츠를 정보제공 서버(1)에 송신하는 수단이다.
도 4는 제1 정보제공 서버(4a)의 기능 블럭도이다. 제2 정보제공 서버(4b)도 동일하다.
제1 정보제공 서버(4a)는 입력장치(41), 출력장치(42), 일시기억장치(43), 통신제어장치(44), 중앙처리 제어장치(45), 정보제공 관리정보 기억장치(46), 컨텐츠 파라미터 기억장치(47)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력장치(41)는 키보드, 마우스 등에 의해, 출력장치(42)는 액정 모니터, CRT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의 인쇄장치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일시기억장치(43)는 ROM 및 RAM이 조립되어 있다. ROM은 중앙처리 제어장치(45)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등으로 기능하고, RAM은 중앙처리 제어장치(45)에서의 프로그램 실행 처리 중에 이용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거나, 작업영역으로서 이용되는 데이터 메모리 등으로 기능한다. 통신제어장치(44)는 LAN이나 게이트웨이 서버(3) 등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되는 것이다.
정보제공 관리정보 기억장치(46)는 제1 정보제공 서버(4a)가 정보제공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품 정보, 고객 정보, 입금 정보 등이 등록되어 있다. 컨텐츠 파라미터 기억장치(47)에는 제1 정보제공 서버(4a)가 설정 가능한 3차원 컨텐츠의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다.
중앙처리 제어장치(45)는 정보제공 관리수단(45a), 컨텐츠 파라미터 설정수 단(45b), 컨텐츠 파라미터 송신수단(45c)을 가지고 있다.
정보제공 관리수단(45a)은 정보제공 관리정보 기억장치(46)를 참조하여 정보제공을 행하는 수단이다. 컨텐츠 파라미터 설정수단(45b)은 제시된 포맷에 기초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컨텐츠 파라미터 기억장치(47)에 기억시키는 수단이다. 컨텐츠 파라미터 송신수단(45c)은 컨텐츠 파라미터 기억장치(46)에 기억된 컨텐츠 파라미터를 정보 배급 서버(1)에 송신하는 수단이다.
도 5는 컨텐츠 작성 단말기(2)로, 3차원 컨텐츠를 작성하고 그것을 정보 배급 서버(1)에 등록하는 경우의 플로차트이다.
(i)먼저, 단계 S151에서, 컨텐츠 작성 단말기(2)는 3차원 컨텐츠를 작성하고, 속성정보 기억장치(26), 골격정보 기억장치(27) 및 파라미터 정보 기억장치(28)에 등록한다. 다음에, 단계 S152에서, 컨텐츠 작성 단말기(2)는 컨텐츠 정보 기억장치(26)를 참조하여, 컨텐츠 정보를 정보 배급 서버(1)에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단계 S101에서, 정보 배급 서버(1)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102에서, 속성정보 관리수단(15a)에 의해 속성정보 마스터 기억장치(16)에 컨텐츠 정보를 등록한다.
(ii)다음에, 단계 S153에서, 컨텐츠 작성 단말기(2)는 골격정보 기억장치(27)를 참조하여, 컨텐츠 골격정보를 정보 배급 서버(1)에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단계 S103에서, 컨텐츠 골격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104에서, 골격 등록수단(15b)에 의해 골격 마스터 기억장치(18)에 컨텐츠 골격정보를 등록한다.
(iii)또한, 단계 S154에서, 컨텐츠 작성 단말기(2)는 파라미터 정보 기억장 치(28)를 참조하여, 컨텐츠 파라미터 정보를 정보 배급 서버(1)에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단계 S105에서, 컨텐츠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106에서, 파라미터 등록수단(15c)에 의해, 파라미터 마스터 기억장치(18)에 컨텐츠 파라미터 정보를 등록한다.
도 6은 제1 정보제공 서버(4a)가 컨텐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정보 배급 서버(1)에 등록하는 경우의 플로차트이다. 여기서는 제1 정보제공 서버(4a)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2 정보제공 서버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i)먼저, 단계 S251에서, 제1 정보제공 서버(4a)는 컨텐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컨텐츠 파라미터 기억장치(47)에 기억시킨다.
(ii)단계 S252에서, 통신제어장치(44)를 통하여 정보 배급 서버에 접속하고, 단계 S201에서, 정보 배급 서버(1)는 제1 정보제공 서버(4a)의 인증을 행한다.
(iii)다음에, 단계 S253에서, 제1 정보제공 서버(4a)는 컨텐츠 파라미터 기억장치(47)를 참조하여, 컨텐츠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컨텐츠 파라미터 송신수단(45c)에 의해 정보 배급 서버(1)에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단계 S202에서, 정보 배급 서버(1)는 컨텐츠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단계 S203에서, 파라미터 등록수단(15d)에, 컨텐츠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마스터 기억장치(18)에 등록한다.
도 7은 제1 고객 단말기(5a)가 3차원 컨텐츠를 참조하여 정보제공을 행하는 경우의 플로차트이다. 여기서는 제1 고객 단말기(5a)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2 고객 단말기(5b), 제3 고객 단말기(5c)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i)먼저, 단계 S351에서, 제1 고객 단말기(5a)는 정보 배급 서버(1)에 접속 한다. 그것을 받아, S301에서, 정보 배급 서버(1)는 제1 고객 단말기(5a)의 접속을 접수한다.
(ii)다음에, 단계 S302에서, 정보 배급 서버(1)는 컨텐츠 제공수단(15d)에 의해 컨텐츠를 구성하고, 단계 S303에서 컨텐츠를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단계 S352에서, 제1 고객 단말기(5a)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iii)제1 고객 단말기가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는(단계 S304 및 단계 S353), 단계 S305에서, 정보 배급 서버(1)는 해당의 정보제공 서버로 링크시키고, 단계 S354에서, 제1 고객 단말기는 정보제공 처리를 행한다.
(3차원 컨텐츠의 예)
도 8 및 도 9는 3차원 컨텐츠의 일례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온라인경매로, 목적으로 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3차원 컨텐츠 D101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3차원 컨텐츠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횡 방향), Y축 방향(종 방향), Z축 방향(깊이)의 3방향의 정보를 가진다. 먼저, 사용자가 이 컨텐츠를 참조하면, 최초에 삼각기둥의 OBJ1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경매」 및 「오늘 개최」 등의 메시지가 각 면마다 쓰여 있고, 이것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동적으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어의 모양을 하고 있는 OBJ2 및 OBJ3이 나타난다. OBJ2 및 OBJ3은 도어와 같이 좌우로 열려, 사용자에게 경매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한다. 계속해서, 경매의 카테고리가 OBJ4 및 OBJ5와 같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OBJ4를 선택하면, OBJ6 및 OBJ7이 표시되고, OBJ5를 선택하면, OBJ8 및 OBJ9가 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오브젝트가 항상 중심위치에 오도록, 사용자의 시점을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의 3방향으로 움직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사용자가 티켓의 좌석 정보를 참조하는 경우에 제시되는 3차원 컨텐츠 D102의 일례이다. 사용자가 시점(視點)을 움직이는 것에 의해, 그 좌석에서 스테이지가 어떻게 보일지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석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무대의 시야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3차원 컨텐츠의 예를 들 수 있다.
(a)퍼스널 컴퓨터, PDA, 매장 설치 단말기, 차량용 단말기, 휴대전화 등의 단말기를 이용한 쇼핑가이드. 이 경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매장 정보와, 저스트·인·타임(Just In Time)의 세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b)유원지, 스포츠클럽, 쇼핑센터, 콘서트홀 등의 각종 시설 네비게이션·가이드. 여기서는 도 9로 설명했다, 좌석 네비게이션, 혼잡한 시설 상황과 최적 코스가이드를 제공하는 유원지 네비게이션, 시설 이용 상황과 최적 코스가이드를 제공한다. 스포츠클럽 네비게이션.
(c)뉴스 등의 정보프로그램의 방송.
(d)공간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길 안내 등을 행하는 상가의 네비게이션.
(e)서비스의 안내나 카탈로그 등의 각종 제품의 정보를 제공.
(f)3차원 비디오·온·디맨드(VOD) 시스템. 3차원 공간 내에 복수의 비디오영상을 배치하고, 이용자가 보고 싶은 영상을 비교선택하기 쉽게 한다. 공간 내의 배치로 인해 채널을 전환하지 않고 복수의 화면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통신회선을 서로 접속하여 구축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배급하는 정보 배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정보 배급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어 정보를 제시하는 3차원 컨텐츠를 배급하는 정보 배급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고객 단말기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3차원 컨텐츠는 평면상에 가상적인 3차원 공간을 형성하고, 3차원 공간 내에 정보를 제시하는 오브젝트가 배치된 것이다. 3차원 공간이란, 평면 공간에 깊이의 정보를 갖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3차원 공간에 오브젝트를 배치하여, 3차원 컨텐츠로서 정보를 배급한다. 3차원 오브젝트를 배급함으로써, 고객(사용자)의 흥미를 끌어당기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오브젝트는 그 배치위치와 제시하는 정보의 내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깊이에 오브젝트가 나열되어 있는 경우는 깊이에 배치되는 오브젝트가 표시하는 정보는 자기 앞에 배치되는 오브젝트가 표시하는 내용의 상세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깊이가 동일 면에 상하좌우로 배치되는 오브젝트는 병렬 관계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3차원 컨텐츠를 작성하는 컨텐츠 작성수단과, 작성된 3차원 컨텐츠를 정보 배급 서버에 축적시키는 컨텐츠 송신수단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또, 3차원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기억하는 속성정보 기억장치와, 3차원 컨텐츠 중 고정부분의 컨텐츠를 기억하는 골격 기억장치와, 3차원 컨텐츠 중 외부에서 지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파라미터 기억장치와, 속성정보 기억장치에 기억된 속성정보를 관리하는 속성정보 관리수단과, 고정부분의 컨텐츠를 골격 기억장치에 기억하는 골격 등록수단과,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수단과,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기억장치에 기억하는 파라미터 등록수단과, 골격 기억장치와 파라미터 기억장치를 참조하여 고객에게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수단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기억 매체」란, 예를 들면 컴퓨터의 외부메모리장치, 반도체메모리,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자기테이프 등의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것 같은 매체 등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CD-ROM, MO디스크, 카세트테이프, 오픈릴테이프 등이「기억 매체」에 포함된다. 또, 「속성정보」란, 3차원 컨텐츠의 고유 ID, 정보제공자의 정보나, 파일 포맷, 작성일시, 변경이력 등의 3차원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3차원 컨텐츠는 고도의 기술력을 가지는 기술자가 작성하는 컨텐츠 골격과, 기술력이 부족한 사람이 오소링 툴(authoring tool)을 이용하여, 3차원 컨텐츠의 변경을 행하는 컨텐츠 파라미터로 나눌 수 있다. 이에 따라, 3차원 컨텐츠의 데이터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파라미터 설정수단은 파라미터를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기억장치에 기억시키는 수단일 수도 있다. 즉, 정보 배급 서버의 파라미터 기억장치에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제공 서버가 설정하는 파라미터를 정보 배급 서버가 수신하고, 파라미터 기억장치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파라미터를 원격에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컨텐츠의 작 성을 의뢰한 사람이 그 때의 점포 내의 혼잡상태, 타임세일의 실시 등, 실시간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의 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2 실시예에서의 컨텐츠는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프레임을 연속하여 재생함으로써, 동화상의 컨텐츠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예에서의 컨텐츠는 3차원 데이터를 비롯하여, 비트 맵, 텍스트, 사운드 등의 여러 가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상호 작용하는(컴퓨터와의 대화성을 가지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작품이다. 제2 실시예에서의 컨텐츠는 실시간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시스템 구성도는 제1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인 도 1과 동일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정보 배급 서버(1)의 기능 블럭도이다. 정보 배급 서버(1)는 입력장치(11), 출력장치(12), 일시기억장치(13), 통신제어장치(14), 중앙처리 제어장치(15), 골격 마스터 기억장치(17)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장치(11), 출력장치(12), 일시기억장치(13), 통신제어장치(14), 골격 마스터 기억장치(17)는 제1 실시예에서의 정보 처리배급 서버(1)의 각 장치와 동일하다.
중앙처리 제어장치(15)는 다운로드 관리수단(15e), 이벤트 처리수단(15f), 컨텐츠 제공수단(15d)을 구비한다.
다운로드 관리수단(15e)은 고객 단말기(5a, 5b, 5c …)로부터,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가 있는 경우에, 그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3차원 컨텐츠는 복수의 프로젝트 파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정보 배급 서버는 고객 단말기에서의 장면(scene)의 재생 요구에 의해, 재생 요구된 장면에 해당하는 프로젝트 파일을 고객 단말기에 송신한다. 즉, 컨텐츠의 다운로드는 컨텐츠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프로젝트마다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벤트 처리수단(15f)은 고객 단말기(5a, 5b, 5c …)로부터의 마우스클릭, 스크롤 등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수단이다. 고객 단말기(5a, 5b, 5c …)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각 고객 단말기(5a, 5b, 5c …)가 처리를 행하고, 정보 배급 서버(1)에 대하여 요구를 행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그 이벤트를 처리하는 수단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의 다운로드에 관계하는 이벤트 꼬리가 발생된 경우, 이 이벤트 처리수단(15f)에 의해서 처리가 행하여진다. 컨텐츠 제공수단(15d)은 3차원 컨텐츠의 참조 의뢰에 따라서, 고객 단말기(5a, 5b, 5c …)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컨텐츠 작성 단말기(2)의 기능 블럭도이다. 컨텐츠 작성 단말기(2)는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하여 컨텐츠를 배급하는 것에 상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컨텐츠 작성 단말기(2)는 입력장치(21), 출력장치(22), 일시기억장치(23), 통신제어장치(24), 중앙처리 제어장치(25), 골격정보 기억장치(27)를 구비한다. 입력장치(21), 출력장치(22), 일시기억장치(23), 통신제어장치(24), 골격정보 기억장치(27)는 제1 실시예에서의 컨텐츠 작성 단말기(2) 의 각 수단과 동일하다.
중앙처리 제어장치(25)는 모델 작성수단(25i), 캐스트 등록수단(25j), 워크뷰 작성수단(25k), 스코어 작성수단(25l), 스테이지뷰 재생수단(25m), 컨텐츠 작성수단(25b)을 구비한다.
모델 작성수단(25i)은 3차원 컨텐츠에 사용되는 오브젝트인 모델을 작성하는 수단이다.
모델 작성수단(25i)에서는 팔을 구부리고, 걷는 등의 기본적인 동작에 관한 데이터도 합쳐서 작성한다. 이 때에, 움직이는 것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부분(스킨 부분)과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부분(본 부분)으로 나누어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의 어깨 쪽 부분, 팔꿈치, 손목 등의 부분을 스킨 부분(101a, 1O1b, 1O1c)으로 정의하고, 기타 부분을 본 부분(102a, 102b)으로 정의한다. 모델이 움직이거나 팔을 움직이는 것에 따라, 본 부분(102a, 102b)은 상대적으로 움직일 뿐이지만, 스킨 부분(101a, 1O1b, 101c)은 형상이 변화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작성 단말기(2)는 스킨 부분(101a, 101b, 101c)의 각각이 움직이는 경우의 데이터를 컨텐츠 중의 데이터로서 가지지 않고, 재생 시에 고객 단말기(5a)에서 계산을 시킨다. 이에 따라, 컨텐츠의 파일용량이 적어도 되어,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한 배급에 유효하여, 컨텐츠의 상호 작용성을 향상시킨다.
캐스트 등록수단(25j)은 등장하는 모델이나 카메라·라이트 기타 재료를 등록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모델 작성수단(25i)에서 작성된 각 모델을 어떻게 표시하는 가를 설정하여, 그것을 캐스트로서 등록하는 수단이다.
워크뷰 작성수단(25k)은 캐스트 등록수단(25i)에서 등록된 캐스트를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하는 수단이다.
스코어 작성수단(25l)은 캐스트를 시간적으로 배치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캐스트 등록수단(25j)에서 등록된 캐스트가 3차원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서, 어떠한 움직임을 하는 가를 설정하는 수단이다. 스코어 작성수단(25l)은 모델마다 그 애니메이션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에 따라, 모델마다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모델을 그룹화한 것에 대하여 스코어를 작성하더라도 상관없다. 스코어는 한 장의 그림에 대응하는 프레임이 복수 개 모이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지뷰 재생수단(25m)은 워크뷰 작성수단(25k) 및 스코어 작성수단(251)으로 작성된 컨텐츠에 대해 최종적인 컨텐츠 화상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스테이지뷰 재생수단(25m)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캐스트는 3차원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가지는 것이 된다.
컨텐츠 작성수단(25b)은 모델 작성수단(25i), 캐스트 등록수단(25j), 워크뷰 작성수단(25k), 스코어 작성수단(25l), 스테이지뷰 재생수단(25m)에서 작성 또는 등록된 정보를 합쳐 최종적인 3차원 컨텐츠를 작성하는 수단이다. 또, 컨텐츠 작성수단(25b)에서, 음악데이터나 동화상데이터 등, 외부의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서의 제1 고객 단말기(5a)의 기능 블럭도이다. 제2 실 시예에서의 제1 고객 단말기(5a)는 입력장치(51), 출력장치(52), 일시기억장치(53), 통신제어장치(54), 중앙처리 제어장치(55), 컨텐츠 기억장치(56), 외부 파일 기억장치(57)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장치(51)는 키보드, 마우스 등에 의해, 출력장치(52)는 액정 모니터, CRT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의 인쇄장치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일시기억장치(53)는 ROM 및 RAM이 조립되어 있다. ROM은 중앙처리 제어장치(55)에 있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등으로 기능하고, RAM은 중앙처리 제어장치(55)에서의 프로그램 실행 처리 중에 이용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거나, 작업영역으로서 이용되는 데이터 메모리 등으로 기능한다. 통신제어장치(54)는 통신 네트워크(6)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되는 것이다.
컨텐츠 기억장치(56)는 정보제공 서버(1)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기억하는 기억장치이다. 외부 파일 기억장치(57)는 화상데이터, 문자데이터, 음악데이터, 동화상데이터 등, 컨텐츠 기억장치(56)에 기억된 컨텐츠의 재생 시에 링크되는 외부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기억장치이다.
중앙처리 제어장치(55)는 컨텐츠 수신수단(55a), 스킨 데이터 산출수단(55b), 보간수단(55c), 외부 파일 합성수단(55d), 재생수단(55e), 이벤트 송신수단(55f)을 구비한다.
컨텐츠 수신수단(55a)은 정보 배급 서버(1)로부터 3차원 컨텐츠를 수신하여, 컨텐츠 기억장치(56)에 기록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배급 서버(1)로부 터 FTP 등의 파일전송 프로토콜에 따라서 다운로드를 행한다.
스킨 데이터 산출수단(55b)은 도 13의 컨텐츠 작성 단말기(2)에서 설정된 본 부분(102a, 102b)의 데이터로부터, 스킨 부분(101a, 101b, 101c)의 데이터를 산출하는 수단으로서, 움직이는 것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스킨 부분과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본 부분에 분할된 3차원 컨텐츠가 정보 배급 서버(3)로부터 송신된 경우에, 3차원 컨텐츠의 재생 시에 스킨 부분에서 설정된 각각의 좌표에 대하여 본 부분에서 설정된 각각의 좌표를 이용하여 가중치의 계산을 행함으로써, 스킨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여, 렌더링이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스킨 부분(101b)에 설정된 각각의 좌표에 대하여, 본 부분(102a, 102b)에 설정된 각각의 좌표를 이용하여 가중치의 계산을 행함으로써, 스킨 부분(101b)의 움직임의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계산을 스킨의 각 정점에 대하여 모두 행하면, 스킨의 형상이 결정되어, 렌더링이 가능하게 된다. 애니메이션 중에는 스킨 부분의 계산에 이용한 본 부분의 좌표가 변화하기 때문에, 스킨 부분의 계산은 애니메이션의 프레임마다 행하여진다.
보간수단(55c)은 시점과 종점의 그 이동에 필요한 시간이 부여된 경우에, 시점과 종점의 사이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움직이는 프레임을 보간하는 수단이다. 즉, 보간수단(55c)은 이동을 행하는 오브젝트의 시점과 종점의 그 이동에 필요한 시간을 포함하는 3차원 컨텐츠가 정보 배급 서버(3)로부터 송신된 경우에, 3차원 컨텐츠의 재생 시에, 시점과 종점의 사이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프레임을 설정하고, 상기 프레임의 수로 시점과 종점의 거리를 균등분할 함으로써, 이동을 행하는 오브젝트의 그림을 보충한다. 오브젝트가 좌표축을 이동하는 것뿐 아니라, 오브젝트 내에서 애니메이션을 행하는 경우는 오브젝트 내의 각 좌표는 오브젝트의 좌표의 이동에, 애니메이션에 의한 오브젝트 내의 좌표의 변화를 고려하여 계산된다.
외부 파일 합성수단(55d)은 정보 배급 서버(1)로부터 수신한 3차원 컨텐츠에 있어서, 외부 파일과 링크되어 있는 경우에, 외부 파일 기억장치(57)에 기록된 해당하는 외부 파일을 합성하는 수단이다. 이에 따라, 3차원 컨텐츠의 파일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객 단말기(5a)는 외부 파일의 지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3차원 컨텐츠가 요구하는 파일 중, 외부 파일 기억장치(57)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재생 시에 정보 배급 서버(1)에 파일의 다운로드의 요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수단(55e)은 컨텐츠 수신수단(55a)에서 수신한 3차원 컨텐츠에 대하여, 스킨 데이터 산출수단(55b)에 의한 스킨데이터의 산출 결과, 보간수단(55c)에 의한 보간 결과, 외부 파일 합성수단(55d)에 의한 외부 파일의 합성 등의 계산을 행하여 얻어진 3차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수단이다. 이에 따라, 제1 고객 단말기(5a)는 3차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벤트 송신수단(55f)은 재생수단(55e)에서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하여, 제1 고객 단말기(5a)가 마우스클릭, 스크롤 등의 조작을 행한 경우에, 정보 배급 서버(1)가 처리하는 이벤트를 정보 배급 서버(1)에 송신하는 수단이다.
도 14 내지 도 23은 컨텐츠 작성 단말기(2)에서의 컨텐츠 작성시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23에서는 다른 정경(情景)을 가지는 3개의 공간 내를 인물모델이 걸으면서 이동하는 컨텐츠의 작성에 대해 기재한다. 최초, 모델은 A의 공간에 서있고, 사용자가 B 또는 C의 공간을 지정함으로써, 모델은 그 지정된 공간의 방향으로 향하는 애니메이션이다.
제2 실시예에서의 컨텐츠 작성 단말기(2)에서 작성된 컨텐츠는 A, B, C와 다른 이름을 가지는 3개의 공간마다 프로젝트 파일을 작성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 파일에서는 모델의 동작이나 카메라의 시선 등의 동화상에 관한 정보 및 음악파일 등의 기타 정보 등의 정보가 설정되어 있고, 하나의 프로젝트 파일로 일련의 동작이 완결되어 있다. 또한, 완결된 프로젝트 파일의 링크를 행함으로써, 하나의 컨텐츠로서 제공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떤 프로젝트 파일을 재생할 것인 지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14는 컨텐츠 작성시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메인 화면은 제어패널 윈도우(103), 프리미티브(primitive) 윈도우(104), 스테이터스(status) 윈도우(105), 캐스트 윈도우(106), 워크뷰 윈도우(107), 스코어 윈도우(108)의 각각의 윈도우를 구비한다. 제어패널 윈도우(103)는 재생중의 프레임을 지정하는 재생 헤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윈도우로, 작업중의 프레임으로부터 프레임으로의 점프 등의 조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프리미티브 윈도우(104)는 이 컨텐츠 작성 단말기(2)가 미리 구비하고 있는 캐스트의 호출을 행하는 윈도우이다. 프리미티브 윈도우(104)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캐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스테이터스 윈도우(105)는 3차원 월드상의 각 오브젝트의 좌표치, 회전치, 스케일치의 상태를 수치로 표시하는 윈도우다. 또, 표시되어 있는 값을 직접 수치입력으로 재기입함으로써, 이동, 회전, 확대·축소를 행할 수 있다.
캐스트 윈도우(106)는 컨텐츠 중에서 사용하는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는 윈도우로, 주로 캐스트의 준비, 편집, 관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등록된 캐스트 이름이 더블클릭되는 것에 의해, 그 캐스트의 프로퍼티 윈도우를 표시한다.
스코어 윈도우(108)는 애니메이션 등을 행하는 캐스트의 등록이나, 여러 가지 애니메이션의 설정, 기타 3차원 컨텐츠 재생 시의 각 캐스트의 동작 상황을 프레임마다 설정하는 윈도우이다.
워크뷰 윈도우(107)는 스코어에 등록된 모델·카메라 등의 장소나 방향 등을 확인하여 설정하는 윈도우이다. 워크뷰 윈도우(107)에서는 3차원 공간을 여러 가지 시점(視點)으로부터 표시한다.
예를 들면, A의 공간의 프로젝트를 작성하는 경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의 공간에 2개의 출구를 작성한다.
다음에,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델링뷰 윈도우에 있어서, 모델 캐스트의 형상의 작성·편집을 행한다. 여기에서, 형상을 부분적으로 각각 「그룹」이라고 하는 단위로 분할하여 모델캐스트에 등록할 수도 있다. 이 그룹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이동·회전·스케일 애니메이션을 행하고자 하는 그룹(본 부분), 모체로서 링크한 복수의 그룹이 행하는 애니메이션에 수반되어, 정점을 고무와 같이 애니 메이션을 시키는 그룹(스킨 부분) 등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델 캐스트의 프로퍼티 윈도우를 표시하여, 모델 캐스트로 설정된 각 그룹별의 질감이나 접착시키는 텍스처의 설정을 행한다.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 작성한 모델을 캐스트로서 등록하고 있는 도면이다. 캐스트 윈도우(106)에서 이러한 모델의 등록을 행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의 공간의 중앙에, 도 16 및 도 17에서 작성한 모델을 배치한다.
이상에 의해, A의 공간의 모델을 작성할 수 있었다.
다음에, 도 20내지 도 22는 도 16 및 도 17에서 작성한 모델의 이동 애니메이션을 작성하는 화면이다.
도 20은 스코어 윈도우(108)이다. 스코어 윈도우(108)에는 「문자 Room A」, 「화분」 등, 이미 작성된 모델 일람(108a)이 표시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모델은 동화상을 일정 시간마다 정지시켜 얻어지는 프레임 열 군(108b)을 구비하고 있다. 또, 재생 프레임 표시 트랙(108c)을 구비하고 있다. 재생 프레임 표시 트랙은 프레임 번호와, 재생 헤드(검은 프레임)로 스코어의 재생중인 프레임을 표시한다. 또한, 재생 제어부(108d)에 의해, 범위 지정한 프레임만큼, 삽입·삭제할 수 있다. 또, 어떤 애니메이션을 반복하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도 21은 이동 애니메이션을 작성한 스코어 윈도우(108)로, 도 22는 워크뷰 윈도우(107)이다. 워크뷰 윈도우(107)의 A의 공간의 중앙에 모델을 배치하고, 스 코어 윈도우(108)로 키 프레임을 설정한다. 다음에 모델을 워크뷰 윈도우(107)의 출구 B에 배치하고, 스코어 윈도우(108)로 수초 후의 키 프레임 설정을 한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제어부(108d)에서, 「stop」, 「go room b」, 「go room c」 등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애니메이션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제1 고객 단말기(5a)의 보간수단(55c)에 의한 이동 애니메이션, 특히 인물의 이동 애니메이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물의 이동 애니메이션은 키 프레임에 의한 상반신의 직선적 이동 동작과, 「걷는다」라고 하는 하반신의 반복의 보행동작의 합성에 의해서 표현된다. 상반신의 동작은 개시 위치(공간의 중앙)와 종료 위치(선택된 출구)와, 그 동안의 시간에 비례한 코마(coma) 수의 3개의 수치만이 기록되어 있다. 그에 따라서 1코마로 진행되어야 하는 이동 위치가 계산된다.
즉, N코마 째의 이동 위치는 개시 위치+(종료 위치-개시 위치)*N/총코마수라는 계산식으로 나타낸다.
「걷는다」라고 하는 하반신의 반복의 동작에 관해서는 단순한 표현 방법의 경우는 양발이 교대로 진자와 같은 진동을 반복하는 것이 상정된다. 본격적인 보행동작도 상정하여 1코마마다 위치와 회전의 정보를 가진 데이터 군을 준비하여, 예를 들면 10코마에 의해 1보의 보행동작을 표현한다고 하여 1보 분량만큼의 데이터를 준비한다. 그리고 별도로 준비한 반복 설정을 행하고, 걷기 시작과 끝을 연속시켜 일련의 동작이 반복 표현되도록 한다.
또, 하반신의 중심위치는 상반신의 위치와(모자 관계에 의해) 링크되어 있다. 따라서 상반신의 이동 동작은 그대로 하반신에 파급시킨다. 상반신의 위치가 종료 위치까지 도달한 경우는 하반신의 반복의 보행동작은 정지된다.
*다음에, 서버로부터의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용이하게 하는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래, A의 공간을 재생하여, 사용자가 B 또는 C의 공간을 선택함으로써 그 방의 프로젝트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있었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후 해당파일의 다운로드를 행하기 때문에, 컨텐츠의 상호 작용성의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컨텐츠는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란, 어떤 프로젝트 파일의 재생 시에, 이 먼저 선택될 가능성이 있는 프로젝트 파일의 다운로드를 개시하여, 실제로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프로젝트 파일의 다운로드를 계속하여, 선택되지 않은 프로젝트 파일의 다운로드를 중단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를 실현하기 위해, 정보 배급 서버(1)의 이벤트 처리수단(15f)에 따라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 요청의 이벤트를 접수했을 때, 그것에 대응하는 처리(예를 들면, 프로젝트 파일의 다운로드 등)의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그 스크립트의 일례를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다. 이 스크립트 실행 시에는 사용자가 발생한 이벤트에 의한 B 또는 C의 공간의 선택에 의해, 선택되지 않는 공간의 프로젝트 파일의 다운로드를 정지한다. 또, 고객 단말기(5a)로부터 다운로 드의 중지 요구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어, 이벤트 처리수단(15f)이 이 요구를 수신하면, 빠르게 지정된 프로젝트 파일의 다운로드를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6내지 도 28을 이용하여, 상기의 컨텐츠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6내지 도 28의 하부의 각각의 스테이터스(status) 바는 각각의 프로젝트 파일의 다운로드의 진척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의 공간의 재생이 행해지는 동시에, B 및 C의 공간의 프로젝트 파일의 다운로드를 개시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B의 공간을 선택했을 때, B의 공간의 프로젝트 파일의 다운로드를 계속하여, C의 공간의 프로젝트 파일의 다운로드를 중단한다. 한편, B의 공간이 선택된 것에 의해, 모델 캐스트는 B의 공간을 향하여 걷기 시작한다. 그리고,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B의 공간에 도착한다. 이 B의 공간에 있어서는 A의 공간으로 되돌아가는 처리만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프로젝트 파일의 다운로드를 행할 필요가 없고,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러한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에 의해, 다운로드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쾌적하게 3차원 컨텐츠를 취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컨텐츠를 다운로드를 행하는 단위인 프로젝트 파일로 분할함으로써, 정보제공 서버(1)와 고객 단말기(5a)의 상호 작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나타낸 컨텐츠의 작성방법 및 재생방법에 의해,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상호 작용성을 구비한 컨텐츠의 제공 방법이 실현 가능하게 된다.
기타 형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 의해서 기재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설명 및 도면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제공은 반드시 금전이나 물품의 거래가 행하여지는 상거래에 한하지 않는다. 즉, 정보의 참조나 제공 등, 쌍방향의 정보의 유통이 있으면, 정보제공으로 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서는 정보제공에 관한 처리는 정보제공 서버가 실시하도록 기재했지만, 정보 배급 서버가 실시하더라도 상관없다. 제1 내지 제2 실시예와 반드시 동일한 구성일 필요는 없고, 동일한 기능이 실현되는 시스템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정보 배급 서버, 컨텐츠 작성 단말기, 정보제공 서버, 고객 단말기 등은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 상에 구성될 필요는 없고, 하나의 하드웨어 상에서, 복수가 기능을 갖추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 실시예와 같이 재생 시에 외부 파일을 합성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재생 시에 파라미터를 합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가 구비하는 기능을 선택한 시스템을 구축하더라도 상관없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고 있는 여러 가지 실시예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에 의하면, 3차원 컨텐츠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끌어당기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에 의하면, 3차원 컨텐츠의 데이터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4)

  1. 통신회선을 서로 접속하여 구축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배급하는 정보 배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3차원 컨텐츠를 배급하는 정보 배급 서버;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고객 단말기
    를 구비하고,
    상기 3차원 컨텐츠는, 평면상에 가상적인 3차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3차원 공간 내에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오브젝트가 배치되며,
    상기 3차원 컨텐츠는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스킨(skin) 부분과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본(bone) 부분으로 분할되고, 미리 설정된 상기 본 부분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상기 정보 배급 서버로부터 송신된 경우에,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재생 시에, 상기 정보 배급 서버로부터 송신된 본 부분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스킨 부분에서 설정된 각각의 좌표에 대하여, 상기 본 부분에서 설정된 각각의 좌표를 이용하여 가중치의 계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스킨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여 렌더링(rendering) 가능하게 하는 스킨 데이터 산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급 시스템.
  2. 통신회선을 서로 접속하여 구축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배급하는 정보 배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3차원 컨텐츠를 배급하는 정보 배급 서버;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고객 단말기
    를 구비하고,
    상기 3차원 컨텐츠는, 평면상에 가상적인 3차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3차원 공간 내에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다면체의 오브젝트가 배치된 것이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스킨 부분과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본 부분으로 분할된 3차원 컨텐츠가 상기 정보 배급 서버로부터 송신된 경우에,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재생 시에, 상기 정보 배급 서버로부터 송신된 본 부분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스킨 부분에서 설정된 각각의 좌표에 대하여, 상기 본 부분에서 설정된 각각의 좌표를 이용하여 가중치의 계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스킨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여 렌더링(rendering) 가능하게 하는 스킨 데이터 산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급 시스템.
  3. 통신회선을 서로 접속하여 구축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배급하는 정보 배급 방법에 있어서,
    정보 배급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3차원 컨텐츠를 배급하는 단계로서, 상기 3차원 컨텐츠는, 평면상에 가상적인 3차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3차 원 공간 내에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다면체의 오브젝트가 배치되며, 또 상기 3차원 컨텐츠는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스킨(skin) 부분과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본(bone) 부분으로 분할되고, 미리 설정된 상기 본 부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고객 단말기에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상기 정보 배급 서버로부터 송신된 경우에,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재생 시에, 상기 스킨 부분에서 설정된 각각의 좌표에 대하여, 상기 본 부분에서 설정된 각각의 좌표를 이용하여 가중치의 계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스킨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여 렌더링 가능하게 하는 스킨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배급 방법.
  4. 통신회선을 서로 접속하여 구축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배급하는 정보 배급 방법에 있어서,
    정보 배급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3차원 컨텐츠를 배급하는 단계로서, 상기 3차원 컨텐츠는, 평면상에 가상적인 3차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3차원 공간 내에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다면체의 오브젝트가 배치된 것이며, 또 상기 3차원 컨텐츠는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스킨(skin) 부분과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본(bone)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는, 단계,
    고객 단말기에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상기 정보 배급 서버로부터 송신된 경우에,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재생 시에, 상기 스킨 부분에서 설정된 각각의 좌표에 대하여, 상기 본 부분에서 설정된 각각의 좌표를 이용하여 가중치의 계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스킨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여 렌더링 가능하게 하는 스킨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배급 방법.
KR1020077009320A 2001-05-14 2001-11-30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KR100923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43596 2001-05-14
JP2001143596 2001-05-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861A Division KR100742000B1 (ko) 2001-05-14 2001-11-30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382A Division KR100981405B1 (ko) 2001-05-14 2001-11-30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159A true KR20070056159A (ko) 2007-05-31
KR100923123B1 KR100923123B1 (ko) 2009-10-23

Family

ID=1898971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861A KR100742000B1 (ko) 2001-05-14 2001-11-30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KR1020087018382A KR100981405B1 (ko) 2001-05-14 2001-11-30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KR1020077009320A KR100923123B1 (ko) 2001-05-14 2001-11-30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861A KR100742000B1 (ko) 2001-05-14 2001-11-30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KR1020087018382A KR100981405B1 (ko) 2001-05-14 2001-11-30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225114B2 (ko)
EP (1) EP1391848A4 (ko)
JP (1) JP4038434B2 (ko)
KR (3) KR100742000B1 (ko)
CN (1) CN1320508C (ko)
TW (1) TW563052B (ko)
WO (1) WO2002093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9840A1 (en) * 1997-10-15 1999-04-22 Electric Planet, Inc. 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nimatable character
EP1391848A4 (en) * 2001-05-14 2009-11-04 Netdimension Corp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JP2003187026A (ja) * 2001-12-19 2003-07-04 Fujitsu Ltd 施設管理支援装置
US7433760B2 (en) 2004-10-28 2008-10-07 Accelerated Pictures, Inc. Camera and animation controller, systems and methods
US7636089B2 (en) * 2005-09-09 2009-12-22 Microsoft Corporation Photo mantel view and animation
KR100727034B1 (ko) * 2005-12-09 2007-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공간상에서 2차원 인간형 캐릭터의 표현 및애니메이션 방법
US7880770B2 (en) * 2006-07-28 2011-02-01 Accelerated Pictures, Inc. Camera control
WO2008014487A2 (en) * 2006-07-28 2008-01-31 Accelerated Pictures, Inc. Scene organization in computer-assisted filmmaking
DE602007011507D1 (de) * 2007-06-28 2011-02-03 Steltronic S P A System und verfahren zur grafischen darstellung des kegelspielergebnisses
US8274516B2 (en) * 2008-08-04 2012-09-25 Microsoft Corporation GPU scene composition and animation
US8373704B1 (en) * 2008-08-25 2013-02-12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object movement using object component relationship markers
US8683429B2 (en) 2008-08-25 2014-03-25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untime control of hierarchical objects
US9275487B1 (en) * 2009-04-08 2016-03-01 Pixar Animation Studio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non-affine deformations
KR200452028Y1 (ko) * 2010-02-23 2011-02-01 정진시그널(주) 투명 반사부를 갖는 도로 표지병
WO2011151858A1 (ja) * 2010-05-31 2011-12-08 ビジュアツール株式会社 可視化用携帯端末装置、可視化プログラム及びボディ3d計測システム
US8922547B2 (en) * 2010-12-22 2014-12-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3D model shape transform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659398B2 (en) 2013-03-15 2017-05-23 Dreamworks Animation Llc Multiple visual representations of lighting effects in a computer animation scene
US9589382B2 (en) 2013-03-15 2017-03-07 Dreamworks Animation Llc Render setup graph
US9811936B2 (en) 2013-03-15 2017-11-07 Dreamworks Animation L.L.C. Level-based data sharing for digital content production
US9519999B1 (en) 2013-12-10 2016-12-13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preloader animation for image viewers
US9972115B2 (en) * 2014-06-12 2018-05-15 Dreamworks Animation L.L.C. Timeline tool for producing computer-generated animations
CN105335417B (zh) * 2014-08-05 2019-04-0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空间坐标和方向的信息发布方法、装置和服务器
CN105335418B (zh) * 2014-08-05 2020-04-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空间坐标和方向的信息展示方法、装置和服务器
JP6707111B2 (ja) * 2018-07-25 2020-06-10 株式会社バーチャルキャスト 3次元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3次元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225159B2 (ja) * 2020-03-31 2023-02-20 株式会社バーチャルキャスト 3次元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3次元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44B2 (ja) * 1986-06-25 1994-02-23 日本電気株式会社 三次元形状記憶装置
TW244382B (ko) * 1993-04-15 1995-04-01 Sony Co Ltd
JP3632705B2 (ja) * 1994-08-31 2005-03-23 ソニー株式会社 対話型画像提供方法、サーバ装置、提供方法、ユーザ端末、受信方法、画像提供システム、および画像提供方法
JP4190590B2 (ja) * 1994-09-20 2008-12-03 ソニー株式会社 仮想現実空間提供方法および仮想現実空間提供装置
CA2180891C (en) * 1995-07-12 2010-01-12 Junichi Rekimoto Notification of updates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space sharing system
JP3834849B2 (ja) 1995-10-02 2006-10-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H09147134A (ja) 1995-11-17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ニメーション作成装置
JPH09198407A (ja) * 1996-01-16 1997-07-31 Nec Corp 情報提示装置
US6732170B2 (en) * 1996-02-13 2004-05-04 Hitachi, Ltd. Network managing method, medium and system
JP4053627B2 (ja) * 1996-04-25 2008-0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型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スアニメーション方法
US6346956B2 (en) * 1996-09-30 2002-02-12 Sony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space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space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medium
JPH10198823A (ja) 1997-01-13 1998-07-31 Hitachi Ltd 映像生成装置
JPH10222698A (ja) * 1997-02-12 199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3次元仮想空間の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H10312469A (ja) * 1997-05-13 1998-11-24 Yamaha Corp アニメーション作成システム
JP3888483B2 (ja) * 1997-05-13 2007-03-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ベースの表示方法
JPH10312471A (ja) * 1997-05-14 1998-11-24 Hitachi Ltd 3次元立体地図データの転送にともなう描画対象外地図データの転送とその表示方法
WO1998053443A1 (fr) * 1997-05-19 1998-1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de d'affichage graphique, procede de reproduction synchronisee,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audiovisuelle synchronisee
AU744385B2 (en) * 1997-06-20 2002-02-21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incrementally moving teeth
JP3727768B2 (ja) 1997-10-15 2005-12-14 株式会社ハドソン コンピュータ画像の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US6614428B1 (en) * 1998-06-08 2003-09-02 Microsoft Corporation Compression of animated geometry using a hierarchical level of detail coder
JP4113291B2 (ja) 1998-09-28 2008-07-09 株式会社エス・アイ・エス ネットワークによる情報発信方法
KR20010003022A (ko) * 1999-06-19 2001-01-15 정선종 시각화된 운항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KR100404285B1 (ko) * 2000-02-09 2003-11-03 (주) 고미드 2차원/3차원 겸용 웹 브라우징 방법 및 이를 저장하고 있는 기록매체
US7373286B2 (en) * 2000-02-17 2008-05-13 Align Technology, Inc. Efficient data representation of teeth model
US6525725B1 (en) * 2000-03-15 2003-02-25 Sun Microsystems, Inc. Morphing decompression in a graphics system
US6943794B2 (en) * 2000-06-13 2005-09-13 Minolta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imation and server as well as terminal device used therefor
US6963930B2 (en) * 2001-02-15 2005-11-08 Centric Software, Inc. Automatic transfer and expansion of application-specific data for display at a website
US7116330B2 (en) * 2001-02-28 2006-10-03 Intel Corporation Approximating motion using a three-dimensional model
US20020138607A1 (en) * 2001-03-22 2002-09-26 Ther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ata mining in a three-dimensional multi-user environment
EP1391848A4 (en) * 2001-05-14 2009-11-04 Netdimension Corp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US7102647B2 (en) * 2001-06-26 2006-09-05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horizon mapping
US20030005090A1 (en) * 2001-06-30 2003-01-02 Sullivan Robert R.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network services
US6791549B2 (en) * 2001-12-21 2004-09-14 Vrcontext S.A.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ng frames of complex virtual environ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1848A1 (en) 2004-02-25
KR100742000B1 (ko) 2007-07-23
US7225114B2 (en) 2007-05-29
JP4038434B2 (ja) 2008-01-23
EP1391848A4 (en) 2009-11-04
JPWO2002093497A1 (ja) 2004-09-02
US20070146361A1 (en) 2007-06-28
CN1320508C (zh) 2007-06-06
KR20040005961A (ko) 2004-01-16
WO2002093497A1 (fr) 2002-11-21
CN1507605A (zh) 2004-06-23
US7739086B2 (en) 2010-06-15
TW563052B (en) 2003-11-21
US20030090523A1 (en) 2003-05-15
KR100923123B1 (ko) 2009-10-23
KR20080075559A (ko) 2008-08-18
KR100981405B1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123B1 (ko) 정보 배급 시스템 및 정보 배급 방법
US20210217241A1 (en) Creation and use of virtual places
CN105051662B (zh) 三维虚拟环境
US20180137561A1 (en) Virtual reality shopping experience
US7080096B1 (en) Housing space-related commodity sale assisting system, housing space-related commodity sale assisting method, program for assisting housing space-related commodity sale, and computer-readable recorded medium on which program for assisting housing space-related commodity sale is recorded
KR101623288B1 (ko) 렌더링 시스템, 렌더링 서버,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050021472A1 (en) Transactions in virtual property
GB2404546A (en) Viewing material in 3D virtual windows
US20050030309A1 (en) Information display
KR20180073721A (ko)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비디오 게임 내에 동적 광고들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801368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imensional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digital media integration
WO2000020987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representations and an associated separate web window
JP2002245294A (ja) 仮想空間を利用したモデル住宅システム
JP2003076456A (ja) オブジェクト表示システム、サーバ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プログラム、商品販売促進システム、オブジェクト配信システム、オブジェクト収集方法、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
WO2001022308A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one or more required items from a virtual store
KR20090005922A (ko) 실세계 기반 3차원 포털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는 서버
JP4954043B2 (ja) 画像生成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Lang et al. IN: SHOP-Using Telepresence and Immersive VR for a New Shopping Experience.
CN115695933A (zh) 直播间的互动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orbett XML-Driven Real-time Interactive Virtual Environment (XDRIVE) Engine
JP2000187741A (ja) アニメーション作成装置及びアニメーション作成方法
JP2004078549A (ja) 模擬移動処理方法および模擬移動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