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801A -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801A
KR20070055801A KR1020050114230A KR20050114230A KR20070055801A KR 20070055801 A KR20070055801 A KR 20070055801A KR 1020050114230 A KR1020050114230 A KR 1020050114230A KR 20050114230 A KR20050114230 A KR 20050114230A KR 20070055801 A KR20070055801 A KR 20070055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andle lever
lever
spring
door in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5801A/ko
Publication of KR20070055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한 작동 이음이 발생될 염려가 없으며, 윤활 오일을 주기적으로 도포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편리해지고, 핸들 레버를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어서 핸들 레버의 파손 우려도 없도록 하기 위해, 핸들 브라켓에 일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레버와, 상기 핸들 레버에 일단이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어 도어래치를 해방시키는 해제로드, 상기 핸들 레버의 조작시에 압축되었다가 핸들 레버의 해방시에 탄성력을 가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Door inside hand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핸들 브라켓 2-핸들 레버
3-힌지핀 4-해제로드
5-스프링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래치의 해제로드가 도어 인사이드 핸들에 직접 연결되어 구성이 간단해지고 중량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은 마운팅 브라켓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레버와, 상기 핸들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핸들 레버의 조작 후에 핸들 레버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핸들 레버의 회전축에 핸들 레버의 회전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 스프링, 상기 핸들 레버의 조작에 따라 도어래치를 해방시키도록 상기 핸들 레버와 연동되게 연결되면서 클립을 매개로 설치된 해제 로드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에서는 해제 로드를 마운팅시키기 위해 별도의 클립을 사용해야 하고, 핸들의 설치구조상 핸들 브라켓의 크기가 커져야 하므로,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 절감에 불리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수가 과다하여 조립 산포나 품질 산포의 문제점이 있었고, 스프링이 핸들 레버의 회전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스프링의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스프링의 충분한 작동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작동시에 작동 이음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윤활 오일을 도포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그리고, 핸들의 강성 부족으로 인해 핸들 레버와 핸들 브라켓이 파손되거나 해제 로드가 클립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작동 불능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한 작동 이음이 발생될 염려가 없으며, 윤활 오일을 주기적으로 도포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편리해지고, 핸들 레버를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어서 핸들 레버의 파손 우려도 없도록 한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들 브라켓에 일단이 힌지핀 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레버와, 상기 핸들 레버에 일단이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어 도어래치를 해방시키는 해제로드, 상기 핸들 레버의 조작시에 압축되었다가 핸들 레버의 해방시에 탄성력을 가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핸들 브라켓은 ㄷ자 형상을 하고서 양측 플랜지와 상기 핸들 레버의 일단을 관통해서 상기 힌지핀이 체결되고, 상기 양측 플랜지를 후방에서 일체로 연결하는 후방 플랜지의 상단면은 상기 핸들 레버의 과도한 조작을 방지하는 스톱퍼면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 스프링 시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와 상기 후방 플랜지 사이에 상기 스프링의 양단이 안착되어 상기 해제로드의 외주면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 즉 대체로 ㄷ자 형상을 이루는 핸들 브라켓(1)의 양측 플랜지가 형성하는 장착 공간에 핸들 레버(2)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양측 플랜지와 핸들 레버를 관통해서 설치되는 힌지핀(3)을 매개로 상기 핸들 레버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 브라켓(1)의 후방부에는 상기 양측 플랜지를 일체로 연결하는 후방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후방 플랜지의 상단면은 상기 핸들 레버가 소정 각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때에 핸들 레버의 외주면과 맞닿아서 핸들 레버의 회동을 저지하는 스톱퍼면(1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후방 플랜지를 관통해서 상기 장착 공간의 내부로 도어 래치와 연결된 해제로드(4)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핸들 레버에 일체로 연결되게 연결되고, 상기 해제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는 스프링 시트(4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시트와 상기 후방 플랜지에 상기 해제로드의 외주에 끼워진 리턴스프링(5)의 양단이 각각 안착되어 지지된다.
도 1에는 상기 핸들 레버가 조작되기 이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탑승자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핸들 레버를 손으로 잡고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상기 핸들 레버에 연결된 상기 해제로드가 핸들 레버에 의해 당겨지면서 도어래치를 해방시켜 주게 되어, 탑승자가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핸들 레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상기 스프링은 압축되어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탑승자가 핸들 레버를 해방시키게 되면, 핸들 레버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상기 스톱퍼면은 상기 핸들 레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핸들 레버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에 의하면, 핸들 레버에 도어래치의 해체로드가 일체로 연동되게 직접 연결되어 구조가 간단해져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이 신축되는 과정에 작동 이음이 발생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윤활 오일을 주기적으로 도포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편리해지며, 핸들 브라켓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줄여서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핸들 레버를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어서 핸들 레버의 파손 우려도 없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핸들 브라켓에 일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레버와, 상기 핸들 레버에 일단이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어 도어래치를 해방시키는 해제로드, 상기 핸들 레버의 조작시에 압축되었다가 핸들 레버의 해방시에 탄성력을 가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한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브라켓은 ㄷ자 형상을 하고서 양측 플랜지와 상기 핸들 레버의 일단을 관통해서 상기 힌지핀이 체결되고, 상기 양측 플랜지를 후방에서 일체로 연결하는 후방 플랜지의 상단면은 상기 핸들 레버의 과도한 조작을 방지하는 스톱퍼면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 스프링 시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와 상기 후방 플랜지 사이에 상기 스프링의 양단이 안착되어 상기 해제로드의 외주면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KR1020050114230A 2005-11-28 2005-11-28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KR20070055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230A KR20070055801A (ko) 2005-11-28 2005-11-28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230A KR20070055801A (ko) 2005-11-28 2005-11-28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801A true KR20070055801A (ko) 2007-05-31

Family

ID=3827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230A KR20070055801A (ko) 2005-11-28 2005-11-28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58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09B1 (ko) * 2007-12-13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인사이드 핸들 레버 장착구조
KR20170032600A (ko) 2015-09-15 2017-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인사이드 도어 핸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09B1 (ko) * 2007-12-13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인사이드 핸들 레버 장착구조
KR20170032600A (ko) 2015-09-15 2017-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인사이드 도어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5080B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KR20070039216A (ko) 차량 도어핸들어셈블리의 안전기구
JP2011106265A (ja) 安全ドア取手
CA2507660C (en) Pedal assembly
JP2006255427A (ja) 前方に折畳み可能な自動車座席の背もたれのヒンジマウント
WO2018190413A1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KR20070055801A (ko) 도어 인사이드 핸들구조
JP4890895B2 (ja) ワイパ装置
CN101511649B (zh) 刮水器装置
US20180066459A1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20100044168A1 (en) Disc brake in particular for commercial vehicles and operating cylinder for a disc brake
JP2003500286A (ja) 折り曲げ可能なワイパアーム
JP4858806B2 (ja) ペダル装置
JP2004155305A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JP2009228314A (ja) 車両用ドアヒンジ装置
KR101704060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EP1088701B1 (fr) Dispositif de montage d&#39;un feu arrière sur un élément de carrosserie d&#39;un véhicule automobile
JP4351972B2 (ja) パンタグラフ型ジャッキ
JP6172962B2 (ja) ワイパ装置
US20150251710A1 (en) Locking mechanism
JP3865042B2 (ja) キャブチルトステー装置
JP6663390B2 (ja) トランクリッド用開閉装置
JP4446096B2 (ja) スタンド脚部付き車両用折畳み式シート
JP6549357B2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KR200327508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