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283A - 각결막장해 치료제 - Google Patents

각결막장해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283A
KR20070053283A KR1020077006343A KR20077006343A KR20070053283A KR 20070053283 A KR20070053283 A KR 20070053283A KR 1020077006343 A KR1020077006343 A KR 1020077006343A KR 20077006343 A KR20077006343 A KR 20077006343A KR 20070053283 A KR20070053283 A KR 20070053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acid
keratitis
corneal
oxazolylmeth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츠구 나카무라
신-이치로 히라이
게이이치 시바가키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2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11,3-Oxazoles, e.g. pemoline, trimethad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61K31/603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having further aromatic rings, e.g. diflunis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4-[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4-페닐부티르산, Z-2-[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2-(4-페녹시페닐)아세트산, 2-[2-프로필-3-[3-[2-에틸-4-(4-플루오로페닐)-5-히드록시페녹시]프로폭시]페녹시]벤조산, 2(S)-메톡시-3-[4-[3-(4-페녹시페녹시)프로폭시]페닐]프로피온산 또는 이들 염의 새로운 의약 용도를 탐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카르복실산 화합물 또는 이들 염은 모두 각막장해 모델에 있어서 우수한 개선 효과를 발휘하고, 건성안, 각막궤양, 각막염, 결막염, 점상표층각막증, 각막상피결손, 결막상피결손, 건성각결막염, 상윤부각결막염, 사상각막염 등의 각결막장해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각결막장해 치료제{THERAPEUTIC AGENT FOR KERATOCONJUNCTIVA DISORDER}
본 발명은 (1) E-4-[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4-페닐부티르산, (2) Z-2-[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2-(4-페녹시페닐)아세트산, (3) 2-[2-프로필-3-[3-[2-에틸-4-(4-플루오로페닐)-5-히드록시페녹시]프로폭시]페녹시]벤조산, (4) 2(S)-메톡시-3-[4-[3-(4-페녹시페녹시)프로폭시]페닐]프로피온산 및 이들의 염 중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건성안(dry eye), 각막궤양, 각막염, 결막염, 점상표층각막증, 각막상피결손, 결막상피결손, 건성각결막염, 상윤부각결막염, 사상각막염 등의 각결막장해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각막은 직경 약 1 ㎝, 두께 약 1 ㎜의 투명한 무혈관 조직이며, 또한, 결막은 각막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의 안구 표면과 눈꺼풀의 이면을 덮고 있는 점막이지만, 각막이나 결막은 시각 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각막궤양, 각막염, 결막염, 건성안(dry eye) 등의 여러 가지 질환에 의해 야기되는 각결막장해는 어떠한 이유로 수복이 지연되거나 또는 수복이 행해지지 않고서 오래 끌게 되면, 각막과 결막은 연결된 조직이기 때문에, 상피의 정상적인 구축에 악영향을 주고, 나아가서는, 각막실질이나 내피의 구조나 기능까지 해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 세포 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세포의 분열·이동·접착·신장·분화 등에 관여하는 인자가 해명되고 있고, 각막장해의 수복에는 이들 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비특허 문헌 1, 비특허 문헌 2).
한편, E-4-[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4-페닐부티르산이나 Z-2-[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2-(4-페녹시페닐)아세트산 등의 옥시이미노알칸산 유도체는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치료제·예방제로서 유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또한, 2-[2-프로필-3-[3-[2-에틸-4-(4-플루오로페닐)-5-히드록시페녹시]프로폭시]페녹시]벤조산이나 2(S)-메톡시-3-[4-[3-(4-페녹시페녹시)프로폭시]페닐]프로피온산 등의 류코트리엔 길항성 치환 페닐페놀은 염증성 질환이나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한 것이 시사되어 있다(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그러나, 이들 카르복실산 화합물에 대해서 각결막장해 등의 안질환에 대한 약리 작용을 검토하는 보고는 없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3074532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허 제3417582호 공보
특허 문헌 3: 국제 공개 제2002/100813호 팜플렛
비특허 문헌 1: 임안(臨眼), 46, 738-743(1992)
비특허 문헌 2: 안과수술, 5, 719-727(1992)
E-4-[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4-페닐부티르산, Z-2-[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2-(4-페녹시페닐)아세트산, 2-[2-프로필-3-[3-[2-에틸-4-(4-플루오로페닐)-5-히드록시페녹시]프로폭시]페녹시]벤조산, 2(S)-메톡시-3-[4-[3-(4-페녹시페녹시)프로폭시]페닐]프로피온산 또는 이들의 염에 대해서 새로운 의약 용도를 탐색하는 것은 흥미로운 과제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카르복실산 화합물의 새로운 의약 용도를 탐색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바, 각막장해 모델을 이용한 각막장해 치유 효력 시험에 있어서, 이들 화합물은 모두 각막장해에 대하여 우수한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E-4-[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4-페닐부티르산, (2) Z-2-[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2-(4-페녹시페닐)아세트산, (3) 2-[2-프로필-3-[3-[2-에틸-4-(4-플루오로페닐)-5-히드록시페녹시]프로폭시]페녹시]벤조산, (4) 2(S)-메톡시-3-[4-[3-(4-페녹시페녹시)프로폭시]페닐]프로피온산 및 이들의 염(이하, 이들을 「본 화합물」이라 함) 중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건성안, 각막궤양, 각막염, 결막염, 점상표층각막증, 각막상피결손, 결막상피결손, 건성각결막염, 상윤부각결막염, 사상각막염 등의 각결막장해 치료제이다.
상기 (1) 내지 (4)의 카르복실산 화합물의 염으로서는, 의약으로서 허용되는 염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칼슘염, 마그네슘염을 비롯하여 염산, 질산, 황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아세트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고, 제4급 암모늄염도 본 발명의 염에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한 염은 나트륨염 및 칼륨염이다. 또한, 본 화합물은 수화물 및 용매화물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화합물의 기하이성체, 광학이성체, 라세미체, 호변이성체, 다형체 등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결막장해란 여러 가지의 요인에 의해 각막이나 결막이 손상을 받은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하고, 예컨대 건성안, 각막궤양, 각막염, 결막염, 점상표층각막증, 각막상피결손, 결막상피결손, 건성각결막염, 상윤부각결막염, 사상각막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각결막장해 치료제는 경구로도, 비경구로도 투여할 수 있다.
투여 제형으로서는 점안제, 안연고, 주사제,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점안제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범용되고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점안제는 염화나트륨, 농축 글리세린 등의 등장화제, 인산나트륨, 초산나트륨 등의 완충화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스테아린산폴리옥실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계면활성제, 시트르산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 등의 안정화제, 염화벤잘코늄, 파라벤 등의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pH는 안과 제제에 허용되는 범위 내에 있으면 되지만, 4∼8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안연고는 백색 바셀린, 유동 파라핀 등의 범용되는 기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등의 경구제는 젖당, 결정 셀룰로오스, 전분, 식물유 등의 증량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탈크 등의 활택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붕괴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마크로골, 실리콘 수지 등의 코팅제, 젤라틴 피막 등의 피막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1) 내지 (4)의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이들의 염 중 적어도 1종을 치료에 유효한 양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각결막장해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투여량은 증상, 연령, 제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점안제는 0.0001∼5%(w/v), 바람직하게는 0.001∼3%(w/v)인 것을 1일 1∼수회 점안하면 된다. 또한, 경구제는 통상 1일 당 0.1∼5000 ㎎, 바람직하게는 1∼1000 ㎎을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면 된다.
하기에 본 화합물을 이용한 약리 시험 및 제제예의 결과를 나타내지만, 이들의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약리 시험]
각막장해의 치유 효력 시험
웅성 SD 래트를 이용하여 후지하라 연구진의 방법[Invest. Ophthalmol. Vis. Sci 42(1):96-100(2001)]에 따라 각막장해 모델을 제작하였다. 각막장해 모델을 작성한 후, 무라카미 연구진의 방법[새로운 안과 21(1): 87-90(2004)]에 따라 각막장해의 치유율을 판정하였다.
(시험 방법)
웅성 SD 래트를 이용하여, 넴뷰탈(Nembutal)을 투여하여 전신 마취를 행한 후, 안와 외측 눈물샘을 적출하여 2개월에 걸쳐 각막장해를 유발시켰다.
다음에, 각막장해를 유발시킨 래트에게 E-4-[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4-페닐부티르산(화합물 A), Z-2-[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2-(4-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B), 2-[2-프로필-3-[3-[2-에틸-4-(4-플루오로페닐)-5-히드록시페녹시]프로폭시]페녹시]벤조산나트륨(화합물 C) 및 2(S)-메톡시-3-[4-[3-(4-페녹시페녹시)프로폭시]페닐]프로피온산(화합물 D)을 하기와 같이 투여하였다.
화합물 A 점안군:
화합물 A(0.006%)의 생리식염수 용액을 양 눈에 1일 6회, 7일간 점안하였다(1군 4마리 8눈).
화합물 B 점안군:
화합물 B(0.006%)의 생리식염수 용액을 양 눈에 1일 6회, 7일간 점안하였다(1군 4마리 8눈).
화합물 C 점안군:
화합물 C(0.006%)의 생리식염수 용액을 양 눈에 1일 6회, 7일간 점안하였다(1군 4마리 8눈).
화합물 D 점안군:
화합물 D(0.002%)의 생리적 인산 완충액(PBS) 수용액을 양 눈에 1일 6회, 7 일간 점안하였다(1군 4마리 8눈).
대조군에서는, 생리식염수 또는 PBS를 양 눈에 1일 6회, 7일간 점안하였다(1군 4마리 8눈).
점안 개시 7일 후, 각막의 장해 부분을 플루오레세인으로 염색하였다. 각막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의 각각에 대해서 플루오레세인에 의한 염색의 정도를 하기의 기준에 따라 스코어 판정하고, 이들 스코어 합계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판정 기준)
0 : 염색되어 있지 않음
1 : 염색이 드문 드문 되어 있으며, 각 점상의 염색 부분이 떨어져 있음
2 : 염색이 중간 정도이며, 점상의 염색 부분의 일부가 인접하고 있음
3 : 염색이 진하며, 각 점상의 염색 부분이 인접하고 있음
(결과)
대조군(생리식염수 또는 PBS)의 스코어 평균치를 기준(개선율: 0%)으로 하여 산출한 화합물 A 점안군 및 화합물 B 점안군, 화합물 C 점안군의 각 개선율을 표 1에 나타내고, 화합물 D 점안군의 개선율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스코어의 평균치는 각 8예의 평균이다. 개선율은 하기의 계산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개선율(%)={(대조군)-(본 화합물)}/장해도×100
장해도={(대조군)-(정상 눈)}
군 구성 스코어 평균치 개선율(%)
정상안 3.0 ·
대조군 6.1 0
화합물 A 점안군 5.1 32.3
화합물 B 점안군 5.1 32.3
화합물 C 점안군 4.9 38.7
* 대조군: 생리식염수 점안
군 구성 스코어 평균치 개선율(%)
정상안 3.1 ·
대조군 5.6 0
화합물 D 점안군 5.3 12.0
* 대조군: PBS 점안
(고찰)
상기 래트를 이용한 약리 시험의 결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화합물 A 내지 화합물 D의 카르복실산 화합물은 모두 각막장해를 현저히 개선시킨다.
[제제예]
하기에 화합물 A 내지 화합물 D를 이용한 대표적인 제제예를 나타낸다.
처방예 1
100 ㎖ 중
화합물 A 10 ㎎
염화나트륨 900 ㎎
멸균 정제수 적량
화합물 A의 첨가량을 바꿈으로써, 농도 0.001%(w/v), 0.03%(w/v), 0.1%(w/v), 0.3%(w/v), 1.0%(w/v), 3.0%(w/v)의 점안제를 조제할 수 있다.
처방예 2
100 ㎖ 중
화합물 B 100 ㎎
염화나트륨 800 ㎎
인산수소2나트륨 100 ㎎
인산2수소나트륨 적량
멸균 정제수 적량
화합물 B의 첨가량을 바꿈으로써, 농도 0.003%(w/v), 0.01%(w/v), 0.03%(w/v), 0.05%(w/v), 0.3%(w/v), 1%(w/v), 3%(w/v)의 점안제를 조제할 수 있다.
처방예 3
100 ㎖ 중
화합물 C 50 ㎎
염화나트륨 800 ㎎
인산수소2나트륨 100 ㎎
인산2수소나트륨 적량
멸균 정제수 적량
화합물 C의 첨가량을 바꿈으로써, 농도 0.002%(w/v), 0.01%(w/v), 0.25%(w/v), 1.25%(w/v), 3%(w/v)의 점안제를 조제할 수 있다.
처방예 4
100 ㎖ 중
화합물 D 20 ㎎
염화나트륨 800 ㎎
인산수소2나트륨 100 ㎎
인산2수소나트륨 적량
멸균 정제수 적량
화합물 D의 첨가량을 바꿈으로써, 농도 0.001%(w/v), 0.01%(w/v), 0.25%(w/v), 1.25%(w/v), 3%(w/v)의 점안제를 조제할 수 있다.
처방예 5
100 g 중
화합물 C 0.3 g
유동 파라핀 10.0 g
백색 바셀린 적량
화합물 C의 첨가량을 바꿈으로써, 농도 1%(w/w), 3%(w/w)의 안연고를 조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막장해의 치유 효력 시험을 실시한 결과, 본 화합물은 모두 각막장해 모델에 있어서 우수한 개선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건성안, 각막궤양, 각막염, 결막염, 점상표층각막증, 각막상피결손, 결막상피결손, 건성각결막염, 상윤부각결막염, 사상각막염 등의 각결막장해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9)

  1. 하기 (1) 내지 (4)의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이들의 염 중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각결막장해 치료제:
    (1) E-4-[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4-페닐부티르산;
    (2) Z-2-[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2-(4-페녹시페닐)아세트산;
    (3) 2-[2-프로필-3-[3-[2-에틸-4-(4-플루오로페닐)-5-히드록시페녹시]프로폭시]페녹시]벤조산;
    (4) 2(S)-메톡시-3-[4-[3-(4-페녹시페녹시)프로폭시]페닐]프로피온산.
  2. 제1항에 있어서, 각결막장해가 건성안, 각막궤양, 각막염, 결막염, 점상표층각막증, 각막상피결손, 결막상피결손, 건성각결막염, 상윤부각결막염 또는 사상각막염인 치료제.
  3. 제1항에 있어서, 점안제 또는 안연고의 제형인 치료제.
  4. 하기 (1) 내지 (4)의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이들의 염 중 적어도 1종을 치료에 유효한 양으로 환자에게 투여하는 각결막장해의 치료 방법:
    (1) E-4-[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4-페닐부티르산;
    (2) Z-2-[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2-(4-페녹시페닐)아세트산;
    (3) 2-[2-프로필-3-[3-[2-에틸-4-(4-플루오로페닐)-5-히드록시페녹시]프로폭시]페녹시]벤조산;
    (4) 2(S)-메톡시-3-[4-[3-(4-페녹시페녹시)프로폭시]페닐]프로피온산.
  5. 제4항에 있어서, 각결막장해가 건성안, 각막궤양, 각막염, 결막염, 점상표층각막증, 각막상피결손, 결막상피결손, 건성각결막염, 상윤부각결막염 또는 사상각막염인 치료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점안제 또는 안연고의 제형인 치료 방법.
  7. 각결막장해 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하기 (1) 내지 (4)의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이들의 염 중 적어도 1종의 용도:
    (1) E-4-[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4-페닐부티르산;
    (2) Z-2-[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2-(4-페녹시페닐)아세트산;
    (3) 2-[2-프로필-3-[3-[2-에틸-4-(4-플루오로페닐)-5-히드록시페녹시]프로폭시]페녹시]벤조산;
    (4) 2(S)-메톡시-3-[4-[3-(4-페녹시페녹시)프로폭시]페닐]프로피온산.
  8. 제7항에 있어서, 각결막장해가 건성안, 각막궤양, 각막염, 결막염, 점상표층각막증, 각막상피결손, 결막상피결손, 건성각결막염, 상윤부각결막염 또는 사상각막염인 용도.
  9. 제7항에 있어서, 점안제 또는 안연고의 제형인 용도.
KR1020077006343A 2004-09-13 2005-09-13 각결막장해 치료제 KR200700532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65197 2004-09-13
JP2004265197 2004-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283A true KR20070053283A (ko) 2007-05-23

Family

ID=36060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343A KR20070053283A (ko) 2004-09-13 2005-09-13 각결막장해 치료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70958A1 (ko)
EP (1) EP1790338A4 (ko)
KR (1) KR20070053283A (ko)
CN (1) CN101014332A (ko)
CA (1) CA2579490A1 (ko)
WO (1) WO20060307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4315A1 (ja) * 2006-03-30 2007-10-11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角結膜障害治療剤
MX2011008448A (es) 2009-02-10 2012-02-28 Amarin Pharma Inc Uso de ester etilico del acido eisosapentaenoico para tratar hipertrigliceridemia.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80133B6 (cs) * 1991-11-25 1995-11-15 Eli Lilly And Company Substituovaný fenylfenolleukotrienový antagonist a farmaceutický prostředek, který ho obsahuje
PH30449A (en) * 1991-11-25 1997-05-28 Lilly Co Eli Substituted phenyl phenol leukotriene antagonists
PT880362E (pt) * 1996-02-13 2005-10-31 Searle & Co Composicoes compreendendo um inibidor do cicloxigenase tipo 2 e um antagonista do receptor do leucotrieno b4
US5998454A (en) * 1997-03-21 1999-12-07 Eli Lilly And Company Leukotriene antagonists useful for treating iritis
AU766831B2 (en) * 1998-05-11 2003-10-23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Oxyiminoalkanoic acid derivatives with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activity
JP3074532B2 (ja) * 1998-05-11 2000-08-07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オキシイミノアルカン酸誘導体
AU4713499A (en) * 1998-06-27 2000-01-17 Photogenesis, Inc. Ophthalmic uses of ppargamma agonists and ppargamma antagonists
BR0210190A (pt) * 2001-06-07 2004-04-06 Lilly Co Eli Moduladores de receptores ativados de proliferador de peroxissom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79490A1 (en) 2006-03-23
US20080070958A1 (en) 2008-03-20
EP1790338A4 (en) 2007-12-12
WO2006030753A1 (ja) 2006-03-23
CN101014332A (zh) 2007-08-08
EP1790338A1 (en)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175B1 (ko) 각결막 장해 치료제
KR101286883B1 (ko) 각결막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
JP5314931B2 (ja) 加齢黄斑変性の予防又は治療剤
KR20100135953A (ko) 안 질환 치료를 위한 pai―1 발현 및 활성 억제제
KR20070053283A (ko) 각결막장해 치료제
KR20070011497A (ko) 각결막 장해 치료제
KR20060118520A (ko) 각결막장해 치료제
JP4922588B2 (ja) 角結膜障害治療剤
JP2006104199A (ja) 角結膜障害治療剤
RU2423127C2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против роговично-конъюнктивального нарушения
JP5087233B2 (ja) 角結膜障害の予防または治療剤
JP2007291091A (ja) 角結膜障害治療剤
JP2005350451A (ja) 角結膜障害治療剤
US20040067891A1 (en) Therapeutic and/or preventive agents for diseases due to retinal ischemia
JP2005162735A (ja) 角結膜障害治療剤
JP4697027B2 (ja) 角結膜障害治療剤
KR20070121791A (ko) 각결막 장애 치료제
WO2007114315A1 (ja) 角結膜障害治療剤
JP2007182435A (ja) 角結膜障害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