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193A -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193A
KR20070053193A KR1020070043273A KR20070043273A KR20070053193A KR 20070053193 A KR20070053193 A KR 20070053193A KR 1020070043273 A KR1020070043273 A KR 1020070043273A KR 20070043273 A KR20070043273 A KR 20070043273A KR 20070053193 A KR20070053193 A KR 20070053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material
pyrolysis
regeneration
combustion heat
pyrolysis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8680B1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07004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6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53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193A/ko
Priority to PCT/KR2007/002569 priority patent/WO20081365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28Other processes
    • C10B47/32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C10B47/44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conveyor-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폐원료를 간접열로 가열함으로서 열분해를 통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열분해시 발생되는 열분해 가스를 응축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기 위한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연소열 투입구와 연소열 배출구가 형성된 재생실; 스크루 형태의 연소열 가이드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연소열 순환관이 횡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재생로; 상기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상기 연소열 순환관과 재생실 내부로 순환하도록 형성된 연소열 유도관; 상기 재생로의 상단으로부터 등 간격으로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에 각각 결합되어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형성된 응축기; 상기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으로부터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면서 그 내부로 폐원료를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형성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폐원료를 분산시키도록 형성된 커팅 로터리;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상기 재상로의 전단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이송 스크루; 및 상기 재생로와 연통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는 이송 스크루가 축 설치되고 외면에는 냉각 파이프가 설치 형성된 배출수단; 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폐원료의 공급과 공급된 폐원료의 열분해와 열분해된 잔여물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CATALYST-FREE WASTE PLASTICS PYROLYSIS OIL RECOVERY SYSTEM}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연소열 유도관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폐원료 공급수단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폐원료 공급수단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재생실 120: 연소열 투입구
140: 연소열 배출구
200: 재생로 220: 연소열 가이드
240: 연소열 순환관
300: 연소열 유도관
400: 열분해가스 배출관
500: 응축기
600: 폐원료 공급수단 610: 수평관
612: 가이드레일 620: 수직관
622: 가이드레일 630: 호퍼
640: 피스톤 642: 실린더
644: 유입 방지판 650: 유입 제어판
652: 실린더
700: 커팅 로터리
800: 이송 스크루
900: 잔해물 배출수단 920: 이송 스크루
940: 냉각 파이프
본 발명은 폐원료를 이용한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폐원료의 공급과 공급된 폐원료의 열분해와 열분해된 잔여물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아울러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많은 량의 폐원료가 배출되고 있는데, 이들은 환경과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파괴하는 주요 원인으로서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정부나 각 단체에서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폐기물(폐원료)을 수거하여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것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소각의 경우에는 다이옥신과 같은 많은 량의 유해물질이 대기중으로 배출되면서 또 다른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매립의 경우에는 썩지 않는 플라스틱의 성질로 인하여 지반의 불안정화를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절대적인 매립지의 부족으로 인한 지역간의 갈등이 큰 이슈로 부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폐원료의 열분해를 통해 열분해유를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폐원료의 완전 소각을 실현할 수 있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자원의 재활용과 환경의 보존 측면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의 폐원료 열분해에 대한 간략한 배경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거된 폐원료를 밀폐된 재생로 내부로 투입시킨 후 무산소 또는 저산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재생로 외부로부터 고온의 열을 가하여 투입된 폐원료를 열분해하게 된다. 이때, 탄소쇄가 긴 고분자 화합물을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열분해시켜 각종 유기 화합물로 저분자화 하는데, 상기 저분자 생성물은 탄소쇄의 길이 또는 화합물의 형태에 따라 가스로 되거나 액체로 된다. 즉, 이러한 물질은 석유계 화합물과 거의 같은 성상을 유지하여 연소에 필요한 연료로서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 는 기술이다.
즉, 상기 폐원료는 탄소쇄를 가진 유기성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고분자 화학 물질로서 첫째, 조건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열을 가하면 쉽게 분해 된다는 것과 둘째, 유독물질이 발생하더라도 순수한 형태로 발생되거나 공기비가 매우 낮아 상대적으로 처리가 용이하다는 것과 셋째, 고분자 폐원료을 원래의 저분자 물질로 환원시켜 단량체 등 고가의 원료 물질을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 가스나 오일을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폐원료를 열분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의하면 크게, 연소실과 연결되어 고온의 연소열이 유입되는 재생실;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 상기 재생로의 후단으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수단; 상기 재생로의 전단에 설치되어 연소된 폐원료의 잔여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 상기 재생로 상의 다수 지점으로부터 연결되어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 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폐원료가 재생로의 후단으로만 공급되기 때문에 특정부분이 막히면서 재생로 전체에 고른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재생로의 후방에서만 열분해가 이루어짐에 따라 열손실 및 기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공급되는 폐원료가 압축 또는 뭉쳐진 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막힘 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기존에는 재생로 내부로 공급되는 폐원료를 잘게 절단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되지 않았 다.
또한, 종래에는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외부로 직접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열분해된 뜨거운 잔해물이 상온의 외부공기와 접하면서 자연발화되기 때문에 화재 등의 안전상 여러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급된 폐원료의 열분해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폐원료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폐원료의 원활한 공급과 열분해된 잔여물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된 폐원료를 간접열로 가열함으로서 열분해를 통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열분해시 발생되는 열분해 가스를 응축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기 위한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있어서,
전단에 근접한 측부 일 지점에 연소열 투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의 상측에는 연소열 배출구가 형성된 재생실; 외면에 형성된 스크루 형태의 연소열 가이드에 의해 상기 재생실 내부에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연소열 순환관이 횡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재생로; 상기 연소 열 투입구를 통해 버너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최초 상기 재생로의 전단으로 안내하여 일부는 상기 연소열 순환관으로 순환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상기 재생실 내부로 배출시켜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연소열 유도관; 상기 재생로의 상단으로부터 연통된 상태로 상기 재생실 외측으로 돌출된 등 간격의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에 각각 결합되어 열분해가스를 냉각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형성된 응축기; 상기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의 측부 일 지점으로 연통된 상태에서 피스톤의 작동을 통해 폐원료를 열분해가스 배출관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재생로 내부의 상측에 축 설치된 상태로 회전을 통해 열분해가스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폐원료를 분산시키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팅 로터리; 상기 재생로 내부의 하측에 축 설치된 상태로 회전을 통해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전단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이송 스크루; 및 상기 재생로의 전단 측 하부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연통된 상태로 상기 재생실의 하측에 설치되어 폐원료 잔여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원통형 배출관의 내부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이송 스크루를 축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배출관의 외면에는 냉각 파이프를 감아서 형성된 잔해물 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은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의 일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통 형성된 수평관; 상기 수평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통 형성된 수직관; 상기 수직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폐원료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호퍼; 상기 수평관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하여 수직관으로부터 유입된 폐원료를 열분해가스 배출관으로 공급하도록 하되, 그 상단 에는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진 작동시 상기 수직관으로부터 폐원료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입 방지판이 형성된 피스톤; 및 상기 수직관의 상측에 대하여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면서 호퍼로부터 유입되는 폐원료를 제어하고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입 제어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의 수평관과 수직관에 대하여 상기 유입 방지판과 유입 제어판의 작동을 안내하면서 밀폐기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은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에 대하여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연소열 유도관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폐원료 공급수단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폐원료 공급수단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연소열 투입구와 연소열 배출구가 형성된 재생실(100), 스크루 형태의 연소열 가이드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연소열 순환관이 횡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재생로(200), 상기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상기 연소열 순환관과 재생실 내부로 순환하도록 형성된 연소열 유도관(300), 상기 재생로의 상단으로부터 등 간격으로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400), 상기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에 각각 결합되어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형성된 응축기(500), 상기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으로부터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면서 그 내부로 폐원료를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형성된 폐원료 공급수단(600),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폐원료를 분산시키도록 형성된 커팅 로터리(700),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상기 재상로의 전단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이송 스크루(800) 및 상기 재생로와 연통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는 이송 스크루가 축 설치되고 외면에는 냉각 파이프가 설치 형성된 잔해물 배출수단(900)으로 이루어지다.
이에, 상기 재생실(1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전단에 근접한 측부 일 지점에 연소열 투입구(120)가 형성되고, 후단의 상측에는 연소열 배출구(1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재생실(10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재생실(100)은 전단이 후단보다 낮은 기울기로 설치한다.
상기 재생로(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외면에 형성된 스크루 형태의 연소열 가이드(220)에 의해 상기 재생실 내부에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소열 투입구(120)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연소열 순환관(240)을 관통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각 연소열 순환관(240)은 재생로(200)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관통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재생로(20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연소열 유도관(300)은 연소열 투입구(120)를 통해 버너(미도시)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최초 상기 재생로(200)의 전단으로 안내하여 일부는 상기 연소열 순환관(240)으로 순환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상기 재생실(100) 내부로 배출시켜 순환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연소열 유도관(300)은 고온의 연소열을 연소열 순환관(240)으로 자연스럽게 순환되도록 유도한 후 재생실(100) 내부로 배출되어 연소열 가이드(220)를 따라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400)은 상기 재생로(200)의 상단으로부터 연통된 상태로 상기 재생실(1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서, 재생로(200)를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한다.
상기 응축기(500)는 상기 등 간격의 열분해가스 배출관(400)에 각각 연결되어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응축기(300)는 그 외면에 냉각수가 흐르도록 순환관을 설치함으로써 열분해가스 배출관(400)으로 배출되는 기체상태의 열분해가스를 액체상태로 물성을 변화시킨다.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600)은 상기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400)의 측부로 연통된 상태에서 피스톤(640)의 작동을 통해 폐원료를 열분해가스 배출관(400)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폐원료는 압축하여 육면체의 블록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600)은 열분해가스 배출관(400)의 측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통 형성된 수평관(610)과 상기 수평관(610)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통 형성된 수직관(620) 및 상기 수직관(620)의 상단에 설치되어 폐원료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호퍼(63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수평관(610)의 끝단에는 실린더(642)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하여 수직관(620)으로부터 유입된 폐원료를 열분해가스 배출관(400)으로 공급하도록 하면서 그 상단에는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진 작동시 상기 수직관(620)으로부터 폐원료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입 방지판(644)이 형성된 피스톤(640)을 설치하고, 상기 수직관(620)의 상측에는 실린더(652)의 작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면서 호퍼(630)로부터 유입되는 폐원료를 제어하고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입 제어판(65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600)의 수평관(610)과 수직관(620)에 대하여 상기 유입 방지판(644)과 유입 제어판(650)의 작동을 안내하면서 밀폐기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레일(612, 622)을 각각 형성한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612, 622)은 수평관(610)과 수직관(6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 상태에서 유입 방지판(644)과 유입 제어판(650)이 안내되도록 함과 아울러, 유입되는 폐원료에 의한 처짐 현상이나 열분해가스의 누출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600)은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400)에 대하여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교차로 연속적인 폐원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 로터리(700)는 상기 재생로(200) 내부의 상측에 축 설치된 상태로 회전을 통해 열분해가스 배출관(400)으로 유입되는 폐원료를 분산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팅 로터리(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세 방향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팅 로터리(7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 모터는 재생실(100) 외측에 설치하여 뜨거운 열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 스크루(800)는 상기 재생로(200) 내부의 하측에 축 설치된 상태로 회전을 통해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전단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 스크루(8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 모터는 재생실(100) 외측에 설치하여 뜨거운 열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 잔여물 배출수단(900)은 상기 재생로(200)의 전단 측 하부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연통된 상태로 상기 재생실(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폐원료 잔여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원통형 배출관의 내부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이송 스크루(920)를 축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배출관의 외면에는 냉각 파이프(940)를 감아서 형성된다. 즉, 상기 이송 스크루(920)로부터 재생로(200)의 전단으로 이동된 폐원료의 열분해 잔여물을 재생실(100) 외측에서 서서히 냉각시키면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연소된 잔여물이 이송 스크루(920)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 파이프(940)에 의해 서서히 냉각되기 때문에 배출후에도 자연발화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의하면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개선된 구조를 통해 폐원료의 공급과 공급된 폐원료의 열분해와 열분해된 잔여물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과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4)

  1. 투입된 폐원료를 간접열로 가열함으로서 열분해를 통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열분해시 발생되는 열분해 가스를 응축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기 위한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있어서,
    전단에 근접한 측부 일 지점에 연소열 투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의 상측에는 연소열 배출구가 형성된 재생실;
    외면에 형성된 스크루 형태의 연소열 가이드에 의해 상기 재생실 내부에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연소열 순환관이 횡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재생로;
    상기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버너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최초 상기 재생로의 전단으로 안내하여 일부는 상기 연소열 순환관으로 순환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상기 재생실 내부로 배출시켜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연소열 유도관;
    상기 재생로의 상단으로부터 연통된 상태로 상기 재생실 외측으로 돌출된 등 간격의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에 각각 결합되어 열분해가스를 냉각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형성된 응축기;
    상기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의 측부 일 지점으로 연통된 상태에서 피스톤의 작동을 통해 폐원료를 열분해가스 배출관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재생로 내부의 상측에 축 설치된 상태로 회전을 통해 열분해가스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폐원료를 분산시키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팅 로터리;
    상기 재생로 내부의 하측에 축 설치된 상태로 회전을 통해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전단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이송 스크루; 및
    상기 재생로의 전단 측 하부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연통된 상태로 상기 재생실의 하측에 설치되어 폐원료 잔여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원통형 배출관의 내부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이송 스크루를 축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배출관의 외면에는 냉각 파이프를 감아서 형성된 잔해물 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은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의 일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통 형성된 수평관;
    상기 수평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통 형성된 수직관;
    상기 수직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폐원료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호퍼;
    상기 수평관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하여 수직관으로부터 유입된 폐원료를 열분해가스 배출관으로 공급하도록 하되, 그 상단에는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진 작동시 상기 수직관으로부터 폐원료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입 방지판이 형성된 피스톤; 및
    상기 수직관의 상측에 대하여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면서 호퍼로부터 유입되는 폐원료 제어하고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입 제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의 수평관과 수직관에 대하여 상기 유입 방지판과 유입 제어판의 작동을 안내하면서 밀폐기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은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에 대하여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20070043273A 2007-05-03 2007-05-03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84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273A KR100848680B1 (ko) 2007-05-03 2007-05-03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PCT/KR2007/002569 WO2008136552A1 (en) 2007-05-03 2007-05-28 Apparatus for recovering pyrolysis oil from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273A KR100848680B1 (ko) 2007-05-03 2007-05-03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193A true KR20070053193A (ko) 2007-05-23
KR100848680B1 KR100848680B1 (ko) 2008-07-28

Family

ID=3827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273A KR100848680B1 (ko) 2007-05-03 2007-05-03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8680B1 (ko)
WO (1) WO200813655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6913A1 (en) * 2007-11-19 2009-05-28 Young Ho Kim Pyrolysis oil recovery system using waste material
KR100956655B1 (ko) * 2008-02-26 2010-05-10 (주)피이알이엔티 가마솥형 재생로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6B1 (ko) * 2008-03-25 2010-05-11 (주)피이알이엔티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7B1 (ko) * 2008-03-25 2010-05-11 (주)피이알이엔티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US8486231B2 (en) 2008-12-18 2013-07-16 Young Ho Kim Pryolytic energy recover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6480B1 (en) * 2008-08-29 2013-07-02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Bio-oil fractionation and condensation
US8100990B2 (en) 2011-05-15 2012-01-24 Avello Bioenery, Inc. Methods for integrated fast pyrolysis processing of biomass
CN111826178A (zh) * 2020-07-17 2020-10-27 安徽林农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卸温出炭装置
KR102515380B1 (ko) 2022-02-21 2023-03-30 김영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167B1 (ko) * 2002-10-24 2005-11-15 (주)우리체인 터널식 폐합성수지 무촉매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517881B1 (ko) * 2002-11-14 2005-09-28 정도성 폐플라스틱 유화재생 처리장치
KR100611564B1 (ko) 2004-05-03 2006-08-10 박연기 요 또는 노를 이용한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787958B1 (ko) * 2004-09-25 2007-12-31 구재완 폐합성 고분자화합물의 연속식 열분해 시스템
KR200371773Y1 (ko) 2004-09-25 2005-01-03 구재완 폐합성 고분자화합물의 연속식 열분해 시스템
KR100777812B1 (ko) * 2005-10-12 2007-11-28 김영호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터널식 열분해유 재생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6913A1 (en) * 2007-11-19 2009-05-28 Young Ho Kim Pyrolysis oil recovery system using waste material
KR100956654B1 (ko) * 2007-11-19 2010-05-10 (주)피이알이엔티 조립식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5B1 (ko) * 2008-02-26 2010-05-10 (주)피이알이엔티 가마솥형 재생로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6B1 (ko) * 2008-03-25 2010-05-11 (주)피이알이엔티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7B1 (ko) * 2008-03-25 2010-05-11 (주)피이알이엔티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US8486231B2 (en) 2008-12-18 2013-07-16 Young Ho Kim Pryolytic energy recov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6552A1 (en) 2008-11-13
KR100848680B1 (ko) 200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680B1 (ko)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809733B1 (ko)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1448868B1 (ko) 유화장치용 열분해 장치
KR100462923B1 (ko) 터널식 폐합성수지 무촉매 열분해유 재생 시스템의 연속 투입장치
KR20090092176A (ko) 가마솥형 재생로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71024B1 (ko) 폐고무용 열분해장치
KR100956656B1 (ko)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1853583B1 (ko) 폐 고분자 물질을 활용한 정제유 생산장치
KR101522097B1 (ko)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시스템
KR102629046B1 (ko) 연속식 폐합성수지 열분해 처리설비의 폐합성수지 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폐합성수지 열분해 처리설비의 순환 열분해 장치
KR100305113B1 (ko) 직접 및 간접가열 방식을 겸한 폐타이어의 감압 열분해 방법과장치
KR100956658B1 (ko)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200291928Y1 (ko) 터널식 폐합성수지 무촉매 열분해유 재생 시스템의 연속 투입장치
KR100639643B1 (ko) 폐열을 이용한 다기능 폐기물의 재활용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7812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터널식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7B1 (ko)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62480B1 (ko) 유기폐기물 열분해 장치
KR20090030960A (ko)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20220079045A (ko) 촉매를 활용한 폐기물 열 분해 장치
KR102396342B1 (ko) 열분해 처리 설비용 오일 순환처리 방법과 오일 순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열분해 처리 설비
KR20130139002A (ko)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9B1 (ko)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복층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528167B1 (ko) 터널식 폐합성수지 무촉매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2508387B1 (ko) 합성수지의 열분해 유화장치
KR102547205B1 (ko) 고분자 폐기물의 초음파 열분해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