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658B1 -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658B1
KR100956658B1 KR1020080027439A KR20080027439A KR100956658B1 KR 100956658 B1 KR100956658 B1 KR 100956658B1 KR 1020080027439 A KR1020080027439 A KR 1020080027439A KR 20080027439 A KR20080027439 A KR 20080027439A KR 100956658 B1 KR100956658 B1 KR 10095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on
combustion heat
partitioned
waste material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163A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피이알이엔티
김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이알이엔티, 김현재 filed Critical (주)피이알이엔티
Priority to KR1020080027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65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9/00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9/14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in pipes or coils with or without auxiliary means, e.g. digesters, soaking drums, expansion means
    • C10G9/18Apparatus
    • C10G9/20Tube furnaces
    • C10G9/203Tube furnaces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9/00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9/14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in pipes or coils with or without auxiliary means, e.g. digesters, soaking drums, expansion means
    • C10G9/18Apparatus
    • C10G9/20Tube furnaces
    • C10G9/206Tube furnace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ube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의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고 후방의 연소열 배출구로 배출되는 재생실,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 상기 재생로 상단을 따라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재생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해물 배출수단 및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재생실을 전후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단부 사이에 열팽창을 보완할 수 있는 제1 주름관을 결합하고, 상기 재생로를 전후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단부 사이에 열팽창을 보완할 수 있는 제2 주름관을 결합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열분해를 위한 연소열에 의해 재생실과 재생로가 열팽창하면서 균열 및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Fitness type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using waste material}
본 발명은 폐원료를 이용하여 열분해유를 얻기 위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열분해를 위한 연소열에 의해 재생실과 재생로가 열팽창하면서 균열 및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아울러 그 수요가 증가하면서 많은 량의 폐원료가 배출되고 있는데, 이들은 환경과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파괴하는 주요 원인으로서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정부나 각 단체에서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폐기물(폐원료)을 수거하여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것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소각의 경우에는 다이옥신과 같은 많은 량의 유해물질이 대기중으로 배출되면서 또 다른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매립의 경우에는 썩지 않는 플라스틱의 성질로 인하여 지반의 불안정화를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절대적인 매립지의 부족으로 인한 지역간의 갈등이 큰 이슈로 부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폐원료의 열분해를 통해 열분해유를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폐원료의 완전 소각을 실현할 수 있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자원의 재활용과 환경의 보존 측면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의 폐원료 열분해에 대한 간략한 배경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거된 폐원료를 밀폐된 재생로 내부로 투입시킨 후 무산소 또는 저산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재생로 외부로부터 고온의 열을 가하여 투입된 폐원료를 열분해하게 된다. 이때, 탄소쇄가 긴 고분자 화합물을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열분해시켜 각종 유기 화합물로 저분자화 하는데, 상기 저분자 생성물은 탄소쇄의 길이 또는 화합물의 형태에 따라 가스로 되거나 액체로 된다. 즉, 이러한 물질은 석유계 화합물과 거의 같은 성상을 유지하여 연소에 필요한 연료로서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즉, 상기 폐원료는 탄소쇄를 가진 유기성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고분자 화학 물질로서 첫째, 조건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열을 가하면 쉽게 분해 된다는 것과 둘째, 유독물질이 발생하더라도 순수한 형태로 발생되거나 공기비가 매우 낮아 상대적으로 처리가 용이하다는 것과 셋째, 고분자 폐원료을 원래의 저분자 물질로 환원시켜 단량체 등 고가의 원료 물질을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 가스나 오일을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폐원료를 열분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크게, 양측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 소열이 유입되고 후단의 연소열 배출구로 배출되는 재생실,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 상기 재생로 상단을 따라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재생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해물 배출수단 및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온도의 연소열을 재생실 내부로 공급하여 재생로를 가열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용 전과 비교하여 볼 때 큰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온도차에 의해 운용 중인 재생실 및 재생로는 운용 전보다 전후 길이방향으로 열 팽창에 의한 큰 길이 변형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재생실은 외부 구조물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재생로 또한 재생실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운용과 정지를 반복 시 재생실과 재생로의 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균열 및 변형에 의한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더구나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운용시 초기 열팽창에 의해 볼트 결합부나 용접부 등 각 요소에서 굉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볼트 결합부나 용접부가 파손되어 매우 위험한 상황에 이르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재생실은 통상 이중으로 구성되면서 그 사이에 열손실을 막기 위한 단열재가 충진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열팽창과 수 축이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단열재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틈이 점점 벌어지기 때문에 많은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재생로 내부에는 연소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연소열 순환관, 상기 연소열 순환관 상부에 설치되어 열분해가스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원료를 분산시키기 위한 로터 및 상기 연소열 순환관 하부에 설치되어 열분해된 잔해물을 잔해물 배출수단으로 안내하기 위한 스크루를 구성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연소열 순환관, 로터 및 스크루가 각각 재생로와 다른 크기로 열팽창되면서 균열이나 파손 또는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종래 재생실과 재생로가 열팽창시 균열이나 변형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종래 재생실이 열팽창시 그 내부에 충직된 단열재가 균열되면서 그 틈으로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종래 재생로 내부의 연소열 순환관, 로터 및 스크루가 열팽창시 균열이나 변형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의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고 후방의 연소열 배출구로 배출되는 재생실,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 상기 재생로 상단을 따라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재생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해물 배출수단 및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실을 전후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단부 사이에 열팽창을 보완할 수 있는 제1 주름관을 결합하고, 상기 재생로를 전후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 기 구획된 단부 사이에 열팽창을 보완할 수 있는 제2 주름관을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주름관이 결합된 재생실의 하부에는 상기 구획된 전후 재생실을 안착시킨 상태로 전후 유동되도록 받침대를 설치하되, 상기 전방 재생실의 전단은 상기 받침대의 전단에 고정하고, 상기 제1 주름관과 대응하는 위치의 받침대 상에는 유동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관이 결합된 재생로의 하부에는 상기 구획된 전후 재생로를 상기 구획된 각 전후 재생실로부터 일정높이 지지하기 위한 전후 받침다리를 설치하되, 상기 후방 재생로를 지지하는 후방 받침다리를 상하 구획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장공과 고정핀을 통해 전후 유동되도록 하는 제1 결합수단을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재생로의 내부에는 전후를 관통하여 연소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연소열 순환관을 형성하되, 상기 각 연소열 순환관을 전후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단부 사이에 열팽창을 완충할 수 있는 제3 주름관을 결합하고, 상기 연소열 순환관의 상부에는 상기 재생로와 재생실의 전후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열분해가스 배기관을 통해 유입된 폐원료를 절단하거나 흩어뿌리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터를 형성하되, 상기 로터의 회전축을 전후 구획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장공과 고정핀을 통해 전후 유동되도록 하는 제2 결합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연소열 순환관의 하부에는 상기 재생로와 재생실의 전후를 관통한 상태에서 열분해된 폐원료를 잔해물 배출수단으로 안내하기 위한 스크루를 형성하되, 상기 스크루의 회전축을 전후 구획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상호 대 응하여 결합되는 장공과 고정핀을 통해 전후 유동되도록 하는 제3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재생실, 재생로 및 연소열 순환관의 구획된 전후 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 3 주름관의 전후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로 체결 고정하되,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연소열과 열분해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내열성 가스켓을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의하면 재생실과 재생로를 전후로 구획하면서 각 구획된 단부에 제1,2 주름관을 형성함으로써, 열팽창에 대한 균열이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의하면 열팽창시 재생실 내부에 충직된 단열재의 균열을 방지함으로써, 열손실 없이 더욱 원활한 열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의하면 재생로 내부의 연소열 순환관, 로터 및 스크루를 전후로 구획하면서 각 구획된 단부에 제3 주름과 및 제2,3 결합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열팽창에 대한 균열이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B"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C"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D"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고 후단의 연소열 배출구로 배출되는 재생실(100),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200), 상기 재생로 상단을 따라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300), 상기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400), 상기 재생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해물 배출수단(500),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600), 상기 재생로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전후 등 간격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폐원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분산시키기 위한 횡방향 로터(700), 상기 재생로의 전후를 관통하여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연소열 순환관(800) 및 상기 재생로의 하측에 설치하여 회전을 통해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상기 잔해물 배출수단으로 밀어내기 위한 스크루(90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재생실(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 성된 것으로서 전단에 근접한 양측에 연소열 투입구(120)가 형성되고, 후단의 상측에는 연소열 배출구(1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재생실(10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강판 내부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160)가 충진된다. 한편, 상기 재생실(100)은 전단이 후단보다 낮은 기울기로 설치한 상태에서 그 전단에는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재생실(100)은 전후를 구획한 상태에서 구획된 단부에 제1 주름관(100a)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 주름관(100a)은 연소열에 의해 재생실(100)이 팽창하는 경우 이를 보완하여 균열이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즉, 구획된 전후 재생실(100)의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는 전후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제1 주름관(100a)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호 밀착하는 플랜지를 따라 다수개의 볼트와 너트로 체결 고정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주름관(100a)의 지름은 상기 재생실(100)의 외주면과 같은 지름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후로 구획된 재생실(100)은 받침대(100b)를 통해 안착되도록 하여 지지하는데, 이와 같은 받침대(100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실(100)의 바닥은 물론 그 양측을 동시에 지지하여 좌우로 기울지 않도록 상광하협의 "U"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받침대(100b)의 전단은 전방 재생실(100)의 전단과 일체로 고정하는데, 상기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용접이나 스토퍼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00b)의 중간에는 앞서 설명된 재생실(100)의 제1 주름관(100a)이 수용된 상태로 전후 유동 가능하도록 유동홈(100c)을 형성한 다. 또한, 상기 후방 재생실(100)은 받침대(100b)의 후방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열팽창시 전후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 재생실(100)이 각각 열팽창하더라도 상기 제1 주름관(100a)과 받침대(100b)에 의해 단열재(160)가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재생로(200)는 상기 재생실(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재생실(100)과 같이 전후를 구획한 상태에서 구획된 단부에 제2 주름관(200a)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2 주름관(200a)은 연소열에 의해 재생로(200)가 팽창하는 경우 이를 보완하여 균열이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즉, 구획된 전후 재생로(200)의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는 전후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제2 주름관(200a)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호 밀착하는 플랜지를 따라 다수개의 볼트와 너트로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주름관(200a)의 지름은 상기 재생로(200)의 외주면과 같은 지름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후로 구획된 재생로(200)는 상기 전후로 구획된 재생실(100) 내부에 각각의 받침다리(200b)를 사용하여 지지되도록 하되, 이와 같이 후방 재생실(100)에서 후방 재생로(200)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받침다리(200b) 상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구획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장공(200c-1)과 고정핀(200c-2)을 통해 전후 유동되도록 하는 제1 결합수단(200c)을 구성한다. 즉, 상기 받침다리(200b)의 구획된 상단에는 장공(200c-1)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받침다리(200b)의 구획된 하단에는 상기 장공(200c- 1)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고정핀(200c-2)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후방 재생로(200)가 열팽창하여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보상하게 된다.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재생로(200)의 상단을 따라 등 간격에 연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재생실(10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300)의 측면으로 연통된 상태에서 폐원료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열분해가스 배기관(300)의 일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통된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호퍼로부터 폐원료를 공급하도록 하는 수직관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평관의 끝단에는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하여 유입된 폐원료를 열분해가스 배기관(300)으로 밀어 넣기 위한 푸셔를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푸셔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진 작동시 상기 수직관으로부터 폐원료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입 방지판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평관에는 상기 푸셔의 유입 방지판이 끼워진 상태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기밀이 향상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잔해물 배출수단(500)은 상기 재생로(2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재생로(200)의 전단 측 하부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연통하여 상기 재생실(100)의 하측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잔해물 배출수단(500)의 내부에는 내면과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 는 스크루를 설치함으로써, 밀폐된 다수개의 공간을 통해 잔해물이 서서히 배출되도록 하여 외부 공기와 접촉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재생실(100)을 받치고 있는 받침재(100b)의 전방에는 상기 잔해물 배출수단(500)이 하부로 노출되도록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기(600)는 상기 등 간격의 열분해가스 배출관(300)에 각각 연결되어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응축기(600)는 그 외면에 냉각수가 흐르도록 순환관을 설치함으로써 열분해가스 배출관(300)으로 배출되는 기체상태의 열분해가스를 액체상태로 물성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로터(700)는 상기 재생로(200)의 전후를 관통하여 축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300)을 통해 유입된 폐원료를 절단하거나 흩어 뿌리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로터(700)의 회전축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구획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장공(700a-1)과 고정핀(700a-2)을 통해 전후 유동되도록 하는 제2 결합수단(700a)을 형성한다. 즉, 상기 로터(700)의 구획된 전단에는 장공(700a-1)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로터(700)의 구획된 후단에는 상기 장공(700a-1)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고정핀(700a-2)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로터(700)가 열팽창하여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보상하게 된다. 아울러, 이때 상기 전후로 구획된 상태에서 제2 결합수단(700a)으로 연결된 로터(700)는 그 전단과 후단이 각각 재생실(100) 및 재생로(200)에 의해 축 결합된 상태이므로 처지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소열 순환관(800)은 상기 재생로(200)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연소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로터(700)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연소열 순환관(800)을 전후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단부 사이에 열팽창을 완충할 수 있도록 제3 주름관(800a)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3 주름관(200a)은 연소열에 의해 연소열 순환관(800)이 팽창하는 경우 이를 보완하여 균열이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즉, 구획된 전후 연소열 순환관(800)의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는 전후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제3 주름관(800a)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호 밀착하는 플랜지를 따라 다수개의 볼트와 너트로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 주름관(800a)의 지름은 상기 연소열 순환관(800)의 외주면과 같은 지름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때 상기 전후로 구획된 상태에서 제3 주름관(800a)으로 연결된 연소열 순환관(800)은 그 전단과 후단이 각각 재생실(100) 및 재생로(200)에 의해 축 결합된 상태이므로 처지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연소열 순환관(8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연소열 순환관(800)과 하부 연소열 순환관(800)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재생로(200)의 전방에는 연소열 투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상기 재생로(200)의 전단으로 안내하면서 일부는 각 상부 연소열 순환관(800)과 하부 연소열 순환관(800)과 연결을 통해 재생로(200) 내부로 순환시키고 나머지는 상기 재생실(100)과 재생로(200) 사이로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연소열 유도관(18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크루(900)는 상기 재생로(200)의 하측에 설치하여 회전을 통해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상기 잔해물 배출수단(500)으로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루(900)의 전후 끝단은 상기 재생로(200)를 관통하여 재생실(100)의 전단과 후단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스크루(900)의 회전축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구획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장공(900a-1)과 고정핀(900a-2)을 통해 전후 유동되도록 하는 제3 결합수단(900a)을 형성한다. 즉, 상기 스크루(900)의 구획된 전단에는 장공(900a-1)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스크루(900)의 구획된 후단에는 상기 장공(900a-1)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고정핀(900a-2)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크루(900)가 열팽창하여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보상하게 된다. 아울러, 이때 상기 전후로 구획된 상태에서 제3 결합수단(900a)으로 연결된 스크루(900)는 그 전단과 후단이 각각 재생실(100) 및 재생로(200)에 의해 축 결합된 상태이므로 처지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열분해시 뜨거운 연소열에 의해 각 구성이 열팽창하더라도 균열이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B"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C"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D"부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재생실 100a: 제1 주름관
100b: 받침대 100c: 유동홈
120: 연소열 투입구 140: 연소열 배출구
160: 단열재 180: 연소열 유도관
200: 재생로 200a: 제2 주름관
200b: 받침다리 200c: 제1 결합수단
200c-1: 장공 200c-2: 고정핀
300: 열분해가스 배출관
400: 폐원료 공급수단
500: 잔해물 배출수단
600: 응축기
700: 로터 700a: 제2 결합수단
700a-1: 장공 700a-2: 고정핀
800: 연소열 순환관 800a: 제3 주름관
900: 스크루 900a: 제3 결합수단
900a-1: 장공 900a-2: 고정핀

Claims (4)

  1. 전방의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고 후방의 연소열 배출구로 배출되는 재생실,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 상기 재생로의 내부에 전후를 관통하여 연소열이 순환되게 설치되는 연소열 순환관, 상기 재생로 상단을 따라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연소열 순환관의 상부 측에 재생로와 재생실의 전후를 관통한 상태에서 열분해가스 배출관을 통해 유입된 폐원료가 절단되거나 흩어질 수 있게 설치되는 로터, 상기 재생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해물 배출수단, 상기 연소열 순환관의 하부에 재생로와 재생실의 전후를 관통한 상태에서 열분해된 폐원료가 잔해물 배출수단으로 안내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루 및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실을 전후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단부 사이에 열팽창을 보완할 수 있게 형성된 제1 주름관;
    상기 재생로를 전후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단부 사이에 열팽창을 보완할 수 있게 형성된 제2 주름관;
    상기 연소열 순환관을 전후로 구획한 상태에서 구획된 단부 사이에 열팽창이 완충될 수 있게 형성된 제3 주름관;
    상기 재생실의 하부에 구획된 전후 재생실이 안착이 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주름관과 대응하는 구간에는 유동홈이 형성된 받침대;
    상기 구획된 전후 재생로가 상기 구획된 전후 재생실로부터 지탱이 되게 상기 제2 주름관이 결합된 재생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후 받침다리;
    상기 후방 재생로를 지지하는 후방 받침다리를 상하 구획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장공과 고정핀을 통해 전후 유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 결합수단;
    상기 로터의 회전축을 전후 구획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장공과 고정핀을 통해 전후 유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 결합수단; 및
    상기 스크루의 회전축을 전후 구획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장공과 고정핀을 통해 전후 유동되도록 설치되는 제3 결합수단; 을 더 포함하여 구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실, 재생로 및 연소열 순환관의 구획된 전후 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 3 주름관의 전후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로 체결 고정하되,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연소열과 열분해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내열성 가스켓을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80027439A 2008-03-25 2008-03-25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39A KR100956658B1 (ko) 2008-03-25 2008-03-25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39A KR100956658B1 (ko) 2008-03-25 2008-03-25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63A KR20090102163A (ko) 2009-09-30
KR100956658B1 true KR100956658B1 (ko) 2010-05-10

Family

ID=4135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439A KR100956658B1 (ko) 2008-03-25 2008-03-25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6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390B1 (ko) 2008-12-18 2010-08-30 (주)피이알이엔티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
CN103847037B (zh) * 2014-01-18 2016-09-07 深圳市鑫兴洲雅贸易有限公司 大型工业化再生资源和生物质混炼生产设备
CN116742491B (zh) * 2023-08-09 2023-11-21 新乡市景弘电气有限公司 一种灭火装置及具有其的箱式变电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368A (ko) * 2002-01-25 2004-06-09 요우이치 와다 플라스틱의 유화방법 및 유화플랜트
KR20070047270A (ko) * 2007-04-16 2007-05-04 김영호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368A (ko) * 2002-01-25 2004-06-09 요우이치 와다 플라스틱의 유화방법 및 유화플랜트
KR20070047270A (ko) * 2007-04-16 2007-05-04 김영호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63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868B1 (ko) 유화장치용 열분해 장치
KR100848680B1 (ko)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CA26601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oil-bearing media
CN110662820B (zh) 微波热解反应器
KR100956658B1 (ko)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809733B1 (ko)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US11773329B2 (en) Microwave pyrolysis reacto
KR100462923B1 (ko) 터널식 폐합성수지 무촉매 열분해유 재생 시스템의 연속 투입장치
KR100696985B1 (ko)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
AU741958B2 (en) Thermal decomposer for waste
KR101853583B1 (ko) 폐 고분자 물질을 활용한 정제유 생산장치
KR100956656B1 (ko)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WO2019052453A1 (zh) 一种用于微波裂解废轮胎的保持腔内洁净运行的工艺
KR20040042331A (ko) 폐플라스틱 유화재생 처리장치
KR100956654B1 (ko) 조립식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7B1 (ko)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200291928Y1 (ko) 터널식 폐합성수지 무촉매 열분해유 재생 시스템의 연속 투입장치
KR20130139002A (ko)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9B1 (ko)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복층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1113110B1 (ko) 탠덤 고온가스 발생기가 구비된 디스크 이동식 튜브 반응기
KR20090030960A (ko)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21344B1 (ko) 폐 합성수지정제기의 정제유 응축장치
KR200342394Y1 (ko) 폐기물의 열분해시스템
KR800001352B1 (ko) 활성탄 재생장치
JP2005331218A (ja) 炭化水素系廃棄物固形体油化分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