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656B1 -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656B1
KR100956656B1 KR1020080027437A KR20080027437A KR100956656B1 KR 100956656 B1 KR100956656 B1 KR 100956656B1 KR 1020080027437 A KR1020080027437 A KR 1020080027437A KR 20080027437 A KR20080027437 A KR 20080027437A KR 100956656 B1 KR100956656 B1 KR 10095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on
combustion heat
regeneration furnace
furnace
was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161A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피이알이엔티
김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이알이엔티, 김현재 filed Critical (주)피이알이엔티
Priority to KR102008002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65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원료를 이용한 열분해유를 얻기 위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을 통해 유입된 폐원료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로터를 통해 그 좌우로만 흩어지기 때문에 전후로 균등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정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재생로의 상부측에 좌우를 관통하는 형태로 재생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등 간격에 설치되어 폐원료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폐원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분산시키기 위한 횡방향 로터; 횡방향 로터의 하부에 재생로의 전후를 관통하는 형태로 연소열을 재생로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연소열 순환관; 및 연소열 순환관의 하부에 재생로의 전후를 관통하는 형태로 회전을 통해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잔해물 배출수단으로 밀어내기 위한 이송 스크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재생로 내부로 공급된 폐원료는 전후 분산되는 가운데 전방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면서 열분해가 추출되어진다.
Figure R1020080027437
열분해장치, 무촉매, 열분해유, 재생장치, 회수장치

Description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Playback device with the structure of the rotor horizontal direction waste plasrics pyrolysis oil}
본 발명은 폐원료를 이용한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재생로의 측면을 통해 폐원료를 공급하면서 로터에 의해 분산되는 상태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가운데 전후 균등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아울러 그 수요가 증가하면서 많은 량의 폐기물(폐원료)이 배출되고 있는데, 이들 폐원료는 환경과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파괴하는 주요 원인으로써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나 각 단체에서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폐기물을 수거하여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것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수거된 폐기물을 소각시키는 경우에는 다이옥신과 같은 많은 량의 유해물질이 대기중으로 배출되면서 또 다른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매립의 경우에는 썩지 않는 플라스틱의 성질로 인하여 지반의 불안정화를 초래하는 것은 물 론 침출수의 발생으로 인한 지하수원의 오염 및 절대적인 매립지의 부족으로 인한 지역간의 갈등이 큰 이슈로 부상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폐기물의 소각 및 매립하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폐원료의 열분해를 통해 열분해유를 회수함과 동시에 폐원료의 완전 소각을 실현할 수 있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과 환경의 보존 측면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폐원료 열분해에 대한 기술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거된 폐기물(폐원료)을 밀폐된 재생로 내부로 투입시킨 후, 무산소 또는 저산소 분위기 하에서 재생로 외부로부터 고온의 열을 가하여 투입된 폐원료를 열분해하게 된다. 이때, 탄소쇄((-CH2-CHX-)로 표시됨)가 긴 고분자 화합물을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열분해시켜 각종 유기화합물로 저분자화 하는데, 저분자 생성물은 탄소쇄의 길이 또는 화합물의 형태에 따라 가스로 되거나 액체로 된다. 즉, 이러한 물질은 석유계 화합물과 거의 같은 성상을 유지하여 연소에 필요한 연료로서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다시 말해서, 폐원료는 탄소쇄를 가진 유기성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고분자 화학 물질로써 첫째, 조건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열을 가하면 쉽게 분해 된다는 것과 둘째, 유독물질이 발생하더라도 순수한 형태로 발생되거나 공기비가 매우 낮아 상대적으로 처리가 용이하다는 것 및 셋째, 고분자 폐원료을 원래의 저분자 물질로 환원시켜 단량체 등 고가의 원료 물질을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가스나 오일을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폐원료를 열분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크게 양측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고 후단의 연소열 배출구로 배출되는 재생실,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 재생로 상단을 따라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 재생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해물 배출수단 및 열분해가스 배출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폐원료 공급수단은 통상 열분해가스 배출관의 일측을 통해 재생로의 전후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이와 같이 공급되는 폐원료를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로터가 재생로의 전후를 관통하여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로터의 하부측에는 재생실의 연소열을 재생로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연소열 순환관이 재생로의 전후를 관통하여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을 통해 유입된 폐원료가 그 좌우로만 흩어지기 때문에 전후로 균등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정체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구나, 이와 같이 공급된 폐원료가 부분적으로 정체되는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균등한 열분해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서와 같이 열분해가스 배출관을 통해 폐원료가 공급되는 구조에서는 폐원료를 공급시 열분해 가스의 배출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종래의 기술에서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을 통해 유입된 폐원료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로터를 통해 그 좌우로만 흩어지기 때문에 전후로 균등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정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으로는 종래의 기술에서 종방향으로 설치된 로터를 통해 분산된 폐원료가 부분적으로 정체되는 경우 재생로 내부에서 전반적으로 균등한 열분해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려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다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기술에서 열분해가스 배출관을 통해 폐원료를 공급시 응축기로 이동하는 열분해 가스의 순환을 방해하여 열분해유의 추출에 공백을 갖도록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양측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고 후단의 연소열 배출구로 배출되는 재생실,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 재생로 상단을 따라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 재생로 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해물 배출수단 및 열분해가스 배출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로의 상부측에 좌우를 관통하는 형태로 재생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등 간격에 설치되어 폐원료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폐원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분산시키기 위한 횡방향 로터; 횡방향 로터의 하부에 재생로의 전후를 관통하는 형태로 연소열을 재생로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연소열 순환관; 및 연소열 순환관의 하부에 재생로의 전후를 관통하는 형태로 회전을 통해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잔해물 배출수단으로 밀어내기 위한 이송 스크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횡방향 로터는 상부 횡방향 로터와 하부 횡방향 로터로 구성되어지되 상부 횡방향 로터와 하부 횡방향 로터는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횡방향 로터는 재생로를 관통하여 그 외부를 커버하는 재생실에 회전축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지고, 재생실의 일측 외부로 노출된 각 횡방향 로터의 끝단에는 스프로켓을 결합하여 체인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지며, 체인은 재생실 외부에 설치된 모터와 연결되도록 하여 모터의 동력에 의해 각 횡방향 로터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연소열 순환관은 상부 연소열 순환관과 하부 연소열 순환관으로 구성되어지되 상부 연소열 순환관은 하부 횡방향 로터의 상부측에 설치되고 하부 연소열 순환관은 하부 횡방향 로터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한편, 재생로의 전방에는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재생로의 전단 으로 안내하면서 일부는 각 상부 연소열 순환관과 하부 연소열 순환관과의 연결을 통해 재생로 내부로 순환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재생실과 연통된 내부 연소열 배출구를 통해 재생실 내부로 순환되도록 하는 연소열 유도관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폐원료 공급수단은 폐원료를 재생로의 측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재생로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통 형성된 수평관; 수평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호퍼로부터 폐원료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수직관; 수평관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되어 수직관으로부터 유입된 폐원료를 재생로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지되 그 상단에는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진 작동시 수직관으로부터 폐원료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열분해가스의 손실이 차단되도록 하는 유입 방지판이 형성된 푸셔; 및 수직관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면서 호퍼로부터 폐원료의 유입을 제어하고 열분해가스의 손실이 차단되도록 하는 유입 제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재생로는 상부면이 재생실의 상부면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지되 하부면이 재생실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연소열이 순환되도록 형성된 가마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횡방향으로 전후 등 간격에 설치된 로터에 의해 재생로 내부로 공급된 폐원료가 전후로 분산되면서 전방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림으로써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의 공급이 원활하고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매우 유 용한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재생로 내부로 공급되는 폐원료의 원활하고 균등한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써 재생로 내부 전체에서 전반적으로 균등한 열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다른 기술은 폐원료의 공급과 열분해가스의 배출이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응축기로 이동하는 열분해 가스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절결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단면 도, 도 9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작용도이다.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양측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고 후단의 연소열 배출구로 배출되는 재생실(100),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200), 재생로 상단을 따라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300), 재생로(200)의 상부 측방향으로 통해 폐원료를 공급하는 폐원료 공급수단(400), 재생로(2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는 잔해물 배출수단(500), 열분해가스 배출관(300)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600), 재생로(20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전후 등 간격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폐원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운데 분산시키는 횡방향 로터(700), 재생로(200)의 전후를 관통하여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열을 순환시키는 연소열 순환관(800) 및 재생로(20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잔해물 배출수단(500)으로 밀어내는 이송 스크류(900)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재생실(100)은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전단에 근접한 양측에 연소열 투입구(120)가 형성되고, 후단의 상부측에는 연소열 배출구(140)가 형성된다. 이때, 재생실(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강판 내부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160)가 충진되고, 재생실(100)은 전단이 후단보다 낮은 기울기로 설치한 상태에서 그 전단에는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재생로(200)는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실(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 원통형과 가마솥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원통형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가 대칭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 형태의 연소열 가이드(220)에 의해 재생실(100) 내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가마솥형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실(100)에 설치된 재생로(200)의 내부에 단면이 마치 가마솥 형태를 이루는 내부 재생로(210)가 더 설치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마솥 형태의 내부 재생로(210)의 상부면은 재생로(200)의 상부면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한편 내부 재생로(210)의 하부면은 재생로(210)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된 구조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열분해가스 배출관(300)은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로(200)의 상단을 따라 등 간격에 연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재생실(10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폐원료 공급수단(40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로(200)의 측방향을 통해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폐원료 공급수단(400)은 통상 재생실(100)의 상부측을 관통하여 재생로(200)의 상부측에 설치하여 폐원료를 공급할 수도 있겠으나, 재생실(1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관통하여 재생로(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피스톤(420)의 작동을 통해 폐원료가 후술하는 횡방향 로터(700)의 상부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각 폐원료는 압축하여 육면체의 블록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폐원료 공급수단(400)은 전후로 2개 이상 구성하여 폐원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폐원료 공급수단(400)의 구체 적인 실시 예를 살펴보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원료를 재생로(200)의 측방향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재생로(20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통 형성된 수평관(420), 수평관(420)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호퍼로부터 폐원료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수직관(440), 수평관(420)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하여 수직관(440)으로부터 유입된 폐원료를 재생로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면서 그 상단에는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진 작동시 수직관(440)으로부터 폐원료의 유입을 차단하는 가운데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는 유입 방지판이 형성된 푸셔(460) 및 수직관(44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면서 호퍼로부터 폐원료의 유입을 제어하고 열분해가스의 손실을 차단하는 유입 제어판(48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잔해물 배출수단(500)은 재생로(2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잔해물 배출수단(500)은 재생로(200)의 전단 측 하부면의 일지점으로부터 연통되어 재생실(100)의 하부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잔해물 배출수단(500)의 내부에는 내면과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배출 스크류(520)를 설치함으로써 밀폐된 다수개의 공간을 통해 잔해물이 서서히 배출되도록 하여 외부 공기와 접촉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응축기(600)는 등 간격의 열분해가스 배출관(300)에 각각 연결되어 열분해유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이러한 응축기(600)는 그 외면에 냉각수가 흐르도록 순환관을 설치함으로써 열분해가스 배출 관(300)으로 배출되는 기체상태의 열분해가스를 액체상태로 물성을 변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횡방향 로터(700)는 재생로(200)의 상부측에 좌우를 관통하는 형태로 재생로(2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등 간격에 설치되어 폐원료 공급수단(400)을 통해 공급되는 폐원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운데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재생실(100)과 재생로(200)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공급된 폐원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운데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횡방향 로터(700)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횡방향 로터(700)를 상부 횡방향 로터(700a)와 하부 횡방향 로터(700b)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부 횡방향 로터(700a)와 하부 횡방향 로터(700b)는 일정 높이 차이를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구성된 횡방향 로터(700)는 재생로(200)를 관통하여 그 외부를 커버하는 재생실(100)에 회전축이 지지되도록 하고, 재생실(100)의 일측 외부로 노출된 각 횡방향 로터(700)의 끝단에는 스프로켓(720)을 결합하여 체인(740)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체인(740)은 재생실(100) 외부에 설치된 모터(760)와 연결되도록 하여 모터(760)의 동력에 의해 각 횡방향 로터(700)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소열 순환관(800)은 횡방향 로터(700)의 하부측에 넓게 확보된 재생로(200)의 상부 공간을 전후로 관통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소열 순환관(800)은 좌우로 다수 개가 등 간격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은 연소열 순환관(800)은 최초 재생실(100)로 유입되는 뜨거운 연소열을 재생로(200)의 상부 공간 으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재생로(200) 상부에서 폐원료에 대한 활발한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다수의 연소열 순환관(800)은 그 상부측에 쌓인 폐원료를 직접 열분해 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연소열 순환관(800)은 상부 연소열 순환관(800a)과 하부 연소열 순환관(800b)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부 연소열 순환관(800a)은 하부 횡방향 로터(700b)의 상부측에 설치되고, 하부 연소열 순환관(800b)은 하부 횡방향 로터(700b)의 하부측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부 연소열 순환관(800b)은 상부 연소열 순환관(800a)의 하부측에 좁은 재생로(200)의 하부 공간을 전후로 관통하는 것으로, 횡 방향으로 다수 개가 등 간격으로 구성됨으로써 상부 연소열 순환관(800a)을 통과하여 쌓인 폐원료를 열분해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연소열 순환관(800)의 구성에서 재생로(200)의 전방에는 연소열 투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재생로(200)의 전단으로 안내하면서 일부는 각 상부 연소열 순환관(800a)과 하부 연소열 순환관(800b)과의 연결을 통해 재생로(200) 내부로 순환시키는 한편, 나머지는 재생실(100)과 연통된 내부 연소열 배출구(182)를 통해 재생실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소열 유도관(180)을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소열 유도관(180)은 후방 양측에 재생실(100)과 재생로(200)의 이격된 공간으로 연소열의 일부를 배출하기 위한 연소열 배출구(182)를 관통하고, 연소열 배출구(182) 사이에는 각 하부 연소열 순환관(800b)으로 연결되는 하부 연결관(820b)을 각각 형성하며, 연소열 유도관(180)의 상부에는 각 상부 연소열 순환관(800a)으로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820a)을 각각 형성한다. 이때, 상부 연소열 순환관(800a)으로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820a)은 사선으로 형성하거나 둥근 곡선으로 형성하거나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하부 연소열 순환관(800b)으로 연결되는 하부 연결관(820b)과 연소열 유도관(180) 사이에도 높이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상부 연결관과 같이 사선이나 곡선 또는 직각 형태로 연결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송 스크류(900)는 재생로(20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잔해물 배출수단(500)으로 밀어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이송 스크류(900)의 전후 끝단은 재생로(200)를 관통하여 재생실(100)의 전단과 후단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횡방향으로 전후 등 간격에 설치된 횡방향 로터(700)에 의해 재생로(200) 내부로 공급된 폐원료가 전후로 분산되는 가운데 전방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림으로써 재생로(200) 내부로 폐원료의 공급이 원활하고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재생로(200) 내부 전체에서 전반적으로 균등한 열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폐원료의 공급과 열분해가스의 배출이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응축기(600)로 이동하는 열분해 가스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 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절결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의 작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재생실 120. 연소열 투입구
140. 연소열 배출구 160. 단열재
180. 연소열 유도관 182. 내부 연소열 배출구
200. 재생로 220. 연소열 가이드
300. 열분해가스 배출관
400. 폐원료 공급수단 420. 수평관
440. 수직관 460. 푸셔
480. 제어판
500. 잔해물 배출수단 520. 배출 스크류
600. 응축기
700. 횡방향 로터 720. 스프로킷
740. 체인 760. 모터
800a, 800b. 상/하부 연소열 순환관
900. 이송 스크류

Claims (6)

  1. 연소열 유입구가 마련된 전방의 한쪽 끝은 연소열 배출구가 마련된 후방의 다른 한쪽 끝에 비하여 낮도록 전방과 후방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원통 형태의 재생실,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 상기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버너로부터 유입되는 연소열이 재생실 내부로 유도되게 재생실의 전방 측에 설치되는 연소열 유도관, 상기 재생로 내부에서 생성된 열분해 가스의 배출을 위해 상기 재생로와 재생실의 상단을 따라 설치된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재생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을 통해 투입되는 폐원료가 재생로 내에 흩뿌려지게 하는 로터, 상기 재생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해물 배출수단 및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투입된 폐원료를 간접열로 가열함으로써 열분해를 통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열분해시 발생하는 열분해 가스가 응축되어 열분해유가 추출되도록 하기 위한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로의 외주와 상기 재생실의 내주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기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소열의 일부가 상기 연소열 배출구를 향해 흐르도록 상기 재생로는 재생실의 내부에 스크류 형태의 연소열 가이드를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재생로의 연소열 가이드를 매개로 재생로의 외주와 재생실의 내주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 상기 연소열 유도관을 통과하는 연소열의 일부가 흐르도록 상기 연소열 유도관의 후방 양쪽에는 내부 연소열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로터는 재생로의 상부측에 좌우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재생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등 간격의 다수로 설치되는 횡방향 로터로 이루어져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된 폐원료가 분산되게 하는 가운데 재생로의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횡방향 로터는 일정 높이 차이를 두고 상부 횡방향 로터와 하부 횡방향 로터로 구성되며,
    상기 재생로 내부에는 상기 연소열 유도관을 통해 유도된 연소열이 연소열 배출구를 향해 흐르도록 하는 상부 연소열 순환관과 하부 연소열 순환관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관 설치되되 상기 상부 연소열 순환관은 상부 횡방향 로터의 하측에 위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 연소열 순환관은 하부 횡방향 로터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연소열 유도관을 통과하는 연소열 중 일부의 연소열은 상기 재생로 내부에 배관 설치된 상부 연소열 순환관 및 하부 연소열 순환관을 통해 연소열 배출구 쪽으로 흐르도록 상기 연소열 유도관과 재생로의 한쪽 측벽 사이에는 상부 연결관 및 하부 연결관이 배열 설치되며,
    상기 재생로의 하부에는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이 회전을 통해 잔해물 배출수단을 향해 밀어내지도록 하는 이송 스크류가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로의 내부에는 상부면이 상기 재생로의 상부면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하부면이 상기 재생로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연소열이 순환되도록 형성된 가마솥 형태의 내부 재생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횡방향 로터는 재생로를 관통하여 그 외부를 커버하는 재생실에 회전축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재생실의 일측 외부로 노출된 각 횡방향 로터의 끝단에는 스프로켓을 결합하여 체인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체인은 상기 재생실 외부에 설치된 모터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각 횡방향 로터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27437A 2008-03-25 2008-03-25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37A KR100956656B1 (ko) 2008-03-25 2008-03-25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37A KR100956656B1 (ko) 2008-03-25 2008-03-25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61A KR20090102161A (ko) 2009-09-30
KR100956656B1 true KR100956656B1 (ko) 2010-05-11

Family

ID=4135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437A KR100956656B1 (ko) 2008-03-25 2008-03-25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390B1 (ko) 2008-12-18 2010-08-30 (주)피이알이엔티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
KR101525910B1 (ko) * 2012-06-12 2015-06-10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1489382B1 (ko) * 2012-06-12 2015-02-06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잔해물 배출수단 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1424631B1 (ko) * 2012-06-12 2014-08-04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차단벽을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561A (ja) * 1998-02-23 1999-08-31 Takes:Kk 連続式油化装置
KR20070053193A (ko) * 2007-05-03 2007-05-23 김영호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561A (ja) * 1998-02-23 1999-08-31 Takes:Kk 連続式油化装置
KR20070053193A (ko) * 2007-05-03 2007-05-23 김영호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61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680B1 (ko)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US7906695B2 (en) Biomass conversion by combustion
KR100956656B1 (ko)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WO2003008861A1 (en) Pyrolysis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waste
KR100809733B1 (ko)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1387011B1 (ko) 회전식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KR100812121B1 (ko) 폐기물의 소각열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시스템
KR100462923B1 (ko) 터널식 폐합성수지 무촉매 열분해유 재생 시스템의 연속 투입장치
KR100956655B1 (ko) 가마솥형 재생로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1200478B1 (ko) 건슬러지 탄화처리장치
KR20080101522A (ko)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
KR20110054096A (ko) 열기류순환 감압건조 방법 및 장치
KR20060064141A (ko) 열분해법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
KR20130116634A (ko) 방사성 폐기물 탄화장치
KR100956658B1 (ko)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789703B1 (ko) 유기성 폐기물 탄화장치
KR100777812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터널식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7B1 (ko)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823523B1 (ko) 음식물 쓰레기 탄화처리 장치
KR100874745B1 (ko) 간접열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다단식 탄화장치
CA2522384C (en) Biomass conversion by combustion
KR200199740Y1 (ko) 슬러지와 폐기물 소각처리장치
KR20010103331A (ko) 슬러지와 폐기물 소각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956659B1 (ko)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복층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CN102010114A (zh) 以废治废低成本干燥污泥的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