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657B1 -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657B1
KR100956657B1 KR1020080027438A KR20080027438A KR100956657B1 KR 100956657 B1 KR100956657 B1 KR 100956657B1 KR 1020080027438 A KR1020080027438 A KR 1020080027438A KR 20080027438 A KR20080027438 A KR 20080027438A KR 100956657 B1 KR100956657 B1 KR 100956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on
combustion heat
furnace
regeneration furnace
was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162A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피이알이엔티
김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이알이엔티, 김현재 filed Critical (주)피이알이엔티
Priority to KR102008002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65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폐원료를 간접열로 가열함으로서 열분해를 통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열분해시 발생되는 열분해 가스를 응축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기 위한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동일한 함체 형상의 재생실;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도록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동일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 재생로; 상기 재생로의 상단으로부터 전후 등 간격으로 연통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재생로의 일측으로부터 전후 등 간격으로 연통 형성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재생로의 전후단 하측으로부터 연통 형성된 잔해물 배출수단;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에 각각 결합 형성된 응축기; 상기 재생로의 상측에 좌우를 관통하는 형태로 횡방향 로터; 상기 횡방향 로터의 하측에 형성된 연소열 순환관; 상기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상기 연소열 순환관과 상기 재생실 내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연소열 유도관; 상기 각 연소열 순환관을 연통하여 순환된 연소열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연소열 배출관; 및 상기 재생로 내부의 하측에 전후 대칭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스크루; 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구성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높이가 낮아지면서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수 있는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Horizontality type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using waste material}
본 발명은 폐원료를 이용하여 열분해유를 얻기 위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재생실과 재생로를 수평으로 설치하면서 그 주변 구조물인 열분해가스 배출관, 폐원료 공급수단 및 응축기를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높이가 낮아지면서 더욱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아울러 그 수요가 증가하면서 많은 량의 폐원료가 배출되고 있는데, 이들은 환경과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파괴하는 주요 원인으로서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정부나 각 단체에서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폐기물(폐원료)을 수거하여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것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소각의 경우에는 다이옥신과 같은 많은 량의 유해물질이 대기중으로 배출되면서 또 다른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매립의 경우에는 썩지 않는 플라스틱의 성질로 인하여 지반의 불안정화를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절대적인 매립지의 부족으로 인한 지역간의 갈등이 큰 이슈로 부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폐원료의 열분해를 통해 열분해유를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폐원료의 완전 소각을 실현할 수 있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자원의 재활용과 환경의 보존 측면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의 폐원료 열분해에 대한 간략한 배경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거된 폐원료를 밀폐된 재생로 내부로 투입시킨 후 무산소 또는 저산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재생로 외부로부터 고온의 열을 가하여 투입된 폐원료를 열분해하게 된다. 이때, 탄소쇄가 긴 고분자 화합물을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열분해시켜 각종 유기 화합물로 저분자화 하는데, 상기 저분자 생성물은 탄소쇄의 길이 또는 화합물의 형태에 따라 가스로 되거나 액체로 된다. 즉, 이러한 물질은 석유계 화합물과 거의 같은 성상을 유지하여 연소에 필요한 연료로서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즉, 상기 폐원료는 탄소쇄를 가진 유기성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고분자 화학 물질로서 첫째, 조건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열을 가하면 쉽게 분해 된다는 것과 둘째, 유독물질이 발생하더라도 순수한 형태로 발생되거나 공기비가 매우 낮아 상대적으로 처리가 용이하다는 것과 셋째, 고분자 폐원료을 원래의 저분자 물질로 환원시켜 단량체 등 고가의 원료 물질을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 가스나 오일을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폐원료를 열분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크게, 양측 연소열 투입구로부터 연소열이 유입되고 후단의 연소열 배출구로 배출되는 재생실,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 상기 재생로 상단을 따라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재생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해물 배출수단 및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종래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폐원료를 공급 후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면서 열분해와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전방으로 투입된 연소열의 상승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재생실과 재생로를 전방이 낮고 후방이 높은 기울기로 설치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재생실과 재생로의 기울기로 인하여 그 주변에 설치되는 폐원료 공급수단, 열분해가스 배출관 및 응축기의 전후 설치 높이가 각각 달라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재생실과 재생로의 후방을 들어올리기 때문에 후방의 높이가 상당히 높게 설치되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그 기울기를 따라 각 폐원료 공급수단, 열분해가스 배출관 및 응축기를 각각 다른 높이로 설계하고 설치해야하는 여러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욱이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설치 높이가 높아지면서 전체적으로 구조가 매우 불안정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종래 재생실과 재생로를 기울게 설치하면서 그 주변의 폐원료 공급수단, 열분해가스 배출관 및 응축기 또한 각각 설치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후방의 설치 높이가 높아지면서 구조가 불안정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투입된 폐원료를 간접열로 가열함으로서 열분해를 통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열분해시 발생되는 열분해 가스를 응축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기 위한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있어서,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동일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전후단 측부에 연소열 투입구가 형성되고, 중앙 측부에 열소열 배출구가 형성된 재생실; 상기 재생실 내부의 전후 연소열 투입구 사이에 설치되도록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동일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바닥은 중간 지점을 높게 하면서 그로부터 전후단이 낮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재생로; 상기 재생로의 상단으로부터 전후 등 간격으로 연통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재생실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재생로의 일측으로부터 전후 등 간격으로 연통된 상태로 상기 재생실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폐원료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재생로의 전후단 하측으로부터 연통된 상태로 상기 재생실의 하측에 설치되어 폐원료 잔여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원통형 배출관의 내부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 는 이송 스크루를 축 설치하여 형성된 잔해물 배출수단; 상기 전후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열분해가스 배출관에 각각 결합되어 열분해가스를 냉각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형성된 응축기; 상기 재생로의 상측에 좌우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재생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등 간격에 설치되어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폐원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분산시키도록 형성된 횡방향 로터; 상기 횡방향 로터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재생로 바닥의 기울기를 따라 재생로 내부를 전후 관통하는 상태로 횡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 형성된 연소열 순환관; 상기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최초 상기 재생로의 전후단으로 안내하여 일부는 상기 연소열 순환관으로 순환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상기 재생실 내부로 배출시켜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연소열 유도관; 상기 재생로 내부의 중간에 설치된 상태로 그 전후 측면을 통해 각 연소열 순환관이 연통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그 상단 중앙을 통해 상기 재생로와 재생실을 관통하여 상기 순환된 연소열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연소열 배출관; 및 상기 재생로 내부의 하측에 전후 대칭되도록 축 설치된 상태로 회전을 통해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전후단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스크루;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소열 순환관과 스크루 사이에는 하부 횡방향 로터를 설치하되, 상기 횡방향 로터와 하부 횡방향 로터는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되도록 설치하는 한편, 상기 각 횡방향 로터와 하부 횡방향 로터는 재생로를 관통하여 그 외부를 커버하고 있는 재생실에 회전축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재생실의 일측 외부로 노출된 각 횡방향 로터와 하부 횡방향 로터의 끝단에는 스프로켓을 결합하여 체인 으로 연결하고, 상기 체인은 상기 재생실 외부에 설치된 모터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각 횡방향 로터와 하부 횡방향 로터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재생로의 바닥은 가마솥 형태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의 전후 하부에는 가마솥 형태의 바닥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재생실의 전후 일측으로 부터 연소열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연소열 투입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의하면 재생실과 재생로를 수평상태로 설치하면서 그 주변의 폐원료 공급수단, 열분해가스 배출관 및 응축기를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 높이가 낮아지면서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동일한 함체 형상의 재생실(100),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도록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동일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 재생로(200), 상기 재생로의 상단으로부터 전후 등 간격으로 연통 형성된 열분해가스 배출관(300) 상기 재생로의 일측으로부터 전후 등 간격으로 연통 형성된 폐원료 공급수단(400), 상기 재생로의 전후단 하측으로부터 연통 형성된 잔해물 배출수단(500)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에 각각 결합 형성된 응축기(600), 상기 재생로의 상측에 좌우를 관통하는 형태로 횡방향 로터(700), 상기 횡방향 로터의 하측에 형성된 연소열 순환관(800), 상기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상기 연소열 순환관과 상기 재생실 내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연소열 유도관(820), 상기 각 연소열 순환관을 연통하여 순환된 연소열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연소열 배출관(840) 및 상기 재생로 내부의 하측에 전후 대칭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스크루(900);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재생실(100)은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동일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전후단 측부에 연소열 투입구(120)가 형성되고, 중앙 측부에 열소열 배출구(1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재생실(100)의 하부 양측에는 후술하는 재생로(200)에 대하여 그 전후단의 바닥 하부로 연소열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연소열 투입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재생로(200)는 상기 재생실(100) 내부의 전후 연소열 투입구(120) 사이에 설치되도록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동일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바닥은 중간 지점을 높게 하면서 그로부터 전후단이 낮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재생로(200)는 중앙을 기점으로 그 전후방향으로 폐원료가 흘러내리면서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재생로(200)의 중앙은 격벽(210)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로(200)의 바닥은 가마솥 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재생로(200)의 바닥을 가마솥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연소열 투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스크루(900)를 이용한 잔해물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300)은 상기 재생로(200)의 상단으로부터 전후 등 간격으로 연통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재생실(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각 열분해가스 배출관(300)은 수평 상태의 재생실(100)과 재생로(200)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후 높이가 동일하게 된다.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400)은 상기 재생로(200)의 일측으로부터 전후 등 간격으로 연통된 상태로 상기 재생실(10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폐원료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4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폐원료를 재생로의 측방향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재생로(20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통 형성된 수평관, 상기 수평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호퍼로부터 폐원료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수직관, 상기 수평관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하여 수직관으로부터 유입된 폐원료를 재생로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푸셔(미도시) 및 상기 수직관 상단의 호퍼로 폐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이송 컨베이어(미도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각 폐원료 공급수단(400)은 수평 상태의 재생실(100)과 재생로(200)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후 높이가 동일하게 된다.
상기 잔해물 배출수단(500)은 상기 재생로(200)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재생로(200)의 전후단 측 하부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연통하여 상기 재생실(100)의 하측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잔해물 배출수단(500)의 내부에는 내면과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스크루를 설치함으로써, 밀폐된 다수개의 공간을 통해 잔해물이 서서히 배출되도록 하여 외부 공기와 접촉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잔해물 배출수단(500)은 재생실(100) 및 재생로(200)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후 높이가 같은 수평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응축기(600)는 상기 전후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열분해가스 배출관(300)에 각각 결합되어 열분해가스를 냉각시켜 열분해유를 추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응축기(600)는 그 외면에 냉각수가 흐르도록 순환관을 설치함으로써 열분해가스 배출관(300)으로 배출되는 기체상태의 열분해가스를 액체상태로 물성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응축기 역시 설치 높이가 전후 동일하게 된다.
상기 횡방향 로터(700) 상기 재생로(200)의 상측에 좌우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재생로(2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등 간격에 설치되어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400)을 통해 공급되는 폐원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분산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횡방향 로터(700)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후술하는 연소열 순환관(800)의 하부에 하부 횡방향 로터(7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횡방향 로터(700)와 하부 횡방향 로터(700')는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횡방향 로터(700)와 하부 횡방향 로터(700')는 재생로(200)를 관통하여 그 외부를 커버하고 있는 재생실(100)에 회전축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재생실(100)의 일측 외부로 노출된 각 횡방향 로터(700)와 하부 횡방향 로터(700')의 끝단에는 스프로켓(720)을 결합하여 체인(740)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체인(740)은 상기 재생실(100) 외부에 설치된 모터(760)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모터(760)의 동력에 의해 각 횡방향 로터(700) 및 하부 횡방향 로터(700')가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 연소열 순환관(800)은 상기 횡방향 로터(7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재생로(200) 바닥의 기울기를 따라 재생로(200) 내부를 전후 관통하는 상태로 횡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소열 순환관(800)은 최초 재생실(100)로 유입되는 뜨거운 연소열을 재생로(200)의 상부 공간으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재생로(200) 상부에서 폐원료에 대한 활발한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연소열 순환관(800)은 그 상측에 쌓인 폐원료를 직접 열분해 시킬 수도 있다.
상기 연소열 유도관(820)은 상기 연소열 투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최초 상기 재생로(200)의 전후단으로 안내하여 일부는 상기 연소열 순환관(800)으로 순환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상기 재생실(100) 내부로 배출시켜 순환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열 유도관(820)은 후방 양측에는 상기 재생실(100)과 재생로(200)의 이격된 공간으로 연소열의 일부가 통과되게 하기 위한 연소열 통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연소열 유도관(820) 상에는 상기 각 연소열 순환관(800)으로 연결되는 연결관이 형성된다.
상기 연소열 배출관(840)은 상기 재생로(200) 내부의 중간에 설치된 상태로 그 전후 측면을 통해 각 연소열 순환관(800)이 연통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그 상단 중앙을 통해 상기 재생로(200)와 재생실(100)을 관통하여 상기 순환된 연소열을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소열 배출관(840)은 재생실(100)의 연소열 배출구(140)와는 달리 전후 연소열 순환관(800)을 통해서 배출되는 연소열만을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연소열 배출관(840)과 연소열 배출구(140)는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루(900)는 상기 재생로(200) 내부의 하측에 전후 대칭되도록 축 설치된 상태로 회전을 통해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을 전후단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스크루(900)는 재생로의 바닥 전후에 설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서 이를 위해 상기 재생로(200)의 중간 지점에는 상기 전후 스크루(900)의 후단을 축 결합하여 지지하기 위한 축 블록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재생실(100)과 재생로(200)를 수평상태로 설치하면서 그 주변의 폐원료 공급수단(400), 열분해가스 배출관(300) 및 응축기(600)를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 높이가 낮아지면서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 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재생실 120: 연소열 투입구
120': 보조 연소열 투입구 140: 연소열 배출구
200: 재생로
300: 열분해가스 배출관
400: 폐원료 공급수단
500: 잔해물 배출수단
600: 응축기
700: 횡방향 로터 700': 하부 횡방향 로터
720: 스프로켓 740: 체인
760: 모터
800: 연소열 순환관 820: 연소열 유도관
840: 연소열 배출관
900: 스크루

Claims (3)

  1. 연소열 투입구와 연소열 배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재생실, 상기 재생실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폐원료가 열분해되는 재생로, 상기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버너로부터 유입되는 연소열이 재생실 내부로 유도되게 재생실의 전방 및 후방 측에 설치되는 연소열 유도관, 상기 재생로 내부에서 생성된 열분해 가스의 배출을 위해 상기 재생로와 재생실의 상단을 따라 설치되는 열분해가스 배출관, 상기 재생로 내부로 폐원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원료 공급수단, 상기 재생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원료 공급수단을 통해 투입되는 폐원료가 재생로 내에서 분산되게 하는 로터, 상기 재생로의 전후 측에 설치되어 연소된 잔해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해물 배출수단 및 상기 열분해가스 배출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열분해 가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져 투입된 폐원료를 간접열로 가열함으로써 열분해를 통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열분해시 발생하는 열분해 가스가 응축되어 열분해유가 추출되도록 하기 위한 열분해유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실은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동일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단 측부에 연소열 투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전후의 연소열 투입구 사이의 하부 측에는 연소열 배출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재생로는 전단과 후단이 상기 재생실 내부의 전후 연소열 투입구 사이에 위치되는 한편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같은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바닥의 종단면 구조는 전방 지점과 후방 지점에 비하여 중간 지점이 높게 형성되는 한편 바닥의 횡단면 구조는 양쪽 측면 부분이 중간 부분에 비하여 높게 형성된 가마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의 중간 지점 상에는 내부의 하측 공간을 전방과 후방으로 구획되게 하는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바닥의 하부에는 상기 재생실의 전후 측에 형성된 연소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일부의 연소열이 통과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재생로의 바닥 하부로 유입된 연소열과 함께 상기 재생로의 바닥 하부가 가열되도록 하는 연소열이 유입되도록 상기 재생실의 하부 양측에는 보조 연소열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로터는 재생로의 상부 측에 좌우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재생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등 간격을 두고 다수로 설치되는 횡방향 로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횡방향 로터의 하측에는 상기 재생로의 바닥 기울기를 따라 하부 횡방향 로터가 설치되며,
    상기 횡방향 로터와 하부 횡방향 로터의 사이에는 상기 연소열 유도관을 통해 흐르는 연소열의 일부가 흘러 상기 재생로의 내부로 열기가 전달되도록 상기 재생로 바닥의 기울기를 따라 재생로 내부를 전후 관통하는 상태로 연소열 순환관이 다수개 배열 설치되며,
    상기 재생로 내부의 중간 구간에서 연소열 순환관이 연결이 되어 상기 연소열 순환관을 통과한 연소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연소열 배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재생로의 하부에는 열분해된 폐원료의 잔해물이 회전을 통해 잔해물 배출수단을 향해 밀어내지도록 하는 스크루가 상기 재생로의 바닥 기울기를 따라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횡방향 로터와 하부 횡방향 로터는 재생로를 관통하여 그 외부를 커버하고 있는 재생실에 회전축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재생실의 일측 외부로 노출된 각 횡방향 로터와 하부 횡방향 로터의 끝단에는 스프로켓을 결합하여 체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체인은 상기 재생실 외부에 설치된 모터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각 횡방향 로터와 하부 횡방향 로터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3. 삭제
KR1020080027438A 2008-03-25 2008-03-25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38A KR100956657B1 (ko) 2008-03-25 2008-03-25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38A KR100956657B1 (ko) 2008-03-25 2008-03-25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62A KR20090102162A (ko) 2009-09-30
KR100956657B1 true KR100956657B1 (ko) 2010-05-11

Family

ID=4135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438A KR100956657B1 (ko) 2008-03-25 2008-03-25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390B1 (ko) 2008-12-18 2010-08-30 (주)피이알이엔티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561A (ja) * 1998-02-23 1999-08-31 Takes:Kk 連続式油化装置
KR20070053193A (ko) * 2007-05-03 2007-05-23 김영호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561A (ja) * 1998-02-23 1999-08-31 Takes:Kk 連続式油化装置
KR20070053193A (ko) * 2007-05-03 2007-05-23 김영호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62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868B1 (ko) 유화장치용 열분해 장치
KR100848680B1 (ko)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JP2006274201A (ja) 連続減圧乾燥/炭化装置
CN106524169B (zh) 生活垃圾处理装置
CN1863606A (zh) 在球式炉中的有机废料的热解
KR100809733B1 (ko)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JP5176016B2 (ja) 過熱水蒸気連続再資源化処理装置
KR100956655B1 (ko) 가마솥형 재생로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6B1 (ko) 횡방향 로터 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7B1 (ko)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1200478B1 (ko) 건슬러지 탄화처리장치
KR101333499B1 (ko) 방사성 폐기물 탄화장치
CN105152503B (zh) 高效油泥处理系统
WO2019052453A1 (zh) 一种用于微波裂解废轮胎的保持腔内洁净运行的工艺
KR20080093485A (ko) 유기물 분리 처리장치
KR100956659B1 (ko) 수평 설치구조를 갖는 복층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956658B1 (ko) 열팽창 적응형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0777812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터널식 열분해유 재생장치
CN110652784B (zh) 一种生物炭制备系统
KR100962480B1 (ko) 유기폐기물 열분해 장치
CN209093043U (zh) 一种高温废气rto焚烧净化装置
KR20220079045A (ko) 촉매를 활용한 폐기물 열 분해 장치
JP3125195B2 (ja) 産業廃棄物乾留ガス連続発電装置
KR20130139002A (ko)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CN220609683U (zh) 废油泥炭化处理线的尾气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