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985B1 -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985B1
KR100696985B1 KR1020060051034A KR20060051034A KR100696985B1 KR 100696985 B1 KR100696985 B1 KR 100696985B1 KR 1020060051034 A KR1020060051034 A KR 1020060051034A KR 20060051034 A KR20060051034 A KR 20060051034A KR 100696985 B1 KR100696985 B1 KR 10069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procket wheel
horizontal
pip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060051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985B1/ko
Priority to PCT/KR2007/002696 priority patent/WO200714244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dry-heat treatment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28Other processes
    • C10B47/32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C10B47/40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endless convey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입구가 결합된 제1수평관과 배출구가 결합된 제2수평관의 양측에 각각 레프트 프레임과 라이트 프레임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레프트 프레임에 체인구동 스프라켓휘일이 결합된 구동모터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체인구동 스프라켓휘일에 체인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체인의 타측이 구동 스프라켓 휘일이 결합된 구동축의 체인종동 스프라켓 휘일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라이트 프레임에 종동스프라켓 휘일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구동스프라켓 휘일과 종동스프라켓 휘일 사이에 이송컨베이어가 상기 제1수평관과 제2수평관의 내부를 따라 순환되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제1수평관의 투입구와 대향되는 타측과 상기 제2수평관의 배출구와 대향되는 타측이 수직관으로 연결되어지고, 상기 제1수평관과 제2수평관에 각각 가스배출구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수평관과 제2수평관의 외부를 감싸는 가열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수평관, 스프라켓휘일, 이송컨베이어, 가스배출구, 히팅부

Description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The pyrolytic reactor apparatus of the waste tir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반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반응장치의 구성 중 연소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반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반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반응장치의 수평관과 이송컨베이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4b는 이송컨베이어를 분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5는 도3a의 A-A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반응장치 중 수평관의 내부로 설치된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열분해중인 폐타이어 또는 카본블랙이 이송블레이드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제1수평관 10':제2수평관
12:수직관 14,14':가스배출구
20:이송컨베이어 30:가열부
40:레프트 프레임 41:체인구동 스프라켓휘일
42:구동모터 43:체인
44:구동스프라켓 휘일 45:구동축
46:체인종동 스프라켓 휘일 50:라이트 프레임
51:종동스프라켓 휘일 111:투입구
111':배출구
본 발명은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쇄된 폐타이어칩이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수평관의 내부로 이송되어지는 과정에서 외부로 부터 작용하는 고온의 열에 의하여 열분해되어지고, 열분해되어진 폐타이어칩속에 포함된 금속와이어가 이송컨베이어와 수평관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이송컨베이어를 구성하는 이송블레이드가 수평관의 내부를 긁으면서 이송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의 코팅 성분이 관의 내벽면에 증착되는 코킹현상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분해란 폐기물의 가연성 부분을 무산소 상태하에서 열을 가하여 탄화시키는 것으로 고분자 유기물에 열을 가하면 분자구조가 파괴됨과 동시에 발생되는 열분해가스를 응축시켜 보다 간단한 저분자 물질로 전환된 부산물을 얻는 것으로 고체상태의 타르, 액체상의 오일 및 기체상의 가스 등이 있다.
기름과 카본을 회수하기 위한 열분해 반응장치를 이용하여 폐타이어, 폐고 무, 비닐, 플라스틱, 피혁 슬러지 등을 열분해 시키면 열분해될 때 발생된 가스는 흡기관을 따라 배출되어지고, 배출되어진 가스를 냉각 및 정제하여 오일을 얻게 된다.
이러한 열분해 반응장치는 통상 수평방향으로 지지된 지지관의 내부로 그 내부연부에 거의 맞닿는 스크류축이 삽입되어 있으며 스크류축의 양측단은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되어지도록 결합되어지고, 지지관의 양측은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밀봉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관의 양측단에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로 위치한 지지관의 외주연부에는 히팅룸이 결합되어 미도시한 가열기를 통하여 가열된 기체가 순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지관이 간접 가열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관의 투입구가 설치된 하측에는 지지프레임이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모터의 구동력이 변속기 및 클러치를 통해 스크류축이 회전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열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폐타이어, 폐고무, 비닐, 플라스틱, 피혁 슬러지 등을 열분해시키면 일정량의 오일을 얻을 수 있으나 지지관 및 그 내부에 삽입된 스크류축의 길이가 길음에 따라 히팅룸으로 부터 전달 또는 전도되어지는 열에 의하여 변형됨에 따라 지지관이나 스크류축이 휘어져 회전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한 스크류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국부적인 하중의 증가로 인하여 쉽게 파손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폐타이어가 열분해되는 과정에서 그 속에 포함된 철선 등이 스크류축을 따라 지지관의 내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류축과 지지관 사이에 끼이게 됨에 따라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스크류축이 용이하게 회전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크류축과 지지관 사이에 철선 등이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사이 간격을 크게 할 경우, 철선이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의 코팅 성분이 지지관의 내벽면에 증착됨에 따라 히팅룸을 통해 열이 가해지더라고 열손실로 인하여 열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분쇄된 폐타이어칩이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수평관의 내부로 이송되어지는 과정에서 외부로 부터 작용하는 고온의 열에 의하여 열분해되어지고, 열분해되어진 폐타이어칩속에 포함된 금속와이어가 이송컨베이어와 수평관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이송컨베이어를 구성하는 이송블레이드가 수평관의 내부를 긁으면서 이송되어지도록 하여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의 코팅 성분이 관의 내벽면에 증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구(111)와 가스배출구(14)가 결합된 제1수평관(10)과 배출구(111')와 가스배출구(14')가 결합된 제2수평관(10')이 수직관(12)으로 연결되어지며 상기 제1수평관(10)과 제2수평관(10')의 외부를 감싸는 가열부(40)가 결합되어 레프트 프레임(40)과 라이트 프레임(50) 사이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레프트 프레임(40)에 체인구동 스프라켓휘일(41)을 갖는 구동모터(42)가 설치되어지며 구동 스프라켓 휘일(44)이 결합된 구동축(45)의 체인종동 스프라켓 휘일(46)과 상기 체인구동 스프라켓휘일(41)에 체인(43)이 연결되고, 상기 라이트 프레임(50)에 결합된 종동스프라켓 휘일(51)과 상기 구동스프라켓 휘일(44) 사이에 이송컨베이어(20)가 상기 제1수평관(10)과 제2수평관(10')의 내부를 따라 순환되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장공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단위연결링(21)(21')이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위연결링(21)에 수평형태를 갖는 걸림축(23)이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걸림축(23) 사이에 이송블레이드(24)가 결합된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레이드(24)는 단위연결링(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지지편(241)(241')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지지편(241)에 제1관통홀(242)을 형성하고, 상기 제1관통홀(242)에 대향되는 제2관통홀(243)을 블레이드편(244)에 형성하여 상기 지지편(241)과 블레이드편(244)이 볼트(245)와 너트(246)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블레이드편(244)은 중앙이 좌우로 분리되어지며 타측이 볼록한 만곡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30)는 입구(311)와 출구(312)가 결합된 가열 프레임(31)에 단열층(313)(314)이 이중으로 설치되어지고, 상기 입구(311)에 연소부(32)가 연결되어지고, 상기 연소부(32)는 메인탱크(322)의 오일이 버너펌프(323)에 결합된 유수분리부(324)를 경유하여 연소공간을 갖는 제너레이터(325)에 설치된 버너(326)로 공급되어 연소되어지고, 상기 연소공간에서 연소된 열이 상기 가열프레임(31)의 입구(311)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구(14)(14')와 연결된 타측에는 압축기(326)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압축기(326)의 토출측에 가스공급부(33)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스공급부(33)는 가스필터(331)에 제1파이프(332)로 각각 레귤레이터(333) 및 압력계(334)가 연결되어지며 상기 압력계(334)에 가스압 스위치(335)와 누설압력 스위치(336) 및 버터플라이 밸브(337)가 제2파이프(338)로 연결되어지고, 상기 압력계(334)와 가스압 스위치(335) 사이에 제3파이프(339)의 일측단을 결합시키며 타측단이 버너(326)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는 분쇄된 폐타이어칩이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관의 내부로 이송되어지는 과정에서 외부에서 고온의 열을 가하여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중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관(10), 이송컨베이어(20), 히팅부(30), 레프트 프레임(40) 및 라이트 프레임(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수평관(10)은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그 양측단은 각각 레프트 프레임(40) 및 라이트 프레임(50)에 지지되어지며 일측에는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폐타이어칩이 공급기(70)를 통해 일정량씩 제1수평관(10)의 내부로 공급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평관(10)의 하부에는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2수평관(10')이 레프트 프레임(40)과 라이트 프레임(50)에 의하여 그 양측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있고, 상기 투입구(111)와 대향되는 하부에 위치한 제2수평관(10')에 배출구(111')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평관(10)의 투입구(111)와 대향되는 타측 및 상기 제2수평관(10')의 배출구(111')와 대향되는 타측은 수직관(12)에 의하여 연결되어지도록 하여 폐타이어칩이 제1수평관(10)을 따라 이송되어지면서 가열된 부산물인 카본블랙이 제2수평관(10')을 따라 가열되면서 더 이송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평관(10)과 제2수평관(10')에는 각각 가스배출구(14)(14')가 결합되어 폐타이어칩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가 배출되어지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제1수평관(10) 및 제2수평관(10')의 내부를 연속해 서 이동되는 가운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폐타이어칩을 이송시키고, 이송되어지는 폐타이어칩이 가열되어진 카본블랙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폐타이어칩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의 일부가 제1수평관(10) 및 제2수평관(10')의 내주연부에 증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장공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단위연결링(21)(2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연속되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위연결링(21)에는 수평형태를 갖는 걸림축(23)이 일정간격으로 용접이음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걸림축(23) 사이에 이송블레이드(24)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블레이드(24)는 단위연결링(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지지편(241)(241')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지지편(241)에 제1관통홀(2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관통홀(242)에 대향되는 제2관통홀(243)을 블레이드편(244)에 형성하여 상기 지지편(241)과 블레이드편(244)이 볼트(245)와 너트(246)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편(244)은 일측의 중앙이 좌우로 분리되어지며 타측이 볼록한 만곡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평관(10)과 제2수평관(10')의 외부를 감싸는 가열부(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열부(30)는 폐타이어가 열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오일 또는 가스중의 일부가 버너(326)로 연소되도록 하고, 이때 발생된 연소열을 이용하여 폐 타이어를 열분해시키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열부(30)는 입구(311)와 출구(312)가 결합된 가열 프레임(31)에 단열층(313)(314)이 이중으로 설치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열이 차단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311)에는 연소부(32)가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부(32)는 제1수평관(10) 및 제2수평관(10')에 각각 구비된 가스배출구(14)(14')에 파이프를 이용하여 응축기(321)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가스배출구(14)(14')를 통해 배출되어진 고온의 가스는 응축기(321)를 통해 응축되어진 후 응축된 오일이 파이프를 통해 메인탱크(322)에 저장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탱크(322)의 오일은 버너펌프(323)에 결합된 유수분리부(324)를 경유하여 연소공간을 갖는 제너레이터(325)에 설치된 버너(326)로 공급되어 연소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소공간에서 연소된 열이 상기 가열프레임(31)의 입구(311)로 공급되어 제1수평관(10) 및 제2수평관(10')을 가열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수분리부(324)를 통과한 오일은 오일필터(325)를 통해 버너펌프(232)의 흡입측으로 공급되어짐과 동시에 버너펌프(232)에서 버너(326)로 공급하고 남은 오일은 유수분리부(324)로 리턴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응축기(321)는 가스배출구(14)(14')와 연결된 타측에 압축기(326)가 결합되어 응축과정에서 응축되지 못하고 남은 가스만을 압축시켜 버 너(326)로 공급되어 연소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326)의 토출측에는 별도의 가스공급부(33)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기 가스공급부(33)는 가스필터(331)에 제1파이프(332)로 각각 레귤레이터(333) 및 압력계(334)가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계(334)에는 제2파이프(338)로 가스압 스위치(335)와 누설압력 스위치(336) 및 버터플라이 밸브(337)가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계(334)와 가스압 스위치(335) 사이에는 제3파이프(339)의 일측단을 결합시키며 타측단이 버너(326)에 결합되어 가스가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프트 프레임(40)은 체인구동 스프라켓휘일(41)이 결합된 구동모터(42)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체인구동 스프라켓휘일(41)에 체인(43)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체인(43)의 타측이 구동스프라켓 휘일(44)이 결합된 구동축(45)의 체인종동 스프라켓 휘일(46)에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 프레임(50)에는 종동스프라켓 휘일(51)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스프라켓 휘일(44)과 종동스프라켓 휘일(51) 사이에 이송컨베이어(20)가 상기 제1수평관(10)과 제2수평관(10')의 내부를 따라 순환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를 이용하여 폐타이어가 열분해되어지는 과정을 다음과 같다.
먼저, 레프트 프레임(40)에 설치된 구동모터(42)가 회전함에 따라 체인구동 스프라켓휘일(41)이 회전되어지며 체인(43)으로 연결된 체인종동 스프라켓휘일(46)이 회전된다.
다음, 체인종동 스프라켓휘일(46)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축(45)이 회전함으로써 구동축(45)에 결합된 구동 스프라켓휘일(44)이 회전됨으로써 이송컨베이어(20)가 제1수평관(10) 및 제2수평관(10')의 내부를 따라 이송되어지게 된다.
다음, 메인탱크(322)에 저장된 오일이 버너펌프(232)의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유수분리부(324)를 경유하여 버너(326)로 공급되어 연소됨에 따라 제너레이터(325)의 내부공간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열은 그 출구를 통해 가열프레임(31)에 구비된 입구(311)를 통해 공급되어짐에 따라 제1수평관(10) 및 제2수평관(10')을 가열시키게 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폐타이어칩이 공급기(70)를 통해 제1수평관(10)의 투입구(111)로 투입되어짐과 동시에 그 내부를 따라 이송되어지고 있는 이송컨베이어(20)의 이송블레이드(24)에 의하여 라이트 프레임(50)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송되어지고, 라이트 프레임(50)으로 이송되어지는 과정에서 제1수평관(10)의 외부를 가열시키고 있는 고온의 열에 의하여 열분해가 이루어지면서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가스는 제1수평관(10)에 결합된 가스배출구(14)를 통해 응축기(321)로 이송되어지고, 응축기(321)로 이송되어진 가스는 그 속에 포함된 미세한 오일이 응축되어 액체상태로 되어 메인탱크(322)에 저장되어지게 되며, 메인탱크(322)에 저장된 오일을 별도의 펌프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이송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때 메인탱크(322)에 저장된 일부의 오일은 전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연소되어짐에 따라 폐타이어칩을 계속적으로 열분해시킬 수 있게 되고, 응축기(321)를 통해 미처 응축되지 아니한 가스는 응축기(321)에 결합된 또는 연결된 파이프 통해 압축기(326)에서 압축되어지며, 압축기(326)로 압축되어진 가스는 가스공급부(33)를 통해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일정한 압력을 갖도록 하여 버너(326)로 공급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일과 같이 연소시켜 열분해 과정중에 소요되는 운전비용을 더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수평관(10)을 따라 이송되어지면서 폐타이어칩이 짙은 검을 색을 띤 미세한 탄소분말형태인 카본블랙으로 전환되고, 이러한 카본블랙은 수직관(12)을 통해 제2수평관(10')으로 낙하되어진 후 제2수평관(10')내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0)의 이송블레이드(24)에 의하여 배출구(111')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다시 열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발생된 가스 역시 전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오일화 내지는 가스화되어 재사용되어지게 된다.
또한, 폐타이어칩이 제1,2수평관(10)(10')의 내부에서 열분해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의 일부가 가스배출구(14)(14')를 통해 배출되지 아니하고 제1,2수평관(10)(10')의 내벽에 그대로 증착되는 코킹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코킹현상에 의하여 제1,2수평관(10)(10')의 내벽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가열부(30)로 공급된 고온의 열이 제1,2수평관(10)(10')의 내부로 전도되지 못하게 되는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나, 이때 단위연결링(21)으로 결합된 이송블레이드(24)의 상부와 하부 또는 가장자리가 제1,2수평관(10)(10')의 내부를 이동하는 가운데 그 내벽을 긁으면서 이동함에 따라 코킹현상을 막아 열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쇄된 폐타이어칩이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수평관 내부로 이송되어지는 과정에서 외부로 부터 작용하는 고온의 열에 의하여 카본블랙으로 열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의 일부가 수평관의 내부에 증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평관의 내부에서 열분해되어진 폐타이어칩(카본블랙)속에 포함된 금속와이어가 이송되어지는 과정에서 이송컨베이어와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여 열분해 반응장치가 멈추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된 오일의 일부와 가스를 버너로 재공급하여 열분해 과정에서 필요한 열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운전비용을 더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5)

  1. 투입구(111)와 가스배출구(14)가 결합된 제1수평관(10)과 배출구(111')와 가스배출구(14')가 결합된 제2수평관(10')이 수직관(12)으로 연결되어지며 상기 제1수평관(10)과 제2수평관(10')의 외부를 감싸는 가열부(40)가 결합되어 레프트 프레임(40)과 라이트 프레임(50) 사이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레프트 프레임(40)에 체인구동 스프라켓휘일(41)을 갖는 구동모터(42)가 설치되어지며 구동 스프라켓 휘일(44)이 결합된 구동축(45)의 체인종동 스프라켓 휘일(46)과 상기 체인구동 스프라켓휘일(41)에 체인(43)이 연결되고, 상기 라이트 프레임(50)에 결합된 종동스프라켓 휘일(51)과 상기 구동스프라켓 휘일(44) 사이에 이송컨베이어(20)가 상기 제1수평관(10)과 제2수평관(10')의 내부를 따라 순환되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장공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단위연결링(21)(21')이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위연결링(21)에 수평형태를 갖는 걸림축(23)이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걸림축(23) 사이에 이송블레이드(24)가 결합된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레이드(24)는 단위연결링(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지지편(241)(241')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지지편(241)에 제1관통홀(242)을 형성하고, 상기 제1관통홀(242)에 대향되는 제2관통홀(243)을 블레이드편(244)에 형성하여 상기 지지편(241)과 블레이드편(244)이 볼트(245)와 너트(246)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블레이드편(244)은 중앙이 좌우로 분리되어지며 타측이 볼록한 만곡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30)는 입구(311)와 출구(312)가 결합된 가열 프레임(31)에 단열층(313)(314)이 이중으로 설치되어지고, 상기 입구(311)에 연소부(32)가 연결되어지고, 상기 연소부(32)는 메인탱크(322)의 오일이 버너펌프(323)에 결합된 유수분리부(324)를 경유하여 연소공간을 갖는 제너레이터(325)에 설치된 버너(326)로 공급되어 연소되어지고, 상기 연소공간에서 연소된 열이 상기 가열프레임(31)의 입구(311)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구(14)(14')와 연결된 타측에는 압축기(326)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압축기(326)의 토출측에 가스공급부(33)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스공급부(33)는 가스필터(331)에 제1파이프(332)로 각각 레귤레이터(333) 및 압력계(334)가 연결되어지며 상기 압력계(334)에 가스압 스위치(335)와 누설압력 스위치(336) 및 버터플라이 밸브(337)가 제2파이프(338)로 연결되어지고, 상기 압력계(334)와 가스압 스위치(335) 사이에 제3파이프(339)의 일측단을 결합시키며 타측단이 버너(326)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
KR1020060051034A 2006-06-07 2006-06-07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 KR10069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034A KR100696985B1 (ko) 2006-06-07 2006-06-07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
PCT/KR2007/002696 WO2007142441A1 (en) 2006-06-07 2007-06-04 The pyrolytic reactor apparatus of the waste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034A KR100696985B1 (ko) 2006-06-07 2006-06-07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985B1 true KR100696985B1 (ko) 2007-03-20

Family

ID=3880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034A KR100696985B1 (ko) 2006-06-07 2006-06-07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6985B1 (ko)
WO (1) WO200714244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575B1 (ko) * 2009-02-06 2010-04-09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디스크 이동식 튜브 반응기 및 열회수 재활용 시스템
KR101113110B1 (ko) 2009-08-26 2012-02-16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탠덤 고온가스 발생기가 구비된 디스크 이동식 튜브 반응기
KR101183244B1 (ko) * 2010-03-30 2012-09-14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디스크 이동식 튜브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열분해 재활용 시스템
CN115127135A (zh) * 2022-06-20 2022-09-30 上海巴拿拿科技有限公司 一种厂房余热风冷除尘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3418B2 (en) 2007-03-01 2012-11-06 Wms Gaming Inc. Flex-time scheduling of electronic gaming machines
HK1128384A2 (en) * 2009-05-12 2009-10-23 Dongsung Ecore Co Ltd Heat recovery system
EP2454341B1 (en) 2009-07-17 2018-03-21 Green Energy and Technology SDN BHD Process and apparatus for decomposing rubber products through pyrolysis
CN105400538B (zh) * 2015-10-28 2017-04-12 贵州安泰再生资源科技有限公司 一种卧式旋转裂解处理器处理废旧轮胎制备炭黑方法
CN109488270B (zh) * 2019-01-09 2021-03-23 成都聚熵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水平井热烟气密闭循环开采油砂的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122Y1 (ko) 2005-07-04 2005-09-15 김건일 열 분해된 폐 타이어의 재활용 부산물 분리장치
KR200409347Y1 (ko) 2005-12-05 2006-02-22 (주)에티스 폐타이어의 열분해 및 유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103A (en) * 1980-06-02 1981-12-29 Energy Recovery Research Group, Inc. Apparatus for the pyrolysis of comminuted solid carbonizable materials
SE513063C2 (sv) * 1998-08-21 2000-06-26 Bengt Sture Ershag Förfarande vid återvinning av kol och kolväteföreningar från polymeriskt material, företrädesvis i form av kasserade däck, genom pyrolys i en pyrolysreak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122Y1 (ko) 2005-07-04 2005-09-15 김건일 열 분해된 폐 타이어의 재활용 부산물 분리장치
KR200409347Y1 (ko) 2005-12-05 2006-02-22 (주)에티스 폐타이어의 열분해 및 유화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575B1 (ko) * 2009-02-06 2010-04-09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디스크 이동식 튜브 반응기 및 열회수 재활용 시스템
KR101113110B1 (ko) 2009-08-26 2012-02-16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탠덤 고온가스 발생기가 구비된 디스크 이동식 튜브 반응기
KR101183244B1 (ko) * 2010-03-30 2012-09-14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디스크 이동식 튜브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열분해 재활용 시스템
CN115127135A (zh) * 2022-06-20 2022-09-30 上海巴拿拿科技有限公司 一种厂房余热风冷除尘装置
CN115127135B (zh) * 2022-06-20 2023-08-08 上海巴拿拿科技有限公司 一种厂房余热风冷除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2441A1 (en)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985B1 (ko) 폐타이어의 열분해 반응장치
US5653183A (en) Pyrolytic waste treatment system
JP2012526645A (ja) バイオマス炭化物およびエネルギーを作り出すための、熱分解プロセスならびに装置
EP2427532A1 (fr) Procède et installation de densification énergétique d&#39;un produit sous forme de solides divises, en vue de l&#39;obtention d&#39;huiles pyrolytiques a vocation énergétique
CA2614870C (en) Pyrolysis system
FR2635170A1 (fr) Appareil et procede pour la destruction des dechets par incineration ou pyrolyse
US5868085A (en) Pyrolytic waste treatment system
KR100809733B1 (ko)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JP2011183372A (ja) 生ゴミ処理装置及び生ゴミ処理システム
CN210261526U (zh) 一种节能型油泥热解设备
EP3347436B1 (en) Flash pyrolysis reactor
KR100956654B1 (ko) 조립식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CN211625262U (zh) 一种固体废物处理设备
KR100492670B1 (ko) 생활폐기물용 열분해 탄화장치
KR101378927B1 (ko) 간접가열방식의 폐기물용 열분해장치
CN112393247A (zh) 一种低温薄层速热梯级绝氧热解系统及基于该系统的固废热解系统
EP0827998B1 (fr) Système pour la valorisation de matières organiques de récupération
KR102547205B1 (ko) 고분자 폐기물의 초음파 열분해 이동장치
RU2596169C1 (ru) Реактор быстрого пиролиза
FR2983203A1 (fr) Installation de traitement comprenant un reacteur de thermolyse
KR20190109991A (ko) 이송되는 원료를 비접촉으로 온도 가변이 가능한 원료이송장치
AU697161B2 (en) Pyrolytic waste treatment system
KR100754981B1 (ko) 폐합성수지용 건류장치
CN210261524U (zh) 一种环保型油泥热解设备
FR2827609A1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 gaz combustibles a partir de gaz issus de la conversion thermique d&#39;une charge sol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