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132A -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 Google Patents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132A
KR20070053132A KR1020060113582A KR20060113582A KR20070053132A KR 20070053132 A KR20070053132 A KR 20070053132A KR 1020060113582 A KR1020060113582 A KR 1020060113582A KR 20060113582 A KR20060113582 A KR 20060113582A KR 20070053132 A KR20070053132 A KR 20070053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or
gas
contact member
liqui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2280B1 (ko
Inventor
다까아끼 다무라
도시오 후꾸시마
도오루 아라까와
고오지 고야마
겐지 쯔까모또
히로유끼 구리바라
마사유끼 모떼기
야스히또 곤도오
가즈오 다까하시
게이꼬 구로까와
히로아끼 우스이
쯔요시 라꾸마
데쯔야 야마모또
다이스께 스즈끼
하루끼 미노시마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349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8788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43637A external-priority patent/JP48788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436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878822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2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using wet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배치식의 하우징(2) 내에 배치되고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5)와, 이 기액 접촉 부재(5)에 전해수를 적하하는 전해수 적하 수단(17, 5C)과, 상기 기액 접촉 부재(5)에 실내의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7)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의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3)로부터 송풍 팬(7)에 의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기액 접촉 부재(5)에 적하한 전해수에 접촉시키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취출구(4)로부터 취출하는 구성을 구비한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이다.
하우징, 기액 접촉 부재, 전해수 적하 수단, 흡입구, 송풍 팬

Description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Floor Arrangement Type Air Steriliz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하우징의 종단면도.
도4는 기액 접촉 부재의 정면도.
도5a 내지 5c는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적하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계통도이고, 특히 도5a는 측면도, 도5b는 살수 박스의 단면도, 도5c는 전해조의 구성도.
도6은 공기 정화의 설명도.
도7은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제균 장치
2 : 하우징
2A : 다리편
2B : 전방 패널
2C : 천정 패널
2D : 조작 덮개
2E : 개폐 덮개
3 : 흡입구
3A : 프리 필터
4 : 취출구
5 : 기액 접촉 부재
7 : 송풍 팬
8 : 지지판
10 : 급수 탱크 지지 접시
11 : 보급용 급수 탱크
13 : 순환 펌프
41 : 조작 패널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08-266828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 2002-181358호 공보
본 발명은, 공중 부유 미생물 바이러스 등의 제거가 가능한 예를 들어 가반식의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부유 미생물 바이러스 등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 장치로서,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나 곰팡이 등의 바이러스 또는 균(이하, 바이러스 등이라 함)을 포착하고, 이들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 또는 제균(이하, 불활화 등이라 함) 하는 필터를 이용한 공기 제균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08-266828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공기 제균 장치에서는, 차의 추출 성분을 첨착(添着)한 필터를 배치하고, 이 필터에서 포착한 바이러스 등을 주로 하여, 추출 성분 중에 포함되는 차 폴리페놀류의 작용에 의해 불활화시키고 있다.
또한, 동일한 목적의 장치로서, 공기 중에 전해수 미스트를 확산시키고, 이 전해수 미스트를 공중 부유 미생물에 직접 접촉시켜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하는 제균 장치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 2002-181358호 공보 참조).
그러나, 전자의 제균 장치에서는,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차 폴리페놀류가 산화 분해하는 등 하여 필터 표면으로부터 서서히 잃게 된다. 이로 인해, 이 필터는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하는 기능이 서서히 저하하는 것에 의해 필터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한 경우, 일단 필터에서 포착한 바이러스 등이 활성을 가진 상태로 재비산할 우려가 있다.
또한, 후자의 제균 장치에서는, 미립자형의 전해수 미스트가 도달하기 쉬운 사용 환경하, 즉 비교적 작은 공간에서는 효력을 발휘하지만 전해수 미스트가 도달하기 어려운 사용 환경하, 즉 넓은 공간, 예를 들어 유치원이나 초ㆍ중ㆍ고등학교나, 개호 보험 시설이나 병원 등에서는 효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고,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제균을 안정적으로 실행 가능하고, 또한 넓은 공간의 공기 제거가 가능한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 배치식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와, 이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적하하는 전해수 적하 수단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실내의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로부터 송풍 팬에 의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기액 접촉 부재에 적하한 전해수에 접촉시키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취출구로부터 취출하는 구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기액 접촉 부재에 적하한 전해수에 접촉시키고,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취출구로부터 취출하는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전해수에 접촉하여 제균된 실내의 공기를 넓은 공간의 먼 곳에 비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넓은 공간에서의 공기 제균이 효율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를 바닥 배치식의 하우징 내에 비스듬한 형상으로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그것이 수평 배치된 경우에 비해, 하우징의 깊이 치수가 작아져 박형화된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가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 액 접촉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하고, 그 장기 수명화가 도모된다. 전해수는 적하식이기 때문에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의 전체 영역에 균등하게 습윤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해수가 전극에 통전하여 수돗물 등의 물을 전기 분해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라도 좋다. 또한, 활성 산소종은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정기적, 혹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부정기적으로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켜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기액 접촉 부재를 통과한 전해수를 받는 물 받침 접시와, 이 물 받침 접시에 고인 전해수를 상기 전해수 적하 수단으로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적하시키는 전해수 적하 수단과, 기액 접촉 부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기액 접촉 부재를 통과한 전해수를 받는 물 받침 접시를 구비하고, 이 물 받침 접시에 고인 전해수를 전해수 적하 수단으로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 순환 펌프에 의해 전해수 적하 수단을 거쳐서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이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의 제균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전해수를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하는 수량이 저감된다. 또한, 전해수는 적하식이기 때문에,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의 전체 영역에 균등하게 습윤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해수 적하 수단은 수돗물 등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을 구비하고, 이 전극을 상기 순환 펌프 출구와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전해수 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전해수 적하 수단은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여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을 구비하고, 이 전극을 상기 물 받침 접시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물 받침 접시에는 상기 물 받침 접시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 접시가 연결 접속되고, 이 지지 접시에 상기 순환 펌프와 상기 지지 접시 내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급수 탱크를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순환 펌프 및 상기 급수 탱크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측에 배치되고, 이 하우징의 타단부측에 상기 공기 제균 장치의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 및/또는 전기 회로 기판부를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전해수가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어지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고, 이 활성 산소종이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정기적, 혹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부정기적으로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켜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에서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PET 수지, 염화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재료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PET 수지, 염화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재료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기 때문에 기액 접촉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하고, 그 장기 수명화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벌집형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전해수가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어지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고, 이 활성 산소종이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정기적, 혹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부정기적으로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기액 접촉 부재에 적하 또는 침투한 전해수에 접촉시키고,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취출구로부터 취출하는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전해수에 접촉하여 제균된 실내의 공기를 넓은 공간의 먼 곳에 비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넓은 공간에서의 공기 제균이 효율적으로 달성되는 동시에, 기액 접촉 부재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PET 수지, 염화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재료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기 때문에 기액 접촉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하고, 그 장기 수명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액 접촉 부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기액 접촉 부재를 통과한 전해수를 받는 물 받침 접시와, 이 물 받침 접시에 고인 전해수를 전해수 적하 수단으로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이 순환 펌프에 의해 전해수 적하 수단을 거쳐서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이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의 제균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전해수를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수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는 적하식이기 때문에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의 전체 영역에 균등하게 습윤시킬 수 있고, 여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골고루 제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액 접촉 부재가, 바닥 배치식의 하우징 내에 비스듬한 형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그것이 수평 배치된 경우에 비해 하우징의 깊이 치수가 작아져 박형화되고, 또한 기액 접촉 부재가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액 접촉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하고, 그 장기 수명화가 도모되고, 또한 전해수가 적하식이기 때문에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의 전체 영역에 균등하게 습윤시킬 수 있고, 여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골고루 제균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를 나타낸다. 이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1)는 상자형의 하우징(2)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2)은 다리편(2A)과, 전방 패널(2B)과, 천정 패널(2C)을 포함하고, 이 천정 패널(2C)의 양측에는 조작 덮개(2D), 개폐 덮개(2E)가 각각 횡배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덮개(2D)의 하방에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1)의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 패널(조작부)(41)이 설치되어 있고, 개폐 덮개(2E)를 개방하면, 후술하는 수돗물의 보급용 급수 탱크(11)가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 패널(41)의 이면측에는 프린트 기판(전기 회로 기판부)이 배치되어 있고, 이 프린트 기판은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1)의 운전 제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2)의 하부에는 가로로 긴 흡입구(3)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3) 의 상방에는 프리 필터(3A)가 배치되어 있다. 이 프리 필터(3A)의 상방에는 송풍 팬(7)이 배치되고, 이 송풍 팬(7)의 상방에는 보수성이 높은 기액 접촉 부재(5)가,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스듬한 형상으로 배치되고, 이 기액 접촉 부재(5)의 상방에는 가로로 긴 취출구(4)가 배치되어 있다. 부호 8은 송풍 팬(7)의 지지판이고, 이 지지판(8)은 하우징(2)에 지지되어 있다.
이 기액 접촉 부재(5)는 벌집형 구조를 가진 필터 부재이며, 기체 접촉 면적이 넓게 확보되고, 전해수 적하가 가능하고, 막히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기액 접촉 부재(5)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결형 형상으로 구부려진 소재(5A)와, 평판형의 소재(5B)를 접합하고, 전체적으로 벌집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소재(5A, 5B)에는, 후술하는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 요컨대 전해수에 의한 열화가 적은 소재,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PET(폴리에틸렌ㆍ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염화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PTFE, PFA, ETFE 등), 셀룰로오스계 재료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등의 소재가 사용되고, 본 구성에서는 이들 소재(5A, 5B)에 PET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기액 접촉 부재(5)에 친수성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해수에 대한 친화성을 높여도 좋고, 이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5)의 전해수의 보수성(습윤성)이 보다 양호하게 유지되어, 후술하는 활성 산소종과 실내 공기와의 접촉이 장시간 지속된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5)에는 곰팡이 방지 작용을 갖는 전해수가 적하 또는 침투되기 때문에, 기액 접촉 부재(5)에 곰팡이 방지 대책으로서의 방균제의 도포가 불필요해진다.
기액 접촉 부재(5)의 경사각(θ)은 3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하의 경우, 적하한 전해수가 기액 접촉 부재(5)의 경사를 따라 흐르지 않고 하방으로 낙하한다. 또한, 경사각(θ)이 90°에 근접한 경우, 기액 접촉 부재(5)를 통과하는 송풍 경로가 수평에 가까워지고, 그 만큼 상방으로의 취출이 곤란해진다. 이 취출 방향을 수평에 가깝게 한 경우 취출 공기를 멀리 송풍할 수 없어지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넓은 공간의 제균에 적합한 장치로 되지 않는다. 경사각(θ)은 80°> θ > 30°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75°> θ > 55°이고, 본 구성에서는 약 57°이다.
도5a 내지 도5c는 기액 접촉 부재(5)에 전해수를 적하하는 수단을 도시한다.
이 기액 접촉 부재(5)의 하방에는, 물 받침 접시(9)(도3 참조)가 배치되고, 이 물 받침 접시(9)에는 상기 물 받침 접시의 길이 방향으로 급수 탱크 지지 접시(지지 접시)(10)가 연결 접속되어 있다. 이 급수 탱크 지지 접시(10)에는, 상기 지지 접시(10) 내에 염소 이온을 포함하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급수 탱크(11)와, 순환 펌프(13)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탱크(11)는 급수 탱크 지지 접시(10) 내의 물이 감소한 경우에 상기 급수 탱크(11)로부터 수돗물을 보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수 탱크(11) 내의 수돗물이 없어진 경우에는, 사용자가 급수 탱크(11)를 급수 탱크 지지 접시(10)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급수 탱크(11)에 수돗물을 공급하여, 다시 급수 탱크 지지 접시(10)에 설치한다.
순환 펌프(13)에는 전해조(31)가 접속되고, 이 전해조(31)에는 전해수 공급관(17)이 접속되어 있다. 이 전해수 공급관(17)은 외주부에 다수의 살수 구멍(도 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도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액 접촉 부재(5)의 상부 모서리부에 형성된 살수 박스(5C) 내에 삽입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전해수 적하 수단은 전해층(31)과 전해수 공급관(3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전해조(31)는, 도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쌍의 전극(32, 33)을 구비하고, 이들 전극(32, 33)은 통전된 경우, 전해조(31)에 유입한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여 활성 산소종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활성 산소종이라 함은, 통상의 산소보다도 높은 산화 활성을 갖는 산소 분자와 그 관련 물질의 것이고,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일중항산소, 히드록실래디컬, 혹은 과산화수소 등의 소위 협의의 활성 산소에, 오존, 차할로겐산 등의 소위 광의의 활성 산소를 포함한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조(31)는 순환 펌프(13)의 출구와 기액 접촉 부재(5)의 입구와의 사이, 바람직하게는 기액 접촉 부재(5)의 입구에 접근하여 배치되고,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활성 산소종을 곧바로 기액 접촉 부재(5)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극(32, 33)은, 예를 들어 베이스가 Ti(티탄)이고 피막층이 Ir(이리듐), Pt(백금)으로 구성된 전극판이고, 이 전극(32, 33)에 인가하는 전류치는, 전류 밀도로 20 ㎃(밀리암페어)/㎠(평방 센티미터)로 하여, 소정의 유리 잔류 염소 농도[예를 들어 1 ㎎(밀리그램)/1(리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전극(32, 33)에 의해 수돗물에 통전하면, 캐소드 전극에서는
4H+ + 4e- + (4OH-) → 2H2 + (4OH-)
의 반응이 일어나고, 애노드 전극에서는,
2H2O → 4H+ + O2 + 4e-
의 반응이 일어나는 동시에,
물에 포함되는 염소 이온(수돗물에 미리 첨가되어 있는 것)이,
2Cl- → Cl2 + 2e-
와 같이 반응하고, 또한 이 Cl2는 물과 반응하여,
Cl2 + H2O → HClO + HCl
로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32, 33)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HClO(차아염소산)이 발생하고, 이 차아염소산이 공급된 기액 접촉 부재(5)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이 기액 접촉 부재(5)에서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액 접촉 부재(5)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를 불활화할 수 있다. 또한, 악취도 기액 접촉 부재(5)를 통과할 때에 전해수 중의 차아염소산과 반응하고, 이온화하여 용해함으로써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어 탈취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조작 덮개(2D)를 개방하면, 도2에 도시하는 조작 패널(41)이 면하고 있고, 이 조작 패널(41)을 조작함으로써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1)의 운전이 개시된다. 이 운전이 개시되면, 도6을 참조하여 순환 펌프(13)가 구동되고, 급수 탱크 지지 접시(10)에 고인 수돗물이 전해조(31)에 공급된다.
이 전해조(31)에서는, 전극(32, 33)으로의 통전에 의해 수돗물이 전기 분해되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생성된다. 이 전해수는 전해수 공급관(17)의 살수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경유하여 살수 박스(5C) 내에 살수되고, 여기서 기액 접촉 부재(5)의 상부 모서리부에 스며들고, 하부를 향해 서서히 습윤한다.
잉여로 된 전해수는 물 받침 접시(9)에 모아져 인접하는 급수 탱크 지지 접시(10)에 유입하고, 거기에 저류된다. 본 구성에서는, 순환 펌프(13)에 의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식으로 되어 있고, 증발 등에 의해 수량이 감소한 경우 급수 탱크(11)를 거쳐서 급수 탱크 지지 접시(10)에 수돗물이 적량 공급된다. 이 급수 탱크(11)의 수량이 감소한 경우에는, 개폐 덮개(2E)(도1 참조)를 개방하여 급수 탱크(11)를 취출하여 수돗물을 보급한다.
전해수로 습윤한 기액 접촉 부재(5)에는 송풍 팬(7)을 경유하여,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의 공기가 공급된다. 이 실내의 공기는 기액 접촉 부재(5)에 스며든 활성 산소종에 접촉하여, 다시 실내에 취출된다. 또한, 이 기액 접촉 부재(5)에 친수성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해수에 대한 친화성을 높여도 좋다. 이 경우, 기액 접촉 부재(5)의 전해수의 보수성(습윤성)이 유지되고, 실내 공기와 활성 산소종과의 접촉이 장시간 지속되게 된다. 이 활성 산소종은 실내의 공기 중에,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침입한 경우, 그 감염에 필수의 상기 바이러 스의 표면 단백(스파이크)을 파괴, 소실(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이것을 파괴하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상기 바이러스가 감염하는 데 필요한 수용체(리셉터)가 결합하지 않게 되고, 이에 의해 감염이 저지된다. 위생 환경 연구소와의 공동에 의한 실증 시험한 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침입한 공기를 본 구성의 기액 접촉 부재(5)에 통과시킨 경우, 상기 바이러스를 99 % 이상 제거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액 접촉 부재(5)에 전해수를 적하시키는 전해수 적하 수단과, 기액 접촉 부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기액 접촉 부재(5)를 통과한 전해수를 받는 물 받침 접시(9)를 구비하고, 이 물 받침 접시(9)에 고인 전해수를 전해수 적하 수단으로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13)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 순환 펌프(13)에 의해 전해수 적하 수단을 거쳐서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5)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이 기액 접촉 부재(5)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의 제균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전해수를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수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는 적하식이기 때문에,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5)의 전체 영역에 균등하게 습윤시킬 수 있고, 여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골고루 제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2)의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3)로부터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기액 접촉 부재(5)에 적하한 전해수에 접촉시키고, 하우징(2)의 상부에 마련된 취출구(4)로부터 취출하는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1)가, 예를 들어 유치원이나 초ㆍ중ㆍ고등학교나, 개호 보험 시설이 나, 병원 등의 소위 넓은 공간에 설치된 경우라도, 전해수에 접촉하여 제균된 실내의 공기를 넓은 공간의 먼 곳에 비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넓은 공간에서의 공기 제균이 효율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5)가, 바닥 배치식의 하우징(2) 내에 비스듬한 형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그것이 수평 배치된 경우에 비해 조하우징(2)의 깊이 치수가 작아져 박형화된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5)가 PET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액 접촉 부재(5)의 내구성이 향상하고, 그 장기 수명화가 도모된다. 또한, 전해수가 적하식이기 때문에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5)의 전체 영역에 균등하게 습윤 또는 침투시킬 수 있고, 여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골고루 제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 받침 접시(9)에는 상기 물 받침 접시(9)의 길이 방향으로 급수 탱크 지지 접시(10)가 연결 접속되고, 이 급수 탱크 지지 접시(10)에 순환 펌프(13)와 상기 급수 탱크 지지 접시(10)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급수 탱크(11)를 배치했기 때문에, 순환 펌프(13) 및 급수 탱크(11)가 1군데에 집중하는 것에 의해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순환 펌프(13) 및 급수 탱크(11)는 하우징(2)의 일단부측에 배치되고, 이 하우징(2)의 타단부측에 상기 공기 제균 장치(1)의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 패널(41) 및 프린트 기판을 배치했기 때문에, 전기 부품과 물 사용 부품이 구분되는 것에 의해, 급수 탱크(11)의 급수 작업 등으로 상기 급수 탱크(11)를 제거할 때에 조작 패널(41)이 물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전해수가 물 받침 접시(9)에 모아 져 인접하는 급수 탱크 지지 접시(10)에 유입한다. 이로 인해, 각 접시에는 잡균이 발생하지 않고 슬라임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각 접시의 청소 및 유지 보수의 빈도가 감소하고 유지 보수 등의 노동력의 경감이 도모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전해수 중에 있어서의 활성 산소종(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목표의 농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표 농도는, 통상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1)의 설치 장소(예를 들어, 학교)에 많이 존재하는 바이러스 등(예를 들어, 곰팡이균)을 불활화시키는 농도로 설정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전극(32, 33)을 흐르는 전류, 또는 이들 전극(32, 33)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전해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가 조정된다. 일례로서는, 전극(32, 33)에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예를 들어, 전류 밀도로 40 ㎃/㎠),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높은 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새로운 장치 등을 이용하지 않고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 등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저비용화 및 공간 절약화가 도모된다.
이상, 일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활성 산소종으로서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전극으로서 백금 탄탈 전극을 이용하면, 이온종이 희박한 물로부터 전기 분해에 의해 고효율로 안정하게 활성 산소종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애노드 전극에서는,
2H2O → 4H+ + O2 + 4e-
의 반응과 동시에,
3H2O → O3 + 6H+ + 6e-
2H2O → O3 + 4H+ + 4e-
의 반응이 일어나 오존(O3)이 생성된다. 또한 캐소드 전극에서는,
4H+ + 4e- +(4OH-) → 2H2 + (4OH-)
O2 - + e- + 2H+ → H2O2
와 같이, 전극 반응에 의해 생성한 O2 - 와 용액 중의 H+가 결합하여 과산화수소(H2O2)가 생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에 통전하는 것에 의해 살균력이 큰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가 발생하고, 이들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포함한 전해수를 만들 수 있다. 이 전해수 중에 있어서의 오존 혹은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대상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시키는 농도로 조정하고, 이 농도의 전해수가 공급된 기액 접촉 부재(5)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대상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할 수 있다. 또한, 악취도 기액 접촉 부재(5)를 통과할 때에 전해수 중의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와 반응하고, 이온화하여 용해함으로써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어 탈취된다.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는 것에 의해, 전극 상(캐소드)에 스케일이 퇴적한 경우 전기 전도성이 저하하고, 계속적인 전기 분해가 곤란하게 된다.
이 경우, 전극의 극성을 반전(전극의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절환함)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캐소드 전극을 애노드 전극으로 하여 전기 분해함으로써, 캐소드 전극 상에 퇴적한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극성 반전 제어에서는, 예를 들어 타이머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반전시켜도 좋고, 운전 기동시에 반전시키는 등 부정기적으로 반전시켜도 좋다. 또한, 전해 저항의 상승(전해 전류의 저하, 혹은 전해 전압의 상승)을 검출하고,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극성을 반전시켜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출입 가능한 급수 탱크(11)에 의한 급수 방식으로 했지만, 이 급수 탱크(11) 대신에, 예를 들어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도관(81)을 접속하여, 시수(市水)를 직접 유도하는 물 배관 급수 방식으로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순환 펌프(13)의 출구측에 전해층(31)을 배치하고, 이 전해층(31) 내에 전극(32, 33)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 받침 접시(9)에 전극(82, 83)을 배치하고, 상기 물 받침 접시(9) 내에서 전해수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액 접촉 부재(5)에 전해수를 적하시켜 습윤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기액 접촉 부재(5)에 전해수를 퍼올리는 방식에 의해 침투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도시는 생략했지만, 예를 들어 물 받침 접시(9)에 둑을 설치하여 전해수 영역을 형성하고, 여기에 전해수를 유도하는 동시에 기액 접촉 부재(5)의 하부 모서리부를 수몰하고, 소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전해수를 퍼올리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제균을 안정적으로 실행 가능하고, 또한 넓은 공간의 공기 제거가 가능한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6)

  1. 바닥 배치식의 하우징(2) 내에 배치되고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5)와, 이 기액 접촉 부재(5)에 전해수를 적하하는 전해수 적하 수단(17, 5C)과, 상기 기액 접촉 부재(5)에 실내의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7)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의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3)로부터 송풍 팬(7)에 의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기액 접촉 부재(5)에 적하한 전해수에 접촉시키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취출구(4)로부터 취출하는 구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극에 통전하여 물을 전기 분해하는 것에 의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수단(31)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생성 수단(31)은 전해수용 물을 축적하는 급수 탱크(1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의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수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생성 수단(31)은 시수를 직접 유도하는 물 배 관(8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물 배관으로부터의 수돗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수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산소종은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기적, 혹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부정기적으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기액 접촉 부재를 통과한 전해수를 받는 물 받침 접시(9)와, 상기 물 받침 접시에 고인 전해수를 상기 전해수 적하 수단으로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13)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적하 수단은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32, 33, 82, 83)을 구비하고, 이 전극을 상기 순환 펌프 출구와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전해수 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적하 수단은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을 구비하고, 이 전극을 상기 물 받침 접시(9)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받침 접시(9)에는 상기 물 받침 접시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 접시(10)가 연결 접속되고, 이 지지 접시에 상기 순환 펌프와 상기 지지 접시 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탱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펌프 및 상기 급수 탱크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측에 배치되고, 이 하우징의 타단부측에 상기 공기 제균 장치의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 및/또는 전기 회로 기판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가 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어지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고, 이 활성 산소종이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가 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어지는 활성 산소종 을 포함하고, 이 활성 산소종이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가 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어지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고, 이 활성 산소종이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정기적, 혹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부정기적으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정기적, 혹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부정기적으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정기적, 혹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부정기적으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정기적, 혹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부정기적으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정기적, 혹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부정기적으로 상기 전극 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정기적, 혹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부정기적으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PET 수지, 염화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재료 및 세라믹스계 재료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친수성 처리를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가 전극에 통전함으로써 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어지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고, 이 활성 산소종이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정기적, 혹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부정기적으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비스듬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벌집형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KR1020060113582A 2005-11-18 2006-11-17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KR100802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34989 2005-11-18
JP2005334989A JP4878820B2 (ja) 2005-11-18 2005-11-18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2005343637A JP4878821B2 (ja) 2005-11-29 2005-11-29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JP-P-2005-00343637 2005-11-29
JP2005343645A JP4878822B2 (ja) 2005-11-29 2005-11-29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JP-P-2005-00343645 2005-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132A true KR20070053132A (ko) 2007-05-23
KR100802280B1 KR100802280B1 (ko) 2008-02-11

Family

ID=3768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582A KR100802280B1 (ko) 2005-11-18 2006-11-17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788315A3 (ko)
KR (1) KR100802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0080B2 (ja) * 2006-09-26 2011-08-03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除菌装置
CN108578746A (zh) * 2018-04-28 2018-09-2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除菌装置、厨房电器的内胆和厨房电器
CN109114667A (zh) * 2018-07-09 2019-01-01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及控制方法
US10712029B1 (en) * 2019-01-03 2020-07-14 Ontel Products Corporation Evaporative personal air cool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173A (ja) * 1999-04-14 2000-10-24 Denkosha Keisoku Kk 空気浄化方法
WO2001090001A1 (en) * 2000-05-19 2001-11-29 Watermaid Pty. Ltd. Cooling tower maintenance
JP2003227622A (ja) * 2002-02-04 2003-08-15 Techno Ryowa Ltd 殺菌水を用いた除菌脱臭空調システム
US7754157B2 (en) * 2002-07-08 2010-07-13 Panasonic Corporation Humidifier
TWI301074B (en) 2003-10-27 2008-09-21 Hermannus Gerhardus Maria Silderhuis Air treatment device
JP4471742B2 (ja) * 2004-03-26 2010-06-0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電解水噴霧装置
KR100529781B1 (ko) * 2004-06-30 2005-11-21 이상석 습식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8315A2 (en) 2007-05-23
EP1788315A3 (en) 2013-01-16
KR100802280B1 (ko) 200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8869B2 (ja) 空気除菌装置
KR100810408B1 (ko) 공기 제균 장치
KR100884879B1 (ko) 공기 제균 장치
JP5305770B2 (ja) 空気除菌装置
JP2008079725A (ja) 空気除菌装置
JP2008049002A (ja) 空気除菌装置
JP2008045856A (ja) 空気除菌装置
JP2008036135A (ja) 空気除菌装置
JP2008183182A (ja) 空気除菌装置
KR100802280B1 (ko)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JP4878821B2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4878820B2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2009118903A (ja) 空気除菌装置
JP4878836B2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4878822B2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2007229050A (ja) 空気除菌装置
JP2011030697A (ja) 空気除菌装置
KR20080018115A (ko) 이물질 제거 기구를 갖는 공기 제균 장치
JP4721921B2 (ja) 空気除菌装置
KR100908561B1 (ko) 공기 제균 장치
JP4663520B2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2007229051A (ja) 除菌装置
JP2007252702A (ja) 空気除菌装置
JP5172098B2 (ja) 空気除菌装置
JP4675230B2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