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758A -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및 송신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및 송신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758A
KR20070052758A KR1020077003718A KR20077003718A KR20070052758A KR 20070052758 A KR20070052758 A KR 20070052758A KR 1020077003718 A KR1020077003718 A KR 1020077003718A KR 20077003718 A KR20077003718 A KR 20077003718A KR 20070052758 A KR20070052758 A KR 2007005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value
subcarrier
line state
subcarr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치 이마무라
겐이치 미요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4/00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고(高) 스루풋을 유지하면서, 피드백 정보의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평균 품질 레벨 산출부(182)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SNR값으로부터,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평균 SNR값을 산출한다.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부(185)는, 어느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SNR값과 평균 SNR값에 근거하여, 그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서브캐리어 블럭의 SNR값을 설정한다.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187)는, 그 서브캐리어에 의한 송신의 제어에 이용하는 CSI 프레임으로서, 평균 SNR값을 나타내는 값과 서브캐리어 블럭의 SNR값을 나타내는 값을 표시하는 CSI 프레임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및 송신 제어 장치{TRANSMISSION CONTROL FRAME GENERATION DEVICE AND TRANSMISS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멀티캐리어 전송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및 송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4 세대 등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 이동시에 있어서도 100Mbps를 넘는 데이터 레이트가 요구된다. 그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100㎒ 정도의 대역폭을 사용한 여러 가지 무선 통신이 검토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 환경에의 적응성이나 주파수 이용 효율의 관점에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대표되는 멀티캐리어 전송 방식이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송 방식으로서 유력시되고 있다.
멀티캐리어 전송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高) 스루풋을 실현하기 위하여 검토되고 있는 기술 중 하나로, 하기의 적응 송신 제어를 들 수 있다. 적응 송신 제어에서는, 서브캐리어마다 또는 세그먼트마다의 회선 상태를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를 나타내는 회선 상태 정보(CSI:Channel State Information)에 근거하 여, 예컨대 오류 정정 능력, 변조 다치수, 전력, 위상, 송신 안테나 등의 변조 파라미터를 서브캐리어마다 또는 세그먼트마다 적응적으로 제어한다. 세그먼트는, 멀티캐리어 전송에 이용되는 대역 전체 중의 일 구역이며,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 또, 세그먼트마다 변조 파라미터 제어를 하기 위한 구성 및 동작은, 서브캐리어마다 변조 파라미터 제어를 하기 위한 구성 및 동작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브캐리어마다의 변조 파라미터 제어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세그먼트마다의 변조 파라미터 제어는, 「서브캐리어」를 「세그먼트」로 적절히 바꿔 넣음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적응 송신 제어에는, 폐루프형(closed loop type)이 있다. 즉, 제어 대상의 서브캐리어로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서는, 그 서브캐리어의 CSI를 피드백한다. 한편, 제어 대상의 서브캐리어로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에서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에 근거해 그 서브캐리어에 대한 변조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제어한다.
종래의 적응 송신 제어의 일례에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수(동 도면에서는 2개)의 인접하는(바꿔 말하면, 식별 정보로서 부여된 번호가 연속하는) 서브캐리어를 하나의 서브캐리어 블럭으로서 취급하고,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캐리어 블럭 단위로 얻어진 CSI를 통신 상대에게 피드백한다(예컨대, 비특허문헌 1 참조). 또, 서브캐리어 블럭(또는, 간단히 「블럭」이라고 함)은, 1개 이상의 서브캐리어의 모음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1개의 서브캐리어 또는 인접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종래의 적응 송신 제어의 다른 예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 전력차가 특정한 값(예컨대, ΔE)으로 수렴하는 인접 서브캐리어를 하나의 서브캐리어 블럭으로서 취급하여,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캐리어 블럭 단위로 CSI를 산출하고,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서브캐리어 블럭에 포함되는 선두(또는, 최후미(最後尾))의 서브캐리어의 식별 정보와 그 서브캐리어 블럭에 대하여 산출된 CSI를 조합하여 피드백한다(예컨대,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351971 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366285 호 공보
[비특허문헌 1] "Multi-dimensional Adaptation and Multi-user Scheduling Techniques for Wireless OFDM Systems", Brian Classon, Philippe Sartori, Vijay Nangia, Xiangyang Zhuang, Kevin Baum, IEEE Internatino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03(ICC2003), vol.3, pp.2251-2255, 11-15 May 2003
그러나, 폐루프형의 적응 송신 제어에 있어서는, 멀티캐리어 전송에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수가 많아질수록 피드백 정보의 데이터량(비트수)이 커지고, 피드백 정보의 오버헤드가 증대된다.
예컨대, 도 1(a)∼도 1(c)를 이용하여 설명한 예에 있어서, 고 스루풋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브캐리어 블럭을 구성하는 서브캐리어수(이하, 「블럭 사이즈」라고 함)를 작게 하여 서브캐리어 블럭수를 많이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피드백하는 CSI가 증가하고, 피드백 정보의 데이터량이 증가한다.
또한, 도 2(a)∼도 2(c)를 이용하여 설명한 예에 있어서는, 서브캐리어 블럭의 가변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블럭 사이즈가 크게 설정된 경우에는, 블럭 사이즈가 작게 설정된 경우에 비해서, 피드백 정보의 데이터량이 삭감되지만, 서브캐리어 블럭의 CSI 외에 서브캐리어 블럭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식별 정보를 피드백할 필요가 있다. 즉, 서브캐리어 블럭수와 동수(同數)의 CSI에 부가하여, 서브캐리어 블럭수와 동수의 식별 정보를 피드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피드백 정보의 데이터량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 스루풋을 유지하면서, 피드백 정보의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및 송신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과 상기 기준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서브캐리어에 의한 송신의 제어에 이용하는 프레임으로서, 산출된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1 값과 설정된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2 값을 표시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갖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송신 제어 장치는, 프레임에 각각 표시된 제 1 값 및 제 2 값으로서,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1 값과,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2 값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기준 회선 상태 레벨과 상기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생성된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서브캐리어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방법은,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와,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과 상기 기준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서브캐리어에 의한 송신의 제어에 이용하는 프레임으로서, 산출된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1 값과 설정된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2 값을 표시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를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송신 제어 방법은, 프레임에 각각 표시된 제 1 값 및 제 2 값으로서,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1 값과,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2 값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상기 기준 회선 상태 레벨과 상기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생성된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서브캐리어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 스루풋을 유지하면서, 피드백 정보의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적응 송신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적응 송신 제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SI 프레임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룩업 테이블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서브캐리어의 차분 SNR값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통계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OFDM 프레임의 구성, 전송로 응답 추정 타이밍 및 주파수 응답 추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각 서브캐리어의 차분 SNR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설정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全) 서브캐리어의 블럭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SI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SI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SI 프레임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SI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블럭 사이즈 결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각 서브캐리어의 SNR값의 재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CSI 프레임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지연 분산 추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지연 분산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통계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지연 분산 추정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지연 분산 추정값을 취득하기 위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룩업 테이블의 설정 내용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 1 룩업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 2 룩업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 3 룩업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룩업 테이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CSI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CSI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CSI 프레임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CSI 프레임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룩업 테이블과 MCS값과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MCS값 결정용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수신 장치 내의 룩업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MCS 파라미터와 블럭 사이즈와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MCS 파라미터와 블럭 사이즈와의 대응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CSI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CSI 프레임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신 제어 장치를 적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를 적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송신 제어 장치를 적용한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 대상의 서브캐리어로 정보(정보 데이터열)를 송신하는 장치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송신 장치」라고 한다. 한편, 송신 제어 프레임을 적용한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 대상의 서브캐리어로 송신된 정보(정보 데이터열)를 수신하는 장치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신 장치」라고 한다. 도 3의 송신 장치(100) 및 도 4의 수신 장치(150)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지국 장치나 통신 단말 장치 등에 탑재된다.
송신 장치(100)는, 송신부(101), 수신부(102) 및 안테나(103)를 갖는다. 송신부(101)는, CSI 프레임 처리부(110), 변조 파라미터 결정부(111), 부호화부(112), 변조부(113), 전력 제어부(114),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15), GI(Guard Interval) 삽입부(116) 및 송신 무선 처리부(117)를 갖는다. 수신부(102)는, 수신 무선 처리부(120), GI 제거부(121), FFT(Fast Fourier Transform)부(122), 복조부(123) 및 복호화부(124)를 갖는다.
CSI 프레임 처리부(110)는, 복호화부(124)의 복호 처리에서 얻어진 CSI 프레임으로부터, 서브캐리어마다의 회선 상태 정보(이하, "CSI"라고 함)를 얻는다. CSI 프레임 처리부(110)의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제어 수단으로서의 변조 파라미터 결정부(111)는, CSI 프레임 처리부(110)로 부터 입력되는 서브캐리어마다의 CSI에 근거하여, 서브캐리어마다의 변조 파라미터(오류 정정 부호, 부호화율, 변조 방식 및 송신 전력)를 결정한다. 즉, 각 서브캐리어로의 송신을, 결정된 오류 정정 부호, 부호화율, 변조 방식 및 송신 전력으로 제어한다. CSI 프레임 처리부(110)와 변조 파라미터 결정부(111)의 조합은, 송신 제어 장치를 구성한다.
부호화부(112)는, 입력되는 시계열(時系列)의 송신 데이터를, 변조 파라미터 결정부(111)로부터 지시된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및 부호화율로 서브캐리어마다 부호화한다. 변조부(113)는, 부호화된 송신 데이터를, 변조 파라미터 결정부(111)로부터 지시된 변조 방식(예컨대, M-PSK나 M-QAM 등)에 의해서 서브캐리어마다 변조한다. 전력 제어부(114)는, 서브캐리어마다의 송신 전력을, 변조 파라미터 결정부(111)로부터 지시된 송신 전력값으로 설정한다. IFFT부(115)는, 서브캐리어마다 변조된 신호를 복수의 직교하는 서브캐리어로 다중화하는 IFFT 처리를 행하여, 멀티캐리어 신호인 OFDM 심볼을 생성한다. GI 삽입부(116)는, 지연파에 의한 심볼간 간섭(ISI:Inter Symbol Interference)을 저감하기 위하여, OFDM 심볼 사이에 GI를 삽입한다.
송신 수단으로서의 송신 무선 처리부(117)는, OFDM 심볼에 업컨버트 등의 소정의 무선 처리를 행하여, 무선 처리 후의 OFDM 심볼을 안테나(103)로부터 수신 장치(150)로 송신한다. 즉, 각 서브캐리어에 중첩된 송신 데이터열을 무선 송신한다.
수신 수단으로서의 수신 무선 처리부(120)는, 안테나(103)로 수신되는 OFDM 심볼에 대하여 다운컨버트 등의 소정의 무선 처리를 행한다. 수신되는 OFDM 심볼에는, 프레임화된 CSI(CSI 프레임)가 포함되어 있다. 즉, 수신 무선 처리부(120)는 CSI 프레임을 수신한다.
GI 제거부(121)는 OFDM 심볼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GI를 제거한다. FFT부(122)는, GI 제거 후의 OFDM 심볼에 대하여 FFT 처리를 행하여, 서브캐리어마다의 신호를 얻는다. 복조부(123)는 FFT 후의 신호를 복조하고, 복호화부(124)는 변조 후의 신호를 복호한다. 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수신 데이터에는, 데이터 프레임 및 CSI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다.
도 4의 수신 장치(150)는 안테나(151), 수신부(152) 및 송신부(153)를 갖는다. 수신부(152)는 수신 무선 처리부(160), GI 제거부(161), FFT부(162), 복조부(163), 복호화부(164), 전송로 응답 추정부(165) 및 CSI 프레임 생성부(166)를 갖는다. 송신부(153)는 부호화부(170), 변조부(171), 전력 제어부(172), IFFT부(173), GI 삽입부(174) 및 송신 무선 처리부(175)를 갖는다.
수신 수단으로서의 수신 무선 처리부(160)는, 안테나(151)로 수신되는 OFDM 심볼에 대하여 다운컨버트 등의 소정의 무선 처리를 행한다. 즉, 수신 무선 처리부(160)는, 각 서브캐리어에 중첩된 데이터열을 수신한다.
GI 제거부(161)는, OFDM 심볼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GI를 제거한다. FFT부(162)는, GI 제거 후의 OFDM 심볼에 대하여 FFT 처리를 행하여, 서브캐리어마다의 신호를 얻는다. 복조부(163)에는, FFT 후의 신호 중, 파일럿 신호 등을 제외한 정보 신호가 입력된다. 복조부(163)는, 송신 장치(100)에서의 변조에 사용된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으로 정보 신호를 복조한다. 복호화부(164)는, 송신 장치(100)에서의 부호화에 사용된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변조 후의 신호에 대하여 오류 정정 등의 복호 처리를 행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다.
전송로 응답 추정부(165)에는, FFT 후의 신호 중, 파일럿 신호 등의 전송로 응답의 추정에 필요한 신호가 입력된다. 전송로 응답 추정부(165)는, 서브캐리어마다의 전송로 응답을 추정하여, 전송로 응답 추정값(전파로 추정값)을 얻는다.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로서의 CSI 프레임 생성부(166)는, 전파로 추정값에 근거하여 서브캐리어마다의 CSI를 구하고, 그들의 CSI를 송신 장치(100)로 피드백하기 위한 CSI 프레임을 생성한다. CSI 프레임 생성부(166)의 구성이나 그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부호화부(170)는, 입력되는 시계열의 송신 데이터 및 CSI 프레임을, 소정의 부호화 방식 및 부호화율로 서브캐리어마다 부호화한다. 변조부(171)는, 부호화된 송신 데이터 및 CSI 프레임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서브캐리어마다 변조한다. 전력 제어부(172)는, 서브캐리어마다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IFFT부(173)는, 서브캐리어마다 변조된 신호를 복수의 직교하는 서브캐리어로 다중화하는 IFFT 처리를 행하여, 멀티캐리어 신호인 OFDM 심볼을 생성한다. GI 삽입부(174)는, 지연파에 의한 ISI를 저감하기 위하여, OFDM 심볼 사이에 GI를 삽입한다. 송신 수단으로서의 송신 무선 처리부(175)는, OFDM 심볼에 업컨버트 등의 소정의 무선 처리를 행하여, 무선 처리 후의 OFDM 심볼을 안테나(151)로부터 송신 장치(100)로 송신한다. 즉, 송신 무선 처리부(175)는, 생성된 CSI 프레임을 무선 송신한다.
이어서, CSI 프레임 생성부(166)의 내부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CSI 프레임 생성부(16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품질 레벨 산출부(180), 회선 상태 메모리부(181), 평균 품질 레벨 산출부(182), 감산부(183), 차분 품질 레벨 메모리부(184),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부(185), 룩업 테이블부(186) 및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187)를 갖는다.
품질 레벨 산출부(180)는, 회선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전송로 응답 추정부(165)로부터 입력되는 서브캐리어마다의 전송로 응답 추정값(전파로 추정값)으로부터 서브캐리어마다의 SNR(Signal to Noise Ratio)값을 산출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언급하는 SNR값은 대수값이다. 단, 참값의 사용에 대하여 언급한 경우를 제외한다. 또한, 여기서는 품질 레벨(회선 상태 레벨)로서 SNR을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SNR 대신에 CNR(Carrier to Noise Ratio), 수신 전력, 수신 진폭,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수신 강도, 오류율, 전송 레이트, 스루풋 등을 회선 상태 레벨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셀룰러 시스템과 같이 잡음 전력 뿐만 아니라 간섭 전력도 CSI로서 중요하게 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간섭 전력, 간섭량,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CIR(Carrier to Interferenc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등을 회선 상태 레벨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회선 상태 메모리부(181)는, 품질 레벨 산출부(180)에 의해 산출된 서브캐리어마다의 SNR값을 유지한다.
산출 수단으로서의 평균 품질 레벨 산출부(182)는, 회선 상태 메모리부(181)에 유지된 서브캐리어마다의 SNR값을 이용하여, 전(全) 서브캐리어에 걸친 평균 SNR값을 산출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산출된 평균 SNR값을 전 서브캐리어의 기준 품질 레벨로서 이용하고 있지만, 평균 SNR값 대신에, 중앙값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감산부(183)는, 서브캐리어마다의 SNR값으로부터 평균 SNR값을 감산하여, 각 서브캐리어의 SNR값에 대하여, 평균 SNR값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차분 SNR값(이하, 「ΔSNR값」이라고도 함)을 산출한다.
차분 품질 레벨 메모리부(184)는, 감산부(183)에서 산출된 서브캐리어마다의 ΔSNR값을 유지한다.
설정 수단으로서의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부(185)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를 서브캐리어 블럭으로 모아서,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ΔSNR값(이하, 「ΔSNRBLK」라고 함)을 설정한다. 또한,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블럭 사이즈를, 룩업 테이블부(186)에 유지된 룩업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는 값에 따라서 설정한다. 블럭 사이즈와 블럭마다의 ΔSNRBLK가 룩업 테이블과 모순이 없도록 서브캐리어 블럭의 ΔSNRBLK를 설정한다.
유지 수단으로서의 룩업 테이블부(186)는, 예컨대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룩업 테이블을 미리 유지하고 있다.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부(185)로부터 서브캐리어마다의 ΔSNR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ΔSNR값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를 출력 한다.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150)는, 동일한 설정 내용을 갖는 룩업 테이블을 공유한다.
또, 룩업 테이블부(186)는, 도 6과 같은 테이블을 유지하는 대신에, 다음 식
블럭 사이즈=f(ΔSNR)
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블럭 사이즈를 출력하는 ΔSNR을 인수로 하는 함수 f(ΔSNR)을 연산하여도 좋다.
여기서, 룩업 테이블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즉, ΔSNR값이 작은 경우에는 블럭 사이즈가 작게 설정되고, ΔSNR값이 큰 경우에는 블럭 사이즈가 크게 설정된다. 이러한 설정은, 서브캐리어의 ΔSNR값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통계적인 관계에 근거하고 있다. 이 관계는 도 7에 도시된다. 즉, 임의 서브캐리어의 ΔSNR값이 작을수록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은 작고, 임의 서브캐리어의 ΔSNR값이 클수록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은 크다.
따라서, 각 서브캐리어의 ΔSNR값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히 블럭 사이즈의 설정과 블럭마다의 ΔSNR값의 설정을 할 수 있어, 서브캐리어의 그룹화에 의해 발생하는 각 서브캐리어의 CSI의 오차(여기서는 SNR의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캐리어의 ΔSNR값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관계를 반영한 설정을 갖는 룩업 테이블에 따라서 블럭 사이즈 설정과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ΔSNR값 설정을 함으로써, 그룹화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항상 일정 레벨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룩업 테이블을 송수신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어, 송수신간에 모순이 없는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생성 수단으로서의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187)는, 평균 SNR값과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부(185)에서 설정된 블럭마다의 ΔSNR값을 이용하여 CSI 프레임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SNR값은,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이용되고, 블럭마다의 ΔSNR값은, 블럭마다의 회선 상태 레벨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이용된다.
계속해서, CSI 프레임 생성부(166)에 있어서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에는, 송수신국 사이에서 주고받는 OFDM 프레임의 구성, 전송로 응답 추정 타이밍 및 주파수 응답 추정값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150) 사이에서 이용되는 OFDM 프레임에 있어서는, 예컨대 도 8(a)와 같이, 전송로의 주파수 응답을 추정하기 위한 전송로 응답 추정용 캐리어(예컨대, 기지(旣知)의 파일럿 신호)가, 데이터 등 다른 목적에 이용되는 데이터 캐리어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삽입된다. 전송로 응답 추정부(165)에서는, 전송로 응답 추정용 캐리어를 이용하여, 서브캐리어마다의 전송로에서 받은 진폭 변동 및 위상 변동을, 시각 tk(k는 정수)의 타이밍에서 추정하고, 이들의 추정 결과를 품질 레벨 산출부(180)에 출력한다. 또, 블라인드 추정을 하는 것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전송로 추정용 캐리어로서 데이터용 캐리어가 사용되는 일이 있다.
CSI 프레임 생성부(166)에 있어서, 품질 레벨 산출부(180)에서는, 수취한 주 파수 응답 추정값으로부터 도 8(b)와 같이 서브캐리어마다 SNR값 γm,k를 산출한다. 여기서, SNR값 γm,k는 m번째의 서브캐리어(m=0, 1, 2, 3, …, M-1)의 시간 tk에서의 SNR값을 대수 변환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M은 전 서브캐리어수를 나타낸다.
회선 상태 메모리부(181)에서는, 품질 레벨 산출부(180)로부터 입력된 SNR값 γm,k를 기억한다. SNR값 γm,k는, 품질 레벨 산출부(180)에서 새롭게 산출될 때마다 갱신된다.
전송로 응답 추정값의 갱신 및 SNR값 γm,k의 산출 빈도는, CSI 프레임의 피드백 주기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한, 갱신 주기는, 피드백 주기와 독립적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단, CSI 프레임 생성 도중에서의 회선 상태 메모리부(181)로의 갱신 처리는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서브캐리어마다 산출된 SNR값 γm,k는, 평균 품질 레벨 산출부(182)에서, 전 서브캐리어에 걸친 평균 SNR값을 산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평균 SNR값은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 시간 tk에서 추정한 m번째의 서브캐리어의 SNR값의 참값은 다음 수학식 2로 표시되며, 전 서브캐리어에 대한 참값의 SNR값의 평균값은 다음 수학식 3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07014262365-PCT00001
Figure 112007014262365-PCT00002
Figure 112007014262365-PCT00003
다음에, 감산부(183)에서는, 다음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서브캐리어마다의 SNR값 γm,k로부터 평균 SNR값을 감산하여, 서브캐리어마다의 차분 SNR값 Δγm,k를 산출한다.
Figure 112007014262365-PCT00004
차분 품질 레벨 메모리부(184)에서는, 감산부(183)에서 산출되는 차분 SNR값 Δγm,k를 기억한다. 차분 SNR값 Δγm,k는, 감산부(183)에 의해 새롭게 산출될 때마다 갱신된다.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부(185)에서는, 차분 SNR값 Δγm,k 및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블럭 사이즈의 설정 및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ΔSNRBLK의 설정을 한다.
여기서,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부(185)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9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 ST1000에서 처리를 개시한 후, 단계 ST1001에서는, 서브캐리어 번호(여기서는, 주파수가 낮은 쪽에서부터 순서대로 m=0, 1, 2, …, M-1이라고 정의함)에 대응하는 카운터 m을 0으로 초기화한다.
그리고, 단계 ST1002에서는, m번째의 서브캐리어의 차분 SNR값 Δγm,k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 k를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ST1003에서는, 카운터값 m과 블럭 사이즈 k의 합이 전 서브캐리어수 M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 카운터값 m과 블럭 사이즈 k의 합이 전 서브캐리어수 M보다 작은 경우(ST1003:예)에는, 단계 ST1101로 진행하고, 카운터값 m과 블럭 사이즈 k의 합이 전 서브캐리어수 M 이상인 경우(ST1003:아니오)에는, 단계 ST1201로 진행한다.
단계 ST11O1에서는, m번째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하여 연속하는 k 서브캐리어의 ΔSNR값의 평균값으로서 평균 차분 SNR값(ΔSNR(k))을 산출하고, 단계 ST1004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T1201에서는, m번째의 서브캐리어로부터 마지막 (M-1번째)의 서브캐리어까지 연속하는 서브캐리어의 ΔSNR값의 평균값으로서 평균 차분 SNR값(ΔSNR(k))을 산출하고, 단계 ST1004로 진행한다.
단계 ST1004에서는, 단계 ST1101 또는 ST1201에서 구한 평균 차분 SNR값(ΔSNR(k))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 j를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한다.
단계 ST1005에서는, 단계 ST1002에서 취득한 블럭 사이즈 k와 평균 차분 SNR값(ΔSNR(k))에 근거하여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한 블럭 사이즈 j가 일치하고 있 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것은, 블럭마다의 평균 차분 SNR값과 블럭 사이즈와의 관계가 룩업 테이블의 설정과 모순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블럭 사이즈 k와 블럭 사이즈 j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ST1005:예), 룩업 테이블의 설정에 대하여 모순이 없기 때문에, 다음 단계 ST1301에서는, 평균 차분 SNR값(ΔSNR(k))을, 서브캐리어 블럭의 최종적인 평균 차분 SNR값(ΔSNRBLK)으로서 결정하고, 단계 ST1008로 진행한다.
블럭 사이즈 k와 블럭 사이즈 j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ST1005:아니오), 룩업 테이블의 설정에 대하여 모순이 발생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모순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후의 단계 ST1006, ST1007, ST1701, ST1401, ST1402, ST1403, ST1501, ST1601, ST1602가 마련된다.
단계 ST1006에서는, m+k<M인지 여부의 판정과 m+j<M인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이 판정의 결과, m+k<M 또는 m+j<M인 경우(ST1006:예)에는, 단계 ST1007로 진행하고, m+k≥M이고, m+j≥M인 경우(ST1006:아니오)에는, 단계 ST1301로 진행한다.
단계 ST1007에서는, 단계 ST1003과 동일한 목적으로, 블럭 사이즈 j에 대하여, m+j<M인지 여부의 판정을 한다. 판정 결과, m+j<M인 경우(ST1007:예)에는, 단계 ST1401로 진행하고, m+j≥M인 경우(ST1007:아니오)에는, 단계 ST1701로 진행한다.
단계 ST1401에서는, m번째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하여 연속하는 j 서브캐리어 의 ΔSNR값의 평균값으로서 평균 차분 SNR값(ΔSNR(j))을 산출하고, 단계 ST1402로 진행한다. 단계 ST1701에서는, m번째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하여 마지막 (M-1번째)의 서브캐리어까지 연속하는 서브캐리어의 ΔSNR값의 평균값으로서 평균 차분 SNR값(ΔSNR(j))을 산출하고, 단계 ST1402로 진행한다.
단계 ST1402에서는, ΔSNR(j)를 이용하여, 룩업 테이블로부터 블럭 사이즈 p를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ST1403에서, 블럭 사이즈 j와 블럭 사이즈 p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블럭 사이즈 j와 블럭 사이즈 p가 일치한 경우(ST1403:예), 단계 ST1501에 있어서, k의 값을 j(=p)로 재기록하여, ΔSNR(j)를, 그 서브캐리어 블럭의 최종적인 평균 차분 SNR값(ΔSNRBLK)으로서 결정하고, 단계 ST1008로 진행한다. 한편, 블럭 사이즈 j와 블럭 사이즈 p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ST1403:아니오), 단계 ST1601에 있어서, 다음 수학식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럭 사이즈 k와 블럭 사이즈 j 중 작은 쪽의 값을 새로운 블럭 사이즈 k로서 설정하여, 단계 ST1602로 진행한다.
Figure 112007014262365-PCT00005
단계 ST1602에서는, 블럭 사이즈가 k로 되는 ΔSNR값의 최대값을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최대값을 그 서브캐리어 블럭의 평균 차분 SNR값(ΔSNRBLK)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단계 ST1008에서는, 모든 서브캐리어에 대하여, 블럭화 처리를 종료 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m+k≥M인지 여부의 판정을 하고, m+k<M이라고 판정하면(ST1008:아니오), 단계 ST1009로 진행한다. 단계 ST1009에서는, 카운터값 m에 블럭 사이즈 k를 부가하여 카운터값 m을 갱신하고, 다음 서브캐리어 블럭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단계 ST1002로 되돌아간다. 한편, m+k≥M이라고 판정하면(ST1008:예), 단계 ST1010으로 진행하여 종료로 된다.
여기서, 도 10∼도 12를 이용하여, 전술한 처리 수순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에는, 차분 품질 레벨 메모리부(184)에 유지되어 있는 각 서브캐리어의 차분 SNR값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0번째의 서브캐리어(SC0)의 차분 SNR값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 k를 도 6의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한다(ST1002). 0번째의 서브캐리어(SC0)의 차분 SNR값은 -2.5㏈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는 「4」(k=4)이다.
0번째의 서브캐리어(SC0)로부터 연속하는 4 서브캐리어에서의 차분 SNR값의 평균값(ΔSNR(k))을 산출한다(ST1101). 평균값은, 차분 SNR값을 대수 영역에서의 값 그대로 평균하는 것에 의해 산출한다. 이에 따라, 참값으로 평균값을 산출한 경우에 비해, 평균값을 낮게 할 수 있어, 블럭 사이즈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0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서브캐리어(SC0∼SC3)의 차분 SNR값의 평균값은, 다음 수학식 6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07014262365-PCT00006
또, 여기서는 대수 그대로 차분 SNR값의 평균값을 구하였지만, 참값으로 되돌리고 나서 평균값을 구하여도 좋다. 또한, 연속하는 k 서브캐리어 중 가장 작은 차분 SNR값을 출력하여도 좋다.
산출한 ΔSNR(k)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 j는, 도 6의 룩업 테이블로부터 「4」이다(ST1004).
다음에, 블럭 사이즈 k와 블럭 사이즈 j가 일치하고 있는지 확인한다(ST1005). 이 경우에는 j=k=4이므로, 최초의 서브캐리어 블럭(B1)의 블럭 사이즈가 확정되는 동시에, 이 서브캐리어 블럭의 차분 SNR값도 확정으로 된다(ST1301).
이상의 처리에 의해, 최초의 서브캐리어 블럭(B1)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번째의 서브캐리어(SC0)부터 3번째의 서브캐리어(SC3)까지의 4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최초의 서브캐리어 블럭(B1)의 차분 SNR값은, -1㏈로 된다.
다음 서브캐리어 블럭의 처리는, 4번째의 서브캐리어(SC4)부터 개시된다. 도 10의 메모리부 상태에서는, 최초의 서브캐리어 블럭(B1)과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2번째의 서브캐리어(B2) 및 3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B3)이 구성된다. 즉, 2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B2)에 대해서는, 블럭 사이즈는 5 서브캐리어(SC4∼SC8)로 되고, 차분 SNR값은 2.8㏈로 된다. 3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B3)에 대해서는, 블럭 사이즈는 5 서브캐리어(SC9∼SC13)로 되고, 차분 SNR값은 3.5㏈로 된다.
다음에, 4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B4)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블럭에 대해 서는, 전술한 블럭과 다른 처리가 도중에 포함된다.
14번째의 서브캐리어(SC14)의 차분 SNR값은 -0.5㏈이기 때문에, 도 6의 룩업 테이블로부터 블럭 사이즈 k로서 「4」가 취득된다(ST1002).
그리고, 14번째의 서브캐리어(SC14)로부터 연속하는 4 서브캐리어에서의 ΔSNR(k)를 산출한다(ST1101). 14번째에서 17번째까지의 서브캐리어(SC14∼SC17)의 차분 SNR값의 평균값은, 다음 수학식 7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07014262365-PCT00007
그리고, 산출한 ΔSNR(k)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 j를 도 6의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한다(ST1004). 이 경우에는 ΔSNR(k)=-6.5이기 때문에, 취득되는 블럭 사이즈 j는 「3」으로 된다.
따라서, ΔSNR(k)의 산출에 이용한 블럭 사이즈 k, 즉 「4」와 ΔSNR(k)에 근거하여 얻어진 블럭 사이즈 j, 즉 「3」이 일치하지 않는다(ST1005:아니오). 룩업 테이블의 설정 내용과의 모순이 해소되지 않은 채로 CSI가 피드백되면, 송신 장치(100)에 있어서 서브캐리어마다의 SNR값을 정확하게 재생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후의 처리를 한다.
구체적으로는, 14번째의 서브캐리어(SC14)부터 연속하는 3 서브캐리어에서의 ΔSNR(j)를 산출한다(ST1401). 14번째에서 16번째까지의 서브캐리어(SC14∼SC16)의 차분 SNR값의 평균값은, 다음 수학식 8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07014262365-PCT00008
그리고, 산출한 ΔSNR(j)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 p를 도 6의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한다(ST1402). 이 경우에는 ΔSNR(j)=-3.7이기 때문에, 블럭 사이즈 p는 「4」로 된다.
여기서, ΔSNR(j)의 산출에 이용한 블럭 사이즈 j, 즉 「3」과 ΔSNR(j)에 근거하여 얻어진 블럭 사이즈 p, 즉 「4」가 일치하지 않는다(ST1403:아니오). 이 때문에, 블럭 사이즈와 ΔSNRBLK와의 관계를 룩업 테이블에 맞추기 위하여,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우선, k과 j 중 작은 쪽의 값을 k의 값으로서 선택한다(ST1601). k=4, j=3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3」이 선택된다. 블럭 사이즈가 「3」으로 되는 차분 SNR값의 범위는, 도 6의 룩업 테이블로부터 -10㏈<ΔSNR≤-5㏈이기 때문에, -3.7㏈에 가장 가까운 -5㏈이 이 블럭의 차분 SNR값(ΔSNRBLK)으로서 설정된다(ST1602).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B4)은, 14번째의 서브캐리어(SC14)부터 16번째의 서브캐리어(SC16)까지의 3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이 블럭의 ΔSNRBLK는 -5㏈로 된다. 이와 같이, ΔSNRBLK의 산출 과정에서 이용한 블럭 사이즈와 룩업 테이블 중에서 ΔSNRBLK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가장 가까운 ΔSNR로 ΔSNRBLK를 재설정하는 것에 의해, 룩업 테이블의 설정 내용에 모순이 없는 블럭화를 실현한다.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서브캐리어를 블럭화하여,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ΔSNRBLK)을, 룩업 테이블의 설정과 모순되는 일 없이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설정된 ΔSNRBLK는,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187)에 출력된다.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187)에서는,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부(185)로부터 출력되는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ΔSNRBLK)과 평균 품질 레벨 산출부(182)의 출력인 평균 SNR값을 이용하여, CSI 프레임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포맷의 CSI 프레임을 생성한다. 도 13에서는, CSI 프레임의 선두부측에 평균 SNR값이 배치되고, 평균 SNR값에 이어서, 블럭 번호가 작은 순서대로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차분 SNR값이 배치된다. 이러한 프레임 포맷을 채용함으로써, 송신 장치(100)에서는, CSI 프레임에 표시된 차분 SNR값을 그대로 이용하여 블럭 사이즈 설정을 할 수 있어, 송신 장치(100) 내에서의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는 대신에, 도 14에 나타내는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14에서는, 평균 SNR값에 이어서, 블럭 번호가 작은 순서대로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SNR값이 배치된다.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SNR값은, CSI 프레임 생성부(166)에 있어서 평균 SNR값과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과의 합을 산출함으로써 취득된다. 즉, 도 14의 예에서는,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SNR값이,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회선 상태 레벨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이용된다.
또, 프레임 포맷은 상기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평균 SNR값이 CSI 프레임의 말미(末尾)에 부가되는 프레임 포맷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는, 블럭 번호가 큰 순서대로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차분 SNR값 혹은 SNR값이 배치되는 프레임 포맷을 채용하여도 좋다. 송수신간에 공통으로 규정된 배치 순서를 갖는 것이면, 임의의 프레임 포맷을 채용할 수 있다.
이어서, CSI 프레임 처리부(110)의 내부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CSI 프레임 처리부(11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130),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 룩업 테이블부(132), 가산부(133) 및 회선 상태 메모리부(134)를 갖는다.
추출 수단으로서의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130)는, 수신 장치(150)로부터 보내지는 CSI 프레임으로부터 평균 SNR값 및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을 추출하고, 평균 SNR값은 가산부(133)로,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은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로 출력한다.
생성 수단으로서의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는,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130)로부터 입력된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를 룩업 테이블부(132)로부터 취득함으로써,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블럭 사이즈를 설정한다. 그리고, 입력된 차분 SNR값을 블럭 사이즈분만큼 복제함으로써, 각 서브캐리어 블럭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차분 SNR값을 생성한다. 생성된 서브캐리어마다의 차분 SNR값은 가산부(133)로 출력된다.
따라서, 각 서브캐리어의 차분 SNR값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히 블럭 사이즈 설정을 할 수 있어, 각 서브캐리어의 CSI(여기서는, SNR값)의 재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서브캐리어의 차분 SNR값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관계를 반영한 설정을 갖는 룩업 테이블에 따라서 블럭 사이즈 설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차분 SNR값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를 송수신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캐리어마다의 차분 SNR값은 차분 SNR값의 복제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동일한 서브캐리어 블럭에 포함되어 있었던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대한 차분 SNR값은 서로 동일하게 된다. 단, 서브캐리어마다의 차분 SNR값의 생성 방법은 차분 SNR값의 복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 서브캐리어 블럭에 속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대한 차분 SNR값이 서로 다르도록, 서브캐리어마다의 차분 SNR값을 생성하여도 좋다.
유지 수단으로서의 룩업 테이블부(132)는, 수신 장치(150) 내에 마련된 룩업 테이블부(186)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송수신간 공통의 룩업 테이블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로부터 차분 SNR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차분 SNR값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를, 룩업 테이블의 설정에 따라서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로 출력한다.
가산부(133)에서는, 평균 SNR값과 서브캐리어마다의 차분 SNR값의 가산을 하는 것에 의해, 서브캐리어마다의 SNR값을 산출한다. 회선 상태 메모리부(134)는, 산출된 서브캐리어마다의 SNR값을 유지한다. 유지된 SNR값은, 서브캐리어마다의 CSI로서 변조 파라미터 결정부(111)에 출력된다.
또, 여기서는,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을 나타내는 CSI 프레임(도 13)이 이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SNR값을 나타내는 CSI 프레임(도 14)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130)는, CSI 프레임으로부터 평균 SNR값 및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SNR값을 추출하고, 평균 SNR값은 가산부(133) 및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로,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SNR값은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로 출력한다.
또한, 이 경우,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는,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130)로부터 입력된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SNR값으로부터 평균 SNR값을 감산하는 것에 의해,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차분 SNR값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를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한다.
계속해서,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에 있어서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CSI 프레임 중 평균 SNR값을 제외한,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ΔSNRBLK)을 수취한다. 수취한 서브캐리어 블럭을 구성하는 서브캐리어수를 취득하기 위하여, 그 서브캐리어 블럭의 차분 SNR값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를, 도 6의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최초의 서브캐리어 블럭(B1)부터 최후의 서브캐리어 블럭(B9)까지 순서대로 취득한다. 이 결과,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블럭 사이즈가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카운터값 n을 「1」로 초기화한다(ST1800). 그리고, n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의 차분 SNR값(ΔSNRBLK)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 k를, 도 6의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한다(ST1801). 1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B1)의 경우, 차분 SNR값은 -1㏈이다. 따라서, -1㏈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로서 「4」를 취득함으로써, 1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B1)의 블럭 사이즈가 설정된다. 2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B2)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ΔSNRBLK=2.8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 「5」를 취득한다. 또한, 최후의 서브캐리어 블럭(B9)에서는, ΔSNRBLK=-4이며, 룩업 테이블 내에서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는 「4」이다. 그러나, 전 서브캐리어수 M은 「24」인데 반하여, 9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의 서브캐리어 번호는 「22」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9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B9)의 서브캐리어 사이즈는 「2」(즉, SC22∼SC23)로서 처리된다(ST1805).
이와 같이, 수신 장치(150)와 동일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수신 장치(150)에 의해 설정된 서브캐리어 블럭의 블럭 사이즈를 특정할 수 있다.
n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의 블럭 사이즈가 설정된 후, 블럭 번호(n)를 서브 캐리어 블럭수(즉, 최대의 블럭 번호)와 비교한다(ST1802). n이 서브캐리어 블럭수에 도달해 있으면(ST1802:아니오), 단계 ST1805로 진행하고, n이 서브캐리어 블럭수에 도달해 있지 않으면(ST1802:예), 단계 ST18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T1803에서는, n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의 차분 SNR값을 k회 반복하여 가산부(133)로 출력함으로써,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서브캐리어 블럭에 속하는 각 서브캐리어의 차분 SNR값을 재생한다. 단계 ST1803 이후, 단계 ST1804에서는, n에 「1」을 가산하여 n을 갱신한다. 그리고, 단계 ST1801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T1805에서는, n번째의 서브캐리어 블럭의 차분 SNR값을 최후의 서브캐리어까지 반복하여 가산부(133)로 출력함으로써,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서브캐리어 블럭에 속하는 각 서브캐리어의 차분 SNR값을 재생한다. 단계 ST1805에서의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 이 처리 흐름은 종료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150)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SNR과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평균 SNR에 근거하여,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SNR값을 설정하고, 평균 SNR을 나타내는 값과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SNR을 나타내는 값을 표시하는 CSI 프레임을 생성한다. 한편, 송신 장치(100)에 있어서, CSI 프레임으로부터, 평균 SNR을 나타내는 값과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SNR을 나타내는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평균 SNR을 나타내는 값과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SNR을 나타내는 값에 근거하여 각 서브캐리어의 SNR을 생성한다. 이 때문에, 평균 SNR과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SNR의 조합을, 수신 장치(150)로부터 송신 장치(100)로 피드백할 수 있어, 송신 장치(100)에 의해 각 서브캐리어의 SNR 을 각 서브캐리어의 식별 정보 없이 재생하여 적절한 송신 제어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서브캐리어의 식별 정보를 피드백할 필요성을 없앨 수도 있어, 이에 따라, 고(高) 스루풋을 유지하면서, 피드백 정보의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사이에서 높은 상관을 갖는 SNR을 회선 상태 레벨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블럭 사이즈 설정을 최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수신 장치에 마련된 CSI 프레임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본 실시예의 수신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수신 장치(150)와 마찬가지의 기본적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의 CSI 프레임 생성부(166)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CSI 프레임 생성부(166)의 룩업 테이블부(186) 및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187) 대신에, 룩업 테이블부(201) 및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202)를 갖는다. 또한, 지연 분산 추정부(203)를 더 갖는다.
취득 수단으로서의 지연 분산 추정부(203)는, 전송로 응답 추정부(165)에서 얻어진 전송로 응답 추정값을 이용하여, 전송로의 지연 분산을 추정한다. 이 추정의 결과로서, 지연 분산 추정값을 얻는다.
유지 수단으로서의 룩업 테이블부(201)는,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부(185)의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에 이용하는 룩업 테이블의 설정 내용의 전환을 한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룩업 테이블부(186)와 다르다. 즉, 룩업 테이블부(201)는, 지연 분산 추정부(203)에서 얻어진 지연 분산 추정값에 근거하여, 룩업 테이블의 설정 내용을 전환한다. 그 이외의 점에 있어서는, 룩업 테이블부(201)는 룩업 테이블부(186)와 마찬가지이다.
생성 수단으로서의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202)는, CSI 프레임 작성시에 있어, 지연 분산 추정부(203)에서 얻어진 지연 분산 추정값을 더 이용한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187)와 다르다. 그 이외의 점에 있어서는,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202)는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187)와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상기 구성을 갖는 CSI 프레임 생성부(166)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연 분산 추정부(203)에서는, 전송로 응답 추정부(165)에서 산출된 전송로의 주파수 응답값인 전송로 응답 추정값을 이용하여, 전송로의 지연 분산 추정값의 산출을 행한다.
전송로 응답의 지연 분산을 추정하는 방법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에 그 예를 든다.
예컨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송로의 주파수 응답의 SNR 특성(진폭 특성이어도 좋음)에 대하여, 임의의 임계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그 임계값을 위에서 아래로 교차하는 회수(이하, 「레벨 교차 회수」라고 함)로부터, 단위 주파수당 변동의 심한 정도를 검출한다. 레벨 교차 회수가 많은 경우, 전송로 응답의 주파수 상관, 즉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이 낮다. 반대로 레벨 교차 회수가 적은 경우에는,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이 높다. 따라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연 분산이 크면 주파수 상관이 낮고, 또한 지연 분산이 작으면 주파수 상관이 큰 관계에 있기 때문에, 레벨 교차 회수로부터 지연 분산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도 23(a)∼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송로의 주파수 응답(도 23(a))을 푸리에 변환에 의해 시간 영역(도 23(b))으로 변환함으로써, 전송로의 임펄스 응답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임펄스 응답으로부터 지연 분산을 산출하여도 좋다. 혹은, 이 임펄스 응답을 시간 평균하여 얻어지는 지연 프로파일로부터 지연 분산을 산출하여도 좋다. 전파 환경이 현저히 변화하지 않는 범위이면 시간 평균한 지연 프로파일을 이용한 쪽이, 보다 정밀도 좋게 지연 분산을 추정할 수 있다.
도 23(a)∼도 23(c)에 나타낸 예에서는, 주파수 응답을 추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지연 프로파일을 구하였지만, 지연 프로파일의 생성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파일럿 신호 등의 수신 결과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서 직접적으로 임펄스 응답을 구하여도 좋다.
지연 분산 추정부(203)에서는, 예컨대 도 2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검출된 레벨 교차 회수 NL에 대응하는 지연 분산 추정값을 취득한다. 그 리고, 취득한 지연 분산 추정값을 룩업 테이블부(201) 및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202)에 출력한다.
룩업 테이블부(201)에서는, 지연 분산 추정부(203)로부터 입력되는 지연 분산 추정값의 크기에 따라서, 룩업 테이블의 설정값을 전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된 지연 분산 추정값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룩업 테이블의 설정을 선택한다. 여기서, 각각의 지연 분산 추정값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의 설정값은, 도 26∼도 28에 도시되어 있다. 도 26은, 도 25에 있어서 설정 A가 선택되었을 때에 이용되는 제 1 룩업 테이블을 나타내고, 도 27은, 도 25에 있어서 설정 B가 선택되었을 때에 이용되는 제 2 룩업 테이블을 나타내며, 도 28은, 도 25에 있어서 설정 C가 선택되었을 때에 이용되는 제 3 룩업 테이블을 나타낸다. 또, 지연 분산의 추정을 하고 나서 룩업 테이블 설정값의 선택까지의 제어 방법은, 상기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지연 분산 추정부(203)로부터 레벨 교차 회수 NL을 출력하고, 룩업 테이블부(201)에서는 레벨 교차 회수 NL로부터 룩업 테이블의 설정값을 선택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룩업 테이블부(201)에 유지되는 룩업 테이블은, 특징으로서 주로 다음 2개의 설정을 갖는다.
제 1 설정으로서는, ΔSNR값이 작은 경우에는 블럭 사이즈가 작게 설정되고, ΔSNR값이 큰 경우에는 블럭 사이즈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설정은, 실시 예 1에서 설명한 도 6의 룩업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서브캐리어의 ΔSNR값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통계적인 관계(도 7)에 근거하고 있다. 즉, 임의의 서브캐리어의 ΔSNR값이 작을수록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은 작고, 임의의 서브캐리어의 ΔSNR값이 클수록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은 크다.
제 2 설정으로서는, 지연 분산이 큰 경우에는 블럭 사이즈가 작게 설정되고, 지연 분산이 작은 경우에는 블럭 사이즈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설정은,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 지연 분산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통계적인 관계에 근거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지연 분산 추정값의 크기에 따라서, 복수의 룩업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룩업 테이블의 설정 전환 방법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룩업 테이블에 있어서, 지연 분산 추정값의 함수를 ΔSNR값에 대응시켜 미리 설정해 두고, 그 함수로부터 블럭 사이즈를 구하도록 하여도 좋다.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202)에서는, 도 3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프레임 포맷을 갖는 CSI 프레임을 생성한다. 도 30에서는, CSI 프레임의 선두부측에 지연 분산 추정값이 배치되고, 지연 분산 추정값에 이어서 평균 SNR값이 배치되며, 평균 SNR값에 이어서 블럭 번호가 작은 순서대로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차분 SNR값이 배치된다. 또, 도 30에 나타내는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는 대신에, 도 31에 나타내는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31에서는, 평균 SNR값에 이어서, 블럭 번호가 작은 순서대로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SNR값이 배치된다.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SNR값은, CSI 프레임 생성부(166)에 있어서 평균 SNR값과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의 합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취득된다.
또, 프레임 포맷은 상기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평균 SNR값이 CSI 프레임의 말미에 부가되는 프레임 포맷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는, 블럭 번호가 큰 순서대로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차분 SNR값 혹은 SNR값이 배치되는 프레임 포맷을 채용하여도 좋다. 송수신간에 공통으로 규정된 배치 순서를 갖는 것이면, 임의의 프레임 포맷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지연 분산 추정값을 각종 SNR값과 동일한 CSI 프레임에 배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CSI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프레임 포맷을 채용하고, 지연 분산 추정값에 있어서는 별도의 프레임으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지연 분산 추정값을 송신 장치(100)에 보내는 타이밍에 동기하여 룩업 테이블의 설정이 전환되는 것과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에 마련된 CSI 프레임 처리부에 대하여, 도 3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의 송신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송신 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기본적 구성을 갖고, 본 실시예의 CSI 프레임 처리부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CSI 프레임 생성부(110)와 동일한 기본적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에 나타내는 CSI 프레임 처리부(110)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130) 및 룩업 테이블부(132) 대신에,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210) 및 룩업 테이블부(212)를 갖는다.
추출 수단으로서의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210)는, 수신 장치(150)로부터 보내지는 CSI 프레임으로부터, 지연 분산 추정값, 평균 SNR값 및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을 추출하여, 평균 SNR값은 가산부(133)로,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은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로, 지연 분산 추정값은 룩업 테이블부(212)로 각각 출력한다.
유지 수단으로서의 룩업 테이블부(212)는, 수신 장치(150) 내에 마련된 룩업 테이블부(201)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6∼도 28(또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송수신간 공통의 룩업 테이블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로부터 차분 SNR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차분 SNR값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를, 설정에 따라서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131)로 출력한다.
또한, 룩업 테이블부(212)는,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지연 분산 추정값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150)의 룩업 테이블부(201)와 완전히 동일한 동작에 의해, 룩업 테이블의 설정 내용의 전환을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150)에 있어서, 지연 분산이 클수록 블럭 사이즈를 작게 하는 한편, 지연 분산이 작을수록 블럭 사이즈를 크게 하는 설정을 행하여, 지연 분산을 나타내는 값을 더 표시하는 CSI 프레임을 생성한다. 또한, 송신 장치(100)에 있어서, CSI 프레임에 표시된 지연 분산을 나타내는 값을 추출하고, 지연 분산이 클수록 블럭 사이즈를 작게 하는 한편, 지연 분산이 작을수록 블럭 사이즈를 크게 하는 설정을 한다. 이 때문에, 지연 분산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히 블럭 사이즈 설정을 할 수 있어, 서브캐리어의 그룹화에 의해 발생하는 각 서브캐리어의 SNR의 오차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연 분산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관계 및 차분 SNR값과 인접 서브캐리어간 상관과의 관계를 반영한 설정을 갖는 룩업 테이블에 따라서 블럭 사이즈 설정과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 또는 SNR값의 설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그룹화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항상 일정 레벨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연 분산과 차분 SNR값과의 조합에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를 송수신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어, 송수신간에 모순이 없는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수신 장치에 마련된 CSI 프레임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본 실시예의 수신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수신 장치(150)와 마찬가지의 기본적 구성을 갖고, 본 실시예의 CSI 프레임 생성부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CSI 프레임 생성부(166)와 마찬가지의 기본적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CSI 프레임 생성부(166)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187) 대신에,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301)를 갖는다. 또한, MCS 결정부(302) 및 가산부(303)를 더 갖는다.
가산부(303)는, 서브캐리어 블럭 구성부(185)의 출력인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차분 SNR값과 평균 품질 레벨 산출부(182)의 출력인 평균 SNR값의 가산을 함으로써,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SNR값을 산출한다.
MCS 결정부(302)는, 입력된 SNR값에 대응하는 변조 부호화 방식(MCS) 파라미터(이하, 「MCS값」이라고도 함)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SNR값에 대응하는 MCS값과, 각 블럭의 SNR값에 대응하는 MCS값을 결정하여 출력한다. 입력된 SNR값이 작으면, 잡음 등의 외란에 강한 MCS값을 선택한다. 또한, 입력된 SNR값이 크면, 변조 다치수가 큰 변조 방식을 포함하는 MCS값이나, 큰 부호화율을 포함하는 MCS값을 선택한다.
여기서, MCS 파라미터(MCS값)는 변조 방식 및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및 그 부호화율의 조합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MCS값에 대하여 블럭 사이즈의 정보를 부여하기 때문에, 룩업 테이블과 MCS값은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호 관계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MCS값이 대응하는 SNR값의 범위와 룩업 테이블의 각 블럭 사이즈가 대응하는 ΔSNR값의 범위가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룩업 테이블의 임계값 a에서 임계값 g가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MCS값이 대응하는 ΔSNR값의 범위가 3㏈ 간격으로 전환되는 것과 같은 설정을 갖는 테이블이, MCS 결정부(302)에서 이용되는 경우,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블럭 사이즈가 대응하는 ΔSNR값의 범위도 3㏈ 간격으로 전환되는 설정을 갖는 룩업 테이블이, 룩업 테이블부(186)에 유지되어 있다. 또, 룩업 테이블에서의 전환 간격을, MCS값 결정용 테이블에서의 전환 간격의 정수배로 설정하여도 좋다.
따라서, MCS값과 블럭 사이즈의 대응 관계는, 평균 SNR값의 증감에 연동하여 슬라이드한다. 예컨대, 평균 SNR값이 증대하여, 대응하는 MCS값이, 도 37에 도시하는 「변조 방식=BPSK, 부호화율 R=3/4」의 상태로부터, 도 38에 도시하는 「변조 방식=16QAM, 부호화율 R=3/4」의 상태로 변화하면, 각 MCS 파라미터와 각 블럭 사이즈의 대응 관계도 슬라이드하여, 도 37에 도시하는 것으로부터 도 38에 도시하는 것으로 변화한다.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301)는, MCS 결정부(302)로부터 출력되는 각 MCS값, 즉, 평균 SNR값에 대응하는 MCS값과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MCS값을 이용하여,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프레임 포맷을 갖는 CSI 프레임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SNR값에 대응하는 MCS값은,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이용되고,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MCS값은,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회선 상태 레벨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이용된다. 도 39에서는, CSI 프레임의 선두부측에 평균 SNR값에 대응하는 MCS값이 배치되고, 평균 SNR값에 대응하는 MCS값에 이어서 블럭 번호가 작은 순서대로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MCS값이 배치된다.
또, 프레임 포맷은 상기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평균 SNR값에 대응하는 MCS값이 CSI 프레임의 말미에 부가되는 프레임 포맷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는, 블럭 번호가 큰 순서대로 각 서브캐리어 블럭의 MCS값이 배치되는 프레임 포맷을 채용하여도 좋다. 송수신간에 공통으로 규정된 배치 순서를 갖는 것이면, 임의의 프레임 포맷을 채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에 마련된 CSI 프레임 처리부에 대하여 도 4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의 송신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송신 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기본적 구성을 갖고, 본 실시예의 CSI 프레임 처리부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CSI 프레임 처리부(110)와 마찬가지의 기본적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CSI 프레임 처리부(110)는,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310),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311), 룩업 테이블부(312) 및 회선 상태 메모리부(313)를 갖는다.
추출 수단으로서의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310)는, 수신 장치(150)로부터 보내지는 CSI 프레임으로부터 평균 SNR값에 대응하는 MCS값과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MCS값을 추출하여, 평균 SNR값의 MCS값은 룩업 테이블부(312)로,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MCS값은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311)로 각각 출력한다.
유지 수단으로서의 룩업 테이블부(312)는, 도 37이나 도 3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룩업 테이블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310)로부터 입력된, 평균 SNR값에 대응하는 MCS값에 근거하여, MCS값과 블럭 사이즈와의 대응 관계를 슬라이드시킨다. 예컨대,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310)로부터 입력된 MCS값이 「변조 방식=BPSK, 부호화율 R=3/4」인 경우, 룩업 테이블의 설정 내용은,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또한, 예컨대,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310)로부터 입력된 MCS값이 「변조 방식=16QAM, 부호화율 R=3/4」인 경우, 룩업 테이블의 설정 내용은,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그리고,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311)로부터 서브캐리어 블럭의 MCS값이 입력되면, 그 MCS값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를, 룩업 테이블의 설정에 따라서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311)로 출력한다.
생성 수단으로서의 서브캐리어 블럭 분해부(311)는,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310)로부터 입력된 서브캐리어 블럭마다의 MCS값에 대응하는 블럭 사이즈를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입력된 MCS값을 블럭 사이즈분만큼 복제함으로써, 각 서브캐리어 블럭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MCS값을 생성한다. 생성된 서브캐리어마다의 MCS값은, 회선 상태 메모리부(313)에 출력된다.
회선 상태 메모리부(313)는, 생성된 서브캐리어마다의 MCS값을 유지한다. 유지된 MCS값은, 서브캐리어마다의 CSI로서 변조 파라미터 결정부(111)에 출력된다. 이 경우, 변조 파라미터 결정부(111)는, 회선 상태 메모리부(313)로부터 입력되는 MCS값을 송신 제어에 이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150)에 있어서 MCS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그 MCS 파라미터를 송신 장치(100)에 피드백하는 것과 같은 폐루프형의 적응 송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장치(100)에서는, 피드백된 MCS 파라미터를 활용하여 블럭 사이즈 설정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본 실시예의 CSI 프레임 처리부(110)에, 실시예 2에서 설명한 피드백 프레임 처리부(210) 및 룩업 테이블부(212)의 각 특징을 포함 시키는 동시에, 본 실시예의 CSI 프레임 생성부(166)에,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룩업 테이블부(201), 피드백 프레임 생성부(202) 및 지연 분산 추정부(203)의 각 특징을 포함시켜도 좋다. 이 경우,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지연 분산에 근거하는 적응 송신 제어를, 본 실시예의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150)에 있어서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는 Node B, 통신 단말 장치는 UE, 서브캐리어는 톤(Tone)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럭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원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원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서는, LSI로 하였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수퍼 LSI, 울트라 LSI로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방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하여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재구성 가능 프로세서(reconfigurable processor)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로 치환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럭의 집적화를 실시하여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4년 9월 17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4-272386 호에 기초한다. 그 내용을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본 발명의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및 송신 제어 장치는, 멀티캐리어 전송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단말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5)

  1.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과 상기 기준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서브캐리어에 의한 송신의 제어에 이용하는 프레임으로서, 산출된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1 값과 설정된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2 값을 표시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
    을 갖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와 상기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의 설정을 행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의 상기 기준 회선 상태 레벨에 대한 상대적 크기가 클수록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크게 하는 한편, 상기 그룹의 상대적 크기가 작을수록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작게 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대적 크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그룹 사이즈를 나타내는 테이블로서, 상대적 크기가 작을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작고, 또한 상대적 크기가 클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큰 설정을 갖는 테이블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와 상기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설정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테이블에 표시된 복수의 그룹 사이즈 중 상기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의 상대적 크기에 대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설정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테이블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적 크기 중 설정된 그룹 사이즈에 대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설정하 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지연 분산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지연 분산이 클수록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작게 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지연 분산이 작을수록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크게 하는 설정을 행하며,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지연 분산을 나타내는 제 3 값을 더 표시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연 분산 중 어느 하나와 복수의 상대적 크기 중 어느 하나와의 조합에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를 복수 나타내는 테이블로서, 지연 분산이 클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작고, 또한 지연 분산이 작을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큰 제 1 설정과, 상대적 크기가 작을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작고, 또한 상대적 크기가 클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큰 제 2 설정을 갖는 테이블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와 상기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설정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테이블에 표시된 복수의 그룹 사이즈 중 취득된 지연 분산에 대응하는 것을 선택하고, 선택된 그룹 사이즈 중 상기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의 상대적 크기에 대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설정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테이블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적 크기 중 설정된 그룹 사이즈에 대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설정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회선 상태 레벨은 신호 대 잡음 전력비이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평균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를 산출하며,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그룹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의 상기 평균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에 대한 상대적 크기를 설정하고,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평균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를 상기 제 1 값으로서 표시하고, 또한 상기 그룹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의 상대적 크기를 상기 제 2 값으로서 표시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회선 상태 레벨은 신호 대 잡음 전력비이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평균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를 산출하며,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그룹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를 설정하고,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평균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를 상기 제 1 값으로서 표시하고, 또한 상기 그룹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를 상기 제 2 값으로서 표시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회선 상태 레벨에 따라 기준의 변조 부호화 방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동시에, 상기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에 따라 상기 그룹의 변조 부호화 방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기준의 변조 부호화 방식 파라미터를 상기 제 1 값으로서 표시하고, 또한 상기 그룹의 변조 부호화 방식 파라미터를 상기 제 2 값으로서 표시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의 평균을 대수값으로 산출하여, 산출된 평균값을 이용해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설정하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14. 프레임에 각각 표시된 제 1 값 및 제 2 값으로서,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기 준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1 값과,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나타내는 제 2 값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기준 회선 상태 레벨과 상기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생성된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서브캐리어에 의한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갖는 송신 제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그룹의 상기 기준 회선 상태 레벨에 대한 상대적 크기가 작을수록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작게 하는 한편, 상기 그룹의 상대적 크기가 클수록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크게 하는 설정을 행하는 송신 제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대적 크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그룹 사이즈를 나타내는 테이블로서, 상대적 크기가 작을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작고, 또한 상대적 크기가 클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큰 설정을 갖는 테이블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설정하는
    송신 제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테이블에 표시된 복수의 그룹 사이즈 중 상기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의 상대적 크기에 대응하는 것을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로서 설정하는 송신 제어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표시된 제 3 값으로서,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지연 분산을 나타내는 제 3 값을 추출하고,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지연 분산이 클수록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작게 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지연 분산이 작을수록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크게 하는 설정을 행하는
    송신 제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연 분산 중 어느 하나와 복수의 상대적 크기 중 어느 하나와의 조합에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를 복수 나타내는 테이블로서, 지연 분산이 클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작고, 또한 지연 분산이 작을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큰 제 1 설정과, 상대적 크기가 작을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작고, 또한 상대적 크기가 클수록 대응하는 그룹 사이즈가 큰 제 2 설정을 갖는 테이블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설정하는
    송신 제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테이블에 표시된 복수의 그룹 사이즈 중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지연 분산에 대응하는 것을 선택하고, 선택된 그룹 사이즈 중 상기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의 상대적 크기에 대응하는 것을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로서 설정하는 송신 제어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수단은, 상기 제 1 값으로서 표시된,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평균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를 추출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값으로서 표시된, 상기 그룹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의 상기 평균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에 대한 상대적 크기를 추출하며,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그룹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의 상대적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설정하는
    송신 제어 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수단은, 상기 제 1 값으로서 표시된,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평균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를 추출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값으로서 표시된, 상기 그룹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를 추출하며,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그룹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의 상기 평균의 신호 대 잡음 전력비에 대한 상대적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설정하는
    송신 제어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수단은, 상기 제 1 값으로서 표시된,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기준의 변조 부호화 방식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값으로서 표시된, 상기 그룹의 변조 부호화 방식 파라미터를 추출하며,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그룹의 변조 부호화 방식 파라미터의 상기 기준의 변조 부호화 방식 파라미터에 대한 상대적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의 그룹 사이즈를 설정하는
    송신 제어 장치.
  24.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와,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과 상기 기준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서브캐리어에 의한 송신의 제어에 이용하는 프레임으로서, 산출된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1 값과 설정된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2 값을 나타내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를 갖는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방법.
  25. 프레임에 각각 표시된 제 1 값 및 제 2 값으로서, 복수의 서브캐리어간의 기준 회선 상태 레벨을 표시하는 제 1 값과,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을 나타내는 제 2 값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상기 기준 회선 상태 레벨과 상기 그룹의 그룹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생성된 서브캐리어 회선 상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서브캐리어에 의한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갖는 송신 제어 방법.
KR1020077003718A 2004-09-17 2005-09-15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및 송신 제어 장치 KR20070052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72386 2004-09-17
JPJP-P-2004-00272386 2004-09-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758A true KR20070052758A (ko) 2007-05-22

Family

ID=3606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718A KR20070052758A (ko) 2004-09-17 2005-09-15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및 송신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52814B2 (ko)
EP (1) EP1786130A1 (ko)
JP (1) JP4647612B2 (ko)
KR (1) KR20070052758A (ko)
CN (1) CN101023613A (ko)
BR (1) BRPI0515461A (ko)
WO (1) WO2006030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7692B2 (en) 2004-06-18 2007-03-27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erasure detection and erasure-rate-based closed loop power control
US8452316B2 (en) * 2004-06-18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orthogonal multiplexing
US7594151B2 (en) * 2004-06-18 2009-09-22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power control in an orthogonal system
DE602004010294D1 (de) * 2004-12-21 2008-01-03 St Microelectronics Srl Verfahren, Vorrichtung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r Kanalschätzung von Übertragungskanälen mit Gedächtnis basierend auf der Schätzung des RMS-DS-Wertes
US8488459B2 (en) * 2005-03-04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and quality of service (QoS) implemen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995547B2 (en) 2005-03-11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uplink resources to provide channel performance feedback for adjustment of downlink MIMO channel data rates
US8724740B2 (en) 2005-03-11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uplink resources to provide channel performance feedback for adjustment of downlink MIMO channel data rates
US7512412B2 (en) * 2005-03-15 2009-03-3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and overlapping control for a quasi-orthogonal communication system
US8848574B2 (en) 2005-03-15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42639B2 (en) 2005-03-1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123599A1 (en) * 2005-07-25 2008-05-29 Yoshihito Ishibashi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US8229448B2 (en) 2005-08-01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channel quality feedback in a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
US8073068B2 (en) 2005-08-22 2011-12-06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virtual antenna transmission
US20070041457A1 (en) 2005-08-22 2007-02-22 Tamer Kadou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68890A (ko) * 2005-10-27 2008-07-2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 로딩을 추정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JP4752523B2 (ja) * 2006-01-26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US7830977B2 (en) * 2006-05-01 2010-11-09 Intel Corporation Providing CQI feedback with common code rate to a transmitter station
KR101285379B1 (ko) 2006-06-16 201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 링크에서의 부 반송파 배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송신 장치
US8320396B2 (en) * 2006-07-21 2012-11-27 Adaptix, Inc. Subcarrier group based power control for OFDMA systems
CA2660759C (en) 2006-09-06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Codeword permutation and reduced feedback for grouped antennas
US8442572B2 (en) * 2006-09-08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ments for delta-base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670777B2 (en) * 2006-09-08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other sector interference (OSI) adjustment
US8223854B2 (en) * 2007-01-10 2012-07-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signaling and user data in a single carrie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KR101241908B1 (ko) * 2007-01-30 2013-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채널 환경에 따른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신기,귀환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353058B1 (ko) * 2007-02-12 2014-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를 이용한 무선 랜 핸드오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7826521B1 (en) * 2007-02-28 2010-11-02 Atheros Communications, Inc. Rate adaptation using error vector magnitude
US20080267269A1 (en) * 2007-04-30 2008-10-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WO2008152692A1 (ja) * 2007-06-12 2008-12-18 Fujitsu Limited 周波数分割多重伝送装置
US7933350B2 (en) * 2007-10-30 2011-04-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dependent frequency-domain scheduling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s system
US20090116570A1 (en) * 2007-11-02 2009-05-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precoding matrix indicator and rank information
JP2009182578A (ja) * 2008-01-30 2009-08-13 Fujitsu Ltd Mimo−ofdm受信装置およびmimo−ofdm通信システム
JP4955614B2 (ja) * 2008-06-25 2012-06-2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1656599B (zh) * 2008-08-19 2012-10-03 富士通株式会社 子信道选择方法和装置及使用该装置的接收机
WO2010027307A1 (en) * 2008-09-04 2010-03-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por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for multiple channels
US8488691B2 (en) 2008-10-08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loading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 communication systems
US20120008532A1 (en) * 2008-12-24 2012-01-12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sub-packets
WO2010116453A1 (ja) * 2009-03-30 2010-10-14 富士通株式会社 送信装置における制御方法、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8233434B2 (en) * 2009-05-01 2012-07-31 Clearwire Ip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control of an averaging parameter for PCINR and RSSI
JP2011023942A (ja) * 2009-07-15 2011-02-03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装置及び変調・符号化方式選択方法
JP5394894B2 (ja) 2009-11-10 2014-01-22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1082827A1 (en) * 2010-01-08 2011-07-14 Nokia Siemens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to transmit/receive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405501B2 (ja) * 2010-02-25 2014-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8731090B2 (en) * 2010-10-04 2014-05-20 Marvell World Trade Ltd. Compressed feedback format for WLAN
EP2663130B1 (en) * 2011-01-04 2018-08-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node in a distributed multi-node system
US9198071B2 (en) * 2012-03-19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onfiguring and reporting for a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scheme
EP2779504A1 (en) * 2013-03-12 2014-09-17 ST-Ericsson SA Adapted bit loading for OFDM system using modulus and phase of estimated transfer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US9876603B2 (en) * 2013-08-01 2018-01-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rameter control for optical multicarrier signal
KR20150097048A (ko) * 2014-02-17 2015-08-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tn 기반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신호 복호화 방법
CN104468032B (zh) * 2014-11-04 2019-03-01 北京邮电大学 一种应用于高速铁路的移动宽带卫星通信系统自适应调制编码波束切换方法
WO2016070388A1 (zh) * 2014-11-06 2016-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非线性预编码的比特加载方法、发送端、接收端及系统
EP3291458B1 (en) * 2015-04-30 2020-08-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ransmission station, control station, reception station, data transfer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CA3067186C (en) * 2018-05-02 2023-08-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15426078B (zh) * 2022-08-29 2024-07-3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通信系统和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9178B2 (ja) * 1999-11-30 2003-03-24 株式会社東芝 Ofdm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JP3826653B2 (ja) 2000-02-25 2006-09-27 Kddi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のサブキャリア割当方法
JP2001351971A (ja) 2000-06-08 2001-12-21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80993A (ja) * 2001-03-22 2002-09-27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信号復調装置
JP3875079B2 (ja) 2001-11-16 2007-01-31 ソフトバンクテレコム株式会社 直交周波数分割多重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装置
JP3875086B2 (ja) * 2001-11-30 2007-01-31 ソフトバンクテレコム株式会社 直交周波数分割多重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装置
US9473269B2 (en) * 2003-12-01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control channel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6130A1 (en) 2007-05-16
JP4647612B2 (ja) 2011-03-09
CN101023613A (zh) 2007-08-22
JPWO2006030867A1 (ja) 2008-05-15
WO2006030867A1 (ja) 2006-03-23
US7852814B2 (en) 2010-12-14
US20080056181A1 (en) 2008-03-06
BRPI0515461A (pt) 2008-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2758A (ko) 송신 제어 프레임 생성 장치 및 송신 제어 장치
US10476645B2 (en)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JP4598003B2 (ja) 送信制御フレーム生成装置、送信制御フレーム処理装置、送信制御フレーム生成方法および送信制御フレーム処理方法
KR101396142B1 (ko) 시간 주파수로 인터리빙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성능 개선 방법
US79121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reference signals in OFDM systems using transmission time interval groupings
KR20060090379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자동 이득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070067680A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20060246916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ubcarrier assignment method
KR101231339B1 (ko) 신호대잡음비 추정 방법, 적응적 변조 및 코딩 방식 결정방법 및 수신기
US2009027941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50027563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자원 할당장치 및 방법
KR20120103757A (ko) 무선 송신 장치 및 변조 방식의 선택 방법
KR10231881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 기법을 위한 전처리 방법 및 장치
JPWO2006092899A1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070015996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수신장치 및 방법
KR100763529B1 (ko)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에서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1028650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eption quality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KR101561740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부반송파간 간섭 제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JPWO2007015317A1 (ja) 送信機、受信機、通信方法及び送受信システム
KR20060087346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자동 이득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080094415A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셀 간섭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417027B1 (ko) Ofdm방식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주파수 블록 도약 방법, 그 시스템 그리고 기지국 장치
WO2008041632A1 (fr) Dispositif de génération d'informations de rapport, dispositif de communication, procédé de génération d'informations de communication, et programme de génération d'informations de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