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867A - 치과 기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기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867A
KR20070051867A KR1020077004451A KR20077004451A KR20070051867A KR 20070051867 A KR20070051867 A KR 20070051867A KR 1020077004451 A KR1020077004451 A KR 1020077004451A KR 20077004451 A KR20077004451 A KR 20077004451A KR 20070051867 A KR20070051867 A KR 20070051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dental
instrument
dental instrume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쟈끄 뻬르노
Original Assignee
미크로-메가 엥떼르나씨오날 마뉘팍뛰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크로-메가 엥떼르나씨오날 마뉘팍뛰르 filed Critical 미크로-메가 엥떼르나씨오날 마뉘팍뛰르
Publication of KR2007005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2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 A61C1/144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constricting the operating tool, e.g. chu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1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in an angled handpie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굽힘 헤드 내에 삽입되는 상부에 회전용 측면 편평부와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환형 홈을 포함하는 유형의 기구로서, 역굽힘 헤드 내에 치과 기구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섕크의 단부에 형성되고 보어(7b) 내에서 나타나며 섕크의 길이방향 축(7e)에 대해 중심에서 벗어난 횡단 컷백(7d)을 포함하고, 한편으로는 회전식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의 측면 편평부가 길이방향 축(7c)에 가장 가까운 상기 컷백의 벽(7f)과 접촉할 수 있도록 다른 한편으로는 삽입방향으로 축방향 정지부의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의 편평부의 어깨부가 섕크의 길이방향 보어(7b)의 바닥부(7c)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치과 기구의 손잡이가 결합되게 상기 컷백의 폭(l)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장치는 미리 조립되고, 섕크(7)와, 섕크 베어링(10)과, 탄성 링(8)과, 스프링(12)이 장착된 누름-버튼(13)과, 선택적인 볼 베어링(11)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형태이다.
헤드, 손잡이, 섕크, 치과 기구

Description

치과 기구 고정장치{DEVICE FOR HOLDING A DENTAL INSTRUMENT}
본 발명은 역굽힘 헤드 내에 치과 기구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 "역굽힘"이라고 지칭될 치아의 각도 또는 역굽힘 핸드피스(handpiece)의 헤드에 예를 들어 버(bur; 이를 깍거나 구멍을 뚫는 기계)와 같은 치과 도구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와 같은 치과 기구는 작동부와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고, 손잡이는 여러가지 형태의 손잡이의 기하형태를 한정하는 기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우리는 역굽힘 헤드 내에 삽입되는 상부 내에 역굽힘 헤드 내에 기구를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홈과 기구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 평평부를 갖는 손잡이를 고정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여러가지 사용법에 적합하고 또한 역굽힘이 사용되는 목적이 더 큰 또는 더 작은 힘과 토크를 요구하는 지에 따라 달라지는 여러가지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도구를 고정하고 구동시키기 위한 가변적인 복잡한 장치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 특허 2 570 269에 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 는 높은 토크를 전달할 수 있고 기구의 제거에 대해 매우 좋은 저항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결점은 구성요소 부품의 수에 있어서 복잡하고 생산되는 부품이 복잡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치가 프랑스 특허 2 840 800에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는 단순한 클램핑 시스템에 기초하는 것이다. 부품의 수의 측면에서 그리고 이 부품의 생산 면에서 매우 간단하지만, 이를 위해 기구가 평평한 부분에 의해 능동적으로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토크를 견딜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간단하고 높은 토크를 전달하고 견딜 수 있으며, 기구의 축방향 비틀림을 잘 견딜 수 있는, 회전용 편평부와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는, 치과 기구를 역굽힘 헤드 내에 고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역굽힘 헤드의 구동 섕크 내에 치과 기구를 고정하는 장치로 구성되고 이러한 형태의 기구는 역굽힘 헤드 내에 삽입되는 상부에서 회전용 측면 편평부와 축방향 유지용 환형 홈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섕크는 사용 위치에 결합될 때 상기 치과 기구 내의 홈과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위치되는 환형 홈을 더 포함하고, 입구로부터 평평한 바닥부 보어까지 가장 멀리 떨어진 섕크 내의 홈의 표면이 상기 치과 기구의 작동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치과 기구 내의 홈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고, 제거 방향으로의 축방향 유지가 치과 기구 내의 홈과 섕크 내의 홈 모두에 결합되는 부분에 의해 보장된다.
상기 치과 기구 고정장치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아암에 의해 축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링 형태의 기구를 축방향으로 유지시키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의 각각은 링의 축쪽으로 방사상으로 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의 적어도 일부는 섕크 내의 환형 홈과 상기 기구의 손잡이 내의 환형 홈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치과 기구 고정장치는 필요시 수선 또는 세척을 위해 쉽게 교체되고 제거될 수 있는 카트리지 형태이다. 상기 카트리지는, 미리 조립된, 섕크와, 섕크 베어링과, 탄성 링과, 스프링을 갖는 누름-버튼과, 선택적인 볼 베어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비제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역굽힘을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역굽힘 헤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역굽힘 헤드로부터 제거되고 길이방향 단면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FF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5의 장치에서 사용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섕크(shank)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섕크의 평면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섕크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섕크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속하는 누름-버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1은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장치의 탄성 링의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은 이하 설명될 여러 구성요소의 위치를 보다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역굽힘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여주고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도 2는 역굽힘 헤드(1) 및 역굽힘 목(2)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목(2)은 구동 전달 부재, 즉 단부에 피니언(4)을 갖고 가이드 베어링(5)에 장착된 축(3)을 포함하고 있다. 피니언(4)은 섕크(7)의 대응하는 피니언 이빨(6)과 맞물린다.
섕크(7)는 단순히 링을 섕크 위에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섕크에 장착되는 탄성 고정 링(8)을 상부에서 수용한다.
도 11 및 도 12에 상세히 도시된 탄성 고정 링(8)은 고형의 원형 링(8a)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 링(8a)은 스커트 주위에서 규칙적으로 분포된(예를 들어 45도 의 각도로) 방사상 홈(8c)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각섹터(angular sector)로 나누어지는 스커트(8b)에 의해 한쪽에서 뻗어나간다. 이러한 섹터는 탄성 아암(8d)의 역할을 하고, 각각의 섹터는 링의 축(8f)을 향해 방사상으로 방향이 정해지고 섕크의 경사홈(9)에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8e)(삼각형 단면)를 포함한다(도 5 및 도 7). 섕크는 베어링(10)에 의해 회전식으로 가이드되며, 선택적으로 외부에서 섕크(7)에 끼워진 볼 베어링에 의해 회전식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형의 베어링(10)(도 3)은 베어링의 바디를 가지고 어깨부(10g)를 형성하는 칼라(10a) 내의 상부에서 종결된다.
내부에서, 베어링(10)은 섕크를 가이드하기 위한 중앙 보어(10b)와, 상부에는 탄성 아암(8d)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하우징(10c)과, 스프링(12)과 같은 탄성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원통형 하우징(10d)과, 하부에는 섕크의 이빨(7a)을 수용하기 위한 제3 하우징(10e), 길이방향으로 및 윤활유 및/또는 세척액의 통로가 되는 홈(10f)을 포함한다.
측면에서, 베어링(10)(도 4)은 도면부호 16로 표시된 곳에서 기계가공되어 구동 축의 피니언(4)의 이빨이 통과되도록 한다(도 2).
베어링(10)은 누름-버튼(13)을 밀어내는 스프링(12)용 지지부의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원형 모양의 누름-버튼(13)은(도 9 및 도 10) 버튼의 중앙축(13c)과 접하는 후크 형상의 테두리(13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를 이루는 칼라(13a)에 의해 외연에서 그리고 밑에서 경계를 이룬다.
버튼(13)은 또한 칼라와 동일한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선단에서 예각(α)을 갖는(약 30도) 절두원추형 중앙부(13c)를 하부에 포함한다.
상기 중앙부(13c)의 외부 원뿔형 표면은 돌출부(8e) 위에서 탄성 링(8)의 스커트(8b)내 개구의 내부에 제공되는 절두원추형 공동(8g)과 결합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아암(8d)의 모든 표면(8h)에 의해 생성된다(도 11 및 도 12). 중앙축(8f)에 대한 상기 표면의 경사(β)는 예를 들어 20도이다.
공동(8g)에 삽입될 때, 버튼의 중앙부(13c)는 아암(8d)을 분리시키고, 돌출부(8e)를 경사홈(9)과 분리시키고, 따라서 기구를 자유롭게 한다.
누름-버튼(13)은 보통의 경우에 공지의 역방향 각도인 역굽힘 헤드(1)가 아니라, 버튼의 후크(13b)로 구성되어 있고 베어링의 어깨부(10g) 아래에서 결합되는 스냅식 결합장치에 의해 베어링(10)에 고정된다.
기구가 섕크(7)에 고정되는 방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치과 기구의 손잡이(도면에 도시 안됨)는 구동을 위한 측면의 평평한 부분과, 축방향으로 유지시키는 횡단 경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기구의 손잡이는 회전부 또는 섕크(7)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섕크는 기구의 손잡이를 수용하는 평평한 바닥부(7c)를 갖는 길이방향 보어(7b)를 포함하고, 보어(7b)에서 드러나고 섕크의 단부에 제조된 섕크의 길이방향 축(7e)에 대해 중심이 벗어난 횡단 컷백(7d)을 포함한다.
두 개의 변형 실시예가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모든 경우에, 컷백의 폭(l)은, 한편으로는 회전식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손 잡이의 측면의 평평한 부분이 길이방향 축(7e)에 가장 가까운 컷백의 벽(7f)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또 한편으로는 삽입 방향으로 축방향 정지부로서 역할을 하도록 손잡이의 평평한 부분의 어깨부가 섕크의 길이방향 보어(7b)의 바닥부(7c)와 접하는 방식으로, 기구의 손잡이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섕크의 또 다른 특징은 사용 위치에서 결합될 때 실질적으로 기구 내의 홈과 똑같은 레벨이 되도록, 또한 입구로부터 평평한 바닥의 보어까지 가장 멀리 떨어진 섕크 내의 홈(9)의 표면(9a)이 기구의 작동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기구 내의 홈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이 되도록 환형 홈(9)을 갖고 있는 것이다. 기구 내의 홈과 섕크 내의 홈과 결합하는 부분에 의해 제거 방향으로 축방향 유지가 보장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 부분은 링(8)의 탄성 아암(8d)의 돌출부(8e)로 구성되어 있다.
생크에 기구를 고정하는 것과 링-버튼 조립체를 사용하여 해제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한 특징들을 조합하여, 출원인은 필요시 수선 또는 청소를 위해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제거할 수 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카트리지 형태의 새로운 구동 개념을 가지게 되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미리 조립된 도 3 및 도 4의 카트리지는 섕크(7)와, 섕크 베어링(10)과, 탄성 링(8)과, 스프링(12)을 갖는 누름-버튼(13)과, 선택적인 볼 베어링(1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카트리지는 구동의 정확한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섕크의 베어링(10) 내에 형성된 상보적인 형상부(15)와 상호작용하는 목(2)의 베어링(5)과 일체로 된 핑 거(14)에 의해 회전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와 헤드를 함께 결합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구체적으로, 조립의 관점에서, 카트리지는 베어링(5)을 또는 핑거(14)를 갖고 있지 않은 헤드에 결합되고(이 작용은 특별한 도구 없이 수행된다), 그 후 베어링(5)이 결합되어 위치되고, 따라서, 회전시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핑거(14)를 적절히 위치시키게 된다.
동일하게, 카트리지의 조립체의 각각의 높이에서의 모듈은 다음과 같이 고려될 수 있다:
- 베이링 및 탄성 링과 결합된 섕크,
- 스프링/누름-버튼 모듈,
- 볼 베어링 모듈.

Claims (10)

  1. 역굽힘 헤드 내로 삽입되는 상부에 회전용 측면 편평부와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환형 홈을 포함하는 유형의 기구로서, 치과 기구의 상부 또는 손잡이를 수용하고 역굽힘 손잡이 내에 포함된 구동 전달 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섕크인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는 섕크(7)의 대응하는 피니언 이빨(6)과 맞물리는 피니언(4)을 단부에 갖는 축(3)인, 역굽힘 헤드 내 치과 기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섕크는 상기 치과 기구의 손잡이를 수용하는 평평한 바닥부(7c)를 갖는 길이방향 보어(7b)를 포함하고, 상기 섕크의 단부에 형성되고 보어(7b) 내에서 나타나며 섕크의 길이방향 축(7e)에 대해 중심에서 벗어난 횡단 컷백(7d)을 포함하고, 한편으로는 회전식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의 측면 편평부가 길이방향 축(7c)에 가장 가까운 상기 컷백의 벽(7f)과 접촉할 수 있도록 다른 한편으로는 삽입방향으로 축방향 정지부의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의 편평부의 어깨부가 섕크의 길이방향 보어(7b)의 바닥부(7c)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치과 기구의 손잡이가 결합되게 상기 컷백의 폭(l)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섕크는 사용 위치에 결합될 때 상기 치과 기구 내의 홈과 동일한 높이 에 있도록 위치되는 환형 홈(9)을 더 포함하고, 입구로부터 평평한 바닥부 보어까지 가장 멀리 떨어진 섕크 내의 홈(9)의 표면(9a)이 상기 치과 기구의 작동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치과 기구 내의 홈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고, 제거 방향으로의 축방향 유지가 치과 기구 내의 홈과 섕크 내의 홈 모두에 결합되는 부분에 의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구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기구 고정장치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아암에 의해 축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링 형태의 기구를 축방향으로 유지시키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의 각각은 링의 축(8f)쪽으로 방사상으로 향하는 돌출부(8e)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의 적어도 일부는 섕크 내의 환형 홈(9)과 상기 기구의 손잡이 내의 환형 홈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구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유지 링은 스커트 주위에 규칙적으로 분포된 방사상 홈(8c)에 의해 한정되는 각섹터로 나누어진 스커트(8b)에 의해 한 측면에서 뻗어나오는 고형의 원형 링(8a)을 포함하고, 상기 각섹터는 탄성 아암(8d)의 역할을 하고 각각 링의 축(8f)쪽으로 방사상으로 향하고 섕크 내의 환형 홈(9)에 결합될 수 있는 삼각형 단면의 돌출부(8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구 고정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기구 고정장치는 누름-버튼(13)을 스냅식으로 결합하도록 사용되는 베어링의 바디를 가지고 어깨부(10b)를 형성하는 칼라(10a) 내에서 상부에서 종결하는 베어링(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구 고정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기구 고정장치는 돌출부(8e) 위에서 탄성 링(8)의 스커트(8b) 내의 개구 내부에서 제공되는 절두원추형 공동(8g)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칼라와 동일한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절두원추형 중앙부(13c)를 하부에서 포함하는 칼라에 의해 외연에서 그리고 하부에서 경계를 이루는 원형의 누름-버튼(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구 고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13)의 칼라는 그 자체가 상기 누름-버튼의 중앙축(13c)과 접하는 후크 모양의 테두리(13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구 고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기구 고정장치는 필요시 수선 또는 세척을 위해 쉽게 교체되고 제거될 수 있는 카트리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구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미리 조립된, 섕크(7)와, 섕크 베어링(10)과, 탄성 링(8)과, 스프링(12)을 갖는 누름-버튼(13)과, 선택적으로 볼 베어링(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구 고정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정확한 구동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섕크의 베어링(10) 내에 형성된 상보적인 형상부(15)와 상호작용하는 목(2)의 베어링(5)과 일체로 된 핑거(14)에 의해 회전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구 고정장치.
KR1020077004451A 2004-07-27 2005-04-12 치과 기구 고정장치 KR200700518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8252A FR2873566B1 (fr) 2004-07-27 2004-07-27 Dispositif de tenue d'un instrument dentaire
FR0408252 2004-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867A true KR20070051867A (ko) 2007-05-18

Family

ID=3494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451A KR20070051867A (ko) 2004-07-27 2005-04-12 치과 기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90142730A1 (ko)
EP (1) EP1773233A1 (ko)
JP (1) JP2008508011A (ko)
KR (1) KR20070051867A (ko)
CN (1) CN1988855B (ko)
BR (1) BRPI0513762A (ko)
FR (1) FR2873566B1 (ko)
HK (1) HK1104910A1 (ko)
RU (1) RU2341226C1 (ko)
WO (1) WO20060216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46Y1 (ko) * 2010-08-05 2012-06-1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과용 핸드피스의 슬리브 및 이를 갖는 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4528B1 (fr) * 2006-08-07 2009-09-11 Micro Mega Int Mfg Sa Contre angle pour implantologie ou chirurgie comportant des sous ensembles demontables et notamment un support intermediaire de positionnement.
FR2915084B1 (fr) * 2007-04-17 2009-05-29 Micro Mega Int Mfg Sa Dispositif de retention axiale d'une queue d'instrument dentaire comportant un axe traverse par au moins une goupille de blocage.
DE102012212480A1 (de) * 2012-07-17 2014-01-23 Sirona Dental Systems Gmbh Zahnärztliches Präparationsinstrument
DE102012023437A1 (de) * 2012-11-30 2014-06-18 Minebea Co., Ltd. Rundlaufoptimiertes Werkzeugspannsystem für Dentalwinkelhandstücke und Dentalturbinen
EP3202363B1 (de) * 2016-02-04 2023-07-19 KaVo Dental GmbH Zahnärztliches werkzeug und zahnärztliches system
ES2701261T3 (es) 2017-07-17 2020-11-18 Bien Air Holding Sa Subconjunto para pieza de mano para el cuidado dental o de cirugía, pieza de mano para el cuidado dental o de cirugía y procedimiento de montaje asociado
US11883250B2 (en) 2019-05-24 2024-01-30 Kevin R. Morich, D.M.D., P.C. Dental restoration holding devices, dental restoration holding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4187A (en) * 1938-03-14 1940-03-19 Perry R Skinner Angle dental handpiece
DE3012152C2 (de) * 1980-03-28 1986-02-2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Haltevorrichtung für ein rotierendes zahnärztliches Werkzeug
FR2555041A1 (fr) * 1983-11-23 1985-05-24 Micro Mega Sa Poussoir
FR2570269B1 (fr) * 1984-09-14 1988-12-02 Micro Mega Sa Tete de contre-angle d'une piece a main dentaire
JP3208249B2 (ja) * 1993-12-28 2001-09-10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用切削工具の把持装置
DE19629902A1 (de) * 1996-07-24 1998-01-29 Kaltenbach & Voigt Winkelförmiges oder gerades Handstück mit einer lösbaren Spannvorrichtung für ein rotierendes Werkzeug, insbesondere für medizinische oder dentale Zwecke
ATA222096A (de) * 1996-12-18 1998-06-15 Buermoos Dentalwerk Werkzeughalter für ein dentales handstück
FR2840800B1 (fr) 2002-06-12 2004-08-27 Micro Mega Int Mfg Sa Perfectionnement aux appareils d'entrainement, dit<<contre-angles>>, pour outils rotatifs utilises en chirurgie, notamment en chirurgie dentaire
CN2571342Y (zh) * 2002-08-21 2003-09-10 慈溪市双马医疗器材有限公司 一次性使用高速涡轮手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46Y1 (ko) * 2010-08-05 2012-06-1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과용 핸드피스의 슬리브 및 이를 갖는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73566B1 (fr) 2007-04-06
JP2008508011A (ja) 2008-03-21
EP1773233A1 (fr) 2007-04-18
CN1988855B (zh) 2010-06-16
RU2007107089A (ru) 2008-09-10
US20090142730A1 (en) 2009-06-04
CN1988855A (zh) 2007-06-27
BRPI0513762A (pt) 2008-05-20
HK1104910A1 (en) 2008-01-25
WO2006021628A1 (fr) 2006-03-02
FR2873566A1 (fr) 2006-02-03
RU2341226C1 (ru) 200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1867A (ko) 치과 기구 고정장치
US8814566B2 (en) Prophy angle
CN102098971B (zh) 具有近圆周互锁连接结构的外科切割器械
US5011408A (en) Chuck device for dental handpiece
JP4971624B2 (ja) 深度調整装置
JP4280457B2 (ja) ねじ保持形ドライバービット及びねじとの組合せ
US4014099A (en) Dental handpiece
ES2305946T3 (es) Pieza manual de uso dental o quirurgico que incluye una pinza elastica.
EA013203B1 (ru) Регулируемый узел привода инструмента
EA008435B1 (ru) Наконечник для бормашины
KR101685318B1 (ko) 개선된 기어 리테이너를 구비한 일회용 치면 세마 앵글
EP1916064A1 (en) Rotation output device
RU23790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с ручным держателем, состоящее из вращающейся оси,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пружины и нажимной кнопки
US20180147025A1 (en) Method of assembling a dental system
US20080157488A1 (en) Surgical coupling device
KR19990028995A (ko) 해제 푸시 버튼을 갖는 치과/의료용 장치를 위한 척
JPH0254740B2 (ko)
EP2387967B1 (en) Dental handpiece
JPH04362912A (ja) 内視鏡用回転処置具装置
US8241207B2 (en) Connection mechanism of plate member and shaft member
EP1260190A2 (en) Dental handpiece with tool holder
JP2007247900A (ja) 同期装置用スラスト部材
US20110129795A1 (en) Device for the axial retention of a dental instrument extremity having an axis crossed by at least one locking pin
JPH11342138A (ja) 医療用または歯科用回転工具の着脱自在の固定装置
JP5391502B2 (ja) 回転軸の接続構造およびジョイン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