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254A - 배관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254A
KR20070051254A KR1020060014884A KR20060014884A KR20070051254A KR 20070051254 A KR20070051254 A KR 20070051254A KR 1020060014884 A KR1020060014884 A KR 1020060014884A KR 20060014884 A KR20060014884 A KR 20060014884A KR 20070051254 A KR20070051254 A KR 20070051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upport frame
pipe
fastening bolt
clam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522B1 (ko
Inventor
박동호
박동석
Original Assignee
박동호
박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호, 박동석 filed Critical 박동호
Priority to KR102006001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52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형상의 채널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에 관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배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배관클램프는 상기 관체를 감싸는 ∩자형상의 클램프부와, 상기 클램프부의 일단부에서 외향절곡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부로 이루어진 클램프부재와; 상기 클램프부재의 관통공에 볼트부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관통공에 관통 결합된 체결볼트의 볼트부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체결볼트의 조임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의 걸림턱에 걸려지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관체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고, 배관 클램프의 교체 및 제거가 편리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뿐만아니라, 복수개 또는 다수개의 관체를 지지프레임에 한꺼번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가압돌기와 걸림부에 의해 관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클램프부재, 체결볼트, 너트부재, 관체, 지지프레임

Description

배관 클램프 {CLAMP FOR TIGHTENING PIPE}
도 1은 본 발명 배관 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배관 클램프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배관 클램프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배관 클램프가 사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배관 클램프에서 걸림부가 지지프레임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배관 클램프에서 너트부재가 지지프레임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는 본 발명 배관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프레임 11: 걸림턱
20: 관체 100: 배관 클램프
200: 클램프부재 210: 클램프부
220: 결합부 230: 관통공
240: 걸림돌기 250: 걸림부
260: 보강비드 270: 가압돌기
300: 체결볼트 310: 볼트부
320: 고정턱 400: 너트부재
410: 나사공 420: 모서리부
본 발명은 배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전기선 및 냉,온수가 지나는 파이프 등과 같은 관체의 배관작업시 관체를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배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선이나 용수등을 이송하는 파이프와 같은 관체의 배관작업시 상기 관체를 고정하기 위해 배관 클램프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배관 클램프는 관체의 좌/우에서 체결되는 한쌍의 체결체로 구성되며, 사용방법은 벽면이나 천장과 같은 부위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금속재질로 성형된 한쌍의 체결체를 끼운 다음 상기 체결체 사이에 관체를 삽입한 후 상기 체결체의 좌/우에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체결체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관체를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관 클램프는 지지프레임 위에 다수개의 관체를 고정시킬 때 지지프레임 내에 관체의 갯수와 맞는 체결체를 미리 끼운 다음, 안쪽에서 부터 차례대로 관체를 고정시켜야 하며, 상기 안쪽에 먼저 체결되었던 관체의 위치를 바꾸거나 체결체를 제거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바깥쪽에 결합된 관체부터 분리해야 하므로 체결체의 제거 및 교체 작업이 어려웠다.
따라서 관체를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킬때 지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체를 길이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체가 지지프레임으로 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체결체의 폭넓이보다 큰 간격을 유지하며서 관체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해야 하므로 많은 관을 지지프레임에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체결체는 분리된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분리된 쌍을 볼트 너트로 결합시킨 것으로, 하나의 체결체를 분실하면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한손으로 좌/우 체결체를 관체에 밀착시키면서 다른손으로 볼트와 너트를 좌/우 체결체에 체결해야 하는 체결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관이 클수록 혼자 체결하기가 힘이 들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체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배관 클램프의 교체 및 제거가 편리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뿐만아니라, 복수개 또는 다수개의 관체를 지지프레임에 한꺼번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 는 배관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ㄷ자형상의 채널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에 관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배관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관체를 감싸는 ∩자형상의 클램프부와 상기 클램프부의 일단부에서 외향절곡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부로 이루어진 클램프부재와; 상기 클램프부재의 관통공에 볼트부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관통공에 관통 결합된 체결볼트의 볼트부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체결볼트의 조임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의 걸림턱에 걸려지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 배관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배관 클램프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배관 클램프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배관 클램프가 사용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배관 클램프에서 걸림부가 지지프레임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배관 클램프에서 너트부재가 지지프레임의 내벽 면에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는 본 발명 배관 클램프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이 형성된 ㄷ자형상의 채널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0)에 관체(2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배관 클램프(100)에 있어서, 상기 배관 클램프(100)는 클램프부재(200)와, 체결볼트(300)와, 너트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클램프부재(200)는 관체를 감싸는 ∩자형상의 클램프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부(210)의 일단부에는 외향 절곡되는 결합부(220)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부(220)의 중앙에는 관통공(23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220)의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걸림돌기(240)를 양측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210)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연장된 걸림부(250)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220)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40)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기 클램프부(210)의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부(25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위에 얹혀지는 클램프부재(200)가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준다.
이때, 상기 클램프부(210)의 중앙에는 둘레부를 따라 보강비드(260)를 형성하여 상기 클램프부(210)의 휨이나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210)의 내주면 양측에는 가압돌기(270)를 형성하여 상 기 클램프부(210)에 고정되는 관체(20)가 회전되지 않도록 보다 견고하게 잡아 주도록 한다.
상기 체결볼트(300)는 상기 클램프부재(200)의 관통공(230)에 볼트부(310)가 관통 결합되되, 상기 볼트부(310)에는 너트부재(400)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볼트부(310)의 끝단에는 체결된 너트부재(400)가 빠지지 않도록 외향 돌출된 고정턱(32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부재(200)의 관통공(230)에 결합되는 체결볼트(300)와, 상기 체결볼트(300)의 볼트부(31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400)는 상기 고정턱(320)에 의해 볼트부(310)와 분리되지 않으므로 클램프부재와, 체결볼트와, 너트부재는 분리되지 않고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너트부재는 그 대각선의 길이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측 폭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사각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되,각 모서리부(420)에는 모따기 또는 라운드 처리하고, 중앙에는 상기 체결볼트(300)의 볼트부(310)에 결합되는 나사공(410)을 형성한다.
상기의 너트부재(400)를 지지프레임(10) 내부로 상측에서 삽입시켜서 상기 체결볼트(300)를 조이면 너트부재(400)가 함께 회전되면서 모서리부(420)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함과 동시에 나사산을 타고 상승하여 상기 걸림턱(11)에 걸려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 배관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ㄷ자형상의 채널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0)에 관체(20)를 고정시키는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면이나 천장과 같은 부위에 고정되고,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이 형성된 ㄷ자형상의 채널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0)에 전기선이나 용수등을 이송하는 파이프와 같은 관체(20)를 올려놓고, 상기 배관 클램프(100)의 클램프부(200)가 관체(20)의 외측을 감싸도록 관체(20)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체결볼트(30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400)를 지지프레임(1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시킨 다음 상기 체결볼트(300)를 조여주게 되면, 너트부재(400)가 함께 회전되면서 모서리부(420)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함과 동시에 나사산을 타고 상승하여 상기 걸림턱(11)에 걸려 상기 클램프부재(200)와의 결합력으로 관체(2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램프부재(200)의 결합부(220)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40)와 상기 클램프부(210)의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부(250)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재(200)는 지지프레임(10)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클램프부(210)의 내주면 양측에 형성된 가압돌기(270)에 의해 관체(20)는 지지프레임(10)과 클램프부재(200)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아울러, 체결볼트(300)의 조임력을 풀어주면 너트부재(400)는 볼트부(310)의 나사산 타고 하강하여 조임이 풀리면서 관체(20)로 부터 배관 클램프(100)가 분리되는 것으로 교체 및 제거가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상기 클램프부재(200)와, 상기 클램프부재(200)의 관통공(230)에 결합되는 체결볼트(300)와, 상기 체결볼트(300)의 고정턱(320)에 의해 볼트부(310) 와 일체를 이루는 너트부재(400)로 이루어진 배관 클램프(100)는 상기 지지프레임 (10)위에 얹혀지는 관체(20)에 클램프부(210) 끼우고 상기 너트부재(400)를 지지프레임 내에 삽입한 후 체결볼트(300)를 조여주면 되므로 관체(20)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고, 배관 클램프(100)의 교체 및 제거가 편리하여 배관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재(200)의 결합부(220)을 중심으로 양쪽에 클램프부(210)를 형성하여 복수개 또는 다수개의 관체(20)를 한꺼번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관체(20)를 지지프레임(10)에 빠르고 효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대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배관 클램프는 관체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고, 배관 클램프의 교체 및 제거가 편리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뿐만아니라, 복수개 또는 다수개의 관체를 지지프레임에 한꺼번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가압돌기와 걸림부에 의해 관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이 형성된 ㄷ자형상의 채널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0)에 관체(2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배관 클램프(100)에 있어서,
    상기 관체(20)를 감싸는 ∩자형상의 클램프부(210)와 상기 클램프부(210)의 일단부에서 외향절곡되며 중앙부에 관통공(230)이 형성된 결합부(220)로 이루어진 클램프부재(200)와;
    상기 클램프부재(200)의 관통공(230)에 볼트부(310)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300)와;
    상기 관통공(230)에 관통 결합된 체결볼트(300)의 볼트부(310)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체결볼트(300)의 조임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걸림턱(11)에 걸려지는 너트부재(4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200)의 클램프부(210) 중앙에는 휨이나 비틀림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둘레부를 따라 보강비드(260)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200)의 결합부(220)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걸림돌기(240)를 양측으로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부(210)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걸림부(250)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 위에 얹혀지는 클램프부재(200)가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안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200)의 내주면에는 내향 돌출된 가압돌기(270)를 형성하여 상기 관체(20)가 회전되지 않도록 보다 견고하게 잡아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400)는 그 대각선의 길이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측 폭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사각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각 모서리부(420)에는 모따기 또는 라운드 처리되어 상기 너트부재(400)를 지지프레임(10) 내부로 상측에서 삽입시켜서 상기 체결볼트(300)를 조이면 너트부재(400)가 함께 회전되면서 모 서리부(420)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함과 동시에 나사산을 타고 상승하여 상기 걸림턱(11)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300)는
    상기 클램프부재(200)의 관통공(230)에 관통 결합되는 볼트부(31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400)가 상기 볼트부(310)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끝단부에 고정턱(320)을 형성하여 상기 클램프부재(200)와 체결볼트(310)와 너트부재(400)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클램프.
KR1020060014884A 2006-02-16 2006-02-16 배관 클램프 KR100752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884A KR100752522B1 (ko) 2006-02-16 2006-02-16 배관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884A KR100752522B1 (ko) 2006-02-16 2006-02-16 배관 클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143U Division KR200407204Y1 (ko) 2005-11-14 2005-11-14 배관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254A true KR20070051254A (ko) 2007-05-17
KR100752522B1 KR100752522B1 (ko) 2007-08-29

Family

ID=3827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884A KR100752522B1 (ko) 2006-02-16 2006-02-16 배관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5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15Y1 (ko) * 2014-06-16 2014-11-07 정덕임 배관 고정장치
CN109812625A (zh) * 2019-03-21 2019-05-28 鄂尔多斯市华兴能源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压管路保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49B1 (ko) 2009-12-31 2010-12-20 주식회사 기승금속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966A (ja) * 1994-05-30 1995-12-08 Inaba Denki Sangyo Co Ltd 長尺体支持具
JPH11215661A (ja) * 1998-01-28 1999-08-06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電線管用uバンド
JP2000110968A (ja) * 1998-10-01 2000-04-1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配管固定具
KR20000017340U (ko) * 1999-02-19 2000-09-25 이충기 단관용 배관 클램프
KR100627140B1 (ko) * 2004-01-20 2006-09-25 박순복 배관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15Y1 (ko) * 2014-06-16 2014-11-07 정덕임 배관 고정장치
CN109812625A (zh) * 2019-03-21 2019-05-28 鄂尔多斯市华兴能源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压管路保护装置
CN109812625B (zh) * 2019-03-21 2024-04-26 鄂尔多斯市华兴能源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压管路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522B1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1822Y1 (ko) 배관 클램프
US8979038B1 (en) Strut clamp
US8573543B2 (en) Clamp for circular objects
JP5006216B2 (ja) Tボルトクランプのクイックアタッチラッチ
US5163644A (en) Conduit clamp
JP6077122B2 (ja) イヤー・クランプ
KR100752522B1 (ko) 배관 클램프
KR20090051729A (ko) 파이프 배관 고정용 배관 클램프
US6783104B1 (en) Deformable clamp employed to stiffen hanger rod
KR200407204Y1 (ko) 배관 클램프
JP5433119B2 (ja) 配設体支持具
JP2019025550A (ja) 配管用継手の着脱用治具
KR20110043200A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JP6450984B1 (ja) 固定具
CN108351047A (zh) 用于一定范围的管直径的管夹
TWI825611B (zh) 包含用於容納多種管尺寸之蝸輪的支撐管夾
JP6829356B2 (ja) 棒状体の連結具
JP2003120029A (ja) 鉄筋とセパレータの連結金物
KR101942706B1 (ko) 비닐하우스 골조 고정구
KR200414911Y1 (ko) 장탈착이 용이한 파이프 행거
JP2010190331A (ja) 固定具
JP3138891U (ja) スチールワイヤロープ用挟持具
KR101997168B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 체결장치
KR200294982Y1 (ko) 파이프 결속장치
KR200414910Y1 (ko) 파이프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