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543A - 섬유처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처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543A
KR20070050543A KR1020050107856A KR20050107856A KR20070050543A KR 20070050543 A KR20070050543 A KR 20070050543A KR 1020050107856 A KR1020050107856 A KR 1020050107856A KR 20050107856 A KR20050107856 A KR 20050107856A KR 20070050543 A KR20070050543 A KR 20070050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treatment
treatment composition
composition
stearate
glyc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영
정국인
곽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10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0543A/ko
Publication of KR2007005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54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06M13/148Polyalcohols, e.g. glycerol or gluco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hydrocarbons
    • D06M13/0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hydrocarbons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e.g. alkenes, or alkynes
    • D06M13/07Aromatic hydrocarb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처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Glycerol Di-Stear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처리제 조성물은 세탁물에 흡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며 우수한 유연효과 및 정전기 방지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안전하고 섬유에 염착, 탈색 등의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세탁기에서 분무되는 스팀에 의해 세탁물에 흡착되게 하는 섬유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 섬유처리제

Description

섬유처리제 조성물{Fiber treatment a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연효과 및 정전기 방지효과가 우수한 섬유처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섬유유연제는 일반적으로 세탁 후 마지막 헹굼시기에 투입하여 세탁 후 섬유 또는 의류에 유연성, 대전 방지성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정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정용 세제는 세정 작용을 함에 있어 유효성분이 거의 100% 사용되는 것임에 반해 가정용 섬유유연제는 성능 발현의 대상이 되는 섬유 또는 의류에 부착된 이후에 성능을 발휘하는 2차적인 성능 발현 기전(mechanism)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세탁과정 중에 섬유유연제 유효성분이 섬유 및 의류에 얼마나 흡착하는지가 성능 발현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 소비자는 섬유 또는 의류에 대한 흡착력이 좋은 유효성분을 포함한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며, 헹굼시기에 투입된 가정용 섬유유연제가 세탁 후 폐수로 배출되는 양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섬유에 흡착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늘리는 것은 섬유유연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가정용 섬유유연제는 단순히 세탁기의 세탁조 회전시에 섬유유연제 입자가 의류에 기계적으로 부착되는 기전을 가지므로 투입량에 비해 부착되는 유효성분이 매우 적을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출원 공개번호 제1998-0013609호, 제1995-0011754호 등에 섬유유연 효과와 대전방지 기능이 향상된 가정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앞서 기재된 이유와 같이 투입량에 비해 부착되는 유효성분이 매우 적은 단점이 있다.
현재 세탁과정에서 의류에 대한 섬유유연제의 흡착 효율을 높이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섬유 또는 의류에 흡착하는 정도가 매우 높으며 유연효과 및 정전기 방지효과가 뛰어난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체에 안전하고 섬유에 염착, 탈색 등의 손상을 입히지 않는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Glycerol Di-Stear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Glycerol Di-Stearate) 1 내지 20 중량부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 이미다졸린(Imidazoline) 및 디메틸 디알킬 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 dialkyl ammon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섬유처리제 조성물이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섬유처리제 조성물이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가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알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요소,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질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세탁기에서 분무되는 스팀에 의해 의류에 흡착되게 하는 섬유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체에 안전한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Glycerol Di-Stearate)를 섬유처리제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여 세탁과정 또는 헹굼시 세탁기에서 발생하는 스팀에 의해 세탁중인 섬유에 부착시키면 섬유처리제 조성물의 흡착율이 매우 높고 유연효과 및 정전기 방지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놀라운 사실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은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 1 내지 20 중량부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은 각종 섬유 및 의류 제품에 대하여 염착, 탈색 등의 섬유 손상이 없다.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에 포함된 유연성분인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 이미다졸린(Imidazoline) 및 디메틸 디알킬 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 dialkyl ammon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506491127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CH2)2OH의 N-하이드록시에틸 또는 C12 내지 C22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임.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은 수용액 상에서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 (Glycerol Di-Stearate)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C10 내지 C20인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200몰) 알킬-알케닐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200몰) 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40몰)알킬-알케닐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2 내 지 40몰)알킬-하이드록시 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및 이의 에틸렌옥사이드(15 내지 40몰) 부가물;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30몰)알킬-알케닐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50몰) 알킬-알케닐아민, 글리세릴 모노알킬-알케닐에스테르; 경화피마자유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2 내지 40몰); 알킬아민옥사이드; 또는 아미도프로필아미옥사이드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은 또한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로서는 C8 미만의 저급알콜 및 글리콜류, C14 이상의 고급알콜류, 요소 등과 같은 유기화합물 및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질산나트륨 등과 같은 무기화합물 등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산안정제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알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질산나트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은 세탁 후에 섬유 또는 의류에 기분 좋은 향취를 부여하기 위하여 본 발명 섬유처리제 조성물의 물성, 안정성, 유연효과 등에 영향이 없고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선하고 은은한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방부제, 살균제, 형광증백제, 색소, 산화방지제, 소포제 등을 추가 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세탁기에서 분무되는 스팀에 의해 의류에 흡착되게 하는 신규한 섬유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은 세탁기의 스팀 분무에 의해 유효 성분이 활성화됨으로써 세탁과정 중의 빨래에 보다 쉽게 흡착되어 우수한 유연성 및 정전기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있어 단위는 중량%이다.
구성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Glycerol Di-Stearate) 5 4 3 2
양이온 계면활성제(Ester Quat.) 3 3 3 3
분산안정제(에틸렌 글리콜) 0.1 0.1 0.1 0.1
향료(Fragrance) 0.1 0.1 0.1 0.1
기타 첨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비교예 1~4>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Glycerol Di-Stearate)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 있어 단위는 중량%이다.
구성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Glycerol Di-Stearate) 0 0 0 0
양이온 계면활성제(Ester Quat.) 4 3 2 1
분산안정제(에틸렌 글리콜) 0.1 0.1 0.1 0.1
향료(Fragrance) 0.1 0.1 0.1 0.1
기타 첨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1> 유연 효과 평가
시판되는 100% 면타올을 일반 세탁세제를 표준사용량 사용하여 세탁기로 5회 반복 세탁한 후 탈수한 것을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의 조성물 표준사용량(6.7ml/10ℓ)을 기준으로 용해한 각각의 헹굼물(욕비 1:30, 25℃)에 유연 처리한 다음 탈수하였다. 상기 탈수 처리된 면타올을 20℃, 65% RH조건에서 24시간 컨디셔닝(conditioning)시킨 다음 숙련된 평가원(panelist)의 관능평가 시험에 의하여 촉감 정도를 유연 점수로서 최저 1점에서 5점까지 부여하게 하고 이것을 3회 이상 반복하여 그 평균값으로써 유연 효과를 측정하였다. 유연성 평가 기준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하여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섬유처리제 조성물에 의한 면타올의 유연성에 점수를 부여하여 판정하였다. 판정한 값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 매우우수(◎) 우수(○) 보통(△) 불량(×)
유연효과 점수 4.5 이상 3.5 ∼ 4.5 2.5 ∼ 3.5 2.5 미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성능평가 ×
<실험예 2> 정전기 방지성 평가
면타올을 상기 실험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유연 처리한 다음 20℃, 65% RH조건에서 24시간 컨디셔닝(conditioning)시킨 것을 KS K-0555A 시험방법을 응용하여 Static Voltmeter 기기(Rothschild사, 스위스)를 이용하여 초기 전압 150V를 가한 후 전압이 반으로 떨어지는 시간을 측정하여 정전기 방지성을 평가하였다. 정전기 방지성 평가 기준은 하기 표 5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하여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섬유처리제 조성물에 의한 면타올의 정전기 방지성에 점수를 부여하여 판정하였다. 판정한 값은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 매우우수(◎) 우수(○) 보통(△) 불량(×)
누설속도(sec) 10 이하 10 ∼ 102 102 ∼ 103 103 이상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성능평가 ×
표 4 및 6의 평가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처리제 조성물인 실시예 1 ~4의 조성물은 비교예 1~4의 조성물보다 유연 효과와 정전기 방지효과에 있어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은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를 포 함함으로써 세탁과정 중 섬유 또는 의류에의 흡착이 매우 뛰어나며 우수한 유연효과와 정전기 방지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Glycerol Di-Stear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Glycerol Di-Stearate) 1 내지 20 중량부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 이미다졸린(Imidazoline) 및 디메틸 디알킬 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 dialkyl ammon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5064911279-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CH2)2OH의 N-하이드록시에틸 또는 C12 내지 C22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처리제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처리제 조성물은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알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요소,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질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처리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섬유처리제 조성물을 세탁기에서 분무되는 스팀에 의해 의류에 흡착되게 하는 섬유처리 방법.
KR1020050107856A 2005-11-11 2005-11-11 섬유처리제 조성물 KR20070050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856A KR20070050543A (ko) 2005-11-11 2005-11-11 섬유처리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856A KR20070050543A (ko) 2005-11-11 2005-11-11 섬유처리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543A true KR20070050543A (ko) 2007-05-16

Family

ID=3827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856A KR20070050543A (ko) 2005-11-11 2005-11-11 섬유처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05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00B1 (ko) * 2006-09-21 2013-0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온 활성이 가능한 시트형 섬유 유연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00B1 (ko) * 2006-09-21 2013-0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온 활성이 가능한 시트형 섬유 유연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4607C1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ослабления неприятного запаха
CN108978223B (zh) 衣物护理剂及其制备方法
US20220243151A1 (en) Performance gear, textile technology, and cleaning and protecting systems and methods
KR20040085417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JP3883763B2 (ja) 繊維製品防臭処理剤
KR20070050543A (ko) 섬유처리제 조성물
KR102252198B1 (ko)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80087499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구비한 섬유 유연제 조성물
JP7199867B2 (ja) 繊維製品用賦香剤組成物。
JP5256529B2 (ja) 紫外線吸収性繊維処理剤組成物
KR20080026731A (ko) 저온 활성이 가능한 시트형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100228507B1 (ko) 가정용 섬유유연제 조성물
JPS6014146B2 (ja) 繊維柔軟化組成物
KR100561102B1 (ko) 섬유 유연제 조성물
JP3372930B2 (ja) 柔軟剤組成物
KR100828023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0757114B1 (ko) 섬유처리제 조성물
JP2018076615A (ja) 繊維処理剤組成物
KR20100111775A (ko) 원적외선 방사용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0789600B1 (ko) 다림 보조제 조성물
JP2007239121A (ja) しわ取り消臭剤組成物
KR20230147814A (ko) 시트형 섬유유연제와 이의 제조방법
JPH03287868A (ja) 柔軟仕上剤
JP3389549B2 (ja) 柔軟剤組成物
CN112538758A (zh) 柔顺抗静电的去除阴干异味的织物护理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