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634A -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634A
KR20070049634A KR20077002706A KR20077002706A KR20070049634A KR 20070049634 A KR20070049634 A KR 20070049634A KR 20077002706 A KR20077002706 A KR 20077002706A KR 20077002706 A KR20077002706 A KR 20077002706A KR 20070049634 A KR20070049634 A KR 20070049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brake
brake
unit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0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387B1 (ko
Inventor
라이너 클루제만
카렐 슈타스트니
미르코 힌
로날트 쿨베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07004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1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식 기어 박스를 구비한 주행 엔진을 갖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실질적으로 작동 요소 (7), 휠 회전속도 센서 (12, 13) 로부터 휠 회전 속도값이 전송되는 전자 제어 유닛 (6), 브레이크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닛 (1), 및 상기 유닛 (1) 에 의해 잠금 가능한 하나 이상의 차축상의 브레이크 장치 (4) 로 구성되며, 전자 제어 유닛 (6) 은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의 방식으로 차량의 시동 조작을 한 후에 유닛 (1) 을 구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동 조작의 검출 후에 가능한 한 안전하게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을 하기 위해서, 실행되는 방법은, 전자 제어 유닛 (6) 이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이 실행되기 전에 시동 조작이 검출되면 경사 응답 유지력에 대한 브레이크 작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유닛 (1) 을 구동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METHOD FOR OPERATION OF A BRAK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기계식 기어 박스를 구비한 주행 엔진을 갖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방법으로서, 실질적으로 작동 요소, 휠 회전속도 센서로부터 휠 회전 속도값이 전송되는 전자 제어 유닛, 브레이크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닛, 및 이 유닛에 의해 잠금 가능한 하나 이상의 차축상의 브레이크 장치로 구성되며, 전자 제어 유닛은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의 방식으로 차량의 시동 조작의 검출 후에 유닛을 구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 제103 24 446 B3 호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장착된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종래 기술의 방법에서는, 제 1 스트레치 시간(stretch time)은 결합 작동의 시작으로부터 소위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clutch bite-point)에 대응하는 클러치의 응답 시간점까지 판정된다. 그 후에,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시간은 제 2 스트레치 시간에 의해 클러치의 응답 시간점에 앞서서 선택된다. 종래 기술의 방법은 주차 브레이크의 완전한 시간 응답 제어를 나타내고, 그 목적은 클러치 맞물림 작동에 대하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비활성화의 더욱 정확한 조정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통상적으로 완전한 해제 작동을 실행하는데 비교적 긴 스트레치 시간을 요구하는 불충분한 정도를 감안한다. 따라서, 클러치의 응답 시간점에 이미 도달되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급격한 시동 조작이 발생할 수 있어서, 이는 단점으로 고려된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리함을 더 얻기 위해서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를 위한 스트레치 시간을 줄이면서, 최대의 안전성이 추가로 유지되는 방법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시동 조작이 검출되고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이 실행되기 전에, 경사 응답 유지력(inclined-responsive holding force)에 대한 브레이크 작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전자 제어 유닛이 유닛을 구동하여 달성된다.
이후, 유닛은 경사 응답 유지력이 경사 검출용 센서의 도움으로 발견되게 배치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전자 제어 유닛은, 계산되어 조절된 경사 응답 유지력 또는 그 결과의 브레이크 토오크가 차량을 제 위치에 유지하는데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브레이크 작용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유닛을 구동한다. 이 경우에, 유닛은 가능한 최대 브레이크 작용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된다. 게다가, 휠 회전속도 센서가 경사 응답 유지력의 값이 차량을 제 위치에 유지하는데 충분한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게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클러치 페달 이동 센서는 차량의 클러치 페달의 위치를 검출하고, 클러치 페달이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의 앞선 위치에 도달하면 해제 작동을 위한 구동이 이루어진다.
그 위치는 가변적이고, 경사, 클러치 페달의 구동 속도, 및 운전자가 소망하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따라 판정된다.
경사 검출용 센서는 경사 검출에 사용된다. 클러치 페달의 구동 속도는 클러치 페달 이동 센서를 사용하여 검출되고, 차량의 주행 방향은 기어 정보 센서를 사용하여 검출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형태에 의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주차 브레이크 작동을 실행하는 전자적 기계 유닛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는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 는 시동 조작을 검출하며,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을 위한 차후의 작동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 은 클러치 페달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경사, 클러치 페달의 구동 속도, 및 차량을 소망하는 주행 방향에 따라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의 앞선 위치를 판정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회로도가 도 1 에 나타나 있다. 유압식 브레 이크 시스템은 제 1 차축인, 전방 차축에 휠 브레이크 (2) 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차축은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시 유압 라인 (9) 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소망하는 제동 감속을 확인하고 안티-록 제어(anti-lock control ; ABS)를 실현하기 위해서, 휠 회전속도 센서 (12) 가 전방 차축의 휠과 연결되며, 출력 신호는 전자 제어 및 조절 유닛 (ECU ; 5) 으로 전송된다. 전자 제어 및 조절 유닛 (5) 은 서비스 브레이크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 제 2 차축인, 후방 차축에는,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시 제 2 유압 라인 (10) 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휠 브레이크 (3) 가 제공되어 있다. 후방 차축의 휠의 회전속도는 휠 회전속도 센서 (13) 를 사용함으로써 판정되고, 상술한 전자 제어 및 조절 유닛 (5) 으로 전송된다. 더욱이, 후방 차축의 휠은 또한 전자 기계식 브레이크 외에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휠 브레이크 (3) 를 더 포함한다. 전자 기계식 주차 브레이크는, 드럼 브레이크 (4) 로서 각각이 스프레딩 록(spreading lock ; 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되는 2 개의 기계식 록킹(locking) 브레이크 장치 (4) 를 포함한다. 언급된 스프레딩 록은 케이블 풀 (11 ; cable pull) 을 통해서 전자 기계식 조절 유닛 (1) 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그 후에 드럼 브레이크 (4) 가 작동된다. 주차 브레이크 작동은 조작자가 작동 요소 (7) 를 구동한 후에 실행된다. 이렇게 작동하면, 작동 요소 (7) 의 출력 신호는 전자 기계식 주차 브레이크와 연결된 전자식 제어 유닛 (ECU ; 6) 으로 전송되고, 상기 ECU 는 상술한 전자 기계식 조절 유닛 (1) 을 구동한다. 서비스 브레이크 시스템과 연결된 상술한 전기자식 제어 유닛 (6) 및 전자식 제어 및 조절 유닛 (5) 은 CAN 연결로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 라인 (8) 에 의해 서로 통신한다.
도 1 은 클러치 페달 이동을 판정하는 클러치 페달 이동 센서 (18) 를 갖는 클러치 페달 (14) 을 추가적으로 나타낸다. 게다가, 기어 정보 센서 (15) 및 경사를 판정하는 경사 검출 센서 (16) 의 출력 신호는 주차 브레이크와 연결된 제어 유닛 (6) 으로 전송된다.
도 2 는 차량의 시동 조작을 검출하는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주차 브레이크와 연결된 제어 유닛 (6) 은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의 방식으로 시동 조작의 검출시 조절 유닛 (1) 을 구동한다. 시동 조작을 검출하기 위해서, 차량의 점화 록(ignition lock ; 도시되지 않음)을 유발하는 신호 라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량의 점화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프로세스 단계 (21) 에서 초기에 확인된다. 점화가 활성화된 경우에, 차량이 이동되어야 하는 차후의 프로세스 단계의 조건 하에서 가정된다. 이를 위해, 프로세스 단계 (22) 에서 주행 엔진이 작동 모드로 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추가적인 확인이 이루어진다. 그 이후에, 주차 브레이크가 작용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프로세스 단계 (23)).
시동 조작의 검출을 위한 이하의 프로세스 단계 (24) 에서는, 도 1 에서 언급된 휠 회전속도 센서 (12, 13) 에 의해서, 차량이 정지해 있는지의 여부가 발견된다. 그 후에, 가속기 또는 주행 페달의 위치가 발견되는데, 시동 조작을 검출하기 위해서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값을 초과하는 범위에 적용되어야 한다(프로세스 단계 (25)). 상술한 기어 정보 센서 (15) 에 의해 다음의 프로세스 단계 (28) 에서 조작자가 기어를 선택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그 이후에, 클러치 페달 이동 센서 (18) 의 신호 평가는 조작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고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프로세스 단계 (29). 조작자가 상술한 가압된 위치로부터 클러치 페달 (14) 을 해제하면, 차량의 시동 조작은 상기에서 참조된 조건과 연관하여 검출되고, 도 1 에 관하여 언급된 제어 유닛 (6) 은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의 방식으로 조절 유닛 (1) 을 구동한다(프로세스 단계 (30,31)).
차량이 미리 정해진 제 3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사를 갖는 슬로프에 위치되면, 차량의 주행 엔진의 주행 토오크는 상술한 프로세스 단계 (25) 와 프로세스 단계 (28) 사이에서 추가로 추정된다. 이 추정된 주행 토오크는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값보다 더 높아야 한다(프로세스 단계 (26, 27)). 슬로프의 구배(gradient)는 도 1 을 참조하여 언급된, 차량의 경사를 판정하는 경사 검출용 센서 (16) 에 의해 발견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클러치 페달 (14) 의 이동을 나타내는 선도를 도시한다. S100 % 로 표시한 도 3 의 좌측의 위치는 조작자가 클러치 페달 (14) 을 완전히 가압한 클러치 페달 위치를 나타낸다. 조작자가 클러치 페달 (14) 을 완전히 가압한 위치 (S100 %) 로 이동시킬 때, 클러치 페달 (14) 은, 주행 엔진의 엔진 토오크가 주행 차축에 전달되는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를 통과하며, 결국에는 조작자가 클러치 페달 (14) 로부터 발을 떼는 정지 위치 (S0 %) 가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을 위한 구동 은, 클러치 페달 (14) 이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에 앞선 위치 (S0) 에 도달할 때 일어난다. 이 위치 (S0) 는 80% 가압된 클러치 페달 (14) 과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사이의 범위에 놓인다.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를 판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한편으로는 적절한 센서에 의해 클러치 페달 (14) 의 이러한 위치 특성이 있는 차량의 가속 변화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으로,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는 마찬가지로 주행엔진의 회전속도와 그 토오크 사이의 비를 판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발견될 수 있으며, 토오크는 클러치 페달 (14) 이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를 통과할 때 중요한 변화를 나타낸다.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가 클러치의 온도 및 마모에 따르기 때문에, 규칙적으로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를 획득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그 획득은 각각의 시동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에 있어서 중요한,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앞의 상술한 위치 (S0) 는 가변적이고 시동 상황에 따라 판정된다. 위치 (S0) 의 판정은 도 4 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초기에, 차량의 경사는 상술한 경사 검출용 센서 (16) 의 도움으로 프로세스 단계 (33) 에서 발견된다. 게다가, 클러치 페달 (14) 의 구동 속도 (Vclutch) 는 클러치 페달 이동 센서 (18) 에 의해 판정되고, 차량의 주행 방향은 상술한 기어 정보 센서 (15) 를 사용하여 판정된다(프로세서 단계 (34, 35)). 주행 방향을 판정하기 위해서, 기어 정보 센서 (15) 는 조작자가 전방 또는 후방 기어로 변환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진 주행시, 위치 (S0) 는 후진 주행시보다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에 대해서 더욱 멀리 떨어지게 선택될 수 있는데, 이는 정상적이고 통상적인 주행 방향이기 때문이다.
차량의 주행 방향 및 경사에 따라, 가능한 한 빠른 주행 브레이크 해제는 유지하고 있는 조작자의 느낌을 완화하기 위해서, '내리막길' 및 '전진'의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는 위치 (S0) 가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에 대하여 멀리 떨어지도록 선택되는 것을 내포한다. 하지만, 오르막길 주행을 소망한다면, 차량은 소망하는 주행 방향과 반대로 갑자기 롤링 백워드(rolling backward)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는, 이러한 상황에서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에 도달되면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만 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위치 (S0) 는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의 위치와 개략적으로 동일하다.
운전자가 완전히 가압한 위치 (S100 %) 로부터 클러치 페달 (14) 을 매우 천천히 해제하는 경우에, 위치 (S0) 는 또한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와 개략적으로 동일할 것이다. 하지만,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 (14) 을 매우 급하게 해제하는 경우에,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는 매우 짧은 시간내에 도달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지식에 기초하여 시동 조작을 가능한 한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 위치 (S0) 는 또한 이러한 파라미터에도 적합하다.
조절 유닛 (1) 은 항상 최대 가능 브레이크 작용력을 조정하기 때문에, 본 방법은, 차량의 시동 조작의 검출시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을 가속하고 가능한 한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 시동 조작의 검출시 브레이크 작용력은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이 실행되기 전에 이미 경사 응답 유지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주차 브레이크는 미리 해제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1 에 의해 설명된 전자 제어 유닛 (6) 은 경사 응답 유지력이 조절되는 방식으로 조절 유닛 (1) 을 구동한다. 이 유지력은 경사 검출용 센서 (16) 에 의해 발견된다. 경사 응답 유지력은 조작자가 클러치 페달 (14) 을 완전히 가압하고 기어를 선택한 후에 조절된다. 이 사실은 클러치 페달 이동 센서 (18) 와 기어 정보 센서 (15) 에 의해 다시 발견된다. 경사 유지력이 조절된 후에, 주차 브레이크는, 조작자가 시동 조작을 계속하여 클러치 페달 (14) 을 이동시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S0 %) 에 적용하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해제된다.
상술한 경사 응답 유지력이 잘못 조절되거나, 다른 한계 조건 때문에 차량을 충분히 유지하지 못하고, 차량이 소망하는 주행 방향과 반대로 원치 않게 이동하기 시작하면, 조절 유닛 (1) 은 브레이크 작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가능 브레이크 작용력이 다시 조절된다. 소망하는 주행 방향 과 반대로 롤링 백 하는 조건은, 소망하는 주행 방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어 정보 센서 (15) 의 신호의 도움뿐만 아니라, 휠 회전속도 센서 (12, 13) 의 도움에 의한 경우에 검출된다. 하지만, 차량이 조작자가 소망하는 주행 방향과 반대로 롤 백 하는지의 여부의 검출은, 단지 휠 회전속도 센서 (12, 13) 가 휠 회전속도 검출 이외에 차량의 휠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가 아니면, 조절 유닛 (1) 은 휠 회전속도 센서 (12, 13) 에 의해 검출된 차량 휠의 회전시, 예컨대 차량이 롤링하는 경우에 브레이크 작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동을 하고, 그렇지 않으면 주차 브레이크의 완전 해제의 명령이 미리 실행된다.

Claims (10)

  1. 기계식 기어 박스를 구비한 주행 엔진을 갖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실질적으로 작동 요소 (7), 휠 회전속도 센서 (12, 13) 로부터 휠 회전속도값이 전송되는 전자 제어 유닛 (6), 브레이크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닛 (1), 및 상기 유닛 (1) 에 의해 잠금 가능한 하나 이상의 차축상의 브레이크 장치 (4) 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 제어 유닛 (6) 은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의 방식으로 차량의 시동 조작의 검출을 한 후에 상기 유닛 (1) 을 구동하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 (6) 은,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작동이 실행되기 전에, 그리고 시동 조작이 검출되는 경우, 경사 응답 유지력으로 상기 브레이크 작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유닛 (1) 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응답 유지력은 경사 검출용 센서 (16) 의 도움으로 발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 (6) 은, 상기 경사 응 답 유지력이 상기 차량을 제 위치에 유지하는데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브레이크 작용력을 증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닛 (1) 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1) 은 상기 최대 가능 브레이크 작용력이 발생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휠 회전속도 센서 (12, 13) 는 상기 경사 응답 유지력의 상기 값이 상기 차량을 제 위치에 유지하는데 충분한 위치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
  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 이동 센서 (18) 는 상기 차량의 클러치 페달 (14) 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해제 작동을 위한 상기 구동은, 상기 클러치 페달 (14) 이 클러치 바이트 포인트 (Sbite) 의 앞선 위치 (S0) 에 도달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S0) 는 가변적이고, 상기 경사 (α), 상기 클러치 페달 (14) 의 상기 구동속도 (Vclutch), 및 운전자가 소망하는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에 따라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검출용 센서 (16) 는 상기 경사 (α) 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페달 (14) 의 상기 구동 속도 (Vclutch) 는 상기 클러치 페달 이동 센서 (18) 를 사용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소망하는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방향은 기어 정보 센서 (15) 를 사용하여 발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법.
KR1020077002706A 2004-08-02 2005-07-26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1364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7621 2004-08-02
DE102004037621.2 2004-08-02
DE102005006229.6 2005-02-10
DE102005006229 2005-02-10
DE102005031155.5 2005-07-04
DE200510031155 DE102005031155A1 (de) 2004-08-02 2005-07-04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PCT/EP2005/053636 WO2006013174A1 (de) 2004-08-02 2005-07-26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530A Division KR20130140173A (ko) 2004-08-02 2005-07-26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634A true KR20070049634A (ko) 2007-05-11
KR101364387B1 KR101364387B1 (ko) 2014-02-17

Family

ID=352077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706A KR101364387B1 (ko) 2004-08-02 2005-07-26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37029530A KR20130140173A (ko) 2004-08-02 2005-07-26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530A KR20130140173A (ko) 2004-08-02 2005-07-26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8015B2 (ko)
EP (1) EP1773632B1 (ko)
JP (1) JP5583323B2 (ko)
KR (2) KR101364387B1 (ko)
DE (1) DE102005031155A1 (ko)
WO (1) WO2006013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5896A1 (de) * 2005-04-27 2007-05-0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eines Kupplungsschleifpunktes
DE102007030254B4 (de) 2006-06-28 2022-11-03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nterstützen eines Anfahrvorgangs
DE102006043618A1 (de) * 2006-09-16 2008-03-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ystem zur Steuerung des Anfahrvorgangs eines Kraftfahrzeugs
DE102006060890A1 (de) * 2006-12-22 2008-06-26 Volkswagen Ag Wegrollsicherung bei Inbetriebnahm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7006700B4 (de) 2007-02-10 2020-09-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remsregelungsanlage für Kraftfahrzeuge
DE102008018946A1 (de) 2008-04-15 2009-10-22 Lucas Automotive Gmbh Technik zum Lösen einer elektrischen Feststellbremse
DE102008062341A1 (de) * 2008-12-15 2010-06-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Fahrzeug mit elektronischer Feststellbremse und Verfahren zum Feststellen der Feststellbremse
DE102009046495A1 (de) * 2009-11-06 2011-05-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automatisierten Parkbremse in einem Motorfahrzeug
KR101984149B1 (ko) * 2012-10-23 2019-05-3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듀얼클러치 트랜스미션이 구비된 차량의 전자 제어식 유압 브레이크 제어 방법
DE102014203889A1 (de) * 2014-03-04 2015-09-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mssystems
DE102015217118B3 (de) * 2015-09-08 2016-08-18 Robert Bosch Gmbh Fahrerassistenzsystem mit reduzierter Aktivierungszeit
US10047862B2 (en) * 2015-11-25 2018-08-1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Transmission park control with integrated brake function
DE102016211241A1 (de) * 2016-06-23 2017-1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elektrischen Parkbremse
IT201600122392A1 (it) * 2016-12-02 2018-06-02 Freni Brembo Spa Metodo di controllo di una forza rappresentativa di una frenata di stazionamento di un veicolo e relativo sistema
DE102017201442A1 (de) 2017-01-30 2018-08-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lektromechanischen Parkbremse sowie Steuervorrichtung für eine Parkbremse, Parkbremse und Kraftfahrzeug
DE102017214455A1 (de) * 2017-08-18 2019-02-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mssystems mit einer automatisierten Feststellbremse
DE102017121686A1 (de) * 2017-09-19 2019-03-21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Feststellbremse
DE102017218669A1 (de) * 2017-10-19 2019-04-2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teil- oder vollautonom fahrbaren Kraftfahrzeugs
DE102017219675A1 (de) * 2017-11-06 2019-05-09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CN115285094B (zh) * 2022-08-25 2023-06-02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静态驻车的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0153A (ja) * 1983-01-31 1984-08-11 Mazda Motor Corp 電動駐車ブレ−キ装置
DE3642874A1 (de) 1986-12-16 1988-06-30 Daimler Benz Ag Einrichtung fuer eine parkbremse an einem kraftfahrzeug
DE4218717A1 (de) 1992-06-06 1993-12-09 Fichtel & Sachs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Feststellbremse eines Kraftfahrzeugs
DE4432456A1 (de) 1994-09-12 1996-03-14 Hs Tech & Design Vorrichtung zum erleichterten Berganfahren eines Kraftfahrzeuges
DE19611360C2 (de) * 1996-03-22 1998-01-29 Daimler Benz Ag Einrichtung zur Betätigung der Bremsanlage eines Straßenfahrzeuges
JP3624930B2 (ja) * 1997-10-23 2005-03-02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坂道発進補助装置
DE19814657C2 (de) 1998-04-01 2000-12-14 Kuester & Co Gmbh Steuer- und/oder Regelvor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Feststellbremseinrichtung von Fahrzeugen
FR2784639B1 (fr) * 1998-10-14 2006-09-08 Luk Getriebe Systeme Gmbh Dispositif et procede de verrouillage en pente pour vehicule automobile
EP1008503B1 (en) * 1998-12-08 2009-02-25 Hyundai Motor Company Brak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 vehicle from rolling downward on a slope
JP2000177549A (ja) * 1998-12-11 2000-06-27 Akebono Brake Ind Co Ltd 制動力保持装置
JP3799903B2 (ja) * 1999-02-24 2006-07-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の駐車ブレーキ装置
GB2376990B (en) 2001-06-28 2004-10-20 Ford Global Tech Inc Electric parking brake
DE10135744A1 (de) * 2001-07-21 2003-02-0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meidung des Rückrollens eines Fahrzeuges
DE10200783C2 (de) 2002-01-11 2003-12-24 Audi Ag Anfahrhilfesteuerungsvorrichtung
JP3985095B2 (ja) * 2002-08-02 2007-10-0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04066993A (ja) * 2002-08-07 2004-03-04 Asmo Co Ltd 駐車ブレーキ装置
JP3923410B2 (ja) * 2002-10-22 2007-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DE10324446B3 (de) 2003-05-28 2004-12-16 Lucas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Steuerung eines mit einer elektrischen Parkbremse ausgestatteten Brems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13174A1 (de) 2006-02-09
JP2008508145A (ja) 2008-03-21
KR20130140173A (ko) 2013-12-23
KR101364387B1 (ko) 2014-02-17
US20080190718A1 (en) 2008-08-14
JP5583323B2 (ja) 2014-09-03
DE102005031155A1 (de) 2006-02-23
EP1773632A1 (de) 2007-04-18
US9028015B2 (en) 2015-05-12
EP1773632B1 (de)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387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7762633B2 (en) Brake control system
US4629043A (en) Electric parking brake system for a vehicle
US6554744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oad speed of a motor vehicle
US8086384B2 (en) Stop determination apparatus, inclination determination apparatus, and electric parking brake controller
US6496768B2 (en) Vehicular brak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5142722B2 (ja) 手動操作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作動方法
JP2000108861A (ja) 斜面上に存在する車両の後方転がり移動防止装置および方法
CN100482505C (zh) 用于操作机动车用制动器的方法
US9020725B2 (en) Brak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otor vehicles
JP2008094142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1522747A (ja) クラッチの自動化された作動装置を備えた自動車
JPH08282456A (ja) 坂道発進補助装置
JP5062431B2 (ja) ブレーキ装置
US11407388B2 (en) Electromechanical park brake strategy for transmission park pawl engagement
JP4333305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JP3689953B2 (ja) 電動車両用制動力保持装置
EP1336526A2 (en) Automatic running control method, system, and ACC controller for automotive vehicle
JPS59143747A (ja) 電動駐車ブレ−キ装置
JPS59143745A (ja) 電動駐車ブレ−キ装置
JP2007045234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20133601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CN114258363A (zh) 用于控制车辆、尤其是机动车的传动机构的驻车锁止器的挂入和/或摘出的方法
KR19980034910U (ko) 경사길에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KR20050108083A (ko) 차량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