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622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622A
KR20070047622A KR1020050104525A KR20050104525A KR20070047622A KR 20070047622 A KR20070047622 A KR 20070047622A KR 1020050104525 A KR1020050104525 A KR 1020050104525A KR 20050104525 A KR20050104525 A KR 20050104525A KR 20070047622 A KR20070047622 A KR 20070047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ode
power
rot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준
김영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7622A/ko
Publication of KR2007004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며, 디스플레이 모드와 테블릿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와; 상기 회동지지부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각도를 감지하는 회동각도감지부와; 상기 모드들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 전원 및 테블릿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와 상기 테블릿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각도를 포함한 모드 설정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모드 설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회동각도감지부로부터의 회동각도 신호와 상기 저장부의 모드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전원 및 테블릿전원 중 어느 하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로 공급되는 전원모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모드를 예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디스플레이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저장부 130 : 사용자입력부
140 : 회동각도감지부 150 : 회동지지부
160 : 전원공급부 161 : 디스플레이전원
163 : 태블릿전원 170 : 제어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블릿모드와 디스플레이모드에 따른 전원공급모드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TV나 모니터 등과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써,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박막형 디스플레이패널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 중에는 화면에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태블릿(tablet)기능을 갖춘 것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태블릿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3-0065713호 및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01821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태블릿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은 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터치스크린 상에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태블릿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전원과 태블릿기능을 구동하는 태블릿전원이 각각 마련되나,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의 태블릿기능 사용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디스플레이전원과 태블릿전원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태블릿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태블릿전원에 전원이 인가됨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 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태블릿전원과 디스플레이전원을 별도록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도 개발되었으나 사용자의 선택여부와 상관없이 전원모드가 제어되어 여전히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태블릿모드와 디스플레이모드의 전원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며, 디스플레이 모드와 테블릿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와; 상기 회동지지부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각도를 감지하는 회동각도감지부와; 상기 모드들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 전원 및 테블릿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와 상기 테블릿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각도를 포함한 모드 설정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모드 설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회동각도감지부로부터의 회동각도 신호와 상기 저장부의 모드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전원 및 테블릿전원 중 어느 하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모드설정값을 입력받기 위한 OSD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드설정값은, 상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사용여부에 관한 선택값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력부는 터치스크린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외관작동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원모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디스플레이부(1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150)와, 회동지지부(150)의 회동각도를 감지하는 회동각도감지부(140)와, 사용자가 희망하는 디스플레이모드와 태블릿모드의 회동각도와 모드값을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130)와, 사용자입력부(130)에서 입력받은 회동각도와 모드값이 저장되는 저장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모드와 태블릿모드에 대해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하며, 회동감지부(140)에서 감지한 현재 회동각도와 사용자가 입력한 회동각도와 모드값에 따라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박막형 디스플레이패널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미도시)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태블릿기능을 이용할 때 펜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좌표값을 읽어들일 수 있도록 다수의 초음파 센서(미도시)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태블릿기능을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지지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회동지지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와 힌지결합 또는 여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직한 상태(도 2a)와 소정각도(β) 회동된 상태(도 2b)로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한다.
회동지지부(150)의 일측에는 회동지지부(150)의 회동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회동각도감지부(140)가 마련된다. 회동각도감지부(140)는 회동지지부(150)의 일측에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기울기센서로 구현되며 회동지지부(150)의 현재 회동각도를 감지하여 후술할 제어부(170)로 알려준다.
기울기센서는 입력값과 출력값의 차이에 따라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제어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기울기를 감지하는 여타 공지된 기술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기울기센서는 제어회로기법이 아닌 정확한 각도까지 센싱이 가능한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추를 달아주어 기울기에 따른 저항값변화로 각도를 센싱하는 포텐션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가 태블릿모드와 디스플레이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각도를 포함한 모드 설정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부에 UI(user interac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OSD(on screen display)를 이용하여 입력받거나 키보드 혹은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받을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회동지지부(150)가 15°이상의 각도로 기울어졌을 때 디스플레이모드 외에 태블릿모드도 작동하기를 희망할 때는, UI(user interface)를 실행시켜 15°의 각도를 입력하면 된다. 이 때, 입력하는 각도는 기준면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수직면을 기준으로 혹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회동지지부(150)의 회동각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모드와 태블릿모드 각각에 대한 모드설정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모드설정값은, 다양한 조건과 메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 태블릿모드로 사용할 때 인식방법을 터치스크린 방식, 전자펜 방식, 음성인식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를 항상 태블릿모드로 작동하거나, 항상 디스플레이모드로만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사용자입력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모드별 회동각도와 모드설정값이 저장된다. 저장부(120)는 RAM, ROM, SDRAM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된 모드별 회동각도와 모드설정값을 후술할 제어부(170)로 알려준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를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저장부(120)는 사용자별로 ID를 부여하여 디스플레이모드와 태블릿모드의 회동각과 모드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사용자에 대해서도 기간을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모드와 태블릿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디스플레이부(110)로 전원을 공급하며, 디스플레이전원(161)과 테블릿전원(163) 각각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전원(161)과 테블릿전원(163) 중 어느하나에, 또는 동시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소정각도로 회동하였을 때, 회동감지부(140)에서 알려온 현재 회동각도와 저장부(120)에 저장된 모드별 회동각도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원모드를 제어한다. 즉, 현재 디스플레이부(110)의 회동각도가 저장부(120)에 입력된 디스플레이모드의 회동각도인지, 태블릿모드의 회동각도인지를 비교판단하여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과정을 도 3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S100),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거나 OSD(on screen display)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드와 태블릿모드를 사용하는 회동각도와, 각 모드에 대한 모드설정값을 입력받는다(S200).
사용자가 입력을 완료하면, 저장부(120)는 입력된 내용을 제어부(170)로 알려주고, 제어부(170)는 태블릿모드 설정값을 판단한다. 먼저, 사용자가 입력한 모 드설정값이 태블릿전원이 항상 off인지 판단하여(S300), 항상 off로 설정된 경우는 태블릿전원을 off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고(S700), 항상 off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태블릿전원이 항상 on으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S400). 여기서, 태블릿전원이 항상 on으로 설정된 경우는 제어부(170)는 전원공급부(160)가 태블릿전원(163)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S800).
한편, 태블릿전원이 항상 on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회동각도감지부(140)가 현재의 디스플레이부(110)의 회동각도를 감지하도록 제어한다(S500). 회동각도감지부(14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10)의 회동각도를 기울기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제어부(170)로 알려준다.
감지한 결과 디스플레이부(110)의 회동각도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회동각도에 변화가 있는 동안 대기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회동각도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회동각도와 모드설정값과 비교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가 입력한 태블릿기능 사용 회동각도가 30°라고 가정하면, 제어부(170)는 회동각도감지부(140)에서 알려온 현재 회동각도가 30°보다 큰지 판단한다(S700). 판단결과,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각도가 3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태블릿 전원을 off하고, 디스플레이 전원만 on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한다.
반면에,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회동각도가 30ㅀ 보다 큰 경우에는 테블릿 전원과 디스플레이 전원을 동시에 on하도록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한다.
한편, 상술한 상태로 작동하다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회동각도에 다시 변화 가 생기면 다시 사용자가 입력한 회동각도와 비교하여(S600) 자동으로 전원모드를 제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회동각도와 모드설정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태블릿전원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초기 입력한 회동각도에 따라 사용 중, 디스플레이부를 회동시키는 동작으로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전원과 태블릿전원이 제어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며 전원제어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자가 미리 입력한 회동각도와 모드설정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태블릿전원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

  1.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며, 디스플레이 모드와 테블릿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와;
    상기 회동지지부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각도를 감지하는 회동각도감지부와;
    상기 모드들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 전원 및 테블릿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와 상기 테블릿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각도를 포함한 모드 설정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모드 설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회동각도감지부로부터의 회동각도 신호와 상기 저장부의 모드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전원 및 테블릿전원 중 어느 하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모드설정값을 입력받기 위한 OSD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값은,
    상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사용여부에 관한 선택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스크린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50104525A 2005-11-02 2005-11-02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47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525A KR20070047622A (ko) 2005-11-02 2005-11-02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525A KR20070047622A (ko) 2005-11-02 2005-11-02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622A true KR20070047622A (ko) 2007-05-07

Family

ID=3827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525A KR20070047622A (ko) 2005-11-02 2005-11-02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76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69B1 (ko) * 2007-08-14 2009-04-15 화영시스템즈주식회사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가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KR20140096523A (ko) * 2013-01-28 201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및 그 방법
WO2023008707A1 (ko) * 2021-07-27 2023-02-02 방관수 스마트 화장품 매니저 및 피부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69B1 (ko) * 2007-08-14 2009-04-15 화영시스템즈주식회사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가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KR20140096523A (ko) * 2013-01-28 201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및 그 방법
WO2023008707A1 (ko) * 2021-07-27 2023-02-02 방관수 스마트 화장품 매니저 및 피부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9497B (zh) 可攜式裝置之操作方法及系統
JP58309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990744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876754B1 (ko) 작동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1563523B1 (ko) 듀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US6201554B1 (en) Device control apparatus for hand-held data processing device
US20110117970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touch lock control based on motion sensing
US20230109078A1 (en) Rolling Gesture and Mistouch Prevention on Rolling Devices
JP5966059B1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その画面切り替え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9176528B2 (en) Display device having multi-mode virtual bezel
US20130083073A1 (en) Tilt direction detector for orienting display information
JP2008508631A (ja) 浮動小数点値を設定するタッチスクリーンスライダ
TW200609814A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method, and program
US20050270277A1 (en) Portable computer having display mode changed according to attachment/detachment of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033166A (ja) 折畳式電子装置及びその折畳角度制御方法
JP2011164676A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4345882A (zh) 屏幕显示模式的调整方法与电子装置
JP5846661B2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40009713A (ko)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JP5353090B2 (ja) 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
KR20070047622A (ko) 디스플레이장치
JP3755479B2 (ja) 映像投射装置
TW201426441A (zh) 顯示控制系統及顯示控制方法
CN104185823B (zh) 电子设备中的显示器和方法
JP5916363B2 (ja) 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