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869B1 -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가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 Google Patents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가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869B1
KR100892869B1 KR1020070081799A KR20070081799A KR100892869B1 KR 100892869 B1 KR100892869 B1 KR 100892869B1 KR 1020070081799 A KR1020070081799 A KR 1020070081799A KR 20070081799 A KR20070081799 A KR 20070081799A KR 100892869 B1 KR100892869 B1 KR 100892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osd
input
touch screen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216A (ko
Inventor
박정일
Original Assignee
화영시스템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영시스템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영시스템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86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OSD 제어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기존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환경에서 별도의 응용프로그램 및 하드웨어의 추가 없이 터치스크린이나 키보드 또는 마우스 조작을 통해 간편하게 화면조정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아날로그/디지털 보드와 터치 컨트롤러로 이루어지고 컴퓨터 본체에 탑재된 터치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터치 드라이버는 OSD 제어를 위한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여 그 메뉴상에서의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대화형 데이터프레임으로 생성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터치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드라이버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재생성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보드에 전송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보드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OSD 제어의 설정값을 저장 또는 갱신하고 실시간 적용시키는 OSD 제어 모듈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모니터에 있어서의 OSD의 직접 제어를 위한 키 버튼을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설계와 디자인에 큰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여 모니터 위치에서 떨어진 원거리에서도 OSD의 원격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제공한다. 즉, 기존의 간접 제어 방식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모니터에 별도의 응용프로그램 탑재나 하드웨어의 추가 장착을 하지 않아도 되어 그만큼 원가절감하는 효과도 제공되는 것이다.
터치스크린, 모니터, OSD 제어

Description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ON-SCREEN DISPLAY CONTROLLABLE TOUCH SCREEN MONITOR ON COMPUTER INPUT UNIT}
본 발명은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on-screen display) 제어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 스크린 모니터의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이나 인터페이스(interface) 없이 모니터와 연결된 컴퓨터 본체의 입력장치인 터치스크린이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여 화면조정을 할 수 있게 한 터치 스크린 모니터의 OSD 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에는 사용자가 화면 표시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OSD의 제어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OSD 제어 모듈은 설정된 값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값을 저장하며 모니터의 영상처리부에 그 저장된 값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값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OSD 제어 모듈은 사용자 요구에 의해 호출되는 대화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여기에는 각 파라메타의 현재 설정값이 그래픽으로 표시되며, 각 그래픽 표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값이 실시간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그래픽 표시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패턴으로 쉽게 화면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화면 조정의 파라메터에는 기종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화면 밝기(brightness), 대비(contrast), RGB 조정, 화면의 상하 좌우 크기 및 위치 등이 포함된다.
OSD 제어에는 모니터에 장착된 키 버튼(key buttons)을 조작하게 한 직접 제어와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상에서 컴퓨터 본체의 입력장치를 통해 조작할 수 있게 간접 제어가 있다.
OSD의 직접 제어를 위해서는 모니터 하우징에 반드시 키 버튼이 외부에서 조작(터치)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 경우 모니터 설계나 디자인 변화에 제약이 따른다. 모니터에 부착된 OSD용 키 버튼이 손이 잘 닿지 않는 위치에 놓일 경우는 그 화면조정이 매우 불편해진다. 예를 들어 모니터가 벽 등에 매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모니터 하우징에 부착된 키 버튼이 벽면에 의해 은폐되어진 경우는 모니터를 벽면에서 뜯어내야만 화면조정을 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큰 불편이 초래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3-0094853 및 10-2004-0011164 등에는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OSD의 간접 제어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OSD의 간접 제어는 전술한 OSD 모듈의 키 버튼 대신 컴퓨터 본체와 연결된 키보드나 마우스 조작으로 화면조정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고 또한 키 버튼으로 인한 모니터 설계나 디자인 변경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방식을 위해서는 별도의 응용프로그램 설치와 함께 모니터의 OSD 제어 모듈과 컴퓨터 본체 사이의 독립적인 통신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원가 상승이 초래되고, 또한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를 별도의 USB 또는 시리얼 통신 케이블로 추가 연결해야 하므로 이 또한 사용자의 불만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입력보조수단으로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른바 터치스크린 모니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전술한 OSD 제어 모듈 외에, 터치스크린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제어 모듈은 터치 스크린상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포인트를 감시하여 그 터치 포인트에 대응한 신호를 생성하여 컴퓨터 본체로 입력시키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즉, 터치스크린은 기존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터치스크린 제어 모듈은 단지 보조 입력수단으로서는 활용되지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그 활용도가 낮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OSD 제어에 있어서의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터치스크린 제어 모듈이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점을 착안, 기존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환경에서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이 하드웨어의 추가 없이 터치스크린이나 키보드 또는 마우스 조작을 통해 간편하게 화면조정을 할 수 있는 이른바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OSD 제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OSD 제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는 컴퓨터 본체 또는 기타 영상출력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보드와, 터치 스크린의 입력을 감시하여 컴퓨터 본체로 전달하는 터치 컨트롤러, 및 컴퓨터 본체에 탑재되어 그 컴퓨터 본체와 터치 컨트롤러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하는 터치 드라이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터치 드라이버에는 OSD 제어를 위한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여 그 메뉴상에서의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대화형 데이터프레임으로 생성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터치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 컨트롤러에는 상기 터치 드라이버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재생성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보드에 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보드에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OSD 제어의 설정값을 저장 또는 갱신하고 실시간 적용시키는 OSD 제어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아날로그/디지털 보드에는 상기 컴퓨터 본체나 기타 영상출력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영상을 그 영상 신호의 정상 여부 및 해상도 분석을 담당하는 영상입력부, OSD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지디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OSD 제어 모듈로서의 OSD 설정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이 메모리에 저장된 OSD 설정 값을 그래픽 메뉴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며 또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변경된 OSD 설정 값을 그 메모리에 갱신 저장하고 상기 영상처리부에 그 저장된 OSD 설정 값을 제공하는 OSD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컨트롤러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주기적으로 감시하고 검지된 아날로그 값을 전달하는 터치입력 감시부, 이 터치입력 감시부로부터 입력된 값을 디지털 값으로 분해 및 변환한 후 적절한 좌표를 생성하며 또 그 값을 컴퓨터 본체에 전달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 컴퓨터 본체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통신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본체와의 USB 및 시리얼 통신을 위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모니터에 있어서의 OSD의 직접 제어를 위한 키 버튼을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설계와 디자인에 큰 변화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모니터에 부착된 OSD용 키 버튼이 놓여 있더라도 OSD의 원격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제공한다. 즉, 기존의 간접 제어 방식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모니터에 별도의 응용프로그램 탑재나 하드웨어의 추가 장착을 하지 않아도 되어 그만큼 원가절감하는 효과도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스크린 모니터에 장착되는 터치스크린 제어 모듈을 단순한 보조입력장치로서뿐만 아니라 컴퓨터 본체와 기존 모니터 내 다른 장치와의 별도의 하드웨어 없이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유용성을 한층 높이는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OSD 제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 컴퓨터 본체(60)의 영상출력부(7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보드(20),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30), 이 터치스크린(30) 상의 터치 입력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 본체(60)에 탑재된 터치 드라이버(80)에 입력시키고 그 터치 드라이버(80)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전달을 위해 그 아날로그/디지털 보드(20)와 연결되어 통신하는 터치 콘트롤러(40)를 구비하며, 또한 기존 OSD 모듈의 키입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아날로그/디지털 보드(20)에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통상의 영상입력부(21)와 영상처리부(22), 그리고 OSD 모듈로서의 OSD 제어부(23)와 메모리(24)가 탑재되고 전술한 키입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입력부(21)는 컴퓨터 본체(60)의 영상출력부(70)로부터 또는 TV나 VCR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영상을 그 영상 신호의 정상 여부 및 해상도 등을 분석하여 정상신호인 경우 그 영상 신호를 영상처리부(22)로 전송하고, 정상신호가 아닌 경우는 비정상 신호를 출력한다.
영상처리부(22)는 OSD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지디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로 출력한다.
OSD 제어부(23)는 메모리(24)에 저장된 OSD 설정 값을 그래픽 메뉴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며 또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변경된 OSD 설정 값을 메모리(24)에 갱신 저장하고 영상처리부(22)에 그 저장된 OSD 설정 값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24)에는 OSD 설정 값이 저장되며, 일반적인 화면 밝기, 대비, RGB 조정, 화면의 상하 좌우 크기 및 위치를 포함한 화면 조정을 위한 OSD 설정 값이 저장된다.
키입력부(50)는 모니터 하우징에 외부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 버튼 어레이(도시 생략)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키 입력을 예를 들면 TTL 신호로 수신하여 그 입력 값을 OSD 제어부(23)에 전달한다.
전술한 도 1의 터치 컨트롤러(40)에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터치입력 감시부(41)와 터치스크린 제어부(42) 및 통신제어부(43)가 포함된다.
터치입력 감시부(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주기적으로 감시하고 검지된 아날로그 값을 터치스크린 제어부에 전달한다.
터치스크린 제어부(42)는 입력된 값을 디지털 값으로 분해 및 변환한 후 적절한 좌표를 생성하며, 또 그 값을 컴퓨터 본체(60)에 전달하기 위하여 통신제어부(43)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제어부(43)는 바람직하게는 USB 및 시리얼 등의 컴퓨터 본체(60)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통신회로를 구성하며, 주로 입력된 터치 좌표 값을 컴퓨터 본체(6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컴퓨터 본체(60)로부터 수신한 터치관련 명령과 OSD 제어 데이터를 터치스크린 제어부(42)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컴퓨터 본체(60)에 탑재되는 터치 드라이버(80)는 일종의 펌웨어로서 통상의 통신 및 이벤트 처리를 담당하는 드라이버 프로그램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등의 옵션 조정을 담당하는 설정 프로그램이 통합된 것이다. 즉, 이 터치 드라이버(80)는 OSD 제어 기능이 포함된 것으로서, 종래의 통신 및 이벤트를 생성하는 역할을 동일하게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OSD 제어 설정값 입력을 위한 키 버튼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컴퓨터 입력장치인 터치스크린이나 키보드 또는 마우스 조작을 통해 그 화면상의 버튼 입력을 하면 약속된 데이터 프레임 형식으로 즉시 터치스크린으로 전송하고 이 데이터를 수신한 모니터에서는 OSD 메뉴 화면의 실시간 제어가 이뤄지게 한다.
이러한 터치 드라이버(80)에 의한 OSD 제어 기능은 도 3과 같이 이행된다. 즉, OSD 제어 기능이 포함된 터치 드라이버가 로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 입력수단으로 터치드라이버 화면상의 OSD 제어(시작) 버튼을 입력(클릭)하는 함으로써 시작되는데, 먼저 터치드라이버(80)에서는 OSD 메뉴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1),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OSD 메뉴상에서의 사용자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조작에 의하여 OSD 설정 값이 변경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2),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OSD 메뉴상에서의 사용자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조작에 의하여 OSD 설정 값이 변경된 경우에 터치스크린과의 대화형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고 터치 컨트롤러(40) 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3)가 이행된다.
다음으로, 터치 드라이버(8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터치 컨트롤러(40)에서는 그 입력된 데이터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재생성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보드(2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4)가 이행된다.
다음으로, 터치 컨트롤러(4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보드(20)는 그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한 OSD 설정 값을 갱신 저장하고 실시간 적용하는 단계(S5)가 이행된다.
다음으로, 터치 드라이버(8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을 마쳤는지 또는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에 그 입력 대기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여(S6), 사용자 입력이 계속되고 있으면 전술한 단계 S2 내지 S5를 반복될 수 있도록 계속 대기하고, 사용자가 입력을 마쳤거나 입력대기시간이 초과하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OSD 모듈의 키 입력부(50)가 설치된 경우에, 그 키 입력부(50)에 의한 OSD의 직접 제어를 위한 루틴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으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실시예나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OSD 제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회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OSD 제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도 1에 도시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디스플레이 패널 20: 아날로그/디지털 보드
30: 터치스크린 40: 터치 컨트롤러
50: 키 입력부 60: 컴퓨터 본체
80: 터치 드라이버

Claims (4)

  1. 컴퓨터 본체 또는 기타 영상출력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보드와, 터치 스크린의 입력을 감시하여 컴퓨터 본체로 전달하는 터치 컨트롤러, 및 컴퓨터 본체에 탑재되어 그 컴퓨터 본체와 터치 컨트롤러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하는 터치 드라이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터치 드라이버에는 OSD 제어를 위한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여 그 메뉴상에서의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대화형 데이터프레임으로 생성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터치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 컨트롤러에는 상기 터치 드라이버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재생성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보드에 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보드에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OSD 제어의 설정값을 저장 또는 갱신하고 실시간 적용시키는 OSD 제어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해 OSD 제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아날로그/디지털 보드에는 상기 컴퓨터 본체나 기타 영상출력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영상을 그 영상 신호의 정상 여부 및 해상도 분석을 담당하는 영상입력부, OSD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지디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OSD 제어 모듈로서의 OSD 설정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이 메모리에 저장된 OSD 설정 값을 그래픽 메뉴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며 또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변경된 OSD 설정 값을 그 메모리에 갱신 저장하고 상기 영상처리부에 그 저장된 OSD 설정 값을 제공하는 OSD 제어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해 OSD 제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주기적으로 감시하고 검지된 아날로그 값을 전달하는 터치입력 감시부, 이 터치입력 감시부로부터 입력된 값을 디지털 값으로 분해 및 변환한 후 적절한 좌표를 생성하며 또 그 값을 컴퓨터 본체에 전달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 컴퓨터 본체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통신제어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해 OSD 제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가 상기 컴퓨터 본체와의 USB 및 시리얼 통신을 위한 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해 OSD 제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KR1020070081799A 2007-08-14 2007-08-14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가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KR100892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99A KR100892869B1 (ko) 2007-08-14 2007-08-14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가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99A KR100892869B1 (ko) 2007-08-14 2007-08-14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가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16A KR20090017216A (ko) 2009-02-18
KR100892869B1 true KR100892869B1 (ko) 2009-04-15

Family

ID=4068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799A KR100892869B1 (ko) 2007-08-14 2007-08-14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가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5901B (zh) * 2017-09-24 2024-05-24 际华三五四二纺织有限公司 改进型细纱机plc控制器操作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856U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터치스크린을 갖춘 텔레비전의 문자편집처리장치
KR19990054457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2016852A (ja) 2000-06-30 2002-01-18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KR20070047622A (ko) * 2005-11-02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856U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터치스크린을 갖춘 텔레비전의 문자편집처리장치
KR19990054457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2016852A (ja) 2000-06-30 2002-01-18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KR20070047622A (ko) * 2005-11-02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16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849B1 (ko) 원격조정제어장치, 영상처리장치, 이를 포함하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35838A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452335B2 (en)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adjustment method
KR100381422B1 (ko) 컴퓨터시스템 및 osd 표시방법
US8896611B2 (en)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11442592B2 (en) Display device for driving personal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040075638A1 (en) USB based on-line on-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icroprocessor based electronic devices
KR20110032678A (ko)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그 해상도 제어방법
KR20030094853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148018A (ja)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TW201440028A (zh) 顯示控制裝置與顯示控制方法
WO2003090121A1 (en) A web browser for use with a television display for preventing screen burn
KR100892869B1 (ko) 컴퓨터 입력장치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가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니터
US20100315328A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with multiple media sources and corresponding displays
KR20060115416A (ko) 영상처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6007304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271076B (zh) 屏幕显示菜单的控制方法及其系统
US200901329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Monitor
US1027100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exter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KR20020041657A (ko) 일체형인 다수개의 모니터를 갖는 컴퓨터의 화면 조정시스템
TW202038080A (zh) 電腦系統、顯示裝置及螢幕上顯示介面的操作方法
JP3585101B2 (ja) 表示装置
US9053653B2 (en) Using display monitor user controls to adjust an accessory
KR200434597Y1 (ko) 디스플레이장치
JP4869559B2 (ja) 画像信号発生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オンライ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