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467A -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467A
KR20070047467A KR1020050104240A KR20050104240A KR20070047467A KR 20070047467 A KR20070047467 A KR 20070047467A KR 1020050104240 A KR1020050104240 A KR 1020050104240A KR 20050104240 A KR20050104240 A KR 20050104240A KR 20070047467 A KR20070047467 A KR 2007004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teering column
locking bar
ba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363B1 (ko
Inventor
권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36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05Arrangement of the steering colum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3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axially moved along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칼럼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PIC 시스템을 장착한 자동차의 경우에 운전자나 혹은 탑승자의 조작실수로 조작노브가 록킹 위치로 회전되어도 조향휠과 조향칼럼이 록킹되지 않고 자동차의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만 조향휠과 조향칼럼이 록킹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향휠과 조향칼럼의 록킹을 방지해서 교통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향칼럼에 구비된 록킹홈과, 이 록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록킹바, 상기 록킹바를 전진 혹은 후퇴시키도록 록킹바와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 조작노브,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만 상기 록킹바가 록킹홀 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바 걸림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조향칼럼의 록킹장치{Steering column loc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칼럼의 록킹장치의 구성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칼럼의 록킹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조작노브 2-록킹바
3-가이드 4-솔레노이드
5-아자 스위치
본 발명은 조향칼럼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향칼럼의 조작노브를 록킹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운전자가 도어를 개방시킨 후에 조향칼럼이 록킹되도록 한 조향칼럼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에는 도난을 방지할 목적으로 자동차의 키를 뽑게 되면 조향휠이 회전되지 않도록 조향휠과 연결된 조향칼럼이 록킹되는 조향칼럼 록킹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향칼럼 록킹장치는 조향칼럼에 일체로 고정되게 장착되면서 록킹홈을 가진 록킹링과, 키이하우징에 키이홈을 가지고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키이실린더의 선단부에 일체로 회전되게 연장되어 형성된 캠샤프트와, 이 캠샤프트에 형성된 캠, 이 캠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도록 상기 캠과 접촉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록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록킹바, 이 록킹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록킹바 스프링 및, 길이방향을 따른 대략 중앙부위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자동차의 키이와 자체의 리턴스프링에 의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록킹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자동차의 키이를 키이실린더로부터 뽑게 되면, 상기 록킹레버가 상기 록킹바를 해방시켜 주게 되고, 상기 록킹바는 상기 록킹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지면서 조향칼럼의 록킹링의 록킹홈 속에 삽입되어 걸려짐에 따라 조향칼럼과 조향휠이 록킹되게 된다. 즉, 키이가 완전히 빠진 상태에서 칼럼이 록킹되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자동차의 키이를 키이실린더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자동차의 키이를 시동을 목적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 캠샤프트가 키이실린더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캠샤프트의 캠이 회전하여 상기 록킹바를 상방향으로 당겨서 록킹홈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며, 이와 같이 상승된 록킹바는 상기 록킹레버에 의해 잡혀져서 고정됨에 따라 운전자가 조향휠을 회전시켜 자동차를 소망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PIC 시스템(Personal Identification Card)을 장착한 자동차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포브(FOB)만을 가지고 있으면 통신을 통해서 자동차의 시동을 제어하 는 시스템이므로, 운전자가 조작노브를 록킹 위치로 돌려주면 상기 록킹바가 하강하여 조향칼럼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걸려지게 되어 있는 데, 운전자나 혹은 탑승자의 실수로 자동차의 주행 중에 상기 조작노브를 록킹 위치로 회전시켜 주면, 조향칼럼이 록킹되면서 자동차의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조작노브를 록킹바와 연동시킨 이유는 일반 키이를 사용할 때와는 달리 PIC 시스템에서는 키이를 빼는 동작이 없기 때문에 록킹바를 작동해야할 구분된 동작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PIC 시스템을 장착한 자동차의 경우에 운전자나 혹은 탑승자의 조작실수로 조작노브가 록킹 위치로 회전되어도 조향휠과 조향칼럼이 록킹되지 않고 자동차의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만 조향휠과 조향칼럼이 록킹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향휠과 조향칼럼의 록킹을 방지해서 교통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조향칼럼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향칼럼에 구비된 록킹홈과, 이 록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록킹바, 상기 록킹바를 전진 혹은 후퇴시키도록 록킹바와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 조작노브,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만 상기 록킹바가 록킹홀 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바 걸림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록킹바 걸림수단이 상기 록킹바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플런저를 구비한 솔레노이드와,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아자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칼럼 록킹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조작노브(1)의 일단에는 도시되지 않은 캠을 구비한 캠샤프트가 일체로 연동되게 장착되고, 록킹바(2)가 장착된 가이드(3)가 상기 캠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게 상기 캠과 접촉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3)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3)의 일측면에는 대체로 삼각형상을 이루는 걸림돌기(3a)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플런저(4a)를 구비한 솔레노이드(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솔레노이드는 기히 공지된 아자(ajar) 스위치(5)를 통해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도록 밧데리 전원(B+)과 접속되어 있다.
도 1의 상태는 조향휠과 조향칼럼이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것인 바, 운전자가 상기 조작노브(1)를 돌려서 조향휠의 록킹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이다. 상기 조작노브를 회전시키면 조작노브에 의해 캠이 회전되면서 상기 록킹바(2)가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져서 조향칼럼 쪽으로 돌출하여 조향칼럼의 록킹홈 속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조향휠과 조향칼럼이 상기 록킹바에 의해 록킹되게 된다.
도 2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시동하기 위해 ACC 위치로 상기 조작노브(1)를 회 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인 바, 운전자가 상기 조작노브(1)를 회전시켜 주면, 조작노브에 의해 캠이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3)와 록킹바(2)가 상승하여 조향칼럼의 록킹홈으로부터 록킹바가 빠져나오게 되어, 운전자가 조향휠을 조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가 캠에 의해 상승할 때에 상기 플런저(4a)는 상기 걸림돌기(3a)에 의해 후퇴하였다가 자체의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져서 상기 걸림돌기(3a)의 하단부로 돌출하여 걸림돌기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캠에 의해 상승된 가이드와 록킹바가 상기 플런저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조향휠과 조향칼럼의 록킹 해방 상태가 상기 플런저에 의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운전자가 자동차의 운행을 끝내고 자동차를 이탈할 경우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운전자가 상기 조작노브를 돌려서 조향휠의 록킹 위치로 회전시켜 주면, 상기 록킹바는 상기 플런저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조향휠의 조향은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러나, 상기 록킹바는 하방으로 밀려질 수 있도록 스프링의 압력은 받고 있는 상태에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도어를 개방시켜 주면 상기 아자 스위치가 온 되면서 아자 스위치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공급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플런저가 자력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바는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져서 조향칼럼의 록킹링에 걸려지게 되어, 조향휠과 조향칼럼을 조향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즉, 운전자가 조작노브를 록킹 위치로 돌린 상태에서 운전석 도어를 개방시 켜야 만이 록킹바가 돌출하여 조향휠과 조향칼럼을 록킹시켜 주게 되므로, 운전자나 탑승자의 부주의로 인해 조작노브가 조작되어도 조향휠이 록킹되지 않도록 해서 교통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칼럼의 록킹장치에 의하면, 운전자나 탑승자의 조작실수로 조작노브가 록킹 위치로 회전되어도 록킹바가 조향칼럼의 록킹홈 속에 삽입되어 걸려지지 않고 운전자가 자동차를 떠날 목적으로 운전석의 도어를 개방시킬 경우에만 상기 록킹바가 록킹홈 속에 삽입되어 걸려져서 조향휠이 록킹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의 부주의로 인해 조향휠이 록킹되어서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조향칼럼에 구비된 록킹홈과, 이 록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록킹바, 상기 록킹바를 전진 혹은 후퇴시키도록 록킹바와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된 조작노브,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만 상기 록킹바가 록킹홀 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바 걸림수단을 구비한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 걸림수단이 상기 록킹바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플런저를 구비한 솔레노이드와,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아자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가 상기 걸림돌기의 하단부까지 돌출해서 상기 걸림돌기를 매개로 상기 록킹바를 걸어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KR1020050104240A 2005-11-02 2005-11-02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KR100716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240A KR100716363B1 (ko) 2005-11-02 2005-11-02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240A KR100716363B1 (ko) 2005-11-02 2005-11-02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467A true KR20070047467A (ko) 2007-05-07
KR100716363B1 KR100716363B1 (ko) 2007-05-11

Family

ID=3827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240A KR100716363B1 (ko) 2005-11-02 2005-11-02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52B1 (ko) * 2008-12-04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 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1058B2 (ja) * 1997-04-15 2006-10-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ロック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52B1 (ko) * 2008-12-04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363B1 (ko) 200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0752B2 (en) Theft prevention apparatus for leisure vehicle
JP4822546B2 (ja) 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4494736B2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US7810363B2 (en) Electric steering locking apparatus
JP4126224B2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KR101317620B1 (ko) 차량 이동 가능성 및/또는 폐쇄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619940A (zh) 车辆用门的闩锁控制装置
JP2009084978A (ja) バレットキー収納装置
JP4490734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716363B1 (ko)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JP4733449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3831391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040025549A1 (en) Ignition lock for a motor vehicle
KR100974547B1 (ko)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JP4858392B2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KR100818223B1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462949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7177578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657837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4539327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733450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4733451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4109335B2 (ja) 車輌用グローブボックスのロック装置
KR20080051696A (ko)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JP2019131050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