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996A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996A
KR20070045996A KR1020060105059A KR20060105059A KR20070045996A KR 20070045996 A KR20070045996 A KR 20070045996A KR 1020060105059 A KR1020060105059 A KR 1020060105059A KR 20060105059 A KR20060105059 A KR 20060105059A KR 20070045996 A KR20070045996 A KR 2007004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tilt angle
frame
lock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유노우에
겐이치로 나카타니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대를 임의의 경전각도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경전각도에서의 운전대의 강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의 상부에 설치한 선회 프레임(4)과, 선회 프레임(4)의 앞쪽에 설치한 프론트 작업기(6)와, 선회 프레임(4)의 상부에 설치되고, 앞쪽을 지점으로 하여 경전 가능한 운전대(7)와, 경전각도를 가변으로 하면서 운전대(7)의 경전상태를 유지하는 경전 유지기구(44)를 가지는 건설기계로서, 운전대(7)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운전대(7)의 경전각도의 증가에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잠금부(52b)를 갖춘 잠금부재(52)와, 선회 프레임(4)에 설치되어 잠금부재(52)의 잠금부(52b)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홈(53a)을 운전대(7)의 경전각도에 따라 복수개소 설치한 스토퍼부재(53)를 가진다.

Description

건설기계{CONSTRUCTION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일 실시형태인 유압셔블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일 실시형태인 유압셔블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일 실시형태인 유압셔블의 상부 선회체 내부의 기기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2에서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선회 프레임 및 운전대의 측면도로서, 운전대가 경전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도 2에서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선회 프레임 및 운전대의 측면도로서, 운전대가 경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도 2에서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선회 프레임 및 운전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일 실시형태인 유압셔블의 운전대를 구성하는 바닥 프레임의 상세구조를 힌지기구와 함께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일 실시형태인 유압셔블에 구비된 운전대의 경전 유지기구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4에서의 단면 IX-IX에 의한 수평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건설기계 의 일 실시형태인 유압셔블에 구비된 스토퍼기구의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10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일 실시형태인 유압셔블에 구비된 스토퍼기구의 잠금부재의 요동위치를 운전대의 경전각도에 따라 각각 나타내는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하부 주행체 4 : 선회 프레임
6 : 프론트 작업기 7 : 운전대
44 : 경전 유지기구 52 : 잠금부재
52b : 잠금부 53 : 스토퍼부재
53a : 스토퍼홈 53b : 안내홈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대를 경전 가능한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건설기계의 하나인 유압셔블은, 하부 주행체와 이 하부 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상부 선회체와, 이 상부 선회체의 하부 기초구조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이 선회 프레임의 앞쪽에 부앙 가능하게 설치되어 부움, 아암 및 작업구(예를 들면 버킷, 브레이커, 파쇄기 등)를 포함하는 다관절형의 프론트 작업기와, 선회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운전대(운전실)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압셔 블에는 좁은 작업현장에서의 작업에 알맞은 소형의 유압셔블이 있고, 이 소형의 유압셔블에서는 기기(예를 들면 엔진, 유압펌프, 컨트롤밸브 등)의 설치 공간이 적기 때문에 기기의 일부를 운전대의 아래쪽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운전대의 아래쪽에 설치한 기기의 메인티넌스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앞쪽을 지점으로 하여 운전대를 경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운전대를 경전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의 일례로서, 운전대(틸트 플로어)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운전대를 전방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기구와, 운전대와 선회 프레임(차체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운전대를 전방측으로 회동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토션바와, 운전대를 전방측으로 회동하는 힘를 보조하면서 운전대의 회동속도를 억제하여 제어하는 스프링 실린더와, 운전대를 경전하지 않은 상태 및 경전한 상태에서 잠금하는 잠금기구를 구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잠금기구는, 운전대에 설치되어 제 1 잠금홈, 제 2 잠금홈, 및 이들 잠금홈을 연결하는 긴 구멍을 가지는 잠금 플레이트와, 선회 프레임에 설치되어 잠금 플레이트의 잠금홈 및 긴 구멍에 걸어 맞추는 잠금바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운전대를 경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바가 스프링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잠금 플레이트의 제 1 잠금홈에 걸어 맞춰져 잠기고, 운전대를 경전시키는 경우는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잠금바를 제 1 잠금홈으로부터 개방하여 잠금을 해제한다. 이에 의하여 토션바 및 스프링 실린더에 의한 회동력에 의하여 운전대가 전방측으로 회동한다. 이때 잠금바는 잠금 플레이트의 긴 구멍을 경유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 2 잠금홈에 걸어맞춰진다. 그 결과, 운전대의 경전상태를 잠 그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1645호 공보(6 ~ 7 페이지, 도 3 및 도 6)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존재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토션바 및 스프링 실린더에 의한 회동력에 의하여 운전대를 전방측으로 경전하고, 잠금바가 잠금 플레이트의 제 2 잠금홈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운전대의 경전상태를 잠그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잠금바가 걸어맞춰지는 잠금 플레이트의 제 2 잠금홈의 위치에 의하여 운전대의 경전각도가 정해져 있었다. 그런데 메인티넌스작업을 행하는 기기의 위치나 그 작업내용에 따라서는 운전대를 최대까지 경전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요구에는 대응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대를 임의의 경전각도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경전각도에서의 운전대의 강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상부에 설치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앞쪽에 설치한 작업기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앞쪽을 지점으로 하여 경전 가능한 운전대와, 경전각도를 가변으로 하면서 상기 운전대의 경전상태를 유지하는 경전 유지기구를 가지는 건설기계로서, 상기 운전대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운전대의 경전각도의 증가에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잠금부를 구비한 잠금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부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홈을 상기 운전대의 경전각도에 따라 복수개소 설치한 스토퍼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운전대의 아래쪽에 설치된 기기의 메인티넌스작업을를 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경전 유지기구를 조작하면, 앞쪽을 지점으로 하여 운전대가 서서히 경전하여 임의의 경전각도로 운전대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메인티넌스작업을 행하는 기기의 위치나 작업내용에 따른 최적의 경전각도로 운전대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잠금부재를 운전대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잠금부재의 예를 들면 자유단인 잠금부를 운전대의 경전각도의 증가에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이 잠금부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홈을 운전대의 경전각도에 따라 복수개소 설치한 스토퍼부재를 프레임측에 설치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제 3 자가 경전 유지기구를 부주의하게 조작하여 운전대를 내리려고 하거나, 또한 만일 어떠한 이유로 경전 유지기구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도 운전대의 경전각도에 따라 설치한 스토퍼홈에 의하여 잠금부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임의의 경전각도로 유지된 운전대의 강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운전대를 임의의 경전각도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경전각도에서의 운전대의 강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스토퍼홈의 전후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운전대의 경전각도의 증가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부를 전방측에 차례로 유도하고, 또 상기 운전대의 경전각도의 감소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부를 상기 스토퍼홈으로 유도하는 안내홈을 설치한다.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전 유지기구는 상기 프레임측에 회동지점, 상기 운전대측에 이동지점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지점까지의 변위량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운전대의 경전각도를 가변으로 하면서 유지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일 실시형태인 소형의 유압셔블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유압셔블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유압셔블의 상부 선회체 내부의 기기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편의상, 운전대, 외장 커버 및 카운터 웨이트 등을 떼어 낸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이후 유압셔블이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조작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경우에 있어서의 조작자의 앞쪽(도 1에서 오른쪽), 뒤쪽(도 1에서 왼쪽), 오른쪽(도 1에서 지면을 향하여 바로 앞쪽), 왼쪽(도 1에서 지면을 향하여 안 길이측)을, 단지 앞쪽, 뒤쪽, 오른쪽, 왼쪽이라 부른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이 유압셔블은 좌·우의 무한궤도 캐터필러(크롤러)(1L, 1R)를 구비한 하부 주행체(2)와, 이 하부 주행체(2)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이 상부 선회체(3)의 기초 하부 구조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4)과, 이 선회 프레임(4)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 포스트(5)와, 이 스윙 포스트(5)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부앙 가능하게) 설치된 다관 절형의 프론트 작업기(6)와, 선회 프레임(4)상의 왼쪽 앞 부분에 설치된 캐브타입의 운전대(운전실) (7)와, 선회 프레임(4)의 뒷부분에 설치되고, 프론트 작업기(6)와의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8)와, 선회 프레임(4)의 운전대(7) 이외의 부분[카운터 웨이트(8) 및 뒤에서 설명하는 기기 등]을 덮는 외장 커버(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장 커버(9)는 뒤에서 설명하는 운전대(7)의 경전 유지기구(44)를 설치하기 위하여 운전대(7)의 오른쪽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2)는 대략 H자 형상의 트랙 프레임(10)과, 이 트랙 프레임(10)의좌·우 양쪽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구동륜(11L, 11R)(단, 11만 도 1에 도시)과, 구동륜(11L, 11R)을 각각 구동하는 좌·우 주행용 유압모터(도시 생략)와, 트랙 프레임(10)의 좌·우 양쪽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캐터필러(1L, 1R)를 거쳐 구동륜(11L, 11R)의 구동력으로 각각 회전되는 종동륜(아이들러)(12L, 12R)(단, 12L만 도 1에 나타냄)과, 트랙 프레임(10)에 상하 이 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블레이드용 유압 실린더(도시 생략)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배토(排土)용 블레이드(13)를 구비하고 있다. 또 하부 주행체(2)의 중앙부에는 선회대 베어링(선회륜)(14)이 배치되고, 이 선회륜(14)의 중심 근방에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 프레임(4)을 선회시키는 선회용 유압모터(도시 생략)가 내장되어 있다.
스윙 포스트(5)는 수직핀(도시 생략)을 거쳐 선회 프레임(4)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스윙 포스트(5)는 선회 프레임(4)에 설치한 스윙용 유압 실린더(15)에 연결핀(16)을 거쳐 연결되어 있고, 스윙용 유압 실린 더(15)의 신축으로 스윙 포스트(5) 전체가 연직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프론트 작업기(6)가 좌·우로 스윙하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 작업기(6)는, 부움(17)과 부움(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아암(18)과, 아암(18)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버킷(19)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부움(17), 아암(18) 및 버킷(19)은, 각각 부움용 유압 실린더(20), 아암용 유압 실린더(21) 및 버킷용 유압 실린더(22)에 의하여 동작한다.
선회 프레임(4)은, 바닥판(4A)과 이 바닥판(4A)의 상면측에 세워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좌·우의 세로판(4B, 4C)과, 이들 세로판(4B, 4C)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스윙 포스트(5)를 접속하는 지지 브래킷(4D)과, 바닥판(4A)의 앞쪽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앞쪽 빔(4E)과, 세로판(4B, 4C)의 뒤쪽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중간 빔(4F)과, 앞쪽 빔(4E)과 중간 빔(4F)의 사이에 설치된 언더 커버(4G)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4)의 뒤쪽에는 엔진(23)이 가로놓기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또엔진(23)의 왼쪽에는 엔진(23)에 의하여 구동하는 유압펌프(24)가 설치되고, 엔진(23)의 오른쪽에는 라디에이터나 오일쿨러 등의 열교환기(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25)의 앞쪽에는 작동 오일 탱크(26)가 설치되고, 이 작동 오일 탱크(26)의 앞쪽에는 연료탱크(27)가 설치되며, 이 연료탱크(27)의 위쪽에는 배터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 선회 프레임(4)의 왼쪽[바꿔 말하면, 운전대(7)의 아래쪽)에는 유압펌프(24)로부터 복수의 유압 액츄에이터[상세하게는 상기 좌·우 주행용 유압모터, 블레이드용 유압 실린더, 선회용 유압모터, 스윙용 유압 실린 더(15), 부움용유압 실린더(20), 아암용 유압 실린더(21)및 버킷용 유압 실린더(22)]에의 압유의 흐름을 각각 제어하는 복수의 컨트롤밸브(2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대(7)의 아래쪽에 설치된 엔진(23), 유압펌프(24) 및 컨트롤밸브(28) 등의 메인티넌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운전대(7)는 앞쪽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방향로 경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상세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서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선회 프레임(4) 및 운전대(7)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운전대(7)가 경전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운전대(7)가 경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2에서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선회 프레임(4) 및 운전대(7)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운전대(7)를 구성하는 바닥 프레임의 상세구조를 힌지기구와 함께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운전대(7)의 경전 유지기구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서의 단면 IX-IX에 의한 단면도로 운전대(7)의 스토퍼기구의 배치구성을 나타낸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운전대(7)의 경전각도에 따른 스토퍼기구의 잠금부재의 요동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부분확대 측면도이다[또 도 10(c)는 도 5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이들 도 4 ∼ 도 10 및 상기한 도 1 ∼ 도 3에 있어서, 운전대(7)는 바닥 프레임(29)과, 조작자가 착석하는 운전석(30)과, 바닥 프레임(29)에 설치되어 운전석(30)의 주위를 덮는 캐브(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캐브(31)의 왼쪽면에는 조작자가 출입하기 위한 문(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29)은 운전석(30)에 착석한 조작자의 발을 놓는 곳이 되는 발 판(32)과, 이 발판(32)의 뒤쪽(도 7에서 오른쪽 윗측)에 설치되어, 엔진(23)의 앞쪽 및 상부를 덮는 격벽판(33)과, 이 격벽판(33)의 위쪽(도 7에서 위쪽)에 설치되고, 바닥 프레임(29)[즉 운전대(7)]을 선회 프레임(4)에 고정하기 위한 운전대 설치판(34)과, 발판(32)의 오른쪽(도 7에서 왼쪽 윗측) 또한 격벽판(33)의 앞쪽(도 7에서 왼쪽 아래측)에 세워 설치한 측면판(35)으로 구성되어 있다.
격벽판(33)의 전면에는 대좌(臺座) 지지부재(36)가 설치되고, 이 대좌 지지부재(36) 및 격벽판(33)의 운전석 지지부(33a)의 상부에 운전석(30)이 설치되어 있다. 발판(32)의 앞쪽의 레버·페달 설치부(32A)[바꿔 말하면, 운전석(30)의 전방측]에는 상기좌·우 주행용 유압모터를 각각 구동하여 유압셔블의 전진 또는 후진주행 등을 시키기 위한 손으로도, 발로도 조작 가능한 좌·우 주행용 조작레버(37L, 37R)가 설치되어 있다.
또, 운전석(30)의 왼쪽에는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선회용 유압모터를 구동하여 상부 선회체(3)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선회시킴과 동시에 앞쪽 또는 뒤쪽으로 조작함으로써 아암용 유압 실린더(21)를 구동하여 아암(18)을 덤프 클라우드시키는 열십(十)자 조작식의 선회·아암용 수동조작 레버(38L)가 설치되어 있다. 또 운전석(30)의 오른쪽에는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조작함으로써 버킷용 유압 실린더(22)를 구동하여 버킷(19)을 클라우드 또는 덤프시킴과 동시에, 앞쪽 또는 뒤쪽으로 조작함으로써 부움용 유압 실린더(20)를 구동하여 부움(17)을 내림 또는 올리는 열십(十)자 조작식의 버킷·부움용 수동조작 레버(38R)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29)의 발판(32)의 전단부에는 선회 프레임(4)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좌·우의 힌지기구(39)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힌지기구(39)는 선회 프레임(4)의 앞쪽 빔(4E) 및 설치자리(4H)에 각각 설치된 좌·우의 회동 접속부(40)와, 이들 좌·우의 회동 접속부(40)에 대응하여 발판(32)의 앞쪽에 설치된 좌·우의 설치 브래킷(41)과, 방진고무(도시 생략)를 거쳐 회동 접속부(40)와 설치 브래킷(41)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좌우방향의 연결핀(42)을 축심으로 하여 바닥 프레임(29)[즉 운전대(7)]을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4)의 후방측에는 엔진(23)에 걸쳐지도록 지지부재(4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부재(43)는 선회 프레임(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상기한 도 3참조). 지지부재(43)는 바닥 프레임(29)의 운전대 설치판(34)을 설치하기 위한 상판(43A)과, 이 상판(43A)을 지지하는 왼쪽 앞 지주(43B), 왼쪽 뒤 지주(43C), 오른쪽 앞 지주(43D) 및 오른쪽 뒤 지주(43E)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29)의 운전대 설치판(34)에는 예를 들면 2개의 설치구멍(34a)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지지부재(43)의 상판(43A)에는 복수의 볼트구멍(43A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대 설치판(34)의 고정구멍(34a)에 삽입한 볼트(도시 생략)를 지지부재(43)의 볼트구멍(43Aa)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운전대 설치판(34)[즉 운전대(7)]을 지지부재(43)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부재(43)의 왼쪽 앞 지주(43D)와 바닥 프레임(29)의 측면판(35)과의 사이에는 운전대(7)의 경전각도를 가변으로 하면서 운전대(7)의 경전상태를 유지하 는 경전 유지기구(44)가 설치되어 있다. 경전 유지기구(44)는 지지부재(43)의 왼쪽 앞 지주(43D)에 설치한 설치 브래킷(45)과, 이 설치 브래킷(45)에 연결핀(46)을 거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47)과, 이 가이드레일(47)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나사축(48)과, 바닥 프레임(29)의 측면판(35)에 접속됨과 동시에 나사축(48)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축(48)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49)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레일(47)은 설치 브래킷(45)에 연결핀(46)을 거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기초단부(47A)와, 이 기초단부(47A)에서 평행하게 연장된 1쌍의 레일부(47B)와, 이들 1쌍의 레일부(47B)의 선단측(도 8에서 오른쪽 아래측)을 연결한 선단부(47C)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축(48)은 가이드레일(47)의 레일부(47B)의 간극에 배치되고, 그 선단측은 가이드레일(47)의 선단부(47C)를 관통하면서 선단부(47C)에 설치한 스러스트베어링(도시 생략)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기초단측은 가이드레일(47)의 기초단부(A)보다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져 자유단으로 하고 있다. 또 가이드레일(47)의 선단부(47C)보다 돌출한 나사축(48)의 선단부에는 예를 들면 육각형상의 공구 연결부(48A)가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렌치 등의 나사조임용 공구를 공구 연결부(48A)에 연결시켜 나사축(48)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동부재(49)는 가이드레일(47)의 레일부(47B)의 간극보다 작은 지름치수의 원주형상 축체(49A)와, 레일부(47B)의 간극보다 지름을 넓혀 설치한 플랜지부(49B)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부재(49)의 축체(49A)는 지름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된 나사 구멍이 나사축(48)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축(48)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재(49)가 가이드레일부(47)의 레일부(47B)로 유도되면서 나사축(48)의 축방향(도 8에서 왼쪽 윗측·오른쪽 아래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바닥 프레임(29)의 측면판(35)에는 좌우방향을 축선으로 한 원통형상의 슬리브(35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슬리브(35A)에 이동부재(49)의 축체(49A)의 왼쪽(도 8에서 오른쪽)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끝면의 볼트구멍에 볼트(50)가 나사고정되어 빠짐방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전 유지기구(44)는, 지지부재(43)측에 회동지점으로서 연결핀(46)을 설치하고, 바닥 프레임(29)측에 이동지점으로서 이동부재(49)를 설치하여 나사축(48)의 회전에 의하여 연결핀(46)으로부터 이동부재(49)까지의 거리치수를 조작함으로써 그 조작량에 따라 바닥 프레임(29)[즉 운전대(7)]를 경전시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선회 프레임(4)의 발판(32)과 바닥 프레임(29)과의 사이에는 운전대(7)의 강하방지를 도모하는 2중의 안전책으로서 스토퍼기구(51)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기구(51)는 예를 들면 단면 원형상 또한 コ자 형으로 형성되고, 그 한쪽측 끝부(52a)가 바닥 프레임(29)의 발판(32)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부재(52)와, 이 잠금부재(52)의 자유단인 다른쪽측 끝부(이후, 잠금부라 한다)(52b)에 대응하여 선회 프레임(4)에 설치한 스토퍼부재(53)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 프레임(29)의 발판(32)의 하부 안쪽에는, 좌우방향을 축선으로 한 원통형상의 슬리브(32B)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슬리브(32B)에 잠금부재(52)의 한쪽측 끝 부(52a)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빠짐방지륜(54)이 설치되어 빠짐방지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대(7)가 경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부재(52)의 잠금부(52b)는, 예를 들면 스토퍼부재(53)의 상면 뒤쪽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이들 잠금부재(52) 및 스토퍼부재(53)는 바닥 프레임(29)의 발판(32)의 하부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a) ∼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대(7)가 경전하면, 잠금부재(52)는 다른쪽측 끝부(52a)를 축심으로 하여 요동하여, 잠금부(52b)가 운전대(7)의 경전각도의 증가에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부재(53)의 상면은, 요동하는 잠금부재(52)의 잠금부(52b)와 맞물리는 래칫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잠금부재(52)의 잠금부(52b)는 스토퍼부재(32)의 상면을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운전대(7)의 경전각도에 따라 설치한 복수개소(본 예에서는 3개소)의 스토퍼홈(53a)에 의하여 후방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홈(53a)은 만일 어떠한 이유로 경전 유지기구(44)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잠금부재(52)로 운전대(7)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잠금부재(52)를 경사시킨 상태에서 잠금부(52b)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스토퍼홈(53a)의 전후에는 앞쪽을 향하여 매끄럽게 일어선 안내홈(53b)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운전대(7)의 경전각도가 증가하는 경우는 안내홈(53b)에 의하여 잠금부재(52)의 잠금부(52b)를 전방측으로 차례로 유도하고, 또 예를 들면 운전대(7)의 경전각도가 감소하는 경우는, 안내홈(53b)에 의하여 잠금부재(52)의 잠금부(52b)를 스토퍼홈(53a)으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운전대(7)의 아래쪽에 설치된 기기[예를 들면 엔진(23), 유압펌프(24) 및 컨트롤밸브(28) 등]의 메인티넌스작업을 행하는 경우, 운전대(7)를 경전시킬 것을 의도하여 먼저 바닥 프레임(29)의 설치구멍(34a)에 삽입되어 지지부재(43)의 볼트구멍(43Aa)에 나사고정된 볼트를 푼다. 그리고 경전 유지기구(44)의 공구 연결부(48A)에 예를 들면 렌치 등의 나사조임용 공구를 연결시켜 나사축(48)을 회전시켜 이동부재(49)를 나사축(48)의 축방향 선단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힌지기구(39)를 중심으로 하여 운전대(7)를 전방측으로 경전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49)의 이동거리에 따라 운전대(7)를 임의의 경전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티넌스작업을 행하는 기기의 위치나 작업내용에 따른 최적의 경전각도로 운전대(7)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운전대(7)의 경전동작에 따라 바닥 프레임(29)의 하부에 설치한 잠금부재(52)가 요동하여 잠금부재(52)의 잠금부(52b)가 스토퍼부재(53)를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3자가 경전 유지기구(44)를 부주의하게 조작하여 운전대(7)를 내리려고 하거나, 또 만일 어떠한 이유로 경전 유지기구(44)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도 운전대(7)의 경전각도에 따라 설치한 복수개소의 스토퍼홈(53a)에 의하여 잠금부(52b)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운전대(7)의 강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대(7)를 임의의 경전각도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경전각도에서의 운전대(7)의 강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운전대(7)를 의도적으로 내리고 싶은 경우는, 경전 유지기구(44)의 나사축(48)을 회전 조작하여 운전대(7)의 경전각도를 일단 증가시켜 잠금부재(52)의 잠금부(52b)를 스토퍼부재(53)의 안내홈(53b)에 배치하고 나서 잠금부재(52)의 잠금부(52b)를 들어 올린다. 그리고 잠금부재(52)의 잠금부(52b)를 들어 올리면서 경전 유지기구(44)의 나사축(48)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운전대(7)의 경전각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일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기구(51)는, 단면 원형상 또한 대략 コ자 형의 잠금부재(52)와 스토퍼부재(53)로 구성되는 래칫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기술사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 상기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캐브타입의 운전대(7)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캐노피타입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적용대상으로서 소형의 유압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중형이나 대형의 유압셔블, 유압 크레인 등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들의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대의 경전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경전각도에서의 운전대의 강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

  1.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상부에 설치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앞쪽에 설치한 작업기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앞쪽을 지점으로 하여 경전 가능한 운전대와, 경전각도를 가변으로 하면서 상기 운전대의 경전상태를 유지하는 경전 유지기구를 가지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운전대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운전대의 경전각도의 증가에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잠금부를 구비한 잠금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부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홈을 상기 운전대의 경전각도에 따라 복수개소 설치한 스토퍼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스토퍼홈의 전후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운전대의 경전각도의 증가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부를 전방측으로 차례로 유도하고, 또 상기 운전대의 경전각도의 감소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부를 상기 스토퍼홈으로 유도하는 안내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전 유지기구는, 상기 프레임측에 회동지점, 상기 운전대측에 이동지 점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지점까지의 변위량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운전대의 경전각도를 가변으로 하면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KR1020060105059A 2005-10-28 2006-10-27 건설기계 KR20070045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14223A JP2007118795A (ja) 2005-10-28 2005-10-28 建設機械
JPJP-P-2005-00314223 2005-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996A true KR20070045996A (ko) 2007-05-02

Family

ID=3806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059A KR20070045996A (ko) 2005-10-28 2006-10-27 건설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118795A (ko)
KR (1) KR20070045996A (ko)
CN (1) CN19553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7126A (zh) * 2012-04-23 2012-08-08 上汽依维柯红岩商用车有限公司 驾驶室举升翻转失效保护装置
JP2016138430A (ja) * 2015-01-29 2016-08-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253606B2 (ja) * 2015-03-12 2017-12-27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JP6555012B2 (ja) * 2015-08-28 2019-08-0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1Y2 (ja) * 1978-02-10 1983-01-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両における運転室のティルト装置
JPS6268881U (ko) * 1985-10-21 1987-04-30
ATE456502T1 (de) * 2003-09-10 2010-02-15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Bau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18795A (ja) 2007-05-17
CN1955381A (zh)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585B1 (ko) 건설기계
WO2009157230A1 (ja) ローダ作業機
KR100952534B1 (ko) 휠식 작업기
JP2009287384A (ja) レベリングシステムを備えた建設機械用及び林業機械用ステップ装置
KR20060002944A (ko) 건설 기계
KR20070045996A (ko) 건설기계
JP4704858B2 (ja) 建設機械
JP4643603B2 (ja) 建設機械
JP4256219B2 (ja) 建設機械
JP2005119362A (ja) 建設機械
JP2018184783A (ja) 電気駆動式作業機械のケーブルブラケット
JP3730590B2 (ja) トラクタの作業機昇降装置
JP5172813B2 (ja) 建設機械
KR20090133124A (ko) 선회 작업차
JP2013019168A (ja) 建設機械
JP2019138005A (ja) 作業車両
JP5494984B2 (ja) 建設機械
JP2002061229A (ja) 旋回式建設機械
JP4299163B2 (ja) 建設機械
JP7094848B2 (ja) 作業用車両
JP7080567B2 (ja) 作業用車両
JP2010275735A (ja) 建設機械
JP4291219B2 (ja) 建設機械
JP6687984B2 (ja) 開脚型油圧ショベル
JP2010234832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