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175A - 주사광 차폐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주사광 차폐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175A
KR20070045175A KR1020070037113A KR20070037113A KR20070045175A KR 20070045175 A KR20070045175 A KR 20070045175A KR 1020070037113 A KR1020070037113 A KR 1020070037113A KR 20070037113 A KR20070037113 A KR 20070037113A KR 20070045175 A KR20070045175 A KR 20070045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member
scanning light
light
polygon mirro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5175A/ko
Publication of KR20070045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5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polygonal mirror and the image pla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9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mechanical or optical identification means, e.g. protrusions, bar c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92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데이터를 수신하여 주사광을 생성하는 광원부와, 상기 주사광을 입사받아 소정의 폭으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와, 상기 스캐닝된 주사광을 반사하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사광을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주사광을 통과시키는 개방위치 간을 회동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주사광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레이저빔 프린터, 주사광, 차단

Description

주사광 차폐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CANNING BEAM BLOCK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저스캐닝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2 : 하우징
3 : 커버부재 4 : 리브
100 : 레이저스캐닝유닛 101 : 케이싱
102 : 가이드홀 110 : 광원부
120 : 콜리메이트 렌즈 130 : 실린더 렌즈
140 : 폴리곤미러 150 : 에프세타 렌즈
160 : 반사미러 170 : 센서
180 : 위치검출 반사미러 190 : 차폐부재
191 : 아암부 200 : 현상카트리지
201 : 돌기부
본 발명은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광을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는 차폐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이저 등의 주사광을 발생시키고, 상기 주사광을 수광한 감광체의 표면 전압분포에 따라 토너의 현상이 일어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상기 주사광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특히 광원으로서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치명적임을 고려할 때 상기와 같은 수단에 대한 요구가 더욱 절실하였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여 일본공개특허 평5-19603호, 일본공개특허 평6-297755호, 일본공개특허 평6-305185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을 위해 주사광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주사광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센서로 주사광의 초기위치와 현상카트리지의 착탈 여부 또는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사광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착탈에 연동하여 상기 주사광을 통과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주사광을 차단하는 차단위치 간을 이동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를 통과한 상기 주사광의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주사광을 입사받아 소정의 폭으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폴리곤미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광을 입사받아 소정의 폭으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와; 상기 스캐닝된 주사광을 반사하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폴리곤미러와 상기 반사미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폴리곤미러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케이싱에 회동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부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외부로 노출된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접촉 및 접촉해제 시 각각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차단위치로 회동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가 상기 차단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외부로 노출된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접촉 및 접촉해제시 시 각각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차단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주사광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하우징에 힌지결합되어 개폐 이동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주사광을 통과시키는 개방위치 및 상기 주사광을 차단하는 차단위치 간을 이동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를 통과한 상기 주사광의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시 각각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차폐부재에 접촉 해제 및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광을 입사받아 소정의 폭으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폴리곤미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사광을 입사받아 소정의 폭으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와; 상기 스캐닝된 주사광을 반사하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폴 리곤미러와 상기 반사미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폴리곤미러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케이싱에 회동 지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부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차폐부재 측으로 돌출된 리브를 가지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리브와 접촉 및 접촉 해제시 각각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차단위치로 회동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가 상기 차단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여기서,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며 가이드홀이 형성된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암부는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차폐부재 측으로 돌출된 리브를 가지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접촉 및 접촉해제시 시 각각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차단위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저스캐닝유닛(Laser Scanning Unit; LSU, 100)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광원부(110)는 인쇄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레이저 주사광을 생성하여 주사한다. 주사광은 콜리메이트 렌즈(120)와 실린더 렌즈(130)를 통해 폴리곤미러(140)에 입사된다. 폴리곤미러(140)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입사된 주사광을 반사시켜 소정의 폭으로 스캐닝한다. 스캐닝된 주사광은 에프세타렌즈(fθ lens, 150)를 통과한 후 반사미러(160)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의 감광체(10)에 주사된다. 주사광이 주사된 감광체(10) 표면은 일정 전압으로 인가되어 정전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레이저스캐닝유닛(100)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사광의 차단을 위해 마련되는 차폐부재(도 2a의 190 참조)는 A 내지 F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오도록 함으로써 주사광을 차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차폐부재가 A, B 또는 C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광원부(110)와 폴리곤미러(140) 사이의 주사광이 단일의 광선으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이의 차폐를 위한 상기 차폐부재의 크기 또한 충분히 작게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차폐부재가 D, E 또는 F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A, B 또는 C의 경우와 같이 작은 차폐면적은 아니나, 적어도 반사미러(160)에 의해 감광체(10)로 반사되는 주사광의 폭에 비해서는 비교적 좁은 차폐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70은 폴리곤미러(140)에 의해 스캐닝된 주사광의 초기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고, 180은 스캐닝된 주사광이 최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센서(170)로 반사시키기 위한 위치검출 반사미러이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도 1의 A, B 또는 C의 위치에 차폐부재(190)가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레이저스캐닝유닛(100)과 현상카트리지(200) 간의 연동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레이저스캐닝유닛(100)은 화상형성장치(1)의 하우징(2)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현상카트리지(200)는 화상형성장치(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레이저스캐닝유닛(100)과 현상카트리지(200)의 연동관계는 현상카트리지(200)를 화상형성장치(1)에 탈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레이저스캐닝유닛(100)은, 광원부(110)와 폴리곤미러(140) 사이에 개재되는 차폐부재(190)를 포함한다. 차폐부재(190)는 광원부(110)로부터 발생되는 주사광을 차단하는 차단위치(A)와 상기 주사광을 통과시키는 개방위치(도 2b의 B 참조) 간을 회동하도록 케이싱(101)에 힌지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폐부재(190)의 회동을 위해서는 케이싱(101)과 차폐부재(190) 간이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차폐부재(190)가 케이싱(101)과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회동할 수도 있다.
차폐부재(190)는 최초에 차단위치(A)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현상카트리지(200)의 착탈 과정에서 개방위치(B)로 회동 및 상기 차단위치(A)로 원상복귀하도록 한다. 차폐부재(190)의 차단위치(A)로의 원상복귀를 위해서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차폐부재(190)는 케이싱(101)에 마련된 가이드홀(102)을 통해 연장형성되는 아암부(191)를 포함한다. 아암부(191)의 하단부는 화상형성장치(1)에 착탈되는 현상카트리지(200)에 의해 접촉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폐부재(190)는 광원부(110)로부터 발생되는 주사광을 차단 혹은 통과시키게 된다.
도 2a는 현상카트리지(2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2b는 현상카트리지(2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현상카트리지(200)에는 차폐부재(190)의 아암부(191)를 회동시키기 위한 돌기부(201)가 형성된다. 이 때, 돌기부(201)는 현상카트리지(200)의 외형상의 변형 없이 외형 그대로 이용하거나 외형상 일부 변형을 통해 돌기부(201)로 기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별도 부재를 현상카트리지(200)에 부착하여 마련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상카트리지(2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기 전에는 차단위치(A)에 위치하던 차폐부재(190)는, 현상카트리지(200)의 장착 완료시 돌기부(201)를 통한 아암부(191)의 회동으로 개방위치(B)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도 1의 A, B 또는 C의 위치에 차폐부재(도 2a의 190)가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레이저스캐닝유닛(100)과 커버부재(3) 간의 연동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레이저스캐닝유닛(100)의 구성은 상기 도 2a 및 도 2b의 경우와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버부재(3)는 화상형성장치(1)의 하우징(2)에 힌지결합되어 개폐회동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이의 개폐회동에 의해 현상카트리지(도 2a의 2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착탈된다.
커버부재(3)에는 아암부(190)의 회동을 위해 리브(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3)의 회동 시 리브(4)가 차폐부재(190)의 아암부(191)에 접촉하여 이를 회동시키게 된다.
도면에서는 리브(4)가 레이저스캐닝유닛(100)의 케이싱(101)에 걸려 커버부 재(3)의 회동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케이싱(101)의 형상을 적절히 변형시킬 수 있다. 또는, 회동하는 리브(4)가 케이싱(101)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리브(4)를 커버부재(3)의 횡방향으로 일측단에 마련하고, 차폐부재(190)의 아암부(191)의 하단부에도 상기 횡방향 측단에 마련된 리브(4)에 대응하여 접촉 회동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연장부가 더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차폐부재(190)가 광원부(110)와 폴리곤미러(14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의 D, E 또는 F의 위치에서 회동하면서 스캐닝된 주사광을 차단 또는 통과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는 달리 차폐부재(190)의 차폐면적이 더 넓어져야 한다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경우에도 차폐면적은 여전히 반사미러(160)를 통과하여 레이저스캐닝유닛(100)의 외부로 출사되는 주사광을 차폐하는 경우보다는 더 적은 면적을 필요로 한다는 면에서 상대적인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에서, 레이저스캐닝유닛(100)의 케이싱(101)에 형성된 가이드홀(102)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실링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링수단으로는, 차폐부재(190)의 원활한 회동을 저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스펀지, 고무, 필름, 테이프 등과 같이 유연한(flexible)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와 같이 차폐부재(190)를 가지는 레이저스캐닝유닛(100)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화상형성장치(1)에는 구성요소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20)가 마련되고,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며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0)가 마련된다. 또한, 제어부(20)는 레이저스캐닝유닛(도 1의 100)에 마련된 센서(도 1의 170)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스캐닝유닛(100)의 광원부(110)를 온/오프 제어한다.
먼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이저스캐닝유닛(100)과 현상카트리지(200)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1)의 경우를 상정하면, 광원부(110)의 주사광은 현상카트리지(200)가 장착되는 경우(즉, 도 2b의 상태)에 한하여 센서(도 1의 170)에 초기위치가 검출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20)는 상기 센서(170)의 검출 신호를 통해 현상카트리지(2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2a와 같이 차폐부재(190)가 차단위치(A)에 위치한 경우에는 현상카트리지(200)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도 2b와 같이 차폐부재(190)가 개방위치(B)에 위치한 경우에는 현상카트리지(200)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현상카트리지(20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부(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하도록 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레이저스캐닝유닛(100)의 광원부(110)의 전원을 오프(Off)시켜 주사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이저스캐닝유닛(100)과 커버부재(3)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1)를 상정하면, 제어부(20)는 센서(170)의 검출 신호에 의해 커버부재(3)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커버부재(3)가 닫히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부(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하 고, 주사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부(110)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개폐부재가 광원부와 폴리곤미러 사이 또는 폴리곤미러와 반사미러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적은 차폐면적으로 주사광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폐부재에 의해 주사광의 차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와 함께 주사광의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현상카트리지의 장착 여부 내지 커버부재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 결과를 광원부의 온/오프 제어에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현상카트리지 또는 커버부재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도 있다.

Claims (16)

  1. 주사광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착탈에 연동하여 상기 주사광을 통과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주사광을 차단하는 차단위치 간을 이동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를 통과한 상기 주사광의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착탈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광을 입사받아 소정의 폭으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폴리곤미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광을 입사받아 소정의 폭으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와;
    상기 스캐닝된 주사광을 반사하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폴리곤미러와 상기 반사미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폴리곤미러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케이싱에 회동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부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외부로 노출된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접촉 및 접촉해제 시 각각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차단위치로 회동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가 상기 차단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외부로 노출된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접촉 및 접촉해제시 시 각각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차단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주사광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하우징에 힌지결합되어 개폐 이동하는 커버부재와;
    상가 커버부재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주사광을 차단하는 차단위치 및 상기 주사광을 통과시키는 개방위치 간을 이동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를 통과한 상기 주사광의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시 각각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차폐부재에 접촉 해제 및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광을 입사받아 소정의 폭으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폴리곤미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광을 입사받아 소정의 폭으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와;
    상기 스캐닝된 주사광을 반사하는 반사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폴리곤미러와 상기 반사미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폴리곤미러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케이싱에 회동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부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차폐부재 측으로 돌출된 리브를 가지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리브와 접촉 및 접촉 해제시 각각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차단위치로 회동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가 상기 차단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며 가이드홀이 형성된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암부는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차폐부재 측으로 돌출된 리브를 가지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리브와 접촉 및 접촉해제시 시 각각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차단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37113A 2007-04-16 2007-04-16 주사광 차폐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70045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113A KR20070045175A (ko) 2007-04-16 2007-04-16 주사광 차폐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113A KR20070045175A (ko) 2007-04-16 2007-04-16 주사광 차폐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287A Division KR20070087742A (ko) 2005-09-30 2005-09-30 주사광 차폐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175A true KR20070045175A (ko) 2007-05-02

Family

ID=3827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113A KR20070045175A (ko) 2007-04-16 2007-04-16 주사광 차폐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51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224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01959A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063501B2 (en)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with light guide member for detecting remaining toner amount
KR20070087742A (ko) 주사광 차폐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EP0218041B1 (en) Improvement in image-forming apparatus
US8345077B2 (en) Write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open/close control method
JP546408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0990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광주사장치
JP515385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80317480A1 (en) Image forming device and cartridge
JP2005192076A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25063B2 (en) Image-forming device with interlockingly movable two paper guide members
KR20070045175A (ko) 주사광 차폐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S61165775A (ja) 電子写真印刷装置
JPH06297755A (ja) レーザー走査装置
JPH1058750A (ja) 光学書込装置
JPH1113383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9139548A (ja) 濃度検知装置
JP4329691B2 (ja) 用紙搬送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526052Y2 (ja) 画像形成装置のスイッチ装置
JPH06106772A (ja) 光学走査装置
JP2009265503A (ja) 光学走査装置
JP2003208067A (ja) 画像形成装置
JP355961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79632A (ja) 光書込み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