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096A -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설치한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설치한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096A
KR20070045096A KR1020060101742A KR20060101742A KR20070045096A KR 20070045096 A KR20070045096 A KR 20070045096A KR 1020060101742 A KR1020060101742 A KR 1020060101742A KR 20060101742 A KR20060101742 A KR 20060101742A KR 20070045096 A KR20070045096 A KR 20070045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plate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8521B1 (ko
Inventor
도모카즈 후지시마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045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프레임 형상의 섀시, 도광판, 광원, 광 검출기, 및 차폐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제안된다. 이 도광판은 섀시 내부에 위치된다. 이 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일 에지면에 위치되며, 타 에지면으로부터 누출된 광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는 광원에 반대되는 도광판의 에지면에 위치된다. 차폐판은 도광판의 후면측에 위치되며, 도광판 및 광원은 모두 차폐판에 고정된다.
백라이트 유닛, 광원, 광 검출기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설치한 액정 표시 장치{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THE SAME MOUNTED THERE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투시도.
도 1b는 광원 세기 조정 체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적으로 확대된 도면이며, 도 1a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a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
도 4a는 도 1a의 차폐판 (3a) 의 구조를 예시하는 평면도.
도 4b는 도 1a의 차폐판 (3a) 의 구조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투시도.
도 6은 도 5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선 D-D에 따른 단면도.
도 8a는 도 5의 차폐판 (3) 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b는 도 5의 차폐판 (3) 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섀시 2: 도광판
5 : 광 검출기 6 : 조임 나사
9: 케이블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및 백라이트 유닛을 설치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소형, 박형, 경량인 것에 특징이 있고, 적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사무 자동 장치 및 TV 세트의 모니터등에 폭넓게 이용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액정 패널은 마주보는 투명 기판들 사이에 액정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패널을 비추는 백라이트를 발생시킨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들은 대략 직사광 타입, 에지 라이트 (edge light) 타입 및 면광원 (surface light source) 타입으로 구분된다. 직사광 타입에서는, 광원은 액정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반사기에 의해서 반사된다. 에지 라이트 타입 (측면광 타입(side light type)이라고도 불림) 에서는, 광원은 액정 패널의 측면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도광판에 의해서 상기 액정 패널의 후면의 전 영역으로 안내된다. 면광원 타입에서는, 면광원은 액정 패널의 후면 전체에 배치되며, 면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액정 패널에 직접 비추어진다. 얇은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통상 에지 라이트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다.
백라이트 유닛의 에지 라이트 타입은 섀시, 도광판, 광원, 광학 부재 및 차폐판을 포함한다. 섀시는 다른 구성 부재들을 유지하고 고정한다. 도광판은 섀시 내부에 배치된다. 광원은 도광판의 에지면에 배치된다. 광학 부재는 도광판의 정면측 (액정 패널측) 에 배치되며, 도광판으로부터 오는 광을 균일화하여, 액정 패널에 광을 비춘다. 차폐판은 도광판의 후면측 (액정 패널의 반대측) 에 배치되며, 도광판으로부터 후면측으로 진행하는 광을, 액정 패널측으로 반사시킨다.
냉음극 형광 램프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 및 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 LED) 등이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사용되어왔다. 이러한 광원들의 경우에, 광원들이 장시간 켜져 있을 때 색도 (chromaticity) 가 변하며 휘도 (luminance) 가 감소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의 일정한 휘도 및 색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를 백라이트 유닛상에 설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JP-10-22208A (1998(참조 문헌 1)) 은 백라이트로부터 누출된 광을 광 센서에 의해서 검출하고, 그것에 의하여 검출 결과에 기초한 광원의 방출 세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후면에 광 센서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참조 문헌 1 에서 설명된 구성은 도광판의 후면에서 반사 시트로부터 누출된 광을 검출한다. 따라서, 참조 문헌 1 에 설명된 구성으로는, 휘도의 감소 및 색도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단부에서 누출된 광을 검출하는 구성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JP 2004-199968A (참조 문헌 2) 는 도광판의 일 단부로부터 전체 표면으로 입사된 광을 안내하기 위한 도광판, 및 도광판의 타 단부로부터 진행하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광 센서가 제공된 액정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광 센서가 검출하는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광원의 방출 세기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에지 라이트 타입의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도 5 내지 8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5 는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며, 액정 표시 장치의 후면측으로부터 관찰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6 은 도 5 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광판이 도광판 조임 나사로 고정된 부분의 확대된 도면을 도시한다. 도 7 은 도 5 의 선 D-D에 따른 단면도이며, 광 검출기가 고정된 부분의 확대된 도면을 도시한다. 도 8a 및 8b 는 각각, 도 5 의 차폐판 (3) 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프레임 형상의 섀시 (1), 섀시 (1) 내부에 위치된 도광판 (2), 도광판의 후면측에 위치한 차폐판 (3), 및 도광판 (2)의 일 에지면에 배치된 광원 (도시되지는 않음) 을 포함한다. 도광판 조임 나사 (4a) 및 광 검출기 (5) 는 광원의 반대편에 도광판 (2) 의 타 에지에 제공된다. 도 5 는 차폐판 (3) 이 부분적으로 깨진 것으로 도시한다.
도 6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 조임 나사 (4a) 는 섀시 (1) 의 측면에 제공된 구멍을 통과하고, 도광판 (2) 의 에지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으로 돌려져서, 섀시 (1) 및 도광판 (2) 을 고정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검출기 (5) 는 섀시 (1) 에 형성된 구멍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8a 및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검출기(5)는 차폐판 (3) 의 굽힘 부분 (bended portion) 에 광 검출기를 부착하기 위해서 나사 구멍들 (5a 및 5b) 로 고정된다. 광 검출기 (5) 는 도광판 (2) 의 에지면 (도 7 의 면 E) 으로부터 차폐판 (3) 의 광 투과 구멍 (5c) 을 통하여 누출된 광을 검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 검출기 (5) 는 나사들에 의해서 차폐판 (3) 에 고정된다. 도광판 (2) 은 나사에 의해서 섀시 (1) 에 고정된다. 즉, 광 검출기 (5) 및 도광판 (2) 은 직접적으로 함께 고정되지는 않지만, 도광판 (3) 및 섀시 (1) 를 포함하는 두 개의 부재들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에서, 에지면 (도 7 의 면 E) 으로부터 누출된 광이 광 검출기 (5) 에 의해서 검출되는 경우가 고려된다. 광 검출기 (5) 에 의해서 검출된 광의 세기는 도광판의 에지면과 광 검출기 (5) 의 광 입사 부분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변한다. 따라서, 에지면과 광 입사 부분간 일정한 위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광 검출기 (5) 및 도광판 (2) 은 직접적으로 고정되지는 않지만, 차폐판 (3) 및 섀시 (1) 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도광판의 면 E와 광 검출기 (5) 의 광 입사 부분 사이의 거리는 항상 안정적인 것은 아니다.
특히, 도광판 (2) 은 일반적으로 수지 (resin) 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온도 로 인하여 팽창되거나 수축된다. 도광판 (2) 의 팽창 및 수축이 다른 구성 부재들에 뒤틀림을 부여하지 않기 위해서 도광판 (2) 과 다른 구성 부재들 사이에 일정한 정도의 틈이 주어진다. 따라서, 구성 부재들을 서로에 대하여 고정시킬 때 어셈블리에서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광 검출기 (5) 와 도광판(2) 사이의 거리는 차폐판 (3) 및 섀시 (1) 의 어셈블리에서의 변형 누적 때문에 각각의 제품에 따라 다르다. 결과로써, 이것은 광 검출기 (5) 의 검출 정확도의 오차 (variation) 를 유발한다.
또한, 섀시 (1) 는 일반적으로 많은 경우에 있어서, 비용과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수지로 형성된다. 따라서, 큰 중량을 가진 도광판 (2) 이 섀시 (1) 에 고정될 때, 이러한 고정 부분에서 뒤틀림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이 부착되는 액정 패널에는 응력이 가해진다.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발생한 이러한 응력은 액정 표시 장치의 불균일한 디스플레이 품질을 초래한다. 또한, 각각의 구성 부재들이 적절히 고정되지 않은 경우, 액정 표시 장치 자체의 내충격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첫번째 예시적인 특징은 광 검출기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광 검출기와 도광판 사이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예시적인 태양에 따르면, 프레임 형상의 섀시, 도광판, 광원, 광 검출기 및 차폐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된다. 도광판은 섀 시 내부에 배치된다. 광원은 도광판의 일 에지면에 배치된다. 광원의 반대편에 도광판의 타 에지면에, 광 검출기가 타 에지로부터 누출된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된다. 차폐판은 도광판의 후면측에 배치된다. 도광판 및 광 검출기는 모두 이 차폐판에 고정된다.
상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첫번째 예시적인 태양에 따라서, 광 검출기 및 도광판은 모두 차폐판에 고정된다. 따라서, 광 검출기와 도광판 사이 위치 관계가 정확하게 규정될 수 있다. 이것은 광 검출기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사용된 광원에서는 시간에 따라 휘도가 감소되고 색도가 변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의 일정한 휘도 및 색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측면에서 누출된 광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가 백라이트 유닛 상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 검출기는 차폐판에 고정되었으며, 도광판은 섀시에 고정되었다. 즉, 광 검출기 및 도광판은 간접적으로 섀시 및 차폐판에 의해서 고정되었다.
그러나, 광 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된 광의 세기는 도광판의 에지 부분과 광 검출기 부분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변한다. 구성 부재들의 어셈블리에서의 변형들은 광 검출기와 도광판 사이의 거리를 변하게 하고, 그것에 의하여 광 검출기 의 검출 정확도의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큰 중량의 도광판이 오직 섀시에 고정되는 구조는 액정 패널에 응력을 초래한다. 이러한 응력은 몇몇 경우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에서 불균일한 디스플레이 품질을 초래한다.
상기 문제들에 대한 해결 방법에는 각각의 구성 부재들의 구조를 강화시키고 보강을 위하여 다른 부재들을 추가하는 것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 방법은 백라이트 유닛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액정 표시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 방법들은 크기, 중량 및 두께에 있어서의 감소가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광 검출기와 도광판 사이의 변화되는 거리에 의해서 초래되는 문제들을 경감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광판은 차폐판에 고정되고, 광 검출기 또한 동일한 차폐판에 고정된다. 이것은 광 검출기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광 검출기와 도광판 사이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규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두번째로, 이것은 구성 부재들의 뒤틀림을 억제하고, 액정 패널에 가해진 응력을 감소시키며, 전체 백라이트 유닛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 1a 내지 4b 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a 는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백라이트 유닛의 주요 구성 부재들의 구조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며, 후면측 (액정 패널의 반대측) 에서 보여지는 구조를 도 시한다. 도 1b 는 광원 세기 조정 체계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3 은 도 1a 의 부분들이 확대된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4a 및 4b 는 각각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차폐판 (3a) 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주요 구성 요소로써, 액정 패널 (도시되지는 않으며, 형상, 구조 및 구동 방법에서 제한 없음) , 및 액정 패널에 백라이트를 조사하는 에지 라이트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액정 패널은 제 1 기판, 제 2 기판, 및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삽입된 액정들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Thin Film Transistor : TFT) 와 같은 스위칭 부재들이 제 1 기판 상에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열된다.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가 제 2 기판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에 의해서 특징지어지며, (상부 게이트 타입 (Top gate type) 및 하부 게이트 타입 (bottom gate type) 과 같은) 액정 패널의 구조, (면내 스위칭 (In-Plane Switching) 방법 및 트위스트 네마틱 (Twisted Nematic : TN) 방법과 같은) 액정의 구동 방법 및 탑재 구조에 특별히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것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들이다. 따라서, 액정 패널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백라이트 유닛은 섀시 (1) , 도광판 (2) , 광원 (도시되지 않음) , 차폐판 (3a) , 도광판 조임 나사 (4) , 광 검출기 (5) , 및 광 검출기의 출력을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9) 을 포함한다.
섀시 (1) 는 각각의 구성 부재들을 유지하고 고정한다.
도광판 (2) 은 섀시 (1) 내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도광판 (2) 의 하나의 에지에 위치한다. CCFL, LED등이 광원으로 사용된다. 확산 시트, 렌즈 시트 및 편광 시트와 같은 광학 부재들 (도시되지는 않음) 이 도광판 (2) 의 정면측 (액정 패널측) 에 위치된다. 광학 부재들은 도광판 (2) 으로부터의 광을 균일화하고 광을 액정 패널로 안내한다. 도광판 (2) 은 도광판 조임 나사 (4) (도 2를 참조) 에 의해서 차폐판 (3a) 에 고정된다.
차폐판 (3a) 은 (액정 패널의 반대측에서) 도광판 (2) 의 후면측에 위치되고, 도광판 (2) 으로부터 후면측으로 향하는 광을 도광판 (2) 측으로 반사시킨다.
광 검출기 (5) 는 도광판 (2) 의 광원이 위치한 일 에지면의 반대되는 타 에지면에 제공된다. 광 검출기 (5) 는 차폐판 (3a) 에 고정된다. 광 검출기의 출력은 케이블 (9) 을 경유하여 광도 조정기에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광판(2) 및 광 검출기(5)는 모두 차폐판(3a)에 고정된다.
도 1a 에서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섀시 (1) , 차폐판 (3a) 및 도광판 (2) 의 형상과 재료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적어도 차폐판 (3a) 은 도광판 (2) 을 고정할 정도로 충분히 높은 강도를 가지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광 검출기 (5) 는 입사된 광을 전자 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구조 및 형상에 특별히 국한되지는 않는다. 광 검출기 (5) 및 도광판 조임 나사 (4) 의 위치 및 수량은 도 1a 에 도시된 구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광 검출기 (5) 와 도광판 (2)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정확하게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 백라이트 유닛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광 검출기 (5) 및 도광판 조임 나사 (4) 는 서로 가까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광판 조임 나사 (4) 의 수량은 한 개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1b 는 광도 조정 체계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 체계는 광도 조정기 (10) 를 포함한다. 광도 조정기 (10) 는, 출력이 케이블 (9) 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광 검출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광원 (11) 의 방출 세기를 조절한다. 광도 조정기 (10) 의 구성예는 앞서 설명된 참조 문헌 1에서 설명되었고, 따라서 광도 조정기 (10) 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 조임 나사 (4) 및 광 검출기 (5) 부근의 구조는 도 2, 3, 4a 및 4b 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2 는 도 1a 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광판이 도광판 조임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는 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3 은 도 1a 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광판으로부터 누출된 광이 광 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되는 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4a 는 도 1a 의 차폐판 (3a) 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b 는 도 1a 의 차폐판 (3a) 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도광판 조임 나사 (4) 는 섀시 (1) 의 측면에 제공된 구멍을 통하여 통과하며, 그 후 도광판 (2) 의 에지면을 통해 형성된 나사 구멍을 통하여 돌려지며, 도광판 (2) 을 섀시 (1) 에 고정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2 및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 (3a) 은 도광판의 에지면을 따라서 형성된 굽힘 부분을 가진다. 도광판 조임 나사 (4) 는 차폐판 (3a) 의 굽힘 부분 및 섀시 (1) 의 측면을 통하여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통과하며, 그 후 섀시 (1) , 차폐판 (3a) 및 도광판 (2) 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서 도광판 (2) 의 에지면을 통하여 형성된 나사 구멍을 통하여 돌려진다. 따라서, 도광판 (2) 은 섀시 (1) 뿐 만 아니라 비교적 고강도를 가진 차폐판 (3a) 에 의해서도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섀시 (1) 의 뒤틀림을 억제하고, 전체 백라이트 유닛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검출기 (5) 는 섀시 (1) 에 제공된 구멍에 상응한 위치에 배치되며, 다음으로 조임 나사 (6) 에 의해서 차폐판 (3a) 의 굽힘 부분의 구멍 (5a 및 5b) 으로 고정된다. 광 검출기 (5) 는 차폐판 (3a) 의 광 투과 구멍 (5c) 을 통하여 도광판 (2) 의 에지면 (도 3 에 도시된 면 E) 으로부터 누출된 광을 검출한다.
도 5 에서, 광 검출기 (5) 는 조임 나사 (6) 에 의해서 차폐판 (3) 에 고정된다. 그러나, 차폐판 (3) 및 도광판 (2) 은 서로 직접적으로 고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광 검출기 (5) 와 도광판 (2)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정확하게 규정될 수 없다.
대조적으로,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2 및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 (3a) 및 도광판 (2) 은 서로 도광판 조임 나사 (4) 에 의해서 직접 고정된다. 이것은 광 검출기 (5) 와 도광판 (2) 사이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규정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도광판 (2) 은 차폐판 (3a) 에 고정되며, 광 검출기 (5) 도 동일한 차폐판 (3a) 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광판 (2)의 에지면 (면 E) 및 광 검출기 (5) 둘다의 위치 지정은 동일한 차폐판 (3a) 에 대해서 수행된다. 따라서, 종래의 구조와 비교해서 광 검출기 (5) 와 도광판 (2) 사이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로써,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광 검출기 (5) 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무거운 도광판 (2) 은 섀시 (1) 뿐 아니라 비교적 고강도를 가진 차폐판 (3a) 에 고정되며, 그것에 의해서 각각의 구성 부재들, 특히 섀시 (1) 에 있어서의 뒤틀림은 액정 패널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억제될 수 있다. 게다가,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종래 기술에 비교해서 전체 백라이트 유닛의 내충격성 및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부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도광판 (2) 및 차폐판 (3a) 이 도광판 조임 나사 (4) 로 고정되는 실시형태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나사에 의해 고정하는 고정 방법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차폐판(3a) 및 도광판 (2) 은 코킹 (caulking) 이나 그래플링 (grappling) 과 같은 방법의 사용에 의해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섀시 (1) 가 또한 도광판 (2) 및 광 검출기 (5) 와 함께 차폐판에 고정되는 예가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섀 시 (1) 는 반드시 광 검출기 (5) 및 도광판 (2) 에 모두 고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가 에지 라이트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되는 예가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이 광 검출기 (5) 및 도광판 (2) 이 모두 차폐판 (3a) 에 고정된다면 어떠한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예시적인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포함되는 대상들은 상기 특정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반대로, 다음의 청구항들의 정신과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대상이 모든 다른 선택 방안들, 수정 사항들,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발명자의 의도는 청구항들이 절차 과정에서 정정되더라도, 모든 등가물을 보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검출기와 도광판 사이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여 광 검출기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프레임 형상의 섀시;
    상기 섀시 내부에 위치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 에지면에 위치한 광원;
    상기 광원에 반대되는 타 에지 면으로부터 누출된 광을 검출하고, 상기 도광판의 타 에지면의 측면에 위치되는 광 검출기;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측에서 적어도 위치하는 차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 검출기는 모두 상기 차폐판에 고정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 검출기는 모두 소정의 조임 부재들에 의해서 상기 차폐판에 고정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부재들은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 검출기에 추가하여, 상기 섀시를 상기 차폐판에 고정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부재들은 나사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상기 도광판의 타 에지면을 따라서 형성된 굽힘 부분을 가지며,
    상기 차폐판 및 상기 광 검출기는 상기 굽힘 부분에서 제 1 조임 부재들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섀시, 상기 차폐판 및 상기 도광판은 상기 굽힘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조임 부재들 부근에서 제 2 조임 부재로 고정되는, 백라이트 유닛.
  6.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에 백라이트를 비추고, 상기 백라이트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광 검출기 및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의 세기에 대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방출 세기를 제어하는 광 방출 세기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프레임 형상의 섀시;
    상기 섀시 내부에 위치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 에지면에 위치한 광원;
    상기 광원에 반대되는 타 에지면으로부터 누출된 광을 검출하는 상기 도광판 의 타 에지면측에 위치되는 광 검출기;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측에 적어도 위치하는 차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 검출기는 모두 상기 차폐판에 고정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 검출기는 모두 소정의 조임 부재들에 의해서 상기 차폐판에 고정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부재들은,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 검출기에 추가하여, 상기 섀시를 상기 차폐판에 고정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부재들은 나사들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타 에지면을 따라 형성된 굽힘 부분을 가지며,
    상기 차폐판 및 상기 광 검출기는 상기 굽힘 부분에서 제 1 조임 부재들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섀시, 상기 차폐판 및 도광판은 상기 굽힘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조임 부재들 부근에서 제 2 조임 부재로 고정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101742A 2005-10-26 2006-10-19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설치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848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11107A JP4502933B2 (ja) 2005-10-26 2005-10-26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JP-P-2005-00311107 2005-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096A true KR20070045096A (ko) 2007-05-02
KR100848521B1 KR100848521B1 (ko) 2008-07-25

Family

ID=3798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742A KR100848521B1 (ko) 2005-10-26 2006-10-19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설치한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91644A1 (ko)
JP (1) JP4502933B2 (ko)
KR (1) KR100848521B1 (ko)
CN (1) CN100449374C (ko)
TW (1) TW2007190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651B1 (ko) * 2007-11-28 2014-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5908B2 (ja) * 2007-06-20 2013-02-06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448902B1 (ko) 2008-01-16 2014-10-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1561529A (zh) * 2008-04-16 2009-10-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导光板组合
JP2009289743A (ja) * 2008-04-28 2009-12-10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シートスイッチモジュール
KR101440499B1 (ko) * 2008-09-02 2014-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394921B (zh) * 2008-09-22 2013-05-01 Sinology Entpr Ltd 具模組化光源之燈箱結構及其模組化光源結構
TWI381223B (zh) 2008-09-23 2013-01-0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及其背板
CN101368707B (zh) * 2008-10-13 2013-03-2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及其背板
DE102008062715A1 (de) * 2008-12-18 2010-06-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Gerät mit einer Eingabevorrichtung zur Eingabe von Steuerbefehlen
KR101296534B1 (ko) * 2008-12-19 2013-08-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497582B1 (ko) 2008-12-24 2015-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2109207A (ja) * 2010-10-18 2012-06-07 Meitaku Kogyo Kk 面照明体
KR20120053167A (ko) * 2010-11-17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N102901001B (zh) * 2011-07-25 2017-03-2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CN102494277B (zh) * 2011-12-05 2015-07-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其液晶显示装置
WO2013094509A1 (ja) * 2011-12-20 2013-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02767753A (zh) * 2012-06-21 2012-11-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102798040B (zh) * 2012-07-24 2015-02-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JP2014232239A (ja) 2013-05-30 2014-12-11 Eizo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光センサ取付構造。
CN105044939B (zh) * 2015-07-24 2018-06-19 苏州世纪福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漏光检测装置
TWI724855B (zh) * 2020-04-06 2021-04-11 富元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顯示裝置結構
CN113327513B (zh) * 2021-05-12 2022-07-08 昆山电子羽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漏光检测功能的显示器保护板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423U (ja) * 1982-07-31 1984-02-10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06130386A (ja) * 1992-10-21 1994-05-13 Uniden Corp 液晶表示装置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229615B1 (ko) * 1997-01-28 1999-11-15 구자홍 액정표시장치
JP3171808B2 (ja) * 1997-02-03 2001-06-04 株式会社ナナオ 液晶表示装置の光検出器
KR100218581B1 (ko) * 1997-04-08 1999-09-01 구자홍 액정표시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US7492421B1 (en) * 1997-07-03 2009-02-17 Lg Display Co., Ltd. Case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H1195215A (ja) * 1997-09-25 1999-04-0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11271766A (ja) * 1998-03-19 1999-10-08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JP4087956B2 (ja) * 1998-08-27 2008-05-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KR100512091B1 (ko) * 1998-09-24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
JP2000148028A (ja) * 1998-11-13 2000-05-26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JP2000171773A (ja) * 1998-12-02 2000-06-23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2116440A (ja) * 2000-10-10 2002-04-19 Sony Corp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機構
JP2004519816A (ja) * 2001-02-19 2004-07-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照明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JP2002296570A (ja) * 2001-03-30 2002-10-09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端末
DE60224038T2 (de) * 2001-06-01 2008-11-06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San Jose Kompaktes verlichtungssystem und zugehörige anzeige
JP3969979B2 (ja) * 2001-08-29 2007-09-05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平面型表示装置
KR100840715B1 (ko) * 2002-05-28 2008-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465796B1 (ko) * 2002-07-16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4091414B2 (ja) * 2002-12-18 2008-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890751B1 (ko) * 2002-12-26 2009-03-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의 결합구조
JP4482286B2 (ja) * 2003-03-31 2010-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4260519B2 (ja) * 2003-03-31 2009-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962641B1 (ko) * 2003-07-07 201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JP4428986B2 (ja) * 2003-11-14 2010-03-10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965581B1 (ko) * 2003-11-27 201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응답시간 제어방법
KR100965592B1 (ko) * 2003-12-16 201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모듈
US20060034068A1 (en) * 2004-08-16 2006-02-16 Chung-Wu Chia Ceiling suction type screen and luminescence two-in-one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651B1 (ko) * 2007-11-28 2014-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02933B2 (ja) 2010-07-14
KR100848521B1 (ko) 2008-07-25
JP2007122954A (ja) 2007-05-17
CN1955808A (zh) 2007-05-02
CN100449374C (zh) 2009-01-07
TW200719033A (en) 2007-05-16
US20070091644A1 (en)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52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설치한 액정 표시 장치
US7567316B2 (en) Backlight module
US7839091B2 (en) Light source control device, illuminat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408599B2 (en) Backlight assembly comprising a support member corresponding to a hole i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459501B2 (en) Display device
US8248557B2 (en) Display apparatus
US8674929B2 (en) Optical assembly,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KR100960165B1 (ko) 내로우 베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US2007015315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475027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8006282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1109800B1 (ko) 액정표시장치
US79032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92756B1 (ko) 액정표시모듈
US10234724B2 (en) Display apparatus
RU2640651C1 (ru)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ий дисплей и многоэкранный дисплей
KR10124508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RU25077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JP4769969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94752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451743B1 (ko) 강화유리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60413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069251B1 (ko) 백라이트 유니트
KR100532865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457161B1 (ko) 확산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