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287A -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287A
KR20070043287A KR1020050099369A KR20050099369A KR20070043287A KR 20070043287 A KR20070043287 A KR 20070043287A KR 1020050099369 A KR1020050099369 A KR 1020050099369A KR 20050099369 A KR20050099369 A KR 20050099369A KR 20070043287 A KR20070043287 A KR 20070043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contact
cover
main body
uni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4542B1 (ko
Inventor
박연우
이상혁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542B1/ko
Priority to US11/550,699 priority patent/US20070093281A1/en
Priority to EP06021953A priority patent/EP1777920A3/en
Priority to CNA2006101371023A priority patent/CN1953472A/zh
Priority to JP2006286529A priority patent/JP2007116712A/ja
Publication of KR20070043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와,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 및 슬라이딩할 수 있게 연결된 커버부와, 본체부에 형성되며, 커버부의 슬라이딩 및 면접촉 축회전 후 노출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단말기, 터치스크린, 멀티키, 영상 방향

Description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Swinging Terminal}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전후의 사시도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전후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들.
도 4a 및 도 4b는 제2터치스크린의 전용인식 선택모드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부에 영문자와 숫자가 선택되어 표시되는 화면들.
본 발명은 무선통신이나 음성,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부가 회전가능한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이나 음성,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 예들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유선전화에 비하여 통화품질이 떨어지지 않고 비교적 휴대하기에 간편할 정도로 그 크기가 소형화되어, 일반인들의 필수품이 되었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가면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다양한 디자인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는 폴더타입 또는 슬라이드타입, 플립타입, 바타입, 회전타입 등 다양한 커버와 본체 구조들이 개발되었다. 최근 컨버젼스화되어 DMB폰이 개발되자 디스플레이부가 90도 회전되는 소위 "가로보기폰"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가로보기폰은 디스플레이부가 90도 회전함으로 새롭게 노출되는 공간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로보기폰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세로대 가로비가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부의 90도 회전 전후에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데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커버나 본체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다양한 입력키들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키들은 커버와 본체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선택모드 또는 인식모드를 수행하므로, 사용자에게 입력키들에 대한 기능의 혼란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버와 본체의 회전에 따라 새롭게 노출되는 공간을 정보입력기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배치하여 사용하지 않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기인식시 전용모드를 설정할 수 있어 필기인식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필기인식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를 단순화할 수 있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키가 커버부와 본체부의 상대적인 회전여부에 따라 상이한 인식모드를 가질 수 있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력방향에 대하여 회전되거나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되더라도 사용자들에게 일정한 방향의 영상을 유지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부와,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 및 슬라이딩할 수 있게 연결된 커버부와, 본체부에 형성되며 커버부의 슬라이딩 및 면접촉 축회전 후 노출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터치스크린은 필기인식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한편, 필기인식 터치스크린은 전용인식 모드를 구비한 인식영역이 두개 이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전용인식 모드는 특정 문자나 숫자, 특수기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 후 커버부와 본체부가 교차하 는 지점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는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하기 전에 본체부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은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오픈된 후 면접촉 축회전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는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한 후에 본체부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은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면접촉 축회전하여 오픈된 후 슬라이딩 이동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의 일측에 형성된 멀티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멀티키는, 커버부와 본체부의 상대적인 회전여부에 따라 상이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인식모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멀티키는 커버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사이드키 또는 전면에 형성된 네비게이션키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키 또는 네비게이션키는 조그다이얼 또는 조그셔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인식모드를 의미하는 표지가 사이드키 또는 네비게이션키는 자체에 또는 그 주위에,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으며, 변경된 표지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표지는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축회전되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키 또는 네비게이션키는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 전후의 배치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커버부의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커버부의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커버부의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을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커버부의 중력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커버부의 중력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을 중력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 및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결된 커버부와, 커버부에 형성되며 커버부와 본체부의 상대적인 회전여부에 따라 상이한 인식모드를 갖는 멀티키를 포함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멀티키는 커버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사이드키 또는 전면에 형성된 네비게이션키일 수 있다. 이때, 사이드키 또는 네비게이션키는 조그다이얼 또는 조그셔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인식모드를 의미하는 표지가 사이드키 또는 네비게이션키는 자체에 또는 그 주위에,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으며, 변경된 표지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표지는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축회전되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키 또는 네비게이션키는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 전후의 배치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는 스윙형 이동통신단말기일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체부와,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 및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결된 커버부와, 커버부에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커버부의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커버부의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커버부의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을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체부와,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 및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결된 커버부와, 커버부에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커버부의 중력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커버부의 중력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을 중력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는 스윙형 이동통신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멀티키는 커버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사이드키 또는 전면에 형성된 네비게이션키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키 또는 네비게이션키는 조그다이얼 또는 조그셔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인식모드를 의미하는 표지가 사이드키 또는 네비게이션키는 자체에 또는 그 주위에,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으며, 변경된 표지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표지는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축회전되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키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는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 전후의 배치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망을 통해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용 모뎀을 추가로 포함하며, 커버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는 방송용 모뎀을 통해 수신한 공중파 수신영상을 표시하며, 멀티키는 공중파 수신영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전후의 사시도들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10)는 커버부(12)와 본체부(14)를 갖는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커버부(12)는 본체부(14)와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부(14)와 슬라이딩 연결되어 있다. 커버부(12)는 본체부(14)와 슬라이딩 개폐에 관계없이 세로대 가로비가 작은 직사각형 형상을 유지한다.
또한 도 1c를 참조하면, 커버부(12)는 본체부(14)와 슬라이딩 개방된 상태(open state)에서 본체부(14)와 면접촉 축회전할 수 있도록 축회전 연결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커버부(12)는 슬라이딩 이동 후 면접촉 축회전을 끝맞쳤을 때 본체부(14)와 "T"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12)는 세로대 가로비가 큰 직사각형 형상을 갖게 된다.
커버부(12)는 전면에 형성된 제1디스플레이부(16)와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멀티키(17)를 갖는다. 또한, 본체부(14)는 전면에 형성되며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제2디스플레이부(24)를 갖는다.
이하, 제1디스플레이부(16)와 다수의 멀티키(17), 제2디스플레이부(24)로 크게 나누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를 설명한다.
(1)제1디스플레이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제1디스플레이부(16)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10)의 메뉴화면이나 동영상, 정지영상 등 각종 영상을 표시한다. 제1디스플레이부(16)는 액정표시장치(LCD)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전계발광표시장치(LED) 등 다양한 발광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16)는 커버부(12)가 본체부(14)와 슬라이딩 폐쇄된 상태(closed state)에서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세로대 가로비가 작은 직사각형 형상이 지만, 커버부(12)가 본체부(14)와 슬라이딩 개방된 상태(open state)에서 면접촉 축회전되면 도 1c와 같이 세로대 가로비가 큰 직사각형 형상이 된다. 이때 제1디스플레이부(16)의 세로대 가로비는 표시할 영상의 종류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방송망을 통해 수신한 디지털 방송영상을 표시하는 소위 DMB폰일 경우, 디스플레이부(16)의 가로대 세로비는 고화질 방송영상에 적합한 16:9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디스플레이부(16)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는 제어부(34)와 무선통신부(36), 방송용모뎀(38), 메모리부(39), 위치감지부(40)를 갖는다.
제어부(34)는 무선통신부(36)나 방송용모뎀(38)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메모리부(39)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4)는 메모리부(39)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1디스플레이부(16)에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34)는 제2디스플레이부(24)의 터치스크린 기능에 의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적당한 영상으로 제1디스플레이부(16)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위치감지부(40)는, 커버부(12)를 본체부(14)에 대하여 면접촉 축회전하거나 본체부(14)와 함께 회전하여 중력방향에 대하여 회전하였을 때, 커버부(12)의 중력방향에 대한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중력감지장치 또는 자이로감지장치(gyro-sensing device)이다.
도 1a의 위치감지부(40)는 중력방향을 기준방향으로 할 때 커버부(12)의 중 력방향에 대한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그 회전각도를 제어부(34)에 제공한다.
따라서, 위치감지부(40)는, 도 1a 및 도 1b의 경우 커버부(12)의 회전각도가 "0"인 것으로, 도 1c인 경우 커버부(12)의 회전각도가 "90"도 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34)는 위치감지부(40)로부터 제공받은 커버부(12)의 중력방향에 대한 회전각도에 따라 커버부(12)를 회전하더라도 제1디스플레이부(16)에 영상을 중력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커버부(12)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디스플레이부(16)는 중력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들에게 일정한 방향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커버부의 회전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부의 영상 표시 화면들이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2)를 45도 또는 90도 회전하더라도 제1디스플레이부(16)는 중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영상이나 정지영상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방송용모뎀(38)을 통해 디지털 방송영상을 제1디스플레이부(16)에 표시할 때, 커버부(12)를 축회전하더라도 디지털 방송영상의 방향이 중력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유지하므로, 사용자들이 디지털 방송영상을 시청하는데 혼란을 주지않을 수 있다.
(2)멀티키
다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멀티키(17)는 커버부(12)에 형성된 사이드키(18)와 네비게이션키(23)를 갖는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2)가 면접촉 축회전하기 전에, 사이드키(18)는 커버부(12)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네비게이션키(23)는 커버부(12)의 전면, 제1디스플레이부(16)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키(18)는 가압에 의해 입력명령을 발생하는 키버튼들(20)과 회전에 의해 입력명령을 발생하는 조그다이얼(22)을 포함한다. 키버튼들(20)에는 인식모드를 의미하는 도형, 예들 들면 "△", "▽"이 표시되어 있으며, 키버튼들(20)은 표시된 도형과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한다. 한편 조그다이얼(22)은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원주상에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키버튼들(20)은 통화음 볼륨 조절에, 조그다이얼(22)은 모드 선택시 모드 이동에 사용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키(23)는 동심원 상에 원형으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네개의 네비게이션키(23a, 23b, 23c, 23d)가 모여있다. 좌우의 네비게이션키(23a, 23c)는 모드 선택시 좌우로 모드를 이동시키며, 상하의 네비게이션키(23b, 23d)는 모드 선택시 상하로 모드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네개의 네비게이션키(23a, 23b, 23c, 23d)는 상하좌우의 키배치와 연관되거나 연상되는 인식모드를 수행한다.
한편,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2)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멀티키(17) 중 사이드키(18)과 조그다이얼(22)은 커버부(12)의 하측면에 위치하고, 네비게이션키(23)는 커버부(12)의 전면, 제1디스플레이부(16)의 좌측에 위치한다.
사이드키(18)의 위치가 하측면으로 바뀜에 따라 사이드키(18)에 표시된 도형의 형태도 "◁", "▷"로 바뀐다. 또한, 커버부(12)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사이 드키(18)의 인식모드도 변경된다. 예를 들어, 제1디스플레이부(16)가 방송용모뎀(38)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영상을 표시할 때 사이드키(18)는 사이드키(18)에 표시된 도형의 형태("◁", "▷")와 연관된 이전 방송채널과 다음 방송채널로 채널변경 모드를 수행한다.
한편, 조그다이얼(22)도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디스플레이부(16)가 방송용모뎀(38)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영상을 표시할 때 조그다이얼(22)은 디지털 방송의 볼륨 조절 모드를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커버부(12)의 축회전에 따라 네개의 네비게이션키(23a 내지 23d)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커버부(12)의 축회전 전후에 상하좌우 네개의 네비게이션키(23a 내지 23d)가 우좌상하 네개의 네비게이션키(23b, 23a, 23d, 23c)로 변경된다. 네개의 네비게이션키(23a 내지 23d)는 메뉴의 우좌상하 이동과 같이 키배치와 연관되거나 연상되는 인식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멀티키(17)은 상대적 위치에 따라 인식모드의 종류를 달리하므로 쓰임새가 증가될 수 있다.
(3)제2디스플레이부
다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체부(14)는 커버부(12)에 형성된 제1디스플레이부(16)와 동일 또는 상이한 메뉴화면이나 동영상, 정지영상 등 다양한 영상을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24)를 그 전면에 갖는다. 특히, 제2디스플레이부(24)는 버튼인식이 가능한 버튼인식 제1터치스크린(26)과, 필기인식이 가능한 필 기인식 제2터치스크린(28)을 포함하고 있다.
버튼인식 제1터치스크린(26)은 본체부(14)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필기인식 제2터치스크린(28)은 본체부(14)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버튼인식 제1터치스크린(26)은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2)가 본체부(14)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 노출된다.
필기인식 제2터치스크린(28)은 커버부(12)를 본체부(14)와 면접촉 축회전하기 전에는 노출되지 않다가 커버부(12)를 본체부(14)와 면접촉 축회전한 후에 노출된다. 또한, 필기인식 제2터치스크린(28)은 커버부(12)를 본체부(14)와 면접촉 축회전할 때, 커버부(12)와 본체부(14)가 교차하는 지점과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필기인식 제2터치스크린(28)은 영문자의 문자입력을 인식하는 전용 영문모드 영역(30)과 숫자입력을 선택하는 전용 숫자모드 영역(32)을 갖는다. 전용 영문모드 영역(30)과 전용 숫자모드 영역(32)에 영문자와 숫자를 기입하므로 터치스크린(28)은 기입된 영문자와 숫자를 인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버튼인식 제1터치스크린(26)과 필기인식 제2터치스크린(28)은 신호입력부(42)를 통해 제어부(34)에 버튼인식과 필기인식된 신호를 입력한다. 메모리부(39)는 제어부(34)를 통해 버튼인식과 필기인식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며, 각각 버튼인식과 필기인식된 신호에 대응하는 숫자나 문자를 저장하고 있다. 특히, 필기인식 제2터치스크린(28)의 전용 영문모드 영역(30)과 전용 숫자모드 영역(32)을 통해 제어부(34)에 입력된 신호는 필기인식할 전용모드가 미리 선택되어 있으므로 필기인식 속도를 향상시키고 필기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터치스크린의 전용인식 선택모드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부에 영문자와 숫자가 선택되어 표시되는 화면들이다.
먼저 도 4a을 참조하면, 영문모드 영역(30)에 영문자, 예를 들어 "F"를 스타일러스트펜으로 기입하면 제어부(34)는 메모리부(39)에서 영문자들 중 스타일러스트펜에 의해 기입된 영문자와 동일 또는 가장 유사한 영문자를 불러와 제1디스플레이부(16)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숫자모드 영역(32)에 숫자, 예를 들어 "6"을 스타일러스트펜으로 기입하면 제어부(34)는 메모리부(39)에서 숫자들 중 스타일러스트펜에 의해 기입된 숫자와 동일 또는 가장 유사한 숫자를 불러와 제1디스플레이부(16)에 표시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 실시예들에서, 주로 무선통화에 사용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이외의 정보가전이나 MP3P 등 음성 또는 영상장치일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커버부가 본체부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최상부에서 면접촉 축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커버부가 본체부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최하부에서 면접촉 축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가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고 본체부의 중심부에서 면접촉 축회전만 하거나 면접 촉 축회전 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제2디스플레이부의 터치스크린들(26, 28)은 적당한 방식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커버부의 제1디스플레이부는 발광소자들로 구성되어 영상만을 표시하는 영상장치로, 본체부의 제2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디스플레이부도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커버부와 본체부에 각각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각 하나 또는 둘이상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형성되어 각각 나누어 영상을 표시하거나 터치스크린으로 입력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이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이나 회전에 무관하게 중력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유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중력방향과 다른 방향이거나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는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방향을 영상의 종류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위치감지부는 중력감지장치 또는 자이로감지장치로 커버부의 중력방향에 대한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커버부와 본체부의 상대적인 축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위치감지부가 커버부와 본체부의 상대적인 축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제공하므로, 제어부는 본체부에 대한 커버부의 상대적인 축회전 각도에 무관하게 제1디스플레이부가 일정한 방향의 영상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커버부를 축회전하는 경우, 커버부의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은 일정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필기인식 제2터치스크린이 영문모드 영역과 숫자모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영문모드 영역과 국문모드 영역, 국문모드 영역과 숫자모드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필기인식 제2터치스크린이 두개의 모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세개 이상의 모드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모드 영역의 전용인식 선택모드는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 제2디스플레이부는 버튼인식 제1터치스크린과 필기인식 제2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디스플레이부는 면접촉 축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노출되는 필기인식 터치스크린만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인식 제1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위치에 숫자 키패드가 형성되어 버튼인식 제1터치스크린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멀티키의 사이드키가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커버부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사이드키는 키버튼과 조그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멀티키의 형성 위치나 형상,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이드키는 조그셔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 사이드키와 네비게이션키는 자체에 인식모드를 의미하는 도형이 표시되어 있고, 이 도형은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축회전되어 변형 또는 변경된 것으로 보이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사이드키와 네비게이션키는 인식모드를 의미하는 도형 뿐 아니라 어떠한 형태의 문자나 색깔 등 표지일 수 있다. 또한, 이 표지는 사이트키와 네비게이션키 자체가 아니라 근접한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이 형성된 커버부나 본체부의 케이스 상 이들의 하단이나 측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표지가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축회전되어 변형 또는 변경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이드키나 네비게이션키의 표면에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가 내장되어 변경된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를 뒷받침하여 해석해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버와 본체의 회전에 따라 새롭게 노출되는 공간을 정보입력기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배치하여 사용하지 않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기인식시 전용모드를 설정할 수 있어 필기인식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필기인식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키가 커버부와 본체부의 상대적인 회전여부에 따라 상이한 인식모드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력방향에 대하여 회전되거나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되더라도 사용자들에게 일정한 방향의 영상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4)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 및 슬라이딩할 수 있게 연결된 커버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슬라이딩 및 면접촉 축회전 후 노출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필기인식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인식 터치스크린은 전용인식 모드를 구비한 인식영역이 두개 이상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인식 모드는 특정 문자, 숫자, 특수기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 후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본체부가 교차하는 지점과 인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하기 전에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오픈된 후 면접촉 축회전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한 후에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면접촉 축회전하여 오픈된 후 슬라이딩 이동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의 일측에 형성된 멀 티키를 추가로 포함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키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대적인 회전여부에 따라 상이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인식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키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사이드키 또는 전면에 형성된 네비게이션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는 조그다이얼 또는 조그셔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인식모드를 의미하는 표지가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키의 자체에 또는 그 주위에,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으며, 변경된 상기 표지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는 상기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축회전되어 변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는 상기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 전후의 배치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을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커버부의 중력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상기 커버부의 중력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을 상기 중력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19.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 및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결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대적인 회전여부에 따라 상이한 인식모드를 갖는 멀티키를 포함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키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사이드키 또는 전면에 형성된 네비게이션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는 조그다이얼 또는 조그셔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인식모드를 의미하는 표지가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키의 자체에 또는 그 주위에,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으며, 변경된 상기 표지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는 상기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축회전되어 변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는 상기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 전후 의 배치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25.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 및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결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을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27.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면접촉 축회전 및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연결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커버부의 중력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상기 커버부의 중력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방향을 상기 중력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29.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키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사이드키 또는 전면에 형성된 네비게이션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는 조그다이얼 또는 조그셔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인식모드를 의미하는 표지가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키의 자체에 또는 그 주위에,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으며, 변경된 상기 표지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는 상기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에 따라 축회전되어 변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는 상기 커버부의 면접촉 축회전 전후의 배치와 연관된 인식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34. 제30항에 있어서,
    방송망을 통해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용 모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방송용 모뎀을 통해 수신한 공중파 수신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멀티키는 상기 공중파 수신영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099369A 2005-10-20 2005-10-20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KR10078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369A KR100784542B1 (ko) 2005-10-20 2005-10-20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US11/550,699 US20070093281A1 (en) 2005-10-20 2006-10-18 Mobile terminal
EP06021953A EP1777920A3 (en) 2005-10-20 2006-10-19 A mobile terminal
CNA2006101371023A CN1953472A (zh) 2005-10-20 2006-10-20 面接触、轴旋转移动通信终端
JP2006286529A JP2007116712A (ja) 2005-10-20 2006-10-20 移動通信端末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369A KR100784542B1 (ko) 2005-10-20 2005-10-20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287A true KR20070043287A (ko) 2007-04-25
KR100784542B1 KR100784542B1 (ko) 2007-12-11

Family

ID=3766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369A KR100784542B1 (ko) 2005-10-20 2005-10-20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93281A1 (ko)
EP (1) EP1777920A3 (ko)
JP (1) JP2007116712A (ko)
KR (1) KR100784542B1 (ko)
CN (1) CN19534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75B1 (ko) * 2006-12-01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서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803784B1 (ko) * 2006-11-24 200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스윙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385747B1 (ko) * 2007-09-21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종이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8381B2 (en) * 1999-06-04 2020-07-28 Raman K. Rao Reconfigurable mobile device interfaces supporting authenticated high quality video, audio, TV and multimedia services
KR20040051827A (ko) * 2002-12-13 2004-06-19 백성수 은을 함유한 헤어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헤어젤
US9030497B2 (en) * 2005-06-30 2015-05-12 Nec Display Solutions, Ltd. Display device and arrangement method of OSD switches
US8920343B2 (en) 2006-03-23 2014-12-30 Michael Edward Sabatino Apparatus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of physiological auditory signals
US7970444B2 (en) * 2007-02-28 2011-06-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ivoting mobile terminal
US20080268901A1 (en) * 2007-03-05 2008-10-30 Ivan Miramontes Slider twister phone
JP5206670B2 (ja) * 2007-03-16 2013-06-1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その機能起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580736B2 (en) * 2007-05-29 2009-08-25 Nokia Corporation Pivot display
US8275421B2 (en) * 2007-07-10 2012-09-25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90219250A1 (en) * 2008-02-29 2009-09-03 Ure Michael J Interface with and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electronic devices
JP2009055312A (ja) * 2007-08-27 2009-03-12 Toshiba Corp 電子機器
US8564936B2 (en) 2007-10-11 2013-10-22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US20090149192A1 (en) * 2007-12-05 2009-06-11 Sandra Vargas Device Locate Service
US8428667B2 (en) 2007-12-27 2013-04-23 Nec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CN101645719A (zh) * 2008-08-07 2010-02-1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个人终端及其图标设定方法
CN102138318B (zh) * 2008-08-27 2014-12-10 日本电气株式会社 滑动机构和滑动装置
US20100238984A1 (en) * 2009-03-19 2010-09-23 Motorola, Inc. Spatial Information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244317B2 (en) * 2009-06-08 2012-08-14 Motorola Mobility Llc Indicator shelf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002354B2 (en) 2009-06-12 2015-04-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control, SINR optimization and signaling enhancement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OTDOA measurements
US20110085588A1 (en) * 2009-10-09 2011-04-14 Motorola-Mobility, Inc. Method for precoding based on antenna grouping
CN102131354A (zh) * 2010-01-20 2011-07-20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
TR201001561A2 (tr) * 2010-03-02 2011-02-21 Vemus Endüstri̇y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Li̇mi̇ted Şi̇rketi̇ Dört yönlü elektronik kilit.
US8884745B2 (en) 2010-04-23 2014-11-11 Echostar Technologies L.L.C. Twist remote control with keyboard
US8509338B2 (en) 2010-05-05 2013-08-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precoder information feedback in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03489B2 (en) 2010-05-05 2015-12-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precoder information feedback in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387212B1 (en) * 2010-05-10 2013-01-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US8537658B2 (en) 2010-08-16 2013-09-1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of codebook design and precoder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2012100159A (ja) * 2010-11-04 2012-05-24 Sharp Corp 映像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8723890B2 (en) 2010-12-23 2014-05-13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and position configurable camera
US10114477B2 (en) 2011-07-14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30009595A (ko) 2011-07-14 2013-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9317899B2 (en) * 2012-01-13 2016-04-1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3383619A (zh) * 2012-05-02 2013-11-06 北京网秦天下科技有限公司 一种在移动设备中显示对象的方法和装置
US9813262B2 (en) 2012-12-03 2017-11-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data using spatial diversity
US9591508B2 (en) 2012-12-20 2017-03-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different peer-to-peer communication groups
US9979531B2 (en) 2013-01-03 2018-05-2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a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 band operation
US10229697B2 (en) 2013-03-12 2019-03-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to obtain voice and noise signals
US9386542B2 (en) 2013-09-19 2016-07-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ransmit power of a wireless device
US9549290B2 (en) 2013-12-19 2017-01-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irection information for a wireless device
US9491007B2 (en) 2014-04-28 2016-11-0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ntenna matching
WO2015180448A1 (zh) * 2014-05-30 2015-12-03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播放方式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和程序
US9478847B2 (en) 2014-06-02 2016-10-2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GB2535430B (en) * 2014-11-24 2018-12-05 New Dawn Innovations Ltd An audio playing apparatus with a rotatable control console including a display
KR20160071922A (ko) * 2014-12-12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08965529A (zh) * 2018-07-23 2018-1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9936A (en) * 1995-03-07 1998-02-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mmunication device for mobile operation having a telephone and notebook with display
JP3920945B2 (ja) * 1996-05-22 2007-05-3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地図表示装置、表示方法、地図表示方法
US6747568B1 (en) * 1997-12-19 2004-06-08 Thomson Licensing S.A. Remote control code search method and apparatus
JPH11196397A (ja) * 1997-12-26 1999-07-21 Canon Inc 表示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6567101B1 (en) * 1999-10-13 2003-05-20 Gateway, Inc. System and method utilizing motion input for manipulating a display of data
US7500917B2 (en) * 2000-02-22 2009-03-10 Creative Kingdoms, Llc Magical wand an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KR100365797B1 (ko) * 2000-08-19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JP2003174495A (ja) *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US20030132863A1 (en) * 2001-12-06 2003-07-17 Lahr Roy J. Articulated, rotatabl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keyboard device
JP4120249B2 (ja) * 2002-03-28 2008-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193411B2 (ja) * 2002-04-26 2008-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100472429B1 (ko) * 2002-10-1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JP4010975B2 (ja) * 2003-04-07 2007-11-21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装置
JP4192024B2 (ja) * 2003-04-17 2008-12-03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用取付装置
JP2004363892A (ja) * 2003-06-04 2004-12-24 Canon Inc 携帯機器
US7050767B2 (en) * 2003-07-07 2006-05-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computing devices having rotationally exposed user interface devices
US7529571B2 (en) * 2003-09-03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JP4236546B2 (ja) * 2003-09-18 2009-03-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機
WO2005034487A1 (en) 2003-09-29 2005-04-14 Danger, Inc. Multipurpose data input/output and display configurations for a data processing apparatus
US20050091431A1 (en) 2003-10-23 2005-04-28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TWM249125U (en) * 2003-11-03 2004-11-01 High Tech Comp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7092246B2 (en) * 2003-11-18 2006-08-15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connecting a display to a body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GB0402637D0 (en) * 2004-02-06 2004-03-10 Nokia Corp Mobile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US20060007139A1 (en) * 2004-06-03 2006-01-12 Ong Dee N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user operated screen controller
EP2375703B1 (en) * 2010-04-12 2014-07-30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84B1 (ko) * 2006-11-24 200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스윙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8594752B2 (en) 2006-11-24 2013-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swing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KR100782075B1 (ko) * 2006-12-01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서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385747B1 (ko) * 2007-09-21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종이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8996068B2 (en) 2007-09-21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paper display uni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US9727299B2 (en) 2007-09-21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having curved display
US10359985B2 (en) 2007-09-21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having curved display
US10732921B2 (en) 2007-09-21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having curved display
US10901678B2 (en) 2007-09-21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having curve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542B1 (ko) 2007-12-11
US20070093281A1 (en) 2007-04-26
CN1953472A (zh) 2007-04-25
JP2007116712A (ja) 2007-05-10
EP1777920A2 (en) 2007-04-25
EP1777920A3 (en)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542B1 (ko)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US1052111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in a plurality of areas of a display
JP4960062B2 (ja) 携帯端末機
JP5228755B2 (ja) 携帯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8675109B2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619139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8649824B2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982105B2 (en) Ergonomic user interfaces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8782561B2 (en) Onscreen function execu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US8478351B2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input device
US20090249203A1 (en) User interface device, computer program, and its recording medium
US2005014065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input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09233161A (ja) 通信端末装置
KR2011002865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실행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및 디바이스
JP2012168881A (ja) 画像区画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US721061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109927B2 (ja) 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8305294A (ja) フルキーボードを搭載した携帯型端末装置及びフルキーボード表示方法
KR20150132896A (ko) 터치패드로 구성된 리모컨과 그 작동 방법
WO2010035774A1 (ja) 電子機器
KR1006530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가로보기 실행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JP4232116B2 (ja) 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124274B1 (ko) 필기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417037B1 (ko) 모바일 인터넷 브라우저에서의 카메라 화상정보를 이용한화면 스크롤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339524B1 (ko)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입력방식을 달리하는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