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058A -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058A
KR20070043058A KR1020077007743A KR20077007743A KR20070043058A KR 20070043058 A KR20070043058 A KR 20070043058A KR 1020077007743 A KR1020077007743 A KR 1020077007743A KR 20077007743 A KR20077007743 A KR 20077007743A KR 20070043058 A KR20070043058 A KR 20070043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amplitude
pulse
pit
pul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시로타
쿠니히코 호리카와
히로유키 우치노
요시오 사사키
쇼지 타니구치
에이지 무라마쯔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3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6Recording strategies, e.g. pulse seque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예를 들어, 8배속 기록 이상의 초고속 기록 시에 있어서도 적절한 형상의 기록 피트를 형성할 수 있는 기록 펄스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10 종류의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의 상기 각 피트의 길이에 각각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기록 제어부(10)에 있어서, 4T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신호의 진폭이 제 1 진폭으로부터 제 2 진폭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5T 이상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신호의 진폭이 제 3 진폭으로부터 제 4 진폭으로 변화하며, 또한 제 5 진폭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기록 제어부(10)를 구비한다.
기록 펄스 생성 장치, 정보 기록 장치, CD-R, CD-RW, DVD-R, DVD-RW

Description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Recording Pulse Generation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도 1은 각 실시태양에 관한 정보기록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각 실시태양에 관한 정보기록 재생장치에서의 기록 제어부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각 실시태양에 관한 상기 정보기록 재생장치에서의 LD 드라이버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레이저 다이오드에 부여되는 구동전류와 출력 파워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태양에 관한 기록 펄스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태양에 관한 각 기록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실시태양의 변형 형태에 관한 각 기록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 스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2 실시태양에 관한 각 기록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정보 기록 재생장치
2. 광 픽업
3. 스핀들 모터
10. 기록 제어부
12. LD 드라이버
13. APC 회로
14. 샘플 홀드 회로
15. 컨트롤러
16. 프런트모니터 다이오드
17R, 17W1, 17W2 전류원
18R, 18W1, 18W2 스위치
20. 재생 제어부
30. 서보 제어부(servo controller)
40. 톱 펄스(top pulse)
41. 중간 바이어스부
42. 라스트 펄스(last pulse)
본 발명은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최근 일반화되어 있는 대기록 용량의 정보 기록 매체로서의 DVD-R(DVD-Recordable)이나 DVD-RW(DVD-Re-recordable) 등의 기록 또는 기록 변경이 가능한 광 디스크에 대한 정보기록 처리에 있어서는 복수의 짧은 레이저 펄스를 포함하는 레이저 펄스열에 의해 기록 피트(pit)를 형성하는 레이저 파워의 제어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소위 기록 전략(write strategy) 방식으로 불리고 있다.
상기의 레이저 펄스열은 소정의 리드(read)(해독) 파워 레벨과 라이트(write)(쓰기 또는 기록) 파워 레벨의 사이에서 진폭이 변동하는 복수의 레이저 펄스로 구성되어 있다. 즉, 기록 신호에 따라 기록 피트가 형성되지 않은 광 디스크의 기록면 상의 영역(이하, 적절히 「스페이스부」(space part)로도 칭한다)에서는 리드 파워에서 레이저 광이 기록면 상에 조사되고, 기록 피트가 형성될 기록면 상의 영역(이하, 적절히 「피트부」(pit part)로도 칭한다)에서는 리드 파워와 라이트 파워의 사이에서 진폭이 변화하는 레이저 펄스열에 따른 파워에서 레이저 광 이 기록면 상에 조사되어, 그에 따라 기록 피트가 기록면 상에 형성된다.
최근에는 상기 기록 전략 방식의 일례로서, 이하에 표시하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개 제 2003-85753호(제 5도, 제 6도 및 제 12도)
상술한 종래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록 펄스 신호생성을 위한 구성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길이 미만의 기록 피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단일 펄스의 레이저 펄스를 이용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길이 이상의 기록 피트를 기록면 상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凹자형의 레이저 펄스 또는 L자형의 레이저 펄스를 사용한다. 결과로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길이 미만의 기록 피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대값이 큰 일정의 높은 라이트 파워 레벨에서 기록 피트를 형성하게 되고, 한편 상기 미리 설정된 길이 이상의 기록 피트를 기록면 상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라이트 파워 레벨과 이 라이트 파워 레벨보다 낮은 일정의 라이트 파워 레벨 사이의 복수 단계에서 변동하는 라이트 파워 레벨에서 기록 피트를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절대값이 큰 라이트 파워만으로 기록 피트를 형성하는 경우와 절대값이 큰 라이트 파워와 절대값이 작은 라이트 파워와의 복수 단계에서 변동하는 라이트 파워를 이용하여 기록 피트를 형성하는 경우에서는 라이트 파워로부터 받는 열 에너지 축적양상이 다르다.
이로 인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상기 특허문헌 1의 제 4도에 도시하는 전류 파워(I-P) 곡선의 특성(상기 I-P 곡선에서의 기울기)이 변화하는 등으로 라이트 파워가 변동해 버리면 단일 펄스에서 형성한 기록 피트와 복수 단계에서 변동하는 기록 파워에서 형성한 기록 피트와의 사이에서 열 에너지 축적의 변동량이 다르게 되어 기록 피트의 형상 변동이 격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보다 고속의 기록을 수행하는 경우에 현저하게 발생된다.
여기에서, 본원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조된 것으로 그 과제의 일례는 보다 고속의 기록(예를 들어 8배속)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바람직한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상기 기록 펄스 생성 장치를 포함하며 광 디스크 등의 정보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 종류의 길이의 피트에 각각 대응하는 길이의 펄스 폭을 가지는 기록 펄스 신호(recording pulse signal)를 생성하는 기록 펄스 생성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길이 미만의 길이를 가지는 적어도 한 종류의 길의 피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진폭이 제 1 진폭으로부터 상기 제 1 진폭보다 낮은 제 2 진폭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기록 제어부 등의 제 1 펄스 생성수단과 상기 미리 설정된 길이 이상의 길이의 상기 피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진폭이 제 3 진 폭으로부터 상기 제 3 진폭보다 낮은 제 4 진폭으로 변화하고 또한 상기 제 4 진폭보다 높은 제 5 진폭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기록 제어부 등의 제 2 펄스 생성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록 펄스 생성 장치와 상기 생성된 기록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피트를 형성하여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광 픽업(pickup) 등의 기록 수단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Ⅰ) 장치 구성
우선, 이하의 각 실시태양에 공통적인 장치 구성 및 그의 작동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각 실시태양에 관한 정보기록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상기 정보기록 재생장치에서의 기록 제어부의 개요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상기 정보기록 재생장치에서의 LD(LASER Diode) 드라이버의 개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레이저 다이오드에 부여되는 구동전류와 출력 파워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실시태양에 관한 정보기록 재생장치(1)는 광 디스크(D)에 정보를 기록하고, 또한 광 디스크(D)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에서, 광 디스크(D)로서는 예를 들어 1회에 한해 기록이 가능한 CD- R(Compact Disc-Recordable) 또는 DVD-R, 복수회에 걸쳐 소거 및 기록이 가능한 CD-RW(Compact Disc-Rewritable) 또는 DVD-RW 등의 다양한 광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정보기록 재생장치(1)는 광 디스크(D)에 대하여 기록 빔 및 재생 빔을 조사하는 기록수단으로서의 광 픽업(2)과 광 디스크(D)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핀들 모터(3)와 광 디스크(D)로의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 1 펄스 생성수단 및 제 2 펄스 생성수단으로서의 기록 제어부(10)와 광 디스크(D)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부(20)와 스핀들 모터(3)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핀들 서보 및 광 픽업(2)의 광 디스크(D)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제어인 포커스 서보 및 트래킹 서보를 포함하는 각종 서보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서보 제어부(30)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기록 제어부(10)는 기록신호를 받아, 후술의 처리에 의해 광 픽업(2) 내부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 SD를 생성하여, 이를 광 픽업(2)으로 공급한다.
또한, 재생 제어부(20)는 광 픽업(2)으로부터 출력되는 해독 RF 신호 Srf를 받아, 이에 대하여 소정의 복조처리, 복호화 처리 등을 실시하여 재생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이들에 있어서, 서보 제어부(30)는 광 픽업(2)으로부터의 해독 RF 신호 Srf 를 받아, 이에 기초하여 트래킹 에러 신호 및 포커스 에러 신호 등의 서보 신호 S1을 광 픽업(2)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스핀들 서보 신호 S2를 스핀들 모터(3)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트래킹 서보, 포커스 서보 및 스핀들 서보 등의 각종 서보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본원발명은 주로 기록 제어부(10)에서의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며, 재생 제어 및 서보 제어에 대해서는 기지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 그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는 본원의 일 실시태양으로서의 정보 기록 재생장치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기록 전용의 정보 기록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광 픽업(2) 및 기록 제어부(1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픽업(2)은 광 디스크(D)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빔 및 광 디스크(D)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빔을 생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D)와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을 받아 레이저 광에 대응하는 레이저 파워 레벨 신호(LDout)를 출력하는 프런트모니터 다이오드(FMD)(16)를 구비한다.
또한, 광 픽업(2)은 이외에 재생 빔의 광 디스크(D)에 의한 반사 빔을 받아 해독 RF 신호 Srf를 생성하기 위한 광 검출기나 기록 빔 및 재생 빔과 반사 빔을 적절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광학계 등의 기지의 구성요소를 구비하지만 이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기록 제어부(10)는 LD 드라이버(12)와, APC(Automatic Power Control) 회로(13)와 샘플 홀드(S/H) 회로(14)와 컨트롤러(15)를 구비한다.
이때, LD 드라이버(12)는 기록 신호에 따른 전류를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공급하고, 광 디스크(D)로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프런트모니터 다이오드(16)는 광 픽업(2) 내의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부근에 배치되어,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을 받아 그 레벨을 나타내는 레이저 파워 레벨 신호 LDout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샘플 홀드 회로(sample and hold circuit, 14)는 샘플 홀드 신호 APC-S/H에 의해 규정되는 타이밍에서 레이저 파워 레벨 신호 LDout의 레벨을 샘플하고 홀드한다.
그리고, APC 회로(13)는 샘플 홀드 회로(14)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의 리드 파워 레벨이 일정하게 되도록 LD 드라이버(12)의 파워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콘트롤러(15)는 주로 기록 작동과 APC 동작을 총괄 제어한다.
여기에서 우선 기록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록 작동에 있어서, 콘트롤러(15)는 레이저 다이오드(L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스위치의 교환신호 SWR, SWW1 및 SWW2를 생성하고 LD 드라이버(12)로 공급한다.
여기에서, LD 드라이버(12)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D 드라이버(12)는 리드 레벨용의 전류원(17R), 라이트 레벨용의 전류원(17W1 및 17W2) 및 스위치(18R, 18W1 및 18W2)를 구비한다.
이때, 리드 레벨용의 전류원(17R)은 레이저 다이오드(LD)에 리드 파워로 레이저 광을 출사시키기 위한 구동전류(IR)를 흘리는 전류원이며, 구동전류(IR)는 스위치(18R)를 매개로 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공급된다. 따라서, 스위치(18R)를 ON으로 하면 레이저 다이오드(LD)에 리드 파워의 구동전류(IR)가 공급되고, 스위치(18R)를 OFF로 하면 구동전류(IR)의 공급은 정지된다. 또한 전류원(17R)으로부터의 구동 전류(IR)의 크기는 제어신호(SAPC)에 의해 변화한다.
한편, 라이트 레벨 용의 전류원(17W1 및 17W2)은 각각 레이저 다이오드(LD)가 라이트 파워에서 레이저 광을 출사시키기 위한 구동전류(Iw1 및 Iw2)를 흘리는 전류원이다. 그리고, 구동전류(Iw1)는 스위치(18W1)를 매개로 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공급되며, 구동전류(Iw2)는 스위치(18W2)를 매개로 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본원발명에 의한 기록 전략(write strategy)에서는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와 그보다 낮은(진폭이 작은)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의 두가지 레벨의 라이트 파워가 사용된다.
이로 인해, 스위치(18R)를 ON으로 한 상태에서 스위치(18W1)를 ON으로 하면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구동전류 IR 및 Iw1의 합계 구동전류가 공급되고, 이에 의해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서 레이저 다이오드가 구동된다.
또한, 스위치(18R 및 18W1)를 ON으로 한 상태에서 다시 스위치(18W2)를 ON으로 하면 레이저 다이오드(LD)에는 추가로 구동전류 Iw2가 공급되고, 그 결과 레이저 다이오드(LD)에는 구동전류(IR, Iw1 및 Iw2)의 합계의 구동전류가 흘러 레이저 다이오드(LD)는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서 구동된다. 또한, 스위치(18W1)를 OFF로 하면 구동전류(Iw1)의 공급은 정지되고, 스위치(18W2)를 OFF로 하면 구동전류(Iw2)의 공급은 정지된다.
다음으로,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공급되는 구동전류와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의 출력 파워와의 관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구동전류(IR)를 공급하면 리드 파워 PR로 레이저 광이 출사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추가로 구동전류(Iw1)를 가하면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서 레이저 광이 출사된다. 또한, 추가로 구동전류(Iw2)를 가하면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서 레이저 광이 출사된다.
이때, 광 디스크(D)로의 정보 기록 시에는 기본적으로는 구동전류(IR)를 항 상 공급하여 리드 파워 PR에서 레이저 광이 출사되고, 다시 기록 펄스에 따라 구동전류(Iw1 및 Iw2)를 추가함에 따라 제 1의 라이트 파워 Ph 또는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이 인가되어, 정보가 광 디스크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APC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APC 작동은 레이저 다이오드(LD)에 의해 출력되는 레이저 광의 리드 파워의 레벨이 일정하게 되도록 LD 드라이버(12)로부터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공급되는 구동전류 레벨을 조정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신호(8-16 변조되어 있으며, 3T 내지 11T 및 14T 각각의 길이의 피트 주기 및 스페이스 주기를 가지는)의 스페이스부 중, 긴 스페이스 주기(예를 들어, 5T 내지 11T, 14T의 스페이스 주기) 중에 있어서 리드 파워의 레벨이 일정하게 되도록 LD 드라이버(12)로부터의 구동신호 SD를 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즉, 컨트롤러(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신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 펄스에 따라 LD 드라이버(12)를 구동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 레이저 광을 출사시킨다.
이때, 프런트모니터 다이오드(16)는 광 픽업(2) 내의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부근에 배치되고,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 출사한 레이저 광을 받아 그 레벨을 나타내는 레이저 파워 레벨 신호 LDout를 생성하고, 샘플 홀드 회로(14)에 공급한다.
그리고, 샘플 홀드 회로(14)는 컨트롤러(15)로부터 입력되는 샘플 홀드 신호 APC-S/H에 의해 부여되는 타이밍에서 프런트모니터 다이오드(16)로부터 공급되는 레이저 파워 레벨 신호 LDout을 샘플하여, 그 레벨을 소정 기간 홀드한다. 컨트롤러(15)로부터 출력되는 샘플 홀드 신호 APC-S/H는 APC를 실행하는 주기(「APC 주기」로 명명)를 나타내는 펄스이다.
이에 의해 샘플 홀드 회로(14)는 기록신호의 스페이스 주기 중의 APC 기간에 있어서 레이저 파워 레벨 신호 LDout의 레벨을 홀드하여 APC 회로(13)로 공급한다. APC 회로(13)는 APC 기간에서의 레이저 파워 레벨 신호(LDout)의 레벨이 일정하게 되도록 LD 드라이버(12)로 제어신호 SAPC를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신호 SAPC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D 드라이버(12) 내의 리드 레벨용 전류원(17R)에 입력된다. 이로 인해, 제어신호 SAPC에 따라 리드 레벨용 전류원(17R)으로부터 흐르는 전류(IR)가 변화한다. 즉, 레이저 다이오드(LD)에 의해 수득되는 리드 파워 레벨이 일정하게 되도록 APC 작동이 실행된다.
실시예:
(Ⅱ) 제 1 실시태양
다음으로, 상술한 정보기록 재생장치(1)에 있어서 실행되는, 본원발명에 관한 기록 전략 방식의 제 1 실시태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제 1 실시태양에 관한 2종류의 기록 펄스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제 1 실시태양에 관한 각 기록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 1 실시태양에 관한 기록 전략 방식에 있어서는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제 1 실시태양의 경우는 5T) 이상의 기록 피트를 형성하는 기록 펄스 신호의 기록 펄스 파형이 도 5(a)에 도시하는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되고, 한편 길이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길이 미만의 기록 피트를 형성하는 기록 펄스 신호의 기록 펄스 형성이 도 5(b)에 도시하는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된다.
우선, 제 1 실시태양에 관한 기록 전략 방식에 관한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에 대하여 도 5(a)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태양의 기록 전략 방식에서의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은 톱 펄스(40), 중간 바이어스부(41) 및 라스트 펄스(42)의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들의 부분 이외에 있어서는 기록 펄스 파형은 리드 파워 PR의 레벨에서 유지되고 있다.
이때, 도 5(a)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에 있어서는 2개 값의 라이트 파워가 사용된다. 그리고, 톱 펄스(40) 및 라스트 펄스(42)는 제 1의 라이트 파워 Ph가 이용되고, 중간 바이어스부(41)는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이 이용된다. 또한,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은 리드 파워 PR보다 높지만 제 1의 라이트 파워 Ph 보다 낮게 설정된다.
또한, 도 5(a)에 있어서, 톱 펄스(40) 및 라스트 펄스(42) 각각의 라이트 파워는 반드시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고, 기록 피트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 등에 따라 최적의 기록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설정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톱 펄스(40)는 피트 기록을 위하여 광 디스크(D)의 기록면을 예열하는 역할을 가진다. 또한, 중간 바이어스부(41)는 기록될 피트의 길이에 따라 그 시간 폭이 변화한다. 아울러, 라스트 펄스(42)는 주로 피트의 후단부의 형상을 조정하는 역할을 가진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기록될 피트의 길이는 톱 펄스 폭(Ttop), 라스트 펄스폭(Tlp) 및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의해 제어되고, 기록될 피트의 폭은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으로, 제 1의 실시태양에 관한 기록 전략 방식에 관한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 대하여 도 5(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은 톱 펄스(40)와 중간 바이어스부(41) 및 라스트 펄스(42)를 가지고 있었지만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는 라스트 펄스(42)를 생략하여 중간 바이어스부(41)를 연장함으로써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된다. 즉,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는 라스트 펄스(42)가 없고,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하는 진폭 레벨의 중간 바이어스부(41)가 기록 펄스 파형의 최후까지 연속하고 있다.
또한, 제 2의 펄스 파형에서의 톱 펄스(40)의 시간은 제 1의 펄스 파형에서의 톱 펄스(40)의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정도 또는 그 이하에 있어서도 톱 펄스(40)의 시단부 및 중간 바이어스부(41)의 종단부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기록 펄스 파형이 최적화된다.
다음으로 라이트 파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는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는 톱 펄스(40)의 진폭 레벨은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대응하고, 중간 바이어스부(41)의 진폭 레벨은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한다. 또한, 톱 펄스(40) 및 중간 바이어스부(41) 이외의 부분은 리드 파워 PR에 대응하는 진폭레벨로 되어 있다.
다음, 기록될 각 피트 길이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을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기록 데이터에는 8-16 변조 처리가 실시되고 있으며, 3T 내지 11T 및 14T 각각의 길이의 피트 주기 및 스페이스 주기를 가진다. 여기에서, 제 1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3T 및 4T의 기록 데이터의 경우는 상술한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되며, 그 톱 펄스(40)의 진폭은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대응하고, 한편 중간 바이어스부(41)의 진폭은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하고 있다.
한편, 5T 이상의 길이의 기록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되며, 그 톱 펄스(40) 및 라스트 펄스(42)의 진폭은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대응하고, 한편 중간 바이어스부(41)의 진폭은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5T 이상의 길이의 기록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길이에 대응하여 중간 바이어스부(41)의 길이가 증가한다. 톱 펄스(40)와 라스트 펄스(42)의 펄스 폭은 후술하는 제어에 의해 다소 변화하지만 기본적으로는 각각 거의 일정하며, 중간 바이어스부(41)와 같이 기록 피트 길이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제 1 실시태양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는 도 5(a) 및 (b)에 각각 표시된 바와 같이, 톱 펄스(40)와 라스트 펄스(42)에 펄스 파형의 전연(leading edge) 및 후연(trailing edge)이 있지만, 이들은 종래의 기록 전략 방식과 같이 펄스 폭이 작은 복수의 펄스가 연속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톱 펄스(40)와 라스트 펄스(42) 사이에는 중간 바이어스부(41)가 존재하므로 고속 기록 시에 있어서도 펄스의 전연 및 후연 주기의 영향과 오버슈트(overshoot) 및 언더슈트(undershoot)의 영향에 의해 파형이 부적절하게 변형해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상술한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호한 기록 특성을 얻기 위하여, 톱 펄스(40) 및 라스트 펄스(42)의 위치 및 펄스 폭을, 기록될 피트의 직전 및 직후의 스페이스 길이에 따라 변화시키는 소위 기록 펄스 파형의 에지(edge) 위치의 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정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의 단락번호 [0085] 내지 [0108] 및 상기 특허문헌 1의 도 8 내지 도 1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 대해서도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과 동일하게 기록 펄스의 에지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열적 간섭(thermal interference) 및 광학적 부호간 간섭(optical inter-symbol interference)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기록될 피트의 전단부에 대해서는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과 동일하게, 기록될 피트의 스페이스 길이에 따라 기록될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의 톱 펄스(40)의 전방 에지 위치 TF 및 후방 에지 위치 TR을 조정하면 좋다.
한편, 기록될 피트의 후단부에 대해서는 라스트 펄스(42)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기록 펄스의 후방 에지 위치 RE(도 5(b) 참조)를, 기록될 피트 뒤의 스페이스 길이에 따라 변화시켜 그 피트의 길이를 미세 조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태양의 기록 제어부(10)의 작동에 의하면 3T 및 4T의 길이를 가지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만이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됨과 동시에 5T 이상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은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되므로 전체 길이의 기록 펄스 파형에 대하여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과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이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되어 외적 요인 등으로 기록 파워가 변동해 버린 경우에서도 각 피트 간의 균형이 악화하지 않고, 양호한 기록 특성을 가질 수가 있다.
또한, 톱 펄스(40)의 진폭이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과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각 기록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바이어스부(41)의 진폭도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과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각 기록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또한,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의 톱 펄스(40)의 길이(Ttop)가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의 톱 펄스(40)의 길이(Ttop)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의 진폭이 제 1의 파이트 파워 Ph에 대응하는 값으로부터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화할 때까지의 시간이,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의 진폭이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대응하는 값으로부터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화할 때까지의 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의 진폭이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화한 직후의 상기 진폭의 변동이 저감한 후에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화하게 되어 결과로서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의 진폭 제어의 평균적인 변동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1 실시태양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짧은 기록 피트인 3T의 기록 펄스 파형만을 단일 펄스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은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LD 드라이버의 성능에 따라서는 가장 짧은 기록 피트인 3T를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하면, 소위 오버슈트나 언더슈트 등에 의한 파형의 혼란을 펄스 폭 주기 동안 수렴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며, 펄스 폭의 제어를 적절하게 수행한다는 관점으로부터 생각하면 이 경우는 3T의 기록 펄스 파형을 단일 펄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3T의 단일 펄스의 기록 파워와 4T의 기록 펄스 중 톱 펄스(40)의 기록 파워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기록 피트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 등에 따라 최적의 기록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Ⅲ) 제 2 실시태양
다음으로, 상술한 정보 기록 재생장치(1)에 있어서 실행되는 본원에 관한 기록 전략 방식의 다른 실시태양인 제 2 실시태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은 제 2 실시태양에 관한 각 기록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기록 전략 방식의 제 2 실시태양에 적용되는 정보 기록 재생장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기록 전략 방식의 제 1 실시태양에 관한 정보 기록 재생장치(1)의 구성과 모두 동일하므로 세부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기록 전략 방식의 제 1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3T 및 4T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만(상기 제 1 실시태양의 변형 형태(도 7 참조)에 있어서는 4T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만)이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되는 것과 함께 5T 이상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이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기록 전략 방식의 제 2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3T 내지 8T까지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이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되는 것과 함께 9T 이상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이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된다.
즉, 기록 전략 방식의 제 2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3T 내지 8T의 기록 데이터의 경우는 상술한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되며, 그 톱 펄스(40)의 진폭은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대응하고, 한편, 중간 바이어스부(41)의 진폭은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3T 내지 8T의 기록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길이에 따라 중간 바이어스부(41)의 길이가 증가한다. 또한, 톱 펄스(40)의 펄스 폭은 제 1 실시태양의 경우와 동일한 제어에 의해 다소 변화하지만 기본적으로는 각각 거의 일정하며, 중간 바이어스부(41)와 같이 기록 피트 길이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는 않는다.
한편, 9T 이상의 길이의 기록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되고, 그 톱 펄스(40) 및 라스트 펄스(42)의 진폭은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대응하고, 한편 중간 바이어스부(41)의 진폭은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9T 이상의 길이의 기록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길이에 따라 중간 바이어스부(41)의 길이가 증가한다. 또한, 톱 펄스(40)와 라스트 펄스(42)의 펄스 폭은 제 1 실시태양의 경우와 동일한 제어에 의해 다소 변화하지만 기본적으로는 각각 거의 일정하며, 중간 바이어스부(41)와 달리 기록 피트 길이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 2 실시태양에 있어서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하는 피트의 길이의 범위를 3T 내지 8T까지로 하는 것은 형성된 기록 피트에 대하여 재생용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수득되는 반사광으로부터 검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에 있어서의 이른바 아이 패턴(eye pattern)에서의 최대 진폭을 얻을 수 있는 것이 8T 의 길이를 갖는 기록 피트로부터 검출된 RF 신호이기 때문이며 그 최대 진폭이 수득되는 길이의 기록 피트 이하의 길이를 갖는 기록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을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하는 것이 재생 품질상 가장 바람직하다고 실험적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최대 진폭이 수득되는 기록 피트의 길이는 광 픽업 자체 특성의 변동이나 광 디스크(D)를 형성하는 재료의 품질 등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므로 최종적으로는 다양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 이하의 길이를 갖는 기록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을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미리 설정하여 정보 기록 재생장치를 설계·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의 정보 기록 재생장치로서의 작동은 제 1 실시태양에 관한 정보기록 재생장치(1)와 모두 동일하므로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태양의 기록 제어부의 작동에 의하면 3T 내지 8T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이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9T 이상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이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전체의 길이의 기록 펄스 파형에 대하여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과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의해 기록되는 부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기록 펄스의 진폭 제어에서의 변동폭이 피트의 길이가 변화한 경우에도 거의 일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정확한 진폭 제어를 전체 길이의 피트에 걸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피트의 길이의 변화에 동반하는 진폭 제어의 정밀도를 균일화할 뿐만 아니라 향상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8배속 이상의 초고속 기록 시에 있어서도 적 절한 형상의 기록 피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톱 펄스(40)의 진폭이 제 1 기록 펄스 파형과 제 2 기록 펄스 파형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각 기록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중간 바이어스부(41)의 진폭도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과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각 기록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또한,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의 톱 펄스(40)의 길이(Ttop)가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의 톱 펄스(40)의 길이(Ttop)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의 진폭이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대응하는 값으로부터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화할 때까지의 시간이 제 1의 기록 펄스 파형의 진폭이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대응하는 값으로부터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화할 때까지의 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에서의 진폭이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화한 직후의 상기 진폭의 변동이 저감한 후에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화하게 되어, 결과로서 제 2의 기록 펄스 파형의 진폭 제어의 평균적인 변동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태양에 대해서는 가장 짧은 피트인 3T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파형을 단일 펄스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태양에서의 제 1의 라이트 파워 Ph 및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에 대해서 보다 실제적으로는, 상기 제 1의 라이트 파워 Ph와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의 비율 등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의 라이트 파워 Ph 및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을 조정할 필요가 있지만 그 구체적인 조정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에서의 단락번호 [0112] 내지 [0131] 및 상기 특허문헌 1에서의 도 13 내지 도 16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의 라이트 파워 Ph는 제 1의 펄스 파형과 제 2의 펄스 파형에서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광 픽업 자체의 특성의 변동이나 광 디스크(D)를 형성하는 재료의 품질 등에 따라 최적의 기록 특성이 수득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동일하게 제 2의 라이트 파워 Pm은 제 1의 펄스 파형과 제 2의 펄스 파형에서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광 픽업 자체의 특성의 변동이나 광 디스크(D)를 형성하는 재료의 품질 등에 따라 최적의 기록 특성이 수득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하면 8배속 기록 이상의 초고속 기록 시에 있어서도 적절한 형상의 기록 피트를 형성할 수 있어, 대기록 용량의 정보 기록 매체인 DVD-R이나 DVD-RW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Claims (6)

  1. 복수 종류의 길이의 피트(pit)에 각각 대응하는 길이의 펄스 폭을 갖는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기록 펄스 생성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길이 미만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진폭이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전단의 진폭인 제 1 진폭으로부터 상기 제 1 진폭보다 낮은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후단의 진폭인 제 2 진폭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펄스 생성 수단과;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길이 이상의 길이의 상기 피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진폭이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전단의 진폭인 제 3 진폭으로부터 상기 제 3 진폭보다 낮은 제 4 진폭으로 변화하고, 또한 상기 제 4 진폭보다 높은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후단의 진폭인 제 5 진폭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펄스 생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펄스 생성 수단은 상기 제 1 진폭과 상기 제 3 진폭이 서로 동일하도록 각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펄스 생성 수단은 상기 제 3 진폭과 상기 제 5 진폭이 동일하게 되도록 각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생성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생성 수단 및 상기 제 2 펄스 생성 수단은 상기 제 2 진폭과 상기 제 4 진폭이 동일하게 되도록 각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생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생성 수단 및 상기 제 2 펄스 생성 수단은 상기 제 1 펄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진폭이 상기 제 1 진폭인 시간이, 상기 제 2 펄스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진폭이 상기 제 3 진폭인 시간보다 길게 되도록 각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생성 장치.
  5. 제 1항에 기재된 기록 펄스 생성 장치와; 및
    상기 생성된 기록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피트를 형성하여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6. 생성된 기록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피트를 형성하고,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길이 미만의 길이를 갖는 피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진폭이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전단의 진폭인 제 1 진폭으로부터 상기 제 1 진폭보다 낮은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후단의 진폭인 제 2 진폭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펄스 생성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길이 이상의 길이의 상기 피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진폭이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전단의 진폭인 제 3 진폭으로부터 상기 제 3 진폭보다 낮은 제 4 진폭으로 변화하고, 또한 상기 제 4 진폭보다 높은 상기 기록 펄스 신호의 후단의 진폭인 제 5 진폭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펄스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기록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피트를 형성하고,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펄스 생성 단계는 상기 제 1 진폭과 상기 제 3 진폭이 서로 동일하도록 각 상기 기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방법.
KR1020077007743A 2004-03-31 2005-03-30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KR200700430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5258 2004-03-31
JP2004105258 2004-03-3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316A Division KR20060128017A (ko) 2004-03-31 2005-03-30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058A true KR20070043058A (ko) 2007-04-24

Family

ID=3506402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316A KR20060128017A (ko) 2004-03-31 2005-03-30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KR1020077007743A KR20070043058A (ko) 2004-03-31 2005-03-30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KR1020077007744A KR101126090B1 (ko) 2004-03-31 2005-03-30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KR1020077007742A KR101126089B1 (ko) 2004-03-31 2005-03-30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316A KR20060128017A (ko) 2004-03-31 2005-03-30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744A KR101126090B1 (ko) 2004-03-31 2005-03-30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KR1020077007742A KR101126089B1 (ko) 2004-03-31 2005-03-30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564759B2 (ko)
EP (4) EP1887569A3 (ko)
JP (2) JP4066270B2 (ko)
KR (4) KR20060128017A (ko)
CN (4) CN100541619C (ko)
AT (2) ATE507557T1 (ko)
DE (2) DE602005027756D1 (ko)
ES (2) ES2364430T3 (ko)
WO (1) WO2005096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6002031T5 (de) * 2005-07-26 2008-05-29 Advantest Corp. Signalsendevorrichtung, Signalempfangsvorrichtung, Prüfvorrichtung, Prüfmodul und Halbleiterchip
JP2009238285A (ja) * 2008-03-26 2009-10-15 Sony Corp 光記録方法及び光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362B2 (ja) 1985-03-22 1996-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学的記録方法
JPH0229928A (ja) 1988-04-06 1990-01-31 Nippon Columbia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3212415B2 (ja) * 1993-04-26 2001-09-25 株式会社リコー 光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H11144288A (ja) * 1997-11-05 1999-05-28 Yamaha Corp 光ディスク記録のレーザパワー制御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のレーザダイオード駆動回路
US6781937B2 (en) * 1998-01-21 2004-08-24 Yamaha Corporation Optical disk recording method and device
JP2001110052A (ja) * 1999-10-13 2001-04-20 Fuji Photo Film Co Ltd 光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JP4097867B2 (ja) * 1999-12-22 2008-06-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2269744A (ja) 2001-03-15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におけるレーザ光のパルス幅調整装置、及びパルス幅調整方法
JP4560251B2 (ja) * 2001-09-10 2010-10-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KR100429884B1 (ko) * 2002-03-18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4013605B2 (ja) * 2002-03-22 2007-11-28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4076453B2 (ja) * 2003-02-03 2008-04-16 株式会社リコー 色素系追記型dvd媒体の光記録方法
JP4235126B2 (ja) * 2003-03-20 2009-03-11 株式会社リコー 色素系追記型dvd媒体の光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JP2005243053A (ja) * 2003-03-24 2005-09-08 Ricoh Co Ltd 色素系追記型dvd媒体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2005011491A (ja) 2003-05-27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的情報記録方法、光学的情報記録装置および光学的情報記録媒体
JP2005020217A (ja) 2003-06-25 2005-01-20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無線端末
JP3732499B2 (ja) * 2003-08-26 2006-01-05 株式会社リコー 色素系追記型dvd媒体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4133882B2 (ja) 2004-02-23 2008-08-13 株式会社リコー 色素系追記型dvd媒体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US7480223B2 (en) 2004-01-30 2009-01-20 Ricoh Company, Ltd. Recording and reading method and device for dye based write-once DVD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55727A (zh) 2007-10-17
DE602005027756D1 (de) 2011-06-09
US20070217311A1 (en) 2007-09-20
EP1887570A3 (en) 2008-10-01
ES2364430T3 (es) 2011-09-02
ES2364431T3 (es) 2011-09-02
EP1887569A2 (en) 2008-02-13
CN100541619C (zh) 2009-09-16
US7532557B2 (en) 2009-05-12
JP4332563B2 (ja) 2009-09-16
KR20070041794A (ko) 2007-04-19
CN101075444A (zh) 2007-11-21
EP1890284B1 (en) 2011-04-27
JP2007095311A (ja) 2007-04-12
US7564759B2 (en) 2009-07-21
KR101126089B1 (ko) 2012-03-29
EP1890284A2 (en) 2008-02-20
US20070217310A1 (en) 2007-09-20
WO2005096280A1 (ja) 2005-10-13
EP1734514A1 (en) 2006-12-20
KR20060128017A (ko) 2006-12-13
EP1734514A4 (en) 2008-10-01
EP1887569A3 (en) 2008-10-01
KR20070041795A (ko) 2007-04-19
CN100487798C (zh) 2009-05-13
ATE507558T1 (de) 2011-05-15
JPWO2005096280A1 (ja) 2008-07-31
ATE507557T1 (de) 2011-05-15
EP1890284A3 (en) 2008-10-08
KR101126090B1 (ko) 2012-03-29
JP4066270B2 (ja) 2008-03-26
EP1887570B1 (en) 2011-04-27
EP1887570A2 (en) 2008-02-13
CN1947182A (zh) 2007-04-11
CN100501839C (zh) 2009-06-17
DE602005027755D1 (de) 2011-06-09
CN101075444B (zh) 2011-02-09
CN101055726A (zh)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5740B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US20070195678A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KR101126090B1 (ko) 기록 펄스 생성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
JP4191446B2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JP2003077128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WO2005041175A1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3772709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7134044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JP2007103012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JP2007103013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