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507A - 압연스탠드 충격흡수방법 및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스탠드 충격흡수방법 및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507A
KR20070042507A KR1020067025816A KR20067025816A KR20070042507A KR 20070042507 A KR20070042507 A KR 20070042507A KR 1020067025816 A KR1020067025816 A KR 1020067025816A KR 20067025816 A KR20067025816 A KR 20067025816A KR 20070042507 A KR20070042507 A KR 20070042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attress
vibration
rolling stand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느 고우떼브로제
이브 르끄레끄
Original Assignee
바이클레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클레심 filed Critical 바이클레심
Publication of KR2007004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007Control for preventing or reducing vibration, chatter or chatter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44Vibration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에 대한 민감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압연스탠드 완충방법 및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완충은 압연스탠드(1)를 형성하는 각 기둥(2)의 상부에 위치하는 진동질량체(8)에 의해 확보되고, 진동에너지는 각 기둥(2)과 진동질량체(8)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비압축성 유체의 매트리스(83)에서 소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매트리스는 공급수단(91)과 조절가능한 직경의 배출수단(92)에 의해 지속적 순환상태로 유지된다.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 및 그의 완충계수는 진동질량체의 크기선택과, 유체 매트리스의 두께(h) 및 조절되는 오리피스(92)를 경유한 유체 매트리스의 유량 제어에 의해 결정된다.
채터 현상, 진동질량체, 유체 매트리스, 유압 액츄에이터, 압연스텐드

Description

압연스탠드 충격흡수방법 및 충격흡수장치{METHOD AND DEVICE FOR DAMPING A ROLL HOUSING}
본 발명은 압연스탠드에서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두께조절 및 기계적 특성들이 수개의 연속되는 스탠드들을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직렬 압연 트레인(tandem rolling trains)라고 불리는 것에 가해지는 변형경화(strain hardening)에 의해 얻어지는 밴드타입 평판제품의 압연에 적용된다.
냉간 직렬 압연기는 밴드의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두께의 점진적인 감소를 확보하는 연속된 스탠드들을 포함한다. 작업롤(work roll)들, 백업롤(back-up roll)들, 압연스탠드의 제어감속기어들과 같은 회전하는 상당한 질량체들의 작용하에서, 특히 높은 압연속도에서, 압연 트레인은 과도하게 진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정한 임계속도를 넘도록 결정되는 압연스탠드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고정된 주파수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공진현상과 비교될 수 있다. 이는 밴드와 작업실린더들에 흔적을 남길 뿐만 아니라 밴드의 파손과 두께의 변화를 야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명백한 개선책이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에 있기 때문에, 이 현상은 특히 생산을 교란한다.
비록 이와 같은 진동의 원인이 아직 완벽하게 설명되진 않지만, 발생되는 응력을 고려했을 때 전체 압연스탠드의 탄성변형을 야기하는 작업 실린더 사이의 틈에서의 두께 감소 과정과, 스탠드 사이에서의 밴드의 견인력 간의 상호작용에 기원이 있는, 몇몇의 원인이 그러한 현상을 야기하기 쉬운 것으로 보인다.
밴드는 두 개의 연속되는 스탠드 사이의 공간에서 신장되도록 완벽하게 구속되기 때문에, 스탠드 사이의 견인력 및 압연을 위한 응력들은 서로 상호작용하고, 밴드에서의 견인력은 스탠드 사이의 공간들 각각에서 조절되어야만 한다.
압연스탠드에는, 압연제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가능한 한 각각의 스탠드에서 일정한 압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 인해 밴드 파손에 이를 수 있는 견인력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연속되는 스탠드 사이의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들을 클램핑(clamping)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냉간 직렬 트레인을 조정할 때 밴드에 적용되는 질량보존법칙이 사용된다. 냉간 압연스탠드를 통과할 때 자체의 폭이 변화하지 않음에 따라, 이 법칙은 두께의 속도에 의한 곱(product)에 의해 주어지는 금속 이동속도(flow rate)를 유지시킨다. 그 목적은 직렬 트레인의 출구에서 일정한 두께를 얻 기 위한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스탠드들의 속도를 제어함에 의한 첫 번째 스탠드 및 마지막 스탠드의 속도 뿐만 아니라, 첫 번째 스탠드 출구에서의 밴드 두께가 첫 번째 스탠드에 구비되는 실린더 클램핑 수단을 사용하여 완벽히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압연스탠드의 상·하부 견인력 및 압연력은 틈 안에서 탄소성적으로(elasto-plastically) 이동하는 금속을 경유하여 상호작용한다. 견인력의 부하에 영향을 미치는 방해(disturbance)는 두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할 것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압연기의 스탠드로 구성되는 기계적 조립체는, 스탠드의 감속기어 등에 위치하는 기어들과 연관되는 회전수의, 작업실린더 회전수에 따른 실린더의 회전 및 실린더의 구동에 연관되는 주파수로 진동하도록 자극받게 될 것이다.
작업실린더들 사이에서의 금속의 특정한 이동상태에서, 그리고 특히 윤활상태 및 실린더의 거칠기(roughness)에 따라, 특정 속도 이상에서 발생하는 공진이 있을 수 있다. 만약 어떠한 매개변수도 바로잡히지 않는다면, 이때는 진동현상이 발산할 것이고, 밴드의 파손을 이끌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것들을 고려하면, 진동을 받은 구간의 밴드는 이 구간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심각한 흔적 및 두께의 변화를 보인다.
그러므로, 실린더의 고유주파수를 계산하고 장치에서 관찰되는 진동수와 비교하기 위하여 이상의 현상에 관계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공진기들의 특징을 밝히려고 시도했다. 따라서, 압연스탠드들을 다소 정교하게 모델화(modellings)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압연변형 하에서의 스탠드 켐버(camber)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 어 롤 실린더들 및 초크(chock)들과 같은 이동하기 쉬운 질량체들을 고려함으로써, 전체 스프링 효과(global spring effect)로 고려되고, 조립체는 진동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는 단순한 스프링-질량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1-자유도 시스템으로 불린다. 또한, 예를 들어 압연스탠드의 창(windows)을 따르는 초크의 마찰과 같은 마찰을 고려함으로써, 시스템의 어떤 완충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압연스탠드에 가능한 진동모드의 더욱 정확한 표현으로 마무리했고, 마찰을 받기 쉬운 서로 다른 부분들 뿐만아니라 압연기를 형성하는 질량과 강성을 갖는 세트를 파괴한 더욱더 정교한 모델이 제안되었다.
몇몇의 자유도를 포함하는 이와 같은 시스템은 몇몇의 공진주파수에 대응하는 몇몇의 진동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모델들은, 직렬 압연기의 속도증가 도중에 기록을 수행하는 동안, 압연스탠드에서, 특히 가장 진동하기 쉬운 마지막 스탠드에서, 만들어지는 측정값과 비교되었다. 두 주파수 대역(band)에 걸치는 진동모드는, 압연기의 스탠드에 강한 방해를 야기하고 진폭이 커지기 때문에, 특히 방해가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악적 기준과 비교했을 때, 통상적으로 120Hz 내지 250Hz 사이의 범위에 걸치는 주파수에 대한 제3옥타브 주파수 및 500Hz 내지 700Hz 사이의 범위에 걸치는 주파수에 대한 제5옥타브 주파수라 말한다.
더군다나, 예를 들어 제3옥타브의 진동은 두께 결함과 밴드 파손을 야기하며, 그에 반하여 제5옥타브의 진동은 백업 실런더에 흔적을 남긴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영향은 동일하지 않다. 부가적으로, 정확한 압연상태에 의하면, 진동현상 의 시작은 항상 동일한 주파수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서 발생할 것이다.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이, 예를 들어 틈에 밴드가 진입하는 조건을 변경함에 의해(WO9627454), 진동하는 부분들에 추가적인 완충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다른 장치들은 특히 밴드에 발생하는 견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변화가능한 작용력을 갖는 추가적인 안내롤(deflector roll)의 사용을 개시한다.(JP 8-238510, JP 8-238511, JP 8-238512)
이와 같은 장치의 효율은 인정되지만, 밴드에 흔적을 남기는 위험을 부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완벽한 상태에서 열려야 하는 추가적인 안내롤 삽입의 단점을 보이고, 나아가 밴드가 압연스탠드에 투입되는 매순간에 부가적인 수행제한을 의미하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제어시스템을 요구한다.
다른 알려진 장치들은 압연스탠드 자체에 추가적인 완충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로 인해 최초진동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실린더의 회전속도를 변경하도록 더욱 특별하게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JP 8-066724호의 문서는 작업실린더들의 초크 사이에 단순한 완충기의 설치를 개시하지만, 이때 모든 세트의 작업실린더가 장치와 함께 장착되어야 한다거나, 상당한 시간 및 생산성의 손실을 발생시키는 실린더의 개별적 변경을 위해 장치를 분해하고 재조립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치유하기 위하여, 압연기의 스텐드의 상측 부분 상에, 압 연기의 방해주파수 위에 시스템 공진을 얻도록 하기 위한 기준으로 작용하지만 그의 움직임은 진동하기 시작하는 압연기의 부분들과 반대 위상(位相)에 있게 될, 진동질량체(vibration mass)이라고도 불리는, 관성질량체(mass of inertia)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충격흡수용 완충수단을 부착하도록 제안되었다. 따라서, JP 8-247211호의 특허에서, 진동질량체가 압연기 스탠드의 각 기둥의 정점에 설치되고 스프링판(spring leaf)에 의해 기둥에 연결되며, 공진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그 설치위치는 이동가능하다. 이와 같은 장치는 다소 수행하기가 용이한 반면, 지속적인 조정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 또한 채터링(chattering: 덜컹거림)이라고 불리는, 진동현상 발생의 주파수는 완벽히 일정한 주파수가 아니다. 예를 들어, 백업 실린더의 질량이 진동시스템 구성요소의 하나라고 가정했을 때, 백업실린더는 일반적으로 1200mm 내지 1800mm 사이에서 변동하는 직경을 갖고, 수백 밀리미터(mm)의 직경 범위 내에서 동일한 설비를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1600mm의 호칭직경에 대하여, 실제 백업실린더의 직경은 1550mm 내지 1750mm 사이의 범위에서 변동할 수 있으며, 이는 13%의 직경 변화 및 그에 따른 26%의 중량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틈의 윤활상태와 같은 다른 변수들이 또한 진동현상의 발생 주파수를 수정할 수 있을 것이고, 그들은 빠르게 변화할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자체적으로 매우 첨예한 공진피크(resonance peak)를 보일수록 더욱더 압연기의 주파수로 조정될 필요가 있다.
JP 09-267110호의 특허는 상측실린더의 백업초크와 실린더의 클램핑 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빔을 포함하는 또 다른 완충장치를 설명한다. 중앙부분은 진동질량 체를 지탱하고, 완충기를 형성하는 또한 실린더를 포함하는 스프링장착 장치에 의해 양 단부가 연결된다.
변화된 형태에서, 진동질량체는 점성유체로 채워진 밀폐된 챔버 내에서 이동가능한 일종의 피스톤과 일체화되고, 따라서 피동의 완충기를 형성한다.
알려진 이와 같은 모든 장치들은, 다른 스프링장착(spring loaded) 부품들에 의해 연결되는 몇몇의 질량체들이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소 복잡하고 몇몇의 자유도(several degrees of freedom)를 보인다. 따라서, 그들의 주파수 응답은 몇몇의 공진 및 반공진 극(pole)을 보이고, 이러한 극에서 입수되는 피크의 진폭은 상당하며, 장치에 탁월한 효율을 제공하지만, 각 피크의 주파수대역의 폭이 좁아서, 소멸시키려하는 현상의 주파수에 대한 매우 정확하고 지속적인 조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바로잡기 원하는 불요현상(不要現象: spurious phenomenon)의 가능한 주파수 변화에 대하여 비교적 큰 고유대역기둥(eigen band-post)을 보이는, 더욱 직접적이고 수행되기 쉬운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두 기둥 사이에 한 세트의 실린더가 본질적으로 수직 평면에 쌓여 올려짐과 더불어, 상기 기둥들을 따라 제공되는 안내면들 사이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지도록 장착되는 베어링을 형성하는, 초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두 기둥을 포함하는 타입의 압연스탠드에서의 진동 클램핑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에서 진동에너지는 각각 조절가능한 연결수단에 의해 스탠드의 각 기둥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진동질량체에 의해 흡수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각 진동질량체는, 각각 적어도 진동질량체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제1구성요소 및 기둥의 상측 부분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제2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서로의 속으로 미끄러지는 두 개의 구성요소에 의해 한정되는, 유압 액츄에이터의 챔버 내에 수용되는 비압축성 유체 매트리스에 의해 대응하는 기둥의 상측 부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연결 매트리스의 두께가 압연 도중에 항상 본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각 기둥의 상부에 위치하는 진동질량체로 인해 진동에 대한 압연스탠드의 채터(chatter) 민감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압연스탠드의 진동에너지가 각 기둥의 정점 및 결합되는 진동질량체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수단(link)을 구성하는 비압축성 유체 매트리스에 의해 흡수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용 매트리스를 형성하는 비압축성 유체는 액츄에이터의 챔버에 연결되는, 유량조절가능한 유체배출수단과 상기 챔버로의 회수수단 사이의, 외부회로에서 지속적인 유동으로 유지된다.
특히 유익하게는, 액츄에이터의 챔버의 회수회로 및 외부회로를 향한 유체의 배출 유량은 본질적으로 일정한 최적값으로 유체 매트리스의 두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조절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유익한 특징에 따르면, 연결용 유체 매트리스의 두께는 위치센서에 의해 지속적으로 측정되고, 이는 매트리스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정 루프(regulation loop)와 함께 유체공급수단에 작용한다. 매트리스 두께 값의 조절은 완충시스템의 강성을 최적값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완충장치의 완충계수 값을 최적값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배출수단의 조절에 의해 수정되는 매트리스에 공급되는 순환유체의 순환유량을 변화시킨다.
그러나, 완충장치의 완충계수 값을 최적값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각 기둥의 상부에 위치하는 진동질량 값을 변화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유체 매트리스의 두께 값, 매트리스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 및 진동질량의 조절의 결합이 완충장치의 완충계수 및 강성의 최적값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되어, 완충장치의 대역 부분이 압연스탠드의 진동 주파수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 적어도 진동질량체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제1구성요소와 기둥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빡빡하게 서로의 속으로 미끄러지는 두 개의 구성요소로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액츄에이터의 챔버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압축성 유체 매트리스로 형성되는, 조절가능한 연결수단에 의해 기둥의 상측 부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질량체와 각각 결합하게 되는 두 개의 상기 기둥을 포함하는 압연스탠드의 진동흡수장치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유체 매트리스의 두께를 항상 본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과 결합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터 챔버 속으로의 유체회수회로와 배출유량 조절수단과 함께 구비되어 액츄에이터의 챔버에 수용되는 유체배출회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챔버에 수용되는 유체의 영속적 유동유닛 용도의 외부회로에 연결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각 액츄에이터의 챔버는 배출유량 조절수단과 함께 구비되는 배출회로에 의해 저장실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오리피스(orifice) 및 유량 조절가능형 펌프와 함께 구비되는 회수회로에 의해 저장실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 유량은 두께를 본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 챔버 내의 유체 매트리스 두께의 센서에 의한 측정값으로부터 조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체 매트리스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체는 점도가 50 센티스톡스(centistokes) 이상인 오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유익한 특징들은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도시되는 특정의 실시예에 관한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도식적으로 나타나도록 압연스탠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의 모델 및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순화된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조절특성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련의 특성들을 면(surface)으로 도시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스탠드(1)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횡단빔(3)(3')에 의해 연결되며, 둘 사이에 제품 이동의 변위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본질적으로 동일한 클램핑 평면에 위치하는 한 세트의 실린더가 평행한 축과 함께 쌓이게 되는 두 개의 기둥(2)(2')을 포함한다.
이는 다양한 타입의 압연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압연기에서, 압연되는 제품은 압연평면을 결정하는 두 작업실린더(4)(4') 사이로 통과하고, 이러한 실린더들은 이들이 받게 되는 하중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들은 일반적으로 둘 사이에 압연하중이 작용하게 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백업실린더(5)(5')에 각각 의존한다.
그러므로, 4절판(quarto)-타입이라 불리는 압연기는, 개별적으로 큰 직경의 두 백업실린더와 각각 연관되는 두 작업실린더로 이루어지는, 4개의 쌓여 올려진 실린더를 포함한다.
6절판(sexto)-타입의 압연기에서, 중간 실린더가 각 작업실린더와 대응하는 백업실린더 사이에 놓인다.
많은 또는 소수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압연기들이 이 산업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된다.
실린더는 보통 직선형인 측면형상(profile)의 모선(generatrix)을 따르는 방향으로 향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베어링라인을 따라 서로 의지하고, 실린더들의 마찰 및 작용하는 하중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클램핑 하중은, 하측 백업실린더(5)가 자체의 단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스탠드에 의지하는 가운데, 상측 백업실린더(5') 축의 단부와 스탠드 사이에 놓이는 스크류(screws) 또는 잭(jack)(6a)(6b)에 의해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측 백업실린더로부터 떨어져 있는, 나머지 실린더들은 스탠드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해야할 것이고, 이러한 관점에서, 스탠드의 두 기둥에 제공되는 두 개의 창(window) 내에 수직으로 미끄러지게 장착되는 지지부재(51)(51')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스탠드에 의존하는 스크류 또는 잭(6a)(6b)과 같은 클램핑 수단은 작업실린더 사이로 통과하는 제품(B)을 압연하기 위하여 실린더들을 더 가깝게 하기 위한 방향의 수직하중을 작용시킨다.
일반적으로, 각 실린더는 두 지지부재에 의해 지탱하게 되는 초크(41)(41')라 불리는 베어링에 자체의 축 둘레를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초크는 작업실린더의 축을 가로지르는 클램핑 평면(P)에 평행하게 미끄러지도록 장착되 며, 각 초크는 각각 상기 클램핑 평면의 양측에 그리고 스탠드의 대응하는 창의 양측에 제공되는 두 평면형 안내면 사이에 위치한다. 백업실린더가 큰 직경을 가짐에 따라, 대응하는 안내면(52)(52')은 일반적으로 스탠드의 대응하는 지주의 양 기둥에 직접적으로 제공된다. 역으로, 작업실린더는 작은 직경을 가짐에 따라, 작업실린더의 초크는 작고, 더욱 좁은 대응하는 안내면(42)(42')이 일반적으로 창을 둘러싸는 양 기둥에 고정되고 창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두 개의 단단한(massive) 부재(7)에 제공된다. 이러한 단단한 부품 또는 블럭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일반적으로 잭(jack) 형태인, 작업실린더 굽힘제어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압연스탠드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이러한 모든 장치를 더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채터 현상이라고 불리는 것은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이상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모델화될 수 있는 상기 진동을 완충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단들이 제안되어 왔다.
전통적으로, 스탠드의 양 기둥의 상측 부분에 제공되는 클램핑 잭을 포함하는 압연스탠드에 대한, 진동특성 및 스탠드의 다른 부분들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 이동에 관한 분석은, 도 3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식화될 수 있는, 강성 및 관성질량으로 구성되는 모델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 ma는 양 기둥(2)(2')의 상측 부분의 질량.
- mb는 양 상측 백업초크(51a')(51b')의 질량.
- mc는 상측 작업실린더(4') 및 그의 초크(41a')(41b') 그리고 상측 백업실린더(5')를 포함하는 상부 장치의 질량, md는 각기 대응하는 하부 장치의 질량.
- me는 양 기둥(2)(2')의 하측 부분 및 하측 백업초크(51a)(51b)의 질량.
- ka는 양 기둥(2)(2')의 상측 부분의 강성.
- kb는 평균적인 오일 만(滿)탱크 상태를 고려한 클램핑 잭(6a)(6b)의 유압강성.
- kc는 상측 베어링 초크(51a')(51b')와 상측 백업실린더(5') 사이의 연결수단의 강성.
- kd는 금속시트에 의해 유발되는 강성 및 실린더의 평평하게 함에 의해 유발되는 강성.
- ke는 하측 베어링 초크(51a)(51b)와 하측 백업실린더(5) 사이의 연결수단의 강성.
- kf는 양 기둥(2)(2')의 하측 부분의 강성.
따라서, 압연스탠드는 채터 현상에 관한 다양한 구성부품의 영향을 연구하기 원할 때 다소 정확하게 모델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 3b에 도시된 타입의 모델화를 단지 유지함에 의해 계산을 또한 단순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모델화는 일반적으로, 채터 문제를 극복하려고 시도하기 위하여, 압연스탠드에 부가되는 외장 완충기(C)의 효과를 연구하는데 충분한 것으로 말하고 있다. 이때, M, K 및 C 값은, 직렬의 평행한 공진기 조립체에 대한 진동역학의 잘 알려진 법칙에 따라, 모든 관성질량과 강성의 조합으로 정해지게 된다.
도 3c는, 질량 M 및 강성 K 의 압연스탠드에 스프링 장착 시스템(k) 및 점성 완충기(c)에 의해 연결되는 진동질량체라고도 불리는 관성질량체(m)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타입의 완충장치의 모델화를 보여준다.
도 3d는 가로좌표에 Hz로 표시되는 진동하중(excitating force)의 주파수(υ) 및 세로좌표에 아래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Y/F 전달함수로 표시되는 종래 시스템의 주파수응답을 도시한 도표이다. 점선으로 나타낸 곡선은 스탠드만의 응답을 보여주고, 실선으로 나타낸 곡선은 도 3c에 도식화된 완충 시스템의 응답을 보여준다.
몇몇의 자유도를 갖는 이와 같은 시스템의 응답은 적어도 두 개의 극(pole)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감소는 강할 수도 있겠지만 각 극의 통과주파수대역이 좁기 때문에 감소되어야 할 현상의 주파수로 완충 시스템을 조정할 것을 요구한다. 강성이 더 큰 장치는 더 많은 극이 있을 것이고, 압연스탠드에서의 채터 현상 발생 주파수와 함께 장치의 적당한 공진을 조정할 더 많은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하여, 장치의 작동이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식화되었고, 연결수단이 진동질량체(8)와 기둥(2)의 상측 부분(21) 사이에 제공된다. 이 연결수단은 어떠한 단단한 연결수단을 포함하지 않거나, 적어도 자체의 강성이 무한히 크지 않고, 비압축성 점성 유체 매트리스(83)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압연스탠드(1)는 이상에서 설명한 전통적인 타입의 것이다. 기둥(2)(2')이 압연스탠드를 형성하고, 여기에 다수의 실린더가 본질적으로 수직인 본질적으로 동일한 평면(P)에 배열된다. 한 쌍의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실린더가 제품(B)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작업실린더를 구성한다. 작업실린더는 초크라고도 불리며 기둥에 제공되는 슬롯 내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베어링(41)(4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에서, 이러한 초크들은 기둥(2)(2')의 창에 설치되고 작업실린더를 캠버링(cambering: 위로 휘도록)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유압 블럭(7) 내에서 안내된다.
작업실린더는 기둥(2)(2')에 제공되는 창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한 베어링 또는 초크(51a)(51b)(51'a)(51b)에 또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백업실린더(5)(5')에 대항하여 지탱한다. 제품(B)의 두께 감소를 위해 필요한 힘은 예를 들어 기둥(2)(2')의 상측 부분에 설치되는 예를 들어 유압 클램핑 잭(6a)(6b)에 의해 제공된다. 클램핑 잭은 베어링(51'a)(51'b)을 통해 자체의 하중을 상측 백업 실린더(5')의 단부에 가한다. 반면에, 하측 백업실린더는 직접적으로 기둥(2)(2') 내에 배치되는 슬롯의 바닥에 의지하는 베어링(51a)(51b)에 의해 스탠드의 바닥에 수직방향으로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질량체(82a)(82b)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물(8a)(8b)이 기둥(2)(2')의 각 정점(21)(21')에 설치된다.
구조물(8a)(8b)은 유압 잭의 실린더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공형상 부재(81a)(81b)을 갖는 것이 유익할 것이고, 진동질량체는 이 유압 잭의 피스톤을 형성하는 돌출단부를 포함한다. 이 잭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압연스탠드의 기둥의 정점과 압연스탠드의 충격흡수를 위한 용도로 의도된 진동질량체 사이의 유연한 연결수단을 확보하는 매트리스(83)를 형성하는 비압축성 유체로 채워진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오일-타입 완충기는 예를 들어 자동차 분야에서와 같은 잘 알려진 실시예를 갖는다. 완충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오일은 잭 챔버 내에서 압축되고, 일반적으로 말하면 오일의 점성 때문에 유체의 유출속도가 제한되는 조정 오리피스(calibrated orifice) 밖으로 흐를 것이다. 이 조정 오리피스는 스로틀링(throttling) 또는 유동조정밸브로 불리기도 한다.
이때, 복원장치가 챔버내의 유체를 펌핑함으로써 사이클의 시작단계에 위치했던 초기상태로 완충기를 복원시키고, 따라서 완충용량을 다시 찾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더군다나, 일정 작동시간 후 또는 다수의 작동사이클 후에, 완충기는 더 이상 자체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에 있지 않게 된다. 실제로, 보존오일의 노화 또는 장치의 누출로 인한 보존오일의 손실을 포함하는 감소가 완충기를 비효율적으로 만든다. 복원장치는 일반적으로 말하면 완충기 자체와 평행한 강성을 삽입하고, 따라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몇몇의 자유도 및 결과적으로 주파수 응답에 몇몇의 극(pole)을 삽입하여 정확한 조정을 요구하는 단점을 보이는 스프링이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오일 매트리스(83)가 펌프(91)에 의한 순환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저장실(90)이 진동질량체(82) 상에 설치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오일은 펌프(91)의 작용하에서 순환한다. 오일은 구조물(81)에 의해 형성되는 잭의 몸체에 뚤리거나, 실제적인 실현의 산물에 따르면, 잭(82)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을 관통하도록 뚤린 오리피스를 관통하는 적당한 파이프를 사용하여 잭 챔버속으로 삽입된다. 배출덕트가 유사하게 실현되고 오일은 스로틀링을 구성하는 조절가능한 게이지(92)를 갖는 오리피스 통해 유동함으로써 저장실로 복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치는 지속적으로 작동위치에 유지되고, 그 특징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으며, 여기서 오일은 지속적으로 교체되고, 저장실은 높이 h의 유체 매트리스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유체의 양에 대하여 충분한 용량이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특성에 따르면, 유체 매트리스(83)의 두께 h는 그 수위가 본질적으로 일정한 수위(level)로 유지되도록 펌프를 제어하기 위하여 적당한 센서에 의해 측정되거나, 그 수위가 검출된다. 흡수되는 진동에너지는 전체회로에서 유체의 순환을 위해 사용되는 지속적인 출력의 부분 뿐만 아니라 스로틀링 내의 유체에 의해 소산된다. 따라서, 유체의 과도한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일순환시스템에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장치는 유체회로에 직렬로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들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이고, 그러므로 더 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그리고 고려된 압연스탠드의 충격흡수 요건에 따르면, 구조물(8)에 다소 큰 값의 진동질량체(82)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요건에 따르면, 그 높이(h)는 유체 매트리스(83)에 대하여 다소 중요할 것이다.
최적의 충격흡수를 얻기 위하여, 흡수되는 에너지를 변화하도록 할 수 있는 스로틀링을 조정하거나, 적합한 점도의 유체를, 예를 들어 유동 특성이 요건에 적합하도록 선택될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유익할 것이다. 이러한 모든 변수는 완충장치의 성능을 결정하거나 조절할 수단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장치의 모델화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난다.
도 4는 1-자유도를 갖는 도식을 도시한다. 이는 시스템의 전체반응 결정하고, 펌프 뿐만 아니라 제공될 유량과 설치될 진동질량체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이상에서 이미 설명한 압연스탠드의 모델화를 정리한 더욱 정확한 모델화를 도시한다.
질량체(m)로 구성되고 점성 완충기(c)에 의해 스탠드에 연결되는 완충장치가 부가되고, 이들과 더불어 기둥의 질량(mf) 및 연결수단의 강성(kg)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진동질량체는 유체 매트리스에 의해 압연스탠드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유체의 압축정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에 의해 주어진다.
ΔV/V=χTΔP
이 관계식은, 상대적인 부피변화가 등온압축성(χT)에 의해 압력변화와 연관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지금 설명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극소수의 bar 수준의 낮은 유체 압력을 사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능한 압력변화는 낮을 것이고, 이때 유체는 연결수단의 강성(kg)이 무한한 것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하 는 비압축성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유체는 점성유체이어야 하고, 이는 실제로 의도하지 않은 진동의 에너지를 소산시키게 될 스로틀링을 통해 유동한다.
따라서, 적당한 유체의 선택, 그 중에서도 오일 및 오일의 점도 선택으로 완충장치의 완충계수(ε)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동점도(kinematic viscosity)가 이론적 계산 및 모델에 개입한다. 통상적으로 국제단위(㎡/s)로 표현되지만, 전통적으로 국제단위의 크기보다 작은 단위인 센티스톡스(106 centistokes = 1㎡/s)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적어도 50 센티스톡스의 점도를 갖는 오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오일의 선택은, 또한 점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수단이 되는 온도에 점도가 의존하기 때문에 더욱더, 완충방법의 변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백 센티스톡스까지 이 점도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스탠드의 완충 방법은 전통적인 시스템의 그것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보이며, 도 6, 도 7 및 도 8의 그래프로 도시된다. 조립체의 완충계수 뿐만 아니라 완충장치가 부가된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 및 완충되는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을 계산함에 의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자유도 시스템의 특성방정식을 찾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하여, 절대위치에 대하여 의도한 바와 무관하게 진동하기 시작할 수 있는 장치의 자유단의 세로좌표는 예를 들어 현상 도중에 어떠한 이동도 없이 남아 있을 상기 장치의 한 지점에 대하여 y1 으로 표시된 다. 본 발명의 틀에서, y1 은 기초에 연결되는 하측 부분의 한 지점에 대한 압연스탠드(1) 기둥의 꼭대기(21)의 한 지점을 참조한다. 마찬가지로, y2 는 완충장치(9)의 진동질량체(82a)(82b)의 한 지점의 세로좌표를 참조한다. f 가 충격이 흡수되어야 할, 예를 들어 압연스탠드와 같은 시스템의 질량체에 가해지는 어떤 진동하중이라 하자. 방정식은 전통적으로, 한편으로 압연스탠드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론 압연스탠드 및 완충장치(9)로 형성되는 조립체를 고려함으로써, 그리고 고립된 시스템의 평형을 기입하여 작성된다. 두 경우에서, 전달함수는 T = Y/F 이고, Y 및 F는 각각 시스템의 한 지점의 변위 y1 과 충격력 f 의 라플라스 트렌스폼이다.
주파수 응답은 도 6에 나타난다. 이 도면에서, 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의 주파수 응답의 형상과 자체의 형상을 비교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의 특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완충될 장치의 동일한 공진 진폭에 대하여, 완충장치의 주파수 응답은 알려진 장치의 그것보다 작은 진폭을 보이지만, 이상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어떠한 추가적인 강성도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유익하게 하나의 극을 갖는다.
본 발명의 장치의 통과주파수대역이 알려진 장치의 그것과 비교하여 넓어진다는 것이 드러나며, 이는 방해 현상의 주파수 때문에 장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상기 통과주파수대역은 실제로 채터 현상이 발생함에 따른 주파수 스펙트럼보다 넓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서로 다른 구성부품들은 클램핑되는 장치를 형성하는 질량 및 강성에 비해 충분한 효율을 제공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도록 해야 한다. 이론적 연구는, 진동질량(m)이 상당하기 때문에 더욱더, 커버되는 스펙트럼의 폭 뿐만 아니라 완충의 충격흡수진폭이 모두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로, 전체 장치(9) 뿐만 아니라 그들의 지지구조물(81a)(81b)에 충격흡수 질량체(2a)(82b)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명백히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장점은 이러한 장치의 용이함이다.
실제로, 이러한 장치는 기둥(2a)(2b)의 정점(21a)(21b)에, 일반적으로 말하면 압연스탠드 상의 이용가능한 공간인 한 위치에 부착되어, 스탠드의 꼭대기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영역은 압연기의 운전을 위한 사용에 의해 절대로 영향을 받지 않고 다른 운전단계가 진행되는 중에 어떤 분해나 재조립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는 영구적으로 설치될 것이다. 그러나, 설치공간은 기둥(2a)(2b)의 정점에서 이용가능한 영역에 제한되고, 이는 모든 변수들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필요할 것이다. 지지구조물(81a)(81b)에 설치되는 진동질량체의 적절한 할당은 원하지 않는 채터 현상이 발생하는 영역의 주파수대역에 클램핑 장치의 작용 스펙트럼이 집중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Y/F로 표현되는, 전달함수에 대한 연구는 이와 같은 최적화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달함수로부터, 전체시스템의 완충인, 완충비(ξ)를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완충비는 무차원 양이고, 완충비 값은 0 내지 1사이에서 변동한다. 0에 가까운 값은 진동시스템을 나타내고, 1에 가까운 값은 어떠한 진 동도 없는 충격력에 대한 응답을 보이게 될 완전하게 완충된 시스템을 나타낸다. 완충비(ξ)는 완충되는 장치의 특성함수이고, 또한 완충장치 자체의 특성함수이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시스템의 성능값을 제공하는 이 완충비는 스로틀링(92)과, 사용되는 오일의 점도 및 오일 매트리스의 높이(h)에 의해 정해지는, 완충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완충인, 완충계수(ε)의 진동질량체(82a)(82b) 질량값에 의존한다.
ξ = f(m, ε, h)
이러한 완충비의 변화는 도 7에 나타난다. 이러한 곡선들의 형상은 본 발명의 방법의 특성이다. 이는 실제로, 완충되는 장치와 진동질량체의 직접적인 연결부재로서 그 수위가 조절되도록 순환하는 오일 매트리스의 사용 덕택으로, 부가적인 강성이 삽입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따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일 매트리스의 최적 높이는 가능한 한 더욱 스탠드의 진동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시스템의 강성에 대응하여 정해질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만약 낮은 압력의 오일이 사용된다면 더욱더, 이러한 강성은 매우 클 것이지만, 오일 매트리스의 높이 조절이 일정 조절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7의 곡선들은 서로 다른 진동질량 값에 관하여 도시되었고,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진동질량체의 완충계수(ε)에 대한 전체 압연스탠드의 완충비(ξ)를 나타낸다. 이는 가능한 한 더 시스템이 완충되도록 하는 완충계수(ε)의 최적 값이 있음을 보여준다. 순환상태인 유체 매트리스의 최적 두께값(h) 뿐만아니라, 설치되는 진동질량체의 질량값과 선택되는 점성유체의 특성에 따라, 이때 스로 틀링(92)이 완충비(ξ)를 위해 요청되는 값을 갖도록 조절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펌프(91)에 의해 제공되어야 할 유량을 알맞은 상태로 조절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특성표현이 도 8에 3차원으로 제공된다. 면(surface)은, 결정된 진동질량에 대하여, 진동하중(f)의 주파수(υ) 및 완충계수(ε)에 대한 전달함수(T = Y/F)를 나타낸다. 이 표현은 채터의 주파수 영역에 집중되는 주파수 대역을 위한 최적의 조절을 두드러지게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체 장치는 자체의 수행 도중에 모든 것에 관하여 한번 조절될 것이다. 이는 압연설비의 운전 도중에 어떠한 세팅이나 조절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의 한 장점이다. 이는 작업실린더 또는 백업실린더를 변경한 후에 조정될 필요가 없다.
실제로, 이론적 연구들 및 적용자의 실험은 각 기둥의 꼭대기에 5톤의 진동질량체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유압 잭 타입의 장치상에 이와 같이 설치하는 것은 2bar 정도의 압력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펌프의 출력은 1kw 정도의 것이다.
따라서, 4% 정도의 전체 완충비(ξ) 값을 갖는 압연스탠드를 대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전체 완충비가 6% 정도에 이르도록 1.5% 내지 2 %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압연스탠드의 완충비 값을 50% 정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실제로, 만약 우리가 채터 현상이 발생하는 전형적인 속도가 1400 m/mim 인 직렬 압연기를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장치는 240 m/mim 에 이를 수 있는 값 만큼 이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설비의 생산성에서의 17%까지의 직접적인 증가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설명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일과 함께하는 매트리스(83)에 공급하는 유체의 유동은 다른 방법으로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고, 스로틀링(92)은 잭(82)(83)을 형성하는 부분들 중 하나의 오리피스 또는 파이프구조에 배치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매트리스의 높이(H) 조절은, 유량조절가능한 펌프의 위치 센서를 사용하거나 수위감지기를 사용하는 다른 방법으로, 그리고 본 발명의 분야에 잔존하는 결합장치 또는 분리장치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빡빡한 캐비닛에 오일 매트리스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실현은 또한 본 발명의 틀에서 벗어남 없이 모든 가능한 변화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청구범위에 언급된 기술적 특징 뒤에 삽입된 참조부호는 단지 그의 이해를 용이하게 할 의도로 사용되었으며, 어떤 방법으로든 그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15)

  1. 두 기둥 사이에, 한 세트의 실린더(4)(5)가 본질적으로 수직 평면(P)에 쌓여 올려짐과 더불어, 상기 기둥들을 따라 제공되는 안내면들(52) 사이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지도록 장착되는 베어링을 형성하는, 초크(41)(5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두 기둥(2a)(2b)을 포함하는 타입의 압연스탠드(1)에서의 능동적 진동흡수방법에 있어서,
    진동에너지가, 연결을 위한 조절가능한 수단에 의해 각각 스탠드의 각 기둥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진동질량체에 의해 흡수되며,
    진동질량체는, 각각 적어도 진동질량체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제1구성요소 및 기둥의 상측 부분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제2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서로의 속으로 미끄러지는 두 구성요소에 의해 한정되는, 유압 액츄에이터의 챔버에 수용되는 비압축성 유체 매트리스에 의해 대응하는 기둥의 상측 부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연결 매트리스의 두께가 압연 도중에 항상 본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 매트리스를 형성하는 비압축성 유체는 액츄에이터의 챔버에 연결되는, 유량조절가능한 유체배출수단과 상기 챔버 속으로의 회수수단 사이의, 외부회로에 서 정상유동상태(steady flow)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의 챔버의 회수회로 및 외부회로를 향한 유체의 배출유량은 유체 매트리스의 두께를 본질적으로 일정한 최적값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진동질량체(82a)(82b)에 장착되는 위치센서는 연결 유체 매트리스(83)의 두께(h)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유체 매트리스(83)의 두께(h)는 위치센서의 표시, 유체공급수단(91) 및 조정 피드백 루프를 사용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방법.
  6. 이상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매트리스(83)의 두께(h)는 완충시스템의 강성 값을 최적 값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방법.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가능한 직경의 배출수단(92)을 사용한 유체 매트리스(83)의 유량조절은최적값을 갖는 완충장치(9)의 완충계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방법.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기둥(2a)(2b)의 위에 위치하는 진동질량체(82a)(82b)의 질량값은 최적값을 갖는 완충장치(9)의 완충계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방법.
  9. 이상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매트리스(83)의 두께(h)값, 상기 매트리스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 및 각 기둥의 위에 위치하는 진동질량체(82a)(82b)의 질량값 조절의 결합을 선택하여, 상기 결합이 완충장치(9)의 완충계수 및 강성의 최적값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완충장치의 주파수통과대역이 압연스탠드(1)의 진동의 채터 주파수 상에 집중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방법.
  10. 본질적으로 수직 평면(P)에 쌓여 올려짐과 더불어, 스탠드의 두 기둥을 따라 제공되는 안내면들 사이에서 미끄러지도록 장착되어 베어링을 형성하는 두 개의 초크 각각에 자체의 단부들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평행 축을 갖는 한 세트의 실린더(4)(5)를 포함하고, 각 기둥은 연결을 위한 조절가능한 수단에 의해 상기 기둥의 상측 부분에 연결되는 진동질량체와 결합되는 압연스탠드(1)의 진동흡수장치에 있어서,
    각 진동질량체를 대응하는 기둥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각각 적어도 진동질량체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제1구성요소 및 상기 기둥의 상측 부분에 부착되는 제2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서로의 속으로 빡빡하게 미끄러지도록 장착되는 두 구성요소에 의해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액츄에이터의 챔버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압축성 유체 매트리스로 형성되고,
    그리고, 각각의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유체 매트리스의 두께를 항상 본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각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터의 챔버에 수용되는 배출유량조절수단과 함께 구비되는 유체의 배출회로 및 액츄에이터의 챔버로의 유체 회수회로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챔버에 수용되는 유체의 정상유동을 위한 외부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유체 배출회로는, 상기 유체배출회로에서 유체의 유속을 조절하기 위한 스로틀링(92)을 형성하는, 조절가능한 게이지의 오리피스와 함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스탠드의 대응하는 기둥의 상측 부분에 장착되는 각 유압 액츄에이터의 챔버는 배출유량조절수단과 함께 구비되는 배출회로에 의해 저장실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출구 및 유량 조절가능형 펌프와 함께 구비되는 회수회로에 의해 저장실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유체회수펌프의 유량은 액츄에이터 챔버 내의 유체 매트리스의 센서에 의한 두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두께를 본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 진동흡수장치.
  15. 사용되는 유체가 50 센티스톡스 이상의 점도를 갖는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0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연스탠드(1)의 완충장치.
KR1020067025816A 2004-05-07 2005-05-09 압연스탠드 충격흡수방법 및 충격흡수장치 KR20070042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5009 2004-05-07
FR0405009A FR2869819B1 (fr) 2004-05-07 2004-05-07 Procede et dispositif d'amortissement d'une cage de lamino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507A true KR20070042507A (ko) 2007-04-23

Family

ID=3494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816A KR20070042507A (ko) 2004-05-07 2005-05-09 압연스탠드 충격흡수방법 및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250836A1 (ko)
EP (1) EP1747073B1 (ko)
JP (1) JP2007536486A (ko)
KR (1) KR20070042507A (ko)
CN (1) CN1976767A (ko)
BR (1) BRPI0510748A (ko)
DE (1) DE602005007598D1 (ko)
ES (1) ES2308528T3 (ko)
FR (1) FR2869819B1 (ko)
WO (1) WO20051207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9902A1 (de) * 2008-02-19 2009-08-27 Sms Demag Ag Walzvorrichtung, insbesondere Schubwalzengerüst
AT506398B1 (de) 2008-06-18 2009-09-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drückung von schwingungen in einer walzanlage
DE102009039184A1 (de) * 2009-08-28 2011-03-17 Man Diesel & Turbo Se Turbomaschine
ITMI20132170A1 (it) 2013-12-20 2015-06-21 Danieli Off Mecc Sistema di smorzamento attivo di vibrazioni di un laminatoio
CN105436205B (zh) * 2014-09-30 2018-06-0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轧机振动报警及抑制方法
CN107000002B (zh) * 2014-10-09 2019-08-27 普锐特冶金技术日本有限公司 轧机
CN106269892B (zh) * 2015-06-23 2018-03-0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填充颗粒阻尼的厚板轧机及其填充方法
CN105903769B (zh) * 2016-04-14 2018-01-19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液压缸控制的板带轧机辊系抑振系统及方法
CN105855296B (zh) * 2016-05-18 2018-04-03 燕山大学 一种液压缸非线性刚度约束下的轧机辊系稳定性控制方法
CN106904497B (zh) * 2017-04-05 2019-08-02 北京中丽制机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摩擦辊固有频率调节方法及装置
CN107185966B (zh) * 2017-07-18 2020-01-07 燕山大学 一种带有吸振器装置的轧机辊系振动抑制方法
CN107597850B (zh) * 2017-08-31 2019-07-23 武汉钢铁有限公司 确定冷轧机振源的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设备
CN107649516A (zh) * 2017-10-27 2018-02-02 陕西钛普稀有金属材料有限公司 加工钛合金板的轧机
JP6359753B1 (ja) * 2017-12-25 2018-07-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
CN110756593B (zh) * 2018-07-26 2020-10-2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抑制冷连轧机组振动的张力制度优化方法
CN110153194B (zh) * 2019-04-29 2020-08-07 涟源钢铁集团有限公司 联结装置以及轧机
CN111878538B (zh) * 2020-08-27 2024-05-07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剪切型耗能防落梁装置
CN114160583B (zh) * 2021-11-29 2023-10-20 太原理工大学 一种轧机垂直振动的伺服阻尼器
CN116550767B (zh) * 2023-07-10 2023-09-22 太原理工大学 一种抑制极薄带轧制过程中张力波动的半自动调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117A (ja) * 1991-10-17 1993-04-27 Kobe Steel Ltd 圧延機の振動防止装置
JPH08247211A (ja) * 1995-03-09 1996-09-24 Nkk Corp 圧延機の振動吸収装置
JPH09267110A (ja) * 1995-12-28 1997-10-14 Nkk Corp 圧延機の振動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6767A (zh) 2007-06-06
WO2005120738A1 (fr) 2005-12-22
JP2007536486A (ja) 2007-12-13
DE602005007598D1 (de) 2008-07-31
FR2869819B1 (fr) 2006-08-04
ES2308528T3 (es) 2008-12-01
FR2869819A1 (fr) 2005-11-11
EP1747073B1 (fr) 2008-06-18
US20080250836A1 (en) 2008-10-16
EP1747073A1 (fr) 2007-01-31
BRPI0510748A (pt) 200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2507A (ko) 압연스탠드 충격흡수방법 및 충격흡수장치
CN102016347B (zh) 缓冲装置
JP6490186B2 (ja) 1/3オクターブのミル自励振動を減衰するプロセス
US5806783A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a material web
KR100429729B1 (ko) 압연기
CN103180063B (zh) 用于轧机的具有第一和第二无源液压元件的振动阻尼系统
US10065225B2 (en) Rolling mill third octave chatter control by process damping
WO2001000346A1 (en) Vibration damping apparatus
CN204059089U (zh) 纤维幅材机的偏移补偿辊
JP2000503905A (ja) 圧延機のがたがた音の誘導振動による防止
RU2697116C1 (ru) Прокатная клеть, прокат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активного гашения колебаний в прокатной клети
Peng et al. Coupled vibration behavior of hot rolling mill rolls under multinonlinear effects
EP2032872B1 (en) Arrangement for damping oscillations in an oscillating mass in a paper/board machine environment
Kela Attenuating amplitude of pulsating pressure in a low-pressure hydraulic system by an adaptive Helmholtz resonator
Mrad et al. Non-linear dynamic modeling of an automobile hydraulic active suspension system
WO2008001466A1 (fr) Laminoir
US652109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the natural frequency of a nip roll construction in a paper or board machine
JP4833695B2 (ja) プレス機械
JPH05104117A (ja) 圧延機の振動防止装置
US11801540B2 (en) Mill stand
Treml et al. Measurement and mathematical modelling of a coupled hydraulic-mechanical system
Chen et al. Stability analysis of the rolling process and regenerative chatter on 2030 tandem mills
JPH0542789U (ja) 調整機構付き動吸振装置
JPH09174122A (ja) 圧延機の振動防止装置
RU2023128726A (ru) Стабилизация рабочих и опорных валков прокатной клети во время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прокатываем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получением полосы в прокатной кле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