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401A -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401A
KR20070042401A KR1020050098294A KR20050098294A KR20070042401A KR 20070042401 A KR20070042401 A KR 20070042401A KR 1020050098294 A KR1020050098294 A KR 1020050098294A KR 20050098294 A KR20050098294 A KR 20050098294A KR 20070042401 A KR20070042401 A KR 20070042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witching element
preheating
compressor
half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232B1 (ko
Inventor
유하찌 다카쿠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232B1/ko
Priority to CNB2005101376304A priority patent/CN100477478C/zh
Publication of KR20070042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실외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인버터 압축기를 예열하기 위한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압축기를 예열하기 위하여 상류측 스위칭 소자를 고주파 스위칭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하류측 스위칭 소자를 저주파 스위칭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모터 전류가 흐르는 상을 미리 설정된 단위 구간 마다 바꾸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 전류의 흐르는 상을 교대시키므로 모터 코일의 열화 방지와 고효율의 가열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류측 스위칭 소자를 항상 고주파 PWM 신호로 스위칭하므로 부트 스트랩 회로에서의 충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낮은 모터 전류에 의한 로터의 포지셔닝을 실시한 후 모터 전류를 증가시켜 예열을 실시하므로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Preheating Compresso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기존의 압축기의 예열 방법에 따른 스위칭 소자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압축기의 예열 방법에 따른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상을 바꾸는 경우의 제어신호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하는 인버터 회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상류측 스위칭 소자에 제어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 회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5은 인버터 회로를 구성하는 상류측 스위칭 소자 및 하류측 스위칭 소자에 대해 양측을 교대로 초핑하는 경우의 통전 패턴이다.
도 6는 인버터 회로를 구성하는 상류측 스위칭 소자에 대해서 초핑하는 경우로서 도 5에 대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전 패턴이다.
도 7은 도 6의 통전 패턴에 따라 상류측 스위칭 소자와 하류측 스위칭 소자에 각각 인가하는 제어 신호를 보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도 7에서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상을 바꾸는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는 모터 전류의 경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상을 바꾸는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여 모터에 유도되는 전류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인버터 회로
110 : 3상 모터
200 : 제어 회로
본 발명은 실외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인버터 압축기를 예열하기 위한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의 열화 방지와 고효율의 가열 제어를 실시함과 동시에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압축기 예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에 사용하는 압축기는 인버터 회로를 통하여 3상 모터를 예열 제어한다.
압축기의 예열 제어는 난방 성능 개선과 저온 시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신뢰성 향상을 목적으로 실시한다.
압축기를 예열하기 위한 방법은 압축기의 크랭크-케이스-히터를 이용하는 방법과 모터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 가열하는 방법이 있다.
모터 코일에 전류를 흘리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유의해야만 하는 점은 코 일의 열화 방지와 고효율의 가열 제어 및 저소음화이다.
모터 코일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전류가 흐르는 모터 코일의 상을 소정의 시간에 바꾸어 주는 것이고, 압축기를 효율 좋게 가열 제어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모터 코일에 간헐적으로 전류를 흘려 주는 것이다. 그러한 전형적인 예로는 일본 특허공보 제2804796호의 "모터 제어장치"가 있다.
이 "모터 제어장치"에서는 모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진 인버터 회로를 갖춘 모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칭 소자에 각각 병렬로 다이오드를 연결함과 동시에 하나의 코일의 전류 경로 상류측 스위칭 소자를 선택해 on/off 제어하고(도 1의 54 참고), 나머지의 스위칭 소자를 on 하여(도 1의 55, 56 참고), 앞서 기술된 상류측 스위칭 소자가 off일 때 모터 코일의 전자 에너지를 환류하는 환류 전류가 다이오드를 통하여 모터에 공급하도록 하고, 이러한 연속적으로 흐르는 전류를 모터의 하나의 코일로부터 다른 코일로 분류시키는 제1 모드와, 제1 모드에 따라 모터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서 다른 스위칭 소자를 저주파로 on/off 하는 제2 모드를 구비하여, 이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교대로 반복하여 모터 전류를 제어한다(도 2의 91, 92, 93 참고).
이와 같이 구성한 "모터 제어장치"는 모터 전류가 간헐적으로 흐르게 되어 효율이 좋은 예열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1에서, 모터 전류를 간헐적으로 흐르게 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T3의 기간은 스위칭 소자가 on 되어 모터 전류가 흐르지만, T3~T4의 기간은 모든 스위칭 소자를 off 로 해서 모터 전류를 차단한다. 모터 전류를 간헐적으로 흐르게 하여 모터 전류의 피크 값을 증가시키는 것은 스위칭 소자의 소비 전력에 대한 모터의 소비 전력의 비를 증가시켜 모터의 가열 효과를 크게 한다. 이와 같이 히트 펌프 공기 조화기와 같이 저온 환경에 놓여지더라도 압축기 기동 시에 가열을 필요로 하는 모터 제어장치의 가열시간을 효율 좋게 단축할 수 있다.
또 이 모터 제어장치는 가열하는 모터 코일을 순서대로 교대하기 때문에, 각 모터 코일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하는 모터 코일을 순서대로 교대한다. T3의 구간에서 스위칭 소자가 on 되어 모터 전류가 흐른다. 이 T3의 구간 동안 각 스위칭 소자를 교대로 on, off를 반복한다. 이것에 의해 각 모터 코일의 가열 량을 균일화하고 가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특정한 상(phase)에 전류를 계속 흘려 주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서 모터 코일의 열화 방지에 유효하다.
이러한 기존의 "모터 제어장치"는 모터 전류를 간헐적으로 제어하고, 효율이 좋은 예열 제어를 실행할 수 있고, 모터 전류를 간헐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저주파로 모터 전류를 on, off하는 모드를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모터 제어장치는 다음과 문제를 가지고 있다.
모터 전류를 모두 off 하면(도 1의 T3~T4의 구간) 정지 토크가 없어지므로 모터의 로터는 정해진 위치에 고정할 수 없고, 이때 재차 모터 전류를 흐르게 하면 모터에 구동 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압축기가 진동한다.
또 이 "모터 제어장치"는 가열하는 모터 코일을 순서대로 교대시켜 각 모터 코일을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제어하는데, 가열하는 모터 코일을 순서대로 교대시키면 구동 토크도 발생해 압축기가 진동한다.
이러한 압축기의 진동에 관련하여, 앞서 기술한 인용 문헌에서는 모터에서의 토크 발생으로 인한 모터의 코깅(cogging)이 나타날 수 있지만, 모터 전류를 간헐적으로 제어하는 빈도나, 가열하는 모터 코일을 순서대로 교대시키는 빈도를 적게 하면 실용적으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빈도가 적어도 압축기 진동에 의한 소음이 크게 되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효율 좋은 예열 제어를 위하여 모터 전류의 피크 값을 증가시키면 그것에 비례하여 구동 토크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코깅에 의한 압축기 소음이 커진다.
또한 모터 전류를 간헐적으로 제어하는 빈도나, 가열하는 모터 코일을 순서대로 교대시키는 빈도를 낮추면, 모터 전류의 제어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 구동용 스위칭 소자를 내장하는 파워 모듈은 상류측 스위칭 소자(보통 3개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하고 하류측 스위칭 소자에 대응함)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 회로를 사용하여 충전하는 방법을 주로 적용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의 제어 전원을 단일의 전원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코스트(cost)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부트스트랩 회로를 이용하는 방식은 상류측 스위치 소자가 접속된 모터의 단자 전압이 앞서 기술한 제어 전원의 그라운드(ground) 전압과 동일한 정도로 되어야만 정상적인 전압을 충전할 수 있다는 제약이 따른다. 이 제약으로 인 하여 하류측 스위칭 소자 또는 이 하류측 스위칭 소자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환류 다이오드의 도통이 장시간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류측 스위칭 소자의 제어 전원이 저하되고 스위칭 소자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어 모터 전류를 제어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압축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 예열 시 모터 코일의 열화 방지와 고효율의 가열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압축기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상 모터를 내장한 압축기를 예열하기 위한 압축기 예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3상 모터에 모터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상류측 스위칭 소자들과 하류측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는 인버터 회로; 및 상기 압축기를 예열하기 위하여 상기 상류측 스위칭 소자를 고주파 스위칭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하류측 스위칭 소자를 저주파 스위칭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모터 전류가 흐르는 상을 미리 설정된 단위 구간 마다 바꾸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기 위하여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와, 상기 드라이버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상류측 스위칭 소자를 고주파 스위칭하기 위하여 PWM 제어한다.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단위 구간을 적어도 2개 구간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2개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를 다르게 설정한다.
상기 단위 구간을 전반 구간과 후반 구간으로 구분하는 경우,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전반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를 후반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보다 적게 설정한다.
상기 하류측 스위칭 소자들에 환류 다이오드를 병렬 접속한 경우, 상기 상류측 스위칭 소자에서 고주파 스위칭할 때 상기 환류 다이오드를 통해 환류 전류가 흐른다.
상기 환류 전류에 의해 상기 상류측 스위칭 소자와 상기 하류측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의 전압이 그라운드 레벨에 거의 동일한 레벨이 되면 상기 전원 회로는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인버터 회로를 이용하여 3상 모터에 모터 전류를 공급하여 압축기를 예열하기 위한 압축기의 예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의 상류측 스위칭 소자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고주파 스위칭 함과 동시에 상기 인버터 회로의 하류측 스위칭 소자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저주파 스위칭 하며; 및 상기 모터 전류가 흐르는 상을 미리 설정된 단위 구간 마다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류측 스위칭 소자를 고주파 스위칭하기 위하여 PWM 제어한다.
상기 단위 구간은 적어도 2개 구간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2개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를 다르게 설정한다.
상기 단위 구간을 전반 구간과 후반 구간으로 구분하는 경우, 상기 전반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를 후반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보다 적게 설정한다.
상기 전반 구간에서 상기 모터에 유도되는 전류의 피크 값은 상기 후반 구간에서 상기 모터에 유도되는 전류 피크 값보다 작게 된다.
상기 전반 구간에서 상기 모터의 로터를 포지셔닝하고, 상기 후반 구간에서 상기 모터의 코일의 발열로 예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상 모터(110)의 모터 코일(S1,S2,S3)에 흐르는 모터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들로 구성된 인버터 회로(100)를 구비한다.
도 3은 일반적인 모터와 인버터 회로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모터는 3상 코일(s1,s2,s3)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버터 회로는 6개의 스위칭 소자(u+,v+,w+,u-,v-,w-)로 이루어진다. 상측의 스위칭 소자(u+,v+,w+)와 하측의 스위칭 소자(u-,v-,w-)는 서로 대응되어 접속되고 그 접속점은 모터의 3상 코일(s1,s2,s3)에 각각 연결된다. 하류측 스위칭 소자(u-,v-,w-)에는 환류 다이오드(D1,D2,D3,D4,D5,D6)가 병렬 접속된다.
본 발명은 상류측 스위칭 소자(u+,v+,w+)를 고주파 PWM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제어 회로(200)는 상류측 스위칭 소자(u+,v+,w+) 중 스위칭 소자(u+)를 제어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어회로(200)는 스위칭 소자(u+)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는 드라이버(201)와, 드라이버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트 스트랩 회로를 구비한다.
드라이버(201)는 스위칭 소자(u+)를 구동하는 게이트 신호를 발생한다. 드라이버(201)는 제어 전원(Vcc)을 공급받는다. 제어 전원(Vcc)은 부트 스트랩 회로를 구성하는 직류 전원(Vdc), 다이오드(D7), 캐패시터(C1)에 의해서 생성된다. 하류측 스위칭 소자(u-)가 도통하거나 또는 하류측 스위칭 소자(u-)의 환류 다이오드(D2)가 도통하면 상류측 스위칭 소자(u+)와 하류측 스위칭 소자(u-)의 접속점(COM)의 전압이 그라운드 레벨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충전 전류(current 3)가 흐른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 C1는 직류 전원 Vdc와 같은 전압으로 충전된다. 이 충전 전압은 드라이버(201)에 제어 전원(Vcc)으로 공급된다.
다른 상류측 스위칭 소자(V+,W+)에도 상기 구성과 같은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다음으로 캐패시터(C1)의 충전 전류(current 3)가 흐르는 타이밍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인버터 회로의 스위칭 소자의 통전 패턴을 나타낸다. 이 패턴에서 빗금친 부분은 스위칭 소자가 PWM 신호에 의해서 초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공백 부분은 스위칭 소자가 도통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형파 제어신호를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에서는 상류측 스위칭 소자와 하류측 스위칭 소자에 대해 양측을 초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캐패시터(C1)에 직류 전원(Vdc)를 충전할 수 있는 기간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하류측 스위칭 소자(u-)가 도통하거나 또는 하류측 스위칭 소자(u-)의 환류 다이오드(D2)가 도통하는 경우이다. 도 5의 통전 패턴에서 U-의 공백 부분은 스위칭 소자(u-)가 도통하고 있으므로 캐패시터(c1)에 충전이 가능하고, U+의 빗금친 부분은 스위칭 소자(u+)가 초핑하고 있으므로 하류측 스위칭 소자의 환류 다이오드(D2)가 도통해서 캐패시터(C1)에 충전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스위칭 소자(U+)가 PWM 신호에 의해 초핑하고 있을 때 모터 구동 전류(current 1)가 모터 코일로 흐르며, PWM의 off 구간에서는 모터 구동 전류(current 1)가 흐르지 않지만 모터의 유도계수 성분에 의해서 유도 전류(current 4)가 연속적으로 흐르고, 이에 따라 환류 전류(current 2)가 흐르게 되어 환류 다이오드(D2)가 도통한다. 환류 다이도드(D2)가 도통하면 상류측 스위칭 소자와 하류측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COM)의 전위가 그라운드 레벨과 거의 동일 레벨이 되어 캐패시터(C1)가 충전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도 5의 통전 패턴에 이용하는 경우, 일부 구간(a)(b)(c)에서는 캐패시터(C1)을 충전할 수 없다.
압축기를 통상 운전시킬 경우 이러한 충전 불능 구간(a)(b)(c)은 수 ms 정도의 시간으로 짧기 때문에 캐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의 저하를 무시할 수 있지만, 압축기를 예열하는 경우와 같이 압축기 기동 운전에서는 충전 불능 구간(a)(b)(c)을 길게(수 초에서 수십 초) 설정해야 소음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데, 이렇게 충전 불능 구간을 길게 하면 캐패시터(C1)에 충전할 수 없는 기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압축기 예열 동작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캐패시터(C1)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도 6의 통전 패턴을 적용한다. 상류측 스위칭 소자(U+)가 초핑하며 이때 하류측 스위칭 소자의 환류 다이오드(D2)가 도통하므로 캐패시터(C1)에 충전 가능하다. (b-1) 구간과 (c-1)에서는 상류측 스위칭 소자(U+)가 도통하지 않기 때문에 캐패시터(C1)를 충전하지 않는다. 이들 구간(b-1)(c-1)에서 상류측 스위칭 소자(U+)를 도통시키지 않기 때문에 캐패시터(C1)의 전하 소비가 느리고 또 적절하게 캐패시터의 용량을 설정하면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데 충분한 전하를 남길 수 있다.
도 6의 통전 패턴으로 압축기 예열하면 캐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저하되는데 따른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통전 패턴에 따라 상류측 스위칭 소자와 하류측 스위칭 소자에 각각 인가하는 제어 신호를 보인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f는 도 7에서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상을 바꾸는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는 모터 전류의 경로를 보인 도면이다.
상류측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하는 PWM의 듀티(duty)는 모터 전류의 흐르는 상이 교대할 때까지 구간(T-3)을 전반 구간(T-1)과 후반 구간(T-2)으로 구분한다.
전반 구간(T-1)과 후반 구간(T-2)에 적용하는 PWM의 Duty를 다르게 설정한다. 전반 구간에서의 PWM의 듀티(duty)는 후반 구간의 PWM의 듀티(duty)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효율이 좋은 예열 제어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모터 전류의 피크를 증가시키는 경우 그에 비례하여 구동 토크가 증가됨에 따라 코깅(cogging)으로 인한 압축기 소음이 커진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반 구간(T-1)에 PWM의 듀 티(duty)를 작게 하여 모터에 저 전류(low current)를 흘려서 로터의 포지셔닝을 한다. 모터에 전류가 적게 흐르기 때문에 로터의 포지셔닝으로 발생하는 소음이 작아진다. 그 후 후반 구간(T-2)에서 PWM 듀티(duty)를 크게 하여 모터 전류를 증가한다. 이와 같이 로터의 포지셔닝을 실시한 후 모터 전류를 증가하면 코깅(cogging)에 의한 압축기 소음이 저하한다.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상을 교대시켜 전류(轉流)를 실시하는 경우, 상이 바뀐 다음의 전반 구간에서 로터 포지셔닝을 실시하고 뒤이어 후반 구간에서 모터 전류를 증가시킨다.
도 9는 전반 구간과 후반 구간에서 가변되는 도 3의 유도 전류(current 4)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전반 구간(T-1)에서는 작은 전류(X1)를 흘려 로터의 포지셔닝을 실시한다. 작은 전류(X1)는 로터의 포지셔닝에 필요한 최소 값으로 설정한다. 후반 구간(T-2)에서는 큰 전류(X2)를 흘려서 발열이 일어나게 하여 모터를 예열한다. 큰 전류(X2)는 모터의 예열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을 얻을 수 있는 전류 값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해서 각 모터 코일을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제어하여 예열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코깅(cogging)에 의한 압축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히트 펌프 공기 조화기의 기동 시에 필요한 압축기의 예열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 전류의 흐르는 상을 교대시키므로 모터 코일의 열화 방지와 고효율의 가열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류측 스위 칭 소자를 항상 고주파 PWM 신호로 스위칭하므로 부트 스트랩 회로에서의 충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낮은 모터 전류에 의한 로터의 포지셔닝을 실시한 후 모터 전류를 증가시켜 예열을 실시하므로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3)

  1. 3상 모터를 내장한 압축기를 예열하기 위한 압축기 예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3상 모터에 모터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상류측 스위칭 소자들과 하류측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는 인버터 회로; 및
    상기 압축기를 예열하기 위하여 상기 상류측 스위칭 소자를 고주파 스위칭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하류측 스위칭 소자를 저주파 스위칭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모터 전류가 흐르는 상을 미리 설정된 단위 구간 마다 바꾸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기 위하여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와, 상기 드라이버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상류측 스위칭 소자를 고주파 스위칭하기 위하여 PWM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단위 구간을 적어도 2개 구간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2개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구간을 전반 구간과 후반 구간으로 구분하는 경우,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전반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를 후반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보다 적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스위칭 소자들에 환류 다이오드를 병렬 접속한 경우, 상기 상류측 스위칭 소자에서 고주파 스위칭할 때 상기 환류 다이오드를 통해 환류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류 전류에 의해 상기 상류측 스위칭 소자와 상기 하류측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의 전압이 그라운드 레벨에 거의 동일한 레벨이 되면 상기 전원 회로는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방법.
  8.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인버터 회로를 이용하여 3상 모터에 모터 전류를 공급하여 압축기를 예열하기 위한 압축기의 예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의 상류측 스위칭 소자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고주파 스위칭 함과 동시에 상기 인버터 회로의 하류측 스위칭 소자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저주파 스위칭 하며; 및
    상기 모터 전류가 흐르는 상을 미리 설정된 단위 구간 마다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스위칭 소자를 고주파 스위칭하기 위하여 PWM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구간은 적어도 2개 구간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2개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구간을 전반 구간과 후반 구간으로 구분하는 경우, 상기 전반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를 후반 구간에 적용하는 PWM 듀티보다 적게 설정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 구간에서 상기 모터에 유도되는 전류의 피크 값은 상기 후반 구간에서 상기 모터에 유도되는 전류 피크 값보다 작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 구간에서 상기 모터의 로터를 포지셔닝하고, 상기 후반 구간에서 상기 모터의 코일의 발열로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방법.
KR1020050098294A 2005-10-18 2005-10-18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 KR101253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294A KR101253232B1 (ko) 2005-10-18 2005-10-18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
CNB2005101376304A CN100477478C (zh) 2005-10-18 2005-12-26 变频式压缩机的预热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294A KR101253232B1 (ko) 2005-10-18 2005-10-18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401A true KR20070042401A (ko) 2007-04-23
KR101253232B1 KR101253232B1 (ko) 2013-04-16

Family

ID=3805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294A KR101253232B1 (ko) 2005-10-18 2005-10-18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3232B1 (ko)
CN (1) CN10047747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906B1 (ko) 2016-03-14 2017-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06788093B (zh) * 2016-11-30 2019-02-22 杭州先途电子有限公司 压缩机预热降噪的控制方法
CN107246392B (zh) * 2017-05-31 2019-03-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降低压缩机预热噪音的控制方法
CN108306539A (zh) * 2018-01-22 2018-07-20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变频驱动器的控制装置、方法及冰箱
CN109217776B (zh) * 2018-09-27 2020-10-20 深圳市英威腾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的加热方法、装置及变频器
CN109546916A (zh) * 2018-11-27 2019-03-29 东莞市深鹏电子有限公司 永磁同步电机自举电容充电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354998B (zh) * 2018-12-21 2022-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温度控制装置
CN112762624B (zh) * 2021-01-05 2022-06-17 深圳麦格米特电气股份有限公司 热风机控制方法、装置、控制器、热风机、存储介质
CN112728725B (zh) * 2021-01-22 2022-02-11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压缩机的控制装置、方法和空调
CN114459128B (zh) * 2022-01-27 2024-01-12 佛山市顺德区美的电子科技有限公司 压缩机的预热控制方法和装置及其控制系统
WO2024082683A1 (zh) * 2022-10-17 2024-04-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电机加热方法、系统及存储介质、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8411A (ja) * 1992-04-07 1993-11-02 Daikin Ind Ltd 圧縮機の予熱制御装置
JP3163896B2 (ja) * 1994-04-28 2001-05-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3相pwmインバータ
JP3039328B2 (ja) * 1995-07-19 2000-05-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341826B2 (ja) * 1998-08-31 2002-1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wm/pam制御形モータ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調機及びモータの制御方法
JP3757745B2 (ja) * 2000-03-30 2006-03-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予熱電力の制御方法及び予熱発生機構
JP3831852B2 (ja) * 2001-03-19 2006-10-11 三菱電機株式会社 圧縮機駆動装置
CN2512160Y (zh) * 2001-11-16 2002-09-18 兴华电子零件亚洲有限公司 可调速的三相直流无刷永磁电动机的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232B1 (ko) 2013-04-16
CN100477478C (zh) 2009-04-08
CN1953317A (zh)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232B1 (ko)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
JP2017200306A (ja) 電源装置
JP4689905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6089978B2 (ja) スイッチトリラクタンスモータのpam駆動装置
KR100896728B1 (ko) 스위치드 릴럭턴스 드라이브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15107867A1 (ja) モータ駆動装置
JP2804796B2 (ja) 電動機制御装置
JP3889061B2 (ja) 電子コミュテーテッドモータ
JPH11206130A (ja) 電源装置
JP6303129B2 (ja) モータ駆動装置
JP3969246B2 (ja) 車両用冷却ファンモータの駆動装置
US10517148B2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299110B1 (ko) 전력 변환 회로
JP3110957U (ja) 交流モータおよび発電機の組み合わせのための双方向ac/dcコンバータ
JP2003324986A (ja) 三相ブラシレスdcモータの制御方法
JP2008253122A (ja) 負荷駆動装置及び負荷駆動方法
JP3602418B2 (ja) 空気調和機のプレヒート通電方法
US10681780B2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JP4131129B2 (ja) Dc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Kumar et al. Torque ripple minimization in bldc motor using dcdc sepic converter
JP3794304B2 (ja) 空気調和機
JP2001086784A (ja) モータの制御方法
JP2018063079A (ja) ヒートポンプ装置
JP2007236090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06345668A (ja) モータ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