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906B1 -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906B1
KR101759906B1 KR1020160053321A KR20160053321A KR101759906B1 KR 101759906 B1 KR101759906 B1 KR 101759906B1 KR 1020160053321 A KR1020160053321 A KR 1020160053321A KR 20160053321 A KR20160053321 A KR 20160053321A KR 101759906 B1 KR101759906 B1 KR 101759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inverter
control signal
switching control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수
김승효
엄동기
김응호
박귀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457,43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59223B2/en
Priority to CN201710145301.7A priority patent/CN107196580B/zh
Priority to EP17160577.7A priority patent/EP32205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0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22Current control, e.g. using a current control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H02P29/62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6Problems to be solved characterised by the startup of the refrigerat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 F25B2700/151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of the compressor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tor
    • H02P2203/09Motor speed determination based on the current and/or voltage without using a tachogenerator or a physical enco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인버터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의 일부가 턴 온되거나 일부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면서 압축기를 예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칭 소자의 링잉 현상에도 불구하고 출력 전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한편, 공기조화기 내의 압축기 구동시, 압축기를 예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7-0078262호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압축 시스템에서의 예열에 대해 개시한다. 한편, 압축기 예열시, 압축기 소음 저감 및 소비 전력 저감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 소자의 링잉 현상에도 불구하고 출력 전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인버터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의 일부가 턴 온되거나 일부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제로 백터 없이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시,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이 반복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압축기 구동장치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인버터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의 일부가 턴 온되거나 일부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압축기 구동장치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제로 백터 없이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압축기 구동장치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시,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이 반복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인버터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의 일부가 턴 온되거나 일부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면서 압축기를 예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압축기 소음 저감 및 소비 전력 저감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커패시터와 모터의 중성점 전압의 차이에 의해 유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dc단 전압이 낮을수록, 또는 압축기 주변 온도가 낮을수록,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기간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 예열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로 백터 없이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면서 압축기를 예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압축기 소음 저감 및 소비 전력 저감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특정의 유효 벡터만이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무효 벡터에 의해 유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시,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이 반복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내부 연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고속의 스위칭 주파수로, 인버터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가청 주파수를 벗어난 고속의 스위칭 주파수로, 인버터를 구동함으로써, 압축기 예열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의 개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개수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 낭비를 저감하면서, 신속하게, 압축기를 예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 중 제1 유효 벡터에 대응하는 인버터 내의 제1 상암 스위칭 소자의 턴 온 기간을 가변함으로써, 압축기에 인가되는 예열량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 사이에, 인버터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이 배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압축기에 인가되는 예열량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에 의해 구동되는 턴 온 기간과, 인버터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으로 구분되도록 제어하며,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턴 온 기간 또는 턴 오프 기간이 가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압축기에 인가되는 예열량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외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1의 실외기 내의 압축기 구동을 위한 압축기 구동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b는 도 4의 컨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압축기 예열을 위해 모터에 인가되는 다양한 전류 파형을 예시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공간 벡터 기법에 의한 압축기 예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11b는 도 8의 동작 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5는 도 12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31), 실내기(31)에 연결되는 실외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31)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도면에서는, 스탠드형 실내기(31)를 예시한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외기(21)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1)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21)는 원격제어기(미도시) 또는 실내기(31)의 요구(demand)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실외기(21)는, 연결된 실내기(310)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한다.
실내기(31)는, 실외기(21)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31)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실외기(21) 및 실내기(31)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는 원격제어기(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00)는, 크게 실내기(31)와 실외기(21)로 구분된다.
실외기(21)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한다.
실내기(31)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9)와, 실내측 열교환기(109)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109)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의 실외기(21) 내의 압축기(102)는, 압축기 모터(250)를 구동하는 압축기 전동기 구동장치(도 4의 2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실외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의 공기조화기(100)의 실외기(21)는, 압축기(102), 팬(105a), 메인 제어부(310), 온도 감지부(320), 메모리(240), 통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구동부(200), 팬 구동부(105), 표시부(230), 및 입력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2), 팬(105a)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한다.
입력부(220)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여, 설정되는 온도에 대한 신호를 메인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공기 조화기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320)는, 공기 조화기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에 대한 신호를 메인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320)는, 실외 온도, 실내 온도, 압축기 온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온도 감지부(320)는, 압축기 온도 또는 압축기 주변(토출구)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압축기 온도 또는 주변 온도를, 메인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310)는, 압축기(102), 및 팬(105a)의 동작을 제어를 위해,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 구동부(200) 및 팬 구동부(105)를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압축기(102), 및 팬(105a)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310)는, 압축기 구동부(200) 또는 팬 구동부(105)에, 각각 해당하는 속도 지령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압축기 구동부(200), 팬 구동부(105)는, 각각 압축기 모터(미도시), 및 팬 모터(미도시)를 각각 구비하며, 각 모터(미도시)는 메인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목표 회전 속도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102)와 팬(105a)의 동작 제어 이외에, 공기 조화기(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220)로부터의 설정 온도에 맞추어 냉매 싸이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 구동부(200), 팬 구동부(105) 이외에, 3방향 밸브(미도시), 팽창밸브(미도시), 응축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실내기 등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실내기 등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유선 통신,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유선 통신으로는, 전력선 통신이 예시되며, 무선 통신으로는,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통신 등이 가능하다.
그 외, 통신부(330)는, 이동 단말기 등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실외기 내의 압축기 구동을 위한 압축기 구동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의 실외기(41) 내의 압축기(102)는, 압축기 모터(250)를 구동하는 압축기 구동을 위한 압축기 구동장치(4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압축기 구동을 위한 압축기 구동장치(400)는, 압축기 모터(250)에 삼상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인버터(420)와, 인버터(420)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430)와, 인버터(42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410), 컨버터(410)를 제어하는 컨버터 제어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구동장치(400)는, 계통으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250)에 변환된 전력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압축기 구동장치(400)는, 압축기 구동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400)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C)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250)를 구동하는 인버터(420)와, 모터(250)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E)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420)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출력하는 인버터 제어부(430)를 포함하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의 일부가 턴 온되거나 일부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면서 압축기를 예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압축기 소음 저감 및 소비 전력 저감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커패시터와 모터(250)의 중성점 전압의 차이에 의해 유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dc단 전압(Vdc)이 낮을수록, 또는 압축기(102) 주변 온도가 낮을수록,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턴 온 기간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 예열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400)는,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커패시터(C)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250)를 구동하는 인버터(420)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E)와,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420)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출력하는 인버터 제어부(430)를 포함하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제로 백터 없이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 신호(Sic)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면서 압축기(102)를 예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압축기 소음 저감 및 소비 전력 저감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특정의 유효 벡터만이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무효 벡터에 의해 유발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버터(42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410)는, 입력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을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버터(410)는, 정류부(미도시)와 부스트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외, 리액터(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컨버터(410)는, 정류부(미도시)와, 인터리브 부스트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버터(410)의 출력단인 dc단에는, 커패시터(C)가 접속된다. 커패시터(C)는, 컨버터(41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저장할 수 있다. 컨버터(410)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dc 전원이므로, dc단 커패시터라 명명할 수 있다.
컨버터 제어부(415)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컨버터(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주파수 가변 가능한 삼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삼상 모터(250)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버터(42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모터(250)에 흐르는 출력 전류(io)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의 출력 전류(io)는, 출력전류 검출부(E)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dc 단 전압 검출부(B)는, dc 단 커패시터(C)에 저장된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dc 단 전압 검출부(B)는, VT(voltage trnasformer) 또는 저항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모터(25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모터(25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모터(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a는 도 4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변환부(510), 위치 추정부(520), 전류 지령 생성부(530), 전압 지령 생성부(540), 축변환부(55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변환부(5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삼상 출력 전류(ia,ib,ic)를 입력받아,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로 변환한다.
한편, 축변환부(510)는,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를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
위치 추정부(520)는, 축변환부(510)에서 변환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에 기초하여, 모터(250)의 회전자 위치(
Figure 112016041699875-pat00001
)를 추정한다. 또한, 추정된 회전자 위치(
Figure 112016041699875-pat00002
)에 기초하여, 연산된 속도(
Figure 112016041699875-pat00003
)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
Figure 112016041699875-pat00004
)와 목표 속도(ω)에 기초하여, 속도 지령치(ω* r)를 연산하며,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
Figure 112016041699875-pat00005
)와 목표 속도(ω)의 차이인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PI 제어기(63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류 지령치로, q축 전류 지령치(i* q)를 예시하나, 도면과 달리, d축 전류 지령치(i* d)를 함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d축 전류 지령치(i* d)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전류 지령치(i*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 생성부(530)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 d,i* 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q축 전류(iq)와, q축 전류 지령치(i* q)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6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q축 전압 지령치(v* q)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축 전류(id)와, d축 전류 지령치(i* d)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648)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d축 전압 지령치(v* 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d축 전압 지령치(v* d)의 값은, d축 전류 지령치(i* d)의 값은 0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 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는, 축변환부(550)에 입력된다.
축변환부(550)는,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112016041699875-pat00006
)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
먼저, 축변환부(550)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112016041699875-pat00007
)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변환부(550)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105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하게 된다.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56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도 5b는 도 4의 컨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컨버터 제어부(415)는, 전류 지령 생성부(610), 전압 지령 생성부(62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지령 생성부(610)는, 출력 전압 검출부(B), 즉 dc 단 전압 검출부(B)에서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과 dc 단 전압 지령치(V*dc)에 기초하여, PI 제어기 등을 통해 d,q축 전류 지령치(i* d,i* q)를 생성할 수 있다.
전압 지령 생성부(620)는 d,q축 전류 지령치(i* d,i* q)와 검출되는 입력 전류(iL)에 기초하여 PI 제어기 등을 통해 d,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한다.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630)는 d,q축 전압 지령치(v* d,v* q)에 기초하여, 컨버터(410) 내의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cc)를 컨버터(41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압축기 예열을 위해 모터에 인가되는 다양한 전류 파형을 예시한다.
압축기 주변 온도가 낮은 경우, 압축기 예열이 필요하다.
압축기 예열을 위한 방법으로, 히터를 이용하는 방안이 있으나, 이는 별도의 히터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압축기 모터(250)에 도 6a와 같이, 압축기 모터(250)에 교류 전류(iac1)를 흘리거나, 도 6b와 같이, 교류 전류(iac2)와 직류 전류(idc1)을 함께 흘리는, 유도 예열 방식이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의하면, 교류 전류(iac1)와 교류 전류(iac2)가 모터(250)에 흐르는 경우, 모터(250)의 인덕턴스 성분에 의해 발열이되며, 모터(250)가 예열되게 된다.
한편, 직류 전류(idc1)가 모터(250)에 흐르는 경우, 모터(250)의 저항 성분에 의해 발열이되며, 모터(250)가 예열되게 된다.
그러나, 도 6a 또는 도 6b와 같이, 교류 전류(iac1)와 교류 전류(iac2)를 이용하는 경우, 모터(250) 주변에 EMI와 같은 전자파 노이즈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공간 벡터 기법에 의한 압축기 예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dc단에 복수의 커패시터(C1,C2)가 사용되는 경우, 그 사이에 중성점(0)가 위치할 수 있으며, 모터(250)에도 중성점(n)이 위치할 수 있다.
도 7a는, 공간 벡터 기법에 의해 (1,0,0)의 V1 벡터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Sic)에 의해, 인버터(420)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도면과 같은 전류(I)가 모터(250)에 흐르는 것을 예시한다.
도 7b는, 공간 벡터 기법에 의해 (1,1,0)의 V2 벡터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Sic)에 의해, 인버터(420)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도면과 같은 전류(I)가 모터(250)에 흐르는 것을 예시한다.
도 7c는, (1,0,0)의 V1 벡터, (1,1,0)의 V2 벡터, 및 (0,0,0)의 무효 벡터, (1,1,1)의 무효 벡터를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0,0,0)의 무효 벡터 기간을 Ar1a, Ar1b로 예시하며, (1,1,1)의 무효 벡터 기간을, Ar2로 예시한다.
한편, 도 7c의 공간 벡터에 기반하여, 압축기 예열을 위한, 인버터(420)의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Sic)가 생성되는 경우, (0,0,0)의 무효 벡터, (1,1,1)의 무효 벡터에 의해, 전자파 노이즈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7e는 공간 벡터 중 유효 벡터(V1~V6)와 무효 벡터(V0, V7)에 따라, dc단에 흐르는 전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무효 벡터(V0, V7)의 경우, 유효 벡터(V1~V6)와 달리, dc단에 흐르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인버터(420)와 모터(250) 사이에 폐루프가 형성되게 된다.
도 7d는 공간 벡터 중 유효 벡터(V1~V6)에 의한 커먼 모드 전압(Vno)와, 공간 벡터 중 무효 벡터(V0, V7)에 의한 커먼 모드 전압(Vno)을 예시한다.
여기서, 커먼 모드 전압(Vno)은, dc 단의 중성점(o)와, 모터(250)의 중성점(n) 사이의 전위차를 의미할 수 있다.
도면을 보면, 유효 벡터(V1~V6)에 의한 커먼 모드 전압(Vno)의 크기는, Vdc/6 이나, 무효 벡터(V0, V7)에 의한 커먼 모드 전압(Vno)의 크기는, Vdc/2로서, 유효 벡터(V1~V6)에 의한 커먼 모드 전압(Vno) 보다 3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0,0,0)의 무효 벡터, (1,1,1)의 무효 벡터에 의해, 전자파 노이즈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압축기 예열 모드시, 제로 백터 없이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 신호(Sic)가 인버터(420)로 출력되어, 인버터(420)가 유효 벡터에 기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310)는, 온도 감지부(320)로부터 압축기 주변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310)는, 압축기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압축기 예열을 위한 압축기 예열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메인 제어부(310)는, 압축기 주변 온도 정보를, 압축기 구동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주변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10).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주변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압축기 예열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S620).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이 필요한 경우, 즉, 압축기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압축기 예열 모드로 진입하여(S630), 로 백터 없이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 신호(Sic)가 인버터(420)로 출력되어, 인버터(420)가 유효 벡터에 기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640).
구체적으로,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Sa,Sb,Sc)의 일부가 턴 온되거나 일부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Sa,Sb,Sc)의 모두가 턴 온되거나 모두가 턴 오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과 동일하며, 이에 따라, (0,0,0)의 무효 벡터, (1,1,1)의 무효 벡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인버터 제어부(430)는, 제로 백터 없이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 신호(Sic)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면서 압축기를 예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압축기 소음 저감 및 소비 전력 저감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제로 백터 없이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 신호(Sic) 생성시, 특정의 유효 벡터만이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복수의 유효 벡터(V1~V6) 중, (0,1,1)의 V4 벡터, (1,0,1)의 V6 벡터, (1,1,0)의 V2 벡터만을 사용하여, 압축기 예열을 위한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를 보면, 제로 벡터가 없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커패시터와 모터(250) 사이에 전자파 노이즈가 저감되게 된다. 따라서,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면서, 압축기 예열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을 위해, 도 9a 내지 도 9b에서의, (0,1,1)의 V4 벡터, (1,0,1)의 V6 벡터, (1,1,0)의 V2 벡터만을 반복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b와 달리, 복수의 유효 벡터(V1~V6) 중, (1,0,0)의 V1 벡터, (0,1,0)의 V3 벡터, (0,0,1)의 V5 벡터만을 사용하여, 압축기 예열을 위한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대응하여,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턴 온 기간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이 커질수록,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턴 온 기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듀티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특정의 유효 벡터에 의한 스위칭 제어 신호(Sic) 중 스위칭 소자의 턴 온 기간(Ton)과 턴 오프 기간(Toff)을 구분한 것을 예시한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이 커질수록, 턴 온 기간(Ton)이 커지고, 턴 오프 기간(Toff)이 작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은, 압축기 주변의 온도, 또는 dc단의 전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주변의 온도가 낮을수록, dc단의 전압이 낮을수록,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인버터 제어부(430)는, 도 11a와 같이,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압축기 주변의 온도가 낮을수록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턴 온 기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압축기 주변의 온도가 높을수록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턴 온 기간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 예열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도 11b와 같이,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dc단의 전압(Vdc)이 낮을수록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턴 온 기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dc단의 전압(Vdc)이 높을수록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턴 온 기간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 예열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a 또는 도 11b의 듀티는,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턴 온 기간에 대응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310)는, 온도 감지부(320)로부터 압축기 주변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310)는, 압축기 주변 온도가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압축기 예열을 위한 압축기 예열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메인 제어부(310)는, 온도 감지부(320)로부터 압축기 주변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압축기 주변 온도 정보를, 압축기 구동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주변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압축기 주변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압축기 예열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압축기 예열이 필요한 경우, 예열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10).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주변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연산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기초하여,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S1220). 그리고, 선택된 PWM 제어 패턴으로 예열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30).
한편,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도달한 경우, 또는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도달하여 소정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예열 모드가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40). 예열 모드 종료 이후, 압축기 구동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도 13a와 같이, 3개의 PWM 제어 패턴인, V1(1,0,0) 벡터, V3(0,1,0) 벡터, V5(0,0,1) 벡터에 대응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예열을 위해, 3개의 유효 벡터인, V1(1,0,0) 벡터, V3(0,1,0) 벡터, V5(0,0,1) 벡터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면서 압축기를 예열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도 13b와 같이, 6개의 PWM 제어 패턴인, V6(1,0,1) 벡터, V1(1,0,0) 벡터, V2(1,1,0), V3(0,1,0) 벡터, V4(0,1,1) 벡터, V5(0,0,1) 벡터에 대응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예열을 위해, 6개의 유효 벡터인, V6(1,0,1) 벡터, V1(1,0,0) 벡터, V2(1,1,0), V3(0,1,0) 벡터, V4(0,1,1) 벡터, V5(0,0,1) 벡터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면서 압축기를 예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3개의 유효 벡터 패턴 또는 6개의 유효 벡터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c는, 도 13a의 3개의 유효 벡터 패턴 방식과, 도 13b의 6개의 유효 벡터 패턴 방식이 조합된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To1 구간은, V6(1,0,1) 벡터 구간(To1a)과, V1(1,0,0) 벡터 구간(To1b)로 나뉘며, To3 구간은, V2(1,1,0) 벡터 구간(To3a)과, V3(0,1,0) 벡터 구간(To3b)로 나뉘며, To5 구간은, V4(0,1,1) 벡터 구간(To5a)과, V5(0,0,1) 벡터 구간(To5b)로 나뉜다.
도 13c의 방식에 의하면, 도 13a의 3개의 유효 벡터 패턴 방식에 의한 제1 듀티와, 도 13b의 6개의 유효 벡터 패턴 방식에 의한 제2 듀티의, 평균인 제3 듀티를 가지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의 생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3개의 유효 벡터 패턴 방식과 6개의 유효 벡터 패턴 방식 사이의 전환시 사용가능하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 중 제1 유효 벡터에 대응하는 인버터 내의 제1 상암 스위칭 소자의 턴 온 기간을 가변할 수 있다.
특히,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3개의 유효 벡터 패턴 또는 6개의 유효 벡터 패턴 구동시, 제1 유효 벡터에 대응하는, 인버터(420) 내의 상암 스위칭 소자(Sa)의 턴 온 기간이, 다른 상암 스위칭 소자(Sb,Sc)의 턴 온 기간 보다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d는, 도 13a와 유사하게, 3개의 PWM 제어 패턴인, V1(1,0,0) 벡터, V3(0,1,0) 벡터, V5(0,0,1) 벡터를 예시하며, 다만, V1(1,0,0) 벡터에 대응하여, 인버터(420) 내의 상암 스위칭 소자(Sa)의 턴 온 기간이, Tp2a 만큼 더 증가한 것을 예시한다.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도 13a의 방식 보다, 더 높은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이 필요한 경우, 도 13d와 같이, 제1 유효 벡터에 대응하는, 인버터(420) 내의 상암 스위칭 소자(Sa)의 턴 온 기간이, 다른 상암 스위칭 소자(Sb,Sc)의 턴 온 기간 보다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이 낮을수록, Tp2a의 기간이 단축되고,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이 높을수록, Tp2a의 기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e는, 도 13b와 유사하게, 6개의 PWM 제어 패턴인, V6(1,0,1) 벡터, V1(1,0,0) 벡터, V2(1,1,0), V3(0,1,0) 벡터, V4(0,1,1) 벡터, V5(0,0,1) 벡터를 예시하며, 다만, V1(1,0,0) 벡터의 인가 기간이, Tg3a 만큼 더 증가한 것을 예시한다.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도 13b의 방식 보다, 더 높은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이 필요한 경우, 도 13e와 같이, 제1 유효 벡터에 대응하는, 인버터(420) 내의 상암 스위칭 소자(Sa)의 턴 온 기간이, 다른 상암 스위칭 소자(Sb,Sc)의 턴 온 기간 보다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이 낮을수록, Tg3a의 기간이 단축되고,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이 높을수록, Tg3a의 기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 사이에,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이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특히,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의 반복에 의해, 출력되는 전력 또는 예열량을 낮추기 위해,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도 13f와 같이,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 사이에,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이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3f는, 3개의 PWM 제어 패턴인, V1(1,0,0) 벡터, V3(0,1,0) 벡터, V5(0,0,1) 벡터의 사이에, 각각 오프 기간(Tr1b,Tr2b,Tr3b))이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각각 오프 기간(Tr1b,Tr2b,Tr3b)은,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도 10과 같이,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에 의해 구동되는 턴 온 기간(Ton)과,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Tff)으로 구분되도록 제어하며,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턴 온 기간 또는 턴 오프 기간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이 증가될수록, 턴 온 기간(Ton)이 증가하고,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이 증가할수록, 턴 온 기간(Ton)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의 개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개수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기 예열 모드에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도 13a 내지 도 13f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4a는, 목표 예열량에 따른 예열 모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1 미만인 경우, mode a로서, 도 10 또는 도 13f와 같은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1 미만인 경우, mode a로서, 도 10과 같이,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에 의해 구동되는 턴 온 기간(Ton)과,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Tff)으로 구분되도록 제어하거나, 도 13f와 같이,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 사이에,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이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1인 경우, 도 13a와 같이, 3개의 유효 벡터 패턴에 대응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1과 TP2 사이인 경우, mode b로서, 도 13c와 같이, 3개의 유효 벡터 패턴 및 6개의 유효 벡터 패턴의 조합에 대응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2인 경우, 도 13b와 같이, 6개의 유효 벡터 패턴에 대응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2 초과인 경우, mode c로서, 도 13e와 같이, 6개의 유효 벡터 패턴 및 일부 상암 스위칭 소자의 턴 온 기간 증가에 대응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b는, 목표 예열량에 따른 예열 모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1 미만인 경우, mode a로서, 도 10과 같이,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에 의해 구동되는 턴 온 기간(Ton)과,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Tff)으로 구분되도록 제어하거나, 도 13f와 같이,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 사이에,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이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1인 경우, 도 13a와 같이, 3개의 유효 벡터 패턴에 대응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1 초과인 경우, mode bb로서, 도 13d와 같이, 3개의 유효 벡터 패턴 및 일부 상암 스위칭 소자의 턴 온 기간 증가에 대응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c는, 목표 예열량에 따른 예열 모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2 미만인 경우, mode 2a로서, 도 10과 같이,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에 의해 구동되는 턴 온 기간(Ton)과,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Tff)으로 구분되도록 제어하거나, 도 13f와 같이,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 사이에, 인버터(420)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이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2인 경우, 도 13b와 같이, 6개의 유효 벡터 패턴에 대응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목표 예열량이 Tp2 초과인 경우, mode 2b로서, 도 13e와 같이, 6개의 유효 벡터 패턴 및 일부 상암 스위칭 소자의 턴 온 기간 증가에 대응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도 13d 또는 도 13e의, Tp2a, Tg3a 연산시, 도 15와 같은, PI 제어를 이용하여,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선택되는 PWM 제어 패턴에 의한 전력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ref)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전류 지령치(Iref)와, 출력 전류에 기반한 d축 전류(id) 및 q축 전류(iq)의 차이를, 연산기(1502)를 통해 연산하고, 그 차이를, PI 제어기(1504)를 통해, PI 제어한다.
이에 따라, Tp2a, Tg3a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선택되는 PWM 제어 패턴에 의한 출력 가능 전력이 클수록, Tp2a, 또는 Tg3a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턴 온 기간 또는 턴 오프 기간이 가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압축기에 인가되는 예열량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의 PI 제어는, 도 5a의 전압 지령 생성부(54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전압 지령치 외에, Tp2a, 또는, Tg3a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특히, Tp2a, 또는, Tg3a는,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580)로 전달되어, 상암 스위칭 소자(Sa)의 턴 온 기간 설정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특히, 도 16은, 도 10의 턴 온 기간과 턴 오프 기간에 대한 동작 설명을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예열 모드에 따른 PWM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S1610). 예를 들어, 도 13a 내지 도 13f의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입력 전압(Vs) 또는 dc단 전압(vdc)에 기초하여, PWM 패턴의 턴 온 기간(Ton), 및 턴 오프 기간(Toff)을 설정할 수 있다(S1620).
다음,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설정된 PWM 패턴, 및 PWM 패턴의 턴 온 기간(Ton)에 기초하여, PWM 패턴이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625).
다음,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턴 온 기간(Ton)이 경과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630),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PWM 패턴, 및 PWM 패턴의 턴 오프 기간(Toff)에 기초하여, PWM 패턴이 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635).
다음, 압축기 구동부(200) 내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턴 오프 기간(Toff)이 경과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640), 해당하는 경우, 예열 모드를 종료하거나, 턴 온 기간 및 턴 오프 기간을 도 10과 같이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압축기 구동장치 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압축기 구동장치 또는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
    상기 dc단의 전압을 검출하는 dc 단 전압 검출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인버터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의 일부가 턴 온되거나 일부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압축기 주변의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기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dc단의 전압이 낮을수록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기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인버터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 모두 턴 온 되거나 모두 턴 오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로 백터 없이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 신호가 상기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특정의 유효 벡터만이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기간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제1 개수의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제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에 출력하다가, 제2 개수의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제1 개수의 유효 벡터에 대응하는 제1 듀티와, 상기 제2 개수의 유효 벡터에 대응하는 제2 듀티의 평균인 제3 듀티를 가지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에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에 교류 전류와 직류 전류가 함께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dc단에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 및 속도를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추정된 속도와 속도 지령치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
    상기 전류 지령치, 및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
    상기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12.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
    상기 dc단의 전압을 검출하는 dc단 전압 검출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제로 백터 없이 유효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제어 신호가 상기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압축기 주변의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기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dc단의 전압이 낮을수록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기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13. dc단에 접속되는 커패시터;
    상기 dc단의 전압을 검출하는 dc단 전압 검출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커패시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시,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이 반복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상기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압축기 주변의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기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dc단의 전압이 낮을수록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기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의 개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개수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상기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3개의 유효 벡터 패턴 또는 6개의 유효 벡터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상기 인버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3개의 유효 벡터 패턴 또는 6개의 유효 벡터 패턴 구동시, 상기 인버터 내의 제1 상암 스위칭 소자의 턴 온 기간이, 다른 상암 스위칭 소자의 턴 온 기간 보다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상기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 중 제1 유효 벡터에 대응하는 상기 인버터 내의 제1 상암 스위칭 소자의 턴 온 기간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 사이에, 상기 인버터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이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특정의 펄스폭 가변(PWM) 제어 패턴에 의해 구동되는 턴 온 기간과, 상기 인버터 내의 삼상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오프 기간으로 구분되도록 제어하며,
    목표 전력 또는 목표 예열량에 따라, 상기 턴 온 기간 또는 상기 턴 오프 기간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
  20.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된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압축기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053321A 2016-03-14 2016-04-29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759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57,439 US10359223B2 (en) 2016-03-14 2017-03-13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CN201710145301.7A CN107196580B (zh) 2016-03-14 2017-03-13 压缩机驱动装置及具有该压缩机驱动装置的空调机
EP17160577.7A EP3220540B1 (en) 2016-03-14 2017-03-13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30222 2016-03-14
KR1020160030222 2016-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906B1 true KR101759906B1 (ko) 2017-07-31

Family

ID=5941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321A KR101759906B1 (ko) 2016-03-14 2016-04-29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59223B2 (ko)
EP (1) EP3220540B1 (ko)
KR (1) KR101759906B1 (ko)
CN (1) CN1071965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005A (ko) * 2019-01-18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압축기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8991B2 (en) * 2011-12-14 2019-02-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pump device, and air conditioner, heat pump water heater, refrigerator and freezing machine including heat pump device
US10130016B2 (en) * 2016-08-26 2018-11-13 TECO—Westinghouse Motor Company Modular size multi-megawatt silicon carbide-based medium voltage conversion system
WO2018047264A1 (ja) * 2016-09-08 2018-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6932063B2 (ja) * 2017-10-31 2021-09-08 日立Astemo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並びにブレーキ制御装置
JP2019103266A (ja) * 2017-12-04 2019-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多重巻線回転機の制御装置
EP3618213A1 (en) 2018-07-23 2020-03-04 Hoffman Enclosures, Inc. Three-phase electronic control unit for enclosure air conditioners
JP7168854B2 (ja) * 2019-01-15 2022-1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予熱運転方法
IT202000004474A1 (it) * 2020-03-03 2021-09-03 Marelli Europe Spa Metodo di controllo di un motore elettrico che aziona una pompa per alimentare un liquido operatore a base acqua
CN112728725B (zh) * 2021-01-22 2022-02-11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压缩机的控制装置、方法和空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540B2 (ja) 2004-05-13 2010-08-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と圧縮機の予熱方法
KR101198230B1 (ko) * 2005-12-30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전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253232B1 (ko) 2005-10-18 201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
JP2014100043A (ja) * 2012-10-19 2014-05-29 Mitsubishi Heavy Ind Ltd モータ駆動装置及びその放電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7504A (ja) 1993-12-15 1995-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三相電動圧縮機の予熱制御方法
JP3757745B2 (ja) * 2000-03-30 2006-03-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予熱電力の制御方法及び予熱発生機構
KR20050074706A (ko) 2004-01-14 2005-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운전 제어 방법
US20060130504A1 (en) * 2004-12-17 2006-06-22 Agrawal Nityanand J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a variable speed compressor
KR20100133636A (ko) 2009-06-12 201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US8605461B2 (en) * 2009-09-28 2013-12-10 Daikin Industries, Ltd. Phase current detection device and power conversion device using the same
EP2803922B1 (en) * 2012-01-04 2021-09-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pump device, air conditioner, and refrigerator
CN103913042B (zh) * 2013-01-02 2016-08-31 Lg电子株式会社 冰箱、家电及其操作方法
CN103743059B (zh) * 2013-12-23 2016-08-17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空调器及其压缩机的预加热控制方法、装置
US9602041B1 (en) * 2016-01-08 2017-03-21 Newfrey Llc Software-controlled electronic circuit for switching power to a three-phase mo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540B2 (ja) 2004-05-13 2010-08-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と圧縮機の予熱方法
KR101253232B1 (ko) 2005-10-18 201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98230B1 (ko) * 2005-12-30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전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JP2014100043A (ja) * 2012-10-19 2014-05-29 Mitsubishi Heavy Ind Ltd モータ駆動装置及びその放電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005A (ko) * 2019-01-18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압축기 제어 방법
KR102160050B1 (ko) * 2019-01-18 2020-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압축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0540A2 (en) 2017-09-20
US10359223B2 (en) 2019-07-23
US20170261246A1 (en) 2017-09-14
EP3220540B1 (en) 2020-08-26
CN107196580B (zh) 2020-06-09
EP3220540A3 (en) 2018-01-24
CN107196580A (zh)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906B1 (ko)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308028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EP3093584B1 (en) Outdoor fan motor driv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101737364B1 (ko) 공기조화기
KR20150141086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11940194B2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20170018689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485727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370444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50074754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936631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70036506A (ko) 칠러
KR102199378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102756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366586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40112298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888084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50067655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0444B1 (ko) 모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889777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칠러
KR102080519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343260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426372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379836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70018688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