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549A - 형성 장치 및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형성 장치 및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549A
KR20070041549A KR1020077002588A KR20077002588A KR20070041549A KR 20070041549 A KR20070041549 A KR 20070041549A KR 1020077002588 A KR1020077002588 A KR 1020077002588A KR 20077002588 A KR20077002588 A KR 20077002588A KR 20070041549 A KR20070041549 A KR 20070041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film
plate
press
transf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노리 가모
하지메 다나까
다꾸미 오구리
다께오 이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041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01Generalised techniques
    • H01J2209/012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01Generalised techniques
    • H01J2209/012Coating
    • H01J2209/015Machin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층이 형성된 전사 필름의 권취 부재로부터 전사 필름을 단부로부터 인출하는 필름 인출 기구(22)와, 인출된 전사 필름을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필름 반송 기구(1, 4, 23, 7)와, 이동 가능한 적재대(14)에 적재된 플레이트 상에 전사 필름을 압박하고 가열하여 소정층을 전사하는 전사 기구(6, 17, 18)와, 전사 필름으로부터 베이스 필름을 박리시키면서 권취하는 필름 권취 기구(8)와, 전사 기구와 동일한 하우징(BD) 상에 형성되고, 적재대를 이동하는 이동 기구(10, 11, 12, 13)와, 상기 하우징(BD) 상에 형성되고, 적재대 상의 플레이트를 프레스하는 프레스 기구(9, 24)와, 외부로부터 조작 지시를 받음으로써 플레이트 상에 소정층을 전사시켜 플레이트를 프레스시키기 위해 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2)를 갖는 형성 장치이며, 1대로 전사와 프레스를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전사 기구, 프레스 기구, 필름 반송 기구, 적재대, 제어부, 하우징

Description

형성 장치 및 형성 방법 {MOLDING DEVICE AND MOLD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이하, 「FED」라 칭함) 등의 평면형 화상 표시 장치의 플레이트 상에 수지층이나 메탈백층 등의 소정층을 형성하는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극선관(CRT)이나 FE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형광면에서는 형광체층의 내면(페이스 플레이트와 반대측의 면)에 Al 등의 금속막이 형성된 메탈백 방식의 구조가 널리 채용되어 있다.
이 메탈백 방식은 전자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에 의해 여기된 형광체층으로부터 금속막(메탈백층)측으로 발생하게 된 광을 반사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페이스 플레이트 전방면에 발광 에너지를 이송하는 것이나, 또한 형광면에 도전성을 부여하고 이를 전극으로서도 기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간편한 메탈백층의 형성 방법으로서, 이형제를 도포한 필름 상에 금속 증착막을 형성해 두고, 이 금속막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광체층 상에 전사하는 전사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63-102139호 공보를 참조).
이와 같은 전사 방식에서는 페이스 플레이트 주변부의 비표시 영역에 마스킹 테이프를 점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마스킹을 실시한 후, 전사 필름을 가열하면서 압 박하는 핫 스탬프법에 의한 전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핫 스탬프법에서는 소정의 치수로 재단된 베이스 필름에 금속막을 형성하여 전사 필름을 제작하고, 이 전사 필름의 금속막에 접착제를 전용의 도포 장치로 도포하고, 또한 이를 건조시키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인 인용 문헌에는 음극선관의 형광면의 제조 방법이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평면형 화상 표시 장치의 플레이트 상에 수지층이나 메탈백층 등의 소정층의 형성을 행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어떠한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형성해야만 하는지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 장치에서는 전사 처리와 프레스 처리를 어떻게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행하는지 불분명하고, 도1이나 도2는 이러한 작업 공정을 작업자의 보조에 의해 행하거나 또는 처리 공정의 개념을 도시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종래 장치에 있어서는 전사 처리와 프레스 처리를 작업자에게 번거롭게 하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확실하게 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형성 장치가 불명확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전사 처리와 프레스 처리의 2개의 공정은 자율적인 제조 장치와 동시에 행하는 것은 곤란하고, 또한 전사 장치와 프레스 장치의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여 행하면, 전사 종료한 플레이트를 스테이지로부터 취출하고, 프레스 장치의 기판 스테이지에 적재시키는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 방법에서는 플레이트의 취급 방법에 따라서는 플레이트에 찰상이나 크랙, 기판 엣지 이지러짐 불량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고, FP 제품으로서의 기능을 손상시켜 사용할 수 없게 될 경우가 있 다. 또한, 2개의 플레이트 스테이지를 이용하면, 각각의 스테이지에서의 압력 분포를 조정하는 초기 작업이 생겨 매우 부담이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전사 공정과 프레스 공정을 작업자에게 번거롭게 하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확실하게 행하기 위한 형성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사 공정과 프레스 공정을 동일한 하우징으로 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함으로써, 작업자에게 번거롭게 하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효율적인 형성 처리를 행할 수 있는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 상에 적어도 소정층이 형성된 전사 필름의 권취 부재로부터, 상기 전사 필름을 일단부측으로부터 인출하는 필름 인출 기구와, 상기 필름 인출 기구에 의해 일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사 필름을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필름 반송 기구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상기 소정층의 표면에 연직 방향측으로부터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 기구와, 이동 가능한 적재대에 적재된 플레이트 상에, 상기 필름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전사 필름을 압박하고 가열하여 상기 소정층을 접착제를 거쳐서 전사하는 전사 기구와, 상기 전사 기구에 의해 상기 소정층이 전사된 상기 전사 필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필름을 박리시키면서 권취하는 필름 권취 기구와, 상기 전사 기구와 동일한 하우징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적재대를 이동하는 이동 기구와, 상기 하우징 상에 마찬가지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적재대 상의 상기 플레이트를 프레스하는 프레스 기구와, 외부로부터 조작 지시를 받음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소정층을 전사시켜 상기 플레이트를 프레스시키기 위해 상기 전사 기구와 상기 이동 기구와 상기 프레스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하우징에 전사 기구와 이동 기구와 프레스 기구를 병설함으로써 플레이트를 치환하는 작업을 요하는 일이 없게 되고, 한 사람의 작업원이 조작 패널로부터 지시를 부여하는 것만으로 전사 동작과 프레스 동작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에서는 전사 필름의 하방(연직 방향측)으로부터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접착제의 소부를 회피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 전사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 전사 롤러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페이스 플레이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페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메탈백 첨부 형광면을 구비하는 FED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의 전기적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럭도이 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의 형성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의 전사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의 프레스 구성에 있어서의 프레스 롤러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페이스 플레이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페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메탈백 첨부 형광면을 구비한 FED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의 전기적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의 형성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BD) 상에 각 부가 설치되는 것이며, 전사 기구, 이동 기구, 프레스 기구, 제어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는, 전사 기구로서 전사 필름(F)의 반송로에 따라 전사 필름 권취 롤러(22)와, 전사 필름(F)의 가이드 롤러(1, 4, 23)와, 전사 필름 주름 제거 롤러(5)와, 필름 장력 조정 롤러(7)와, 전사 필름(F)에 장력을 부여하는 백텐션 롤러(16)와, 전사 필름 권취 롤러(8)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는 전사 기구로서 또한 접착제의 도장 기구로서 코터(3)와, 바코터 롤러(2)와, 접착제 건조 장치(19)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는 전사 기구로서 정전기 제거 장치(20, 21)를 갖고 있어, 전사 필름(F)으로부터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있고, 또한 전사 기구로서 고무로 된 전사 롤러(6)와 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기구(17) 및 전사 롤러(6)를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8)을 적어도 갖고 있다.
여기서, 필름 권취 롤러(22)는 베이스 필름(36b) 상에 박리층을 거쳐서 금속막(36a)이 형성된 전사 필름(F)을 롤형으로 권취한 권취 부재로부터, 전사 필름(F)을 일단부측으로부터 인출하는 롤러이다. 전사 필름 주름 제거 롤러(5)는 반송 중의 전사 필름(F)을 그 폭 방향으로 인장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롤러, 예를 들어 익스팬더 롤 등이다.
또한, 코터(3)와, 바코터 롤러(2)는 전사 필름(F)의 금속막 등의 소정층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코터(3)와 바코터 롤러(2)는 동조하여 움직이는 기구로 되어 있다. 접착제 건조 장치(19)는 접착제를 도포한 전사 필름(F)에 상온(20 ℃)의 바람을 송풍하고, 동시에 온풍을 송풍 건조시킨다. 가이드 롤러(1)는 전사 필름(F)의 반송 방향을 반전시킨다(절환함). 이 가이드 롤러(1)를 포함하는 각종 롤러는 인출된 전사 필름(F)을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정전기 제거 장치(20, 21)는 반송 중의 전사 필름(F)에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비접촉식으로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는 이동 기구로서,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와, 이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레일(10, 12)과,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를 이동하는 직동 기구(볼 나사)(11)와, 기판 스테이지 이동 모터(13)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는 프레스 기구로서 프레스 롤러(9)와, 이 프레스 롤러(9)의 가압 기구(24)를 적어도 갖고 있다.
여기서,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는 전사 필름(F)을 끼워서 전사 롤러(6)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형광체 스크린(32)이 형성된 페이스 플레이트(37)가 적재된다. 또한,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는 전사 롤러(6)에 의한 전사 필름(F)의 압박 시 지지대로서 기능하고, 전사 필름(F)의 순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이드 롤러(1, 4, 23)는 반송 중의 전사 필름(F)을 반송 가이드측(도시 생략)으로 압박함으로써 전사 필름(F)의 두께 방향의 반송 위치를 규제한다. 필름 장력 조정 롤러(7)는 반송 중의 전사 필름(F)에 소정의 텐션(장력)을 부여한다. 전사 필름 권취 롤러(8)는 전사 처리가 시행된 전사 필름(F)으로부터 베이스 필름(36b)을 박리시키면서, 그 반송 방향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순차 권취를 행한다.
이때, 전사 필름의 베이스 필름 박리 속도를, 매분 0.1m 단위로 최대 매분 10m까지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전사 필름(F)의 특성을 고려할 때에 바람직하다. 즉, 도2의 전사 롤러(6), 전사 필름 주름 제거 롤러(5), 가이드 롤러(23)는 동일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전사 롤러(6)가 이동되면 그에 동조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전사 롤러(6)가 전사 필름(F)을 플레이트(37) 상에서 가압하고, 금 속막(36a)을 전사시킨 후에 전사 롤러(6)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원점 위치로 복귀할 때에 전사 필름 주름 제거 롤러(5)가 지지점이 되어 전사 필름(F)의 베이스 필름(36b)이 박리된다. 이 전사 롤러(6)가 원점 위치로 복귀하는 속도가 베이스 필름 박리 속도이며, 이 값이 매분 0.1m로부터 0.1m 단위로 매분 10m까지 설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는, 이러한 전사 기구, 이동 기구, 프레스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조작 패널(51)로부터의 제어 신호나 센서 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어 신호를 각 모터 등에 공급하는 조작 패널(51)을 갖는 제어부(52)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는 전기적 구성의 일례로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51)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받는 제어부(52)와, 여기서부터 제어 신호가 공급되는 각 구동부(53)를 갖고 있다. 또한, 형성 장치는 전사 기구로서, 각 구동부(53)로부터 구동 신호가 공급되고, 전사 롤러(6)를 회전시키는 전사 롤러 회전 모터(54)와, 전사 롤러(6)를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센서(55)를 수반하는 전사 롤러 이동 모터(56)와, 전사 필름 권취 롤러(22)를 회전시키기 위한 인코더(58)를 수반하는 전사 필름 권취 모터(59)와, 전사 필름 권취 롤러(8)를 회전시키기 위한 인코더(60)를 수반하는 전사 필름 권취 모터(61)와, 바코터 롤러(2)를 회전시키기 위한 인코더(60)를 수반하는 바코터 롤러 회전ㆍ이동 모터(63)와, 접착제 건조 장치인 드라이어(19)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는 이동 기구로서 스테이지 이동 모터(13)를 갖고 있고, 위치 센서(66)를 수반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는 프레스 기구로서 프레스 롤러(9)를 회전하는 프레스 롤러 회전 모터(67)와, 이 프레스 롤러(9)를 이동하기 위한 위치 센서(69)를 수반하는 프레스 롤러 이동 모터(68)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가 취급하는 전사 필름(F)과 플레이트>
또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가 취급하는 전사 필름(F)과 플레이트(37)의 일례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가 취급하는 전사 필름(F)과 플레이트(37)의 일례에 있어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37)는 형광체 스크린(32)과 주변 블랙 매트릭스(33), 외측 프레임부(34), 또한 그 위에 마스킹 테이프(35)를 수반하고 있다.
또한, 이에 전사되는 전사 필름(F)은 베이스 필름(36b)과, 전사시키고자 하고 있는 금속막(36a)을 적어도 갖고 있다. 또한, 여기서 전사 필름(F)의 이형제층 및 필름 접착제층은,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형성되는 FED(31)의 개략적 구성에 대해 도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FED(31)는 메탈백 부착 형광면을 구비하고 있고, 메탈백 부착 형광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페이스 플레이트(37)의 내면에 흑색 안료로 이루어지는, 예를 들어 스트라이프형의 광흡수층(차광층)을 포토리소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어서, ZnS계, Y2O3계, Y2O2S계 등, 각 색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도포하여 건조하고, 포토리소법을 이용하여 패터닝을 행한다. 이렇게 하여, 적색(R), 녹색(G), 청색(B)의 3색의 형광체층을 광흡수층의 패턴 사이에 형성하여 형광체 스크린(32)을 형성한다. 또한, 각색의 형광체층의 형성을 스프레이법이나 인쇄법으로 행할 수도 있다. 또한, 페이스 플레이트(37)의 내면에 있어서, 이와 같은 형광체 스크린(32)의 주위의 비표시 영역에 흑색 안료로 이루어지는 주변 블랙 매트릭스(33)와 은페이스트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부(34)를 각각 형성한다.
다음에, 주변 블랙 매트릭스(33) 및 외측 프레임부(34)가 형성된 비표시 영역에 마스킹 테이프(35)를 형광체 스크린(32)의 외주 모서리부를 덮도록 부착한다. 이어서, 이와 같이 마스킹된 형광체 스크린(32) 상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필름(36b) 상에 이형제층, Al 등의 금속막(36a) 및 필름 접착제층이 차례로 적층된 전사 필름(F)을 배치하고 금속막(36a)을 전사한다.
전사 필름의 이형제로서는 초산셀룰로스, 왁스, 지방산, 지방산아미드, 지방산에스테르, 로진, 아크릴 수지, 실리콘, 불소 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들 중으로부터 베이스 필름 및 후술하는 보호막 등 사이의 박리성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하여 사용된다. 또한, 필름 접착제로서는 아세트산비닐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스틸렌아크릴산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 삼원중합체 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한, 이형제층과 금속막 사이에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등을 베이스로 하고 유연제가 배합된 보호막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의 처리 동작>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에 의해, 전사 필름(F)을 형광체 스크린(32) 상으로부터 비표시 영역의 마스킹 테이프(35)에 걸치도록 배치하고, 금속막(36a)을 전사하여 메탈백층을 형성하고,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를 이동한 후에 프레스 공정을 행하는 처리의 동작 순서에 대해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에 기판인 페이스 플레이트(37)를 두고 조작 패널의 시작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52)는 제어부(52)에 내장된 메모리 영역 등에 미리 저장된 프로세스 제어 프로그램 등을 따라서, 이를 인식하여 각 인코더부 및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식별하고, 이들에 따른 적절한 제어 신호를 구동부(53) 등에 공급한다(S11).
다음에, 베이스 필름(36b) 상에 이형제층을 거쳐서 금속막(36a)이 형성된 전사 필름(F)이 전사 필름 권취 롤러(22)에 롤형으로 권취되어 있고, 소정 시간만큼 시트를 권취한다(S12). 이 전사 필름 권취 롤러(22)로부터 인출된 전사 필름(F)에 대해, 제전 효과가 있는 바람을 비접촉식의 정전기 제거 장치(20, 21)로부터 송풍하여 전사 필름(F)에 대전되어 있는 정전기를 제거하거나 또는 저감시킨다. 여기서, 정전기가 전사 필름(F)에 대전된 경우의 폐해로서는 주변의 부유물(먼지 등)이 전사 필름(F)에 흡입되고, 그 후 접착제 도포 시에 부착물이 접착제 도포 얼룩을 유발하고, 접착제층에 결함을 발생시켜 정상의 접착제층을 얻을 수 없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폐해가 정전기 제거 장치(20, 21)에 의해 억제된다.
대전된 정전기가 제거된 전사 필름(F)은 필름 주름 제거 롤러(5)와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그 필름 표면의 주름이 제거된다. 가이드 롤러(1)를 통과한 전사 필 름(F)의 금속막(36a)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코터(3)를 상승시켜 시트의 하방(연직 방향측)으로부터 접착제를 도포한다(S13).
즉, 만약에 전사 필름(F)의 상방으로부터 접착제가 도포되면, 접착액이 시트 단부로 이동하여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방울로 떨어져 반대면으로 접착제가 돌아들어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전사 롤러 및 가이드 롤러에 접착제 가스가 부착된 상태가 되어 접착제 가스가 소부되고, 그 부분의 롤러 표면 평탄도가 없어져 전사 시에 베이스 필름을 찢고, 전사해야 할 금속막도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여기서 하방으로부터 도포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코터(3)에 의한 도포 방법으로서는 본 실시 형태의 바코터 롤러(2)를 거친 도포 방법 외, 그라비아 롤을 이용한 도포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전사 필름(F)의 금속막(36a) 상에 소정 길이의 접착제 도포가 행해진 후에, 바코터 롤러(2)와 코터(3)가 전사 필름(F)으로부터 떨어져 하방의 초기 위치까지 내려간다(S14). 이와 같이 하여 코터(3)에 의해 전사 필름(F)의 금속막(36a) 상에 형성된 접착제를 접착제 건조 장치(19)에 의해 건조시킨다(S15). 이때, 건조기(19)로부터는 최초에는 상온(18 ℃ 내지 25 ℃)이 취출되고, 소정의 시간에 도달하면 열풍이 취출된다. 그리고, 송풍 시 풍속을 낮게 하고, 건조 시 풍속을 높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 필름(F)의 접착제 도포면과 반대측의 베이스 필름측에 접착제 건조 장치(19)로 제전 효과가 있는 바람을 송풍함으로써, 접착제 건조 과정으로 주변의 부유물(쓰레기 등)이 전사 필름(F)의 접착제 도포면에 흡입되는 것을 막고, 부 착물 기인의 접착제 도포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사 필름(F)의 인출로부터 접착제 도포 및 건조까지의 일련의 공정은 연동하고 있고, 전사 필름(F)의 반송 속도는 매분 0.1m 단위로 설정 가능하고, 매분 0.1m 내지 매분 10m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도포 시간은 1초 단위로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전사 필름(F)에 대한 접착제의 도포 길이는 전사 필름(F)의 반송 속도와 접착제 도포 시간의 관계식(접착제 도포 길이 = [필름 반송 속도] × [접착제 도포 시간])으로부터, 접착제 도포 시간을 임의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 상에 적재되어 있는 페이스 플레이트(37)는 광흡수층(차광층) 및 적색, 청색, 녹색의 형광체층이 스트라이프형으로 배열된 형광체 스크린(32)을 갖고 있고, 형광체 스크린(32)면을 위로 하도록 적재되어 있다. 페이스 플레이트(37)의 내면에 있어서, 이와 같은 형광체 스크린(32)의 주위의 비표시 영역에는 흑색 안료로 이루어지는 주변 블랙 매트릭스(33)와, 은페이스트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주변 블랙 매트릭스(33) 및 외측 프레임부(34)가 형성된 비표시 영역에 대해, 형광체 스크린(32)의 외주 모서리부를 덮도록 마스킹 테이프(35)를 부착한다. 또한, 이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에는 페이스 플레이트(37)의 위치 어긋남 방지 기구가 장착되어 있고, 페이스 플레이트(37)의 사이즈에 의해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부(52)의 구동부(53)의 제어에 따라 스테이지 이동 모터(13) 등 의 회전에 의해, 금속막(36a)의 표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전사 필름(F)을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 상의 소정 위치까지 반송시킨다. 이때, 전사 필름(F)의 방향은 필름 가이드 롤러(1, 4, 23)에 의해 바닥면에 대해 수평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전사 롤러(6)를 이동하고 강하시켜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 상의 페이스 플레이트(37)의 형광체 스크린(32)면에 시트 상의 금속막을 전사시킨다(S16). 이때, 제어부(52)의 구동부(53)의 제어에 따라서 전사 롤러 회전 모터(54) 및 전사 롤러 이동 모터(56)의 동작에 의해, 전사 롤러(6)는 소정 위치로 이동되어 소정의 속도에서 회전됨으로써 전사 처리가 행해진다. 전사 처리가 끝나면, 전사 롤러(6)를 상방에 퇴피시킨다(S17). 이후, 전사 필름(F)의 베이스 필름(36b)을 박리하였다.
여기서, 전사 롤러(6)로서는 철제 등의 금속제 코어 재료의 외주면에 천연 고무나 실리콘 고무의 피복층을 형성한 고무 롤러 등이 적용된다. 고무 피복층의 경도는 70 내지 100도로 하고 두께는 5 내지 3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전사 롤러(6)를 압박부인 고무층 표면의 온도가 150 ℃ 내지 240 ℃가 되도록 가열하고, 압박하면 매분 1.0m로부터 매분 8.0m의 속도로 전사 필름(F)에 있어서의 베이스 필름(36b)의 표면 상을 이동시켜 금속막(36a)을 접착시킨다. 또한, 압력은 300 ㎏f/㎠ 내지 1500 ㎏f/㎠의 범위(예를 들어, 500 ㎏f/㎠)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 롤러(6)의 표면 온도와 압박력 및 압박 속도에 대한 상기 범위는 전사 롤러(6)가 접함으로써, 전사 필름(F)이 충분히 가열된 상태에서 압박되기 위해 필요 충분 조건이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도2에 도시한 형광체 스크린(32)과 금속 막(36a) 사이의 밀착성이 부족해지고, 금속막(36a)의 전사 불량이 생기거나 베이킹 후에 균열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즉, 전사 롤러(6)의 표면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고무가 열에 의해 손상되어 압박 기능을 하지 않게 되고, 또한 압박 속도가 너무 늦으면 베이스 필름(36b)이 지나치게 가열되어 연화 또는 용융되고, 박리 시에 끊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전사 롤러(6)의 표면 온도가 지나치게 낮거나 또는 압박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필름 접착제의 가열이 불충분해지고, 금속막(36a)의 접착이 불충분하게 되어 부분적으로 전사 불량이 생기거나 또한 수율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전사 롤러(6)는 롤러 본체가 상하로 이동하는 가압 기구(17)를 구비하고 있고, 압박값이 0 내지 1500 ㎏f/㎠의 범위로 조정 가능하다. 또한, 전사 롤러(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사 필름(F)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전사 롤러(6)의 이동 속도, 즉 전사 속도는 매분 0.1m 내지 매분 10.0m의 범위로 하고, 매분 0.1m 단위로 설정값을 임의로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전사 필름(F)에, 가령 주름이 다수 존재한 상태에서 전사를 강행하면, 메탈백층에 균열이나 주름 형상의 결함이 발생되어 정상인 메탈백이 실시되지 않고, 소정의 기능이 현저하게 손상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로는 전사 롤러(6)에 의해 가열하면서 압박할 때, 필름 주름 제거 롤러(5)의 작용에 의해 전사 필름(F)의 주름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로 얻을 수 있는 메탈백층(39)의 품질이 양호해진다.
또한, 전사 필름(F)을 향해 정전기 제거 장치(20, 21)로부터 제전 효과가 있는 바람을 송풍함으로써, 정전기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때, 정전기의 발생을 방치하면, 주변의 부유물 등이 전사시킨 메탈백층에 부착될 우려가 있고, 그 상태에서 다음의 프레스 과정으로 진행되면 메탈백층에 균열이나 구멍 형성 등의 결함을 발생시켜 소정의 기능을 현저하게 손상시키게 된다.
전사 처리가 종료된 전사 필름(F)의 베이스 필름(36b)은 전사 종료 후, 텐션 롤러(16)를 통과하여 전사 필름 권취 롤러(8)에 의해 권취한다. 이 전사 필름 권취 롤러(8)는 전사 필름 권취 모터(61) 및 인코더(6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52) 및 구동부(53)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대기 시에는 필름이 반송되지 않도록 장력을 유지하는 백텐션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여 전사 필름(F)을 형광체 스크린(32) 상에 배치한 후, 전사 롤러(6)에 의해 가열하면서 압박하여 필름 접착제층을 형광체 스크린(32)의 상면에 접착한다. 그리고, 페이스 플레이트(37)의 형광체 스크린(32) 상에 마스킹 테이프(35) 상으로부터 Al 등의 금속막(36a)을 전사한 후, 상면에 형성된 금속막(36a)과 마스킹 테이프(35)를 박리하고, 마스킹 테이프(35)의 비형성 영역에만 금속막(36a)을 잔류시킨다.
이에 의해 접착제의 도포나 그 건조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한 전사 필름 상에 생길 우려가 있는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정전기에 의한 전사 필름 상으로의 이물질의 부착을 저감함으로써 메탈백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후에 제어부(52) 및 구동부(53)의 동작에 따라 스테이지 이동 모터(13)의 회전에 의해,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가 가이드 레일(10, 12)에 따라 전사 섹션으로부터 프레스 섹션인 프레스 롤러(9)쪽으로 이동되고, 프레스 롤러(9)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서 위치 센서(66)를 센싱함으로써 정지한다(S18). 그 후에 프레스 롤러(9)는 가압 기구(24)의 작용에 따라 하방으로 승강되고(S19), 전사된 금속막(36a)을 가열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압박하여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가 이동한다(S20). 그 후, 종점에 도달하면 프레스 롤러(9)를 상방으로 퇴피시킨다(S21). 그리고, 기판 스테이지(적재대)(14)를 단부까지 이동한다(S22). 위치 센서(66)가 이동을 검지하면, 제어부(52)의 작용에 의해 전사 공정과 프레스 공정이 종료된 것을, 조작 패널(51)의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작업자는 모든 공정이 종료된 것을 인식한 것이다(S23).
이와 같이 전사 기구와 이동 기구와 프레스 기구를 하나의 하우징(BD) 상에 형성하고, 1개의 제어부(52)의 프로세스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함으로써 도중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한, 작업자는 비로소 조작 패널(51)로부터 시작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그 후에 특히 지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전사 공정과 프레스 공정을 행할 수 있다. 이는, 도8의 흐름도로부터도 작업자의 지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사 공정 프레스 공정이 행해짐으로도 명확하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는 전사 기구와 프레스 기구를 동일한 하우징(BD) 상에 형성하여 1개의 제어부(52)에서 동작 제어함으로써, 플레이트(37)를 기판 스테이지(14)로부터 옮기는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전사 종료된 기판을 스테이지로부터 취출하고, 프레스 장치의 기판 스테이지에 적재할 때에, 기판의 취급 방법에 따라서는 기판에 찰상이나 크랙, 기판 엣지 이지러짐 불량이 발생되거나 페이스 플레이트 제품으로서의 기능을 손상시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종래 장치와 같이 2개의 기판 스테이지를 이용함으로써 스테이지에서의 압력 분포를 조정하는 등의 초기 작업으로 작업자에게 큰 부담을 주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일단 플레이트(37)를 기판 스테이지(14)에 설정하여 조작 패널(51)로부터 시작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전사 공정과 프레스 공정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상술한 전사 처리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에 의해 메탈백층이 되는 금속막(36a)을 형성하는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형광면의 형성이 반드시 평면을 얻는 것일 수 없으므로, 금속막(36a)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 대책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필름(F)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니트로셀룰로스 등의 투과성이 높은 수지층(42)을 금속막(36a) 대신에 전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전사 처리는, 상술한 금속막의 전사 처리의 경우와 층이 교체되는 것만으로, 행해지는 공정은 같다.
니트로셀룰로스 등의 투과성이 높은 수지층(42)을 금속막(36a) 대신에 전사시키는 경우에는, 수지층(42)을 전사시킨 후 그 위에 금속막을 다른 제조 장치로 증착시키게 되지만, 그 때에 수지층(42)은 증발되므로, 형광면이 완전한 평면을 갖 지 않아도 이상적인 메탈백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형성 프로세스의 일례)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를 이용한 형성 프로세스로 일 실시 형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페이스 플레이트(37)의 내면에 흑색 안료로 결정되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광흡수층(차광층)을 포토리소법에 의해 형성한 후, ZnS계, Y2O3계, Y2O2S계 등 각 색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포트리소법을 이용하여 패터닝을 행하였다. 그리고, 차광부 사이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3색의 형광체층을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각각이 인접하도록 형성하여 형광체 스크린(32)을 형성하였다. 또한, 페이스 플레이트(37)의 내면에 있어서, 이와 같은 형광체 스크린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 흑색 안료로 이루어지는 주변 블랙 매트릭스(33) 및 은페이스트막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부(34)를 차례로 형성하였다.
다음에, 도4에 도시한 전사 필름(F), 즉 필름 두께 20 ㎛의 폴리에스테르제 베이스 필름(36b) 상에 0.5m 두께의 이형제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Al을 증착하여 두께 50 ㎚의 금속막(Al막)(36a)이 형성된 롤형의 전사 필름(F)을, 도2에 도시한 메탈백층의 형성 장치(1)의 최상류측의 전사 필름 권취 롤러(22)에 설치하였다. 다음에, 이 전사 필름(F)을 가이드 롤러(1, 4, 23)를 지나 최하류측의 전사 필름 권취 롤러(8)까지 통과시켰다. 그리고, 전사 필름 권취 롤러(22)의 구동 모터부에 는 전사 필름의 권취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전사 필름을 권취하고자 하는 백텐션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전사 필름 권취 롤러(22)와 전사 필름 권취 롤러(8)의 토크비를 조정하여 텐션(장력)을 가하였다.
계속해서, 이 전사 필름(F)의 금속막(Al막)(36a) 상에, 토루엔 90부, 아세트산비닐 10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코터(3)의 바코터 롤러(2)를 통해 도포하였다. 이후, 도포된 접착제에 대해 건조 장치(19)로부터 최초에는 상온(20 ℃)의 바람을 5초간만 송풍하고, 그 후에 건조 장치(19)로부터 온풍(온도 80 ℃)을 송풍하여 접착제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 전사 필름(F)을 적재대(14)까지 반송하고, 이 적재대(14)에 적재된 페이스 플레이트(37)의 내면의 형광체 스크린(형광체층)(32)에 접하도록 배치하였다. 이후, 고무 경도가 80도, 표면 온도를 200 ℃로 가열한 고무제의 전사 롤러(6)에 의해, 매분 4.0m의 속도 및 500 ㎏f/㎠의 압력으로 압박 및 압착하고, 이어서 베이스 필름(36b)을 박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페이스 플레이트(37)의 형광체 스크린(32) 상에 메탈백층(Al막층)(39)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고무 경도 80도, 표면 온도를 175 ℃로 가열한 고무제의 프레스 롤러(9)에 의해, 매분 1.0m의 속도 및 900 ㎏f/㎠의 압력으로 압박하고, 페이스 플레이트(37)의 내면의 형광체층(22) 상에 전사된 메탈백층(Al막층)(39)을 밀착시켰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메탈백층(Al막층)(39)이 전사에 의해 형성된 페이스 플레이트(37)를, 450 ℃로 가열(베이킹)하여 유기분을 분해 제거하고, 메탈백 부착 형광면을 형성하였다. 그 후,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메탈백 부착 형광면을 갖는 페이 스 플레이트(37)를 사용하고, 보통의 방법에 의해 FED(31)를 제작하였다.
즉, 기판 상에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다수 형성한 전자 발생원을 유리 기판에 고정하고, 리어 플레이트(38)를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 리어 플레이트(38)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37)를, 지지 프레임(36) 및 스페이서를 거쳐서 대향 배치하고, 플릿 유리에 의해 밀봉 부착하였다. 그 후에 밀봉 및 배기 등,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고 10형 컬러 FED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한 FED(31)에 대해, 전자선 가속 전압 5 ㎸로 1000 시간 구동 시험을 행한 바, 방전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메탈백 부착 형광면을 애노드 전극으로 하는 FED(31)에 대해, 도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이 FED(31)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로 형성된 메탈백 부착 형광면을 갖는 페이스 플레이트(37)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전자 방출 소자(38a)를 갖는 리어 플레이트(38)가, 수 ㎜ 정도의 좁은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되고, 페이스 플레이트(37)와 리어 플레이트(38) 사이에 5 내지 15 ㎸의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페이스 플레이트(37) 상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광흡수층 및 형광체층을 갖는 형광체 스크린(32)이, 또한 그 위에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형성 장치로 형성된 메탈백층(3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좌우로 지지 프레임(측벽)(4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페이스 플레이트(37)와 리어 플레이트(38)의 간극이 매우 좁고, 이러한 사이에서 방전(절연 파괴)이 일어나기 쉽지만, 이 FED(31)에서는 요철이나 균열 및 주름 등이 없이 평활하면서 평탄한 메탈백층(39)을 갖고 있어, 메탈백층(39)과 하층의 형광체 스크린(32) 사이의 밀착성이 높다. 또한, 고휘도로 색순도가 높고 신뢰성이 우수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기재한 여러 가지 실시 형태에 의해, 당업자는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지만, 또한 이러한 실시 형태의 여러 가지 변형예를 생각하는 것이 당업자에게 의해 용이하고, 발명적인 능력을 갖지 않아도 여러 가지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원리와 신규인 특징에 모순되지 않는 광범한 범위에 미치는 것이며,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미리 금속막(36a)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해 두고, 이와 같이 접착제층이 형성된 전사 필름(F)을 권취층 사이에 박리지를 끼워 넣는 등의 방법으로 권취하고, 인출 롤러(2)로부터 인출하면서 형광체 스크린 상에 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2)

  1. 베이스 필름 상에 적어도 소정층이 형성된 전사 필름의 권취 부재로부터, 상기 전사 필름을 일단부측으로부터 인출하는 필름 인출 기구와,
    상기 필름 인출 기구에 의해 일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사 필름을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필름 반송 기구와,
    이동 가능한 적재대에 적재된 플레이트 상에, 상기 필름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전사 필름을 압박하고 가열하여 상기 소정층을 전사하는 전사 기구와,
    상기 전사 기구에 의해 상기 소정층이 전사된 상기 전사 필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필름을 박리시키면서 권취하는 필름 권취 기구와,
    상기 전사 기구와 동일한 하우징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적재대를 이동하는 이동 기구와,
    상기 하우징 상에 마찬가지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적재대 상의 상기 플레이트를 프레스하는 프레스 기구와,
    외부로부터 조작 지시를 받음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소정층을 전사시켜 상기 플레이트를 프레스시키기 위해 각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한번 조작 지시를 받으면, 그 이상의 지시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전사 공정ㆍ이동 공정ㆍ프레스 공정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형성 장치.
  3. 이동 가능한 적재대에 적재된 플레이트 상에,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소정층을 압박하여 전사하는 전사 기구와,
    상기 전사 기구와 동일한 하우징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적재대를 이동하는 이동 기구와,
    상기 하우징 상에 마찬가지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적재대 상의 상기 플레이트를 프레스하는 프레스 기구와,
    외부로부터 조작 지시를 받음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소정층을 전사시켜 상기 플레이트를 프레스시키기 위해 상기 전사 기구와 상기 이동 기구와 상기 프레스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기구는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상기 소정층의 표면에 연직 방향측으로부터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 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기구는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어도 상기 소정층이 형성된 전사 필름의 권취 부재로부터, 상기 전사 필름을 일단부측으로부터 인출하는 필름 인출 기구와,
    상기 필름 인출 기구에 의해 일단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사 필름을 하 류측으로 반송하는 필름 반송 기구와,
    상기 필름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전사 필름을, 상기 플레이트 상의 형광면에 압박하면서 가열하여 상기 소정층을 접착제층을 거쳐서 전사하는 전사 기구와,
    상기 전사 기구에 의해 상기 소정층이 전사되는 상기 전사 필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필름을 박리시키면서 권취하는 필름 권취 기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기구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소정층을 압박하여 전사하기 위한 전사 롤러의 회전 모터와, 상기 전사 롤러를 상기 플레이트로 유도하기 위한 전사 롤러 이동 모터를 적어도 갖고 있는 형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인출 기구의 근방의 하류측 위치 및 상기 전사 기구의 설치 위치의 근방에, 상기 전사 필름 상에 발생할 수 있는 주름을 제거하는 주름 제거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인출 기구의 근방의 하류측 위치와, 상기 접착제 도포 기구의 하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전사 필름의 접착제 도포면과 반대측의 베이스 필름 표면측 및 상기 전사 기구의 설치 위치의 근방에, 상기 전사 필름에 대전한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제거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반송 기구에 의한 상기 전사 필름의 반송 속도는 매분 0.1m 내지 매분 10m의 범위 내에서 조정 가능한 동시에 접착 도포 시간을 1초 단위로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기구는 상기 전사 필름으로의 압박력이 300 ㎏/㎠ 내지 1500 ㎏/㎠의 범위로, 또한 가열 온도가 150 ℃ 내지 240 ℃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와 상기 전사 롤러는 상기 필름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전사 필름을 끼워 상기 전사 기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필름의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매분 0.5m 내지 10m의 범위의 이동 속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 장치.
  12. 이동 가능한 적재대에 적재된 플레이트 상에,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소정층을 압박하여 전사하고,
    상기 전사를 위한 기구와 동일한 하우징 상에 형성된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대를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 상에 형성된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된 상기 적재대 상의 상기 플레이트를 프레스하는 형성 방법.
KR1020077002588A 2004-07-02 2005-06-29 형성 장치 및 형성 방법 KR200700415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6892 2004-07-02
JPJP-P-2004-00196892 2004-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549A true KR20070041549A (ko) 2007-04-18

Family

ID=3578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588A KR20070041549A (ko) 2004-07-02 2005-06-29 형성 장치 및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63991A1 (ko)
EP (1) EP1770744A1 (ko)
KR (1) KR20070041549A (ko)
CN (1) CN1981358A (ko)
TW (1) TW200620385A (ko)
WO (1) WO20060039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222B1 (ko) * 2011-06-30 2013-08-14 주식회사 디엠에스 임프린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프린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1225A (zh) * 2018-12-31 2019-03-22 焦作飞鸿安全玻璃有限公司 一种注塑产品表面金属效果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7798A (en) * 1982-09-29 1985-12-10 Corning Glass Works Television tube with optional shadow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310139B2 (ja) * 1995-08-10 2002-07-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ィルム転写装置
JP2001180194A (ja) * 1999-12-24 2001-07-03 Sanko:Kk 金属材にフィルムを転写する装置
JP2002148424A (ja) * 2000-11-10 2002-05-2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2003031113A (ja) * 2001-07-10 2003-01-31 Toshiba Corp メタルバック付き蛍光面と画像表示装置およびメタルバック付き蛍光面の形成方法
JP4068070B2 (ja) * 2004-01-13 2008-03-26 株式会社東芝 メタルバック層の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222B1 (ko) * 2011-06-30 2013-08-14 주식회사 디엠에스 임프린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프린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0385A (en) 2006-06-16
WO2006003944A1 (ja) 2006-01-12
US20070163991A1 (en) 2007-07-19
EP1770744A1 (en) 2007-04-04
CN1981358A (zh)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8617B2 (en) Flat cathode-ray tube including a transfer foil laminate adhered to a screen panel
ITRM930057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o per la rimozione del foglio di copertura da pannelli laminati.
EP0837486A2 (en) Gas discharge type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for gas discharge type display panel, and displaying arrangement using gas discharge type display panel
JP4068070B2 (ja) メタルバック層の形成装置
KR20070041549A (ko) 형성 장치 및 형성 방법
WO2023241460A1 (zh) 一种冷烫膜输送装置
JP4132284B2 (ja) 化粧シート貼り板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6049291A (ja) 形成装置及び形成方法
KR100428598B1 (ko) 전사 방법 및 전사 장치
US7011886B2 (en) Transfer film, method for fabricating thin film for display apparatus panel using the transfer film,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in film fabricated by the method
KR100761396B1 (ko) 메탈백이 구비된 형광면의 형성 방법
EP4364957A1 (en) Digital printing apparatus
KR100395282B1 (ko) 전사박, 편평형 음극선관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51614A (ko) 알루미늄을 이용한 금속판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H07333421A (ja) 表面修正装置
KR20210151623A (ko) 알루미늄을 이용한 금속판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H07272625A (ja) シート貼り付け装置
KR20030053850A (ko) 후막소자 및 후막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97762A (ko) 메탈백 부착 형광면의 형성 방법
CN101197232B (zh) 等离子体显示器中介质层的制作方法
JPH074519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障壁形成方法
JP2001079467A (ja) カラーディスプレイパネルへの感光性樹脂の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コーティング方法
JPH06148415A (ja) カラ−フィルタの製造装置
JPH0521005A (ja) パターン焼付け版の保護フイルム貼合わせ装置
KR20030014984A (ko) 칼라음극선관의 스크린 구조 및 그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