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425A - 진동판과 그것을 이용한 스피커 - Google Patents
진동판과 그것을 이용한 스피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41425A KR20070041425A KR1020067017565A KR20067017565A KR20070041425A KR 20070041425 A KR20070041425 A KR 20070041425A KR 1020067017565 A KR1020067017565 A KR 1020067017565A KR 20067017565 A KR20067017565 A KR 20067017565A KR 20070041425 A KR20070041425 A KR 200700414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le
- diaphragm
- center point
- shape
- cent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BGPVFRJUHWVFKM-UHFFFAOYSA-N N1=C2C=CC=CC2=[N+]([O-])C1(CC1)CCC21N=C1C=CC=CC1=[N+]2[O-] Chemical compound N1=C2C=CC=CC2=[N+]([O-])C1(CC1)CCC21N=C1C=CC=CC1=[N+]2[O-] BGPVFRJUHWVFK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27—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dome-shap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207—Shape aspects of the outer suspension of loudspeaker diaphrag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중앙부에 보이스 코일 고정용의 관통공(10), 외주부에 에지(12)의 고정부를 갖고, 외주 형상이 대략 원형의 진동판(9)으로서, 이 진동판(9)의 외주 형상은, 반경이 다른 제 1 원, 제 2 원(9A, 9B)을, 각각의 중심점(9a, 9b)을 어긋나게 한 상태로, 또한 이들 제 1 원, 제 2 원(9A, 9B)의 외주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전체 형상의 대략 원형의 외주 형상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포갠 형상의 진동판(9)이다. 공진 레벨을 낮추는 것에 의해, 신호 재생 특성을 될 수 있는 한 평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판과 그것을 이용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에는, 각각 고유의 공진 진동 주파수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그 공진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는 다른 주파수에 비하여, 재생 레벨이 이상하게 변동하여 재생 주파수 특성의 평탄화가 어렵게 되고, 적절한 신호 재생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과제에 대하여, 예컨대, 일본특허공개공보 평7-162992호는, 진동판의 외주 형상을, 예컨대 타원형으로 함으로써, 고유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의 진동판의 공진 레벨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예와 같이, 진동판의 외주 형상을, 예컨대 타원형으로 함으로써, 고유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 레벨을 억제하는 것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효과는 인정된다. 그러나, 여전히, 고유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 레벨의 높이가 문제로 되고 있다.
스피커용 진동판으로서, 진동판을 위에서 본 외주 형상이, 제 1 중심점과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원과, 제 1 중심점과는 다른 위치에 있는 제 2 중심점과, 제 1 반경과는 다른 제 2 반경을 갖는 제 2 원이 서로 겹친 형상의 진동판이다. 신호 재생 특성을 될 수 있는 한 평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피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동판 부분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동판의 형상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피커에 있어서의 신호 재생 특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자기 회로
3 : 자석 4 : 요크
5 : 플레이트 6 : 자기 갭
7 : 보이스 코일 9 : 진동판
9A : 제 1 원 9B : 제 2 원
9a, 9b, 9c : 중심점 10 : 관통공
12, 14 : 에지 12a : 쿠션 부분
12b, 12c : 플랜지 13 : 댐퍼
15 : 고정부 100 : 스피커
발명자는, 종래의 진동판에 있어서, 고유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 레벨의 변동을 억제하기 어려운 이유를 아래와 같이 고찰했다. 즉, 타원형상으로 한 것에서는, 진동판 외주로부터 중심선을 무수히 그은 상태에서, 어느 중심선도, 진동판의 중심점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등각 위치에서의 거리가 일정하며, 이것이 공진 레벨을, 기대하는 정도로는 낮출 수 없는 것으로 된 원인임을 찾아내었다.
본 발명의 진동판은 외주 형상에 특징을 갖는 진동판이다. 이 진동판의 외주 형상은, 반경이 다른 제 1 원, 제 2 원을, 각각의 중심점의 위치를 어긋나게 한 상태이고, 또한 이들 제 1 원, 제 2 원의 외주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전체 형상의 대략 원형의 외주 형상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겹친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외주 가장자리의 대부분의 부분으로부터 그은 중심선이, 그 중심점의 좌우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것으로 되고, 이것이 공진 레벨을 대폭 낮추는 것으로 되며, 이 결과로서 신호 재생 특성을 될 수 있는 한 평탄화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피커(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스피커(100)는, 접시형상의 프레임(1)의 내부 저면에 자기 회로(2)를 수납하고 있다. 자기 회로(2)는 자석(3)과, 요크(4)와, 플레이트(5)를 갖고 있고, 요크(4)와 플레이트(5)의 선단 사이에서 자기 갭(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자기 갭(6)내에는 원통형의 보이스 코일(7)의 하단 부분의 코일(8) 부분이, 자유롭게 가동되도록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 보이스 코일(7)의 상단은 진동판(9)의 중앙의 관통공(10)을 관통하여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관통 부분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이스 코일(7)과 진동판(9)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이스 코일(7)의 상단에는 캡(11)이 씌워져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동판(9)은, 중앙부에 보이스 코일(7) 고정용의 관통공(10)을 갖고, 외주부에 에지(12)의 고정부(15)를 갖고 있고, 그 외주 형상은 대략 원형이다. 이 진동판(9)의 외주 형상은, 반경이 다른 제 1 원(9A)과 제 2 원(9B)을, 각각의 중심점(9a, 9b)의 위치를 어긋나게 한 상태이고, 또한 이들 제 1 원(9A)과 제 2 원(9B)의 외주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전체 형상의 대략 원형의 외주 형상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겹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진동판(9)을 위에서 본 형상을 도시하는 도 3을 이용하여, 진동판의 형상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원(9A)의 반경은 Ra이고, 중심점은 9a이다. 제 2 원(9B)의 반경은 Rb이고, 중심점은 9b이다. 제 3 원(9C)은, 반경 Rc이고, 중심점은 9c이며, 제 1 원(9A)과 제 2 원(9B)을 둘러싼다. 또한, 원(9C)은, 선 X-X 상의 Xa 점에서 제 1 원(9A)의 외주와 접하고, Xa 점에서 제 2 원(9B)의 외주와 접한다. 제 1 원(9A)의 외주원과, 제 2 원(9B)의 외주원은 점 A 및 점 B를 교점으로 한다. 진동판(9)의 외주 형상은 실선으로 나타내는 형상이다. 즉, A 점에서 시계 방향으로 B 점까지는 소형의 원형체(9B)의 외주(반경 Rb)가 나타내고 있고, B 점에 서 시계 방향으로 A 점까지 대형의 원형체(9A)의 외주(반경 Ra)가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진동판(9)은, 원(9C)의 중심점(9c)으로부터의 외주 형상의 대부분으로부터 그은 중심선이, 그 중심점(9c)의 좌우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것으로 된다. 예컨대, 도 3의 중심점(9c)에서, 선 Y-Y에 대하여 왼쪽으로 T0의 각도의 위치에 있어서의, 중심점(9c)에서 제 1 원(9A)의 외경까지의 거리 Lm은, 중심점(9c)에서, 선 Y-Y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T0의 각도의 위치에 있어서의, 중심점(9c)에서 제 2 원(9B)의 외경까지의 거리 Ln과 다르다. 단, 중심선 X-X 부분만은 중심점(9c)의 좌우의 거리가 같아진다. 이것이 공진 레벨을 대폭 낮추게 되고, 이 결과적으로 신호 재생 특성을 도 4의 A 선과 같이, 종래의 B 선에 비해서 평탄화할 수 있었다. 특히, 종래에 비해서, 10kHz 부근의 주파수 특성의 평탄화가 현저하다. 또, 도 4에 있어서, SPL이란, 출력 음압 레벨인 것이며, dB 값으로 표시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에지(12)는, 위쪽으로 돌출한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쿠션 부분(12a)이 도 2와 같이 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쿠션 부분(12a)의 외주에는, 원형이고, 프레임(1)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12b)가, 또한 쿠션 부분(12a)의 내주에는, 원형이고, 진동판(9)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12c)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 진동판(9)의 하면에는, 링형상의 댐퍼(13)의 내주단측이 고정되고, 이 댐퍼(13)의 외주단은 에지(14)를 거쳐서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진동판은, 신호 재생 특성을 종래에 비해서 평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스피커에 채용함으로써, 적절한 신호 재생을 할 수 있다.
Claims (8)
- 스피커용 진동판으로서,상기 진동판을 위에서 본 외주 형상이, 제 1 중심점과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원과, 상기 제 1 중심점과는 다른 위치에 있는 제 2 중심점과, 상기 제 1 반경과는 다른 제 2 반경을 갖는 제 2 원이 서로 겹친 형상인 진동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진동판 중앙에는 보이스 코일 고정용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은, 외주에, 에지를 통해 스피커 프레임에 고정되는 에지 고정부를 갖는 진동판.
- 중앙부에 보이스 코일 고정용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부에 에지 고정부를 갖고, 외주 형상이 대략 원형인 진동판으로서,상기 진동판의 외주 형상은, 반경이 다른 제 1 원과 제 2 원을, 각각의 중심점을 어긋나게 한 상태로, 또한 상기 제 1 원과 상기 제 2 원의 외주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대략 원형인 외주 형상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겹친 형상인 진동판.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원과 상기 제 2 원의 중심점의 위치가, 상기 진동판의 전체 형상의 중심점의 위치와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
- 자기 갭을 갖는 자기 회로와, 상기 자기 갭 내에 일단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타단에 고정되는 진동판과, 에지를 통해 상기 진동판의 외주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갖는 스피커로서,상기 진동판의 중앙에는 보이스 코일 고정용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을 위에서 본 외주 형상이, 제 1 중심점과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원과, 상기 제 1 중심점과는 다른 위치에 있는 제 2 중심점과, 상기 제 1 반경과는 다른 제 2 반경을 갖는 제 2 원이 서로 겹친 형상인 스피커.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 1 원과 상기 제 2 원을 함께 포위하고, 또한, 상기 제 1 원과 상기 제 2 원의 외주와 접하는 제 3 원을 갖고, 상기 제 3 원의 중심점이 진동판의 중심점인 스피커.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진동판의 외주 형상은, 반경이 다른 제 1 원과 제 2 원을, 각각의 중심점을 어긋나게 한 상태이고, 또한 상기 제 1 원과 상기 제 2 원의 외주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대략 원형인 외주 형상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겹친 형상인 스피커.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진동판의 상기 제 1 원과 상기 제 2 원의 각 중심점의 위치가, 상기 진동판의 전체 형상의 중심점의 위치와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337115 | 2004-11-22 | ||
JP2004337115A JP4576991B2 (ja) | 2004-11-22 | 2004-11-22 | 振動板とそれを用いたスピー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1425A true KR20070041425A (ko) | 2007-04-18 |
KR100839713B1 KR100839713B1 (ko) | 2008-06-19 |
Family
ID=3640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17565A KR100839713B1 (ko) | 2004-11-22 | 2005-11-18 | 진동판과 그것을 이용한 스피커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627133B2 (ko) |
EP (1) | EP1708542B1 (ko) |
JP (1) | JP4576991B2 (ko) |
KR (1) | KR100839713B1 (ko) |
CN (1) | CN1930911B (ko) |
WO (1) | WO200605468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67774B2 (ja) * | 2007-04-26 | 2012-02-0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スピーカ |
EP2560409B8 (en) * | 2010-04-14 | 2015-10-07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Speaker, hearing aid, inner ear headphone,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v device |
US9485586B2 (en) | 2013-03-15 | 2016-11-01 | Jeffery K Permanian | Speaker driver |
JP6861379B2 (ja) * | 2016-12-13 | 2021-04-2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3618103Y1 (ko) * | 1957-11-16 | 1961-07-13 | ||
US3180945A (en) * | 1961-09-22 | 1965-04-27 | Wm H Welsh Co Inc | Loudspeaker |
GB1122698A (en) * | 1966-05-03 | 1968-08-07 |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 Loudspeaker with asymmetrically shaped diaphragm |
JPS452459Y1 (ko) * | 1967-12-30 | 1970-01-31 | ||
JPS4741471Y1 (ko) | 1968-12-05 | 1972-12-15 | ||
JPS5010231U (ko) * | 1973-05-24 | 1975-02-01 | ||
JPS5137056B2 (ko) | 1973-05-31 | 1976-10-13 | ||
JPS61121687A (ja) | 1984-11-19 | 1986-06-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スピ−カ |
SE447692B (sv) * | 1985-04-17 | 1986-12-01 | Claes Malmqvist | Anordning vid hogtalare |
DE3707741A1 (de) * | 1987-03-11 | 1988-09-22 | Blaupunkt Werke Gmbh | Lautsprecher |
JPH07162992A (ja) | 1993-12-06 | 1995-06-23 | Sharp Corp | スピーカ振動板 |
JP3148520B2 (ja) * | 1994-06-06 | 2001-03-19 | 株式会社ケンウッド | スピーカ構造 |
JP3646406B2 (ja) * | 1996-04-18 | 2005-05-11 | オンキヨー株式会社 | スピーカ |
JP3599954B2 (ja) * | 1996-12-11 | 2004-12-08 | 有限会社ベルテック | スピ−カ |
JP3508834B2 (ja) * | 1999-04-22 | 2004-03-22 | 株式会社ケンウッド | スピーカ振動板 |
WO2002102113A1 (fr) * | 2001-06-11 | 2002-12-1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Haut parleur |
JP3799001B2 (ja) * | 2001-09-10 | 2006-07-19 | 富士彦 小林 | 圧電スピーカ |
US7027688B2 (en) | 2002-05-14 | 2006-04-11 | Wildnauer Kenneth R | Tunable optical filter based on a physically-deformable diffractive element |
JP3951838B2 (ja) * | 2002-07-12 | 2007-08-0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スピーカ |
JP4034688B2 (ja) * | 2002-08-28 | 2008-01-16 | 富士彦 小林 | 圧電スピーカ |
-
2004
- 2004-11-22 JP JP2004337115A patent/JP457699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11-18 EP EP05806916.2A patent/EP1708542B1/en active Active
- 2005-11-18 WO PCT/JP2005/021225 patent/WO200605468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11-18 CN CN2005800071311A patent/CN1930911B/zh active Active
- 2005-11-18 US US10/585,848 patent/US7627133B2/en active Active
- 2005-11-18 KR KR1020067017565A patent/KR10083971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9713B1 (ko) | 2008-06-19 |
EP1708542A1 (en) | 2006-10-04 |
US20080226116A1 (en) | 2008-09-18 |
US7627133B2 (en) | 2009-12-01 |
JP2006148636A (ja) | 2006-06-08 |
WO2006054687A1 (ja) | 2006-05-26 |
CN1930911A (zh) | 2007-03-14 |
EP1708542B1 (en) | 2013-08-07 |
EP1708542A4 (en) | 2011-03-23 |
JP4576991B2 (ja) | 2010-11-10 |
CN1930911B (zh) | 2011-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54881B2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
JP4912922B2 (ja) | スピーカ | |
EP1643799B1 (en) | Sp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US7899204B2 (en) | Speaker | |
KR100839713B1 (ko) | 진동판과 그것을 이용한 스피커 | |
JP2018152730A (ja) | 電気音響振動板およびこれを用いる電気音響変換器 | |
JPH11205895A (ja) | スピーカ | |
JPS6231879B2 (ko) | ||
US20070223774A1 (en) | Coupled body of speaker apparatus | |
KR101564216B1 (ko) | 보이스코일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 | |
JP2913723B2 (ja) | スピーカ | |
US20040179711A1 (en) | Speaker having a weight ring | |
JP4445182B2 (ja) | スピーカ装置 | |
JPH06225385A (ja) | スピーカーのドーム状振動体 | |
JP4413119B2 (ja) | スピーカ | |
KR200314357Y1 (ko) | 방자형 스피커 | |
JP4136901B2 (ja) | スピーカ | |
JP4024334B2 (ja) | スピーカ | |
JPS5834864Y2 (ja) | スピ−カ | |
JPH09139997A (ja) | スピーカ | |
JP4601373B2 (ja) | スピーカ | |
JP2023121437A (ja) | スピーカ | |
TWM572616U (zh) | Multi-tone speaker | |
US20040151338A1 (en) | Thin type full-range speaker | |
JP2006261738A (ja) | スピー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