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0389A - 쓴 맛이 감소된 나테글리니드 함유 제제 - Google Patents

쓴 맛이 감소된 나테글리니드 함유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0389A
KR20070040389A KR1020077003164A KR20077003164A KR20070040389A KR 20070040389 A KR20070040389 A KR 20070040389A KR 1020077003164 A KR1020077003164 A KR 1020077003164A KR 20077003164 A KR20077003164 A KR 20077003164A KR 20070040389 A KR20070040389 A KR 20070040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eglinide
weight
water
oral solid
solu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카즈 스즈키
와타루 와쿠이
아키라 야부키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3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86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drug-free coating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drug layer-inact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쓴 맛을 느끼지 않고 동시에 속효 단시간형의 나테글리니드의 성질을 유지시킨 경구 고형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테글리니드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쓴 맛이 감소된 경구 고형 제제로서,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고형분 환산으로 0.3 내지 6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고형 제제에 관한 것이다.
쓴 맛이 감소된 나테글리니드 함유 제제, 수용성 고분자

Description

쓴 맛이 감소된 나테글리니드 함유 제제{Nateglinide-containing preparation reduced in bitterness}
본 발명은 당뇨병약으로서 유용한 나테글리니드의 경구 고형 제제에 관한 것이다.
나테글리니드[화합물명: N-(트랜스-4-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실카보닐)-D-페닐알라닌][일본 특허공보 제(평)4-15221호]는 식전의 경구투여에 의해 신속하게 혈중에 흡수되어 식후의 고혈당을 개선하는(속효 단시간형) 우수한 작용을 나타내며, 당뇨병 치료약으로서 실제로 임상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테글리니드 원제 그 자체는 쓴 맛이 대단히 강하기 때문에 경구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정제의 표면을 피복하는 등으로 쓴 맛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의약품을 환자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경우, 섭취의 용이성이 요구되고 있다. 나테글리니드는 식후의 고혈당을 개선하는 우수한 약이지만, 이를 위하여 식전 투여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제제에서는 투여시, 약제와 동시에 물의 섭취가 필요하며, 섭취할 때에 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 나테글리니드 함유 제제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경구용 제제에서 복용할 때에 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구용 제제가 개발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구강내에 약제가 붕괴된 다음, 소화관에서 흡수되는 구강내 (속)붕괴정이라고 호칭되는 제제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나테글리니드 원제는 상기와 같이 대단히 강한 쓴 맛을 가지므로 통상적인 수법으로 구강내 붕괴정을 제조하는 경우, 복용할 때에 구강내에서 쓴 맛을 가지므로 복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하며 실용상 문제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나테글리니드를 함유하는 제제에 관해서 몇가지가 공지되어 있지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것은 아니다(특허 문헌 2 내지 6).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평)4-15221호
특허 문헌 2: WO 98/22105
특허 문헌 3: WO 01/21159
특허 문헌 4: WO 01/47557
특허 문헌 5: WO 02/34254
특허 문헌 6: WO 02/40010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쓴 맛을 느끼지 않고 동시에 나테글리니드가 갖는 속효 단시간형 의 성질을 유지시킨 나테글리니드 함유 경구 고형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수용성 고분자를 나테글리니드에 대하여 특정량 사용함으로써 쓴 맛이 감소된 경구 고형 제제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나테글리니드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경구 고형 제제이며,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고형분 환산으로 0.3 내지 6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고형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나테글리니드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쓴 맛이 감소된 경구 고형 제제이며,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고형분 환산으로 0.3 내지 6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고형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나테글리니드 및 수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공정 및 수득된 용액으로부터 입상 물질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나테글리니드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경구 고형 제제 내지 쓴 맛이 감소된 경구 고형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당뇨병약인 나테글리니드를 함유하는 제제에서 쓴 맛 느낌이 감소되며, 또한 나테글리니드가 갖는 속효 단시간형의 성질을 아울러 가지는 제제의 제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구강내에서 붕괴시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경구 고형 제제에 함유되는 나테글리니드는 일본 특허공보 제(평)4-15221호에 기재된 방법 등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이의 사용하는 결정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H형 또는 B형이 바람직하며, 특히 H형이 안정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고형 제제에 함유되는 수용성 고분자란 중량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20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만 내지 약 20만의 고분자이며, 25℃에서 물, 산성 또는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수용액 등의 어느 하나의 수계 매체에 대한 용해도가 0.1g/100m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일본 약국방 또는 미국 약국방에 기재된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건조품을 정량할 때, 하이드록시프로폭실기를 53.4 내지 77.5% 함유한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류(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2208, 2906, 2910), 폴리비닐피롤리돈(예: 폴리비닐피롤리돈 K25, K30, K90 등), 코폴리돈, 폴리비닐알콜,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2910이다.
수용성 고분자의 첨가량은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0.3중량부 내지 6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 내지 3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경구 고형 제제에는 나테글리니드가 갖는 속효 단시간형의 성질을 유지하기 위해 붕괴제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괴제로서는 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카멜로스, 카멜로스나트륨, 카멜로스칼슘,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건조품을 정량할 때, 하이드록시프로폭실기를 5.0 내지 16.0% 포함한다. 일본 약국방 제13개정 D-885 내지 D-888 참조), 부분 알파화 전분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크로스포비돈, 카멜로스,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붕괴제의 첨가량은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16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4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경구 고형 제제는 구강내 붕괴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고형 제제에는 기타 배합성분으로서, 통상적인 경구 제제에 사용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당류, 전분류, 결정 셀룰로스 등의 부형제; 결합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활석 등의 활택제; pH 조정제; 착색제; 당류, 멘톨 등의 교미(矯味)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쓴 맛이 감소된 경구 고형 제제를 제조하는 데는 통상적인 수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나테글리니드와 수용성 고분자의 혼합물 또는 조립(造粒)물을 정제, 캡슐제나 과립제 또는 산제와 같은 제제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고형 제제를 정제로서 제공하는 경우, 나테글리니드와 수용 성 고분자의 혼합물 또는 조립물에 경우에 따라 붕괴제, 또는 기타 첨가물을 첨가하여 타정함으로써 정제로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성물을 적당한 혼합기로 혼합한 분말을 타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건식 조립법(압편 조립법 등) 또는 습식 조립법(유동층 조립법, 교반 조립법, 압출 조립법 등) 또는 스프레이 드라이 제법 등의 통상적인 조립방법에 따라 조립물을 조제하며, 경우에 따라 붕괴제 또는 기타 첨가물을 첨가하여 타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습식 조립법에 의한 경우, 통상적으로 나테글리니드 및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용성 고분자를 적당한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다.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용매로서는 에탄올, 에탄올 함량이 10 내지 90%인 에탄올수, 디클로로메탄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혼합비(체적비)= 예를 들면, 1:9 내지 9:1] 등을 들 수 있다.
습식 조립법에서는 붕괴제 등으로 구성되는 코어 입자를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과 함께 나테글리니드와 수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으로 피복함으로써 층을 형성하여, 입상 물질을 조립물로서 수득할 수 있다.
습식 조립법에서는 또한 결정 셀룰로스 등의 부형제 등을 함유하는 코어 입자를 나테글리니드로 피복하여 나테글리니드 내층을 형성하며, 수득된 입상 물질을 다시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과 함께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고분자로 피복하여 외층을 형성하며, 최종적으로 입상 물질을 조립물로서 수득할 수 있다.
스프레이 드라이법에 의한 경우에도 또한 통상적으로 나테글리니드 및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용성 고분자를 적당한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다. 유기 용매로서 는 습식 조립법에 관해서 기재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타정에 관해 구강내 붕괴정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저압, 바람직하게는 50N/m2 이하로 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제는 필요에 따라 필름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필름 코팅제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2910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고형 제제를 과립제 또는 산제로서 제공하는 경우에도 또한 건식 조립법(압편 조립법 등) 또는 습식 조립법(유동층 조립법, 교반 조립법, 압출 조립법 등) 또는 스프레이 드라이 제법 등의 통상적인 조립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 경구 고형 제제는 지금까지의 제제와 비교하여 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 섭취할 수 있으며 구강내에서 붕괴시킬 때의 쓴 맛이 감소되어 있으며, 또한 현행 나테글리니드 정제와의 시험관내 평가에서 생물학 동등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제이다.
본 발명의 경구 고형 제제에서 특히,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하여 고형분 환산으로 1중량부의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를 함유하고, 분말상 형태의 경구 고형 제제는 바람직하다.
특히, 카멜로스 및 크로스포비돈을 함유하는 코어와,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하여 고형분 환산으로 1 내지 2중량부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구성되는 외층을 함유하는 분말상 형태의 경구 고형 제제도 또한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층이 나테 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2중량부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또는 폴리비닐빌리돈으로 구성되는 경구 고형 제제는 특히 바람직하며, 또한 고형분 환산으로 1중량부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구성되는 경구 고형 제제도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결정 셀룰로스 코어, 나테글리니드 내층, 및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O.7중량부의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 외층을 함유하는 과립 형태의 경구 고형 제제인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특히, 나테글리니드와,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1.1중량부의 메틸셀룰로스와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을 함유하며, 경도가 20 내지 30N/m2인 정제 형태의 경구 고형 제제도 또한 바람직하며, 여기서, 메틸셀룰로스가 1중량부이며,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이 O.1중량부인 경구 고형 제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중에서도, 나테글리니드를 수용성 고분자에 분산시켜 이루어진 경구 고형 제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구 고형 제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나테글리니드와 수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용매를 제거하는 용매 제거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테글리니드 및 수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공정 및 수득된 용액에서 입상 물질을 형성하는 공정(예: 분무 건조)을 포함하는, 나테글리니드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쓴 맛이 감소된 경구 고형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고형 제제가 과립 형태일 때,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0.05 내지 0.8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고형 제제가 구강내 붕괴정 형태일 때, 이의 경도는 50N/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20 내지 30N/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구 고형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구강내에서 타액에 의해 빠르게 붕괴되며, 그대로 타액과 함께 삼킬 수 있는 제제이다. 그러나, 물론 물과 함께 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구강내에 넣을 때, 60초 이내에 붕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내지 6
나테글리니드와 표 1에 기재된 수용성 고분자를 1:1로 충분하게 혼합하며, 압편 조립기(롤러 컴파운더, 터보고교)에 의해 압편화함으로써 나테글리니드 함유 분말 제제를 수득한다. 하기의 맛 평가와 동일하게 하여 이러한 분말 제제의 맛 평가를 실시한 바, 쓴 맛이 경감되어 있다.
실시예 7 내지 12
나테글리니드와 표 2에 기재된 수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탄올, 50% 에탄올수, 또는 디클로로메탄/에탄올= 6:4)에 고형분이 10중량%로 되도록 용해시켜 스 프레이 드라이어(GS310, 야마토가가쿠)로써 분무하며, 분무 건조된 나테글리니드 함유 분말 제제를 수득한다.
실시예 13 내지 16
나테글리니드와 표 3에 기재된 수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디클로로메탄/에탄올= 64)에 용해시킨 용액을 유동층 조립기(FLO-1형, 프로인트산교)를 사용하여, 표 3 중의 조립시 첨가부가 기재된 분체에 유동층 내에서 분무하여, 조립물을 수득한다. 수득된 조립물에 후첨가부가 기재된 첨가물을 첨가하여, 나테글리니드 함유 분말 제제를 수득한다.
실시예 17
나테글리니드의 에탄올 수용액을 결정 셀룰로스의 구형 핵입자[셀피아 CP507, 아사히가세이(주)]에 분무함으로써 레이어링된 핵입자에 표 4에 기재된 수용성 고분자를 유동층 조립기(FLO-1형, 프로인트산교)를 사용하여 코팅하며, 나테글리니드 함유 필름 피복 과립을 수득한다.
맛 평가
실시예 1 내지 17에서 수득한 분말 제제에 관해서 관능 평가에 의한 맛 평가를 실시한다. 평가는 나테글리니드로서 10mg에 상당하는 제제를 구강내에서 용해시켜 맛 평가를 실시한다. 또한, 평가는 5단계로 실시한다. 표 5에 평가 기준을 기재하고, 표 2 내지 4에 맛 평가결과를 기재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수용성 고분자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2910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 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코폴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고분자 첨가량(대 원제량 비) 1 1 1 1 1 1
표 내에서 각 성분의 첨가량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중량부를 나타낸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2910(상품명 TC-5R, 신에쓰가가쿠사제)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상품명 오이드라기트 E-100, 렘사제)
메틸셀룰로스[상품명 SM-4, 신에쓰가가쿠(주)제]
폴리비닐피롤리돈(상품명 코리돈 K3O, BASF사제)
코폴리돈(상품명 코폴리돈 VA64, BASF사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910(상품명 HPC-SL, 니혼소다사제)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수용성 고분자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2910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 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코폴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고분자 첨가량(대 원제량 비) 1 1 1 1 1 1
용매량 50% 에탄올수 O - - - - -
에탄올 - O - - - -
디클로로메탄/에탄올= 6:4 - - O O O O
맛 평가 쓴맛 4 4 3 2 2 3
뒷맛의 유무 3 4 3 3 3 3
뒷맛 2 4 3 2 2 4
합계 9 12 9 7 7 10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2910(상품명 TC-5R, 신에쓰가가쿠사제)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상품명 오이드라기트 E-100, 렘사제)
메틸셀룰로스[상품명 SM-4, 신에쓰가가쿠(주)제]
폴리비닐피롤리돈(상품명 코리돈 K3O, BASF사제)
코폴리돈(상품명 코폴리돈 VA64, BASF사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910(상품명 HPC-SL, 니혼소다사제)
첨가방법 성분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용액 첨가부 나테글리니드 45 45 45 45
수용성 고분자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2910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첨가량 45 45 45 45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5 5 5 5
조립시 첨가부 카멜로스 45 45 45 45
크로스포비돈 45 45 45 45
후첨가부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67.5 67.5 67.5 67.5
D-만니톨 옥수수전분 결정셀룰로스 45 45 22.5 45 45 22.5 45 45 22.5 45 45 22.5
무수 시트르산 7.5 7.5 7.5 7.5
아스파탐 그레이프후르츠플레이버 멘톨 22.5 7.5 1.8 22.5 7.5 1.8 22.5 7.5 1.8 22.5 7.5 1.8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2 2 2
맛 평가 쓴맛 뒷맛의 유무 뒷맛 스코어합계 5 4 4 13 5 4 4 13 5 3 4 12 5 3 4 12
표 내에서 각 성분의 첨가량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중량부를 나타낸다.
수용성 고분자는 표 2 각주에 기재된 바와 같다.
첨가방법 성분 실시예 17
핵입자부 나테글리니드 결정셀룰로스 50 300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 35
용매 에탄올
350
맛 평가 쓴맛 뒷맛의 유무 뒷맛 스코어합계 5 4 4 13
표 내에서 각 성분의 첨가량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중량부를 나타낸다.
수용성 고분자는 표 2 각주에 기재된 바와 같다.
단계 쓴맛 뒷맛의 유무 뒷맛
5 전혀 쓰지 않다 전혀 없다 바람직하다
3 약간 쓰다 약간 있다 어느쪽이라고 말할 수 없다
1 쓰거나 쓴맛이 강하지 않다 있다 불쾌
상기 관능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제는 쓴 맛이 낮은 나테글리니드 함유 경구 고형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관능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나테글리니드를 수용성 고분자 중에 분산함으로써 나테글리니드 특유의 강한 쓴 맛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18
나테글리니드와 표 6에 기재된 고분자를 유기 용매(디클로로메탄/에탄올= 6:4)에 용해시킨 용액을 유동층 조립기(FLO-1형, 프로인트산교)를 사용하여, 표 6 내의 조립시 첨가부가 기재된 분체에 유동층 내에서 분무하여, 조립물을 수득한다. 수득된 조립물에 후첨가부가 기재된 첨가물을 첨가하여, 저압 타정에 의해 나테글리니드 함유 구강내 붕괴정 제제를 수득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된 구강내 붕괴정에 관해 관능 평가에 의한 맛 평가(1정을 구강내에서 용해시킨다) 및 시험관내 평가에 의한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용출 시험, 「파스틱」 90mg 정제에 대한 시험)를 실시한다. 표 6에 평가결과를 기재한다.
첨가방법 성분 실시예 18
용액 첨가부 나테글리니드 45
메틸카멜로스 45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5
조립시 첨가부 카멜로스 45
크로스포비돈 45
후첨가부 카멜로스 67.5
D-만니톨 옥수수전분 결정셀룰로스 45 45 22.5
무수 시트르산 15
아스파탐 그레이프후르츠플레이버 멘톨 22.5 7.5 1.8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1
관능 시험 쓴맛 뒷맛의 유무 뒷맛 스코어합계 5 4 4 13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관내 평가(용출 시험) 동등성 확보
표 내에서 각 성분의 첨가량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중량부를 나타낸다.
수용성 고분자는 표 2 각주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시험관내 평가(용출 시험)는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JP1·JP2의 시험액으로 평가.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나테글리니드 특유의 강한 쓴 맛이 감소되어 있으며, 또한 시험관내 평가에서 용출성이 동등한 것이 확인된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나테글리니드의 쓴 맛이 감소되며, 또한 현행 나테글리니드 정제와의 생물학적 동등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강내 붕괴정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비교예 1
현재 시판되고 있는 나테글리니드 제제(「파스틱」 90mg 정제) 1정을 구강내에서 용해시켜 맛 평가를 실시한다. 평가 결과, 쓴 맛이 대단히 강하므로 도중에 정제를 토해낸다. 뒷맛도 수시간 동안 남는 결과로 된다.
파스틱 90mg 정제의 맛 평가
비교예
맛 평가 쓴만 1
뒷맛의 유무 1
뒷맛 1
합계 3
주: 쓴 맛이 대단히 강하므로 전량 용해시키지 않고 토해낸다.
비교예 2
나테글리니드 원제의 옥수수 전분에 의한 10배 산제 10mg(나테글리니드 1mg 함유)을 구강내에서 용해시키고, 상기한 맛 평가에 따라서 평가한다.
결과적으로 쓴 맛: 1, 뒷맛의 유무: 3, 뒷맛: 1, 합계: 5이다.
쓴 맛이 강하며 뒷맛도 수시간 동안 남는 결과로 된다.

Claims (15)

  1.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고형분 환산으로 0.3 내지 6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테글리니드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경구 고형 제제.
  2.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고형분 환산으로 0.3 내지 6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테글리니드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쓴 맛이 감소된 경구 고형 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고형분 환산으로 0.5 내지 3중량부 함유하는 경구 고형 제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가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류, 폴리비닐피롤리돈, 코폴리돈, 폴리비닐알콜,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경구 고형 제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가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2910으로 이루어 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경구 고형 제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붕괴제를 함유하는 경구 고형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붕괴제가 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카멜로스, 카멜로스나트륨, 카멜로스칼슘,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부분 알파화 전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경구 고형 제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강내 붕괴정 형태인 경구 고형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구강내에서 타액에 의해 60초 이내에 붕괴하는 경구 고형 제제.
  10. 제9항에 있어서,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하여 고형분 환산으로 1중량부의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를 함유하고 분말상 형태인 경구 고형 제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카멜로스 및 크로스포비돈을 함유하는 코어, 및 나테글리 니드 1중량부에 대하여 고형분 환산으로 1중량부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구성되는 외층을 함유하고 분말상 형태인 경구 고형 제제.
  12. 제11항에 있어서, 결정 셀룰로스 코어, 나테글리니드 내층, 및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0.7중량부의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 외층을 함유하고 과립 형태인 경구 고형 제제.
  13. 제12항에 있어서, 나테글리니드, 나테글리니드 1중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1중량부의 메틸셀룰로스, 및 0.1중량부의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을 함유하고 경도가 20 내지 30N/m2이며 정제 형태인 경구 고형 제제.
  14. 나테글리니드 및 수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공정 및 수득된 용액으로부터 입상 물질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나테글리니드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경구 고형 제제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에탄올, 에탄올 함량이 10 내지 90%인 에탄올수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인 제조방법.
KR1020077003164A 2004-08-10 2005-08-10 쓴 맛이 감소된 나테글리니드 함유 제제 KR200700403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3797 2004-08-10
JPJP-P-2004-00233797 2004-08-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106A Division KR20130018956A (ko) 2004-08-10 2005-08-10 쓴맛이 감소된 나테글리니드 함유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389A true KR20070040389A (ko) 2007-04-16

Family

ID=358393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164A KR20070040389A (ko) 2004-08-10 2005-08-10 쓴 맛이 감소된 나테글리니드 함유 제제
KR1020127034106A KR20130018956A (ko) 2004-08-10 2005-08-10 쓴맛이 감소된 나테글리니드 함유 제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106A KR20130018956A (ko) 2004-08-10 2005-08-10 쓴맛이 감소된 나테글리니드 함유 제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5551852B2 (ko)
KR (2) KR20070040389A (ko)
WO (1) WO2006016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7098B2 (ja) * 2006-08-08 2013-07-17 キッセイ薬品工業株式会社 苦味をマスキングした口腔内崩壊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712B2 (ko) * 1972-12-29 1976-03-29
JPS58401B2 (ja) * 1974-07-15 1983-01-06 明治製菓株式会社 ケイコウヨウイヤクヒンソセイブツノ セイホウ
JPH0717866A (ja) * 1993-06-16 1995-01-20 Meiji Seika Kaisha Ltd 医薬組成物
WO1999017742A2 (en) * 1997-10-03 1999-04-15 Elan Corporation, Plc Taste masked formulations
JP2001019639A (ja) * 1999-07-07 2001-01-23 Nitto Yakuhin Kogyo Kk 感冒固形製剤
CO5200844A1 (es) * 1999-09-17 2002-09-27 Novartis Ag Una combinacion que comprende nateglinida y cuando por menos otro compuesto antidiabetico usada para el tratamiento de desordenes metabolicos, especialmente diabetes, o de una enfermedad o condicion asociada con dibetes
ES2305977T3 (es) * 1999-12-28 2008-11-01 Ajinomoto Co., Inc. Preparacion antidiabetica para administracion oral.
JP4284017B2 (ja) * 2000-10-06 2009-06-24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固形製剤
WO2002034254A1 (fr) * 2000-10-24 2002-05-02 Ajinomoto Co.,Inc. Preparations contenant du nateglinide
BR0212778A (pt) * 2001-09-26 2004-12-07 Pharmacia Corp Composições de desintegração intra-oral organolepticamente aceitáveis
JP2004010611A (ja) * 2002-06-06 2004-01-15 Nisshin Yakuhin Kogyo Kk マスキング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1852B2 (ja) 2014-07-16
JP2012121911A (ja) 2012-06-28
WO2006016602A1 (ja) 2006-02-16
KR20130018956A (ko) 2013-02-25
JPWO2006016602A1 (ja) 2008-05-01
JP5578492B2 (ja)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7166B1 (en) Tablet and granulated powder containing 6-fluoro-3-hydroxy-2-pyrazinecarboxamide
US7732492B2 (en) Nateglinide-containing preparation
KR101465803B1 (ko) 구강내 붕괴 정제
JP4572300B2 (ja) ピモベンダン経口投与製剤
EP2893940A2 (en) Granulated material for tablet that rapidly disintegrates in mouth
KR20100012867A (ko) 타다라필을 포함하는 고체 제형
EP2050448A1 (en) Oral disintegrating tablet having masked bitter tast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20090119993A (ko) 구강내 붕괴정
WO2006115770A2 (en) Orally disintegrating pharmaceutical tablet formulations of olanzapine
JPH0717866A (ja) 医薬組成物
JP5974469B2 (ja) 錠剤の製造方法
JP2003034655A (ja) 速崩壊性固形製剤
WO2006123213A1 (en) Modified release formulations of gliclazide
CN103251594B (zh) 瑞格列奈二甲双胍的片剂
EP3020416A1 (en) Ultrafast-disintegrating tabl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201837B2 (ja) 口腔内速崩壊錠
CN112955146A (zh) 包含抗肿瘤剂的医药组合物
KR20070040389A (ko) 쓴 맛이 감소된 나테글리니드 함유 제제
WO2018185669A1 (en) Effervescent compositions comprising saxagliptin or salt thereof
JP2005139086A (ja) 速崩壊製剤
JP6328138B2 (ja) N−[5−[2−(3,5−ジメトキシフェニル)エチル]−2h−ピラゾール−3−イル]−4−[(3r,5s)−3,5−ジメチルピペラジン−1−イル]ベンズアミドの医薬製剤
JP2010001242A (ja) レバミピド固形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124282A1 (ja) 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60731A (ja) 経口組成物
CN105407875A (zh) 包含异烟肼颗粒和利福喷汀颗粒的呈包衣片剂形式的抗结核病的稳定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