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321A -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321A
KR20070039321A KR1020050094520A KR20050094520A KR20070039321A KR 20070039321 A KR20070039321 A KR 20070039321A KR 1020050094520 A KR1020050094520 A KR 1020050094520A KR 20050094520 A KR20050094520 A KR 20050094520A KR 20070039321 A KR20070039321 A KR 20070039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oil
lens holder
lens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8772B1 (ko
Inventor
신경식
김진기
남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뮤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뮤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뮤타스
Priority to KR1020050094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772B1/ko
Priority to US12/089,389 priority patent/US7907839B2/en
Priority to EP06757560A priority patent/EP1949669A4/en
Priority to CN200680037084XA priority patent/CN101352031B/zh
Priority to PCT/KR2006/001585 priority patent/WO2007043734A1/en
Publication of KR2007003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2Transforming X-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화상 촬영 장치에 따르면, 렌즈군과 코일부를 구비하는 렌즈 홀더; 렌즈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자석이 마련되는 하우징; 이미지 센서; 하우징에 부착되며 렌즈 홀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비금속 재질의 다이아프램; 이 구비된다. 두께를 줄이지 않아도 다이아프램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렌즈 홀더가 코일부의 신호를 잘 추종할 수 있고, 장치의 생산성이 양호하며, 다이아프램의 소성 변형 우려가 적다. 다이아프램 외부에 마련된 별도의 단자부에 코일부 말단이 연결되므로, 도전성 여부와 관계없이 다이아프램의 재질을 선정할 수 있으며, 플럭스 등의 이물질에 의한 장치 내부 오염과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Image photographing device including diaphrag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의 탄성 변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이아프램의 측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코일부 및 단자부의 연결에 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코일부 및 단자부의 연결에 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렌즈군의 배율 및 초점 조절이 가능한 화상 촬영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정 렌즈군 21...제1 렌즈군
22...제2 렌즈군 100...다이아프램
101...제1 다이아프램 102...제2 다이아프램
110...제1면 120...제2면
130...브리지 면 135...브리지 홈
140...노치 150...변곡점
200a,200b,200c...렌즈 홀더 201...제1 렌즈 홀더
202...제2 렌즈 홀더 210a,210b,210c...코일부
211...제1 코일부 212...제2 코일부
300...하우징 310a,310b,310c...자석
350...단자부 400...IR필터
500...이미지 센서
본 발명은 화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 등의 모바일(mobile) 기기에 채용되는 컴팩트(compact)한 크기의 화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에 간편하도록 소형화된 핸드폰, MP3, 노트북 컴퓨터, PDA, 디지탈 캠코더, 디지탈 카메라 등의 모바일 기기가 소비자들로부터 각광받고 있다. 여러 가지 기능을 하나의 제품에 통합한 디지탈 컨버전스 제품이 시장을 선도한다. 핸드폰의 경우, 디지탈 카메라 모듈이 통합된 제품이 대부분 이다. 화상 촬영 장치로서 디지탈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핸드폰은 기존의 디지탈 카메라 시장을 위협할 정도로 많은 성능 개선이 이루어져, 최근에는 수백만 화소를 가진 고해상도의 컴팩트형 디지탈 카메라 모듈을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고해상도의 컴팩트형 디지탈 카메라 모듈에는 작은 크기에 불구하고 정밀한 화질을 구현하기 위하여 자동 초점 조절(auto focusing)이나 광학 줌(zoom)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하에서는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소수가 낮은 종래의 화상 촬영 장치에서는 제조 단가나 제품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렌즈군이 광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렌즈군의 초점이 초기 위치에 고정되므로 렌즈군의 초점이 흐려지면 화상 촬영 장치 자체를 인위적으로 이동시켜 렌즈군과 대상물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초점을 맞추었다.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광학 줌 기능은 구현할 수 없었고, 렌즈군에서 포착한 광 화상을 이미지 센서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다음, 이 전기적 신호를 확대하는 이른바 '디지탈 줌' 기능으로 배율을 조절하였다. 최근 들어 화소수가 수백만 개 정도로 증가되면서 고화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게 되었고, 렌즈군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 메카니즘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가 등장하였다. 구동 메카니즘은 액츄에이터의 종류에 따라, 피에조(piezo) 방식,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방식, 보이스 코일(voice coil) 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이나 광학 줌(zoom)기능은 기존의 디지탈 카메라에서 이미 보편화된 것이지만,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수십 mm 이내로 축소된 컴팩트형 디지탈 카메라 모듈에서는 여전히 구현하기 어렵다. 컴팩트형으로 축소된 크기에서 자동 초점 조절이나 광학 줌 기능을 구현하려면 구동 메카니즘의 혁신적인 개선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 초점 조절과 광학 줌 기능이 구현되는 화상 촬영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장착된 렌즈군과, 화상 촬영 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렌즈군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하우징에 대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렌즈군을 플렉시블(flexible)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모바일 기기에 장착되는 컴팩트형 화상 촬영 장치는, 크기와 무게를 줄여서 휴대성을 향상시켜야 하고, 소비 전력을 줄여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늘려야 한다. 따라서, 렌즈군이 소형 경량화되어야 하고, 액츄에이터의 소비 전력이 최소화 되어야 한다. 지지부재는 소정의 크기와 무게를 갖는 렌즈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렌즈군의 구동 에너지를 줄이기 위하여 최소한의 탄성계수를 갖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지지부재로서 금속 재질의 판 스프링이나 와이어가 있다.
관련된 예를 들면, 광 디스크의 디지탈 정보를 읽어 들이는 광 픽업 장치는,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에 조사하는 렌즈와, 렌즈를 포커싱(focusing) 및 트랙킹(tracking)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이어와, 구동력을 발생하도록 렌즈의 측면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을 구비한다. 와이어는 스테인레스강(SUS), 황동, 베릴륨-구리(BE-CU)합금 등의 도전성 재질로 마련된다. 보이스 코일의 말단은 와이어에 솔더링(soldering)되며, 와이어는 전원부에 연결된다. 전원부에서 와이어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솔더링 부위 및 보이스 코일의 말단을 따라 보이스 코일로 인입되며 렌즈의 구동에 필요한 전자기력을 발생한다.
종래의 화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광 화상을 촬영하는 렌즈군의 지지 및 구 동 메카니즘도 상술한 광 픽업 장치의 경우와 유사하다. 지지부재의 재질로서 금속성 재질이 사용되며, 그 형상은 판 스프링 또는 와이어 형태가 된다. 판 스프링 및 와이어는 탄성계수를 줄이기 위하여 최소한의 두께(예를 들어 0.3mm이내이다.)를 갖는다. 금속 재질을 0.3mm이내의 두께로 성형하기 위하여 에칭 등의 공정이 이용되지만, 화상 촬영 장치의 크기 및 두께를 감안하면 지지부재의 수율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탄성영역을 벗어난 힘이 작용하면 금속 재질은 소성 변형을 일으킨다. 아울러, 금속재질은 반복 하중에 의하여 피로(fatigue) 파괴되기 쉽다. 또한, 렌즈군의 자중과, 지지부재의 두께와, 보이스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지지부재는 렌즈군의 광축 방향 위치 제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작용력에 대하여 휨이나 비틀림 변형을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지부재는 다양한 변곡점을 갖는 복잡한 형상으로 설계된다. 상술한 재질,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종래의 지지부재는 외부 충격력이나 보이스 코일에 과다한 전류가 입력되는 경우 소성 변형을 일으킨다. 지지부재에 소성변형이 발생되면 화상 촬영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기대할 수 없다.
아울러, 화상 촬영 장치의 크기가 축소되고 화소수가 증가될수록, 장치 내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은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특히, 각종 부품의 솔더링(soldering)시에 발생하는 플럭스(flux) 등의 이물질은 화상 품질에 민감하게 영향을 준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화상 촬영 장치 내부에 유입되는 플럭스 등의 이물질을 줄일 수 있는 조립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 초점 조절이나 광학 줌 기능을 신뢰성 있게 구현할 수 있고, 장치 내부에 유입되는 플럭스 등의 이물질을 줄일 수 있는 컴팩트형 화상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는,
렌즈군과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부를 구비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코일부와 대면되는 위치에 자석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렌즈군으로 촬영한 광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상기 코일부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렌즈 홀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다이아프램; 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은 비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는,
렌즈군과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부를 구비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코일부와 대면되는 위치에 자석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렌즈군으로 촬영한 광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상기 코일부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렌즈 홀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코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이아프램의 외부에서 상기 코일부의 말단과 연결되는 단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는,
배율 조절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제1 렌즈군과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제1 코일부를 구비하는 제1 렌즈 홀더;
초점 조절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제2 렌즈군과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제2 코일부를 구비하는 제2 렌즈 홀더;
상기 제1 및 제2 렌즈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부와 대면되는 위치에 자석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렌즈군에서 촬영한 광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렌즈군의 배율 조절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 렌즈 홀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다이아프램;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상기 제2 렌즈군의 초점 조절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2 렌즈 홀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다이아프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다이아프램은 비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동일한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은 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디지탈 컨버전스 경향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 채용되는 컴팩트형 화상 촬영 장치가 도시된다. 화상 촬영 장치는 렌즈 홀더(200a,200b,200c), 하우징(300), 이미지 센서(500), 다이아프램(diaphragm)(100)을 구비한다. 화상 촬영 장치는 광학적으로 대상물을 촬영한 다음,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에 전달한다.
렌즈 홀더(200a,200b,200c)는 렌즈군과 코일부(210a,210b,210c)를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군은 렌즈 홀더(200a,200b,200c)의 내부에 장착된다. 코일부(210a,210b,210c)는 렌즈 홀더(200a,200b,200c)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기력을 발생한다. 광축이란 대상물을 촬영한 광 화상이 직진하는 가상의 축을 말하며, 도시된 바에 의하면 Z축이 된다. 렌즈 홀더(200a,200b,200c)는, 도 1에 도시된 원통(200a),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사각 기둥(200b,200c)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렌즈 홀더(200a,200b,200c)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렌즈군의 초점을 조절하거나, 광학 줌 기능을 수행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로서, 코일부(210a,210b)는 렌즈 홀더(200a,200b)의 외주를 따라 코일을 권선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로서, 코일부(210c)는 권선된 코일 다발로서 광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촬영 장치의 외장을 이루는 하우징(300)에는 렌즈 홀더 (200a,200b,200c)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자석(310a,310b,310c)이 구비된다. 자석(310a,310b,310c)은 코일부(210a,210b,210c)와 대면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으로 영구자석이 바람직하다. 자석(310a,310b,310c)과 코일부(210a,210b,210c)가 서로 접촉 간섭되지 않도록 그 사이에 에어갭(air gap)이 형성된다. 자석(310a,310b,310c)의 자속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요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원통 형상의 렌즈 홀더(200a)를 감싸도록 원통 절편 형상의 자석(310a)이 도시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장방형의 자석(310b,310c)이 도시된다. 자석(310a,310b,310c)은 코일부(210a,210b,210c)가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강력하고 지속적인 직류 자속을 공급한다. 자석(310a,310b,310c)의 갯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렌즈 홀더에 자석이 구비되며, 하우징에 코일부가 마련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코일부(210a,210b,210c)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단자부(350)가 마련된다. 코일부(210a,210b,210c)에 권선된 코일의 말단은 단자부(350)의 단자(351)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일 실시예로서, 코일의 말단은 단자(351)에 솔더링(soldering)되면서 연결된다. 솔더링시에 발생하는 플럭스(flux) 등의 이물질이 화상 촬영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코일의 말단과 단자(351)의 연결은 다이아프램(100)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자부(350)와 연결을 위하여 연장되는 코일의 일 부분은 다이아프램(100)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지 센서(500)는 렌즈군에서 포착한 광 화상을 받아들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이미지 센서(500)의 일 실시예로서, CCD센서 또는 CMOS센서가 바람직하다. 이미지 센서(500)의 적외선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렌즈군과 이미지 센서(500) 사이에는 IR필터(4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R필터(400)는 가시광선을 벗어난 주파수 영역의 광선을 차단하여 이미지 센서(500)가 이 광선에 의하여 포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소정의 크기와 자중을 갖는 렌즈 홀더(200a,200b,200c)는 다이아프램(10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화상 촬영 장치에서는 렌즈 홀더(200a,200b,200c)가 광축 방향으로 위치 제어되면서 광학 줌이나 자동 초점 조절이 이루어진다. 다이아프램(100)은 코일부(210a,210b,210c)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이 없는 경우, 렌즈 홀더(200a,200b,200c)의 정적 하중을 지지한다. 다이아프램(100)은 코일부(210a,210b,210c)에서 전자기력이 발생되는 경우, 이 전자기력과 평형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렌즈 홀더(200a,200b,200c)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다이아프램(100)은, 렌즈 홀더(200a,200b,200c)의 정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강성과, 렌즈 홀더(200a,200b,200c)의 위치 제어시에 코일부(210a,210b,210c)의 신호를 잘 추종할 수 있는 탄성을 갖추어야 한다. 초점 조절의 경우에 비하여, 배율 조절을 위한 광학 줌을 할 때에는 광축 방향의 이동량이 상대적으로 크다. 광학 줌을 위하여 렌즈 홀더(200a,200b,200c)의 이동량이 큰 경우에도 다이아프램(100)은 소성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된 종래의 지지부재는 상기 요구사항 을 충족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크기가 작은 컴팩트형 화상 촬영 장치에서는 지지부재의 크기도 작아지므로, 지지부재의 강성이 지나치게 증가된다. 종래에는 그 대책으로 금속성 지지부재의 두께나 직경을 줄이는데 주력하였다. 이는, 지지부재 자체의 생산 비용은 물론, 조립의 곤란성으로 인하여 화상 촬영 장치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충격에 취약하여 지지부재가 파손되거나 소성 변형으로 정상 작동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다이아프램(100)의 재질로서, 종래의 금속 재질 대신에 비금속 재질을 사용한다. 비금속 재질로 된 다이아프램(100)은 두께를 과도하게 줄이지 않아도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코일부(210a,210b,210c)의 신호를 잘 추종한다. 금속 재질에 비하여 큰 두께를 갖더라도 소정의 탄성이 확보되고, 생산성이 양호하며,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소성 변형에 강하다. 일 실시예로서, 다이아프램(100)의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종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머 라미네이드, 폴리프로필렌, HOP, 크로스 카본 ,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테프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아프램(100)의 재질로서 종이는 가장 흔한 소재이며, 성형이 용이하므로 생산성이 좋고, 중량이 작으면서 적당한 강성을 갖고 있다. 폴리머 라미네이드는 폴리머 자체를 박판화시키거나 종이에 폴리머를 코팅해서 만든 것으로, 코일부(210a,210b,210c)의 신호를 추종하는 성능이 양호하다. 폴리프로필렌은 종이에 비해서 양호한 강성을 가지며 신호 추종성이 좋다. HOP는 합성수지 계열로서 폴리프 로필렌보다 작은 질량으로서 동일한 강성을 가진다. 크로스 카본은 다수의 탄소 섬유를 '+' 형상으로 배열하여 적층한 것으로 질량은 작으나 높은 강성을 갖는다. 이들은 스피커나 이어폰 등의 음향기기에서 음향판의 재질로서 자주 사용된다. 스피커 등에 구비되는 음향판은 보이스 코일에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음파로 변환시킨다. 음향판은 강한 출력으로 진동될 때에 소성 변형되지 않으면서, 보통의 출력에서는 보이스 코일의 입력 신호를 정확히 추종하며 진동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폴리이미드(PI : Polyimide)는 이미드 결합을 주사슬에 포함하는 폴리머의 총칭이다. 1960년대에 미국의 듀폰사가 우주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하였다. 연속 사용 온도가 250~300℃로 높아 금속 대체 재료의 상징적 존재에 해당한다. 내열성, 기계적 강도, 난연성, 내화학성, 내방사선성, 전기 절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폴리아미드(PA : Polyamide)는 "나일론" 이라는 미국 듀폰사의 상품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질기고, 내열성,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폴리카보네이트(PC : Polycarbonate)는 투명하고 뛰어난 기계적 성질(특히 내충격성), 내열성, 내한성, 전기 절연성이 양호하며, 무독하고 자기소화성(自己消火性)도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내열성, 기계적 강성, 전기 절연성, 내유성 등이 뛰어나다. 테프론(TEFRON)은 미국 듀폰사의 상표 및 상품명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내구성, 내열성이 뛰어나 코팅 재료로 많이 쓰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100)의 탄성 변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이아프램(100)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다이아프램(100)은 하우징(300)에 부착되는 제1면(110)과, 렌즈 홀더(200a,200b,200c)에 부착되는 제2면(120)과, 제1면(110) 및 제2면(120)을 연결하는 브리지(bridge) 면(130)을 구비한다. 브리지 면(130)은 렌즈 홀더(200a,200b,200c)의 이동시에 탄성 변형되면서 제1면(110)과 제2면(120) 사이에 광축 방향의 단차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면(110)은 광축에 수직한 가상면에서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구비되며, 브리지 면(130)은 상기 가상면에서 상하 및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4개 구비된다. 브리지 면(130)은 제1면(110) 및 제2면(120)에 대한 연결 부분을 기준으로 휨 및 비틀림 변형되면서 렌즈 홀더(200a,200b,200c)를 지지한다. 브리지 면(130)과 제2면(120) 사이에는 브리지 홈(135)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은 다른 방향에 비하여 광축 방향의 탄성계수가 더 낮은 값이 되도록 한다. 브리지 면(130)은 렌즈 홀더(200a,200b,200c)의 이동 방향이 광축을 따르는 일 방향이 되도록 구속한다. 브리지 면(130)은 제1면(110)과 제2면(120)을 곡선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그 가운데 부분에 급격한 변곡점(15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곡점(150)의 위치와 갯수, 및 브리지 면(130)이 변곡되는 각도는 광축 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달라진다. 브리지 면(130)은 제1면(110)과 연결되는 부분에 'C' 형상의 노치(1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부분에서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다이아프램(100)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브리지 면(130)은 제1면(110)과 상기 제2면(120)을 직선 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브리지 면(130)은 제1면(110) 및 제2면(120)에 대한 연결 부분을 기준으로 휨 변형되면서 렌즈 홀더(200a,200b,200c)를 지지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100)은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렌즈 홀더(200a,200b,200c)의 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코일부(210a,210b,210c) 및 단자부(350)의 연결에 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코일부(210a,210b,210c) 및 단자부(350)의 연결에 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미 상술하였지만 다시 설명하자면, 종래에는 렌즈군의 지지부재로 도전성 금속 재질이 사용되었으며, 렌즈군을 구동하는 코일의 말단을 지지부재에 직접 솔더링한 후, 지지부재에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였다. 따라서, 도전성 재질의 지지부재가 사용되었으며, 전기 전도성이 양호한 소재 중에서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여야 하는 설계 제한 사항이 있었다. 아울러, 코일의 솔더링시에 발생하는 플럭스가 화상 촬영 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화질의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에서는 다이아프램(100)의 외부에 단자부(350)를 구비하고, 코일의 말단이 다이아프램(100)의 외부에서 단자부(350)에 연결되므로, 도전성 여부와 무관하게 다이아프램(100)의 재질을 선정할 수 있고, 솔더링시에 발생하는 플럭스 등의 이물질이 화상 촬영 장치 내부를 오염시킬 우려가 적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210a,210b,210c)의 말단은 단자 부(350)의 단자(351)에 솔더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부(210a,210b,210c)의 말단과 단자(351)의 연결을 위하여 별도의 연결부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351) 연결을 위하여 연장되는 코일의 일 부분(219)은 다이아프램(100)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부(210a,210b,210c)의 말단부터 단자(351)에 이르는 거리가 긴 경우, 단자(351)를 향하여 연장되는 코일(219)은 참조부호 217과 같이 다이아프램(100)에 접착제로 고정되므로, 플럭스 등에 의한 장치 오염이 방지된다.
한편, 고해상도의 화상 촬영 장치에서는 정밀한 화상의 포착을 위하여 자동으로 렌즈군의 초점이 조절되어야 하며, 렌즈군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려면 초점 조절용 액츄에이터가 필요하다. 또한, 광학 줌을 위하여는 다수의 렌즈를 구비한 렌즈군이 필요하고, 렌즈 상호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배율 조절용 액츄에이터가 필요하다.
도 13은 렌즈군의 배율 및 초점 조절이 가능한 화상 촬영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초점 조절용 액츄에이터와 배율 조절용 액츄에이터가 함께 구비되는 화상 촬영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화상 촬영 장치는,
배율 조절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제1 렌즈군(21)과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제1 코일부(211)를 구비하는 제1 렌즈 홀더(201);
초점 조절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제2 렌즈군(22)과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제2 코일부(212)를 구비하는 제2 렌즈 홀더(202);
상기 제1 및 제2 렌즈 홀더(201,202)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부(211,212)와 대면되는 위치에 자석(310)이 마련되는 하우징(300);
상기 제1 및 제2 렌즈군(21,22)에서 촬영한 광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500);
상기 하우징(300)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렌즈군(21)의 배율 조절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 렌즈 홀더(20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다이아프램(101);
상기 하우징(300)에 부착되며, 상기 제2 렌즈군(22)의 초점 조절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2 렌즈 홀더(20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다이아프램(102);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다이아프램(101,102)은 비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상물을 촬영한 광 신호는 고정 렌즈군(10), 제1 렌즈군(21), 제2 렌즈군(22)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배율 조절과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고, IR필터(400)를 거친 후, 이미지 센서(500)에 도달한다. 제1 렌즈군(21)을 지지하는 제1 다이아프램(101)과, 제2 렌즈군(22)을 지지하는 제2 다이아프램(102)이 별개로 마련되어 광학 줌과 초점 조절 기능이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상 촬영 장치는, 제1 및 제2 코일부(211,212)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 다이아프램(101,102)의 외부에서 제1 및 제2 코일부(211,212)의 말단(351)과 연결되는 단자부(350);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촬영 장치에 따르면, 광학 줌 또는 초점 조절시에 렌즈 홀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다이아프램이 비금속 재질로 구비되므로, 두께를 줄이지 않아도 다이아프램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렌즈 홀더가 코일부의 신호를 잘 추종할 수 있고, 장치의 생산성이 양호하며, 다이아프램의 소성 변형 우려가 적다. 다이아프램 외부에 마련된 별도의 단자부에 코일부 말단이 연결되므로, 도전성 여부와 관계없이 다이아프램의 재질을 선정할 수 있으며, 플럭스 등의 이물질에 의한 장치 내부 오염과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렌즈군과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부를 구비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코일부와 대면되는 위치에 자석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렌즈군으로 촬영한 광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상기 코일부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렌즈 홀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다이아프램; 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은 비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렌즈군의 배율이나 초점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합성수지, 고무, 종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머 라미네이드, 폴리프로필렌, 크로스 카본,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테프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제1면과, 상기 렌즈 홀더에 부착되는 제2면과, 상기 제1 및 제2면을 연결하는 브리지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면은,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시에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상기 광축 방향의 단차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광축에 수직한 가상면에서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브리지 면은 상기 가상면에서 상하 및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4개 구비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면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면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곡선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그 가운데 부분에 급격한 변곡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면은,
    상기 제1면과 연결되는 부분에 'C' 형상의 노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를 따라 코일을 권선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화상 촬영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이아프램의 외부에서 상기 코일부의 말단과 연결되는 단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말단은,
    상기 단자부에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 연결을 위하여 연장되는 코일의 일 부분이 상기 다이아프램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6. 렌즈군과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부를 구비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코일부와 대면되는 위치에 자석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렌즈군으로 촬영한 광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상기 코일부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렌즈 홀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코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이아프램의 외부에서 상기 코일부의 말단과 연결되는 단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말단은,
    상기 단자부에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 연결을 위하여 연장되는 코일의 일 부분이 상기 다이아프램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9. 배율 조절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제1 렌즈군과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제1 코일부를 구비하는 제1 렌즈 홀더;
    초점 조절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제2 렌즈군과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제2 코일부를 구비하는 제2 렌즈 홀더;
    상기 제1 및 제2 렌즈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부와 대면되는 위치에 자석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렌즈군에서 촬영한 광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렌즈군의 배율 조절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 렌즈 홀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다이아프램;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상기 제2 렌즈군의 초점 조절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2 렌즈 홀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다이아프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다이아프램은 비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다이아프램의 외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부의 말단과 연결되는 단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KR1020050094520A 2005-10-07 2005-10-07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 KR100708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520A KR100708772B1 (ko) 2005-10-07 2005-10-07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
US12/089,389 US7907839B2 (en) 2005-10-07 2006-04-27 Image photographing device including diaphragm
EP06757560A EP1949669A4 (en) 2005-10-07 2006-04-27 PHOTOGRAPHIC DEVICE WITH MEMBRANE
CN200680037084XA CN101352031B (zh) 2005-10-07 2006-04-27 包括光圈的图像拍摄装置
PCT/KR2006/001585 WO2007043734A1 (en) 2005-10-07 2006-04-27 Image photographing device including diaphrag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520A KR100708772B1 (ko) 2005-10-07 2005-10-07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321A true KR20070039321A (ko) 2007-04-11
KR100708772B1 KR100708772B1 (ko) 2007-04-17

Family

ID=3794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520A KR100708772B1 (ko) 2005-10-07 2005-10-07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07839B2 (ko)
EP (1) EP1949669A4 (ko)
KR (1) KR100708772B1 (ko)
CN (1) CN101352031B (ko)
WO (1) WO20070437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26B1 (ko) * 2008-01-23 2009-08-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8025B2 (ja) * 2006-10-27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080157609A1 (en) * 2006-12-28 2008-07-03 Hung-Lin Wang Plate spring for voice coil motor
JP4340698B2 (ja) * 2007-04-27 2009-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固体撮像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4324623B2 (ja) * 2007-04-27 2009-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DE102009029536A1 (de) * 2008-09-17 2010-04-15 Carl Zeiss Smt Ag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optische Einrichtung
JP2010085494A (ja) * 2008-09-29 2010-04-15 Sony Corp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撮像装置、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2011203435A (ja) * 2010-03-25 2011-10-13 Sony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KR101741817B1 (ko) 2010-07-19 2017-05-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US10018800B2 (en) * 2013-09-27 2018-07-10 Kwok Sing Cheng Lens driving apparatus
US10257433B2 (en) * 2015-04-27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lens imaging apparatus with actuator
KR101708320B1 (ko) * 2016-04-15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827915B (zh) * 2016-04-22 2019-09-03 上海青橙实业有限公司 摄像头装置及移动终端
CN116027612A (zh) 2016-09-26 2023-04-28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装置模块以及光学装置
KR102071925B1 (ko) 2017-03-31 2020-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TWI648590B (zh) * 2017-07-13 2019-01-21 致能機電工業股份有限公司 Mobile device with variable aperture function
DE102023105284B3 (de) 2023-03-03 2024-01-04 Ifm Electronic Gmbh Blendensystem für eine Kamera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5331A (en) * 1977-04-28 1978-11-25 Canon Inc Drive control device for photometric aperture in cine camera or the like
JPS5642219A (en) * 1979-09-17 1981-04-20 Canon Inc Electromagnetic drive diaphragm device
JPS586532A (ja) * 1981-07-03 1983-01-14 Hitachi Ltd 光情報読出し装置
JPS60239943A (ja) * 1984-05-15 1985-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ヘツド
US4695145A (en) * 1985-02-07 1987-09-22 Canon Kabushiki Kaisha Motor built-in lens mounting
JPH03180809A (ja) * 1989-12-08 1991-08-06 Minolta Camera Co Ltd ズームレンズ
US5313332A (en) * 1990-11-16 1994-05-17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Flexure suspension for two axis actuator
US5612740A (en) * 1994-09-19 1997-03-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ner focus type zoom lens driving mechanism
US5881034A (en) * 1996-08-20 1999-03-09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driving objective lens
JP3518472B2 (ja) * 1999-04-30 2004-04-12 ソニー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2003114385A (ja) * 2001-10-05 2003-04-18 Pentax Corp ズームレンズ系
JP2005268814A (ja) * 2002-06-27 2005-09-29 Canon Inc 固体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を用いたカメラシステム
JP3840203B2 (ja) * 2002-06-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を用いたカメラシステム
JP3950103B2 (ja) * 2003-10-27 2007-07-25 株式会社シコー技研 カメラ用レンズ駆動装置
US7702233B2 (en) * 2003-12-19 2010-04-20 Hysonic Co., Lt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JP3782088B2 (ja) * 2004-03-15 2006-06-07 シャープ株式会社 板バネ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2006105811A (ja) * 2004-10-06 2006-04-20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半導体光センサデバイス及び測距方法
JP4912817B2 (ja) * 2006-10-03 2012-04-11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カメラ、携帯型情報端末装置及び画像入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26B1 (ko) * 2008-01-23 2009-08-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772B1 (ko) 2007-04-17
US20080212959A1 (en) 2008-09-04
CN101352031B (zh) 2010-09-01
US7907839B2 (en) 2011-03-15
EP1949669A4 (en) 2009-12-09
WO2007043734A1 (en) 2007-04-19
EP1949669A1 (en) 2008-07-30
CN101352031A (zh)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772B1 (ko)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
KR101148581B1 (ko)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US7725014B2 (en) Actuator for linear motion and tilting motion
US7929230B2 (en) Camera lens module
US20160187613A1 (en) Camera module
JP479251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WO2021104017A1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US20220026706A1 (en) Camera module and terminal
KR20110008478U (ko) 카메라 모듈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액츄에이터
JP7096484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2008096705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JP2016224222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2009058601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US7660056B1 (en) Lens barrel
CN113923324A (zh) 相机模块与电子装置
KR100786349B1 (ko) 예압 수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
JP5679590B2 (ja) 小型撮像装置
CN111708142A (zh) 一种镜头模组及应用其的电子设备
KR20070097160A (ko) 화상 촬영 장치
KR100935539B1 (ko) 광학렌즈의 자동초점조절장치
US20230221574A1 (en) Sensor shifting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ensor shifting actuator
CN112703439B (zh) 弹片设计方法及弹片、sma组件、镜头模组和电子设备
KR101095186B1 (ko) 모바일 기기용 액츄에이터
WO2018225948A1 (ko)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KR20230021738A (ko)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