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067A - 정보 제공 시스템, 정보 제공 서버, 휴대 단말, 정보 제공제어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시스템, 정보 제공 서버, 휴대 단말, 정보 제공제어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067A
KR20070039067A KR1020077001598A KR20077001598A KR20070039067A KR 20070039067 A KR20070039067 A KR 20070039067A KR 1020077001598 A KR1020077001598 A KR 1020077001598A KR 20077001598 A KR20077001598 A KR 20077001598A KR 20070039067 A KR20070039067 A KR 20070039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providing server
data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9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접속되는 휴대 단말(20)로부터의 정보의 요구에 대응하여, 정보 제공 서버(10)가 상기 요구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20)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20)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10)에 의해 보존된 송신완료의 정보와 대조함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20)로부터 요구된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정보의 재송신을 억지한다.
정보 제공 시스템, 정보 제공 서버, 휴대 단말,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

Description

정보 제공 시스템, 정보 제공 서버, 휴대 단말,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INFORMATION SERVICE SYSTEM, INFORMATION SERVER,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CONTROL PROGRAM AND PORTABLE TERMINAL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에 정보를 제공할 때에, 이미 휴대 단말에 보존된 정보의 재송신을 억지(抑止)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정보 제공 서버, 휴대 단말,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의 기능 향상에 수반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경유로 파일을 휴대 단말에 다운로드하는 기회가 많아진다. 이와 같이 파일의 수가 비약적으로 많아지는 상황에서는, 이미 휴대 단말에 보존된 파일을 재차 전송을 받는 것도 예상된다. 이와 같은 경우, 휴대 단말에서는, 불필요 파일을 다운로드함에 의한 시간의 손실이 발생하는 외에, 불필요 파일을 나중에 삭제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중복된 파일의 보존에 의해, 원래 용량이 적은 휴대 단말의 기억 용량이 한층 감소한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한 예가, 예를 들면 특개2003-281024호 공보(문헌 1) 및 예를 들면 특개2002-91731호 공보(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문헌 1에 개시되는 방법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초에 호스트 컴퓨터(1000)가 휴대 단말에 대해, 휴대 단말의 데이터 폴더(1051)에 보존된 파일 정보를 요구하고, 이것을 취득한다. 한편, 호스트 컴퓨터(1000)는 별도 작성하여 있는 휴대 단말마다의 호스토 컴퓨터 내의 캐시 폴더(1001)로부터, 휴대 단말(1050)로부터 이미 전송을 받은 파일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호스토 컴퓨터(1000)는 휴대 단말(1050)로부터 취득한 파일 정보와 캐시 폴더(1001)로부터 취득한 파일 정보를 비교하고, 캐시 폴더(1001)에 기록되지 않은 파일을 특정하고, 특정된 파일만을 휴대 단말에 요구한다. 휴대 단말은, 요구가 있은 파일을 데이터 폴더(1051)로부터 호스트 컴퓨터(1000)에 전송하다는 것이다.
또한, 문헌 2의 방법은, 컴퓨터로부터 프린터에의 파일의 전송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내의 프린터 드라이버는, 최초에 인쇄 요구가 있은 데이터 내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제외한 인쇄 범위를 전부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하이퍼링크 형식에 의거한 데이터중의 링크처(先)를 판정하고, 동일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회 인쇄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프린터에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과 함께 전송한다. 프린터는 이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을 기억 소자상에 캐시한다. 이 상태에서, 인쇄 명령을 받으면 프린터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가 있는 부분에서 캐시된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을 이용하여 인쇄한다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모두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문헌 1의 방법에서는, 호스트 컴퓨터가 휴대 단말로부터 파일의 전송을 받을 때에, 최초에 전송을 받는 파일 정보를 휴대 단말로부터 취득하고, 이미 전송을 받은 파일 정보와 비교한 후, 전송을 받지 않은 파일의 전송을 받다는 것이다.
문헌 1의 방법에서는, 휴대 단말로부터 호스토 컴퓨터에 파일의 전송을 행하지만, 이 경우, 호스토 컴퓨터로부터는, 휴대 단말이 어떤 파일을 보존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전송을 받는 때에 항상 휴대 단말로부터 파일 정보의 제공을 받을 필요가 있다.
또한 이 방법을 여기서 문제로 하는,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경유로 파일을 휴대 단말에 다운로드하는 경우에 적용하면, 휴대 단말이 서버로부터 정보의 제공을 받는 것으로 된다. 휴대 단말에는, 서버의 파일을 보존하는 캐시 폴더가 필요하게 되는데, 기억 용량이 작은 휴대 단말에, 서버에 보존된 다량의 파일을 보존하는 기구가 필요하게 되어, 휴대 단말의 부하를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문헌 1의 방법을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경유로 파일을 휴대 단말에 다운로드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한데, 문헌 1의 방법은, 원래 복수의 휴대 단말로부터 호스토 컴퓨터에 정보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의 방법이고, 그 반대인 호스토 컴퓨터로부터 복수의 휴대 단말에 정보 전송을 행하는 경우의 방법이 아니다.
또한, 문헌 2의 방법은, 컴퓨터가 데이터량이 많은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인쇄하는 방법이고, 동일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회 인쇄하는 경우에, 미리 이 이미지 데이터를 프린터의 기억에 캐시하여 두고, 데이터의 인쇄시는, 컴퓨터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회 전송하지 않고, 프린터에 캐시된 이미지 데이 터로 인쇄함에 의해, 전송 시간을 단축하다는 것이다.
문헌 2의 방법은, 하나의 인쇄 데이터에 동일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의 인쇄 시간의 단축에는 유효하지만, 여기서 문제로 하고 있는, 휴대 단말에 서버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같은 데이터가 보존된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고,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에 정보를 제공할 때에, 이미 휴대 단말에서 보유하는 정보의 재송신을 억지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정보 제공 서버, 휴대 단말,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의 요구에 대응하여,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요구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보존된 송신완료의 정보와 대조함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정보의 재송신을 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송신완료의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하는 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캐시부의 식별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미송신이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함과 함께,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때에, 상기 정보를 판독하는 캐시부를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출력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에 해당 식별 정보만을 제공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식별 정보만을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고, 또한 해당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송신완료의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된 정보의 요구를 수신한 때에,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접속되고, 상기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갱신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갱신된 정보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갱신된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된 정보로 재기록하고, 상기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7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서 수신한 때, 상기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하는 캐시부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 정보로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8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구비하는 캐시부의 기억 용량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기억 용량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하는 캐시부의 기억 용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9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정보의 휴대 단말의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의 갱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보로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갱신 플래그를 부여하고, 상기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한 후, 상기 갱신 플래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0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캐시부의 영역에 정보를 보존하는 빈곳이 없는 경우, 상기 캐시부의 제 1번째의 영역에 보존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삭제하고, 제 2번째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번째의 영역이 선두가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후(最後尾)의 정보 보존 영역에, 신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보존하고, 상기 캐시부의 정보가 삭제된 경우, 삭제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삭제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캐시부에 신규 정보를 추가하는 경우, 최후미의 정보의 다음에 신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1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의 요구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캐시부의 정보가 참조된 경우, 참조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참조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미의 정보 보존 영역에, 참조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2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된 정보로 재기록할 때, 갱신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갱신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미의 정보 보존 영역에,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3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중,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정보를 해시함수에 의해 해시화한 후, 해시화한 정보를 그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4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정보를 해시화한 정보로 하고, 상기 캐시부에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또한 해시화된 정보가 이미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해시화한 정보와 상기 해시화된 정보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해시화된 정보를 상기 해시화한 정보로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5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된 데이터 서버로부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에 더하여, 그 정보 갱신 시간을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취득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한 후,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정보 갱신 시간을 대응시켜서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6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정보 갱신 시간을 취득할 때에,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고, 게다가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갱신 시간과 상기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갱신 시간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7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단말과 해당 휴대 단말에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가 접속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복수의 데이터 서버와 접속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정보의 제공 요구를 받으면,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서버의 어느 하나로부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이용하는 정보 서비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수취하는 정보를 선별하는 정보 항목인 정보 요구 내용을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하면,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서버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서버를 선택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상기 정보의 정보 요구 내용에 대응한 정보의 제공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8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송신완료의 상기 정보를 보존하는 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상기 캐시부의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9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대조할 때, 송신완료 데이터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인 차분(差分) 정보와, 송신 정보가 차분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플래그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작성하고, 상기 요구된 정보는 미송신이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차분 정보와 상기 플래그를 송신하고, 송신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플래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0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기업마다, 해당 기업에 속하는 데이터 서버와 휴대 단말을 마련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데이터 서버에 격납된 정보의 제공을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받을 때에, 상기 휴대 단말을 보유하는 각각의 기업의 데이터 서버에 상기 요구된 정보를 기업마다 배분하여 요구하는 배분 제어부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1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기업마다 데이터 서버를 마련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데이터 서버에 격납된 각각의 기업의 정보의 제공을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받은 때에,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는 기업마다의 트래픽 이용 상황을 계수하고, 상기 기업마다 휴대 단말의 이용 요금을 산출하는 트래픽 계수 관리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2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수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한 상기 캐시부에 해당 식별 정보가 보존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구하면,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구비한는 캐시부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3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단말 및 상기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에 접속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요구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로서, 보존하고 있는 송신완료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대조함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정보의 재송신을 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4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송신완료의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하는 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캐시부의 식별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5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송신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미송신이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6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송신완료의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된 정보의 요구를 수신한 때에,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갱신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정보의 재송신을 억지하는 재송신 억지 제어부에서, 갱신된 정보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갱신된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된 정보로 재기록하고, 상기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7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캐시부의 기억 용량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8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캐시부의 영역에 정보를 보존하는 빈곳이 없는 경우, 상기 캐시부의 제 1번째의 영역에 보존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삭제하고, 제 2번째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번째의 영역이 선두가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미의 정보 보존 영역에, 신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보존하고, 상기 캐시부의 정보가 삭제된 경우, 삭제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삭제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캐시부에 신규 정보를 추가하는 경우, 최후미의 정보의 다음에 신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9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의 식별 정보가 상기 캐시부의 식별 정보와 대조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캐시부의 정보가 참조된 경우, 참조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참조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미의 정보 보존 영역에, 참조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0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된 정보로 재기록할 때, 상기 갱신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갱신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미의 정보 보존 영역에,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1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중,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정보를 해시함수에 의해 해시화한 후, 해시화한 정보를 그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2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정보를 해시화한 정보로 하고, 상기 캐시부에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또한 해시화된 정보가 이미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해시화한 정보와 상기 해시화된 정보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해시화된 정보를 상기 해시화한 정보로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3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정보 서버로부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에 더하여 그 정보 갱신 시간을 취득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할 때,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정보 갱신 시간을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구비하는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4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정보 갱신 시간을 취득할 때에,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고, 게다가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갱신 시간과 상기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갱신 시간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5항의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와 접속되고, 정보의 요구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행하면, 상기 요구한 정보의 제공을 받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함과 함께,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때에, 상기 정보를 판독하는 캐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6항의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출력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에, 해당 식별 정보만을 제공하고,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식별 정보만을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고, 또한 해당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7항의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정보의 재수신을 억지하는 재수신 억지 제어부에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재수신 억지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재수신 억지 제어부에 요구하고, 상기 재수신 억지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8항의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때, 상기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 정보로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9항의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캐시부의 기억 용량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기억 용량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캐시부의 기억 용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0항의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정보의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의 갱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갱신이 이루어진 정보에 정보가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갱신 플래그를 부여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한 후, 상기 갱신 플래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1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단말 및 데이터 서버에 접속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요구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상에서 실행되고, 송신완료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하는 캐시부의 송신완료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대조함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2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은, 송신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미송신이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3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은, 송신완료의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된 정보의 요구를 수신한 때에,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갱신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갱신된 정보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갱신된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된 정보로 재기록하고, 상기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4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캐시부의 기억 용량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5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중, 상기 정보를 해시함수에 의해 해시화한 후, 해시화한 정보를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6항의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정보를 해시화한 정보로 하고, 상기 캐시부에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또한 해시화된 정보가 이미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해시화한 정보와 상기 해시화된 정보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해시화된 정보를 상기 해시화한 정보로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7항의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와 접속되고, 정보의 요구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행하면, 상기 요구한 정보의 제공을 받고, 수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하는 캐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상에서 실행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출력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에, 해당 식별 정보만을 제공하는 기능과,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식별 정보만을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8항의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9항의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때, 상기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 정보로 재기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요구 입력 후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의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의 재수신 억지 제어부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서의 휴대 단말의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갱신시의 불일치를 회피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의 데이터 보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의 데이터 보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배경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0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1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2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3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의 실시예]
도 1은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정보 제공 서버(10)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휴대 단말(20)과 접속되어 있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휴대 단말(20) 로부터의 정보의 요구에 대응하여, 정보 제공 서버(10)가 요구된 정보를 휴대 단말(20)에 제공한다. 이 경우, 정보 및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의 송신은, 정보를 가공 처리한 데이터의 송신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하에서는, 특히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정보를 데이터, 또한 식별 정보를 ID로 기술하기로 한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또한 네트워크(60)를 통하여 데이터 서버(30)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휴대 단말(20)과 정보 제공 서버(10)와 데이터 서버(30)가 각각 1대로 되어 있지만, 어느것이나 복수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단말(20)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키패드나 키보드를 구비하고, 출력 인터페이스로서 문자나 화상을 묘화 가능한 모니터를 구비한다. 휴대 단말의 예로서, 휴대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이 있다.
휴대 단말(20)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의 접수나, 입력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22)와, 외부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제어부(21)와, 동일 내용의 데이터의 재수신을 억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받은 정보를 처리하는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와,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제공을 받은 정보를 보존하는 수신 데이터 캐시부(24)를 구비한다.
휴대 단말(20)의 서비스 제공부(22)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말하는 서비스에는, 외부 접속된 서버 등에 정보를 요구하고, 취득한 정보를 사용자가 참조하는 서비스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서비스의 예로서, 사원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전화번호부 서비스나, 상사의 스케줄을 참 조하는 스케줄러 등이 있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휴대 단말(20)로부터 받은 요구를 받아서, 정보를 휴대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10)의 예로서, 기업 서버나 Web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자가 보유하는 서버 등이 있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휴대 단말(20)로부터의 요구를 받는 통신 제어부(11)와, 요구를 발행하는 서비스 제공부(12)와, 정보의 재송신을 억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재송신 억지 제공부(13)와, 송신하는 데이터와 그 ID를 이력 정보로서 보존하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를 구비한다.
서비스 제공부(12)는, 휴대 단말(20)로부터 수취한 요구를 확인하고, 데이터 서버(30)에 데이터의 요구를 행할 수 있다.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취한 정보가, 이미 휴대 단말에 송신완료의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는, 휴대 단말(20)로부터 정보의 제공 요구가 있은 때에, 서비스 제공부(12)가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취득하고, 휴대 단말(20)에 송신한 데이터를, 데이터와 ID를 대응시켜서 보존할 수 있다. 이들의 데이터 및 ID는, 송신완료의 정보로서 보존된다.
도면은, 3개의 데이터 보존 영역에 데이터가 있는 경우로서, ID가 ID(1), ID(2), ID(3)이고, 각각의 데이터가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의 3개의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다. 하나의 데이터 보존 영역에는, 하나의 데이터와 그 ID가 보존된다.
또한, 같은 데이터가 휴대 단말(20)의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도 보존되어 있다. 휴대 단말(20)에서는,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와 ID를 대응시켜서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 보존할 수 있다.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데이터와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의 데이터는, 데이터 변경시를 제외하고, 동일하게 보존된다.
이들의 데이터는 ID를 지정함에 의해,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20)의 경우, 서비스 제공부(22)는 ID를 키 항목으로 하여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에 데이터 요구를 행하면,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ID와 그것에 대응한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 캐시부(24)로부터 취득하여, 서비스 제공부(22)에 제공한다.
데이터 서버(30)는,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인 통신 제어부(31)와,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의 요구를 받아서, 그 요구에 적합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로부터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부(32)와, 각종의 정보가 격납된 데이터베이스(33)를 구비한다. 데이터 서버(30)는, 휴대 단말(20)로부터 정보의 제공 요구가 정보 제공 서버(10)에 이루어지면,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와 그 ID를 정보 제공 서버(10)에 제공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데이터 서버(30)를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독립한 서버로 하고 있지만, 데이터 서버(30)를 정보 제공 서버(10)에 포함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데이터 서버(30) 대신에, 정보 제공 서버(10)에 설치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제 1의 실시예에서의 동작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할 필요에 응하여, 도 1의 주요한 부분을 참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최초에, 정보 제공 서버(10)의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는 3개의 데이터를 3개의 데이터 보존 영역에 보존하고 있다. 휴대 단말(20)로부터 정보의 제공 요구가 정보 제공 서버(10)에 대해 행하여지면, 정보 제공 서버(10)는 데이터 서버(30)에 정보 요구를 행하고, 데이터 서버(30)로부터 데이터(201)와 그 ID(200)가 송신된다.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서는, 휴대 단말(20)에 송신하는 데이터(201)와 그 ID(200)를 송신 이력의 데이터(205)와 ID(204)로서 보존한다.
동시에,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는, 데이터(205)와 ID(204)를, 휴대 단말(20) 에, 데이터(207)와 ID(206)로서 송신한다.
휴대 단말(20)에서는, 데이터(207)를 수신하면, 수신한 데이터(212)와 ID(211)로서,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 보존한다.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와 수신 데이터 캐시부(24)는, 데이터 변경시를 제외하고, 같은 데이터를 보존하고 있다.
휴대 단말(20)의 서비스 제공부(22)가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타페스를 통한 서비스에 더하여, 외부에 접속된 정보 제공 서버(10)에 요구를 발행하고, 그 요구에 대해 정보를 받음으로써, 이용자가 정보를 참조할 수 있는 서비스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예로서, 기업 내의 사원끼리에서 전화번호부 정보를 참조하는 서비스나, 스케줄을 확인하는 서비스가 있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부 참조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라면 찾고 싶은 상대의 성 또는 성명 등을 입력하여 요구를 행하고, 스케줄 확인이라면 참조하여 싶은 상대의 일시를 입력하여 요구를 행하게 된다. 이 요구는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부(22)가 제공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고, 그 중에서 참조하고 싶은 항목을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 및 입력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하, 사용자에 의한 요구 입력 후의 처리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 최초에, 처리의 개략을 설명하고, 다음에 처리의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정보 요구 입력 후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20)의 서비스 제공부(22)에서 입력된 정보 요구는,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를 경유하여,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수신된다. 다음에, 정보 요구는 서비스 제공부(12)를 경유하여 데이터 서버(30)에서 수신된다.
데이터 서버(30)에서는 요구된 정보에 대응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정보 제공 서버(10)의 서비스 제공부(12)에 데이터와 그 ID를 송신한다. 서비스 제공부(12)는 데이터를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 송신한다. 다음에,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데이터를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송신한다. 여기서는, 요구 데이터와 동일 한 ID가 없는 것으로 하여, 이것을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보존한다.
다음에,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요구 데이터를 휴대 단말(20)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20)에서는,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에서 이것을 수신하고,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 보존한다.
최후로,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서비스 제공부(22)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부(22)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이상으로, 사용자에 의한 요구 입력 후의 처리의 개략 설명을 행하였다.
다음에,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데, 상세한 설명 전에, 정보 제공 서버(10)에서 신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에 관해, 간단히 설명한다.
또할 필요에 응하여, 도 1의 주요한 부분을 참조한다.
최초에, 휴대 단말(20)의 서비스 제공부(22)는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되는 것을 확인한다. 다음에, 서비스 제공부(22)로부터, 통신 제어부(21)로부터 입력한 정보와, 이용중의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정보 제공 서버(10)에 정보 요구로서 송신된다.
휴대 단말(20)로부터의 정보 요구는, 정보 제공 서버(10)의 통신 제어부(11),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를 경유한 후, 서비스 제공부(12)에서 취득된다.
휴대 단말(20)로부터 정보 요구를 취득한 정보 제공 서버(10)는, 정보를 보존하는 데이터 서버(30)에 대한 정보 요구를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발행한다. 정보 요구는,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로부터, 통신 제어부(11)를 경유하여 데이터 서버(30)에 보내진다.
데이터 서버(30)는, 통신 제어부(31)를 경유하여 데이터 검출부(32)에서 정보 요구를 받고, 데이터 검출부(32)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 및 입력한 정보를 검색 키로 하여 검색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서버(30)로부터 필요해지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한 데이터는, 데이터(201)와 ID(200)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정보는 통신 제어부(31) 경유로 송신된다.
데이터 서버(30)로부터, 데이터와 그 ID를 취득한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수신한 정보가 휴대 단말(20)에 이미 송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정한다.
이 확인은,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취득한 데이터에 부여되어 있는 ID와,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이미 보존되어 있는 정보의 ID를 비교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 의한 비교의 결과,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취득한 ID와,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이미 보존되어 있는 정보의 ID가 일치하지 않고, 수취한 데이터에 부여되어 있는 ID가,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규 정보이기 때문에, 휴대 단말(20)에는 송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또한,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취득한 ID와 동일한 ID가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미 휴대 단말(20)에는 송신완료라고 판정한다.
판정에 의해, 신규 정보라고 판정된 것에 관해서는 그 데이터와 그 ID를, 또 한 이미 송신완료라고 판정된 정보에 관해서는, 그 ID만을,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통신 제어부(11) 경유로 휴대 단말(20)에 송신한다.
또한,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신규 정보라고 판정된 데이터만, 데이터와 그 ID를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보존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휴대 단말(20)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0)에 의해 보존된 송신완료 정보와 대조함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정보의 재송신을 억지한다.
송신완료인지의 여부의 판정은, 휴대 단말(20)로부터 요구된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식별 정보와 대조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상기한 판정의 결과, 송신완료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데이터의 ID만을 휴대 단말(20)에 송신하고, 미송신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데이터와 그 ID를 휴대 단말(20)에 송신한다.
이상으로, 정보 제공 서버(10)에서 신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에 관해, 간단히 설명하였다.
다음에, 처리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10)에 설치된 서비스 제공부(12)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할 필요에 응하여, 도 1의 주요한 부분을 참조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서버(30)로부터 데이터(201)와 ID(200)를 취득하 면(스텝 401), 데이터는 서비스 제공부(12)로부터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 송신된다(스텝 40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응하여 도 1, 도 2의 주요한 부분을 참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를 취득한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스텝 501),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ID(200)와 동일한 ID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확인 처리를 행한다(스텝 502).
확인의 결과,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 내에 동일한 ID가 있는 경우에는, 이미 송신완료라고 판정하고, 그 ID만을 송신완료 ID(208)로서 휴대 단말(20)을 향하여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503).
한편,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같은 ID가 없는 경우에는, 신규의 데이터로서, 데이터(206)와 ID(207)를 휴대 단말(20)을 향하여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504).
또한 동시에,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데이터(205)와 ID(204)로서 보존한다(스텝 505).
송신완료 ID(208) 또는 신규 데이터인 데이터(207)와 ID(207)는,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로부터 통신 제어부(11)를 경유하여 휴대 단말(20)에 보내진다.
이와 같이,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이미 휴대 단말(20)에 송신완료라고 판정된 데이터에 관해서는, 송신완료 ID(208)만을 송신함으로써, 데이터와 함께 송신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트래픽의 저감을 실현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20)의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응하여 도 1, 도 2의 주요한 부분을 참조한다.
휴대 단말(20)에서는, 통신 제어부(21) 경유로, 송신완료 ID(208) 또는, 신규의 데이터(206)와 ID(207)로 구성된 정보를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에서 취득한다(스텝 601).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취득한 정보가, ID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스텝 602), 해당 정보가 ID만으로 구성된 송신완료 ID(208)인 경우에는, 송신완료 ID(208)를 서비스 제공부(22)에 제공한다(스텝 603).
또한,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해당 정보가 신규의 데이터(206)와 그 ID(207)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ID(207)만을 서비스 제공부(22)에 제공하고(스텝 604), 데이터(206)와 ID(207)는, 수신한 데이터(212)와 그 ID(211)로서,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 보존한다(스텝 60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휴대 단말(20)의 서비스 제공부(22)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수신완료의 ID(208) 또는 신규의 ID(206)를 취득한 서비스 제공부(22)는(스텝 701), ID(208) 또는 ID(206)를 키 항목으로 하여,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에 데이터의 요구를 행한다(스텝 702).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수취한 ID와 그것에 대응한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 캐시부(24)로부터 취득하고, 서비스 제공부(22)에 그 들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수취한 데이터에 의해, 서비스 제공부(22)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스텝 703).
그러나,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의 확인 처리(도 5의 스텝 502로 나타냄)에서, ID가 동일하여도, 데이터 서버(30)측에서 데이터의 갱신이 되면,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데이터의 갱신은, 버젼 업 또는 데이터 오류의 수정 등일 때에 필요에 응하여 이루어지고, ID는 불변이지만, 데이터는 재기록된다.
이 경우, 동일한 ID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확인 처리를 행할 때에, 동일 ID만이 아니라, 데이터도 비교하여, 갱신을 확인함으로써, 이 갱신에 의한 데이터의 불일치를 회피하는 구조가 필요해진다. 이하에 이것을 회피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갱신시의 불일치를 회피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응하여, 도 1의 주요한 부분을 참조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20)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데이터 서버(30)로부터 갱신 데이터(601)와 그 ID(600)를 수취한 정보 제공 서버(10)의 통신 제어부(11)는,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 정보를 건네준다. 이 때,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는, ID(600)와 ID가 동일한 ID(602)와 그 데이터(603)가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 즉, 데이터(603)는 갱신 전의 데이터, 또한 갱신 데이터(601)는 갱신 후의 데이터이다.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데이터(603)를, 갱신 데이터(601)와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데이터(603)와 갱신 데이터(601)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603)는 최신의 갱신 데이터(601)로 갱신되어 있다고 간주하고, 데이터(603)를 갱신 데이터(605)로 변경한다.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ID(604)를 ID(606), 갱신 데이터(605)를 갱신 데이터(607)로 하여, 통신 제어부(11) 경유로, 휴대 단말(20)을 향하여 송신한다.
이들의 데이터는, 휴대 단말(20)의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에서 수신된다.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수신 데이터 캐시부(24)를 참조하고, ID(606)와 동일한 ID(608)가 있고, 게다가 갱신 데이터(607)가 송신되어 오고 있는 경우에는, 정보가 갱신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 보존하고 있는 ID(608)와 세트의 데이터(609)를, 갱신 데이터(607)로 치환하고, 갱신완료 데이터(611)로 한다. 이 예에서는, 갱신에 의한 재기록를 위해 ID의 재기록는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의 휴대 단말(20)에의 정보 송신시에, 휴대 단말(20)의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 보존되어 있다고 판정한 정보에 관해서는,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ID만을 송신한다. 또한, 보존되지 않다고 또는 갱신되어 있다고 판정한 정보에 관해서는, 그 데이터와 ID를 송신한다. 동시에, 정보 제공 서버(10)에서는, 해당 데이터와 해당 ID를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보존 또는 갱신한다는 처리에 의해, 정보 제공 서버(10)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 부(14)의 내용과, 휴대 단말(20)이 보존하는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의 내용을, 데이터 갱신시 이외는, 동일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휴대 단말(20)에 송신함에 의한 트래픽량의 저감도 가능하다.
또한,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휴대 단말(20)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서버(10)의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와 휴대 단말(20)의 수신 데이터 캐시부(24)를, 데이터 갱신시 이외는 동일하게 보존되지만, 이 때문에, 정보 제공 서버(10)는, 휴대 단말(20)의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의 캐시 사이즈를 확정하는 기능을 갖을 필요가 있다.
이 휴대 단말(20)의 캐시 사이즈를 확정하는 기능이란, 사용하는 휴대 단말(20)의 종류에 의해, 이용 가능한 사이즈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20)이 최초에 정보를 요구한 때에, 휴대 단말(20)에 대해, 수신 데이터 캐시부(24)로서 이용 가능한 사이즈를 확정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캐시 사이즈의 확정에 관해, 도 1의 주요한 부분을 참조하여 설명을 행한다.
휴대 단말(20)로부터의 최초의 정보 제공의 요구시에, 그 요구를 받은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자신이 보유하는 캐시 사이즈 확인을 위한 요구 커맨드를 발행한다. 그 커맨드의 되돌아온 값으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는, 이용하는 캐시 사이즈를 결정하고, 자신 의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휴대 단말(20)에 대응한 캐시 사이즈를 확보한다.
캐시 사이즈를 확보한 후, 그 사이즈 정보를 통신 제어부(11)로부터, 휴대 단말(20)의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에 송신한다. 그러면, 휴대 단말(20)의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수취한 사이즈로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의 사이즈를 확보한다.
이상의 실시예의 설명은, 휴대 단말(20)이 하나인 경우의 예이지만,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10)에 대해 복수의 휴대 단말(20)이 접속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정보 제공 서버(10)는, 각 휴대 단말(20)이 보유하는 캐시 사이즈를 각 휴대 단말의 고유 정보로서 데이터 테이블 등에 보유하고, 접속하여 온 휴대 단말이 어느 정도의 캐시를 보유하고 있는지 데이터 테이블에서 확인하고, 캐시 사이즈를 결정한다는 방법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20)측에서 이미 캐시의 일부분을 확정 영역으로서 확보하고 있는 경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캐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부분을 확보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나머지 사이즈를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와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의 캐시 사이즈로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제 1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가 있은 데이터를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송신할 때에, 송신완료 데이터가 보존된 캐시부의 데이터를 참조함에 의해, 데이터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에의 데이터의 재송신을 억지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 2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20)의 이용자가 수신 데이터 캐시부(24) 내의 수신 데이터를 편집한 경우에 있어서도, 정보 제공 서버(10)에 설치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와 휴대 단말(20)의 수신 데이터 캐시부(24)를 동일하게 보존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9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응하여, 도 1의 주요한 부분을 참조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 자신의 스케줄에 변경이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이용자는, 서비스 제공부(22)가 제공하는 스케줄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신 데이터 캐시부(24) 내에 보존되어 있는 이용자 자신의 스케줄(도시 생략)을 참조한다. 다음에, 이용자는, 변경이 발생한 항목을 서비스 제공부(22)가 제공하는 편집 기능에 의해 입력 인터페이스에 의해 편집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서버(10)의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송신 이력과 휴대 단말(20)의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의 수신 데이터를, 데이터 갱신시 이외는 동일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의 실시예의 구성에 비교하면, 휴대 단말(20)에는, 갱신 플래그 부가부(25)가 추가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의 데이터 구성에 관해서는, 데이터(701)가 갱신된 경우에 플래그를 부여하는 갱신 플래그(702)가 추가되어 있다.
이 갱신 플래그(702)는, 데이터(701) 및 ID(700)와 세트로 관리된다. 정보 제공 서버(10)에서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데이터(701)에 대응한 데이터(706)와 ID(705)를 보존한다.
처리가 행하여지기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데이터(701)와 데이터(706)는 동일하고, ID(700)와 ID(705)는 동일하다.
휴대 단말(20)의 수신 데이터 캐시부(24) 내에 있는 데이터(701)는, 서비스 제공부(22)가 제공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에 의해, 이용자는 내용의 편집을 행할 수가 있다.
이용자에 의한 편집이 행하여지면, 수신 데이터 캐시부(24) 내의 데이터(701)는 편집된 내용으로 갱신되고, 갱신이 행하여진 것을 나타내는 갱신 플래그(702)에 대해, 갱신 플래그 부가부(25)에 의해 갱신 플래그(702)가 부여된다. 갱신 플래그(702)는, 예를 들면 숫자인 1, 영자(英字)인 A라도 좋다.
이용자의 편집이 종료되고, 서비스 제공부(22)가 제공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에 의해, 이용자로부터 처리의 종료가 지시되면, 서비스 제공부(22)는, 편집 처리의 종료를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에 통지한다.
편집 종료의 통지를 받은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갱신 플래그 부가부(25)에 요구하여,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의 갱신 플래그(702)를 확인하고, 플래그가 부여되어 있는 ID(700)와, 데이터(701)를 취출하고, 통신 제어부(25)를 경유하여, 정보 제공 서버(10)에 ID(700)를 ID(703)로 하고, 갱신된 데이터(701)를 갱신 데이터(704)로서 송신한다.
송신을 행하면,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갱신 플래그 부가부(25)에 갱신 플래그(702)에 부여되어 있던 갱신 플래그를 제거하는 지시를 행하고, 갱신 플래그 부가부(25)는, 갱신 플래그(702)를 제거하는 처리를 행한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갱신 데이터(704)와 ID(703)를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수취한다.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ID(703)와 동일한 ID(705)에 대응하는 데이터(706)를 취출하고, 갱신 데이터(704)와 데이터(706)를 서비스 제공부(12)에 건네준다. 서비스 제공부(12)는 취득한 정보를 참조하여,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14) 내의 정보를 휴대 단말(20)로부터 취득한 정보로 재기록하던지, 또는, 데이터 서버(30)측에서도 정보가 갱신되어 있은 경우에 그쪽의 정보로 재기록하는지를 판정하지만, 이 처리는 제공 서비스에 의존하는 것이고, 경우에 따라 어느 쪽을 선택하여도 좋다.
제 2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측에서 정보를 편집한 때에, 서비스 제공 서버(10)와 휴대 단말(20)의 캐시 내용을, 정보 갱신시 이외는 일치시킬 수 있고, 제 1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재송신 억지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통신량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제 3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신규 정보를 추가할 때에, 정보량이 많기 때문에, 제 1의 실시예에서 확정한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의 캐시 사이즈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의 대응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와 휴대 단말(20)의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동일한 캐시 관리 알고리즘을 보유하여 처리를 행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데이터 보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응하여, 도 1의 주요한 부분을 참조한다.
휴대 단말(20)이 보유하는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의 사이즈를 제 1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파악한 정보 제공 서버(10)는, 동일한 캐시 사이즈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를 확보한다.
휴대 단말(20)로부터의 정보 요구에 의해, 정보 제공 서버(10)는 데이터 서버(30)에 정보 요구를 행하고,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신규 데이터(1104)를 수취하였다고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신규 데이터(1104)를 추가하면,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서 데이터 보존 영역으로서 확보하고 있는 사이즈를 초과하여 버리는 경우에,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를 참조하여, 캐시 관리 알고리즘을 시작한다.
우선,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데이터 보존 영역의 선두에 있는 데이터(1100)와 ID(1150)를 삭제한다. 삭제함에 의해 비워진 영역에, 데이터(1106)와 ID(1156)를 이동하고, 계속해서 비워진 영역에 나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빈곳을 채운다. 이로써, 최후로 빈 영역이 만들어지고, 그곳에 신규 데이터(1112)와 그 ID(1162)를 추가한다.
또한, 데이터를 1개 삭제할뿐으로는 신규 데이터를 추가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에는, 신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최저한의 영역을 비우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와 같은 알고리즘을 휴대 단말(20)측의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신규 데이터를 추가할 때에, 캐시 사이즈가 부족되는 일 없이 처리가 가능해진다.
상기 처리를 행하는데 있어서, 삭제되는 선두의 데이터를, 이용 빈도가 낮고 또할 필요성이 내려간 것으로 하여 둠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캐시 영역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와 휴대 단말(20)의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이용 빈도 및 필요성이 낮은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선두로 갖고 가는 처리를, 각각 재수신 억지 기능, 재수신 억지 기능을 이용할 때에 행한다. 이 처리에 관해, 이하에서 설명을 행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데이터 보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응하여, 도 1의 주요한 부분을 참조한다.
우선,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데이터가 참조된 경우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재송신 억지의 처리일 때에 데이터의 비교를 행하기 위해, 데이터(1201)를 참조한 경우,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비워진 데이터 보존 영역의 최후미에, 데이터(1201)와 그 ID(1251)를 이동하고, 참조 데이터(1208)와 ID(1258)로 한다. 이동에 의해 비워진 영역에는, 데이터(1203)와 ID(1253)를 시프트시키고, 비워 진 영역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위로 시프트하여 사이를 채운다.
다음에,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재송신 억지를 위한 데이터를 갱신하는 처리일 때에, 데이터(1211)와 ID(1261)를 갱신한 경우,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빈 영역의 최후미에, 갱신 데이터(1218)와 ID(1268)를 보존한다. 이동에 의해 비워진 영역에는, ID(1262), 데이터(1212)를 시프트하여, ID(1256), 데이터(1206)로 하고, 비워진 영역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위로 시프트하여 사이를 채운다.
다음에,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데이터가 삭제된 경우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재송신 억지 처리를 행할 때에, 데이터(1221)가 불필요하게 된 경우,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는, 데이터(1211)를 삭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삭제 처리에 의해 비워진 영역에는, 데이터(1222)와 ID(1272)를 시프트하고, 데이터(1226)와 ID(1276)로 하고, 비워진 영역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위로 시프트하여 사이를 채운다.
최후로,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신규 데이터가 추가되는 경우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재송신 억지 처리를 행할 때에, 신규 데이터(1235)와 ID(1285)를 수취한 경우,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이 신규 데이터(1235)를 추가하는 처리를 행한다.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 내의 최후미의 데이터(1239)의 뒤에, 신규 데이터(1240)와 ID를 보존한다.
상기한 데이터 참조,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의 삭제, 신규 데이터의 추가의 처리는, 휴대 단말(20)의 재수신 억지 제어부(23) 및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서 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제 4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서버(10)에 설치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데이터를 보존할 때에, 해시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캐시 기억의 용량을 억제하면서, 재송신 억지 기능을 제공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제 1의 실시예의 구성에서,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신규 데이터의 캐시 보존시에 데이터를 해시화하여,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보존한다. 이 경우의 해시함수는, SHA-1이나 MD5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해시화하는 수단은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를 해시화함으로써, 원래의 데이터보다도 적은 량으로 갱신 데이터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고,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서 이용하는 보존 영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정보를 수취하고, 그것이 갱신된 정보였은 경우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20)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정보의 요구를 행한 정보 제공 서버(10)는, 데이터(803)와 ID(802)를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취한다. 정보를 수취한 정보 제공 서버(10)는, 그 정보를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 건네준다.
정보를 수취한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그 데이터를 해시화한다. 데이 터(803)를 해시화한 후, 데이터(803)를 해시화한 데이터과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보존되어 있는 ID(802)와 ID가 동일한 해시 데이터(801)를 비교하고, 값에 차이가 있은 때에는, 데이터가 갱신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해시 데이터(801)를, 데이터(803)를 해시화한 데이터로 치환하고, 갱신 해시 데이터(804)로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보존한다.
이와 같이, 해시함수를 이용함으로써 캐시 기억의 용량을 억제하면서도, 데이터 재송신 억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5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서버(10)에 설치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데이터를 보존할 때에, 그 데이터가 갱신된 시간을 보존하는 대신에 데이터의 보존를 생략함으로써, 캐시 기억의 용량을 억제하면서, 재송신 억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의 실시예의 구성에서, 데이터 서버(30)로부터는, ID(900), 데이터(901), 데이터 갱신 시간(902)이 송신되는데,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는 제공 ID(900), 데이터 갱신 시간(902)을 보존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원래의 데이터보다도 적은 량으로 데이터의 차이를 기록할 수 있고,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서 이용하는 보존 영역의 기억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정보를 수취하고, 그것이 갱 신된 정보였은 경우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휴대 단말(20)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정보의 요구를 행한 정보 제공 서버(10)는, ID(900), 데이터(901), 데이터 갱신 시간(902)을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취득한다.
정보를 취득한 정보 제공 서버(10)는, 그 정보를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 건네준다. 정보를 취득한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동일한 ID(903)에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 갱신 시간(904)과 데이터 갱신 시간(902)을 비교하고, 차이가 있은 때에는, 데이터가 갱신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데이터 갱신 시간(904)을 데이터 갱신 시간(902)으로 치환하고, 최신 데이터 갱신 시간(906)으로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보존하고, 데이터(901)를 데이터(908)로 하고, 또한 ID(900)를 ID(907)로 하여, 휴대 단말을 향하여 송신한다.
이들의 동작에 의해, 제 5의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갱신 시간의 정보를 이용하여, 캐시 기억의 용량을 억제하면서도, 데이터 재송신 억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6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20)로부터 사용하는 서비스에 응하여, 정보 제공 서버(10)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20)의 서비스 제공부(22)에서는, 복수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이용자는 그 중에서, 사용하고 싶은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휴대 단말(20)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10)에 대해 정보 요구가 발생하고,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에서 요구 파라미터(1303)가 발행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요구 파라미터(1303)에는, 어느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1304)와, 수취하는 정보를 선별하는 키 항목이 되는 정보 요구 내용(1305)이 포함된다.
요구 파라미터(1303)는, 통신 제어부(21) 경유로 정보 제공 서버(10)에 송신된다. 정보 제공 서버(10)의 서비스 제공부(12)는, 요구 파라미터의 식별 정보(1304)를 해석하고, 요구를 하여야 할 데이터 서버를 식별한다.
서비스 제공부(12)는, 식별 정보를 제거한 요구 파라미터(1303)를,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로부터 통신 제어부(11)를 경유하여, 적절한 데이터 서버에 보낸다. 여기서는 서비스 제공부(12)가 데이터 서버(A1300)를 적절한 서버로서 선택하였다고 한다.
그러면, 데이터 서버(A1300)로부터 정보 요구 내용(1305)에 응한 정보가 정보 제공 서버(10)를 향하여 송신된다.
[제 7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10)에 보내진 정보를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차분 정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ID의 사용은 행하지 않는다.
도 16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20)은 정보의 요구를 정보 제공 서버(10)에 대해 행한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휴대 단말(20)로부터 요구가 있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서버(30)에 대해, 정보의 요구를 행한다. 정보의 요구를 받은 데이터 서버(30)는, 요구에 대응하는 데이터(1411)를 정보 제공 서버(10)를 향하여 송신한다.
데이터(1411)를 수신한 정보 제공 서버(10)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를 참조하여, 데이터(1401)와 비교를 행한다.
비교한 결과, 데이터(1411)와 데이터(1401)에 차이가 있은 경우, 데이터(1401)에 대한 데이터(1411)의 차분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1401)에 대한 데이터(1411)의 차분 정보」란, 데이터(1401)와 데이터(1411)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데이터(1401)에 의거하여 데이터(1411)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라고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이 차분 정보를 데이터화한 것을 차분 데이터(1412)로 기술한다.
또한, 송신되어 온 내용이 데이터(1411) 그 자체인 것인지, 차분 데이터(1412)인 것인지를, 휴대 단말(20)이 판정할 수 있도록, 송신 내용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1413)를 부가한다. 플래그(1413)는 송신 데이터가 차분 데이터인 것인지, 통상의 데이터인 것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라고 한다.
휴대 단말(20)에의 송신의 준비가 완료되면, 데이터(1401)를 데이터(1411)로 재기록하고, 갱신 데이터(1402)로 한 후, 플래그(1416)와 차분 데이터(1415)를 휴대 단말(20)에 송신한다.
또한, 데이터(1411)와 데이터(1401)의 차분이 없고, 이미 송신한 경우에는,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는, 플래그만을 송신한다.
데이터를 수취한 휴대 단말(20)은, 플래그(1416)로부터, 수신한 내용이 차분 데이터(1415)라고 판정하고, 수신 데이터 캐시부(24) 내에 있는 차분 데이터(1415)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1405)에 의거하여 갱신 데이터(1406)를 생성하고, 데이터(1405)를 데이터(1406)로 재기록한다.
이와 같이, 정보의 차분만을 추출하고 송신함에 의해, 데이터의 재송신을 억지할 수 있음과 함께, 통신 트래픽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데이터(1411)와 데이터(1401)의 차분이 크면, 차분 데이터(1412)가 데이터(1411)의 사이즈를 초과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휴대 단말(20)에 송신하기 전에, 차분 데이터(1412)와,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1411)의 사이즈 비교를 행하고, 차분 데이터(1412)가 데이터(1411)의 사이즈를 초과하여 버리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20)에 송신하는 정보는 데이터(1411)를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그 경우에는, 플래그(1413)에 의해, 차분 데이터가 아니라, 통상의 데이터인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제 8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서버를 보유하는 기업에 소속되는 사원이 휴대 단말로부터 자사의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여 정보를 취득할 때에, 자사에서 보유하지 않는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업(A300) 및 기업(B350)에서는, 각각 데이터 서버(310, 360)를 가지며, 또한 각각의 기업의 사원은 휴대 단말(320, 370)을 이용한다. 이 휴대 단말(320, 370)은 기업(A300) 또는 기업(B350)이 사원에게 지급한 것으로 하여도 좋고, 또는 사원의 소유물이라도 좋다. 또한, 도면은 기업(A300)과 기업(B350)의 2개의 기업이 정보 제공 서버(20)를 사용한 예로 하고 있지만, 기업의 수는 3개 이상의 복수라도 좋다.
또한, 도면에서는 각 기업의 휴대 단말을 하나밖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업(A300), 기업(B350)에는, 휴대 단말을 갖는 사원이 복수 존재하여도 좋다. 기업(A300) 및 기업(B350)은, 정보 제공 서버(10)를 갖는 기업에 대해, 서버 이용의 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기업(A300) 및 기업(B350) 함께, 정보 제공 서버(10)의 이용 방법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기업(A300)에 관해 설명을 행한다.
기업(A300)의 사원은, 휴대 단말(320)을 갖는다. 사원은, 최초에, 이 휴대 단말(320)에, 재수신 억지 처리 기능을 내장한 소프트웨어를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여기서, 재수신 억지 처리기능이란, 제 1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휴대 단 말(20)이 구비하는 기능으로서,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휴대 단말(20)의 출력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22)에 해당 식별 정보만을 제공하면, 서비스 제공부(22)에서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수신 데이터 캐시부(24)로부터 취득하고, 또한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식별 정보만을 서비스 제공부(22)에 제공하고, 또한 해당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 보존하고, 서비스 제공부(22)에서,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수신 데이터 캐시부(24)로부터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휴대 단말(320)에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이 소프트웨어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에 의한 서비스는, 데이터 서버(310)에 정보의 요구를 행하면, 그 결과를 취득한다는 것이다.
해당 소프트웨어에 의해 휴대 단말(320)로부터 정보 요구를 행하면, 네트워크(100)를 경유하여 정보 제공 서버(10)에 요구가 송신된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배분 제어부(15)에 의해, 이 요구가 어느 휴대 단말로부터 발행되고 있는지를 판별하고, 휴대 단말(320)을 이용하는 사원이 소속하는, 데이터 서버(310)를 선택한다.
휴대 단말(320)로부터의 요구인 것을 검지한 배분 제어부(15)는, 이 요구를 기업(A300)의 데이터 서버(310)에 송신한다. 요구를 받은 데이터 서버(310)는, 그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0)를 향하여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송 신한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취하면, 그 정보를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 제공하고,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는 제 1의 실시예 또는 제 7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재송신 억지 처리를 실행한 후, 처리를 시행한 정보를 배분 제어부(15)에 되돌린다.
여기서, 제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재송신 억지 처리는, 휴대 단말(20)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0)에 보존된 송신완료의 정보와 대조함에 의해, 휴대 단말(20)로부터 요구된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20)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의 식별 정보를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식별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또한, 제 7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재송신 억지 처리는, 휴대 단말(20)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0)에 보존된 송신완료의 정보와 대조함에 의해, 휴대 단말(20)로부터 요구된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대조할 때, 송신완료 데이터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인 차분 정보와, 송신 정보가 차분 정보인지 차분 정보 이외의 정보인지를 판정하는 플래그를 작성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처리를 시행한 정보가 배분 제어부(15)로 되돌아오는 동시에,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송신 이력으로서 정보를 보존하다. 또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서 이력을 보존한 영역은, 기업마다 구분하 고, 그것을 다시 휴대 단말마다 구분하는 것으로 한다.
보존할 때에 사용하는 영역의 판별은, 휴대 단말이 표준적으로 가지는 식별 정보(고체 식별 정보)를, 배분 제어부(15)에 미리 정보 테이블로서 등록하여 둠에 의해 실현한다.
배분 제어부(15)는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 대해 정보를 제공할 때에, 등록된 보존 영역을 식별하는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배분 제어부(15)는, 재송신 억지 처리가 행하여진 정보를 휴대 단말(A320)에 대해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말하는 재송신 억지 처리가 행하여진 정보란, 상술한 제 1의 실시예 또는 제 7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재송신 억지 처리가 행하여진 정보인 것을 나타낸다.
배분 제어부(15)로부터, 정보를 수취한 휴대 단말(320)에서는, 소프트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재수신 억지 기능에 의해, 재수신 억지 처리를 행한다.
이상 기술한 제 8의 실시예에 의해, 정보 제공 서버(10)를 보유하지 않는 기업이라도, 재송신 억지 처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휴대 단말(320)이 사용한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행하는 통신에 필요로 하는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보 제공 서버(10)를 갖는 기업은, 서버를 사용하고 있는 기업에 대해, 운용 관리비용을 청구하거나, 사용량 및 어느 정도의 통신 효율화가 도모되었는지 라는 정보를 부가가치로서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9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9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서버를 보유하는 기업에 대해 서비스 제공 서버와 휴대 단말을 제공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여 정보를 취득할 때에, 재송신 억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8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업(A300)은 데이터 서버(310)를 갖는다. 기업(A300)은, 데이터 서버(310)를 휴대 단말(320)로부터 사용함과 함께, 재송신 억지 기능 13를 이용하기 위해, 정보 제공 서버(10)의 관리 회사와 재송신 억지 기능의 사용 계약을 체결한다.
또한, 그 기업으로부터 휴대 단말(320)에서의 재송신 억지 기능 사용에 관한 렌털 계약을 체결하던지, 또는 휴대 단말(320)을 구입하여 사용 계약을 체결한다. 이 휴대 단말(320)은, 미리 재수신 억지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도 좋고, 기업(A)에서 이용 시작시에, 재수신 억지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다운로드하여도 좋다.
기업(A)에 소속되는 사원은 휴대 단말(320)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요구를 데이터 서버(310)에 대해 행한다. 이 요구는, 우선 정보 제공 서버(10)에 네트워크 경유로 보내지고, 이 요구를 받은 정보 제공 서버(10)는 배분 제어부(15)에서 정보 송신처를 판별하고, 데이터 서버(310)에 대해 네트워크(100)를 경유하여 요구를 송신한다. 요구를 받은 데이터 서버(310)는, 그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네트워크(100)를 경유하여 정보 제공 서버(10)에 보낸다.
정보를 수취한 정보 제공 서버(10)의 분리 제어부(15)는, 그 정보를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 보낸다.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는,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재송신 억지 처리를 행한다. 이 때의 보존 영역의 판별은, 제 8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취한다.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처리를 시행한 정보를 배분 제어부(15)에 보낸다. 재송신 억지 처리가 시행된 정보를 수취한 배분 제어부(15)는, 네트워크(100)를 경유하여 휴대 단말(320)에 그 정보를 제공한다. 재송신 억지 처리가 시행된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320)은, 휴대 단말(320)에 내장되어 있는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나, 또는 소프트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재수신 억지 기능으로, 제 1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를 행한 후, 정보를 이용한다.
이 제 9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를 보유하지 않는 기업이라도, 재송신 억지 처리를 이용함에 의해, 휴대 단말이 사용하는 네트워크(100) 경유의 통신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업(A)은, 정보 제공 서버(10)를 관리하는 기업에 대해 휴대 단말의 이용 계약을 체결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업에 휴대 단말의 재수신 억지 기능에 대한 월정액 사용료금을 지급하게 된다. 그 때, 휴대 단말(320)로부터의 이용 상황을 트래픽 계수 관리부(16)에 의해 파악하고, 데이터 서버(300)에 접속한 분의 트래픽만 계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업무 이용분을 기업(A)에 요구하고, 그 밖의 업무 이용 외의 사용료를, 휴대 단말을 사용하고 있는 사원에게 청구함에 의해, 기업의 휴대 단말 사용료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량 및 어느 정도의 통신 효율화가 도모되었는지 라는 정보를 부가가치로서 제공하는 것이나, 운용관리 비용이나 메인 터넌스료를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설명은 기업(A)의 경우에 관해 행하였지만, 기업(B) 또는 3개 이상의 기업인 경우에 관해서도 완전히 마찬가지이다.
[제 10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0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서버와 휴대 단말이 보유한 캐시에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에 회복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도 19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 및 제 2의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휴대 단말(20)에 대해 신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도중에 통신의 일시단이 발생하고, 정보 제공 서버(10)의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는 데이터가 보존되었지만, 휴대 단말(20)의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는 데이터가 보존되지 않은 경우의 처리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경우, 통신의 일시 단절이 발생한 후도, 휴대 단말(20)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10)를 향하여, 정보의 요구 처리가 실행된다. 통신단절 직후에 통신단절 전과 같은 정보의 요구가 발생하여도, 몇번인지 다른 요구 처리가 발생한 후에 통신단절 전과 같은 정보의 요구가 발생하여도 좋다.
통신단절 전에 발행된 요구가 휴대 단말(20)로부터 발행되면, 정보 제공 서버(10)는, 그 요구를 받아서, 데이터 서버(30)에 대해 정보의 요구를 행하고,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10)에 정보가 제공된다. 정보 제공 서버(10)에 서는,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와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 내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미 보유하는 정보에 관해서는, 송신완료라고 판정하고, ID만을 휴대 단말(20)에 송신한다.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ID를 수취한 휴대 단말(20)의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ID만이기 때문에, 수신완료의 정보라고 간주하고, 수신 데이터 캐시부(24)를 확인하여 이 ID와 페어로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를 취득하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의 송신중에 통신단절이 발생함에 의해, 휴대 단말(20)은 이 ID를 수신하고 있지 않고, ID와 데이터는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회복 처리로서, 존재하지 않는 ID와 데이터를 재취득하기 위해 이하의 동작을 실행한다.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수신 데이터 캐시부 내에 존재하지 않은 ID를 미보유 ID(1501)으로서 정보 제공 서버(10)에 발행한다. 이 미보유 ID(1501)를 수취한 정보 제공 서버(10)는, 재송신 억지 제어부(23)에 이 미보유 ID(1501)를 건네준다. 재송신 억지 제어부(23)에서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로부터 이 휴대 단말이 미보유였은 ID(1505)와 데이터(1506)를 추출하고, 이들을 휴대 단말(20)을 향하여 송신한다.
미보유 ID(1505)와 미보유 데이터(1506)를 수신한 휴대 단말(20)은, 이들을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에 건네준다.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미보유 ID(1508)와 미보유 데이터(1509)를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 보존한다.
[제 11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1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서버와 휴대 단말이 보유하는 캐시의 부정합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휴대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부여된 부정합 검출 정보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20)에 설치된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도 21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10)에 설치된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할 필요에 응하여, 도 1의 주요한 부분을 참조하여 설명을 행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 및 제 2의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20)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10)에 정보 요구를 행할 때에, 휴대 단말(20)의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서 가지는 정보와 정보 제공 서버(10)가 보유하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 내의 정보와 부정합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부정합 검출 정보를 부여하는 처리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 단말(20)이 요구를 발행할 때,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송신 데이터 캐시부(24)를 참조하고,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 ID와 데이터 본체의 전(全) 정보로부터 부정합을 확인 가능하게 하는 부정합 검출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1601). 이것은, 전 데이터 ID와 데이터 본문을 해시화하고, 그들의 결과로부터 XOR 연산 처리(배타적 논리합)를 행함에 의해 부정합 검출 정보를 생성한다. 이 부정합 검출 정보는, 정보 제공 서버(10)와 부정합 식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면, CRC, SHA, MD5 등 다른 생성 방법을 취하여도 좋다.
부정합을 확인하기 위한 부정합 검출 정보를 생성하면, 요구 정보에 이 식별자를 파라미터으로서 부여하고, 정보 제공 서버(10)에 송신한다(스텝 1602). 이 요구를 수취한 정보 제공 서버(10)는(스텝 1701),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를 참조하여, 단말측에서 행한 것과 마찬가지의 부정합 검출 정보의 생성 처리를 행한다. 부정합 검출 정보를 생성하면, 수신한 휴대 단말(20)의 부정합 검출 정보와 비교한다(스텝 1702).
휴대 단말(20)로부터 송신된 부정합 검출 정보와, 정보 제공 서버(10) 내에서 생성된 부정합 검출 정보가 일치하고 있으면, 캐시 내에서의 부정합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하고,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에서 설명한 재송신 억지 처리를 행하고, 휴대 단말(20)에 정보 제공을 행한다(스텝 1703). 만약, 부정합 검출 정보의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는, 휴대 단말(20)의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의 내용과 정보 제공 서버(10)측의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의 내용에 부정합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고,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휴대 단말(20)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30)에 요구하고, 그 결과로서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에서 설명한 정보의 보존 처리를, 재송신 억지 제어부(13)가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대해 행한다(스텝 1704). 보존 처리가 종료된 후,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 내에 있는 모든 데이터 ID 및 데이터 본체와, 부정합이 발생한 것을 식별하는 부정합 검출 플래그를 부여하여 휴대 단말(20)을 향하여 송신한다(스텝 1705).
전 데이터 ID와 데이터 본체를 수취한 휴대 단말(20)은, 이들을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에 건네준다(스텝 1603).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부정합 검출 플래그를 확인하고, 부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수신 데이터 캐시부(24)에 있는 정보를 삭제하고(스텝 1605), 수취한 모든 데이터 ID와 데이터 본체를 보존한다(스텝 1606). 부정합 검출 플래그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 및 제 2의 실시예의 재송신 억지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1607).
[제 12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2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서버가 데이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데이터 ID가 부여되지 않아도, 재송신 억지 처리를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 및 제 2의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서버(10)가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때에, 정보에 데이터 ID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에도 재송신 억지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데이터 ID를 부여하는 처리에 관해 도 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정보 제공 서버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로서,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처리를 도시하는 도 5와 비교하여,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데이터 ID가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1801와, 데이터 ID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의 처리(스텝 1802 내지 1804)가 추가되어 있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휴대 단말(20)로부터의 요구를 받아서, 데이터 서 버(30)에 정보의 요구를 행한다. 데이터 서버(30)는, 그 요구에 대해 적절한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0)에 제공한다.
여기서, 수취한 정보가 데이터 ID, 데이터 본체라는 구성을 취하지 않고, 데이터 본체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정보에 데이터 ID가 부여되지 않았다고 판정하고(스텝 1801), 재송신 억지 처리부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 내에 있는 데이터 본체 일람과, 취득한 데이터 본체 일람을 비교한다(스텝 1802). 만약, 일치하는 데이터 본체가 없다면, 신규로 데이터 ID를 생성하고(스텝 1803), 데이터 본체에 부여하여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보존한다(스텝 1804).
또한,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취한 신규 데이터 본체 일람에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 본체가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해진 정보라고 판정하고, 데이터 본체와 그것에 부수된 데이터 ID를 삭제한다. 이후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 및 제 2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에서의 휴대 단말(20)을 향한 송신 정보의 생성을 행함으로써, 재송신 억지 처리가 행하여진다.
[제 13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3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재송신 억지 처리를 행한 정보의 순서에 의미를 갖게 하여, 처리 성능이 떨어지는 휴대 단말에서, 소트 처리를 생략하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 및 제 2의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가, 휴대 단말(20)에 정보를 제공할 때에, 미리 휴대 단 말(20)의 서비스 제공부(22)에서의 정보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정보의 순서에 의미를 갖게 하는 처리에 관해 도 1 및 도 2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고, 제 1의 실시예에 의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도 5와 비교하여,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취득한 정보의 소트 처리에 수반하는 스텝 1901 내지 1903가 추가되어 있다. 데이터 ID가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1801과, 데이터 ID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의 처리(스텝 1802 내지 1804)가 추가되어 있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휴대 단말(20)로부터의 요구를 받아서, 데이터 서버(30)에 정보의 요구를 행한다. 데이터 서버(30)는, 그 요구에 대해 적절한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 및 제 2의 실시예에서는, 재송신 억지를 행한 결과의 정보는,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의 순서로 되기 때문에,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순서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만약 여기서,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취한 정보의 순서가, 휴대 단말(20)의 서비스 제공부(22)에서 화면을 생성할 때에,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순서로 수취할 수 있으면, 소트 처리 없이 표시 가능하였다고 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휴대 단말(20)에서 메인 메뉴를 생성하는 정보였은 경우,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취한 정보가, [ID(1) : 전화번호부, ID(2) : 스케줄러, ID(3) : 메일, ID(4) : 업무 연락, ID(5) : 정보 검색]이고, 송신 이력 데이터 캐시부(14)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의 순서가, [ID(1) : 전화번호부, ID(3) : 메일, ID(2) : 스케줄러, ID(4) : 업무 연락]이였다고 한다. 이와 같은 상황인 경우,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 및 제 2의 실시예에서 재송신 억지 처리를 행한 결과로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한 예를 기초로 하면, 생성된 정보는, 데이터 ID와 데이터 본체로 구성된 [ID(1), ID(3), ID(2), ID(4), ID(5) : 정보 검색]이라는 나열로 된다. 생성된 정보와,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취한 정보를 비교하여, 순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서버(30)가 수취한 정보에 맞추어서, 생성한 정보의 순서를 [ID(1), ID(2), ID(3), ID(4), ID(5) : 정보 검색]의 나열로 변경한다(스텝 1901).
순서의 변경이 완료된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0)의 재송신 억지 제어부(13)는, 순서를 붙이는 처리를 행한 것을 식별하는 플래그를 부여하고(스텝 1902), 휴대 단말(20)에 송신한다(스텝 504). 이 정보를 수취한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는, 식별 플래그를 확인하면, 수신한 정보의 순서인 채로, 데이터 ID를 서비스 제공부(22)에 받아 건넨다.
서비스 제공부(22)는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로부터 수취한 데이터 ID의 순서대로 데이터 본체의 요구를 재수신 억지 제어부(23)에 대해 행한다. 재수신 억지 제어부(23)로부터 수취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부(22)는, 순서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자신이 관리하는 출력 인터페이스에 일람 표시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10)는, 그 동작을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한 각 수단을 실행한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70)을 컴퓨터 처리 장치인 정보 제공 서버(10)에서 실행함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70)은,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 그 밖의 기록 매체에 보존되고, 그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10)에 로드되고, 그 동작을 제어함에 의해, 상술한 각 기능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20)도, 또한 그 동작을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한 각 수단을 실행하는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80)을 컴퓨터 처리 장치인 휴대 단말(20)에서 실행함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80)은,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 그 밖의 기록 매체에 보존되고, 그 기록 매체로부터 휴대 단말(20)에 로드되고, 그 동작을 제어함에 의해, 상술한 각 기능을 실현한다.
이상 바람직한 복수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 정보 제공 서버, 휴대 단말,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면,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첫번째로,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가 있은 데이터를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송신할 때에, 송신완료 데이터가 보존된 캐시부의 데이터를 참조함에 의해, 데이터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에의 데이터의 재송신을 억지할 수 있다.
두번째로,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가 있은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송신할 때에, 송신완료인 경우에도, 데이터의 식별 번호만을 송부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에서는 수신완료 데이터가 보존된 캐시부로부터 식별 번호가 같은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음과 함께, 데이터를 재송신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통신의 트래픽량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75)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의 요구에 대응하여,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요구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보존된 송신완료의 정보와 대조함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정보의 재송신을 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송신완료의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하는 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캐시부의 식별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송신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미송신이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와 해당 정 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함과 함께,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때에, 상기 정보를 판독하는 캐시부를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출력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에 해당 식별 정보만을 제공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식별 정보만을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고, 또한 해당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완료의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된 정보의 요구를 수신한 때에,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접속되고, 상기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갱신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갱신된 정보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갱신된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된 정보로 재기록하고, 상기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서 수신한 때, 상기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하는 캐시부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 정보로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구비하는 캐시부의 기억 용량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기억 용량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하는 캐시부의 기억 용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정보의 휴대 단말의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의 갱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보로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갱신 플래그를 부여하고, 상기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한 후, 상기 갱신 플래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부의 영역에 정보를 보존하는 빈곳이 없는 경우, 상기 캐시부의 제 1번째의 영역에 보존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삭제하고, 제 2번째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번째의 영역이 선두가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미의 정보 보존 영역에, 신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보존하고,
    상기 캐시부의 정보가 삭제된 경우, 삭제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삭제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캐시부에 신규 정보를 추가하는 경우, 최후미의 정보의 다음에 신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의 요구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 기 캐시부의 정보가 참조된 경우, 참조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참조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미의 정보 보존 영역에, 참조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된 정보로 재기록할 때, 갱신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갱신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미의 정보 보존 영역에,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중,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정보를 해시함수에 의해 해시화한 후, 해시화한 정보를 그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정보를 해시화한 정보로 하고, 상기 캐시부에 상 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또한 해시화된 정보가 이미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해시화한 정보와 상기 해시화된 정보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해시화된 정보를 상기 해시화한 정보로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된 데이터 서버로부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에 더하여, 그 정보 갱신 시간을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취득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한 후,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정보 갱신 시간을 대응시켜서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갱신 시간을 취득할 때에,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고, 게다가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갱신 시간과 상기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갱신 시간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7.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단말과 해당 휴대 단말에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 공 서버가 접속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복수의 데이터 서버와 접속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정보의 제공 요구를 받으면,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서버의 어느 하나로부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이용하는 정보 서비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수취하는 정보를 선별하는 정보 항목인 정보 요구 내용을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하면,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서버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서버를 선택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상기 정보의 정보 요구 내용에 대응한 정보의 제공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송신완료의 상기 정보를 보존하는 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상기 캐시부의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할 때, 송신완료 데이터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인 차분 정보와, 송신 정보가 차분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플래그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작성하고, 상기 요구된 정보는 미송신이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차분 정보와 상기 플래그를 송신하고,
    송신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플래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0.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업마다, 해당 기업에 속하는 데이터 서버와 휴대 단말을 마련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데이터 서버에 격납된 정보의 제공을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받을 때에, 상기 휴대 단말을 보유하는 각각의 기업의 데이터 서버에 상기 요구된 정보를 기업마다 배분하여 요구하는 배분 제어부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1.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업마다 데이터 서버를 마련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데이터 서버에 격납된 각각의 기업의 정보의 제공을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받을 때에,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는 기업마다의 트래픽 이용 상황을 계수하고, 상기 기업마다 휴대 단말의 이용 요금을 산출하는 트래픽 계수 관리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수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한 상기 캐시부에 해당 식별 정보가 보존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구하면,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구비한 캐시부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3.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단말 및 상기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에 접속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요구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로서,
    보존하고 있는 송신완료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대조함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정보의 재송신을 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24. 제 23항에 있어서,
    송신완료의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 하는 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캐시부의 식별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25. 제 24항에 있어서,
    송신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 식별 정보만을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미송신이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26. 제 25항에 있어서,
    송신완료의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된 정보의 요구를 수신한 때에,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갱신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정보의 재송신을 억지하는 재송신 억지 제어부에서, 갱신된 정보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갱신된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된 정보로 재기록하고, 상기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27.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부의 기억 용량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부의 영역에 정보를 보존하는 빈곳이 없는 경우, 상기 캐시부의 제 1번째의 영역에 보존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삭제하고, 제 2번째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번째의 영역이 선두가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미의 정보 보존 영역에, 신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보존하고,
    상기 캐시부의 정보가 삭제된 경우, 삭제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삭제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캐시부에 신규 정보를 추가하는 경우, 최후미의 정보의 다음에 신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의 식별 정보가 상기 캐시부의 식별 정보와 대조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캐시부의 정보가 참조된 경우, 참조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참조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미의 정보 보존 영역에, 참조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30. 제 26에 있어서,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된 정보로 재기록할 때, 상기 갱신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에 계속되는 다음의 영역 이후의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음의 영역이 갱신된 정보가 보존된 영역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최후미의 정보 보존 영역에,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중,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정보를 해시함수에 의해 해시화한 후, 해시화한 정보를 그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정보를 해시화한 정보로 하고, 상기 캐시부에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또한 해시화된 정보가 이미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해시화한 정보와 상기 해시화된 정보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해시화된 정보를 상기 해시화한 정보로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33.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로부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에 더하여 그 정보 갱신 시간을 취득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할 때,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정보 갱신 시간을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구비하는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갱신 시간을 취득할 때에,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고, 게다가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갱신 시간과 상기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갱신 시간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35.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와 접속되고, 정보의 요구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행하면, 상기 요구한 정보의 제공을 받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함과 함께,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때에, 상기 정보를 판독하는 캐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출력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에, 해당 식별 정보만을 제공하고,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식별 정보만을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고, 또한 해당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정보의 재수신을 억지하는 재수신 억지 제어부에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재수신 억지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재수신 억지 제어부에 요구하고, 상기 재수신 억지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 한 때, 상기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 정보로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9. 제 35항 내지 제 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캐시부의 기억 용량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기억 용량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캐시부의 기억 용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0.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정보의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의 갱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갱신이 이루어진 정보에 정보가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갱신 플래그를 부여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한 후, 상기 갱신 플래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1.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단말 및 데이터 서버에 접속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요구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상에서 실행되고,
    송신완료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하는 캐시부의 송신완료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대조함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된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42. 제 41항에 있어서,
    송신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만을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미송신이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43. 제 42항에 있어서,
    송신완료의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된 정보의 요구를 수신한 때에,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갱신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갱신된 정보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갱신된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된 정보로 재기록하고, 상기 갱신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44. 제 41항 내지 제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부의 기억 용량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45.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중, 상기 정보를 해시함수에 의해 해시화한 후, 해시화한 정보를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정보를 해시화한 정보로 하고, 상기 캐시부에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또한 해시화된 정보가 이미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해시화한 정보와 상기 해시화된 정보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된 상기 해시화된 정보를 상기 해시화한 정보로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47.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와 접속되고, 정보의 요구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행하면, 상기 요구한 정보의 제공을 받고, 수신한 정보와 해당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서 보존하는 캐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상에서 실행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출력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에, 해당 식별 정보만을 제공하는 기능과,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식별 정보만을 상기 서 비스 제공부에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된 정보와 해당 정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때, 상기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갱신 정보로 재기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
  5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한 정보에, 상기 휴대 단말의 캐시부에 보존된 정보와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캐시부에 보존된 정보 사이의 부정합을 확인하기 위한 부정합 검출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측에서 생성한 상기 부정합 검출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에 부여된 부정합 검출 정보를 대조하고, 상기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 검출 정보는,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정보로부터 정보 사이의 부정합을 검출 가능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2. 제 50항 또는 제 51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 검출 정보가 불일치한 경우, 부정합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붙여서 요구된 상기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플래그가 붙여진 상기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정보를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접속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와 상기 캐시부 에 보존한 정보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불일치한 경우,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해당 정보를 식별하는 상기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4. 제 53항에 있어서,
    불일치라고 판정한 상기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접속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서의 처리의 순서에 의거하여 순서를 붙여서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정보를 재배열하는 일 없이 수신한 순서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6.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순서가 붙여진 상기 정보에, 해당 정보가 순서가 붙여저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하여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플래그 순서 정보를 취득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정보를 해당 순서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7. 제 55항 또는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정보를 보존하는 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서의 처리의 순서에 의거하여 순서를 붙여서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에,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에 보존되는 정보 사이의 부정합을 확인하기 위한 부정합 검출 정보를 부여하고,
    생성한 상기 부정합 검출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에 부여된 부정합 검출 정보를 대조하고, 상기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59. 제 58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 검출 정보는,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정보로부터 정보 사이의 부정합을 검출 가능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 버.
  60. 제 58항 또는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 검출 정보가 불일치한 경우, 부정합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붙여서 요구된 상기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6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와 상기 캐시부에 보존한 정보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불일치한 경우,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해당 정보를 식별하는 상기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62. 제 61항에 있어서,
    불일치라고 판정한 상기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63.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서의 처리의 순서에 의거하여 순서를 붙여서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가 붙여진 상기 정보에, 해당 정보가 순서가 붙여저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65. 제 63항 또는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보존하는 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서의 처리의 순서에 의거하여 순서를 붙여서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버.
  66. 제 35항에 있어서,
    요구하는 정보에, 상기 캐시부에 보존되는 정보와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보 존되는 정보 사이의 부정합을 확인하기 위한 부정합 검출 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정보 제공 서버측에서 생성한 상기 부정합 검출 정보와, 상기 요구되는 정보에 부여되는 부정합 검출 정보를 대조하여 상기 부정합 검출 정보가 불일치한 경우, 부정합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붙여진, 요구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접속하는, 상기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요구에 대응한 처리의 순서에 의거하여 순서를 붙인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재배열하는 일 없이 수신한 순서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8.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해당 정보가 순서가 붙여저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한, 상기 순서가 붙여진 상기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플래그 순서 정보를 취득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정보를 해당 순서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9.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하는 정보에, 상기 휴대 단말의 캐시부에 보존되는 정보와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캐시부에 보존되는 정보 사이의 부정합을 확인하기 위한 부정합 검출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측에서 생성한 상기 부정합 검출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에 부여된 부정합 검출 정보를 대조하고, 상기 정보가 송신완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70.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 검출 정보가 불일치한 경우, 부정합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붙여서 요구된 상기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플래그가 붙여진 상기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정보를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71.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접속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한 정 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와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불일치한 경우,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해당 정보를 식별하는 상기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72. 제 71항에 있어서,
    불일치라고 판정한 상기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캐시부로부터 삭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73.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접속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서의 처리의 순서에 의거하여 순서를 붙여서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정보를 재배열하는 일 없이 수신한 순서에 따라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74.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순서가 붙여진 상기 정보에, 해당 정보가 순서가 붙여저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하여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플래그 순서 정보를 취득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정보를 해당 순서에 따라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75. 제 73항 또는 제 7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정보를 보존하는 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서의 처리의 순서에 의거하여 순서를 붙여서 상기 캐시부에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제어 프로그램.
KR1020077001598A 2004-06-24 2005-06-24 정보 제공 시스템, 정보 제공 서버, 휴대 단말, 정보 제공제어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 KR20070039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6279 2004-06-24
JPJP-P-2004-00186279 2004-06-24
JP2005181818 2005-06-22
JPJP-P-2005-00181818 2005-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067A true KR20070039067A (ko) 2007-04-11

Family

ID=3578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598A KR20070039067A (ko) 2004-06-24 2005-06-24 정보 제공 시스템, 정보 제공 서버, 휴대 단말, 정보 제공제어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59601A1 (ko)
EP (1) EP1785880A4 (ko)
JP (1) JPWO2006001507A1 (ko)
KR (1) KR20070039067A (ko)
WO (1) WO2006001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2820A (ja) * 2006-08-24 2008-03-0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092384A (ja) * 2006-10-04 2008-04-17 Nec Corp 個人データ保護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個人データ保護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8024453B2 (en) * 2006-11-17 2011-09-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nitoring performance of dynamic web content applications
JP5217376B2 (ja) * 2007-11-16 2013-06-19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キャッシュ管理装置、端末キャッシュ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15331B2 (ja) * 2009-03-09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32733B2 (ja) * 2010-12-22 2014-11-26 株式会社Nttドコモ 表示装置、画面画像転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13412A1 (en) * 2011-07-08 2013-0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GEO-Based Offers on a Mobile Advertising Display Device
GB2508343A (en) 2012-11-28 2014-06-04 Ibm Replacing a hash function if a second hash function is more effective
US8874904B1 (en) * 2012-12-13 2014-10-28 Emc Corporation View computation and transmission for a set of keys refreshed over multiple epochs in a cryptographic device
JP6347932B2 (ja) * 2013-09-30 2018-06-2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US10419521B2 (en) * 2015-05-28 2019-09-17 Toshiba Memory Corporation Memory system
US11650811B2 (en) * 2019-11-26 2023-05-16 Hyundai Autoever Corp. Method of updating control unit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218A (ja) * 1990-05-25 1992-02-03 Hitachi Ltd 差分インストール方式
US5919247A (en) * 1996-07-24 1999-07-06 Marimba, Inc.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code and data updates
US5852717A (en) * 1996-11-20 1998-12-22 Shiva Corporation Performance optimizations for computer networks utilizing HTTP
JPH11177628A (ja) * 1997-12-15 1999-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広域環境用3次元仮想空間共有システム
JP2000020490A (ja) * 1998-07-01 2000-01-21 Fujitsu Ltd 遠隔手続き呼出し機構またはオブジェクトリクエストブローカ機構を有する計算機、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転送方法記憶媒体
JP2000259525A (ja) * 1999-03-10 2000-09-22 Nec Corp 通信プロトコルにおける応答返却方法および通信制御装置
JP2001154902A (ja) * 1999-11-30 2001-06-08 Nec Corp Webオブジェクトの取得システム
EP1154356A1 (en) * 2000-05-09 2001-11-14 Alcatel Caching of files during loading from a distributed file system
JP4478310B2 (ja) * 2000-09-20 2010-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20030023759A1 (en) * 2000-11-30 2003-01-30 Jack Littlet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telephony services via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20020120743A1 (en) * 2001-02-26 2002-08-29 Lior Shabtay Splicing persistent connections
US20020147770A1 (en) * 2001-04-09 2002-10-10 Timothy Tang Multicast enabled caching service
JP4222590B2 (ja) * 2001-07-18 2009-02-12 株式会社東芝 サーバ・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ストリーミ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044346A (ja) * 2001-07-30 2003-02-14 Hitachi Ltd 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JP3886362B2 (ja) * 2001-11-13 2007-02-28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フィルタリング方法、コンテンツフィルタリング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フィルタリングプログラム
JP4071024B2 (ja) * 2002-03-26 2008-04-02 カシオソフト株式会社 情報転送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038439A (ja) * 2002-07-02 2004-02-05 Hitachi Ltd Webアクセス中継装置
JP2004086697A (ja) * 2002-08-28 2004-03-18 Seiko Epson Corp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接続管理技術
US7171469B2 (en) * 2002-09-16 2007-01-30 Network Applianc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a proxy cache in a network
US20040230662A1 (en) * 2003-02-14 2004-11-18 Julio Estrada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large messages in a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5880A4 (en) 2007-12-05
US20080059601A1 (en) 2008-03-06
EP1785880A1 (en) 2007-05-16
WO2006001507A1 (ja) 2006-01-05
JPWO2006001507A1 (ja)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9067A (ko) 정보 제공 시스템, 정보 제공 서버, 휴대 단말, 정보 제공제어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제어 프로그램
US72870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devices that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r application program directly from nonvolatile storage
KR101618879B1 (ko) 사용자 장치를 통한 아이템들의 소비
US6925476B1 (en) Updating application data including adding first change log to aggreagate change log comprising summary of changes
CN101146261B (zh) 一种电子媒体数字保护的实现方法
KR101191914B1 (ko) 웹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일관리시스템의 파일 관리방법
CN107786638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89591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function expansion program
JP4683209B2 (ja) データ提供システム、データ提供方法、サー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6021841A2 (en) Efficient synchronisation of smart card data with data stored on an external server
CN101990049B (zh) 数据处理系统及该数据处理系统的控制方法
US20100100574A1 (en) File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JP2008542889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課金の通知を配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4719732B2 (ja) バックアップサーバ、移動機、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バックアップ方法
US84381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ile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7441252B2 (en) Cache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JP2005202918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携帯端末データ管理システム
US69761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devices using limited amounts of random access memory
US8190559B2 (en)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ocuments
JP2002334088A (ja) 文書蓄積サーバ、文書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0422984C (zh) 电子器械及数据管理方法
JP2003015925A (ja) 情報端末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50198033A1 (en) Method for moving data between folders within a data space
KR100359993B1 (ko)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백업방법
CN113296699A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