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671A -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스포일러 - Google Patents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스포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671A
KR20070035671A KR1020050090340A KR20050090340A KR20070035671A KR 20070035671 A KR20070035671 A KR 20070035671A KR 1020050090340 A KR1020050090340 A KR 1020050090340A KR 20050090340 A KR20050090340 A KR 20050090340A KR 20070035671 A KR20070035671 A KR 20070035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ap
fixing member
parison
cap
sp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856B1 (ko
Inventor
홍 남
오 열 권
Original Assignee
(주)모야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야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모야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05009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856B1/ko
Priority to US11/297,064 priority patent/US7422718B2/en
Priority to US11/375,916 priority patent/US7364330B2/en
Publication of KR2007003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856B1/ko
Priority to US11/868,813 priority patent/US742226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17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out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21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 B29C2049/2043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comprising threads, e.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21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 B29C2049/2047Tubular inserts,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using particular environment or blow fluids other than air
    • B29C2049/4602Blowing fluids
    • B29C2049/4638Blowing fluids being a hot gas, i.e. gas with a temperature higher than ambie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29L2031/3058Spoi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3Airstream reactive vehicle or vehicl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된 뜨거운 공기를 주입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블로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금형에 원통형의 패리슨을 에어블로잉하여 중공형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할 때 고정부재 안착홈에 외부 인서트캡과 내부 인서트캡을 안착하여 성형함으로써 길이가 긴 형태의 고정부재를 일체로 융착시킬 수 있는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스포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은 길이가 긴 고정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중공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정부재를 하부금형에 안착하는 고정부재 안착공정과 성형물의 본체를 이루는 패리슨을 위치하는 패리슨 위치공정과 압축된 뜨거운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블로잉 공정과 성형이 완료된 성형물을 배출하는 성형물 배출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안착되는 고정부재는 외형을 이루는 외부 인서트캡 내부에 상부판과 지지대로 형성되는 내부 인서트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인서트캡의 상부판을 중심으로 외부 인서트캡의 내부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공간의 내측벽에 용융된 패리슨이 융착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외부 인서트캡 내부에 내부 인서트캡을 포함토록 형성해 에어블로잉 공정에서 패리슨이 고정부재의 내측벽에 완전히 밀착하여 융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멀티 인서트 캡 블로잉 성형방법을 이용해 차량용 스포일러에 길이가 긴 고정부재가 안정적으로 일체화 될 수 있게 한다.
스포일러, 블로성형, 인서트 캡.

Description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스포일러{Multi inserted cap Blow-molding method and Spoiler for vehicles using the same}
도 1(a)(b)는 종래 기술에 따라 성형된 차량용 스포일러의 장착 상태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a)(b)는 종래의 블로성형방법에 따른 차량용 스포일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블로성형방법에 따른 차량용 스포일러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스포일러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을 사용하여 차량용 스포일러를 성형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30 : 상부금형
40 : 하부금형 50 : 캐비티
60 : 패리슨 100 : 차량용 스포일러
101 : 차량용 스포일러 본체 110 : 고정부재
111 : 외부 인서트캡 112 : 내부 인서트캡
120 : 고정부재 안착홈 130 : 블로핀
본 발명은 압축된 공기를 주입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블로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부 금형에 원통형의 패리슨을 에어블로잉하여 중공형 플라스틱을 성형할 때 고정부재 안착홈에 외부 인서트캡과 내부 인서트캡을 위치하여 성형함으로써 깊이가 깊고 길이가 긴 형태의 고정부재를 성형물에 일체로 융착시킬 수 있는 멀티 인서트 캡 블로 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스포일러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할 때는 일반적으로 그 형태와 재질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의 성형방식이 있다. 그 대표적인 플라스틱 성형방법으로 블로성형 즉, 중공성형(Blow molding)이라 불리우는 방식이 있는데, 이는 분할금형 내에 위치한 가열·연화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패리슨(Parison) 또는 시트에 공기압 등을 사용하여 부풀게 하고, 금형에 밀착시키면서 동시에 냉각하여 플라스틱 공중체를 얻는 방법이다.
통상 가열 용융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압출하여 튜브상으로 예비 성형한 패리슨을 블로성형용 금형 내에 삽입하여 가열 연화한 뒤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중공제품을 성형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에어 스포일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에어 스포일러는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 형성되는 기류에 의해 차체가 뜨는 현상을 억제하여 고속주행 시 안정성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에어 스포일러와 제조방법에 대하여 미국등록특허(US 6531613, US 6293613)에 도시한 방법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자동차 스포일러는 도 1(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2)의 후방에 트렁크 리드(Trunk lid; 11)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차량용 스포일러(10)의 저면에는 스포일러를 트렁크 리드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키면서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부재(2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소정 높이를 갖는 컵 형상의 고정부재 본체(21)와 중공형 스포일러 본체의 외주면에 접합하기 유리하도록 본체(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나팔관 형태의 플랜지(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21) 바닥에는 고정부재 융착 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기공(23)과 고정부재(20)를 차량의 트렁크 리드(11)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볼트(2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20)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블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되며, 스포일러 성형 시, 스포일러 본체를 이루는 용융 예비 성형물인 원통형 패리슨(parison)의 외주면에 융착하게 된다.
도 2(a)(b)는 종래의 블로성형방법에 따른 차량용 스포일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부재 융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 형태의 스포일러를 에어블로잉 성형할 수 있도록 캐비티(50)가 형성된 상부금형(30)과 하부금형(4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하부금형(40)의 캐비티(50)에는 고정부재(20)가 삽입되는 안착홈(41)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41)의 하부에는 성형 시 발생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통로(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41)에는 고정부재(20)가 안착된 다음, 상기 하부금형(40)과 상부금형(30) 사이로 원통형 패리슨(60)이 이송되고, 상부금형(30)이 하강하여 금형(30, 40)이 닫히게 된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형(33,35)이 닫혀진 상태에서 패리슨(50) 내에 고압의 열풍이 주입되게 된다. 그러면 주입된 열풍에 의해 패리슨(50)이 용융되면서 금형의 캐비티(50)에 밀착되어 소정 형상의 스포일러 본체(11)가 성형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20)가 접촉된 부분의 패리슨(50)도 용융되면서 상기 고정부재(20) 내로 유입되어 고정부재(20)의 내측 벽면에 밀접하게 융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0) 내부에 잔류하던 공기는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배기공(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끝으로 상기 금형을 냉각시킴에 따라 패리슨(50)이 점차 경화되어 소정 형상의 스포일러 본체(11)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고정부재(20)가 일체로 접합된 차량용 스포일러(10)가 성형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고정부재(20)는 도 3(a)(b)도시한 바와 같이, 스포일러(10)와 트렁크 리드(11) 사이의 간격이 길 경우 즉, 고정부재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고정부재(20)가 위치한 깊이방향을 따라 원재료가 일정하게 융착되지 않고 점차 얇아지거나 끝부분이 단절되는 불균일한 상태로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의 내측면에 융착되는 원재료의 두께가 얇아지는 상태로 성형되면 스포일러(10)에 융착된 고정부재(20)의 내구력이 약화되고, 스포일러(10)를 트렁크 리드상에 결합하는 경우 쉽게 고정부재(20)가 파열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절한 두께를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 따라 차량의 고속주행시 내구성이 불량해지게 되어 주행시에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의 패리슨을 에어블로잉하여 고정부재가 일체형으로 융착된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할 때 깊이가 깊은 고정부재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 인서트캡 내에 별도의 내부 인서트 캡을 설치하여 고정부재가 안정적으로 일체화된 플라스틱 성형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리드상에 장착되는 스포일러의 성형시에 별도로 제작된 외부 인서트 캡과 내부 인서트 캡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스포일러 본체에 융착하여 차량과의 결합시에 충분한 내구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스포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은 깊이가 깊고 길이가 긴 고정부재가 융착되는 중공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부 금형에 형성된 고정부재 안착홈에 상기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외부 인서트캡과 내부 인서트캡을 안착하는 고정부재 안착공정과; 캐비티가 형성된 상·하부 금형 사이에 패리슨(Parison)을 위치하는 패리슨 위치공정과; 압축된 뜨거운 공기를 상기 패리슨 내부에 주입하여 성형물을 형성하는 에어블로잉 공정과; 상기 성형물을 배출하고 마무리 가공하는 성형물 배출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를 중공 플라스틱 제품에 융착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길이가 긴 고정부재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 인서트캡 내부에 상기 외부 인서트캡의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외부 인서트캡의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하는 내부 인서트 캡을 포함하여 고정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성형물을 성형할 때 용융된 패리슨이 에어블로잉 과정중에 상기 내부 인서트캡에 의해 구분되는 외부 인서트캡의 상부공간 내측벽에 안정적으로 융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 안착공정은 실제로 중공 플라스틱 제품에 융착되는 길이가 긴 고정부재를 금형틀안에 위치하는 공정으로, 상기 고정부재는 크게 외부 인서트캡과 내부 인서트캡으로 이루어진다.
금형은 임의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다고 정의한다.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중공 플라스틱 제품의 형상을 가진 캐비티 (Cavity)가 형성되는바, 상기 캐비티와 하부금형에는 융착되는 고정부재를 안착하는 소정깊이의 고정부재 안착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우선 안착홈의 형상에 따라 외형을 이루는 외부 인서트캡과 그 내부로 내부 인서트캡을 포함한 고정부재를 위치한다.
이때, 상기 내부 인서트캡은 상기 외부 인서트캡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위치하는데, 바람직하게는 판형상으로 상부판이 외부 인서트캡 내부의 일정 위치에서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는 에어블로잉 공정중에 주입되는 공기압을 견딜 수 있도록 지지대가 포함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 인서트캡은 깊이가 깊은 컵형상의 본체를 가지는데,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패리슨이 형성하는 성형물에 융착이 용이하도록 나팔관 형태의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바닥면에는 주입되는 패리슨에 의해 밀려나는 고정부재 내부의 정체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다수의 배기공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인서트캡의 바닥면과 내부 인서트캡의 상부판에는 공기를 주입하는 관형상의 블로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블로 핀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인서트캡의 상부판은 성형 시 고정부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외부 인서트캡의 측면벽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거나 구멍을 형성해 배기공간을 구성한다.
상기 패리슨 안착공정은 용융된 원통형의 패리슨을 상·하부 금형 사이에 이 송하여 위치하는 공정으로 상기 패리슨은 이어지는 에어블로잉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중공 플라스틱 제품의 본체를 이룬다. 상기 패리슨이 위치하면 상·하부 금형을 닫고, 패리슨은 캐비티의 형상에 따라 형태를 이룰 준비를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에어블로잉 공정은 상기 금형안에 위치한 패리슨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정으로 관형상의 블로 핀을 사용해 공기를 주입하는데 상기 블로 핀은 금형의 일측를 관통해 패리슨 내부까지 위치하고 끝단부에서 패리슨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로 핀은 하부 금형에 형성한 배기통로를 관통하여 고정부재 안착홈을 관통하고 외부 인서트캡의 바닥면과 내부 인서트캡의 상부판에 형성된 블로 핀 삽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패리슨의 내부에 끝단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블로 핀을 통해 고압의 뜨거운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상기 패리슨은 캐비티의 형상에 따라 제품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하부의 패리슨은 공기압에 의해 고정부재가 위치한 안착홈에 주입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외부 인서트캡 내측벽에 융착되게 되는데 깊이가 깊은 하부까지 도달하지는 못하고 외부 인서트캡 내부에 위치한 내부 인서트캡의 상부판에 의해 차단되어 내부 인서트캡의 상부면과 외부 인서트캡의 측면벽이 이루는 상부공간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융착된다.
이어서, 상기 패리슨이 캐비티의 형상에 따라 제품의 형태를 가지고 하부에 길이가 긴 고정부재가 일체로 융착되면 성형물을 배출하고 마무리 가공을 위한 성형물 배출공정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물 배출공정은 냉각수등에 의해 성형물을 포함한 금형을 냉각함으로써 고정부재를 일체로 포함하여 형성된 성형물을 배출한다.
이와 같은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에 따른 중공 플라스틱 제품은 길이가 긴 고정부재를 일체로 융착하여 성형하고자 할 때, 상기 고정부재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 인서트캡 내부에 내부 인서트캡을 포함하여 위치함으로써 에어블로잉 공정중에 패리슨이 고정부재의 측면벽에 아주 얇게 융착되거나 단절되어 결합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은 길이가 긴 중공형의 고정부재가 융착되는 생산공정 즉, 차량에 적용되는 스포일러와 범퍼 가드, 사이드 스텝 그리고 덕트 등의 성형 생산공정등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서트 캡 블로 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스포일러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서트 캡 블로 성형방법을 사용하여 차량용 스포일러를 성형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200)을 이용하여 중공 플라스틱 제품에 길이가 긴 고정부재를 융착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일예로 차량용 스포일러를 성형함에 있어서도 용이한 방법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스포일러(100)의 저면에는 스포일러(100)를 트렁크 리드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키면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부재(11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외형을 이루는 외부 인서트캡(111) 내부에 내부 인서트캡(112)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외부 인서트캡(111)은 소정 높이를 갖는 컵 형상의 고정부재 본체(111a)와 중공형 스포일러 본체의 외주면에 접합하기 유리하도록 본체(111a)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나팔관 형태의 플랜지(11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11a)의 바닥에는 고정부재 융착 시 고정부재(110) 내부에 정체되어 있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기공(113)과 고정부재(110)를 차량의 트렁크 리드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볼트(1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외부 인서트캡(111)의 바닥면에는 성형시 공기를 주입하는 블로 핀이 삽입되는 블로 핀 삽입구(116a)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블로 핀 삽입구(116a)는 블로 핀을 금형의 타측에서 삽입할 때는 배기공(113)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내부 인서트캡(112)은 길이가 긴 고정부재(110)가 스포일러(100)의 하부에 융착되는 성형공정을 거칠때 직접 패리슨에 의해 내측벽이 융착되는 공간(A)을 줄여 보다 안정적으로 융착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 인서트캡(111)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 인서트캡(111)을 상부공간(A)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하는 상부판(112a)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지지대 (112b)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내부 인서트캡(112)의 상부판(112a)은 성형 공정에서 외부 인서트캡(111)의 상부공간에 정체되어 있던 공기를 외부 인서트캡(111)의 배기공(113)과 금형의 배기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외부 인서트캡의 측면벽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거나 구멍을 형성해 배기공간(115)을 구성한다. 상기 배기공간(115)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 상기 상부판(112a)과 외부 인서트캡(111)의 내측벽 사이의 간격과 구멍은 에어블로잉 공정상에서 융착되는 패리슨에 의해 막힌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인서트캡(112)의 상부판(112a)은 성형시 공기를 주입하는 블로 핀이 삽입되는 블로 핀 삽입구(116b)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5(a)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200)을 이용한 차량용 스포일러(100)를 성형하는 공정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근래의 차량용 스포일러(100)는 차량이 고속주행 시 안정성을 도모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멋으로서의 기능도 하는데 사용자의 취향과 필요에 따라 트렁크 리드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10)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고정부재(110)를 성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200)은 도 6을 참조하면 크게 고정부재 안착공정(210), 패리슨 위치공정(220), 에어블로잉 공정(230) 그리고 성형물 배출공정(240)으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금형의 위치는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금형(30)과 하부금형(40)으로 정의한다. 도 5(a)와 같이, 상부금형(30)과 하부금형(40)에는 성형하고자 하 는 차량용 스포일러의 형상에 따라 캐비티(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금형(40)에는 고정부재(110)가 안착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 안착홈(120)이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는 깊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 안착홈(120)에는 성형 시 패리슨이 주입됨에 따라 고정부재(110)내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통로(121)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고정부재 안착공정(210)에 따라 외형을 이루는 외부 인서트캡(111) 내부에 내부 인서트캡(112)을 포함하여 구성한 고정부재(110)가 고정부재 안착홈(120)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내부 인서트캡(112)은 소정 크기의 상부판(112a)과 상기 상부판(112a)의 하부에 지지대(112b)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112b)의 길이만큼 내부 인서트캡(112)은 외부 인서트캡(111)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게 되고 상기 상부판(112a)은 외부 인서트캡(111)의 소정위치에서 내부공간을 패리슨이 융착되는 상부공간(A)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한다.
또한, 상기 외부 인서트캡(111)은 플랜지(111b)부분이 안착홈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안착홈에 안착하여 이어지는 공정에 따라 차량용 스포일러의 본체를 이루는 패리슨과 일체로 융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인서트캡(111)의 바닥면에는 차량의 트렁크리드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체결볼트(114)와 배기공(113) 그리고 블로 핀 삽입구(11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패리슨 위치공정(220)에 따라 도 5(b)를 참조하면 상부금형(30)과 하부금형(40) 사이로 원통형의 패리슨(60)이 이송되고 상부금형(30)이 하강하여 닫 히게 된다.
그리고, 도 5(c)와 도 5(d)를 참조하면 에어블로잉 공정(230)으로 고압의 뜨거운 공기를 블로 핀(130)을 통해 패리슨(60)내부로 주입하는 공정이다. 이때 주입되는 고압의 뜨거운 공기는 패리슨(60)을 열풍에 의해 용융하면서 상기 패리슨(60)이 상·하부 금형의 캐비티에 밀착되도록 하고, 패리슨(60)은 차량용 스포일러(100)의 본체(10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블로 핀(13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뜨거운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정의 관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블로 핀(130)은 하부 금형(40)의 배기통로(121)를 통과하고 고정부재(110)를 구성하는 외부 인서트캡(111)의 바닥면과 내부 인서트캡(112)의 상부판(112a)에 형성한 블로 핀 삽입구(116a, 116b)를 통과하여 패리슨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도록 끝단부가 패리슨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로 핀(130)을 통해 내부로 주입된 뜨거운 공기에 의해 용융된 패리슨(60)의 일부는 안착홈(120)에 위치한 고정부재(110)의 내측으로 주입되는데, 하부에 안착된 고정부재(110)의 내측벽 즉, 외부 인서트캡(111)과 내부 인서트캡(112)이 형성하는 패리슨 융착 상부공간(A)에 밀착되면서 융착한다.
이때, 패리슨(60)이 고정부재(110)의 상부공간(A)내로 주입되면서 원래 고정부재(110)의 공간(A)내에 정체되어 있던 공기는 고정부재(110)의 내부 인서트캡(112)의 상부판(112a)이 형성하는 배기공간(115)을 통과하고 외부 인서트캡 바닥면에 형성된 배기공(113)과 안착홈(120)의 배기통로(12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 다. 이에 따라, 용융된 패리슨(60)은 정체된 공기의 저항이 없이 보다 용이하게 고정부재(110)의 내측벽에 융착한다. 즉, 용융된 패리슨(60)은 내부 인서트캡(112)의 상부판(112a)에 의해 막혀 외부 인서트캡(111)의 바닥면까지 침투하지 못하고 내부 인서트캡(112)의 상부판과 함께 경계를 이루는 외부 인서트캡(111)의 내측벽 즉 상부공간(A)의 내측벽에 융착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10)는 융착된 패리슨(60)에 의해 외부 인서트캡(111)의 플랜지가 스포일러 본체(101)의 하부면에 융착되고, 안착홈(120)에 주입된 패리슨이 고정부재(110)의 상부공간(A) 내측벽에 융착되면서 스포일러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로 핀(130)은 필요에 따라 금형의 일측에 위치하여 패리슨(60)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길이가 긴 고정부재(1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차량용 스포일러(100)는 도 5(e)와 같이 냉각수 등에 의해 냉각되어 금형(30, 40)밖으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중공형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할 때 융착되는 길이가 긴 고정부재 즉, 외형을 이루는 외부 인서트캡 내부에 깊이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내부 인서트캡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좁고 긴 고정부재 형상의 성형이 가능하며 다수의 인서트캡을 사용함으로써 형상의 제약이 없다.
또한, 차량용 스포일러에 있어서, 하부면에 융착되는 길이가 긴 고정부재가 안정적으로 일체가 되게 성형함으로써 차량용 스포일러의 본래의 역할 뿐만 아니라 멋스러운 감각을 가질 수 있고, 차량과의 결합시에 충분한 내구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3)

  1. 길이가 긴 고정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중공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블로성형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깊은 깊이를 가지도록 길이가 긴 형상의 외부인서트 캡과, 상기 외부 인서트캡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여 외부 인서트캡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하는 내부 인서트 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고정부재를 고정부재 안착홈을 형성한 하부 금형에 안착하는 고정부재 안착공정과;
    소정 형태의 캐비티가 형성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원통형 패리슨을 위치하는 패리슨 위치공정과;
    상기 상·하부 금형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패리슨의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주입하여 캐비티의 형상에 따라 제품을 성형하고, 패리슨의 일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벽에 일체로 융착하는 에어블로잉 공정과;
    상기 고정부재와 융착한 성형물을 냉각시켜 배출하고 마무리가공하는 성형물 배출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외부 인서트캡은 깊이가 깊은 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나팔관 형태의 플랜지와, 하부 바닥면에 다수의 배기공과 체결볼트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 인서트캡은 외부 인서트캡 내부를 상·하로 구분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상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서트캡은 상부판의 하부에 다수의 지지대가 일체형으로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서트캡의 상부판은 고정부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외부 인서트캡의 측면벽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거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서트캡의 바닥면과 내부 인서트캡의 상부판은 소정 크기의 블로 핀 삽입구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캡 블로 성형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 핀 삽입구를 통과하는 관형상의 블로 핀을 통해 패리슨의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블로잉 공정에서 용융된 패리슨은 내부 인서트캡에 의해 나누어지는 외부 인서트캡의 상부공간의 측면벽 즉, 내부 인서트캡의 상부면과 외부 인서트캡의 측면벽에 밀착하여 고정부재와 일체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9. 차량의 트렁크 리드상에 고정부재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결합되는 차량용 스포일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길이가 긴 컵형상으로 바닥면에 상기 트렁크 리드에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다수의 배기공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나팔관 형태의 플랜지를 형성한 외부 인서트캡과;
    상기 외부 인서트캡의 내부에 소정크기의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형성한 다수개의 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인서트캡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여 외부 인서트캡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하는 내부 인서트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포일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서트캡의 플랜지가 스포일러의 일측에 융착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스포일러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포일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서트캡에 의해 나누어지는 외부 인서트캡의 상부공간의 측면벽 즉, 내부 인서트캡의 상부면과 외부 인서트캡의 측면벽에 용융된 스포일러의 본체가 융착되어 일체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포일러.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서트캡의 상부판은 고정부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외부 인서트캡의 측면벽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거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포일러.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서트캡의 바닥면과 내부 인서트캡의 상부판은 소정 크기의 블로 핀 삽입구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포일러.
KR1020050090340A 2005-09-28 2005-09-28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스포일러 KR100710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340A KR100710856B1 (ko) 2005-09-28 2005-09-28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스포일러
US11/297,064 US7422718B2 (en) 2005-09-28 2005-12-08 Multi-insert cap blow-molding method and spoiler for vehicl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US11/375,916 US7364330B2 (en) 2005-09-28 2006-03-15 Spoiler having integral stop lamp cover
US11/868,813 US7422269B2 (en) 2005-09-28 2007-10-08 Multi-insert cap blow-molding method and spoiler for vehicl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340A KR100710856B1 (ko) 2005-09-28 2005-09-28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스포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671A true KR20070035671A (ko) 2007-04-02
KR100710856B1 KR100710856B1 (ko) 2007-04-23

Family

ID=3789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340A KR100710856B1 (ko) 2005-09-28 2005-09-28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스포일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7422718B2 (ko)
KR (1) KR100710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856B1 (ko) * 2005-09-28 2007-04-23 (주)모야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스포일러
US7311351B1 (en) * 2006-08-02 2007-12-25 Moya International Co., Ltd. Vehicle spoiler having nozz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205932B1 (en) * 2009-09-04 2012-06-26 Shawn Houk Air foil wing for trailer
US8062576B2 (en) * 2010-01-04 2011-11-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molding a unitary object
WO2012039242A1 (ja) * 2010-09-24 2012-03-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ポイラー
US8210600B1 (en) * 2011-01-05 2012-07-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erodynamic package for an automotive vehicle
EP2734418B1 (en) 2011-07-22 2017-05-31 Magna International Inc. Windshield wiper module
US9956999B2 (en) 2011-07-22 2018-05-01 Magna International Inc. Windshield wiper module
FR3010381B1 (fr) * 2013-09-09 2017-05-05 Plastic Omnium Cie Becquet pour hayon de vehicule automobile
USD827524S1 (en) * 2017-01-13 2018-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ar spoiler
DE102018100819A1 (de) 2018-01-16 2019-07-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eckflügel mit Bremsleuchte
USD897249S1 (en) * 2018-04-13 2020-09-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poiler for motor vehicle
DE102018207801A1 (de) * 2018-05-17 2019-11-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bauteil für ein Kraftfahrzeug, Dachkantenspoil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2827A (ja) * 1983-06-15 1984-12-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ブロ−成形装置
JPH01233130A (ja) * 1988-03-14 1989-09-18 Koito Mfg Co Ltd 車輛用灯具
JPH0539928A (ja) * 1991-05-28 1993-02-19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H0596612A (ja) * 1991-10-04 1993-04-20 Mazda Motor Corp ブロー成形の排気構造
US5709453A (en) * 1994-08-16 1998-01-20 Krent; Edward D. Vehicle lighting having remote light source
KR100321876B1 (ko) * 1999-04-07 2002-01-26 남홍 차량용 스포일러와 그 제조방법
US7195727B2 (en) * 1999-10-13 2007-03-27 Guardian Industries Corp. Extruded automotive tri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688680B1 (en) * 2002-12-17 2004-02-10 Bayer Polymers Llc Molded cross vehicle beam
US7150554B2 (en) * 2003-12-31 2006-12-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Dark look LED automotive lighting
US7175321B1 (en) * 2004-03-24 2007-02-13 Lopez Gustavo M Projector systems
US7220032B2 (en) * 2005-03-11 2007-05-22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Vehicle spoiler with stop lamp
KR100710856B1 (ko) * 2005-09-28 2007-04-23 (주)모야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스포일러
KR200497835Y1 (ko) * 2022-04-13 2024-03-11 안영길 구이용 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76418A1 (en) 2007-04-05
KR100710856B1 (ko) 2007-04-23
US7422269B2 (en) 2008-09-09
US7364330B2 (en) 2008-04-29
US20070069549A1 (en) 2007-03-29
US20080023985A1 (en) 2008-01-31
US7422718B2 (en) 2008-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856B1 (ko) 멀티 인서트캡 블로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스포일러
JP5717731B2 (ja) 熱可塑性材料から物品を製造する方法
US20110064899A1 (en) Method for forming a Container from bi-axially Orientable Plastics Material and having an Integral Handle
US480609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lastic hollow body with a blow-molded body part
US20010030458A1 (en) Blow-molded sea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9894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bottle
JP2010076299A (ja) ブロー成形装置
KR100321876B1 (ko) 차량용 스포일러와 그 제조방법
CN101229683B (zh) 多插入盖吹塑成型方法及使用该方法的用于车辆的扰流器
US71534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molding an article having a solid radially outwardly projecting flange
JP3249054B2 (ja) 多層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0519021B1 (ko) 차량용 스포일러 제조방법 및 그 금형
KR101709181B1 (ko)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2707421B2 (ja) 合成樹脂製二重構造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28685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KR102121328B1 (ko) 브라킷과의 결합성이 향상된 자동차 엔진용 인테이크 파이프의 블로우 성형방법
KR102184217B1 (ko) 성형성이 향상된 버스의 흡기 파이프 제조방법
JP5078343B2 (ja) スポイラ構造
JP4462924B2 (ja) 自動車用フロア嵩上げ材の製造方法
JP2010017913A (ja) 射出成形型および車両用内装材
JP2006181161A (ja) 車両用アシストグリ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50656A (ja) ブーツのブロー成形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64740A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3052811B2 (ja) モール及びそのブロー成形方法
JPH07246900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ドア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