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729A - 탁수 정화 장치 및 응집제 첨가 설비 - Google Patents

탁수 정화 장치 및 응집제 첨가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729A
KR20070032729A KR1020067027520A KR20067027520A KR20070032729A KR 20070032729 A KR20070032729 A KR 20070032729A KR 1020067027520 A KR1020067027520 A KR 1020067027520A KR 20067027520 A KR20067027520 A KR 20067027520A KR 20070032729 A KR20070032729 A KR 20070032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filtration
filter
floccu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츠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메이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겐가이샤 샤이니 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겐가이샤 샤이니 월드 filed Critical 메이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돈사(1)의 분뇨를 씻어낸 후의 원수가 희석된 후에 응집제가 첨가되어 여과됨과 동시에 응집 플록(12)으로부터 수분이 제거되고, 또한 활성탄 처리조(15)에서 활성탄 처리된 처리수가 처리수 탱크(3)로 보내지고, 여과 처리나 수분의 분리 처리, 활성탄 처리는 수압에 의해 보내지는 물의 유통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여과나 수분의 분리 및 활성탄 처리를 행하기 위한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한다.
Figure 112006097398837-PCT00001
돈사, 분뇨, 원수, 응집제, 플록, 여과, 활성탄

Description

탁수 정화 장치 및 응집제 첨가 설비{TURBI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COAGULANT ADDI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탁수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탁수의 정화를 위한 동력을 요하지 않고 처리수를 얻는 것을 기도한 것이다. 또한, 처리수의 재이용이 가능한 순환형 정화 장치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탁수의 정화를 위한 동력을 요하지 않고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탁수 정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응집제 첨가 설비에 관한 것이다.
탁수의 정화 장치로서, 적토의 유출에 의한 적수의 처리나 양조 공장에서의 폐액 처리, 돼지 등의 가축의 분뇨 처리를 행하는 정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 가축의 분뇨 처리로는 분뇨를 포함한 세정수를 고형물과 액상물로 분리하고, 고형물은 교반·발효 처리하여 퇴비화하여 비료로 함과 동시에, 액상물은 정화 처리하여 방류하는 분뇨 분리 처리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똥과 오줌 및 세정수 등을 혼합하고,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부숙시키는 분뇨 혼합 처리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분뇨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대량의 세정수가 사용되어 분뇨 등이 씻어져나가 탁수가 되고, 탁수는 다양한 기계 설비를 이용하여 정화된다. 그리고, 정화된 물은 방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대량의 세정수와 정화를 위한 동력이 필요하였다. 최근, 자연 환경에의 의식이 높아지는 가운데, 수질 오탁 등의 자연 환경에의 악영향이 문제가 되고 있고, 정화의 기준도 까다로워지는 정세에 있다. 또한, 자원의 낭비에 관한 의식도 고취되는 정세가 되었으며, 세정에 사용하는 세정수의 재이용이나 순환 이용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진 것이 실상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고 소55-8863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고 평5-1619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탁수의 정화를 위한 동력을 요하지 않고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탁수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처리수의 재이용이 가능한 순환형 탁수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탁수의 정화를 위한 동력을 요하지 않고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탁수 정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응집제 첨가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탁수인 원수를 도입하여 고형분을 분리하는 고형분 분리기와, 상기 고형분 분리기에 의해 고형분이 제거된 원수를 소정의 비율로 희석하는 희석조와, 상기 희석조로부터 주수 펌프에 의해 보내지는 희석 원수에 응집제를 첨가하는 응집제 첨가조와, 상기 응집제 첨가조에서 응집제가 첨가된 상기 희석 원수로부터 응집 성분을 여과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에서 여과 분리된 고형분인 응집 플록으로부터 수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여과조에서 분리된 액체분을 도입하여 활성탄으로 처리하는 활성탄 처리조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조는 상기 희석조로부터 주수 펌프를 통하여 도입되는 희석 원수의 수압에 의해 응집 성분을 여과함과 동시에, 상기 응집 플록을 상기 세퍼레이터에 도입하는 것이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주입 펌프의 수압에 의해 상기 응집 플록으로부터 수분을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활성탄 처리조는 상기 여과조로부터 송액 펌프에 의해 도입되는 여과수의 수압에 의해 활성탄 처리하여 처리액을 처리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태양에서는, 여과조에서의 응집 성분의 여과, 세퍼레이터에서의 응집 플록으로부터의 수분의 분리, 여과조에서 분리된 액체분 및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수분의 활성탄 처리가, 액체가 보내지는 수압에 의해 액체의 이동 과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처리를 위한 동력이 불필요해지므로, 탁수의 정화를 위한 동력을 요하지 않고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탁수 정화 장치가 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 처리된 처리액을 탁수원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태양에서는, 활성탄 처리된 처리액이 탁수원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처리수의 재이용이 가능한 순환형 탁수 정화 장치가 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제1 또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 첨가조가, 나선형으로 설치된 나선 유로로 희석 원수 및 상기 응집제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태양에서는, 나선 유로를 유통할 때 원심력에 의해 응집제가 희석 원수에 첨가되므로, 응집제를 확실하게 희석 원수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제1 내지 제3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 첨가조와 상기 여과조 사이에 혼합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혼합 유로는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가 유통함으로써 응집제와 희석 원수가 혼합되는 유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태양에서는,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가 유통함으로써 응집제와 희석 원수가 혼합되므로, 응집제와 희석 원수의 혼합을 충분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은, 제1 내지 제4 태양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가, 연직 방향 하방에서 상방 쪽으로 여과하는 필터를 가짐과 동시에, 해당 필터의 상방에는 소정의 기간마다 해당 필터의 상방으로부터 역세수를 공급하는 역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태양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희석 원수를 유통시킴으로써 필터에서 응집 성분을 포착하고, 소정의 기간마다 필터의 상방으로부터 역세수를 공급하도록 하였으므로, 여과조의 필터의 막힘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은, 제5 태양에 있어서, 상기 역세 수단이, 상기 필터의 상방의 여과수 내에 설치되고 하향 역세 노즐을 복수 개 가짐과 동시에 단부에 수평 방향을 향하는 수평 노즐을 갖는 노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부재는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 노즐로부터의 분사액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역세 노즐로부터의 분사수에 의해 상기 필터를 역세하는 것으로서, 여과 처리를 멈추지 않고 소정의 기간마다 역세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태양에서는,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노즐 부재를 회전시켜 골고루 필터의 역세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은, 제1 내지 제4 태양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가, 상기 희석 원수가 도입되는 도입조와, 상기 도입조에 도입된 희석 원수로부터 응집 성분을 여과하여 응집 성분을 제외한 액체분을 유통시키는 통형상 필터와, 상기 통형상 필터를 유통한 액체분이 저류되는 저류조를 구비한 여과 탱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도입조에 침전한 응집 플록이 상기 세퍼레이터로 보내짐과 동시에, 상기 저류조에 저류된 액체분이 상기 활성탄 처리조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태양에서는, 여과 탱크의 통형상 필터를 통하여 응집 성분을 포착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의 여과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은, 제7 태양에 있어서, 상기 여과 탱크가 직렬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통형상 필터가 하나의 상기 여과 탱크에 대하여 복수 개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통형상 필터가 자유로이 떼낼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태양에서는, 여과 탱크를 복수 개 구비하여 유속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수의 통형상 필터를 구비하여 응집 성분의 포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통형상 필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은, 제7 및 제8 태양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필터가, 박판형의 링판이 다수 적층되어 하나의 통형상 필터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태양에서는, 링판이 다수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떼내어 분해하여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은, 제1 내지 제9 태양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가, 다수의 평판 부재가 적층 유지된 여과부가 도입수 측과 여과수 측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평판 부재의 틈에 도입수의 수분만을 유통시켜 수분을 분리함으로써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태양에서는, 미립자가 덩어리진 응집 플록으로부터 수분만을 평판 부재의 틈으로 유통시킬 수 있고, 세퍼레이터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은, 제1 내지 제10 태양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가 무기계 응집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태양에서는 잘아진 응집 성분을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은, 제1 내지 제11 태양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탁수의 원료로는 마이너스 이온화되어 물의 클러스터가 작아진 파동수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태양에서는, 마이너스 이온화되어 클러스터가 작은 활성화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태양은, 제1 내지 제12 태양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탁수인 원수가 가축 분뇨의 처리수이며, 상기 활성탄 처리하여 처리액이 보내지는 이수원(泥水源)이 상기 가축의 분뇨의 처리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태양에서는, 분뇨를 처리한 물의 정화를 위한 동력을 요하지 않고 정화 처리한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가축 분뇨 처리 장치가 된다. 또한, 분뇨를 처리하기 위한 물로서 처리수를 재이용함으로써 순환형의 가축 분뇨 처리 장치가 된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은, 고형분이 제거되어 희석된 탁수가 보내지는 나선형으로 설치된 나선 유로를 구비하고, 응집제를 상기 나선 유로에 첨가하는 첨가구를 구비하며, 상기 나선 유로에서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를 유통시킴으로써 상기 응집제와 상기 희석 원수를 혼합함과 동시에, 혼합 유체를 후처리 공정조로 배출하는 혼합 유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태양에서는, 나선 유로를 유통할 때 원심력에 의해 응집제가 희석 원수에 첨가되므로 응집제를 확실하게 희석 원수에 첨가할 수 있고,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가 유통함으로써 응집제와 희석 원수가 혼합되므로 응집제와 희석 원수의 혼합을 충분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은, 제14 태양에 있어서, 제1 태양 내지 제13 태양의 탁수 정화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 태양에서는, 응집제를 확실하게 희석 원수에 첨가할 수 있고, 응집제와 희석 원수의 혼합을 충분히 행할 수 있는 응집제 첨가 설비를 갖는 탁수 정화 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탁수 정화 장치는 탁수의 정화를 위한 동력을 요하지 않고 처리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처리수의 재이용이 가능한 순환형 탁수 정화 장치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응집제 첨가 설비는 탁수의 정화를 위한 동력을 요하지 않고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탁수 정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예에 따른 탁수 정화 장치를 가축의 분뇨 처리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전체 계통도이다.
도 2는 응집조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3은 응집제 첨가조 및 혼합 유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6은 혼합 유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노즐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노즐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세퍼레이터의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예에 따른 여과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2는 여과 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4는 통형상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돈사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돈사
2 : 원수 탱크
3 : 처리수 탱크
4 : 수중 펌프
5 : 원심분리기
6 : 희석조
7 : 펌프
8 : 밸브
9 : 주수 펌프
10 : 응집제 첨가조
11, 101 : 여과조
12 : 응집 플록
13 : 세퍼레이터
14 : 송액 펌프
15 : 활성탄 처리조
21 : 필터
25 : 역세 탱크
34 : 역세 수단
82 : 사육 스페이스
84 : 돼지
86 : 피트
87 : 파이프재
88 : 처리수 파이프
94 : 구동간(驅動桿)
95 : 왕복 구동 수단
98 : 노즐
102 : 여과 탱크
108 : 통형상 필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예는 탁수 정화 장치(시스템)로서, 가축(예컨대 돼지)의 분뇨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탁수 정화 장치로는, 가축의 분뇨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적토의 유출에 의한 적수의 처리나 해양 침전물의 처리, 공장 배수, 맥주 공장이나 양조 공장의 폐액 처리 등 대량의 탁수 를 처리하는 시설의 탁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예에 따른 응집제 첨가 설비를 갖는 탁수 정화 장치를 가축의 분뇨 처리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전체 계통도, 도 2에는 응집조의 구조 설명, 도 3에는 응집제 첨가조 및 혼합 유로의 단면, 도 4(a)에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본 도면, 도 4(b)에는 도 3의 B-B선을 따라 본 도면, 도 5에는 도 3의 V-V선을 따라 본 도면, 도 6에는 혼합 유로의 분해 사시도, 도 7에는 노즐 부재의 측면, 도 8에는 노즐 부재의 평면, 도 9에는 세퍼레이터의 일부 파단 측면, 도 10에는 도 9의 X-X선을 따라 본 도면, 도 11에는 다른 실시 형태예에 따른 여과조의 전체 구성, 도 12에는 여과 탱크의 단면, 도 13에는 도 12의 XIII-XIII선을 따라 본 도면, 도 14에는 통형상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15에는 돈사의 개략 설명, 도 16에는 도 15의 XVI-XVI선을 따라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기초하여 가축의 분뇨 처리 시스템, 즉 돈사의 분뇨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돈사(1)에는 분뇨를 씻어낸 후의 탁수(원수)가 저류되는 원수 탱크(2)가 설치되고, 돈사(1)에는 처리수 탱크(3)로부터의 처리수가 공급되어 분뇨를 씻어내는데 사용된다. 원수 탱크(2)에 저류된 원수는 수중 펌프(4)에 의해 고형분 분리기인 원심분리기(5)로 도입된다. 원심분리기(5)에서는 고형분이 제거되고, 고형분이 제거된 원수는 희석조(6)로 보내진다. 희석조(6)에는 처리수 탱크(3)로부터의 처리수가 펌프(7)에 의해 압송되고, 처리수는 밸브(8)에 의해 유량이 제어되어 희석조(6)의 원수가 소정 비율로 희석되어 희석 원수가 된다.
희석조(6)의 희석 원수는 주수 펌프(9)에 의해 응집제 첨가조(10)로 보내지고, 응집제 첨가조(10)에서는 희석 원수에 응집제가 첨가된다. 응집제는, 예컨대 천연의 무기계 재료의 응집제가 사용되며, 후술하는 슬러지를 재이용 가능하게 한다. 응집제 첨가조(10)에서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는 여과조(11)로 보내지고, 여과조(11)에서는 희석 원수로부터 응집 성분이 필터(21)를 통하여 여과된다. 여과조(11)로 보내진 희석 원수 중 잉여 부분은 순환 펌프(20)에 의해 응집제 첨가조(10)의 희석 원수의 공급구로 보내진다.
여과조(11)에서 여과 분리된 고형분인 응집 플록(12)(후술하는 도 2 참조)은 세퍼레이터(13)로 보내지고, 세퍼레이터(13)에서는 응집 플록(12)(후술하는 도 2 참조)으로부터 수분이 제거된다. 응집 플록(12)(후술하는 도 2 참조)으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여과조(11)에서 응집 성분이 여과된 희석 원수의 액체에 혼입된다.
탁수 중에 현탁되는 부유물의 크기가 작아지면 침강 속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통상의 침전, 여과 등의 방법만으로는 분리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응집제를 첨가하여 미립자를 큰 덩어리(플록)로 만듦으로써 침강 속도를 빠르게 하여 효율이 양호한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인 것은 후술하겠지만, 여과조(11)에서는 희석조(6)로부터 주수 펌프(9)를 통하여 도입되는 희석수의 수압에 의해 응집 성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여과 분리된 응집 플록(12)(후술하는 도 2 참조)을 세퍼레이터(13)로 도입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13)는 주수 펌프(9)를 통하여 도입되는 희석수의 수압에 의해 응집 플록(12)(후술한 도 2 참조)으로부터 수분을 분리한다. 한편, 세퍼레이터(13) 로 모인 슬러지는 밸브(22)의 개폐에 의해 대소변 저장조(23)로 보내지고, 재이용하는 등 적당히 처리된다.
여과조(11)에서의 희석 원수의 액체(응집 플록(12)으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혼입된 액체)인 여과수는 송액 펌프(14)에 의해 활성탄 처리조(15)로 보내진다. 활성탄 처리조(15)에는 통형상의 본체(16)의 내부에 도입로(17)가 설치되고, 본체(16) 내에서의 도입로(17)의 외측에 활성탄(18)이 충전되어 있다. 도입로(17)의 상방에는 여과수의 도입구(17a)가 설치되고, 도입로(17)의 하부에는 본체(16)의 내측에 여과수를 발포 상태에서 분출시키기 위한 래터럴(19)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16)의 상방에는 처리수 배출구(16a)가 설치되고, 래터럴(19)로부터 발포 상태에서 분출된 여과수는 활성탄(18)으로 활성탄 처리되고, 활성탄 처리된 처리수는 본체(16)의 배출구(16a)로부터 처리수 탱크(3)로 보내진다. 활성탄 처리조 (15)에서는 송액 펌프(14)에 의해 도입되는 여과수의 수압에 의해 활성탄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처리수 탱크(3)의 처리수가 돈사(1)로 보내져서 분뇨 등을 씻어내는데 사용된다. 즉, 활성탄 처리된 처리액이 탁수원으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여과조(11)에서의 응집 성분의 여과, 세퍼레이터(13)에서의 응집 플록(12)으로부터의 수분의 분리, 여과조(11)에서 분리된 액체분 및 세퍼레이터(13)에서 분리된 수분의 활성탄 처리조(15)에서의 활성탄 처리는, 주수 펌프(9) 및 송액 펌프(14)에서 보내지는 액체의 수압에 의해서 액체의 이동 과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처리를 위한 동력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탁수의 정화를 위한 동력을 요하지 않고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탁수 정화 장치가 된다. 또한, 활성탄 처리된 처리액이 탁수원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처리수의 재이용이 가능한 순환형 탁수 정화 장치가 된다.
한편, 활성탄 처리한 처리수 탱크(3)의 처리수를 이차적으로 활성탄 처리하는 제2 활성탄 처리조를 설치하고, 처리수 탱크(3)의 처리수를 다시 활성탄 처리하여 후술하는 역세 탱크로 보내거나 처리수 탱크(3)로 돌려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활성탄 처리조는 필요에 따라 3조 이상을 적당한 부위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수 탱크(2)에 모인 원수와 활성탄 처리조(15)의 배출구(16a)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의 분석 시험 결과를 설명한다. 채취한 원수와 처리수에 대하여 수소이온농도(pH),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전체 질소량(T-N), 전체 인의 양(T-P)을 검사하였다. 수소이온농도는 JIS K 0102 121 유리 전극법으로 분석하고,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JIS K 0102 21, JISK O102 32.3 격막 전극법으로 분석하고, 전체 질소의 양은 JIS K 0102 21, JIS K O1O2 45.4 구리·카드뮴 칼럼 환원법으로 분석하고, 전체 인의 양은 JIS K O102 46.3-1 퍼옥소이황산칼륨 분해법으로 분석하였다.
원수의 수소이온농도(pH)는 7.8,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1310(mg/L), 전체 질소량(T-N)은 2350(mg/L), 전체 인의 양(T-P)은 492(mg/L)였다. 이에 대해, 처리수의 수소이온농도(pH)는 8.0,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36.8(mg/L), 전체 질소량(T-N)은 38.0(mg/L), 전체 인의 양(T-P)은 1.75(mg/L)였다. 따라서, 수질이 개선됨과 동시에 유기물(오물)이 현저하게 적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 유물(SS) 질량에 관해서도 현저하게 적어진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제2 활성탄 처리조를 설치한 경우의 2차 처리수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2차 처리수의 수소이온농도(pH)는 8.1,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5.2 (mg/L), 전체 질소량(T-N)은 17.5(mg/L), 전체 인의 양(T-P)은 0.993(mg/L)이었다. 따라서, 수질이 더욱 개선됨과 동시에 유기물(오물)이 더욱 적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조(11)의 필터(21)의 역세(물을 역류시켜서 하는 세정)를 행하는 역세수를 공급하기 위한, 그리고 활성탄 처리조(15)의 활성탄(18), 래터럴(19), 도입로(17)의 역세를 행하는 역세수를 공급하기 위한 역세 탱크(25)가 구비되어 있다.
마이너스 이온화되어 물의 클러스터가 작은 파동수(알칼리 이온수)가 저류되는 파동수 탱크(26)가 구비되고, 역세 탱크(25)에는 파동수 탱크(26)로부터의 파동수가 공급 밸브(27)의 조작에 의해 적당히 공급됨과 동시에, 처리수 탱크(3)에는 파동수 탱크(26)로부터의 파동수가 공급 밸브(27)의 조작에 의해 적당히 보충된다. 또한, 파동수 탱크(26)로부터의 파동수는 공급 밸브(27)의 조작에 의해 원심분리기 (5)로 보내진다. 파동수 탱크(26)로부터의 파동수가 탁수 측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마이너스 이온화되어 물의 클러스터가 작은 활성화된 물(알칼리 이온수)을 탁수 정화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역세 탱크(25)로부터의 파동수는 제1 역세 펌프(28)에 의해 여과조(11)의 필터(21) 측(후술한 역세 수단)으로 공급되고, 필터(21) 측으로의 공급은 소정의 기 간마다 이루어진다. 또한, 역세 탱크(25)로부터의 파동수는 제2 역세 펌프(29)에 의해 활성탄 처리조의 활성탄(18)의 윗 측에서 본체(16)의 내부로 보내진다. 본체 (16)의 내부로 보내진 파동수는 활성탄(18), 래터럴(19), 도입로(17)를 역세하여 배출된다. 배출된 파동수는 처리수 탱크(3)에서 희석조(6)로의 유로로 보내지고, 펌프(7)의 구동에 의해 희석조(6)로 보내진다.
역세 탱크(25)(역세 수단)를 구비함으로써 정화 처리 시스템의 일환으로서 필터(21)의 역세를 행할 수 있고, 막힘을 방지하여 정화 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응집제 첨가조(10), 여과조(11) 및 세퍼레이터(13)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기초하여 여과조(11)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조(11)는 제1 탱크부(31) 및 제2 탱크부(32)에 의해 구성되고, 제1 탱크부(31)는 필터(21)를 통해 상부실(31a)과 하부실(31b)로 나뉘어져 있음과 동시에, 제2 탱크부(32)는 필터(21)를 통해 상부실(32a)과 하부실(32b)로 나뉘어져 있다. 또한, 여과조(11)에는 응집 성분이 여과된 여과수가 모이는 여과수 탱크(41)가 구비되어 있다.
응집제 첨가조(10)의 출구부(10a)와 제1 탱크부(31)의 하부실(31b) 사이는 혼합 유로(33)에 의해 접속되고,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는 혼합 유로(33)를 지나 제1 탱크부(31)의 하부실(31b)로 보내진다. 그리고, 하부실(31b)에서 흘러넘친 희석 원수는 필터(21)에서 응집 성분이 여과되어 상부실(31a)로 보내진다. 즉, 필 터(21)는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를 연직 방향 하방에서 상방 쪽으로 여과하도록 되어 있다. 필터(21)의 상방에는 소정의 기간마다 필터(21)의 상방으로부터 역세수를 공급하는 역세 수단(34)이 설치되고, 역세 수단(34)에는 전술한 역세 탱크(25)로부터의 파동수가 보내진다.
제1 탱크부(31)의 상부실(31a)과 제2 탱크부(32)의 하부실(32b) 사이는 제1 이송관(35)에 의해 접속되고, 제1 탱크부(31)에서 여과된 희석 원수는 제1 이송관 (35)을 지나 제2 탱크부(32)의 하부실(32b)로 보내진다. 그리고, 하부실(32b)에서 흘러넘친 희석 원수는 필터(21)에서 응집 성분이 여과되어 상부실(32a)로 보내진다. 즉, 제1 탱크부(31)와 마찬가지로, 필터(21)는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를 연직 방향 하방에서 상방 쪽으로 여과하도록 되어 있다. 필터(21)의 상방에는 소정의 기간마다 필터(21)의 상방으로부터 역세수를 공급하는 역세 수단(34)이 설치되고, 역세 수단(34)에는 전술한 역세 탱크(25)로부터의 파동수가 보내진다.
제2 탱크부(32)의 상부실(32a)과 여과수 탱크(41) 사이는 제2 이송관(36)에 의해 접속되고, 제2 탱크부(32)에서 여과된 희석 원수는 제2 이송관(36)을 지나 여과수 탱크(41)로 보내진다. 제1 탱크부(31) 및 제2 탱크부(32)의 바닥부에 침전한 응집 플록(12)은 수분과 함께 세퍼레이터(13)로 보내지고, 세퍼레이터(13)에서 제거된 수분이 여과수 탱크(41)로 보내진다.
응집제 첨가조(10)에서의 희석수의 유통, 여과조(11)에서의 희석수의 여과 처리를 위한 유통, 세퍼레이터(13)에서의 수분의 분리를 위한 수분의 유통은 주수 펌프(9)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 도 4에 기초하여 응집제 첨가조(10)를 설명한다.
응집제 첨가조(10)는 통형상의 본체(45) 내에 하방을 향하는 나선형의 나선 유로(46)가 설치되어 있다. 나선 유로(46)에는 희석 원수 공급관(61)이 접속되고, 희석 원수는 공급관(61)으로부터 나선 유로(46)의 원호의 접선 방향으로 희석 원수가 공급되어 나선 유로(46)를 따라 공급된다. 공급관(61)의 상방의 본체는 나선 유로(46)에 연통되는 통부(62)가 되고, 통부(62)는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에는 덮개(63)가 부착되어 있다. 덮개(63)에는 응집제가 투입되기 위한 첨가구(64)가 설치되고, 응집제는 첨가구(63)로부터 통부(62) 내로 투입되어 나선 유로(46)에서 희석 원수에 첨가된다.
희석 원수 및 응집제는 나선 유로(46)로 공급되고, 나선 유로(46)를 하방으로 유통하는 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해 응집제가 희석 원수에 첨가된다. 따라서, 응집제를 확실하게 희석 원수에 첨가할 수 있다.
도 3, 도 5, 도 6에 기초하여 혼합 유로(33)를 설명한다.
혼합 유로(33)는 응집제 첨가조(10)와 여과조(11)의 제1 탱크부(3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혼합 유로(33)는 원통형의 본체관(48) 내에 반원형의 방해판 부재(49)가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방해판 부재(49)는 본체관(48)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고정 로드(50)에 원호 중심부가 고정되어 있다. 본체관(48)의 내부는 방해판 부재(49)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상하 교대의 유로(48a)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본체관(48)을 유통하는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는 방해판 부재(49)에 의해 형성된 상하 교대의 유로(48a)를 유통함으로써 첨가제의 혼합이 촉진된다. 따라서, 희석 원수로의 응집제의 혼합을 충분히 행할 수 있다.
한편, 혼합 유로의 구성으로는, 방해판 부재(49)에 의해 유로를 좌우 교대로 형성하거나,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유로 폭을 변화시켜 유통 저항을 주는 등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응집제 첨가조(10) 및 혼합 유로(33)에 의해 응집제 첨가 설비가 구성되고, 후처리 공정조는 제1 탱크부(31)로 되어 있다.
도 7, 도 8에 기초하여 제1 탱크부(31)의 상부실(31a) 및 제2 탱크부(32)의 상부실(32a)에 설치된 역세 수단(34)을 설명한다.
제1 탱크부(31), 제2 탱크부(32)의 상부실(31a) 및 상부실(32a)과 하부실(31b) 및 하부실(32b)은 필터(21)로 구획되어 있다. 필터(21)는 상부실(31a) 및 상부실(32a)과 하부실(31b) 및 하부실(32b)을 구획하는 펀칭메탈(51)을 가지며, 펀칭메탈(51)에는 다수의 구멍(51a)이 형성되어 있다. 펀칭메탈(51)의 하부실(31b) 및 하부실(32b) 측의 면에는 필터재(52)가 부착되어 있다.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는 하부실(31b) 및 하부실(32b)로부터 필터재(52)를 통하여 펀칭메탈(51)의 구멍(51a)을 지나 상부실(31a) 및 상부실(32a)로 보내진다(넘쳐나온다). 필터재(52)를 유통하는 과정에서 응집 플록(12)이 분리되고, 분리된 응집 플록(12)이 상부실(31a) 및 상부실(32a)에 침전한다. 여과 처리가 장시간이 되면 필터재(52) 및 펀칭메탈(51)의 구멍(51a)에 막힘이 발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소정의 기간마다 역세 수단(34)에 의해 펀칭메탈(51) 측으로부터 역세수를 공급하여 구멍(51a)과 필터재(52)에 부착된 응집 플록(12)을 하부실(31b) 및 하부실(32b) 측으로 흘려 없애고 있다.
역세 수단(34)을 설명한다. 펀칭메탈(51)의 상방에서의 여과수 내에는 노즐 부재인 수평 노즐관(55)이 수평면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 노즐관(55)에는 하향 역세 노즐(56)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수평 노즐관(55)의 양단부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 방향을 향하는 수평 노즐(57a, 57b)이 설치되고, 수평 노즐(57a, 57b)로부터 역세수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분출시킴으로써 수평 노즐관 (55)이 분사액에 의한 추력에 의해 회전한다. 수평 노즐(57a, 57b) 및 역세 노즐 (56)로부터 소정의 기간마다 역세수를 분출시킴으로써 수평 노즐관(55)이 회전하면서 하향으로 역세수를 필터(21)로 공급하고, 펀칭메탈(51)의 전면에 대하여 역세수가 보내진다.
필터(21)는 연직 방향 하방에서 상방 쪽으로 희석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재(52) 및 펀칭 메탈(51)을 가지며, 아래에서 위로 희석 원수를 유통시킴으로써 필터재(52)에서 응집 성분을 포착하고, 소정의 기간마다 필터(21)의 상방으로부터 역세수를 공급하도록 하였으므로, 여과 처리를 멈추지 않고 필터재(52) 및 펀칭 메탈(51)의 구멍(51a)의 막힘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수평 노즐(57a, 57b)로부터 역세수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분출시킴으로써 수평 노즐관(55)을 회전시켜 역세를 행하므로,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수평 노즐관(55)을 회전시켜 필터(21)의 전면에 걸쳐 역세를 골고루 행할 수 있다.
도 9, 도 10에 기초하여 세퍼레이터(13)를 설명한다.
세퍼레이터(13)는 통형상의 탱크 본체(71)를 가지며, 중앙부가 여과부(72)에 의해 상하 2실로 구획되어 있다. 하측의 실이 도입수 측인 도입실(73)이 되고, 상측의 실이 여과수 측인 여과수실(74)로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 본체(71)의 중앙의 좌우의 내벽에는 탱크 본체(7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형의 가이드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여과부(72)는 다수의 사각형 장척 상태의 평판 부재(76)가 적층되어 구성되고, 탱크 본체(7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판 형태를 이룸과 동시에, 적층면이 상하로 연장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부재(76)의 단부에는 가이드부(75)에 끼워져 결합되는 잘림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적층된 다수의 평판 부재(76)는 2개의 볼트 축(78)에 의해 일체적으로 밀착 유지됨과 동시에, 단부의 잘림부(77)가 가이드부(75)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적층된 다수의 평판 부재(76)가 탱크 본체(71)의 중앙부에 유지된다. 볼트 축(78)을 플랜지부(79)에 고정함으로써 적층된 다수의 평판 부재(76)가 플랜지부(79) 사이에서 탱크 본체(7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응집 플록(12)을 포함하는 도입수가 도입실(73)로 보내지고, 도입수가 여과 실(74)로 흘러넘침으로써 평판 부재(76)의 틈을 도입수의 수분만이 유통하여 수분이 여과수실(74)로 이동하여 응집 플록(12)으로부터 수분이 분리된다. 분리된 수분은 여과조(11)의 응집 탱크(41)(도 2 참조)로 보내지고, 송액 펌프(14)의 구동에 의해 활성탄 처리조(15)(도 2 참조)로 보내진다.
세퍼레이터(13)는 미립자가 덩어리진 응집 플록(12)으로부터 수분만을 평판 부재(76)의 틈에 유통시켜 수분을 분리할 수 있고, 세퍼레이터(13)의 구성을 간소 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돈사(1)의 분뇨를 씻어낸 후의 원수가 희석된 후에 응집제가 첨가되어 여과됨과 동시에 응집 플록(12)으로부터 수분이 제거되고, 또한 활성탄 처리조(15)에서 활성탄 처리된 처리수가 처리수 탱크(3)로 보내진다. 이 때, 여과 처리나 수분의 분리 처리, 활성탄 처리는 수압에 의해 보내지는 물의 유통 과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과나 수분의 분리 및 활성탄 처리를 행하기 위한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처리 후의 처리수 탱크(3)의 처리수가 다시 돈사 (1)의 분뇨를 씻어내는 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순환형의 가축 분뇨 처리 정화 시스템이 구축되고, 처리수를 방출하여 자연 환경에 악영향을 주거나 세정에 사용하는 세정수를 별도 대량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어, 친환경적으로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처리 장치)이 된다.
도 11 내지 도 14에 기초하여 여과조의 다른 실시 형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예의 여과조(101)는 도 2에 도시한 여과조(11) 대신 설치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대의 여과 탱크(102a, 102b, 102c)가 직렬로 연결되고, 최상류 측의 여과 탱크(102a)에는 혼합 유로(33)를 통하여 응집제 첨가조 (10)로부터의 희석 원수가 보내진다. 인접하는 여과 탱크(102a, 102b, 102c)끼리는 연결관(104)에 의해 연결되어, 여과수를 차례대로 입구 측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최하류 측의 여과 탱크(102c)로부터의 여과수는 송액 펌프(14)에 의해 활성탄 처리조(15)로 보내진다. 한편, 여과 탱크(102)의 수는 적어도 한 대 설치되어 있으면, 2대, 4대 이상의 설치이어도 좋다.
여과 탱크(102a, 102b, 102c)에는 후술하는 통형상 필터가 구비되며, 통형상 필터에 의해 분리된 응집 성분은 여과 탱크(102a, 102b, 102c)의 하부에 침전하여 응집 플록(12)(도 12 참조)이 되고, 응집 플록(12)(도 12 참조)은 집합관(103)을 통하여 세퍼레이터(13)로 보내진다. 세퍼레이터(13)에서 분리된 응집 플록(12)으로부터의 수분은 활성탄 처리조(15)로 보내진다.
도 12, 도 13에 기초하여 여과 탱크(10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 탱크(102)에는 도입조(105)가 구비되고, 도입조(105)에는 응집제 첨가조(10)로부터의 혼합 유로(33)(인접하는 여과 탱크(102)로부터의 연결관(104))로부터 희석 원수가 도입된다. 또한, 여과 탱크(102)의 상부의 코너부에는 칸막이벽(106)에 의해 도입조(105)와 구획된 저류조(107)가 구비되어 있다. 칸막이벽(106)에는 통형상 필터(108)가 자유로이 떼낼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 필터(108)는 상하 2단으로 4열, 즉 8개 설치되어 있다.
도입조(105)로 도입된 희석 원수는 통형상 필터(108)에서 여과되어 응집 성분이 분리되고, 액체분이 저류조(107)로 보내진다. 즉, 통형상 필터(108)는 필터부가 도입조(105)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편, 통형상 필터(108)의 배치 상태나 수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도 14에 기초하여 통형상 필터(108)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 필터(108)는 박판형의 플라스틱으로 된 링판(111)이 다수 적층되어, 예컨대 나사 고정에 의해 일체화되어 필터부(112)가 구성되고, 필터부(112)의 단부(도면에서 우측 단부)에 원반형의 멈춤판(113)이 설치 되어 있다. 필터부(112)에는 통형상의 지그(114)가 설치되고, 지그(114)에는 나사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15)를 칸막이벽(106)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통형상 필터(108)가 칸막이벽(106)에 부착된다. 링판(111) 사이의 틈을 희석 원수가 유통함으로써 응집 성분이 여과되고, 응집 성분이 분리된 유체분이 저류 탱크(107)로 모인다.
한편, 나사부(115)에 의하지 않고 끼워 넣기 등에 의해 통형상 필터(108)를 칸막이벽(106)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과 탱크(102)로 보내진 희석 원수는 통형상 필터(108)에서 응집 성분이 분리되어 차례대로 하류측의 여과 탱크(102)로 보내지고, 분리된 응집 성분인 응집 플록(12)은 침강하여 집합관(103)으로부터 세퍼레이터(13)로 보내져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수분이 제거된다. 최하류 측의 여과 탱크(102c)에서 통형상 필터(108)를 유통한 희석 원수는 송액 펌프(14)(도 1 참조)에 의해 활성탄 처리조(15)로 보내진다.
여과 탱크(102)를 구비한 여과조(101)를 적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이며 떼내는 것이 가능한 통형상 필터(108)를 이용하여 희석 원수의 여과가 가능해진다. 또한, 통형상 필터(108)는 플라스틱으로 된 링판(111)을 적층하여 구성하였으므로, 용이하게 떼내어 분해하여 세정할 수 있고, 유지 보수성이 매우 높은 여과조(101)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여과 탱크(102)를 직렬로 3대 설치함으로써 희석 원수의 유속을 확보하여 필터를 복수 회 통과시킬 수 있고, 매우 간단한 구성의 여과조(101)라도 응집 성분의 분리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전술한 가축의 분뇨 처리 시스템에서의 돈사(1)의 상황의 일례를 도 15, 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울(81)에 의해 복수의 사육 스페이스(82)가 구분되어 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일렬의 사육 스페이스군(83)이 구축되고, 각각의 사육 스페이스(82)에는 복수 마리 또는 한 마리의 돼지(84)가 사육되고 있다. 하나의 돈사(1)는 복수 열의 사육 스페이스군(83)이 모여 구축되고, 각 사육 스페이스군(83) 사이에는 모이를 주는 등 돌봐주는 사람이 이동하기 위한 통로(85)가 설치되어 있다.
사육 스페이스군(83)의 한쪽 측(도 15에서 좌측)에는 각 사육 스페이스(82)에서 공통되는 피트(86)가 형성되고, 일렬의 사육 스페이스군(83)의 각 사육 스페이스(82)의 분뇨 처리수는 하나의 피트(86)에서 원수 탱크(2)(도 1 참조)로 보내진다. 사육 스페이스군(83)의 다른 쪽 측(도 15에서 우측)의 상방부에는 각 사육 스페이스(82)를 따라 연장되는 파이프재(87)가 설치되고, 파이프재(87)에는 처리수 탱크(3)(도 1참조)로부터의 처리수가 공급된다.
사육 스페이스군(83)을 따라(도 15에서는 좌우 방향) 처리수 파이프(88)가 설치되고, 처리수 탱크(3)로부터의 처리수는 펌프(89)의 구동에 의해 처리수 파이프(88)로 공급된다. 처리수 파이프(88)에는 파이프재(87)의 일단이 로터리 조인트(90)에 의해 접속되고, 처리수 파이프(88)로 공급된 처리수가 로터리 조인트(90)를 통하여 파이프재(87)로 보내진다. 파이프재(87)로 보내진 처리수는 각 사육 스페이스(82) 쪽으로 분사되고, 사육 스페이스(82) 내의 분뇨나 돼지(84)의 몸을 씻 어내어 피트(86)로 들여보내진다.
한편, 파이프재(87)의 타단은 지지 부재(9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파이프재(87)는 로터리 조인트(90) 및 지지 부재(91)를 통하여 축심 방향으로 회동 지지되어 있다. 사육 스페이스군(83)은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재(87)도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파이프재(87)는 도중의 부위(예컨대 울 (81)의 부위) 등에서 회동 지지되어 있다(도시 생략).
지지 부재(91) 측의 파이프재(87)의 상부에는 연결쇠(92)가 각각 고정되고, 연결쇠(92)에는 세로 방향으로 긴 장공(93)이 설치되어 있다. 파이프재(87)의 지지 부재(91) 측에는 파이프재(87)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간(94)이 설치되고, 구동간(94)은 왕복 구동 수단(95)에 의해 축 방향으로 왕복 구동된다. 구동간(94)에는 파이프재(87)에 대응하여 연결 핀(96)이 설치되고, 연결 핀(96)은 각각의 연결쇠(92)의 장공(93)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즉, 왕복 구동 수단(95)의 구동으로 구동간(94)이 왕복 이동하면, 연결 핀(96), 장공(93)을 통하여 연결쇠(92)가 요동하고, 연결쇠(92)의 요동에 의해 파이프재(87)가 일제히 축심 방향으로 회동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재(87)의 사육 스페이스(82) 측에는 각 사육 스페이스(82)에 대응하여 노즐(98)이 설치되고, 노즐(98)로부터 사육 스페이스 (82) 쪽으로 처리수가 분사된다. 이때, 왕복 구동 수단(95)의 구동에 의해 파이프재(87)를 일제히 축심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노즐(98)의 방향을 바꿀 수 있고, 사육 스페이스(82)의 바닥면 방향에서 돼지(84)의 신체 방향 쪽으로 연속하여 처리 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규모의 설비로 하지 않고도 사육 스페이스(82)의 넓은 범위 쪽으로 처리수를 분출시킬 수 있고, 분뇨의 씻어내기나 돼지(84)의 몸의 씻기를 무인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씻어낸 후의 처리수는 피트(86)에 모여 원수 탱크(2)로 보내진다.
한편, 파이프재(87)의 회동 기구는 왕복 구동 수단(95)에 의한 왕복 운동을 연결 핀(96) 및 장공(93)에 의해 파이프재(87)의 회동 기구로 변환하고 있는데, 크랭크 기구나 캠 기구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파이프재(87)의 회전 기구로 변환하는 기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세정 기구는 돈사(1)와 동일하게 우사 등의 다른 가축의 분뇨의 처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세정 처리 장치를 우사 등의 다른 가축의 분뇨의 처리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탁수의 정화를 위한 동력을 요하지 않고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탁수 처리 장치의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처리수의 재이용이 가능한 순환형 정화 장치의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탁수의 정화를 위한 동력을 요하지 않고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탁수 처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응집제 첨가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탁수인 원수를 도입하여 고형분을 분리하는 고형분 분리기와,
    상기 고형분 분리기에 의해 고형분이 제거된 원수를 소정의 비율로 희석하는 희석조와,
    상기 희석조로부터 주수 펌프에 의해 보내지는 희석 원수에 응집제를 첨가하는 응집제 첨가조와,
    상기 응집제 첨가조에서 응집제가 첨가된 상기 희석 원수로부터 응집 성분을 여과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에서 여과 분리된 고형분인 응집 플록으로부터 수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여과조에서 분리된 액체분 및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수분을 도입하여 활성탄으로 처리하는 활성탄 처리조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조는, 상기 희석조로부터 주수 펌프를 통하여 도입되는 희석 원수의 수압에 의해 응집 성분을 여과함과 동시에 상기 응집 플록을 상기 세퍼레이터에 도입하는 것이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주입 펌프의 수압에 의해 상기 응집 플록으로부터 수분을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활성탄 처리조는, 상기 여과조로부터 송액 펌프에 의해 도입되는 여과수의 수압에 의해 활성탄 처리하여 처리액을 처리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 수 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 처리된 처리액을 탁수원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 첨가조는 나선형으로 설치된 나선 유로로 희석 원수 및 상기 응집제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 첨가조와 상기 여과조 사이에 혼합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혼합 유로는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가 유통함으로써 응집제와 희석 원수가 혼합되는 유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연직 방향 하방에서 상방 쪽으로 여과하는 필터를 가짐과 동시에, 해당 필터의 상방에는 소정의 기간마다 해당 필터의 상방으로부터 역세수를 공급하는 역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 수단은 상기 필터의 상방의 여과수 내에 설치 되고 하향 역세 노즐을 복수 개 가짐과 동시에 단부에 수평 방향을 향하는 수평 노즐을 갖는 노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부재는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 노즐로부터의 분사액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역세 노즐로부터의 분사수에 의해 상기 필터를 역세하는 것으로서, 여과 처리를 멈추지 않고 소정의 기간마다 역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상기 희석 원수가 도입되는 도입조와, 상기 도입조에 도입된 희석 원수로부터 응집 성분을 여과하여 응집 성분을 제외한 액체분을 유통시키는 통형상 필터와, 상기 통형상 필터를 유통한 액체분이 저류되는 저류조를 구비한 여과 탱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도입조에 침전한 응집 플록이 상기 세퍼레이터로 보내짐과 동시에, 상기 저류조에 저류된 액체분이 상기 활성탄 처리조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탱크가 직렬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통형상 필터가 하나의 상기 여과 탱크에 대하여 복수 개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통형상 필터가 자유로이 떼낼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필터는 박판형의 링판이 다수 적층되어 하나의 통형상 필터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 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다수의 평판 부재가 적층 유지된 여과부가 도입수 측과 여과수 측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평판 부재의 간격에 도입수의 수분만을 유통시켜 수분을 분리함으로써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는 무기계 응집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탁수의 원료로는 마이너스 이온화되어 물의 클러스터가 작아진 파동수가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탁수인 원수는 가축의 분뇨의 처리수이며, 상기 활성탄 처리하여 처리액이 보내지는 이수원은 상기 가축의 분뇨의 처리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 정화 장치.
  14. 고형분이 제거되어 희석된 탁수가 보내지는 나선형으로 설치된 나선 유로를 구비하고, 응집제를 상기 나선 유로에 첨가하는 첨가구를 구비하며, 상기 나선 유 로에서 응집제가 첨가된 희석 원수를 유통시킴으로써 상기 응집제와 상기 희석 원수를 혼합함과 동시에, 혼합 유체를 후처리 공정조로 배출하는 혼합 유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 첨가 설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3 항의 탁수 정화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 첨가 설비.
KR1020067027520A 2004-07-13 2005-07-13 탁수 정화 장치 및 응집제 첨가 설비 KR200700327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6404 2004-07-13
JPJP-P-2004-00206404 2004-07-13
PCT/JP2005/012918 WO2006006625A1 (ja) 2004-07-13 2005-07-13 濁水浄化装置及び凝集剤添加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729A true KR20070032729A (ko) 2007-03-22

Family

ID=3578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520A KR20070032729A (ko) 2004-07-13 2005-07-13 탁수 정화 장치 및 응집제 첨가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18648B2 (ko)
KR (1) KR20070032729A (ko)
CN (1) CN100540478C (ko)
TW (1) TW200606374A (ko)
WO (1) WO20060066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710B1 (ko) * 2010-02-03 2010-04-07 (주)에코베이스 인 제거 기능이 강화된 하폐수 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6327B2 (ja) * 2007-03-20 2013-01-09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建設汚泥減容化装置及び建設汚泥減容化方法
DE102007022607A1 (de) 2007-05-15 2008-11-20 Magna Powertrain Ag & Co Kg Feststell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JP5143790B2 (ja) * 2009-06-22 2013-02-13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シアン汚染地下水の処理方法
JP2019129785A (ja) * 2018-02-01 2019-08-08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CN114273022B (zh) * 2021-12-23 2023-06-16 江苏汇联铝业有限公司 高纯氧化铝输送用过滤除杂设备及其实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8637A (en) * 1978-12-26 1980-07-04 Nakajima Seisakusho Apparatus for treating domestic animal excretion
JPH0516195Y2 (ko) * 1985-04-12 1993-04-28
JPH04341306A (ja) * 1991-05-16 1992-11-27 Nippon Kentetsu Co Ltd 凝集撹拌装置
JPH0516195A (ja) * 1991-07-16 1993-01-26 Nok Corp 射出成形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H0549810A (ja) * 1991-08-22 1993-03-02 Fuji Electric Co Ltd 電気集じん装置の洗浄水の薬品混和凝集装置
JPH1066962A (ja) * 1996-08-26 1998-03-10 Idec Izumi Corp 汚水処理装置
JP4386496B2 (ja) * 1999-05-06 2009-12-16 浅利 公博 凝集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汚水浄化装置
CN2433253Y (zh) * 2000-07-24 2001-06-06 曾郴林 高浊度水处理设备
JP2002086191A (ja) * 2000-09-14 2002-03-26 Sumitomo Heavy Ind Ltd 廃水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710B1 (ko) * 2010-02-03 2010-04-07 (주)에코베이스 인 제거 기능이 강화된 하폐수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06625A1 (ja) 2006-01-19
TW200606374A (en) 2006-02-16
CN1972877A (zh) 2007-05-30
CN100540478C (zh) 2009-09-16
JPWO2006006625A1 (ja) 2008-05-01
JP4918648B2 (ja) 2012-04-18
TWI349091B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13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contaminated liquid
RU23947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CN110510809B (zh) 一种不使用化学药剂及消毒剂的生活污水深度处理系统
JP5826545B2 (ja) 汚濁水処理システム及び汚濁水処理方法
KR101951202B1 (ko) 침전지용 슬러지 수집장치
KR20070032729A (ko) 탁수 정화 장치 및 응집제 첨가 설비
CN213652125U (zh) 一种可提升絮凝效率的废水处理装置
KR101217795B1 (ko) 인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 처리장치
CN101928072B (zh) 一体化去除水中硬度的设备
CN102020370A (zh) 一种污水深度处理方法及其装置
CN113816574A (zh) 一种污泥处理设备及污泥处理方法
CN211170214U (zh) 一种工业废水一体化处理设备
CN201574102U (zh) 一体化去除水中硬度的设备
KR102097559B1 (ko) 고속 난류형 고도산화 부상분리 공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611189B1 (ko) 연속식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RU2547498C1 (ru) Физико-химический мембранный биореактор
KR101697357B1 (ko) 무동력 혼화응집조를 포함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플랜트
CN211004998U (zh) 一种餐厨垃圾渗滤液处理设备
JP3968369B2 (ja) 浄化槽処理水の脱色処理機能を備えた固液分離システム
CN110436658A (zh) 一种排污水处理回用系统
CN210313826U (zh) 污染地下水处理装置
CN213060543U (zh) 一种用于污水净化的磁分离装置
CN116621397B (zh) 污水处理系统及污水处理方法
CN216404049U (zh) 利用管式陶瓷膜将地表水处理为生活饮用水的装置
CN210855724U (zh) 一种用于工业废水微颗粒悬浮物自净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