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046A - 디아미노옥시다제 함유 약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아미노옥시다제 함유 약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046A
KR20070032046A KR1020077002826A KR20077002826A KR20070032046A KR 20070032046 A KR20070032046 A KR 20070032046A KR 1020077002826 A KR1020077002826 A KR 1020077002826A KR 20077002826 A KR20077002826 A KR 20077002826A KR 20070032046 A KR20070032046 A KR 20070032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inooxidase
composition
histamine
dao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232B1 (ko
Inventor
알버트 미스비칠러
프란츠 가보르
헤르비그 헤이흘
Original Assignee
알버트 미스비칠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9717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320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버트 미스비칠러 filed Critical 알버트 미스비칠러
Publication of KR2007003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62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4Oxidoreductases (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4Oxidoreductases (1)
    • A61K38/443Oxidoreductases (1) acting on CH-OH groups as donors, e.g. glucose oxidase, lactate dehydrogenase (1.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4/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NH2 group of donors (1.4)
    • C12Y104/03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NH2 group of donors (1.4) with oxygen as acceptor (1.4.3)
    • C12Y104/03006Amine oxidase (copper-containing)(1.4.3.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y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아미노옥시다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식품 보조 조성물 및 화장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아미노옥시다제 함유 약제 조성물{DIAMINOOXIDASE-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본 발명은 히스타민 유도된 질환 및 병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히스타민 (1H-이미다졸-4-에틸아민)은 히스티딘의 효소적 탈카르복실화에 의해서 형성되며, 그로 인해서 분자량이 111Da인 염기성 생체(biogenic) 아민이다.
유기체에서, 히스타민은 사실상 도처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히스타민은 인간 자체에 의해서 생산되며 불활성 형태로 비만세포 및 호염기성 백혈구의 이염색성 과립에 저장되며, 여기서, 히스타민이 즉각적으로 방출된다. 가장 높은 히스타민 농도는 폐에서 측정된다. 이의 방출 이후에, 히스타민은 많은 생리학적 및 병리생리학적 과정에 대한 고도의 효능적 매개체이며, 또한 종종 시토킨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그러한 과정에 대한 매개체이다.
또한, 히스타민은 한편으로는 흡입에 의해서, 또는 예를 들어 히스타민 함유 식품, 예컨대, 치즈, 와인, 생성 통조림 및 사우어-크라우트(sauer-kraut)를 섭취함으로써 구강적으로 외부로부터 체내로 유입될 수 있다.
사람 및 동물 체내에서의 가장 중요한 히스타민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모세혈관의 확장,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및 혈압 강하.
2) 평활근, 즉, 폐내의 기관지근의 수축.
3) 위산분비 증가의 유도.
4) 심박수의 증가.
5) 히스타민은 즉시형 알레르기 반응의 매개체이며, 알레르기 질환, 예컨대, 알레르기성 비염(고초열 비염) 및 기관지 천식에서의 가장 중요한 매개체이다.
6) 또한, 히스타민은 두드러기(두드러기 발진)의 전형적인 촉발제이며, 이는 약물 알레르기 또는 내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농도의 자유롭게 순환하는 히스타민은 부작용, 예컨대, 두통, 코막힘 또는 콧물, 호흡기관의 폐쇄, 주기외수축(eatrasystole)을 포함한 빈맥(tachycardia), 및 무른 변에서 설사에 이르기까지 유도할 수 있는 위장 불쾌증, 및 저혈압을 개시시킨다. 종종 눈꺼풀의 부기(swelling), 때로는 두드러기 발진을 유발시킨다. 또한, 피부의 적화(reddening), 혈압강하 및 기관지연축이 발생될 수 있다. 하기 표는 증상을 혈중 히스타민 농도의 함수로서 나타내고 있다.
히스타민(ng/ml) 신체 반응
0-1
1-2 위액분비 증가
3-5 빈맥, 피부 자극
6-8 혈압강하
7-12 기관지연축
약 100 심장정지
포유동물의 유기체에서, 히스타민은 두 효소: 디아미녹시다제(diaminoxidase: DAO, EC 1.4.3.6) 및 히스타민-N-메틸트랜스페라제(NMT, EC 2.1.1.8)에 의해서 분해된다(Mizugushi et al., 1994). DAO는 이미다졸 아세트알데 히드로의 히스타민의 산화성 탈아민화에 촉매 작용을 하고; NMT는 N-메틸-히스타민으로의 N-메틸화에 촉매작용을 한다.
둘 모두의 분해 경로는 유기체에 필수적인데: DAO는 식품을 통한 위장관내 흡수되는 히스타민을 제거하고, NMT는 신경계에서의 히스타민생성 신호 전달을 조절한다(Kitanaka et al., 2002).
식품과 함께 섭취되는 히스타민을 장에서 혈류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DAO의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방어기전에 문제가 있으면 극단적인 경우에는 아나필락시스 쇼크(Anaphylactic shock)을 유발시킬 수 있다(Taylor 1986, Nilsson et al., 1996). DAO는 이차 단백질이고, 그러므로, 세포외적으로 작용하는 반면, N-메틸-트랜스페라제는 세포질에서 배타적인 활성이 있다(Kuefner et al., 2001).
히스타민 이외에 생체 아민, 예컨대, 퓨트레신(putrescin), 스퍼미딘(spermidine) 및 카다베린(cadaverine)을 추가로 분해시킬 수 있으며 돼지 신장으로부터 수거될 수 있는 본래의 DAO는 동종이합체성 구리-함유 당단백질이며, 그 서브 단위는 이황화물 결합을 통해서 연결된다. DAO의 분자량은 약 182kDa(Kluetz and Schmidt, 1997; Rinaldi et al., 1982)이고, 이의 탄수화물 부분은 약 11%(Shah and Ali, 1988)이다. 효소는 하기 일반적인 반응식에 따라서 일차 아민을 알데하이드, 암모니아 및 과산화수소로 산화성 탈아민화시키는 것을 촉매 작용하는 구리-함유 아미노옥시다제 부류에 속한다(Bachrach 1985): RCH2NH2 + H2O + O2 => RCHO + NH3 + H2O2(여기서 R은 아미노기를 함유한다).
구리-함유 아미노 산화효소의 특성은 보존된 티로신 잔기의 번역 후 변화에 의해서 형성되는 활성 중심에서 토파퀴논(topaquinone)이다(James et al., 1990, James et al., 1992; Mu et al., 1992).
DAO는 주로 소장, 간, 신장 및 백혈구중의 혈액에서 발견된다. 산모의 경우에, DAO가 태반에서 또한 형성된다. 산모는 비-산모의 혈액 DAO 수준에 비해서 약 500 내지 1000배 더 높다. DAO는 연속적으로 생산되며 장의 강내로 분비된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 따라서 히스타민이 풍부한 식품은 이미 대부분 장내 히스타민으로부터 자유롭다. 잔류 히스타민은 장점막을 통과하는 경우에 그 곳에 존재하는 DAO에 의해서 분해된다. 히스타민은 이미다졸-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며, 또한 이미다졸-아세토아세트산으로 분해된다. DAO의 보조인자는 6-히드록시토파 및 가정적으로는 피리독살포스페이트, 비타민 B6이다. DAO는 다양한 물질, 즉, 생체 아민, 알콜 및 이의 분해 생성물 아세트알데히드, 및 다양한 약물에 의해서 억제될 수 있는 감작성 효소이다. 신경조직에서, 아직까지 DAO 활성이 검출되지 않고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식품과 함께 섭취된 외인성 히스타민뿐만 아니라 내생성 히스타민도 알레르기 반응에 기인한 다양한 질환을 촉발시킬 수 있다. 이의 임상치와 관련하여, 감소된 DAO 활성을 근거로 하는 히스타민 내성의 3 가지 이상의 형태가 주목되어야 한다:
- 일부 사람들은 선천적인 DAO 결함을 나타내며 이러한 결함은 사라지지 않는다.
- 장점막의 감염 동안, 일시적인 DAO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 감염이 치유되는 경우, DAO 활성은 정상으로 회복된다.
- 다양한 활성-억제 물질을 투여하는 경우, 외인적으로 감소된 DAO 활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이들 중에는 일차적으로 알콜과 이의 분해 생성물, 아세트알데히드, 아민이 풍부한 특정의 식품, 및 많은 약물이 있다.
모든 경우에, 상기된 증상은 다소 강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모든 경우에 쉽게 기인되지 않을 수 있다. 효소의 작용 활성을 신속하게 파악하면 신속하고 간단한 치료를 가능하게 하며 적절한 식사 요법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히스타민 내성의 발생에 대한 빈번한 이유는 많은 화학 물질에 대한 효소의 감작성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상이한 약물의 경우에 발생한다. 가장 중요한 DAO 억제제는 아크리플라빈, 디아제팜, N-메틸-N-포르밀히드라진, b-아미노프로피오니트릴, 디마프리트(Dimaprit), O-메틸히드록실아민, 아그만틴(agmantine), 에탄올(10%), 파르길린(Pargyline), 알도메트(Aldomet), 푸로세미드(furosemide), 페나밀(Phenamil), 아밀로리드(Amiloride), 구아나벤즈(Guanabenz), 페넬진(Phenelzine), 아미노구아니딘, 구안파신(Guanfacine), 펜포르민(Phenformin), 아미트립틸린(Amitryptiline), 구아니딘, 페니프라진(phenyprazine), 아모디아퀸(amodiaquine), 할로페리돌(haloperidol), 프로메티아진, 안세린(anserine), 히아민 1622(Hyamine 1622), 프로파놀롤, 아지리디닐-알킬-아민, 히드록시클로로퀸, B1 피리미딘, 히드록실아민, 퀸아크린(quinacrine), 부림아미드(Burimamide), 임프로미딘(Impromidine), 세미카르바지드(semicarbazide), 카다베린(cadaverine), 이미다졸 유도체, 티아민, 카르노신(Carnosine), 이프로니아지드(iproniazid), 티오리다진(thioridazine), 클로로티아지드, 이소카르복사지드, 트라닐사이프라민(tranylcypramine), 클로르프로마진(chlorpromazine), 이소니아지드(isoniazide), 트리메토프림(trimethoprim), 시메티딘(cimetidine), 메티아미드(meticmide), 트립타민, 클로니딘(clonidine),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티라민(tyramine), 시아니드, 나즐리닌(nazlinin, 알칼로이드), 디아민(또한, 히스타민) 및 Nt-메틸-히스타민이다.
WO 02/43745호에서, 히스타민 매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식물 유래의 DAO의 전신 사용이 개시되어 있다. DAO의 투여 또는 일반적으로 식물로부터 직접 분리된 효소의 투여는 큰 문제가 있는데, 그 이유는 일차적으로는 WO 02/43745호에 개시된 콩과식물이 높은 알레르기 발생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식물 중의 알레르기항원의 빈번한 발생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히스타민 유도된 질환 및 병태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로서 주로 코르티손을 포함하는 시중 구입가능한 제품의 부작용을 지니지 않으며 상기된 종래 기술에서 직면하게 되는 단점이 없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개체의 체내에, 특히 장관 내에 활성 디아미노옥시다제의 농도를 증가시켜서 외래 공급(예를 들어, 식품과 함께)되는 히스타민의 분해를 보조하거나 이러한 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히스타민 유도된 질환을 치료하는 약제 조성물로서 디아미노옥시다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조성물은 디아미노옥 시다제를 포함하는 히드로겔, 위액내성 펠릿, 점적제, 특히, 점안제(eye drops) 및 점비제(nose drops)로서, 또는 정제, 식품 보조 조성물, 또는 다이어트 식품 및 화장 조성물로서 표피, 구강, 경구 또는 설하 투여를 위한 적용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디아미노옥시다제는 실질적으로 이의 활성형으로 제공되며, 이는 효소로서, 예를 들어, 그의 보결분자단(prothetic group)에 구리를 함유하지 않으며 적어도 야생형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효소가 본 발명에 따른 적용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조성물은 표피, 구강, 경구 및 설하 투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약제형태를 포함한다. DAO의 표피 투여는 피부의 표면에서 또는 피부의 최외곽층상에서의 히스타민 유도된 질환, 또는 병태의 경우에 주로 유리한데, 그 이유는 피부가 알레르기항원과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알레르기 반응을 이러한 투여에 의해서 성공적으로 치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히스타민의 분비에 의해서 촉발된 다양한 질환, 예를 들어, 두드러기, 아토피습진 등에 의해 유발된 가려움증이 중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강 및 경구 투여에 의해서는, DAO를 개체의 위장관내로 투여하여 히스타민 분해에 의해서 히스타민 유도된 질병을 성공적으로 중단시키거나 치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AO의 활성 범위는 위장과내로 주로 제한되는데, 그 이유는 위에서의 높은 산 함량이 DAO의 활성에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DAO를 구강 또는 경구 투여하는 경우, DAO가 장에 도달할 때까지 위액으로부터 DAO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DAO가 설하 투여되면, 효소는 경구 점 막에 의해서 입에서 신속하게 흡수되고 혈류로 전달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효소를 정맥내로 전달하지 않으면서 또는 효소 효과의 신속한 개시를 지연시키는 어떠한 해로움 없이 효소를 위에서 장까지 전달하지 않으면서 DAO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혈류내로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약제 조성물은 히드로겔, 위액내성 펠릿, 점적제, 특히, 점안제(eye drops) 및 점비제(nose drops), 정제 및 캡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투여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른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DAO를 투여되는 약제학적 형태로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DAO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또한 한편으로는 효소를 안정화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효소를 상응하는 갈레노스식 형태(galenic form)로 조제하는데 사용되는 추가의 성분을 함유한다. DAO는 물론 다른 약제학적 활성 물질과 함께 단일 투여 용량형으로 투여되거나 다른 약제학적 활성 물질과 별도로 투여될 수 있으며, 그러한 다른 약제학적 활성 물질은 다른 약제학적 활성 물질중 어떠한 물질에 의해서 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어 요구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게 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AO 포함 히드로겔 조성물의 점도는 41 sec-1의 전단속도에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cp(센티포이즈),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cp, 특히 1.1 내지 1.6cp이며, 이러한 점도의 측정은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점도계로 수행될 수 있다. DAO 함유 히드로겔 조성물은 특히 이들의 점도 범위에서 유리한 성질(예, 국소 분배 능력, 양호한 처리)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0.5 cp의 저점도 에서, 히드로겔 조성물은 사용자가 제제를 친숙하게 처리하기에는 너무 묽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예, 카르보폴), 셀룰로오즈 유도체, 또는 변화된 셀룰로오즈, 특히, 히드록시 에틸셀룰로오즈(예, 나트로졸), 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및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전분 및 변화된 전분, 천연 및 합성 고무(rubber), 예컨대, 트라가칸트(tragacanth), 구아(guar), 카라기난(Carrageenan), 젤라틴, 알킨산나트륨, PVP, 폴리비닐알콜 및 이의 혼합물이 젤라틴화제로서 사용된다. 젤라틴화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예, 나트로졸)이 사용되며, 여기서, 특히, 나트로졸 타입 250 HHR(Natrosol Type 250 HHR)은 저농도에서도 특히 양호한 안전성을 나타낸다. 히드로겔 조성물의 pH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7.2 내지 8.5,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0이다. 이러한 pH는 바람직하게는 완충액, 특히, Bis/Tris 완충액으로 조정되며, 여기서, 추가의 염(예, 20 내지 300m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mM, 특히 100mM, NaCl)이 DAO 효소 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첨가될 수 있다. 염의 전체 농도가 20mM 미만인 경우, DAO는 더 불량한 안정성을 지녀서 활성의 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보존제가 본 발명에 따른 히드로겔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으며, 그러한 보존제는 조성물중의 미생물의 증식을 실질적으로 억제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효소 활성이 본 발명의 목적(히스타민의 분해)을 달성하기에 더 이상 충분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항미생물 물질이 DAO 활성을 억제하지 않도록 보존제를 선택하는 것이다. DAO와 보존제를 수반한 활성시험에 의해서, 그러한 물질이 동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로르헥시딘, 파라벤(파라-히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특히, 부틸, 에틸,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 벤조에이트(예, Na-벤조에이트), 소르베이트(예, K-소르베이트) 카르바메이트 (예, 이소프로피닐 부틸 카르바메이트) 및 이의 조합물(예, 로코소날(Rokosonal)= Na-벤조에이트, K-소르베이트 및 요오도프로피닐-부틸-카르바메이트의 혼합물)이 보존제로서 사용된다. 겔화제로서 나트로졸(Natrosol) 및 보존제로서 로코소날 및/또는 파라벤을 포함하는 히드로겔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 산업에서 사용되는 향수 및 방향족 물질이 또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은 위액내성 펠릿, 점적제 또는 주입액으로 제조되는 식품 보조 조성물 또는 다이어트 식품(dietary food-stuff: DFS)에 관한 것이다. 식품, 식품 보조물 또는 다이어트 식품에 의해서 DAO를 구강 투여하는 것은 이러한 효소가 활성을 나타내어야 하는 신체의 부분으로 효소를 유도해야 한다. 히스타민은 장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DAO가 높은 산 함유 위를 안전하게 통과되게 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거나 제공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예에서, DAO는 바람직하게는 위액내성 펠릿으로 가공된다.
3 미만의 pH에서, DAO는 비가역적으로 손상되기 때문에(위에서의 pH는 pH 2 내지 pH 4 범위이다), DAO를 위를 통해서 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DAO가 적절한 투여 형태(약제 조성물 또는 식품 보조 조성물, 또는 다이어트 식품)로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예, 젤라틴 캡슐) 및 특히, 위액 내성 펠릿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투여된 후에, DAO의 활성이 늦어도 15분, 바람직하게는 늦어도 20분, 특히 늦어도 30분 이내에 개시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위액 내성"은 위액, 또는 위액 중의 성분(예, 산)과 비교되는 성질을 지니는 용액의 작용하에 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20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 특히 60분 이상의 특정의 시간 동안 내부에 함유된 활성물질(예, DAO)을 보호하여 활성물질이 최고 50%, 바람직하게는 최고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고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고 20%, 특히 최고 10%의 활성 손실을 나타내게 할 수 펠릿의 성질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20분 후에, 특히 30분 후에, 본 발명에 따른 펠릿은 펠릿을 제형화하는데 사용되는 DAO 활성의 60% 이상, 특히 80% 이상을 장내에서 방출한다.
위액 내성 펠릿은 장관에서 나타나는 pH에서는 용해되는 위액 내성 코팅으로 코팅된 펠릿이다. 이러한 사항은 그러한 코팅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pH 4 및 최고 pH 10에서 용해됨을 의미한다. 유드라지트(Eudragit),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과 메타크릴레이트의 음이온성 폴리머를 기재로 하는 위액 내성 코팅은 작용기로서 -COOH를 함유하며, pH 5.5 내지 7의 범위에서 용해된다. 유드라지트에 대한 대안으로서, 쉘락 또는 아세틸화된 전분(예, 암프락 01: Amprac 01))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위액 내성 코팅은 상이한 성질(예, 코팅이 용해되는 pH, 용해속도)을 지니기 때문에, 코팅의 재료가 혼합될 수 있다. 쉘락은 예를 들어 양호한 산 내성을 나타내지만, 장관에서 아주 서서히 용해된다. 한편, 암프락 01은 장 환경에서 아주 신속하게 용해되지만, 충분히 산 내성이 아니다. 재료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두 재료는, 예를 들어, 60 내지 95/40 내지 5,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30 내지 10의 쉘락/암프락 0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활성물질의 방출 속도에 영향을 주는 추가의 파라메터는 위액 내성 필렛의 층 두께이다. 질량비로 표현된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최종 생성물의 전체 질량의 5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이다. 펠릿의 평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mm, 특히 0.7 내지 2mm이다. 그러한 크기는 펠릿이 위를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식품 보조 조성물 또는 다이어트 식품 둘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펠릿의 제조는 60℃에 이르기까지의 조성물의 성분, 특히 활성 물질 DAO의 열 안정성을 요하는 압출기에 의해서 수행된다(Stricker Arzneiformenentwicklung, Springer Verlag 2003). 펠릿은 위액 내성 코팅 및 DAO에 추가로 약제학적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결정상 셀룰로오즈(예, 아비셀: Avicel)이 충전제 및 팽윤제로서 작용한다. 셀룰로오즈는 물에 불용성이고, 이러한 형태에서 결정상 및 무정형 부분 둘 모두를 지닌다. 이러한 조합은 충분히 높은 힘에 의해서 형태의 비가역적 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하는 소성 변형성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사항은 압출기 및 구형화기(spheronizer)에서 펠릿화되는 실질적인 선결요건이다. 습식 과립화 동안, 미세결정상 셀룰로오즈는 다량의 물을 흡수하고, 그에 의해서 결합제의 첨가 없이 신속하게 압축 가능한 응집성 물질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펠릿 중의 미세결정상 셀룰로오즈의 양은 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의 범 위일 수 있다. 결합제 또는 충전제로서, 수크로스가 사용될 수 있다. 수크로스는 매트릭스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며, 그 결과 효소의 신속한 방출을 보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크로스가 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의 양으로 펠릿에 첨가될 수 있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의 양으로 혼합된)는 또한 결합제로서 첨가되고 미세한 분진을 방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는 펠릿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 또한 수율을 개선시키는데 기여한다. 옥수수 전분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에 충전제 및 붕해제로서 첨가(1 내지 30%의 바람직한 양으로)될 수 있다. 불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전분은 많은 물을 흡수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상적인 붕해제이다. 크로스카르멜로스(Crosscarmelose)(Na-CMC; 악디솔(Acdisol))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순수한 붕해제이다. 악디솔의 양이 너무 많으면 펠릿의 라운딩 동안 조기 붕해를 유도할 것이고, 그 결과, 비생산적이다. 크로스포비돈(Crosspovidon), 가교결합된 PVP가 유사하게 수 불용성이고, 또한 붕해제로서 작용한다. 가교결합된 PVP의 폴리머성 성질로 인하여, 이는 펠릿의 생산 동안 개선된 라운딩을 보조한다(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의 양으로 혼합될 수 있다). 포비돈은 수용성 첨가제이며 결합제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상이한 충전제, 붕해제 및 결합제의 조합은 펠릿 중의 DAO의 분자 분산 분포를 유도하고 신속한 생이용성을 가능하게 한다. 위액 내성 코팅과 활성제 함유 펠릿 사이에, 글리세롤 및/또는 활석으로 제조된 절연층이 제공될 수 있다. 글리세롤은 탈수소화 반응을 방지하여 효소의 불활성화를 방지하는 습윤제로서 작 용한다.
펠릿에 대한 대안으로서, DAO는 또한 위를 통해 장관내로 캡슐로 수송될 수 있다. 적합한 캡슐은, 예를 들어, 젤라틴 캡슐 또는 전분 캡슐이다. 캡슐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펠릿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은 디아미노옥시다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로서 화장용 투여 형태로, 특히, 히드로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점적제로 제공되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히스타민 분비가 증가되거나 알레르기 물질과 접촉되는 경우에(예, 접촉성 알레르기 또는 신경피부염의 경우에), 신체 반응이 신체의 가시 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그러한 신체 반응은 화장용 조성물로 DAO를 투여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 DAO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은 추가로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히드로겔 포함 화장용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조성물의 히드로겔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질을 지니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된 디아미노옥시다제는 비-식물 유래 디아미노옥시다제이다.
약제 조성물 및 화장용 조성물, 및 식품 보조제 및 다이어트 식품에 비-식물 유래 DAO를 사용하면 식물에서 발생되는 알레르기항원이 DAO의 투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알레르기항원이 실질적으로 내인성 히스타민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주로 식물성 물질이 히스타민 유도된 질환의 원인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식물 유래 DAO 제제로부터 알레르기 촉발 성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제조상의 큰 노력에 의해서만 가능한 반면, 비-식물 유래인 본 발명에 따른 DAO는 그러한 식물 알레르기항원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비-식물 유래"는 모든 DAO가 식물로부터 수득되지 않지만 동물 유기체 또는 그 밖의 비-식물 유기체로부터 회수된 DAO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정의는 세포 배양(동물, 박테리아, 및 효모 등), 또는 어떠한 형태의 비-식물 유기체에서 재조합적으로 제조되는 모든 DAO를 포함하며, 재조합적으로 제조된 DAO에 대한 DNA는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식물 및/또는 동물 유기체로부터 분리되며, 발현 시스템에서 클로닝되고 발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조성물은 동물 유래의 디아미노옥시다제를 포함한다. 동물 DAO를 사용함으로써, 각각 사람 또는 동물 신체에 그들 자체에 의해서 생산된 DAO의 글리코실화, 활성 및 특이성의 면에서 그들 자체에 의해서 생산된 효소와 아주 유사한 효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DAO의 생산에서 식물 알레르기항원을 완전히 배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디아미노옥시다제는 돼지 신장에서 회수된다. 돼지 신장은 주로 DAO의 높은 함량에 특징이 있다. 돼지 신장으로부터, 효소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재조합 유래의 디아미노옥시다제를 포함한다. DAO의 재조합 생산에 의해서, 대량의 효소를 생산하고 이러한 효소를 높은 수율로 정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재조합 디아미노옥시다제는 원핵세포,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세포 배양물에서 발현되거나 진핵세포, 바람직하게는 동물 또는 효소 세포 배양물에서 발현된다. 세포에서 발현되거나 발현 동안 세포에서 분비되는, 이들 발현 시스템에 의해서 생산된 DAO의 정제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정제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DAO에 펩티드(예, His-tag),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 서열(예 GST-tag)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재조합 DAO는 추가로 유전 조작 방법에 의해서 변화시켜 이러한 DAO의 효소 활성이 야생형 DAO의 효소활성을 능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은 히스타민 유도된 임상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DAO는 사람 및 동물 신체에서 히스타민의 분해에 원인이 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히스타민 유도된 질환은 디아미노옥시다제의 부재 또는 DAO의 억제에 기인하는 히스타민 과량에 의해서 유발되거나, 통상적으로 식품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는 히스타민 과량에 의해서 유발되거나, 추가의 외인적 인자, 예컨대, 알레르기항원과의 접촉에 의해서 유발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DAO의 투여는 그 자체로 이들 질환 또는 임상 증상의 치료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은 두드러기, 특히 만성 및 급성 두드러기의 치료를 위한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본 발명의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두드러기의 경우에, 히스타민의 방출은 정맥의 확장 및 모세혈관의 과도한 투과성을 유발하면서 부종을 유발한다. DAO를 영향을 받은 피부 영역에 투여함으로 써 영향을 받은 피부 부위에서의 히스타민을 분해시키고 그에 의해서 두드러기의 가려움증을 중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은 접촉성 알레르기의 치료를 위한 약물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접촉성 알레르기는 피부내로 침투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촉발하는 물질(알레르기항원)에 의해서 야기된다. 이러한 접촉에 의해서 분비된 히스타민을 분해시키고, 히스타민 유도된 임상 증상을 정지, 또는 완화시키기 위해서, DAO를 투여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아미노옥시다제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를 위한 약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신경피부염이라고도 알려진 아토피 피부염은 어린이와 젊은 성인에게서 대부분 발생하는 뚜렷한 가려움증과 연관된 빈번한 피부 질환이다. 이러한 가려움증의 원인은 영향을 받은 피부 부위에서의 히스타민의 과도한 분비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DAO는 그 부위에서의 히스타민의 감소에 기여하고, 그 결과,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다.
추가의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콤브로이드독 중독(scombrotoxism)의 치료를 위한 약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의 본 발명의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스콤브로이드독 중독은 삼치류, 예를 들어 참치의 섭취 후의 히스타민 중독이다. 저온 유통을 하지 않거나, 조리를 지연시키는 경우에, 고등어과에서 스콤브로이드독소가 형성되어 히스타민을 풍부하게 한다. 이러한 히스타민 중독의 결과는 발열, 메스꺼움, 구토, 복통, 및 두드러기이다. 이러한 경우에, DAO는 탈독 성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은 위장관으로부터 히스타민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약물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다이어트 식품을 생산하는데 있어서의 본 발명의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장관 내의 히스타민의 감소는 개체의 신체에 히스타민의 공급(외인성 공급, 예를 들어 식품에 의한 공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또는 예를 들어 장관내에서의 DAO의 활성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억제되거나 전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약물, 식품 보조제, 또는 다이어트 식품은 따라서 장관내의 히스타민의 분해에 기여하는 효소적 활성 DAO를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은 기관계로부터 히스타민을 제거하는 약물을 생산하는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히스타민 방출 물질, 예컨대, 꽃가루가 기관계 또는 폐내로 흡입되면 뚜렷한 알레르기 반응이 유발될 수 있다. 방출된 히스타민을 분해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DAO가 스프레이 흡입 등에 의해서 기관계 또는 폐내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하 실시예로 설명될 수 있지만,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
실시예 1
DAO를 셀룰로오즈 기재 팰릿중에 활성적으로 안정화시키고, 펠릿을 위액 내성 코팅으로 코팅시켰다. 용해 시험에서, 70% 이상의 활성이 1 시간 이내에 주변 으로 방출됨이 밝혀졌다.
실시예 2
추가로, 효소를 히드로겔에 안정화시켰다. 실온 및 37℃에서 저장시에 4 개월 이내에 활성의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히스타민의 의한 자극 후의 피부의 소포 및 가려움증의 발생은 히드록겔 적용 후 수분 이내에 사라졌다.
실시예 3
히드로겔에서 안정화된 DAO를 전체 13명에 대해서 시험하였다. 질문지에 의해서 접촉성 알레르기(n=5), 신경피부염/피부염(n=6) 및 벌레물림(n=2)에 의한 스트레스를 구분하였다. 모든 접촉성 알레르기 환자 및 신경피부염 환자의 경우에, 긍정적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벌레물림의 경우에는, 50%의 지원자가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다.
스트레스 긍정적 효과/지원자 수
신경피부염/피부염 6/6
접촉성 알레르기 5/5
벌레물림 1/2
첫 번째 10분 이내에 발생된 히드로겔의 효과, 1 시간 이상 동안 지속되는 평균 효과.
0 내지 10분 10 내지 30분 30 내지 60분 >1 시간(h) >2 시간(h)
효과의 개시 11 1
효과의 지속 3 1 2 6
반복된 적용에서 불편한 효과를 나타낸 지원자는 없었다.
두 명의 신경피부염 환자는 본 발명의 히드로겔이 그 당시에 사용된 코르티손 연고에 비해서 더 효과적이었다고 말했다.
실시예 4
위액 내성 펠릿을 80,000U/ml의 초기 활성을 지니는 3%의 DAO, 40%의 미세결정상 셀룰로오즈, 20%의 수크로스, 22%의 그 밖의 결합제, 충전제 및 붕해제와 15%이 위액 내성 코팅으로 제조하였다. 펠릿으로부터의 DAO의 방출을 활성 검정 방법으로 180 분 동안 관찰하였다. 여기서, 펠릿이 용해되는 용액에서, 10분 후에 40%의 DAO 활성, 30분 후에 70%의 활성, 60분 후에 80%의 활성, 및 180분 후에 최초 사용된 DAO 양의 100%의 활성이 검출되었다. DAO의 활성 측정은 AT 411688에 기재된 바와 같지만, 그 밖의 공지된 방법이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참조:
Figure 112007010576910-PCT00001
Figure 112007010576910-PCT00002

Claims (18)

  1. 디아미노옥시다제를 포함하는 히스타민 유도된 질환 치료용 약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이 히드로겔, 위액 내성 펠릿, 점적제, 특히 점안제 및 점비제, 또는 정제로 표피, 구강, 경구 또는 설하 투여를 위한 적용 형태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2. 디아미노옥시다제를 포함하는 식품 보조 조성물.
  3. 디아미노옥시다제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위액 내성 펠릿, 점적제 또는 주입액의 형태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디아미노옥시다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화장 적용 형태, 특히 히드로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점적제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아미노옥시다제가 비-식물 유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동물 유래의 디아니노옥시다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디아미노옥시다제가 돼지 신장으로부터 유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재조합 유래의 디아미노옥시다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원핵 세포 배양물,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 세포 배양물, 또는 진핵 세포 배양물, 바람직하게는 동물 또는 효소 세포 배양물로부터 수득된 재조합 디아미노옥시다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히스타민 유도된 임상 증상의 치료를 위한 약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의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용도.
  13. 두드러기, 특히 만성 및 급성 두드러기의 치료를 위한 약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의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용도.
  14. 접촉성 알레르기의 치료를 위한 약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의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용도.
  15.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를 위한 약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의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용도.
  16. 스콤브로이드독 중독(scombrotoxism)의 치료를 위한 약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의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용도.
  17. 위장관으로부터 히스타민을 제거하기 위한 약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의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용도.
  18. 기관계(bronchial system)로부터 히스타민을 제거하기 위한 약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의 디아미노옥시다제의 용도.
KR1020077002826A 2004-07-07 2005-07-06 디아미노옥시다제 함유 약제 조성물 KR101367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T1150/2004 2004-07-07
AT0115004A AT502098B8 (de) 2004-07-07 2004-07-07 Diaminooxidase-hältige zusammensetzung
PCT/EP2005/053234 WO2006003213A1 (de) 2004-07-07 2005-07-06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die diaminooxidase enthal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046A true KR20070032046A (ko) 2007-03-20
KR101367232B1 KR101367232B1 (ko) 2014-02-25

Family

ID=3497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826A KR101367232B1 (ko) 2004-07-07 2005-07-06 디아미노옥시다제 함유 약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3) US20080193491A1 (ko)
EP (2) EP1763363B1 (ko)
JP (1) JP4959558B2 (ko)
KR (1) KR101367232B1 (ko)
CN (1) CN1980689A (ko)
AT (4) AT502098B8 (ko)
AU (1) AU2005259167B2 (ko)
BR (1) BRPI0513133B1 (ko)
CA (1) CA2571463C (ko)
CY (1) CY1109351T1 (ko)
DE (2) DE502005009568D1 (ko)
DK (1) DK1763363T3 (ko)
ES (1) ES2326421T3 (ko)
HR (1) HRP20090447T1 (ko)
MX (1) MXPA06015036A (ko)
PL (1) PL1763363T3 (ko)
PT (1) PT1763363E (ko)
RS (1) RS51183B (ko)
SI (1) SI1763363T1 (ko)
WO (1) WO20060032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8395B1 (es) * 2011-03-18 2013-10-01 Dr Healthcare España, S. L. Uso de la diaminooxidasa para el tratamiento o la prevención de la fibromialgia o la fatiga crónica.
ES2387973B1 (es) * 2011-03-18 2013-10-01 Dr Healthcare España, S. L. Composiciones tópicas que contienen diaminooxidasa para el tratamiento o la prevención de enfermedades asociadas a un nivel de histamina elevada que comportan un aumento del dolor.
US20160024481A1 (en) * 2011-03-18 2016-01-28 Dr Healthcare España, S.L.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diaminooxidase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associated with high histamine levels which involve an increase in pain
US20170020993A1 (en) * 2011-03-18 2017-01-26 Dr Healthcare España, S.L. Composition comprising diamine oxidase for use in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fibromyalgia or chronic fatigue syndrome
ES2388515B1 (es) * 2011-03-18 2013-10-01 Dr Healthcare España, S. L. Uso de la diaminooxidasa para la prevención de los síntomas de la resaca.
ES2388166B1 (es) * 2011-03-18 2013-10-01 Dr Healthcare España, S. L. Alimentos funcionales que contienen diaminooxidasa y sus usos.
EP2694098B1 (en) * 2011-04-07 2018-09-26 Histapharm Inc. Oral enzyme compositions for intestinal delivery
ES2426539B1 (es) 2012-04-18 2014-09-09 Dr Healthcare España, S. L. Uso de la diaminooxidasa para el tratamiento o la prevención del trastorno por deficit de atencion con hiperactividad (adhd)
AU2018388566A1 (en) * 2017-12-21 2020-06-18 Pepsico, Inc. Multi-ingredient ephemeral beverage pod for making a beverage
CN113785052A (zh) 2019-02-19 2021-12-10 维也纳兽医大学 新重组二胺氧化酶及其治疗以过量组胺为特征的疾病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79487A (en) * 1935-08-01 1938-02-04 Ig Farbenindustrie Ag Manufacture of stable therapeutic products from intestinal mucous membrane
NL6815177A (ko) * 1968-10-24 1970-04-28
GB1318884A (en) * 1969-07-29 1973-05-31 Hydrovane Compressor Rotary compressors
FR2101095A1 (en) * 1970-08-20 1972-03-31 Merieux Inst Diamine oxidase from human placenta - for treatment of hyperhistamina
US3639579A (en) * 1970-12-10 1972-02-01 Matthew C Urbin Pharmaceutical preparation
FR2215944A1 (en) * 1973-02-01 1974-08-30 Bellon Labor Sa Roger Extracts of human placenta - free of proteases, and contg. histaminase, kininases and monoamine-oxidases for treating allergies
FR2529463B1 (fr) * 1982-07-05 1986-01-10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ncapsulation dans les erythrocytes d'au moins une substance a activite biologique, notamment des effecteurs allosteriques de l'hemoglobine et erythrocytes ainsi obtenus
GB8319540D0 (en) * 1983-07-20 1983-08-24 Bovril Ltd Amine removal
US4725540A (en) * 1984-07-09 1988-02-16 Emil Underber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mine-oxidase containing material, so produced amine-oxidase containing material
US5270033A (en) * 1991-11-25 1993-12-14 Montgomery Robert E Antimicrobial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ES2233106T3 (es) * 1998-11-27 2005-06-01 Kanji Takada Preparacion oral para administracion gastrointestinal de un medicamento.
JP4839506B2 (ja) 2000-04-28 2011-12-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JP4592041B2 (ja) * 2000-11-24 2010-12-01 株式会社Nrlファーマ 生活の質を改善する新規食品の製造法および用途
IT1317067B1 (it) * 2000-11-29 2003-05-26 Univ Roma Istaminasi di origine vegetale nel trattamento dello shock allergico esettico e nell'asma allergico.
CA2433408A1 (en) * 2001-02-23 2002-08-29 Biovitrum Ab Method for purification of soluble ssao
JP2003212773A (ja) * 2002-01-04 2003-07-30 Oramon Arzneimittel Gmbh セチリジン及びロラタジンの局所医薬組成物
DE10239029A1 (de) 2002-08-21 2004-03-04 Coty B.V.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 mit Proteinen zur Hautaufhellung
JP2004167178A (ja) * 2002-11-15 2004-06-17 Masashi Takahashi タン白質の経口投与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02098B8 (de) 2007-06-15
HRP20090447T1 (hr) 2009-11-30
KR101367232B1 (ko) 2014-02-25
PL1763363T3 (pl) 2009-12-31
AT503070A1 (de) 2007-07-15
EP1782824B1 (de) 2010-05-12
AU2005259167B2 (en) 2010-06-03
DK1763363T3 (da) 2009-09-14
US8716244B2 (en) 2014-05-06
CA2571463C (en) 2014-12-09
US20080193491A1 (en) 2008-08-14
EP1782824A2 (de) 2007-05-09
ES2326421T3 (es) 2009-10-09
ATE432710T1 (de) 2009-06-15
US9364437B2 (en) 2016-06-14
BRPI0513133A (pt) 2008-04-29
EP1763363A1 (de) 2007-03-21
AT502098A1 (de) 2007-01-15
WO2006003213A1 (de) 2006-01-12
EP1782824A3 (de) 2007-07-18
AU2005259167A1 (en) 2006-01-12
US20140220148A1 (en) 2014-08-07
ATE467423T1 (de) 2010-05-15
AT502098B1 (de) 2007-04-15
JP2008505869A (ja) 2008-02-28
CN1980689A (zh) 2007-06-13
AT503070B1 (de) 2007-09-15
CA2571463A1 (en) 2006-01-12
MXPA06015036A (es) 2007-04-25
DE502005007425D1 (de) 2009-07-16
BRPI0513133B1 (pt) 2016-12-27
CY1109351T1 (el) 2014-07-02
EP1763363B1 (de) 2009-06-03
US20100330191A1 (en) 2010-12-30
DE502005009568D1 (de) 2010-06-24
PT1763363E (pt) 2009-09-03
SI1763363T1 (sl) 2009-10-31
JP4959558B2 (ja) 2012-06-27
RS51183B (sr) 2010-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232B1 (ko) 디아미노옥시다제 함유 약제 조성물
JP2008505869A6 (ja) ジアミノオキシダーゼ含有医薬組成物
Savaraj et al. Arginine deprivation, autophagy, apoptosis (AAA) for the treatment of melanoma
US8071089B2 (en) Composition with a fungal (yeast) lipase and method for treating lipid malabsorption in cystic fibrosis as well as people suffering from pancreatic lipase insufficiency
JP2021193119A (ja) N−アセチルシステインアミドによる網膜色素変性症の治療
EP2686006B1 (en) Composition comprising diamine oxidase for the prevention of hangover symptoms
EP2844277B2 (en) Diamine oxidase for use in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JP2005336072A (ja) 腎障害抑制剤
CA317927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with glutathione
JP2020105145A (ja) 生理活性ペプチド又は生理活性タンパク質の活性低下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