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094A - 마그놀롤(magnolol)과호노키올(honoki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그놀롤(magnolol)과호노키올(honoki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094A
KR20070031094A KR1020050085771A KR20050085771A KR20070031094A KR 20070031094 A KR20070031094 A KR 20070031094A KR 1020050085771 A KR1020050085771 A KR 1020050085771A KR 20050085771 A KR20050085771 A KR 20050085771A KR 20070031094 A KR20070031094 A KR 20070031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olol
honokiol
composition
skin
atopic derma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538B1 (ko
Inventor
박덕훈
이종성
박준호
정은선
홍성택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538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놀롤(magnolol), 호노키올(honokiol) 또는 이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그놀롤, 호노키올, Staphylococcus aureus, 항균효과, 항염증 효과

Description

마그놀롤(magnolol)과 호노키올(honoki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magnolol and honokiol}
도 1은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마그놀롤(A) 과 호노키올(B)의 항균활성에 대한 표준곡선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대한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살균곡선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의해 유도된 인터루킨-8 (A)과 TNF-alpha (B)생산이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에 의해 억제되는 현상을 (C)는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사이의 상승적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M; 마그놀롤, H: 호노키올, 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도 4는 아토피 피부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마그놀롤, 호노키올, pimecrolimus 크림을 처리한 후, 2주와 4주후의 아토피 피부염지수인 EASI를 관찰한 도이다
도 5. 아토피 피부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마그놀롤, 호노키올, pimecrolimus 크림을 처리한 후, 2주와 4주후의 가려움증(pruritus) 개선정도를 관찰한 도이다
본 발명은 마그놀롤(magnolol), 호노키올(honokiol) 또는 이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다양한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대부분 유아기나 소아때 발생하여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흔한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아토피의 개인 또는 가족력, 심한 가려움증, 습진의 3가지 특징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감염, 정신적인 스트레스, 계절과 기후변화, 자극 및 알레르겐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론은 아직 확실히 밝혀 있지 않지만, 면역학적인 이상이 관여하는 유전적인 질환으로 생각되고 있다(Cooper, K. D. (1994) J Invest Dermatol.102: 128-137; Bos, J. D et al., (1992) Arch Dermatol 128: 1509-1512).
아토피 피부염에서는 주로 제2형 T세포가 활성화되어 IL-4(interleukin-4 ), IL-5(interleukin-5), IL-10(interleukin-10)이 분비되며 이들 중 IL-4는 IgE(immunoglobulin E)의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Cooper, K. D. (1994) J Invest Dermatol.102: 128-137; Mosmann, T. R. (1986) J Immunol 136: 2348-2357; 이 성훈 외. (1998) 대피지 36: 95-102). 아울러 ECP(Eosinophil cationic protein)과 같은 호산구 과립단백질이 아토피 피부염의 병변에 침착하여 염증의 정도를 나타내고, 세포 부착분자인 E-selectin은 CLA(cutaneous lymphocyte associated antigen)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억 T세포를 내피세포에 부착시켜 염증부위로의 침윤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Venge, P. (1993) Allergy 36: 95-102; Ackerman, S. J. et al (1983) J Immunol 131: 2977-2982; Czech, W. et al (1996) Br J Dermatol 134: 17-21). 이러한 세포 신호 전달 과정에 의해 나타나는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은 단순히 피부 건조 증세뿐만 아니라 염증성 피부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대개의 피부과 진료시 피부 표면의 수분을 유지시켜주는 보습제와 함께 염증반응을 호전시키기 위한 스테로이드 호르몬 즉, 국소 부신피질호르몬 제제를 동시에 처방하는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국소 부신피질 호르몬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피부 위축, 혈관 확장, 색소 탈실 및 팽창 선조의 발생등 다양한 피부 부작용을 야기시킨다고 보고 되어 있다(Baumann, L. et al. (1999)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5th ed.), 2713-2717. Academic Press, NY). 그러므로 이러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항염증 효능을 보유하는 아토피 치료용 원료나 제약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obinson, N. (2001) Semin Cutan Med Surg. 20(4): 242-249).
이러한 배경하에서,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이 아토피 피부염 주원균인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나고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의해 생성되는 호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인체 피부 안전성과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마그놀롤(magnolol), 호노키올(honokiol) 또는 이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마그놀롤(magnolol), 호노키올(honokiol) 또는 이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그놀롤(5,5'-di-2-propenyl-1,1'-biphenyl-2,2'-diol), 호노키올(3,5'-di-2-propenyl-1,1'-biphenyl-2,4'-diol)은 불면증, 불안완화, 항우울제로서의 효과(미국공개번호 US20040228934, 일본공개번호 JP2001026537); 신생혈관 혈성 억제, 항암제로서의 효과(미국특허공개 번호 US20040105903); 항-플라그, 항-치은염로서의 효과(미국특허 번호 US6500409);간 보호, 간섬유화, 간경화 예방 또는 치료효과(일본공개번호 JP10045573, 한국출원번호 10-2003-0053093);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 효과(일본공개번호 JP08003033); 혈소판 응집 효과(일본공개번호 JP030271312) 등의 매우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 이전에 알려진 바 없는, 마그놀롤 또는 호노키올의 아 토피 피부 질환의 개선 및 치료 효과를 새로이 규명하였다.
본 발명자는 마그놀롤 또는 호노키올이 아토피 피부 질환의 주원인균인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호노키올은 6.25ug/disk (0.39 mM)에서 마그놀롤은 12.5ug/disk(0.78 mM)에서부터 뚜렷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표 1). 마그놀롤의 최소저해농도는 6 ug/ml로 45 ug/ml (169.2 uM) 농도에서 10분내로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가 절멸되었고 호노키올의 최소저해농도는 2 ug/ml로 20 ug/ml (75.2 uM) 농도에서 10분 내로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가 절멸되었다. 또한, 마그놀롤 또는 호노키올 처리시,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의해 발생하는 IL-8과 TNF-alpha의 생산이 모두 감소되었다. 또한, 마그놀롤 또는 호노키올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를 제조하고 경증 또는 증증도의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이의 효능을 살펴본 결과, EASI 치수와 가려움증이 크게 개선되었다. 게다가 마그놀로과 호노키올은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것으로 피부누적자극시험 결과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마그놀롤 또는 호노키올은 천연에서 분리하거나(중국공개번호 CN1446785호, 중국공개번호 CN1583700호, 일본공개번호 JP04264035호)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될 수 있다(Li CY et al., (2003), Bioorg Med Chem. 15;11(17):3665-71).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은 이의 유도체의 형태일 수 있다. 마그놀롤의 유도체는 타이완공개번호 TW0503235 등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마그놀로과 호노키올은 단독으로도 포함될 수 있으나 이들을 배합하여 포함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우, 마그놀롤 : 호노키올을 0.5 - 4 : 1, 바람직하게는 0.5 - 3 : 1 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1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마그놀롤, 호노키올 또는 이의 배합물의 양은 다양할 수 있으나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중량% 내지 20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독성이나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물질로 아토피 피부염 개선 목적의 다양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이 의약품에 이용되는 경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경구용, 비경구용의 다양한 형태의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등의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구용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및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주사제, 연고제, 좌제, 흡입제, 에어로졸제, 패취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회에 5 내지 0.01 내지 10 ㎎/㎏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리 활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종래에 사용되어온 다양한 활성물을 병용 사용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종래 아토피 피부 치료제에 많이 사용되어온 세라마이드(Ceramides) 등의 보습제 또는 지질 (Lipids) 성분이나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등의 스테로이드(Steroids),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등의 비타민A 유도체 또는/및 토코페롤(Tocopherol)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이 식품에 이용되는 경우, 과자,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등의 다양한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기능성식품(functional food)"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식품으로 의료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는 건강 보조의 목적으로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용어는 호용되어 사용된다. 상기 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이 화장품에 이용되는 경우, 통상의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은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숀제, 팩, 비누, 세안폼과 같은 세안료, 입욕제, 샴퓨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은 적절한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고,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이해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본 발명자는 마그놀롤 또는 호노키올을 글리세린, 부틸 렌글리콜, 카프필릭 카프리트리글리세라이드, 스쿠알란, 세테아릴 글루쿠사이드,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 알코올, 트리메탄올아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조하였으며 마그놀롤 크림과 호노키올 크림을 도포하였을 경우, 아토피 피부염의 지수가 감소하고, 아토피성 피부의 특징인 가려움증(pruritus)도 크게 개선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 활성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위해 한천 확산법 (standardized filter-paper disk-agar diffus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Kirby-Bauer method로 잘 알려진 것으로 항균활성 측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참고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Junho Park et al, 2004, 496(1-3), 189-195). Staphylococcus aureus 세포를 brain heart infusion (BHI) broth를 이용하여 혐기조건하에서 37도에서 stationary phase에 이를때까지 배양하였다. 대략 1×106 정도의 세균 세포를 0.8% phytoagar를 포함하는 7 ml BHI 아가(agar) 배지에 섞어 1.5% phytoagar를 포함하는 아가 플레이트에 부었다. 마그 놀롤과 호노키올의 각각 시험농도를 직경 10 mm의 filter-paper disc에 처리한 후, 세균이 접종된 BHI 아가 플레이트에 올려 놓고 혐기조건하에서 37도에서 24시간 배양후 원반주변의 투명대 (growth inhibition halo)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투명대의 크기는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농도의 대수치 (logarithmic value)와 함수관계에 있었고, 이로부터 표준 검량곡선 (standard curve)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 이 표준 검량곡선을 통해 시료의 미지 농도를 결정할 수가 있다. 표 1에서 제시된 것처럼,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유의성 있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호노키올의 경우는 6.25ug/disk (0.39 mM)에서 마그놀롤의 경우는 12.5ug/disk(0.78 mM)에서부터 뚜렷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5051396441-PAT00001
실시예 2: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최소저해농도 (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MIC )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최소저해농도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Staphylococcus aureus을 3 ml brain heart infusion broth에 넣고, 동시에 마그놀롤과 호느키올을 각각 첨가한 후 혐기조건하에서 37도에서 24시간동안 배양을 한다. 호노키올과 마그놀롤의 MIC를 측정하기 위하여 two-fold serial dilut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MIC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최소 농도로 정의한다. 표 2에 나타나듯이,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마그놀롤의 MIC는 6 ug/ml 이고, 호노키올의 MIC는 2 ug/ml임을 확인하였다. 호노키올의 항균활성이 마그놀롤에 비해 높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5051396441-PAT00002
실시예 3 :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최소 살균 농도(Minimum Bacteriocidal Concentration : MBC ) 측정
특정 물질에 의한 세균의 성장저해는 개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세포가 사멸한 결과이다. 증식억제 (정균작용)의 경우 물질의 제거에 의해 세균의 성장이 다시 시작될 수 있으나 사멸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최소 살균 농도 (MBC)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단 액체배양액에서 MIC 측정과 같은 과정을 거친 다음 배양 후 증식이 일어나지 않은 시험관의 배양액의 일부를 취하고 희석하여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을 제거한 후 고체배지상에서 배양하고 24시간 후에 집락형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 때 MBC는 집락이 생성되지 않은 평판배지의 원 배양액의 마그놀롤 또는 호노키올 농도의 최소값을 의미한다.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MBC를 결정하기 위해 Staphylococcus aureus가 사용되었고, 살균 작용 속도 (kinetics of bacterial killing)측정을 위해 마그놀롤 또는 호노키올의 MIC농도의 1배, 5배, 10배의 농도를 적용하였다. 미생물 생존율은 2시간 내에 측정되었다. 도 2에서 나타나듯이 세포사멸 속도는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처리농도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호노키올의 경우 20 ug/ml (75.2 uM), 마그놀롤의 경우는 45 ug/ml (169.2 uM)처리시 10분내로 Staphylococcus aureus가 절멸됨을 관찰하였다 (도 2).
실시예 4: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에 의한, Staphylococcus aureus 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시토카인의 생산억제효과 평가
일반적으로 세균 또는 세균 성분들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반응은 주로 호염증성 시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에 의해 매개된다.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마그놀롤 또는 호노키올이 억제하는 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interleukin-8과 TNF-alpha에 대한 ELISA를 수행하였다. 인간 단핵구세포주인 THP-1 세포주를 이용하였고, 1X106의 THP-1 세포를 serum이 없는 조건에서 1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열처리로 불활성화된 Staphylococcus aureus 100 ug/ml를 단독으로 또는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을 각각 동시에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배지로 분비된 인터루킨-8과 TNF-alpha의 양을 ELISA kit (Genzyme, Mineapolis, MN)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도 3에서 제시된 것처럼,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해 유도된 인터루킨-8과 TNF-alpha의 생산이 모두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에 의해 감소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전반적으로 호노키올이 마그놀롤에 비해 시험농도들에서 다소 강한 시토카인 억제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을 특정비율로 배합하였을때의 상승작용적 항염효능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배합비율이 1(7.5uM):1(7.5uM), 1(5uM):2(10uM), 2(10uM):1(5uM)인 경우와 마그놀롤 단독 15uM, 호노키올 단독15uM 등으로 각각 처리했을 때의 TNF alpha 생산억제능을 살펴 보았다. 도 3c에 제시된 것처럼,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특정비율, 즉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배합비율이 2:1인 경우가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해 유도된 TNF alpha 생산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을 배합하였을 경우, 상승적 작용 (synergistic interaction)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특정배합비율인 2:1인 경우, 가장 높은 상승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5 :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함유 피부외용제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능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및 pimecrolimus를 각각 함유한 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기 표3의 성분함량으로 제조하였다. 하기 표3에서 대조군은 항균 및 항염효과가 있는 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피부외용제이며, 각각 시험군 1, 시험군 2, 시험군 3, 시험군 4 등은 마그놀롤, 호노키올, pimecrolimus를 각각 포함한 피부외용 아토피 화장료 조성물들이다.
피부외용제 제조를 위하여,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70℃에서 용해하였으며 (물파트), 상기 세 성분과 트리메탄올아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70℃에서 용해하였다 (오일파트). 상기 오일파트를 물파트에 첨가하고 호모믹서 (일본 Tokushu Kika사)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하였고, 여기에 트리메탄올아민을 최종 첨가하였다. 혼합액에 생성된 기포를 제거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피부외용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51396441-PAT00003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의 선정
경증 혹은 중등도의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만 6세 이상 15세 미만의 소아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피험자의 선정기준
2-1. 선정 기준
(1) 아토피 피부염의 진단기준: 현재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는 1980년 Hanifin과 Rajka의 진단기준을 근거로 주증상 중 3개 이상, 부증상 중 3개 이상의 임상 증상이 있을 경우에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하였다.
(2) 만 6세 이상-15세 미만의 남자 또는 여자로 경증 혹은 중등도의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자원자
(3) 피험자 제외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자
(4) 시험에 앞서 시험의 목적, 내용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서에 서명한 자원자
(5) 시험기간 동안 추적관찰이 가능한 자원자
2-2. 제외기준
(1) 심한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경우
(2) 심한 아토피피부염으로 면역 억제제, 면역 조절제로 치료 중인 경우
(3) 기타 위의 사항들 외에 연구 책임자의 판단으로 연구수행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3. 임상시험방법
전향적, 개방법(prospective open study)으로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각각 마그놀롤, 호노키올, pimecrolimus 크림 등을 제공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심한 소양증시 제공한 항히스타민제 이외에 개인적으로 국소 혹은 전신 스테로이드 제제의 도포나 복용은 금지 하였다.
4. 효과의 평가 방법
4-1. 아토피 피부염의 임상적 평가
1) 치료 전, 치료 2주, 4주 후에 아토피피부염의 증상과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EASI(Eczema Area Severity Index)를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몸부위 EASI Score
Head/Neck (H) (E + I + Ex + L) x area x 0.1
Upper Limbs (UL) (E + I + Ex + L) x area x 0.2
Trunk (T) (E + I + Ex + L) x area x 0.3
Lower Limbs (LL) (E + I + Ex + L) x area x 0.4
EASI Sum of the above 4 body region scores
* E=Erythema, I=induration/papulation, Ex=excoriation, L=lichenificatin
(0=none, 1=mild, 2=modreate, 3=severe)
* Area: 0=no eruption, 1=<10%, 2=<10-29%, 3=<30-49%, 4=<50-69%
5=<70-89%, 6=>90-100%,
2) 가려움증 평가
visual analog scale Pruritus 0 1 2 3 4 5 6 7 8 9 10
4-2. 통계적인 분석
EASI score 그리고 가려움증에 대한 점수를 치료전, 치료 2, 4주에 Kruskall-Wallis one-way ANOVA법을 기본 통계법으로 적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치료 후 호전과 차이에 대한 통계적 검증후 유효편차로 p값이 0.05이하면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32명의 대상 환자에게 마그놀롤, 호노키올, pimecrolimus를 각각 포함하는 크림을 사용하게 하였으며 연구 기간동안 2명이 각각 임상 증상 악화와 제품 사용시 소양감 증가로 중단하였다. 다음의 결과는 30명(남자 11명, 여자 19명, 평균 연령 7.9세) 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도 5의 결과를 보듯, 마그놀롤 크림과 호노키올 크림을 도포하였을 경우, 아토피 피부염의 지수인 EASI가 2주 경과되면서 감소하기 시작, 4주후엔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 대조군으로 사용된 pimecrolimus 크림의 경우도 마그놀롤이나 호노키올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도 5). 뿐만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이 동반하는 가려움증(pruritus)도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에 의해 크게 개선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6).
도 5와 6으로부터,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을 함유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는 아토피 치료 내지 완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pimecrolimus와 비교하여 그 효과가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아토피 개선효과가 우수하다고 판명된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이 인체피부에도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5에 열거된 시험 군 1에서 3까지에 대한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피부누적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각 피부외용제를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첩포를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ul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아래의 공식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6에 나타내었다.
평균반응도=[[반응지수x 반응도/ 총피검자수 x 최고점수 (4점)] x 100 ] ÷ 검사회수 (9회)
이 때,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Figure 112005051396441-PAT00004
시험군 1의 경우, ±, +,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2명, 0명, 0명이었고, 그 외 나머지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기재된 식에 따라 계산하면 시험군 1~시험군 3의 평균 반응도가 각각 0.18, 0.37, 0.37이 되어 3이하가 되어 안전한 조성물로 판단되었다.
표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마그놀롤(시험군 1), 호노키올(시험군 2)을 포함한 피부외용제는 대조군이나 pimecrolimus(시험군 3)을 포함한 피부 외용제와 같이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그놀롤(magnolol), 호노키올(honokiol) 또는 이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체에 독성이나 자극을 발생시키지 않는 안전한 물질로 아토피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품이나 식품에 유용하게 이 용가능하다.

Claims (4)

  1. 마그놀롤(magnolol), 호노키올(honokiol) 또는 이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배합물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마그놀롤 대 호노키올을 0.5 내지 4 대 1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KR1020050085771A 2005-09-14 2005-09-14 마그놀롤(magnolol)과호노키올(honoki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KR100699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771A KR100699538B1 (ko) 2005-09-14 2005-09-14 마그놀롤(magnolol)과호노키올(honoki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771A KR100699538B1 (ko) 2005-09-14 2005-09-14 마그놀롤(magnolol)과호노키올(honoki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094A true KR20070031094A (ko) 2007-03-19
KR100699538B1 KR100699538B1 (ko) 2007-03-23

Family

ID=4156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771A KR100699538B1 (ko) 2005-09-14 2005-09-14 마그놀롤(magnolol)과호노키올(honoki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8044A1 (de) * 2009-10-02 2011-04-21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Magnolol oder Honokiol als antibakterielle, antimycotische, antiparasitäre oder antivirale Wirkstoff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6737B2 (ja) * 1990-07-23 1998-05-06 御木本製薬株式会社 ニキビ用皮膚外用剤
KR20030025975A (ko) * 2001-09-24 2003-03-31 주식회사 콧데 신이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8044A1 (de) * 2009-10-02 2011-04-21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Magnolol oder Honokiol als antibakterielle, antimycotische, antiparasitäre oder antivirale Wirkstof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538B1 (ko)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13963A1 (en) Aloe Preparation For Skin Enhancement
KR101298243B1 (ko) 낙석등 및 목단피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RU2536264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на коже, содержащая соль и сахар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ых ингредиентов,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лечения вагиноза,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EP2711014B1 (en) Daphne genkwa extra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ractions of the extracts or compounds separated from the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2192317B1 (ko) 천연 추출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20070079497A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89938B1 (ko) 케피어 그레인 유래 미세소포체의 용도
MX2007010408A (es)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actinidia y sus metodos de uso.
WO2017023000A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90049263A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516866B1 (ko) 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699538B1 (ko) 마그놀롤(magnolol)과호노키올(honoki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EP2907513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dihydroquercetin for use in methods for alleviating the effects associated with skin inflammatory disorders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0670850B1 (ko) 진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US20110039946A1 (en) Method of improving atopic dermatological diseases, in which a composition comprising magnolol, honokiol or a combination thereof is administered to a patient with atopic dermatological diseases
KR101398549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CA2894240A1 (en) Therapeutic compounds for skin disorders
JP3385293B2 (ja) アルトカルピン含有抗菌・防腐剤及び化粧料
JP2023529202A (ja) ペンタペプチド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アレルギー性疾患又はかゆみの予防、改善又は治療用組成物
KR20220098594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26688B1 (ko)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
JP2013545767A (ja) 有効成分として絡石藤抽出物及び牡丹皮抽出物の混合物を含む炎症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及び前記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574591B1 (ko) 신곡 추출물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