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263A -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263A
KR20090049263A KR1020070115456A KR20070115456A KR20090049263A KR 20090049263 A KR20090049263 A KR 20090049263A KR 1020070115456 A KR1020070115456 A KR 1020070115456A KR 20070115456 A KR20070115456 A KR 20070115456A KR 20090049263 A KR20090049263 A KR 20090049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an
composition
atopic dermatitis
ferment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6047B1 (ko
Inventor
이규길
강국희
Original Assignee
이규길
강국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길, 강국희 filed Critical 이규길
Priority to KR102007011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04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미강 분말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및/또는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미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아토피, 미강 발효물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a Atopy Epidermal Inflammation}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는 '괴상한'의 의미의 라틴어 "atopia"에서 유래한 말인데, 아토피(atopy)성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 만성 피부 발진이 특징인 질환으로, 영유아기 습진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사람이 집 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음식물, 꽃가루 또는 곰팡이 등과 같이 외부환경의 이물질에 대해 알러지 반응을 나타내는 점과 또 아토피성 피부염이 알러지성 비염, 천식, 결막염, 장관염 등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면역 체계의 교란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개 아토피성 피부염은 흔히 태열이라 부르는 영유아기 습진으로부터 시작하는데, 급성기에는 피부가 가렵고 붉어지거나 붓거나 좁쌀처럼 돋아 오르거나 작 은 물집이 잡히거나 습하고 딱지가 앉는 등의 증상을 보이며, 만성기에는 가렵고 피부가 딱딱하게 되거나 두꺼워지거나 줄이 가거나 쌀가루 같은 비늘이 앉거나 검어지거나 또는 희게 탈색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치료약 중 스테로이드계 약품은 소염 효과 및 면역 억제 효과가 우수하지만, 그러나 장기간 사용하면 바른 부위의 피부에서 털이 나고 피부가 위축되며, 피부 색소가 적어지고 피부가 얇아지는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
최근 기존 화학 약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천연 추출물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데, 예컨대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의 유효성분으로 고삼, 백급, 지모 및 소엽맥문동의 혼합추출물을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0513659호, 덩굴차 추출물을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0584039호, 하수오 추출물을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0511494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도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과제는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먼저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미강 분말에 물 및/또는 포도당을 혼합하고 여기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및/또는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를 접종시켜 그 발효물을 얻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각 발효물(① 미강 분말의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의 발효물, ② 미강 분말의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발효물, ③ 미강 분말의 스트렙토코쿠스의 발효물, ④ 미강 분말의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의 발효물을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로 다시 발효시켜 얻은 발효물, ⑤ 미강 분말의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의 발효물을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다시 발효시켜 얻은 발효물, 및 ⑥ 미강 분말의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의 발효물을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다시 발효시켜 얻은 발효물)이 적량으로 포함된 화장수 조성물을 제조하고 그 조성물을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도포하게 하였는데,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 발효물 모두가 발효되지 아니한 미강 분말보다는 현저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효과를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미강 분말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및/또는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미강 발효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미강"이란 현미에서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로서, 쌀눈과 호분층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쌀눈과 호분층을 포함하는 한, 쌀겨(현미의 외부 껍질)를 이루는 과피 및/또는 종피 그리고 외배유 및/또는 내배유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더라도 상기 미강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은 그 발생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불문하고 당업계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분류되는 모든 유형의 질환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통상 아토피성 피부염은 그 발병 시기 또는 그 발명 대상에 따라 유아형 아토피성 피부염, 소아형 아토피성 피부염, 성인형 아토피성 피부염 그리고 임산부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분류되는데, 본 명세서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은 이러한 모든 유형의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그것은 하기 실험예가 보여주듯이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이 무작위로 선출된 환자에 대해서 최고 87%에 대해서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개선"이란 치료, 예방 또는 증상의 경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미강 발효물"의 의미는 그것이 미강 분말을 상기 열거된 미생물 즉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및/또는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것인 한, 발효 과정에서 발효를 촉진하기 위하여 미강 분말에 어떠한 첨가물이 첨가되었는지는 불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것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가 보여주듯이,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에 의한 발효를 촉진하기 위하여 포도당을 첨가하여 발효시켰으나, 포도당이 첨가되지 아니한 경우에도(즉 미강 분말과 물의 혼합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경우에도), 아토피성 피부염이 개선 효과가 상기 포도당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발효되지 아니한 미강 분말보다는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미강 발효물의 제조에 있어서 또 발효를 촉진하기 위하여 어떠한 추가의 공정이 개재되었는지도 불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미강 분말을 엿기름을 사용하여 당화시킨 후 발효시킨 경우가 아토피성 피부염이 개선 효과가 조금 높기는 하였지만 당화시키지 않고 발효시킨 경우에도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효과는 발효되지 아니한 미강 분말보다는 여전히 높았기 때문이다.
또한 미강 발효물의 제조에 있어서, 발효 시간 및 발효 온도도 불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특정 온도 및 특정 시간 동안 발효시켜 미강 발효물을 얻었지만, 하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모든 미강 발효물은 발효되지 아니한 미강 분말보다 아토피 개선 효과가 높다는 점에서 다른 온도 및 다른 시간에서도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일어나는 한 그 결과 얻어진 미강 발효물은 발효되지 아니한 미강 발효물보다는 아토피 개선 효과가 높을 것임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강 발효물은 미강 분말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로 발효시킨 후에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및/또는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것을 말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미강 분말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로 발효시킨 후에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것을 말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구체적인 발효 공정 하에서 미강 분말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로 발효시킨 후에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미강 발효물을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1 중량 % 내지 99.99 중량 %로 포함할 것이다.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또는 분말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은 미강 발효물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0.0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품의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형태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 성분인 미강 발효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성분들이란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윤활제, 습윤제 등 각 용도에 적합한 성분들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성분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는데, 예컨대 경구 또는 직장에의 직접 투여되거나,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등에의 주사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부에 국소 적용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연고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체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미강 발효물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연화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 이온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비누 기재나 첨가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 로 사용되고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비누 기재는 일반적으로 비누 조성물의 전체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99.9 중량 % 내지 5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강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1
현미를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미강을 분쇄하여 얻은 미강 분말에 물을 3:1(미강 분말 : 물)의 중량비로 넣은 다음, 120℃, 1.4기압 하에서 30분간 멸균 처리를 하고, 멸균 처리된 미강 분말과 물의 혼합물 약 1kg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1.0 X 108cell/㎖) 배양액 50㎖를 첨가하여 약 30℃에서 4일 동안 발효시켜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발효물은 120℃, 1.4기압 하에서 30분간 멸균 처리된 후에 하기 실험예에 이용되었다.
<실시예 2>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2
현미를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미강을 분쇄하여 얻은 미강 분말에 물과 포도당을 3:1:0.3(미강 분말 : 물 : 포도당)의 중량비로 넣은 다음, 120℃, 1.4기압 하에서 30분간 멸균 처리를 하고, 멸균 처리된 미강 분말과 물 그리고 포도당의 혼합물 약 1kg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1.0 X 108cell/㎖) 배양액 50㎖를 첨가하여 약 30℃에서 4일 동안 발효시켜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발효물은 120℃, 1.4기압 하에서 30분간 멸균 처리된 후에 하기 실험예에 이용되었다.
<실시예 3>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3
현미를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미강을 분쇄하여 얻은 미강 분말에 물을 3:1(미강 분말 : 물)의 중량비로 넣은 다음, 여기에 미강 중량의 1%에 해당하는 거칠게 마쇄된 엿기름(맥아)를 넣어 약 60℃에서 약 6시간 당화시켰다. 당화가 끝난 당화액을 120℃, 1.4기압 하에서 30분간 멸균 처리를 하고, 멸균 처리된 당화액 약 1ℓ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1.0 X 108cell/㎖) 배양액 50㎖를 첨가하여 약 30℃에서 4일 동안 발효시켜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발효물은 120℃, 1.4기압 하에서 30분간 멸균 처리된 후에 하기 실험예에 이용되었다.
<실시예 4>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4
상기 <실시예 2>의 멸균 처리된 미강 발효물 약 1kg에 락토바실러스 불가리 쿠스(1.0 X 108Cell/㎖) 배양액 50㎖를 첨가하여 약 4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발효물은 120℃, 1.4기압 하에서 30분간 멸균 처리된 후에 하기 실험예에 이용되었다.
<실시예 5>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5
상기 <실시예 2>의 멸균 처리된 미강 발효물 약 1kg에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1.0 X 108Cell/㎖) 배양액 50㎖를 첨가하여 약 4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발효물은 120℃, 1.4기압 하에서 30분간 멸균 처리된 후에 하기 실험예에 이용되었다.
<실시예 6>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6
상기 <실시예 2>의 멸균 처리된 미강 발효물 약 1kg에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1.0 X 108Cell/㎖) 배양액과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1.0 X 108Cell/㎖) 배양액의 1:1 혼합물 50㎖를 첨가하여 약 40℃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발효물은 120℃, 1.4기압 하에서 30분간 멸균 처리된 후에 하기 실험예에 이용되었다.
< 제조예 > 화장수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기 각 실시예의 미강 발효 조성물이 포함된 화장수 조성물과 상기 실시예에 사용된 미강 분말(발효되지 아니한 것임)이 포함된 화장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화장수 조성물의 제조
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비교예
스테아린산 0.8 0.8 0.8 0.8 0.8 0.8 0.8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세토스테아릴알콜 2.0 2.0 2.0 2.0 2.0 2.0 2.0
베타글루칸 6.0 6.0 6.0 6.0 6.0 6.0 6.0
세틸 옥타노에이트 4.0 4.0 4.0 4.0 4.0 4.0 4.0
카프릴/카프릭트리클리세라이드 6.0 6.0 6.0 6.0 6.0 6.0 6.0
스쿠알란 4.0 4.0 4.0 4.0 4.0 4.0 4.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0.4 0.4 0.4 0.4 0.4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0.1 0.1 0.1 0.1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전연 향 1.0 1.0 1.0 1.0 1.0 1.0 1.0
<실시예 1>의 발효물 2.0
<실시예 2>의 발효물 2.0
<실시예 3>의 발효물 2.0
<실시예 4>의 발효물 2.0
<실시예 5>의 발효물 2.0
<실시예 6>의 발효물 2.0
미발효 미강 분말 2.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단위는 중량%임
< 실험예 >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효과 실험
아토피 피부염 환자 20명을 일군의 실험군으로 하여 각 실험군에 상기 각 제조예의 화장수 조성물을 매일 아침에 총 8주 동안 도포하게 하였다.
상기 제조예의 화장수 조성물을 도포하기 시작하여 8주 경과 후의 아토피 중증 지수(EISI score)와 가려움증의 완화 여부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각각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표 3>에 나타낸 수치는 가려움증이 사라진 피검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아토피 중증 지수는 피부과 전문의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머리, 목, 상지, 몸통, 하지 등의 신체 부위에 각각 홍반, 부종, 경결, 구진, 찰상, 태선화 정도를 없음, 경도, 중등도, 중증의 4단계로 등급화하고 면적 점수를 합산하여 피부병변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수치이며, 수치가 높을수록 아토피 증세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낮을수록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표 2]
EASI score
구분 도포 전(평균값) 도포 후(평균값)
제조예 1 4.7 3.9
제조예 2 4.8 3.7
제조예 3 5.3 3.9
제조예 4 6.7 4.7
제조예 5 6.5 4.9
제조예 6 6.9 3.1
비교예 6.7 6.5
[표 3]
가려움증의 개선 정도
구분 개선효과를 보였다는 피검자의 비율
제조예 1 15%
제조예 2 18%
제조예 3 24%
제조예 4 35%
제조예 5 32%
제조예 6 87%
비교예 7%
상기 <표 2> 및 <표 3>를 보면 발효되지 아니한 미강 분말(비교예의 경우)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효과가 매우 미미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강 발효물을 사용한 경우는 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가 발효 되지 아니한 미강 분말보다 전체적으로 높고, 특히 미강 분말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발효시킨 경우(실시예 6의 경우)가 가장 개선 효과가 높았다.
본 발명자들은 미강 분말을 위 세 가지 발효시킬 경우에 그것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가 높은 이유를 미강 분말의 발효 과정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에 활성이 좋은 신규 생리활성물질들이 생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Claims (6)

  1. 미강 분말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구성군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로 발효시켜 얻어진 미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 발효물은 미강 분말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로 발효시킨 후에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또는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 발효물은 미강 분말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로 발효시킨 후에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 조성물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0070115456A 2007-11-13 2007-11-13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092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456A KR100926047B1 (ko) 2007-11-13 2007-11-13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456A KR100926047B1 (ko) 2007-11-13 2007-11-13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263A true KR20090049263A (ko) 2009-05-18
KR100926047B1 KR100926047B1 (ko) 2009-11-11

Family

ID=4085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456A KR100926047B1 (ko) 2007-11-13 2007-11-13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0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44B1 (ko) * 2011-11-17 2014-02-07 (주)질경이 우리옷 미강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511699B1 (ko) * 2014-12-02 2015-04-13 홍성창 광천수가 함유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974868B1 (ko) * 2017-11-20 2019-05-03 박병희 미강 및 오미자 혼합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344B1 (ko) 2011-11-01 2012-12-20 차웅호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7961B1 (ko) * 2012-01-02 2014-02-27 손정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354126B1 (ko) 2021-09-17 2022-01-21 주식회사 브리지테일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_Breezytail_AIR21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58121B (en) 1995-12-25 1999-05-11 Hitoshi Nagaoka Method for extracting useful substance from culture medium containing mycelium
KR100517254B1 (ko) 2003-07-29 2005-09-27 한국식품연구원 미강을 이용한 면역활성물질 제조방법
KR20070067549A (ko) * 2005-12-23 2007-06-28 주식회사 두산 미강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개선용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44B1 (ko) * 2011-11-17 2014-02-07 (주)질경이 우리옷 미강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511699B1 (ko) * 2014-12-02 2015-04-13 홍성창 광천수가 함유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974868B1 (ko) * 2017-11-20 2019-05-03 박병희 미강 및 오미자 혼합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047B1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104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60658B1 (ko) 항알레르기성 미용 조성물
JP2024045614A (ja) モリンガ・オレイフェラ種子のタンパク質抽出物の美容的使用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100926047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20110053861A (ko)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KR101489365B1 (ko) 피부 개선능이 있는 와인 부산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08976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14947A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220133136A (ko)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3499271A (zh) 一种抗敏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0852204B1 (ko) 산호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20220001161A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2298799B1 (ko) 피크리오노시드 a를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298803B1 (ko) (2S)-1-O-리놀레노일-2-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20076168A (ko) 극지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 노화 개선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
CN110547975B (zh) 包含表松脂酚的化妆材料组合物
KR20170136801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6733A (ko)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298798B1 (ko) 아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286680B1 (ko)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286682B1 (ko) 아카리시드 b6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1503588B1 (ko)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