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6684A -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6684A
KR20070026684A KR1020067027689A KR20067027689A KR20070026684A KR 20070026684 A KR20070026684 A KR 20070026684A KR 1020067027689 A KR1020067027689 A KR 1020067027689A KR 20067027689 A KR20067027689 A KR 20067027689A KR 20070026684 A KR20070026684 A KR 20070026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detection
volatil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고무라
가즈오 오나가
히로시 고다
Original Assignee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26Sampling from a closed space, e.g. food package, head sp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47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 G01N2001/2267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separating gas from liquid, e.g. bub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55Concentrating samples by solubility techniques
    • G01N2001/4066Concentrating samples by solubility techniques using difference of solubility between liquid and gas, e.g. bubbling, scrubbing or spar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휘발성 용매물의 검출 장치에는, 상부에 공간을 남겨서 거의 일정량의 액체(A, B)를 수용 가능한 검출용 용기(1)와, 상기 검출용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에 기포를 취입(吹入) 가능한 노즐(4)과, 상기 노즐에 취입용 가압 기체를 공급 가능한 가압 기체 공급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검출용 용기의 상부와 연통하는 연통로(5)에, 휘발성 성분을 검출 가능한 센서(S)의 검지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검출용 용기의 액체로부터 휘발한 휘발성 성분을 상기 연통로에 도입해서, 상기 센서로 검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용기(2, 3)가 설치되고,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에 공급 가능한 공급 기구(D) 및 상기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는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로부터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시키는 오버플로 기구(E)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검출, 휘발, 액체, 악취, 용해

Description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VOLATILE DISSOLVED MATTER}
본 발명은, 상부에 공간을 남겨서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수용 가능한 검출용 용기와, 상기 검출용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에 기포를 취입(吹入) 가능한 노즐과, 상기 노즐에 취입용 가압 기체를 공급 가능한 가압 기체 공급 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검출용 용기의 상부와 연통되는 연통로에, 휘발성 성분을 검출 가능한 센서의 검지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검출용 용기의 액체로부터 휘발한 휘발성 성분을 상기 연통로에 도입해서 상기 센서로 검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와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네랄 워터는, 예를 들면, 특정 수원에서 취수된 지하수 등의 원수를 독특한 여과, 침전 및 가열 살균 처리 등의 각종 공정을 거쳐서 제품화된다. 여기에서 원수가 미생물이나 화학 물질로 오염되어 있거나, 원수의 운반 용기나 저장 용기, 보틀링시의 파이프라인 등이 미생물이나 화학 물질로 오염되어 있거나, 보틀링시의 파이프라인 등에 타품종 제품 등이나 세정 약제가 남아있으면 제품에서 이취(異臭)가 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쥬스 등의 청량 음료 제품의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물이 주원료 이기 때문에, 동일한 원인에 의하여 제품에서 이취가 나는 경우가 있다.
오염의 원인 물질에 따라서는 100만분의 1 이하의 미량의 혼입에 의해서도 이취가 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미네랄 워터나 청량 음료의 원수나 공정으로부터의 이취, 착향 물질 등의 혼입 방지, 감시, 관리는 중요하다. 또한, 하수도 처리 시설이나 각종 공장에서의 폐수에서 이취 유발 물질이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역 주민에게 엄청난 고통과, 건강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배출수중의 이취 유발 물질의 관리도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부터 사람의 후각에 의한 관능 평가 시험이 이취, 착향 검출 수단으로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식품 공장이나 하수도 처리 시설이나 각종 공장에서는, 그 분위기 중에 상당한 량의 냄새 성분이 충만해 있을 경우가 많고, 각 현장에서의 관능 평가 시험은 현장 분위기에 따른 방해 작용에 의해 정확성이 결여될 경우가 많다. 또한 평가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서도 평가 결과에 편차가 생기는 등, 객관성이 결여된 평가 시험 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기기를 이용한 평가 시험 방법으로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장치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질량 스펙트럼 장치가 자주 이용되고 있다. 이들 장치는 대부분의 화합물의 경우 하나의 성분당 O.1ng의 샘플이 있으면 검출이 가능한 대단히 고감도의 장치이다. 그러나, 이들 장치는 정밀하고, 고가의 장치이며, 조작에 전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장이나 처리 시설의 공정에 설치해서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 가능하지는 않다. 또한, 측정하는 실험 자료의 전처리에서 결과 판정까지 상당한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신속한 결과가 필요한 경우나 부서에서 는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한편, 자연 대기중의 휘발성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방식 가스 센서, 열선 방식 가스 센서, 고체 전해질 방식 가스 센서, 적외선 방식 가스 센서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가스 센서는 소형이며, 가격이 저렴하고, 취급도 비교적 간단하다. 그러나, 분위기의 온도 변화, 습도 변화, 혼재하는 기타 가스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센서 단독으로는 상기와 같은 분위기에 포함된 미량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검출에는 사용할 수 없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가장 고감도로 가스종을 검출할 수 있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방식 가스 센서는 온도, 습도, 기타 가스 등의 변동 요인의 영향을 배제한 분위기 조건하에서는 ppb(십억분의 일) 수준의 휘발성 성분을 검출할 수 있다.
소형이며, 저렴한 가격으로, 휘발성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취급도 비교적 간단한 가스 센서를 사용하고, 분위기 중에 상당한 량의 냄새 성분이 포함된 공장이나 처리 시설의 공정에 설치해도 간단한 조작으로, 원수 등의 액체에 포함된 휘발성 용해물을 적극적으로 휘발시켜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가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상기 검출 장치는, 상부에 공간을 남겨서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수용 가능한 검출용 용기와, 검출용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에 기포를 취입 가능한 노즐과, 노즐에 취입용 가압 기체를 공급 가능한 가압 기체 공급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검출용 용기의 상부와 연통되는 연통로에, 휘발성 성분을 검출 가능한 센서의 검지부를 위치시키고, 검출용 용기의 액체에서 휘발한 휘발성 성분을 연통로에 도입해서 센서로 검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검출 장치로는, 휘발성 성분을 일정 조건하에서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도록, 미리 계량한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검출용 용기에 넣고, 상기 거의 일정량의 액체로부터 휘발한 휘발성 성분을 센서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평 11-83701호
공장이나 처리 시설 등의 액체를 취급하는 현장에서는, 특별한 숙련 없이도, 필요에 따라, 휘발성 성분을 간편하게 검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검출 장치로는, 미리 계량한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검출용 용기에 넣어서 검출하므로, 검출 담당자에 따라서는, 검출용 용기에 넣는 액체의 량이 많거나 또는 적어서, 휘발성 성분을 일정 조건하에서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별한 숙련 없이도, 필요에 따라, 휘발성 성분을 일정 조건하에서 간편하면서,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 구성은, 상부에 공간을 남겨서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수용 가능한 검출용 용기와, 상기 검출용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에 기포를 취입(吹入) 가능한 노즐과, 상기 노즐에 취입용 가압 기체를 공급 가능한 가압 기체 공급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용 용기의 상부와 연통하는 연통로에, 휘발성 성분을 검출 가능한 센서의 검지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검출용 용기의 액체로부터 휘발한 휘발성 성분을 상기 연통로에 도입해서,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용기,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에 공급 가능한 공급 기구, 및 상기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는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로부터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시키는 오버플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작용 및 효과]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용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액체 용기의 액체를 검출용 용기에 공급 가능한 공급 기구와,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는 액체를 검출용 용기로부터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시키는 오버플로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액체 용기의 액체를 공급 기구에 의해 검출용 용기에 공급하고, 그 액체가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여 검출용 용기에 공급되면, 상기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는 액체가 검출용 용기로부터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되고, 검출용 용기에는,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계량하지 않고,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검출용 용기에 넣을 수 있으며, 특별한 숙련이 없어도, 필요에 따라, 휘발성 성분을 일정 조건하에서 간편하면서 높은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검출용 용기에 오버플로 관을 연통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오버플로 기구가 구성되며, 상기 오버플로 관을 개폐 가능한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다.
[작용 및 효과]
검출용 용기에 오버플로 관을 연통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오버플로 기구가 구성됨으로써,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는 액체를, 검출용 용기로부터 오버플로 관을 통해서,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시킬 수 있다.
또한, 오버플로 관을 개폐 가능한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거의 일정량의 액체가 검출용 용기에 유입된 후에는, 용기 외부의 분위기가 오버플로 관을 통해서 검출용 용기에 침입하지 않도록, 오버플로 관을 닫을 수 있으므로, 휘발성 성분을 더욱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검출용 용기의 하단부에, 상기 액체 용기로부터 상기 검출용 용기까지의 액체 공급로와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배출로를 선택적으로 연통 접속시킬 수 있는 밸브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작용 및 효과]
검출용 용기의 하단부에 액체 용기로부터 검출용 용기까지의 액체 공급로와,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배출로를 선택적으로 연통 접속시킬 수 있는 밸브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액체 용기로부터 검출용 용기로 액체를 공급할 때는, 액체 공급로를 검출용 용기의 하단부와 연통 접속시켜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검출용 용기의 액체를 용기 외부로 배출할 때는, 액체 배출로를 검출용 용기의 하단부와 연통 접속시켜서 배출할 수 있어서, 검출용 용기에 대한 액체의 공급과 배출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증류수나 이온 교환수 등의 순수의 액체 용기로부터 검출용 용기까지의 액체 공급로와,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배출로를, 검출용 용기의 하단부와 선택적으로 연통 접속 가능한 밸브 기구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순수를 검출용 용기에 공급한 후, 그 물을 배출함으로써, 검출용 용기를 간편하게 세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공급 기구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액체 용기에 상기 가압 기체를 공급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 기체 공급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가압 기체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액체 용기에 가압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에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작용 및 효과]
공급 기구의 구성에 있어서, 검출용 용기의 액체에 기포를 취입 가능한 노즐에 취입용 가압 기체를 공급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가압 기체 공급 장치를 활용하고, 상기 가압 기체 공급 장치를 액체 용기에 가압 기체를 공급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압 기체 공급 장치로부터 액체 용기에 가압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를 검출용 용기에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급 기구의 구조를 간략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은, 참조용 액체로부터 휘발한 참조용 휘발성 성분을 상기 센서에 의하여 검출한 결과와, 피검 액체로부터 휘발한 피검 휘발성 성분을 상기 센서에 의하여 검출한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피검 액체 중의 휘발성 용해물을 검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작용 및 효과]
참조용 액체로부터 휘발한 참조용 휘발성 성분을 센서에 의하여 검출한 결과와, 피검 액체로부터 휘발한 피검 휘발성 성분을 센서에 의하여 검출한 결과를 비교하고, 피검 액체중의 휘발성 용해물을 검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참조용 액체에 용해되어 있는 휘발성 용해물 이외의 휘발성 용해물이, 피검 액체에 용해되어 있는 것이나, 참조용 액체에 용해되어 있는 휘발성 용해물과 같은 휘발성 용해물이 피검 액체에 용해되어 있어도, 그 량이 참조용 액체에 비하여 많은 것 등을, 정성적으로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 구성은, 상기 검출용 용기는, 상기 참조용 액체의 거의 일정량과 상기 피검 액체의 거의 일정량을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작용 및 효과]
검출용 용기가, 참조용 액체의 거의 일정량과 피검 액체의 거의 일정량을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참조용 액체나 피검 액체도, 거의 동일하게 일정량으로 검출용 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구조의 간략화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 구성은, 상기 참조용 액체를 수용 가능한 참조용 액체 용기와, 상기 피검 액체를 수용 가능한 피검 액체 용기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공급 기구는, 상기 참조용 액체 용기의 참조용 액체와, 상기 피검 액체 용기의 피검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에 선택적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작용 및 효과]
참조용 액체를 수용 가능한 참조용 액체 용기와, 피검 액체를 수용 가능한 피검 액체 용기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고, 공급 기구는, 참조용 액체 용기의 참조용 액체와, 피검 액체 용기의 피검 액체를, 검출용 용기에 선택적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참조용 액체 용기에 참조용 액체를 수용해 두고, 피검 액체 용기에 피검 액체를 수용해 두면, 검출 담당자에 의한 조작이 특별히 필요 없이, 참조용 액체나 피검 액체도, 거의 동일한 일정량으로 검출용 용기에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 구성은, 상부에 공간을 남겨서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수용 가능한 검출용 용기와, 상기 검출용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에 기포를 취입 가능한 노즐과, 상기 노즐에 취입용 가압 기체를 공급 가능한 가압 기체 공급 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검출용 용기의 상부와 연통되는 연통로에, 휘발성 성분을 검출 가능한 센서의 검지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검출용 용기의 액체로부터 휘발한 휘발성 성분을 상기 연통로에 도입해서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용기와,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에 공급 가능한 공급 기구를 사용하고, 상기 액체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상기 공급 기구에 의하여 상기 검출용 용기에 공급하고, 상기 검출용 용기에 공급한 액체가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면, 상기 거의 일정량을 초과한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로부터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작용 및 효과]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용기와, 액체 용기의 액체를 검출용 용기에 공급 가능한 공급 기구를 사용하고, 액체 용기에 수용한 액체를 공급 기구에 의하여 검출용 용기에 공급하고, 검출용 용기에 공급한 액체가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면, 상기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는 액체를 검출용 용기로부터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시키므로, 공급 기구에 의한 검출용 용기에의 액체의 공급량이 거의 일정량을 초과해도, 검출용 용기에는,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계량하지 않고,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검출용 용기에 넣을 수 있고, 특별한 숙련 없이도, 필요에 따라, 휘발성 성분을 일정 조건하에서 간편하면서, 높은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도 1∼도 12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의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검출용 용기 2: 참조용 액체 용기 3: 피검 액체 용기
4: 노즐 5: 연통로 8: 오버플로 관
A: 참조용 액체 B: 피검 액체 C: 공간
D: 공급 기구 E: 오버플로 기구
F2: 액체 배출 관로 G1, G2: 액체 공급 관로
H: 밸브 기구 L: 가압 기체 공급 장치
S: 센서 V2: 밸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를 나타낸다. 상부에 공간(C)을 남겨서, 증류수 등의 참조용 액체(A) 거의 일정량, 또는, 휘발성 용해물을 검출해야 할 피검 액체(B) 거의 일정량을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한 하나의 검출용 용기(1)와, 참조용 액체(A)를 수용 가능한 참조용 액체 용기(2)와, 피검 액체(B)를 수용 가능한 피검 액체 용기(3)가 밀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과 함께, 상기 검출 장치에는, 참조용 액체 용기(2)의 참조용 액체(A)와 피검 액체 용기(3)의 피검 액체(B)를 검출용 용기(1)에 선택적으로 공급 가능한 공급 기구(D)와,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는 참조용 액체(A) 또는 피검 액체(B)를 검출용 용기(1)로부터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시키는 오버플로 기구(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검출용 용기(1)에는, 검출용 용기(1)에 수용되어 있는 참조용 액체(A) 또는 피검 액체(B)로 기포를 취입 가능한 버블링용 다공질 유리 공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즐(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용 용기(1)의 상부에 연통되는 상부 연통 관로(5)에, 휘발성 성분을 검출 가능한 가스 센서(S)의 검지부를 위치시키는 동시에, 가스 센서(S)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6)와, 가스 센서(S)에 의한 검출 데이터를 처리해서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부(7)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용 용기(1)의 참조용 액체(A)나 피검 액체(B)로부터 휘발한 휘발성 성분을 상부 연통 관로(5)에 도입해서 가스 센서(S)에 의해 검출하고, 참조용 액체(A)로부터 휘발한 참조용 휘발성 성분의 가스 센서(S)에 의한 검출 결과와, 피검 액체(B)로부터 휘발한 피검 휘발성 성분의 가스 센서(S)에 의한 검출 결과를 비교하여, 피검 액체(B) 중의 휘발성 용해물을 검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연통 관로(5)는, 상기 관로 중에 제1 삼방향 밸브(V1)가 설치되어 있으며, 검지부가 위치하는 제1 연통 관로(5a)를 검출용 용기(1) 측의 제2 연통 관로(5b)와 연통시키는 상태와, 제2 연통 관로(5b)를 닫아서 제1 연통 관로(5a)를 용기 외부와 연통시키거나, 제2 연통 관로(5b)를 닫아서 제1 연통 관로(5a)와 용기 외부와의 연통도 차단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버플로 기구(E)는, 검출용 용기(1)에 오버플로 관(8)을 연통 접속시키고,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는 참조용 액체(A) 또는 피검 액체(B)를, 오버플로 관(8)을 통해서, 검출용 용기(1)로부터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 기구(E)는, 상기 오버플로 관(8)과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제1 드레인 배출 관로(F1)를 제2 삼방향 밸브(V2)를 개재시켜서 접속되어 있으며, 제1 드레인 배출 관로(F1)를 오버플로 관(8)과 연통 접속시키는 상태와, 오버플로 관(8)을 닫아서 제1 드레인 배출 관로(F1)를 용기 외부와 연통 접속시키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급 기구(D)는, 참조용 액체 용기(2)로부터 검출용 용기(1)까지의 참조용 액체 공급 관로(G1)와, 피검 액체 용기(3)로부터 검출용 용기(1)까지의 피검 액체 공급 관로(G2)와,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제2 드레인 배출 관로(액체 배출로, F2)를, 검출용 용기(1)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하부 연통 관로(9)에 선택적으로 연통 접속 가능한 액체용 밸브 기구(H)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용 액체 공급 관 로(G1)의 시단부(始端部)를 참조용 액체 용기(2)의 저면 가까이에 설치하고, 피검 액체 공급 관로(G2)의 시단부를 피검 액체 용기(3)의 저면 가까이에 설치하여, 액체용 밸브 기구(H)의 밸브 전환 조작으로, 가압 공기(가압 기체의 일례)에 의해 가압된 참조용 액체 용기(2)의 참조용 액체(A)와, 가압 공기에 의해 가압된 피검 액체 용기(3)의 피검 액체(B)를, 하부 연통 관로(9)를 통해서 검출용 용기(1)에 선택적으로 압출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급 기구(D)는, 검출용 용기(1)의 액체를 제2 드레인 배출 관로(F2)를 통해서 용기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액체용 밸브 기구(H)는, 참조용 액체 공급 관로(G1)와 피검 액체 공급 관로(G2)를 제1 중간 공급 관로(J1)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3 삼방향 밸브(V3)와, 제1 중간 공급 관로(J1)와 제2 드레인 배출 관로(F2)를 제2 중간 공급 관로(J2)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4 삼방향 밸브(V4)와, 검출용 용기(1)의 하부 연통 관로(9)와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제3 드레인 배출 관로(F3)를 제2 중간 공급 관로(J2)와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5 삼방향 밸브(V5)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 등을 통과한 청정 공기를 컴프레서 등으로 가압 압축해서 공기 탱크(10)에 저장해 두고, 그 공기 탱크(10)의 가압 공기를 노즐(4)이나 각 액체 용기(2, 3)에 공급하기 위한 가압 공기 공급 기구(K)를 구비한 가압 공기 공급 장치(L)가 설치되며, 노즐(4)에 취입용 가압 공기(가압 기체의 일례)를 공급하거나, 가압 공기를 참조용 액체 용기(2)나 피검 액체 용기(3)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 어 있다.
상기 가압 공기 공급 기구(K)는, 공기 탱크(10)에 접속되어 있는 공기 공급관(M)은 노즐(4)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 공급관(M1)과, 참조용 액체 용기(2)와 피검 액체 용기(3)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 공급관(M2)으로 분지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공기 공급관(M1, M2)의 각각에는, 니들 밸브(11)과 유량계(12)가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가압 공기 공급 기구(K)는, 상기 노즐(4)에 접속되어 있는 노즐측 공기관(13)과 제1 공기 공급관(M1)이 제6 삼방향 밸브(V6)를 개재시켜서 접속되어 있으며, 제1 공기 공급관(M1)을 노즐측 공기관(13)과 연통 접속시키는 상태와, 노즐측 공기관(13)을 닫아서 제1 공기 공급관(M1)으로부터의 가압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동시에 제1 공기 공급관(M1)과 용기 외부와의 연통도 차단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참조용 액체 용기(2)의 상부 공간과 피검 액체 용기(3)의 상부 공간에 분지 접속되어 있는 용기측 공기관(14)과 제2 공기 공급관(M2)은 제7 삼방향 밸브(V7)를 개재시켜서 접속되어 있으며, 용기측 공기관(14)을 제2 공기 공급관(M2)과 연통 접속시키는 상태와, 제2 공기 공급관(M2)을 닫아서 용기측 공기관(14)을 용기 외부와 연통 접속시키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공기 공급관(M1, M2)의 각각에, 하류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니들 밸브(11)와 유량계(12)를 접속시켜도 된다.
상기 가스 센서(S)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방식 가스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검지부(센싱 소자)는, 산화주석(SnO2) 등의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주성분으로 하여 거의 구형으로 형성된 소위 소결체형 가스 감지체를 가지며, 이러한 가스 감지체 내에 코일형 백금으로 이루어진 히터 겸용 전극이 매설되며, 히터 겸용 전극의 코일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귀금속선으로 이루어지는 저항 검출용 전극을 가스 감지체 내에 매설하여 형성되어 있다. 센서 제어부(6)는, 센싱 소자의 히터 겸용 전극의 가열을 제어한다. 데이터 처리부(7)는, 가스 감지체의 저항 변화로부터 휘발성 성분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 감지체는, 주성분인 산화 주석에 대하여 팔라듐(Pd)을 1.5wt% 담지하여 형성되었다. 상기 가스 감지체는, 염화주석(SnCl4) 수용액을 암모니아(NH3)로 가수분해하여 주석산 졸을 제조하고, 얻어진 주석산 졸을 공기 건조 후에 공기중에서, 예를 들면 500℃에서 1시간 소성하고, 팔라듐의 왕수용액을 함침시키고, 예를 들면, 500℃의 공기중에서 1시간 소성하여, 팔라듐을 담지시켰다. 팔라듐을 담지시킨 산화주석에 골재로서, 예를 들면, 1000메쉬의 알루미나를 등량 혼합하고, 또한 테르피네올을 첨가해서 페이스트상으로 한 후, 히터 겸용 전극 및 저항 검출용 전극에 도포하고, 예를 들면, 500℃의 공기중에서 1시간 소성하여 형성했다.
그리고, 검출용 용기(1)나 참조용 액체 용기(2), 피검 액체 용기(3), 및, 오버플로 관(8)이나 각종 관로(5, 9, F1∼F3, G1, G2, J1, J2), 각종 공기관(13, 14), 공기 공급관(M, M1, M2) 등은, 검출하기 위한 휘발성 성분이 흡착되지 않는 재질, 예를 들면 유리나 테프론(등록 상표)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검출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참조용 액체 용기(2)에는 순수 등의 참조용 액체(A)를 넣고, 피검 액체 용기(3)에는 피검 액체(B)를 넣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제7 삼방향 밸브(V1∼V7)를 전환한다. 즉, 제2 삼방향 밸브(V2)는, 오버플로 관(8)과 제1 드레인 배출 관로(F1)가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제3∼5 삼방향 밸브(V3∼5)는, 참조용 액체 용기(2)와 비어있는 검출용 용기(1)를, 참조용 액체 공급 관로(G1)와 제1 중간 공급 관로(J1)와 제2 중간 공급 관로(J2)와 하부 연통 관로(9)를 개재시켜서 연통시킨다. 제1 삼방향 밸브(V1)는, 제1 연통 관로(5a)와 제2 연통 관로(5b)의 연통을 차단한다. 제6 삼방향 밸브(V6)는, 제1 공기 공급관(M1)과 노즐측 공기관(13)의 연통을 차단한다. 제7 삼방향 밸브(V7)는, 제2 공기 공급관(M2)과 용기측 공기관(14)의 연통을 차단한다.
이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측 공기관(14)이 제2 공기 공급관(M2)과 연통되도록 제7 삼방향 밸브(V7)를 전환해서 참조용 액체 용기(2)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고, 참조용 액체(A)를 검출용 용기(1)에 공급한다. 잉여의 참조용 액체(A)는 오버플로 관(8)으로부터 오버플로시키고, 상부에 공간(C)을 남기고, 거의 일정량의 참조용 액체(A)를 검출용 용기(1)에 수용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중간 공급 관로(J2)가 제2 드레인 배출 관로(F2)와 제3 드레인 배출 관로(F3)와 연통되도록 제4, 제5 삼방향 밸브(V4, V5)를 전환하고, 참조용 액체 용기(2)와 검출용 용기(1)의 연통을 차단한다. 이와 함께, 용기측 공기관(14)이 용기 외부와 연통되도록 제7 삼방향 밸브(V7)를 전환하 고, 참조용 액체 용기(2)에 대한 가압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또한, 버블링시의 검출용 용기(1) 내의 참조용 액체(A)의 액량을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노즐측 공기관(13)이 제1 공기 공급관(M1)과 연통되도록 제6 삼방향 밸브(V6)를 전환하고, 검출용 용기(1) 내의 참조용 액체(A)가 오버플로 관(8)으로부터 흘러넘쳐서 나오도록 기포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플로 관(8)과 제1 드레인 배출 관로(F1)의 연통을 차단해서 오버플로 관(8)을 닫을 수 있도록, 제2 삼방향 밸브(V2)를 전환한다. 또한, 제1 연통 관로(5a)와 제2 연통 관로(5b)가 연통되도록 제1 삼방향 밸브(V1)를 전환하고, 노즐(4)로부터의 버블링에 의하여 참조용 액체(A)로부터 휘발한 참조용 휘발성 성분을 상부 연통 관로(5)에 도입한다. 가스 센서(S)에 의해 참조용 휘발성 성분을 검출하고, 이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7)로 처리하고, 그 검출 결과를 메모리 등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액정 모니터 등에 표시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통 관로(5a)와 제2 연통 관로(5b)의 연통이 차단되도록 제1 삼방향 밸브(V1)를 전환하고, 제2 연통 관로(5b)를 차단한다. 또한, 하부 연통 관로(9)가 제2 중간 공급 관로(J2)와 연통되도록 제5 삼방향 밸브(V5)를 전환하고, 검출용 용기(1) 내의 참조용 액체(A)를 제2 드레인 배출 관로(F2)를 통해서 용기 외부로 배출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플로 관(8)과 제1 드레인 배출 관로(F1)가 연통되도록 제2 삼방향 밸브(V2)를 전환한다. 또한, 피검 액체 용기(3)와 비어있는 검출용 용기(1)가, 피검 액체 공급 관로(G2)와 제1 중간 공급 관 로(J1)와 제2 중간 공급 관로(J2)와 하부 연통 관로(9)를 개재시켜서 연통되도록 제3, 제4 삼방향 밸브(V3, V4)를 전환한다. 또한, 노즐측 공기관(13)과 제1 공기 공급관(M1)의 연통이 차단되도록 제6 삼방향 밸브(V6)를 전환한다. 또한, 용기측 공기관(14)이 제2 공기 공급관(M2)과 연통되도록 제7 삼방향 밸브(V7)를 전환하고, 피검 액체 용기(3)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여, 피검 액체(B)를 검출용 용기(1)에 공급한다. 잉여 피검 액체(B)는 오버플로 관(8)으로부터 오버플로시키고, 거의 일정량의 피검 액체(B)를 검출용 용기(1)에 수용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중간 공급 관로(J2)가 제2 드레인 배출 관로(F2)와 제3 드레인 배출 관로(F3)와 연통되도록 제4, 제5 삼방향 밸브(V4, V5)를 전환하고, 피검 액체 용기(3)와 검출용 용기(1)의 연통을 차단한다. 이와 함께, 용기측 공기관(14)이 용기 외부와 연통되도록 제7 삼방향 밸브(V7)를 전환하고, 피검 액체 용기(3)에 대하여 가압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또한, 버블링시의 검출용 용기(1) 내의 피검 액체(B)의 액량을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노즐측 공기관(13)이 제1 공기 공급관(M1)과 연통되도록 제6 삼방향 밸브(V6)를 전환하고, 검출용 용기(1) 내의 피검 액체(B)가 오버플로 관(8)으로부터 흘러넘쳐서 나오도록 기포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조용 액체 용기(2)와 제3 드레인 배출 관로(F3)가 연통되도록 제3, 제4 삼방향 밸브(V3, V4)를 전환한다. 또한, 용기측 공기관(14)이 제2 공기 공급관(M2)과 연통되도록 제7 삼방향 밸브(V7)를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 참조용 액체 용기(2)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고, 참조용 액체(A)를 제1 중간 공급 관로(J1)와 제2 중간 공급 관로(J2)를 통하여, 제3 드레인 배출 관로(F3)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제1 중간 공급 관로(J1)와 제2 중간 공급 관로(J2)를 세정하고, 잔존하는 피검 액체(B)를 배출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중간 공급 관로(J2)가 제2 드레인 배출 관로(F2)와 제3 드레인 배출 관로(F3)와 연통되도록 제4 삼방향 밸브(V4)를 전환하고, 참조용 액체 용기(2)와 제3 드레인 배출 관로(F3)의 연통을 차단한다. 이와 함께, 용기측 공기관(14)이 용기 외부와 연통되도록 제7 삼방향 밸브(V7)를 전환하고, 참조용 액체 용기(2)에 대한 가압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오버플로 관(8)과 제1 드레인 배출 관로(F1)의 연통을 차단하고, 오버플로 관(8)을 닫을 수 있도록 제2 삼방향 밸브(V2)를 전환한다. 또한, 제1 연통 관로(5a)와 제2 연통 관로(5b)가 연통되도록 제1 삼방향 밸브(V1)를 전환하고, 노즐(4)로부터의 버블링에 의하여 피검 액체(B)로부터 휘발한 피검 휘발성 성분을 상부 연통로(5)에 도입한다. 그리고, 가스 센서(S)로 검출한 피검 휘발성 성분의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7)로 처리하고, 그 검출 결과를 메모리 등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액정 모니터 등에 표시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통 관로(5a)와 제2 연통 관로(5b)의 연통이 차단되도록 제1 삼방향 밸브(V1)를 전환하고, 제2 연통 관로(5b)를 차단한다. 또한, 하부 연통 관로(9)가 제2 중간 공급 관로(J2)와 연통되도록 제5 삼방향 밸브(V5)를 전환하고, 검출용 용기(1) 중의 피검 액체(B)를 제2 드레인 배출 관로(F2)를 통해서 용기 외부로 배출한다.
이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플로 관(8)과 제1 드레인 배출 관로(F1)가 연통되도록 제2 삼방향 밸브(V2)를 전환한다. 또한, 참조용 액체 용기(2)와 비어있는 검출용 용기(1)가, 참조용 액체 공급 관로(G1)와 제1 중간 공급 관로(J1)와 제2 중간 공급 관로(J2)와 하부 연통 관로(9)를 개재시켜서 연통되도록 제4 삼방향 밸브(V4)를 전환하고, 참조용 액체 용기(2)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여, 참조용 액체(A)를 검출용 용기(1)에 공급한다. 이어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플로 관(8)과 제1 드레인 배출 관로(F1)의 연통이 차단되도록 제2 삼방향 밸브(V2)를 전환한다. 이와 함께, 하부 연통 관로(9)가 제2 드레인 배출 관로(F2)와 연통되도록 제4 삼방향 밸브(V4)를 전환하고, 검출용 용기(1) 내의 참조용 액체(A)를 제2 드레인 배출 관로(F2)를 통해서 용기 외부로 배출한다. 이들의 동작을 복수회(2∼3회) 반복해서 검출용 용기(1) 내부를 세정한다.
이어서, 도 1∼도 4에 나타낸 순서로, 참조용 액체(A)에 대해서, 다시, 참조용 휘발성 성분을 가스 센서(S)로 검출하고, 그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7)로 처리하고, 그 검출 결과를 메모리 등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액정 모니터 등에 표시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7)에서, 피검 휘발성 성분의 검출 데이터와, 그 피검 휘발성 성분의 검출의 전후로 검출한 참조용 휘발성 성분의 검출 데이터를 비교하여, 피검 액체(B)에 용해되어 있는 휘발성 용해물의 유무나 용해량을 산출하고, 그 유무나 용해량을 액정 모니터 등에 표시한다.
[기타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는, 미량의 미네랄 워터나 청량 음료 등의 원수에서, 이취나 착향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검출하거나, 하수도 처리 시설이나 각종 공장에서의 폐수 중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는, 센서로서, 열선 방식 가스 센서나 고체 전해질 방식 가스 센서, 적외선 방식 가스 센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3.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는,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는 액체를 검출용 용기의 상부 개구로부터 공급해서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시키는 오버플로 기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4.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는, 참조용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용기와, 그 액체 용기의 참조용 액체만을 수용하는 검출용 용기를 조합하고, 피검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용기와, 그 액체 용기의 피검 액체만을 수용하는 검출용 용기를 조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5.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는, 단일 액체 용기와, 상기 단일 액체 용기의 액체만을 검출용 용기에 공급 가능한 공급 기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참조용 휘발성 성분의 검출 결과와 피검 휘발성 성분의 검출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액체 용기를 참조용 액체와 피검 액체를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설치하거나, 액체 용기에 참조용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검출 장치와, 액체 용기에 피검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검출 장치로 이루어진 2기의 검출 장치를 사용하여, 피검 액체 중의 휘발성 용해물을 검출할 수 있다.
6.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는, 실시예에서 나타낸 제1∼ 제7 삼방향 밸브(V1∼V7)를 수동 조작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에서 나타낸 공급 기구(D)와 오버플로 기구(E)와 가압 공기 공급 기구(K)가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제1∼제7 삼방향 밸브(V1∼V7)의 전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7.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는, 참조용 액체 용기에, 참조용 액체로서, 순수나 활성탄 등의 악취 성분의 흡착재에 의해 흡착 처리된 피검 액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착 처리된 피검 액체를 참조용 액체로서 이용할 경우에는, 피검 액체를 흡착재와 함께 참조용 액체 용기에 수용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활성탄 등에 통과시켜서 흡착 처리시킨 후의 피검 액체를 참조용 액체 용기에 수용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는, 휘발성 성분을 일정 조건하에서 간편하면서,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 가능하다. 따라서, 미량의 미네랄 워터나 청량 음료 등의 원수에서, 이취나 착향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검출하거나, 하수도 처리 시설이나 각종 공장에서의 폐수 중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상부에 공간을 남겨서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수용 가능한 검출용 용기와, 상기 검출용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에 기포를 취입(吹入) 가능한 노즐과, 상기 노즐에 취입용 가압 기체를 공급 가능한 가압 기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용 용기의 상부와 연통하는 연통로에, 휘발성 성분을 검출 가능한 센서의 검지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검출용 용기의 액체로부터 휘발한 휘발성 성분을 상기 연통로에 도입해서,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용기;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에 공급 가능한 공급 기구; 및
    상기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는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로부터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시키는 오버플로 기구
    를 포함하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용기에 오버플로 관을 연통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오버플로 기구가 구성되며, 상기 오버플로 관을 개폐 가능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용기의 하단부에, 상기 액체 용기로부터 상기 검출용 용기까지의 액체 공급로와 용기 외부와 연통되는 액체 배출로를 선택적으로 연통 접속시킬 수 있는 밸브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기구는,
    상기 액체 용기에 상기 가압 기체를 공급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 기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기체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액체 용기에 가압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에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참조용 액체로부터 휘발한 참조용 휘발성 성분을 상기 센서에 의하여 검출한 결과와, 피검 액체로부터 휘발한 피검 휘발성 성분을 상기 센서에 의하여 검출한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피검 액체 중의 휘발성 용해물을 검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용기는, 상기 참조용 액체의 거의 일정량과 상기 피검 액체의 거의 일정량을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용 액체를 수용 가능한 참조용 액체 용기와, 상기 피검 액체를 수용 가능한 피검 액체 용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공급 기구는, 상기 참조용 액체 용기의 참조용 액체와, 상기 피검 액체 용기의 피검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에 선택적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8. 상부에 공간을 남겨서 거의 일정량의 액체를 수용 가능한 검출용 용기와, 상기 검출용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에 기포를 취입 가능한 노즐과, 상기 노즐에 취입용 가압 기체를 공급 가능한 가압 기체 공급 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검출용 용기의 상부와 연통되는 연통로에, 휘발성 성분을 검출 가능한 센서의 검지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검출용 용기의 액체로부터 휘발한 휘발성 성분을 상기 연통로에 도입해서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용기와,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에 공급 가능한 공급 기구를 사용하고, 상기 액체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상기 공급 기구에 의하여 상기 검출용 용기에 공급하고, 상기 검출용 용기에 공급된 액체가 거의 일정량을 초과하면, 상기 거의 일정량을 초과한 액체를 상기 검출용 용기로부터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방법.
KR1020067027689A 2004-07-02 2005-06-30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KR20070026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7086 2004-07-02
JP2004197086A JP4194982B2 (ja) 2004-07-02 2004-07-02 揮発性溶解物の検出装置と検出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684A true KR20070026684A (ko) 2007-03-08

Family

ID=3578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689A KR20070026684A (ko) 2004-07-02 2005-06-30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45208B2 (ko)
EP (1) EP1767919A4 (ko)
JP (1) JP4194982B2 (ko)
KR (1) KR20070026684A (ko)
CN (1) CN1981185A (ko)
AU (1) AU2005258447B2 (ko)
TW (1) TW200617366A (ko)
WO (1) WO20060039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00063A (zh) * 2005-09-21 2008-11-05 斯达克公司 沥青反应器和混合系统
GB0606976D0 (en) * 2006-04-07 2006-05-17 Kelman Lt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solved gas analysis
WO2013051605A1 (ja) * 2011-10-03 2013-04-11 独立行政法人海洋研究開発機構 水生生物の飼育システムとその飼育方法
JP6597043B2 (ja) * 2015-08-19 2019-10-30 東亜ディーケーケー株式会社 反応槽ユニット、ガス化装置、前処理装置および水銀計
US10337131B2 (en) * 2017-05-12 2019-07-02 Handi Quilter, Inc. Reconfigurable fabric frame for a maneuverable sewing machine
DE102017119439A1 (de) * 2017-08-24 2019-02-28 Khs Gmbh Verfahren zum Steuern der Menge eines auf einen Träger aufzubringenden Klebemittels
JP7180682B2 (ja) * 2018-09-28 2022-11-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測定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524136B (zh) * 2018-11-22 2022-05-20 西南石油大学 一种高能管断裂甩击行为的试验装置及方法
US11119011B2 (en) * 2019-02-12 2021-09-14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Method for extracting and detec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7912A (en) * 1956-06-01 1961-06-13 Mine Safety Appliance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gas dissolved in a liquid
US3740320A (en) * 1971-01-25 1973-06-19 R Arthur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gas absorbed or released by a substance
CA1095737A (en) * 1977-03-09 1981-02-17 Dennis J. C. Macourt Chemical analysis and mineral prospecting
US4740356A (en) * 1983-06-10 1988-04-26 The Perkin-Elmer Cor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a gaseous measuring sample for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FR2613247B1 (fr) * 1987-04-06 1991-08-30 Rhone Poulenc Chimie Appareil de detection et/ou de mesure par separation et changement de phase
JPH0754841Y2 (ja) 1990-01-16 1995-12-18 工業技術院長 試料液等の吸引補給及び加圧送出装置
DE4007064A1 (de) * 1990-03-07 1991-09-12 Bayer Ag Vorrichtung zur bestimmung fluechtiger stoffe in einer fluessigkeit
US5222032A (en) * 1990-10-26 1993-06-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material dissolved in a liquid
US5604297A (en) * 1991-02-19 1997-02-18 Seiden; Louis W. Degassing techniques applied to sealed containers for beverages, waste water and respirometers for bacteria
GB9206796D0 (en) * 1992-03-27 1992-05-13 Thames Water Utilite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dition of a biomass
JP2530416B2 (ja) * 1993-08-23 1996-09-04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発泡性液体の試料調製装置
JPH08105881A (ja) * 1994-10-04 1996-04-23 Shokuhin Sangyo Intelligence Control Gijutsu Kenkyu Kumiai 醤油諸味中のエタノール濃度の測定方法
JPH1183701A (ja) 1997-09-05 1999-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におい測定装置
JP3554761B2 (ja) 1998-05-19 2004-08-18 横河電機株式会社 水中臭気物質測定装置
CA2253690A1 (en) * 1998-11-09 2000-05-09 Fant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treatment of a medium by a gas
JP2001272321A (ja) * 2000-03-27 2001-10-05 Yokogawa Electric Corp 汚染除去機能付き分析計
JP4634720B2 (ja) * 2004-01-20 2011-02-1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ガス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58447B2 (en) 2011-03-17
EP1767919A4 (en) 2012-03-28
JP4194982B2 (ja) 2008-12-10
US20090188299A1 (en) 2009-07-30
WO2006003982A1 (ja) 2006-01-12
TW200617366A (en) 2006-06-01
AU2005258447A1 (en) 2006-01-12
JP2006017635A (ja) 2006-01-19
CN1981185A (zh) 2007-06-13
EP1767919A1 (en) 2007-03-28
US7845208B2 (en)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6684A (ko) 휘발성 용해물의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US9518900B2 (en) Sample preparation system for an analytical system for determining a measured variable of a liquid sample
CA1080664A (en) Apparatus for producing high-purity water
US10295458B2 (en) Analytical device for determining a digestion parameter of a liquid sample
US6998057B2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chlorine levels in an aqueous medium
US536881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rticles
US4260490A (en) Biomonitor to safeguard water purification process from toxicants
KR20190128624A (ko) 수질 측정 장치
US69304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detergent concentration in a decontamination process
KR20140139741A (ko) 시료 샘플링 장치, 시료 샘플링 방법 및 시료 샘플링 분석 시스템
US20170219537A1 (en) Real-time automatic analysis device for organic contaminant in water
US3689222A (en) Carbon dioxide monitor
US6397665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measuring foam forming compounds in aqueous solutions
US200100061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beverage syrup
KR20190128625A (ko) 수질 측정 장치
US8420013B1 (en) Total organic carbon measurement apparatus
JPH04501463A (ja) ビールの瓶詰め方法
US20050106062A1 (en) Method of guaranteeing at least one characteristic of a fluid used for producing food products
KR101118030B1 (ko)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US20220136939A1 (en) Tissue processing apparatus
US7276104B2 (en) Installation for producing products using a fluid
JPH09236566A (ja) pH簡易校正方法
JPS5949615A (ja) 補給制御装置
JPH0650874A (ja) プラスチック製ボトルのガスの透過度を測定する方法及 び装置
US200402614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gas contained in a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