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030B1 -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030B1
KR101118030B1 KR1020110047760A KR20110047760A KR101118030B1 KR 101118030 B1 KR101118030 B1 KR 101118030B1 KR 1020110047760 A KR1020110047760 A KR 1020110047760A KR 20110047760 A KR20110047760 A KR 20110047760A KR 101118030 B1 KR101118030 B1 KR 10111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measurement
water quality
nitroge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욱
전영관
Original Assignee
(주) 휴마스
주식회사 영인이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휴마스, 주식회사 영인이엘티 filed Critical (주) 휴마스
Priority to KR102011004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6Organic contamination in water
    • G01N33/1846Total carbon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도계와, 질소 측정기와, 총유기탄소 측정기와; 대장균 측정기와, 상기 탁도계, 질소 측정기, 총유기탄소 측정기 및 대장균 측정기가 각각 측정주기마다 탁도, 질소, 총유기탄소 및 대장균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탁도계를 통한 탁도 측정레벨이 설정된 정상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질소 측정기 및 총유기탄소 측정기가 즉시 질소 및 총유기탄소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탁도계의 탁도 측정레벨이 설정된 불량 기준치를 초과하면 질소 및 총유기탄소 측정없이 시료수를 곧바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수질측정결과에 따른 음용기준을 판정하되, 수질 측정에서 각 측정항목의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음용적합으로 판정하고, 각 측정항목 중 한 개 이상의 항목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즉시 음용부적합으로 판정하고, 음용부적합 판정 이후 수질 측정에서 각 측정항목의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로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음용주의로 판정하고, 수질통계에 따른 수질등급을 판정하되,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모두가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로서 적합인 경우 1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일정기준 이하인 경우 2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일정기준 이상이고 폐쇄기준 이하인 경우 3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특정기준 이상인 경우 폐쇄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Spring Water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먹는물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먹는 물이라 함은 먹는데 통상 사용하는 지하수, 약수, 먹는샘물 등 자연 상태의 물과 자연상태의 물을 먹는데 적합하게 처리한 수돗물이 있으며, 먹는물의 수질기준은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2조의 규정에 의하여 미생물에 관한 기준, 건강상 유해영향 무기물질에 관한 기준,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에 관한 기준, 소독제 및 소독부산물질에 관한 기준, 심미적 영향물질에 관한 기준 등이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생활용수란 지하수법에 의하여 관리되는 것으로 지하수를 가정용 및 가정용에 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말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농업용수, 어업용수, 공업용수로도 구분하고 있다.
한편,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약수터의 경우, 종래에는 약수의 수질이 양호하여 그대로 떠 마실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약수터 주변 환경의 오염으로 인해 취수 가능한 약수터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약수터 수질검사 통계에 따르면 전국 평균 약 10%의 약수가 음용 부적합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더불어, 약수터 관리 허술로 인해 이용자의 불신이 점차 증대되어 이용율이 감소됨에 따라 약수 수질 관리 방안의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약수터의 물은 수질을 매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수돗물과는 달리 주요 항목들에 대하여 3개월에 1회 주기적으로 채수하여 검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약수의 특성상 오염은 순식간에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약수가 오염되었어도 최장 3개월은 오염여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약수터에 정수장과 같이 고가의 자동분석기들을 설치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첫째로 정수장에 설치된 고가의 자동분석기들은 유지관리 인력이 항상 관리하여야 하며, 둘째로 매우 고가로 경제성이 없다. 주요 수질분석항목을 수시로 자동분석하여 약수의 오염여부를 즉시 판단하고 오염이 감지된 경우 음용을 중지시키며 정밀한 분석을 통해 약수터의 폐쇄, 개선 등의 조처를 할 수 있는 수질 감시 시스템이 필요하나 이러한 시스템은 아직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계적인 수질 관리를 통해 약수터 등에 대해 먹는물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은, 시료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계와, 시료수의 질소를 측정하는 질소 측정기와, 시료수의 총유기탄소를 측정하는 총유기탄소 측정기와; 시료수의 대장균을 측정하는 대장균 측정기와, 상기 탁도계, 질소 측정기, 총유기탄소 측정기 및 대장균 측정기가 각각 설정된 측정주기마다 시료수의 탁도, 질소, 총유기탄소 및 대장균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질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탁도계를 통한 탁도 측정레벨이 설정된 정상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질소 측정기 및 총유기탄소 측정기가 즉시 질소 및 총유기탄소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탁도계의 탁도 측정레벨이 설정된 불량 기준치(정상 기준치〈 불량 설정치)를 초과하면 질소 및 총유기탄소 측정없이 시료수를 곧바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수질측정결과에 따른 음용기준을 판정하되, 수질 측정에서 각 측정항목의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음용적합으로 판정하고, 각 측정항목 중 한 개 이상의 항목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즉시 음용부적합으로 판정하고, 음용부적합 판정 이후 수질 측정에서 각 측정항목의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로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음용주의로 판정하고, 수질통계에 따른 수질등급을 판정하되,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모두가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로서 적합인 경우 1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일정기준 이하인 경우 2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일정기준 이상이고 폐쇄기준 이하인 경우 3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특정기준 이상인 경우 폐쇄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판정 결과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정 결과를 외부 관리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대장균 측정기에서 대장균 측정을 마친 시료수를 수거하되 폐액수위를 계량하여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기능을 갖는 폐액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질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시약 잔량을 계량하여 시약부족에 따른 시험오류 및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시약 장치반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체계적인 수질 관리를 통해 먹는물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원성 대장균, 세균, 암모니아성 질소 항목은 측정하지 않고 탁도, 질소, 총유기탄소, 대장균 등 총 4항목만을 측정하여 수질 오염 정도를 경제적으로 감시할 수가 있다.
또한, 탁도 측정을 통해 수질 변동이 확인된 경우 정기 검사주기에 관계없이 곧바로 질소 및 총유기탄소를 측정하여 수질 오염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탁도 측정을 통해 수질 상태가 매우 악화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시료수를 질소, 총유기탄소 측정없이 곧바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수질 측정에 따른 판정 결과를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수질 측정에 따른 판정 결과를 외부 관리 센터로 무선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대장균 측정기에서 대장균 측정을 마친 시료수를 폐액통으로 안전하게 수거하여 처리함으로써, 배양된 대장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약 잔량을 수시로 계량하여 기준치 이하가 될 경우에는 즉시 시약을 보충함으로써, 시약부족에 따른 시험오류 및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먹는물의 신뢰도를 확보하여 이용자 증가 및 활성화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은 체계적인 수질 관리를 통해 먹는물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은 크게 탁도계(110), 질소 측정기(120), 총유기탄소 측정기(130), 대장균 측정기(140), 제어 모듈(150), 폐액통(160) 및 시약 장치반(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경제성과 운용성을 고려하여 분원성 대장균, 세균, 암모니아성 질소 항목은 측정하지 않고 탁도, 질소, 총유기탄소, 대장균 항목만을 측정하여 먹는물의 오염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도록 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분원성 대장균 항목은 대장균 측정으로 갈음하고, 암모니아성 질소 항목은 암모니아 질소가 시간이 경과하면 질소로 산화하므로 질소 측정으로 갈음한 것이다.
상기 탁도계(110)는 적외선을 시료수에 조사한 후 산란광의 강도를 측정하는 산란광 방식 뿐만 아니라 투과광 방식, 표면 산란광 방식 및 투과 산란광 방식 등을 이용하여 약수물 등의 시료수의 탁도를 측정하는데, 잔류물 및 오염 초기 상태 등을 판단한다. 상기 산란광 방식, 투과광 방식, 표면 산란광 방식 및 투과 산란광 방식은 공지기술이므로 여기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질소 측정기(120)는 특정 파장의 빛을 시료수에 조사하여 투과도를 측정하는 UV투과법 등을 이용하여 시료수의 질소를 측정한다. UV투과법은 공지기술이므로 여기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총유기탄소 측정기(130)는 과황산-UV산화법이나 On-line 연속측정법 등을 이용하여 시료수의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s)를 측정한다. 측정예를 살펴보자면, 시료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킨 후, 이산화탄소를 IR센서로 측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총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법에 따라 약품통(131),(132)에서 총유기탄소 측정기(130)로 순서대로 약품(시약) 즉, 인산 및 과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또한 밸브1(10)를 거쳐 공기를 투입하여 이산화탄소 가스를 생성시키고, 생성한 이산화탄소 가스를 건조기(133)로 건조 처리한 후, 비분산 적외선 센서(Non-dispersive infrared absorption)(134)에서 총유기탄소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황산-UV산화법이나 On-line 연속측정법은 공지기술이므로 여기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대장균 측정기(140)는 분석시약으로서 배지(먹이)와 발색제를 이용하는 효소발색법 등을 이용하여 시료수의 대장균을 측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대장균을 측정하기 위하여 약품통(141),(142)에서 대장균 측정기(140)로 약품 즉, 배지 및 발색효소를 투입하여 시료수가 배양기(144)에서 일정 온도로 배양된 상태에서 대장균을 측정한다. 대장균 측정이 끝나면 다음 시험을 위해 살균 세척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세척 공정을 살펴보면, 약품통(143)에서 대장균 측정기(140)로 세정액을 투입하는 약품 소독과 투입된 세정액을 고온(90℃ 정도)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고온 살균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효소발색법은 공지기술이므로 여기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 모듈(150)은 상기 탁도계(110), 질소 측정기(120), 총유기탄소 측정기(130) 및 대장균 측정기(140)가 각각 설정된 정기 측정주기마다 시료수의 탁도, 질소, 총유기탄소 및 대장균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탁도는 10분, 상기 질소 및 총유기탄소는 4시간, 상기 대장균은 24시간 정도로 검사주기를 설정하여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측정 주기는 필요 시 조정 가능하다. 수질 변동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정기 측정주기마다 측정을 실시하게 된다. 이 경우 불필요한 측정을 실시하지 않고 정기 측정주기에만 측정을 실시하므로 탁도계(110), 질소 측정기(120), 총유기탄소 측정기(130) 및 대장균 측정기(140)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 모듈(150)은 상기 탁도계(110)를 통한 탁도 측정레벨이 설정된 정상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질소 측정기(120) 및 총유기탄소 측정기(130)가 즉시 질소 및 총유기탄소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수질이 변동되어 탁도가 정상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이므로 수질 상태를 곧바로 파악하기 위해 질소 및 총유기탄소를 즉시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0)은 상기 탁도계(110)의 탁도 측정레벨이 설정된 불량 기준치(정상 기준치〈 불량 기준치)를 초과하면 질소 및 총유기탄소 측정없이 시료수를 곧바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탁도가 불량 기준치를 초과하여 굉장히 불량한 상태로서 탁도 측정만으로도 수질 상태가 매우 악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질소 측정기(120), 총유기탄소 측정기(130)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질소 및 총유기탄소 측정을 실시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150)은 수질측정결과에 따른 음용기준을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기 측정에서 각 측정항목의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음용적합으로 판정하고, 각 측정항목 중 한 개 이상의 항목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즉시 음용부적합으로 판정하고, 음용부적합 판정 이후 정기 측정에서 각 측정항목의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로서 일정시간(예컨대, 25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음용주의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음용기준 판정 기준은 운용 결과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0)은 수질통계에 따른 수질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정기간(예컨대, 3개월) 동안 각 측정항목 모두가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로서 적합인 경우 1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일정기준 이하인 경우 2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일정기준 이상이고 폐쇄기준 이하인 경우 3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특정기준 이상인 경우 폐쇄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질등급 판정 기준은 운용 통계 및 관리기관과의 분석 및 협의에 따라 계절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신축성 있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판정 결과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약수 이용자는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판정 결과를 외부 관리 센터로 WCDMA 등의 방법으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외부 관리 센터에서는 약수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대장균 측정기(140)에서 대장균 측정을 마친 시료수를 안전하게 수거하되 폐액수위를 계량하여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기능을 갖는 폐액통(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은 수질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시약 잔량을 계량하여 시약부족에 따른 시험오류 및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시약 장치반(1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약 잔량을 수시로 계량하여 기준치 이하가 될 경우에는 즉시 시약을 보충하여 시약부족에 따른 시험오류 및 중단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약수터 등과 같이 수질 감시가 필요한 장소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을 설치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에 내장된 탁도계(110), 질소 측정기(120), 총유기탄소 측정기(130) 및 대장균 측정기(140)가 각각 설정된 정기 측정주기마다 시료수의 탁도, 질소, 총유기탄소 및 대장균을 측정한다.
시료수의 경우, 제어 모듈(150)의 제어에 의해 모터(미도시)가 작동하여 설정된 측정주기마다 탁도계(110), 질소 측정기(120), 총유기탄소 측정기(130) 및 대장균 측정기(140)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시료수가 탁도계(110), 질소 측정기(120), 총유기탄소 측정기(130) 순으로 흐르면서 설정된 측정주기마다 각각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질소 측정기(120), 총유기탄소 측정기(130)의 배치 순서는 바뀌더라도 관계없다.
그리고, 질소 측정기(120)에서 측정을 마친 시료수는 대장균 측정기(14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질소 측정기(120)와 대장균 측정기(140)는 시료수 측정 용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대장균 측정기(140)에서 측정을 마친 시료수는 밸브3(30)을 거쳐 폐액통(160)으로 수거되고, 최종적으로는 밸브4(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탁도계(110)를 통한 탁도 측정레벨이 정상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수질 변동이 발생되었으므로 설정된 정기 측정주기에 관계없이 상기 질소 측정기(120) 및 총유기탄소 측정기(130)로 시료수가 즉시 유입되어 질소 및 총유기탄소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탁도계(110)를 통한 탁도 측정레벨이 불량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수질이 매우 악화된 상태로서 시료수가 상기 질소 측정기(120) 및 총유기탄소 측정기(130)로 유입되지 않고 바이패스되어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은 수질측정결과에 따라 음용적합, 음용부적합, 음용주의로 판정하고, 또한 수질통계에 따라 1등급, 2등급, 3등급 및 폐쇄 등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게 되면 분원성 대장균, 세균, 암모니아성 질소 항목은 측정하지 않고 탁도, 질소, 총유기탄소, 대장균 등 총 4항목만을 측정하여 수질 오염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수질 변동이 발생된 경우 곧바로 질소 및 총유기탄소를 측정하여 수질 오염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수질 상태가 매우 악화된 경우에는 시료수가 질소, 총유기탄소 측정없이 곧바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은 판정 결과를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100)은 판정 결과를 외부 관리 센터로 무선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수질 관리 시스템 110 : 탁도계
120 : 질소 측정기 130 : 총유기탄소 측정기
133 : 건조기 134 : NDIR
140 : 대장균 측정기 144 : 배양기
150 : 제어 모듈 160 : 폐액통
170 : 시약 장치반

Claims (10)

  1. 삭제
  2. 시료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계(110)와, 시료수의 질소를 측정하는 질소 측정기(120)와, 시료수의 총유기탄소를 측정하는 총유기탄소 측정기(130)와, 시료수의 대장균을 측정하는 대장균 측정기(140)와, 상기 탁도계(110), 질소 측정기(120), 총유기탄소 측정기(130) 및 대장균 측정기(140)가 각각 설정된 측정주기마다 시료수의 탁도, 질소, 총유기탄소 및 대장균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질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모듈(150)은,
    상기 탁도계(110)를 통한 탁도 측정레벨이 설정된 정상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질소 측정기(120) 및 총유기탄소 측정기(130)가 즉시 질소 및 총유기탄소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탁도계(110)의 탁도 측정레벨이 설정된 불량 기준치(정상 기준치〈 불량 기준치)를 초과하면 질소 및 총유기탄소 측정없이 시료수를 곧바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수질측정결과에 따른 음용기준을 판정하되,
    수질 측정에서 각 측정항목의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음용적합으로 판정하고,
    각 측정항목 중 한 개 이상의 항목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즉시 음용부적합으로 판정하고,
    음용부적합 판정 이후 수질 측정에서 각 측정항목의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로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음용주의로 판정하고,
    수질통계에 따른 수질등급을 판정하되,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모두가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하로서 적합인 경우 1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일정기준 이하인 경우 2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일정기준 이상이고 폐쇄기준 이하인 경우 3등급으로 판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각 측정항목 중 측정레벨이 기준치 이상으로서 부적합 항목이 특정기준 이상인 경우 폐쇄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정 결과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정 결과를 외부 관리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장균 측정기(140)에서 대장균 측정을 마친 시료수를 수거하되 폐액수위를 계량하여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기능을 갖는 폐액통(16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질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시약 잔량을 계량하여 시약부족에 따른 시험오류 및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시약 장치반(17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10. 삭제
KR1020110047760A 2011-05-20 2011-05-20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KR10111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760A KR101118030B1 (ko) 2011-05-20 2011-05-20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760A KR101118030B1 (ko) 2011-05-20 2011-05-20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030B1 true KR101118030B1 (ko) 2012-02-27

Family

ID=4584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760A KR101118030B1 (ko) 2011-05-20 2011-05-20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944B1 (ko) 2021-04-12 2022-08-26 주식회사 신코 다 성분 형광 수질 분석기
KR20230010321A (ko) * 2021-07-12 2023-01-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속형 형광분석장치를 이용한 미생물 기인 유기물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431A (ja) * 2001-10-19 2003-04-23 Tokyo Metropolis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雨天時下水の消毒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4249200A (ja) * 2003-02-19 2004-09-09 Toshiba Corp 下水道設備の水質制御装置
KR200363893Y1 (ko) * 2004-07-16 2004-10-15 (주)동양화학 간이상수도 시설의 무인통합관리시스템
KR20110047493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운안텍 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431A (ja) * 2001-10-19 2003-04-23 Tokyo Metropolis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雨天時下水の消毒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4249200A (ja) * 2003-02-19 2004-09-09 Toshiba Corp 下水道設備の水質制御装置
KR200363893Y1 (ko) * 2004-07-16 2004-10-15 (주)동양화학 간이상수도 시설의 무인통합관리시스템
KR20110047493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운안텍 수처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944B1 (ko) 2021-04-12 2022-08-26 주식회사 신코 다 성분 형광 수질 분석기
KR20230010321A (ko) * 2021-07-12 2023-01-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속형 형광분석장치를 이용한 미생물 기인 유기물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57346B1 (ko) 2021-07-12 2023-07-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속형 형광분석장치를 이용한 미생물 기인 유기물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ürtele et al. Application of GaN-based ultraviolet-C light emitting diodes–UV LEDs–for water disinfection
US10669166B2 (en) UV-LED liquid monitoring an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102144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UV-LED liquid monitoring and disinfection
AU2015323433A1 (en) Multi parameter swimming pool fluid analysis and regulating method and device
ITRM20120218A1 (it) Dispositivo e metodo per l'analisi ed il monitoraggio della tossicità nelle acque.
WO20181980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power measurement of a liquid-quality parameter
Mamane-Gravetz et al. UV disinfection of indigenous aerobic spores: implications for UV reactor validation in unfiltered waters
JP2009082774A (ja) 紫外線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る紫外線水処理装置並びに遠隔監視装置。
KR101118030B1 (ko) 약수물 수질 관리 시스템
Bedell et al. A continuous, in-situ, near-time fluorescence sensor coupled with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detection of fecal contamination risk in drinking water: Design, characterization and field validation
KR101401015B1 (ko) 생태 독성 감시 장치 및 유지관리 방법
CN208632173U (zh) 一种智能二次供水水质安全监测与控制系统
KR102198400B1 (ko) 효소발색법을 이용한 대장균군 및 대장균 자동검사방법 및 장치
Lange et al. 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s for water disinfection
KR100663626B1 (ko) 발광미생물을 이용한 수질오염 자동 검사장치
WO2018232505A1 (en) DARK WATER QUALITY DISINFECTION AND CONTROL SYSTEM
CN106282303A (zh) 一种检测生活饮用水消毒方法时效性的方法
KR101465900B1 (ko) 물 시료 중 대장균 연속 배양 검출 시스템
JP5482307B2 (ja) 紫外線処理装置
Appels et al. Safety and quality control in drinking water systems by online monitoring of enzymatic activity of faecal indicators and total bacteria
KR102607667B1 (ko) 탁도 측정 방법
KR20150044158A (ko) 생태 독성 감시 장치 및 유지관리 방법
US8912500B1 (en) UV radiation detector with a replaceable secondary window
Duffy et al. Online real-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N104897281B (zh) 一种紫外辐射剂量的测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