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643A - 에어백 - Google Patents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643A
KR20070022643A KR1020067015872A KR20067015872A KR20070022643A KR 20070022643 A KR20070022643 A KR 20070022643A KR 1020067015872 A KR1020067015872 A KR 1020067015872A KR 20067015872 A KR20067015872 A KR 20067015872A KR 20070022643 A KR20070022643 A KR 20070022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fabric
airbag
yarns
infl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9093B1 (ko
Inventor
알란 브래드번
크리스토퍼 맥휴
휴 핀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7002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42We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Abstract

직물(12,13)로부터 형성되고 팽창 가능 영역(1)과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장착 탭(9)을 가지는 에어백이 개시된다. 장착 탭(9) 또는 각각의 장착 탭(9)은 플로우트의 무작위적이거나 또는 반-무작위적인 분포를 가지도록 직조된 직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플로우트들은 각각 2 개의 아래에 놓인 방적사와 8 개의 아래에 놓인 방적사들 사이에서 위로 통과된다.

Description

에어백{An air-bag}
본 발명은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을 정위치에 장착하도록, 천공된 장착부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착부들이 제공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을 정위치에 장착하도록 장착 영역(mounting region) 또는 장착용 탭(mounting tab)들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유형의 에어백들이 이전에 제안되었다. 그러한 유형의 에어백의 특정한 하나의 형태는 소위 팽창 가능 커튼(inflatable curtain)이다. 이러한 유형의 에어백은 영국 특허 공보 GB2297950A 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은 팽창 가능 커튼 에어백의 일부를 도시한다. 에어백은 전체적으로 선형의 상부 가장자리(2)를 가지는 팽창 가능 영역(1)을 가진다. 팽창 가능 영역(1)은 선택된 영역에서 함께 고정된 2 개의 중첩된 직물의 층들로 형성된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은 단일의 직조 과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데, 이것은 직물의 2 개 층들의 선택된 영역들이 단일층의 직물을 형성하도록 함께 직조되는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에어백의 부분에서, 팽창 가능한 영역에 있는 직물의 2 개 층들의 직물은 부위(3)에서 함께 직조되어 비-팽창 부위를 형성하고, 또한 영역(4,5)에서 함 께 직조되어 개별적인 팽창 가능 셀(6,7)들을 분리하는 솔기(seam)들을 형성한다. 개스 공급 도관(8)은 종래와 같이 에어백의 상부 가장자리(2)에 근접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개스 공급 도관은 팽창 가능 셀(6,7)과 유체 소통된다.
에어백의 상부 가장자리(2)에는 복수개의 돌출 장착 탭(9)이 제공되는데, 그들 각각에는 천공(10)이 제공된다. 장착 탭들은 에어백을 정위치에 장착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장착 탭(9)들에 의해 자동차 차량의 정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에어백이 팽창되면, 매우 실질적인 힘이 장착 탭(9)에 적용된다. 그러한 힘을 받아서 장착 탭들이 파열되는 위험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가외의 재료를 제공하거나, 또는 장착 탭의 두께를 증가시키도록 자체적으로 재료를 접거나, 또는 부가적인 강화 재봉(reinforcing sewing)을 제공함으로써 장착 탭을 강화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모든 이러한 수단들은 에어백의 중량과 비용을 증가시킨다.
에어백의 다른 형태에서 장착부는 개스 발생기를 수용하는 넓은 통공을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장착부일 수 있다. 장착부가 통상적으로는 개스 발생기의 플랜지에 볼트를 수용하는 통공을 가진다. 다시, 장착부는 증가된 두께의 장착부를 만들거나, 또는 강화된 직물의 가외의 층에 재봉됨으로써 통상적으로 강화된다.
본 발명은 향상된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이 제공되는데, 에어백은 직물로부터 형성되고 팽창 가능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를 가지며, 장착부 또는 각각의 장착부는 플로우트(floats)의 무작위적인(random) 또는 반-무작위적인(quasi-random) 분포를 가지도록 직조된 직물로부터 형성된다.
플로우트는 날실 방적사(warp yarn)가 2 개 또는 그 이상의 씨실 방적사(weft yarn)의 위나 또는 아래로 통과할때마다 발생되고, 그리고 씨실 방적사가 2 개 또는 그 이사의 날실 방적사들의 위 또는 아래로 통과할 때 발생된다. "무작위적이거나, 또는 반 무작위적인 플로우트의 분포"는 에어백의 그 어떤 특정한 장착부에서 제공된 플로우트의 패턴이 무작위적인 전체 외관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플로우트의 위치 선정과 각각의 플로우트에 의해서 위나 아래로 통과되는 방적사들의 수(number) 사이에 순서나 상호 관련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 어떤 다른 유형의 플로우트가 있는 것보다 많은 수의 플로우트들이 2 개의 방적사들 위에 있도록 플로우트의 무작위적인 선택의 특성이 편향(bias)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물론, 제조된 제품에서, 각각의 연속적으로 제조된 에어백 위의 탭들의 특징은 동일하게 될 것인데, 이는 직조부의 정확성이 예정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록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형의 에어백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제조 과정에서 실제로 무작위적인 플로우트들을 발생시키도록 무작위적인 수의 신호 발생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 생각될지라도, 제조된 바로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조차도, 플로우트들은 단지 반-무작위적이거나 또는 유사-무작위적일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플로우트들 각각은 2 개 내지 8 개의 하부 방적사들 사이에서 위로 통과한다.
유리하게는, 장착부 또는 각각의 장착부가 직물의 2 개의 인접한 층들로부터 형성된다. 직물의 2 개 층들 각각은 플로우트들의 무작위적이거나 또는 반-무작위적인 분포를 가지도록 직조된다.
편리하게는, 장착부를 형성하는 직물의 2 개의 근접한 층들은 함께 꿰메어진다(stitch).
이와는 달리, 장착부를 형성하는 직물의 2 개의 근접한 층들은 레이저 절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직물 층들의 외측 가장자리들은 함께 가열 접합된다.
편리하게는, 각각의 장착부가 돌출 장착 탭이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장착부가 천공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에어백이 팽창 가능한 커튼이다.
편리하게는, 팽창 가능한 커튼은 개별적인 팽창 가능 셀들을 형성하도록 선택된 영역들에서 함께 고정된, 직물의 2 개의 중첩된 층들에 의해 형성된 팽창 가능 영역을 가지며, 여기에는 팽창 가능 셀들과 유체 소통되는 개스 공급부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에어백이 제공되는데, 에어백은 에어 커튼이고, 에어백은 직물로 형성되며 개별의 팽창 가능 셀을 형성하도록 선택된 영역들에서 함께 고정된 직물의 2 개의 중첩된 층들에 의해 형성되며, 팽창 가능 셀과 유체 소통되는 개스 공급 도관이 있고, 에어백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가 제공되며, 장착부 또는 각각의 장착부는 플로우트의 무작위적이거나 또는 반-무작위적인 분포를 가지도록 직조된 직물로부터 형성되고, 각각의 장착부는 돌출 장착 탭의 형태이고, 장착 탭에는 천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제 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이전에 제안된 에어백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확대된 부분도이다.
도 3 은 전형적인 홉 자루(hopsack) 직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서 이용된 직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 는 도식화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어도 에어백의 장착 탭들이 특정의 직조를 이용하여 제작되는데, 이것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로우트의 무작위적인 분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장착 탭들은 함께 재봉된 이러한 직물의 2 개 층들에 의해 만들어진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부분이 도시되어 있는데, 에어백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백의 디자인에 전체적으로 대응하는 디자인을 가진 에어백이다. 따라서, 도 2 의 에어백은 팽창 가능한 커튼 에어백으로서 전체적으로 선형이거나 또는 직선의 상부 가장자리를 가진 팽창 가능 영역을 구비하고, 팽창 가능 영역은 선택된 영역들에서 함께 고정된 직물의 2 개의 중첩된 층들에 의해 형성된다. 에어백은 개별의 팽창 가능 셀들을 분리시키는 솔기들 을 포함한다. 도 2 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에어백은 단일체 직조 기술(one-piece weav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에어백의 최상부 가장자리(2)는 단일체 직조 기술을 이용하여, 에어백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직물의 2 개의 분리된 층들을 함께 직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개스 불투과성의 솔기(11)로 형성된다. 직물(12,13)의 2 개의 분리된 층들은 솔기(11) 아래에서 벌어져서 개스 유동 도관(8)을 형성한다.
에버백의 상부 가장자리(2)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장착 탭(9)은 다시 직물의 2 개 층(12,13)들로부터 형성되지만, 탭의 영역에서는, 직물의 층(12,13)들이 재봉(14)의 주위 선에 의해 함께 재봉되어, 탭에 소망되는 일체성을 제공한다. 이와는 달리, 탭들은 직물로부터 레이저 절단될 수 있어서, 각각의 탭의 직물 층 가장자리들은 함께 용융되고 융합되어서 소망되는 일체성을 제공하게 된다. 장착 탭에는 다시 중앙의 천공(10)이 제공된다.
탭(9)의 영역에는 "특수한" 직조가 이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직물을 위해서 이용된다.
종래에 제안된 많은 에어백에서, 홉 자루의 직조가 에어백의 직물을 위해서 이용되었다. 홉 자루의 직조는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홉 자루(hopsack) 직조에서는, 복수개의 직접적으로 인접한 날실 방적사들이 씨실 방적사들의 선택된 그룹들의 위와 아래로 함께 "평행하게" 통과하며, 씨실 방적사들도 또한 날실 방적사들의 같은 세트들을 정확하게 위와 아래로 통과한다. 도 3을 참조하면, 6 개의 날실 방적사(21 내지 26)들과 6 개의 씨실 방적사(27 내지 32)들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의 3 개의 날실 방적사(21 내지 23)들은 "평행하게" 연장되는 날실 방적사들의 그룹을 형성하여, 씨실 방적사들의 같은 세트들을 정확하게 위와 아래로 통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날실 방적사(24 내지 26)들은 제 2 그룹의 방적사들을 형성하여, 이들이 유사한 방식으로 씨실 방적사들의 같은 선택된 세트들의 위와 아래를 통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씨실 방적사(27 내지 29)는 날실 방적사들의 같은 세트들의 위와 아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적사들의 그룹을 형성하고, 씨실 방적사(30 내지 32)들은 날실 방적사들의 같은 선택된 세트들의 위와 아래로 통과하는 제 2 그룹을 형성한다.
따라서, 홉 자루의 상기 구현예에서, 3 개 날실 방적사들의 그룹들은 3 개 씨실 방적사들의 위와 아래로 통과하며, 그 역도 성립한다. 홉 자루는 각각의 그룹에서 2 개 또는 그 이상의 방적사들을 포함하는 방적사들의 그룹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홉 자루는 제조가 용이하지만, 실질적인 파열 저항성을 가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새로운 직조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직조는 "플로우트(float)"의 무작위적이거나, 또는 반-무작위적인 분포를 가진다. "플로우트"는 하나의 방적사가 적어도 2 개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방적사들의 위와 아래로 통과하는 곳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플로우트가 8 개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방적사들을 덮게되는 길이로 플로우트가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12 개의 날식 방적사와 12 개의 씨실 방적사들이 있는 직조된 직물의 각각의 부위에서, 적어도 20 개의 플로우트들이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플로우트들 각각은 2 개의 방적사들과 8 개의 방적사들 사이의 플로우트된 방적사들을 다수 가지게 된다. 12 개의 날실 방적사들과 12 개의 씨실 방적사들이 있는 직조된 직물의 각각의 부위에서, 2 개 방적사들의 적어도 20 개의 플로우트들과, 3 개 또는 그 이상의 방적사들의 적어도 5 개의 플로우트들이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3 개 또는 그 이상의 방적사들의 적어도 6 개의 플로우트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3 개 방적사들의 적어도 2 개의 플로우트, 4 개 방적사들의 적어도 2 개 플로우트 및, 4 개 방적사들 이상의 적어도 2 개 플로우트들과 같은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직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 는 씨실 방적사(38 내지 42)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씨실 방적사와 서로 짜여진, 방적사((33 내지 37)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날실 방적사들을 도시한다.
씨실 방적사(38)는 처음에 2 개의 날실 방적사(33,34)들 위로 통과하여 함께 플로우트를 형성하고, 날실 방적사(35)의 아래로, 날실 방적사(36)의 위로 통과하고, 그리고 계속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씨실 방적사(39)는 날실 방적사(33)의 위로, 날실 방적사(34)의 아래로, 날실 방적사(35)의 위로, 날실 방적사(36)의 아래로, 그리고 날실 방적사(37)의 위로 통과하고, 따라서, 설명된 영역에서 그 어떤 "플로우트"도 겪지 않는다. 씨실 방적사(40)는 날실 방적사(33)의 아래로 통과하고 다음에 2 개의 날실 방적사(34,35)의 위로 통과하여 플로우트를 형성하며, 이후에 다음의 2 개의 근접한 날실 방적사(36,37)들의 아래로 통과하여 다른 플로우트를 형성한다.
씨실 방적사(41)는 날실 방적사(33)의 위로, 다음의 근접한 날실 방적 사(34,35)의 아래로 통과하여 플로우트를 형성하고, 날실 방적사(36)의 위로, 다음의 인접한 날실 방적사(37)의 아래로 통과한다. 씨실 방적사(42)는 날실 방적사(33)의 아래로, 다음에 날실 방적사(34,35,36 및 37)의 위로 통과하여 플로우트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플로우트는 4 개의 아래에 놓인 방적사들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플로우트들은 무작위적이거나 반-무작위적인 방식으로 제공되며, 직접적인 규칙 반복 패턴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플로우트에 의해 위로 통과되는 방적사의 최대 수가 8 개이더라도, 플로우트들은 아래에 놓인 그 어떤 개수의 방적사들의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 는 신장(extension)에 대하여 도시한 그래프로서, 종래의 홉 자루 직조에 대한 파열 저항과,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신규의 향상된 직조의 예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신규한 직조에 대한 파열 저항이 종래의 홉 자루의 직조에 대한 파열 저항 보다 실질적으로 크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팽창 가능 커튼의 형태인 에어백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단지 그러한 유형의 에어백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공된 장착부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착부들을 가지는 그 어떤 에어백을 가지고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착부가 개스 발생기를 수용하는 대형의 개구를 둘러싸는 영역인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영역은 개스 발생기의 플랜지상에 볼트를 수용하는 천공들을 가진다. 상기 영역은 직물의 2 개의 중첩된 층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직조를 이용함으로써, 인장 강도가 손상됨이 없이,파열 저항성이 향상된 장착 탭을 가지는 에어백이 제공된다. 직물은 에어백의 조립 또는 접힘을 용이하게 하는 유연성의 구조이다. 직물은 종래의 홉 자루 직물보다 더욱 유연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별도의 강화부나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부가하지 않으면서, 향상된 강도를 가진 에어백이 제공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에어백의 중량 및 비용은 단지 장착 탭의 파열 저항을 향상시키도록 증가되지는 않는다.
본원 발명의 명세서와 청구항들에서 이용되었을 때, "포함하는"과 "포함하고 있는"이라는 용어 및, 그것의 변형들은 특정의 특징들, 단계들 또는 완전체들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들은 다른 특징들, 단계들 또는 구성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도록 해석되지는 않는다.
이전의 상세한 설명, 또는 다음의 청구항들, 또는 첨부된 도면들에서 특정한 형태나, 또는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또는 개시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공정과 관련하여 표현된 특징들은, 적절한 바에 따라서 분리되거나, 또는 그러한 특징들의 그 어떤 조합으로도 본 발명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백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직물로 형성되고, 팽창 가능한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를 가지는 에어백으로서, 장착부 또는 각각의 장착부는 플로우트의 무작위적이거나 또는 반-무작위적인 분포를 가지도록 직조된 직물로부터 형성되는, 에어백.
  2. 제 1 항에 있어서,
    플로우트들은 각각 2 개의 하부에 놓인 방적사들과 8 개의 하부에 놓인 방적사들 사이에서 위로 통과하는, 에어백.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장착부 또는 각각의 장착부는 직물의 2 개의 근접한 층들로부터 형성되는, 에어백.
  4. 제 3 항에 있어서,
    장착부를 형성하는 직물의 2 개의 인접한 층들은 함께 재봉되는, 에어백.
  5. 제 3 항에 있어서,
    장착부를 형성하는 직물의 2 개의 인접한 층들은 레이저 절단되는, 에어백.
  6.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장착부는 돌출하는 장착 탭인, 에어백.
  7.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장착부는 천공되는, 에어백.
  8.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백은 팽창 가능한 커튼인, 에어백.
  9. 제 8 항에 있어서,
    팽창 가능 커튼은 개별의 팽창 가능 셀(cell)들을 형성하도록 선택된 영역들에서 함께 고정된 직물의 2 개의 중첩된 층들에 의해 형성된 팽창 가능 영역을 가지고, 팽창 가능 셀들과 유체 소통되는 개스 공급 도관이 있는, 에어백.
  10. 팽창 가능 커튼인 에어백으로서, 에어백은 직물로 형성되고, 개별의 팽창 가능 셀들을 형성하도록 선택된 영역들에서 함께 고정된 직물의 2 개의 중첩된 층들에 의해 형성된 팽창 가능 영역을 가지고, 팽창 가능 셀들과 유체 소통되는 개스 공급 도관이 있고, 에어백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가 제공되고, 장착부 또는 각각의 장착부는 플로우트들의 무작위적이거나 또는 반-무작위적인 분포를 가지도록 직조된 직물로 형성되고, 각각의 장착부는 돌출된 장착 탭의 형태이며, 장착 탭에 는 천공이 제공되는, 에어백.
KR1020067015872A 2004-02-06 2005-02-01 에어백 KR101149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02666.2 2004-02-06
GB0402666A GB2410725A (en) 2004-02-06 2004-02-06 Airbag mounting tab
PCT/SE2005/000113 WO2005075258A1 (en) 2004-02-06 2005-02-01 An air-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643A true KR20070022643A (ko) 2007-02-27
KR101149093B1 KR101149093B1 (ko) 2012-05-25

Family

ID=31985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872A KR101149093B1 (ko) 2004-02-06 2005-02-01 에어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66369B2 (ko)
KR (1) KR101149093B1 (ko)
DE (1) DE112005000212T5 (ko)
GB (1) GB2410725A (ko)
WO (1) WO2005075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8893B2 (en) * 2007-03-01 2014-09-09 Autoliv Delevopment AB Fabric for an air-bag and an air-bag incorporating the fabric
DE202007015431U1 (de) * 2007-10-30 2008-12-24 Takata-Petri Ag Airbageinrichtung zum Schutz eines Fahrzeuginsassen
DE102010048164B4 (de) 2010-10-13 2019-05-09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für ein Kraftfahrzeug
JP6271293B2 (ja) 2014-02-26 2018-01-3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02017210660A1 (de) * 2017-06-23 2018-12-27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assackanordnung
US11844909B2 (en) * 2020-03-23 2023-12-1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Guide catheter with reinforcing member
DE102021118314A1 (de) * 2020-11-25 2022-05-25 Zf Automotive Germany Gmbh Gassackgeweb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1016B (sv) 1979-04-02 1981-11-16 Almedahls Ab Draghallfast och rivstark duk
ES2087333T3 (es) 1991-04-15 1996-07-16 Hoechst Ag Tejido para un saco hinchable.
GB2326385B (en) 1995-02-20 1999-08-2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SE9500771L (sv) 1995-03-03 1996-09-04 Fov Fabrics Ab Användning av draghållfast och rivstark duk till stötskyddande, uppblåsbara luftsäckar i fordon s.k. airbags
DE19706674C1 (de) * 1997-02-20 1998-11-12 Autoliv Dev Airbaganordnung mit einem eine Aufnahmetasche für den Gasgenerator aufweisenden Luftsack
ES2267206T3 (es) * 1997-12-19 2007-03-01 MILLIKEN & COMPANY Airbag tejido con barreras contra flujo.
GB9807704D0 (en) 1998-04-09 1998-06-10 Scapa Group Plc Fabric and seam construction
US6734125B2 (en) * 1999-06-07 2004-05-11 Bradford Industries, Inc. Laminated multi-denier mixed fabrics for use in inflatable vehicle restraint systems
US6698458B1 (en) * 1999-06-17 2004-03-02 Milliken & Company Low permeability airbag cushions having film coatings of extremely low thickness
US6632753B1 (en) * 2000-04-26 2003-10-14 Safety Components Fabric Technologies, Inc. Motor vehicle air bag and fabric for use in same
US6632752B2 (en) * 2001-02-14 2003-10-14 Renal Tech International Llc Protective clothing
US6626456B2 (en) * 2001-06-26 2003-09-30 Autoliv As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flatable curtain wrap
GB2383302A (en) 2001-12-18 2003-06-25 Autoliv Dev Airbag having a woven gas supply 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10725A (en) 2005-08-10
WO2005075258A1 (en) 2005-08-18
US7766369B2 (en) 2010-08-03
DE112005000212T5 (de) 2007-01-18
KR101149093B1 (ko) 2012-05-25
GB0402666D0 (en) 2004-03-10
US20080252046A1 (en)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093B1 (ko) 에어백
CN101868380B (zh) 具有填充片的气囊及具有气囊和气体发生器的气囊装置
US7422233B2 (en) Air-bag
CN113511165B (zh) Opw气囊
EP2221405B1 (en) An airbag
KR100650145B1 (ko) 에어백
US20060255571A1 (en) Air-bag
US20060284403A1 (e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construction
EP1557324A2 (en) Curtain airbag
JP7284704B2 (ja) ノンコートエアバッグ用織物およびエアバッグ
KR101398483B1 (ko) 에어백을 위한 직물 및 상기 직물을 포함하는 에어백
US7559345B2 (en) Inflatable curtain with variable seam pattern
JP2008087519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
JP4476284B2 (ja) エアバッグ
JP4451068B2 (ja) エアバッグ製織方法
KR101873559B1 (ko) 개선된 에어백
GB2410752A (en) Woven air bag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7